KR100695901B1 -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901B1
KR100695901B1 KR1020050105670A KR20050105670A KR100695901B1 KR 100695901 B1 KR100695901 B1 KR 100695901B1 KR 1020050105670 A KR1020050105670 A KR 1020050105670A KR 20050105670 A KR20050105670 A KR 20050105670A KR 100695901 B1 KR100695901 B1 KR 10069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unction
function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상빈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10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901B1/en
Priority to PCT/KR2006/003669 priority patent/WO2007052896A1/en
Priority to CNA2006800017970A priority patent/CN101099298A/en
Priority to EP06798779A priority patent/EP1943739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901B1/en
Priority to US11/824,834 priority patent/US2007025964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binable with various function modules and the function module are provided to enable the function module to be combined or separated according to each function of camera, MP3, external memory modules and so on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carrying by carrying only a necessary function module according to situ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pa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function module, the terminal comprise the followings: a module connector(10) including a module recognizer; and a main body(100) which recognizes the kind of the fun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odule connector(10), by using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module recognizer and controls the connected function module. The function module is at least one of a display module, a camera module, a laser pointer module, a remote controller module, an external memory module, an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Description

다양한 기능 모듈의 결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기능 모듈{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s and its function module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 모듈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2 to 6 show an example of each functional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소 사용시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능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unction module in norm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u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커넥터의 핀 맵을 나타낸 도면.9 illustrates a pin map of a module connector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듈 종류의 인식을 위한 기능 모듈 인식 테이블 및 인식예를 나타낸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module recognition table and a recognition example for recognizing a functional module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서 결합된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combined function module in a main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모듈 커넥터10: modular connector

11 : 어드레스(address)부11: address section

13 : 데이터부13: data section

15 : 컨트롤부15: control unit

17 : 모듈 인식부17: module recognition unit

19 : 전원-그라운드부19: power supply-ground part

100 : 본체100: main body

200 : 커넥터200: connecto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 모듈의 결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기능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unctional module capable of combining various functional modules.

근래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needs)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순히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 MP3 모듈, 게임폰 등의 다양한 기능을 위한 모듈이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에 따른 모듈이 장착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즈가 커져서 휴대하기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Recently, according to various needs of users, not only a communication function but also a module for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amera module, an MP3 module, a game phone, etc. are being instal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uch, since the modules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are mounted,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carry.

또한,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에 따른 모듈도 모두 장착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 입장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구입에 따른 비용 낭비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many modules according to infrequently used functions are often installed, and thus a problem of waste of money due to the purch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occur from a user's point of view.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 MP3 등의 각 기능에 따른 기능 모듈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기능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unctional module capable of selectively combining and detaching functional modules according to respective functions, such as a camera and an MP3.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결합되는 기능 모듈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type of function module to be coupled and executes a control program according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모듈 커넥터; 및 상기 모듈 커넥터와 연결되는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기능 모듈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odule connector; And a type of fun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odule connector, and including a main body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여기서, 상기 기능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 카메라 모듈, 레이저 포인터 모듈, 리모콘 모듈, 외장 메모리 모듈, MP3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unction module may be at least one of a display module, a camera module, a laser pointer module, a remote controller module, an external memory module, an MP3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그리고, 상기 모듈 커넥터는 모듈 인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모듈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모듈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능 모듈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커넥터는 어드레스부, 데이터부, 컨트롤부 및 전원-그라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e connector may include a module recognizing unit, and the main body may recognize the type of the functional module by using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odule recognizing unit. The modul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n address unit, a data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ground unit.

본 발명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듈 커넥터와 결합되며, 상기 본체에 상응하는 모듈인식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듈인식 정보 전송부가 구비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능 모듈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and a functional module coupled with a module connecto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nector including a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providing th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기능 모듈의 결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기능 모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bining various functional modules and a functional module thereof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듈 커넥터(10) 및 모듈 커넥터(10)와 연결되는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odule connector 10 and a main body 100 that determines a type of a fun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odule connector 10 and controls the function module.

모듈 커넥터(10)는 디스플레이 모듈, 카메라 모듈, 레이저 포인터 모듈, 리모콘 모듈, 외장 메모리 모듈, MP3 모듈 및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과 결합하여 본체(100)와 해당 기능 모듈을 연결하고, 본체(100)와 기능 모듈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하나의 모듈 커넥터(1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둘 이상의 기능 모듈의 결합을 위해서 둘 이상의 모듈 커넥터(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악을 들으며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개의 모듈 커넥터(10)를 이용하여 MP3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본체(1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모듈 커넥터(10)가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 되시되었으나, 본체(100)의 네 개의 측면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module connector 10 is combined with a function module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display module, a camera module, a laser pointer module, a remote control module, an external memory module, an MP3 module, a Bluetooth module, and the like. The module connects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lay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function module. Here, although only one module connector 10 is shown in the drawing, two or more module connectors 10 may be provided for coupling two or more functional modules. For example, since a user may want to use a camera function while listening to music, the MP3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using two module connectors 10. 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in the drawing that the module connector 1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t is natural that the four side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본체(100)는 모듈 커넥터(10)를 통해 결합된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해당 기능 모듈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능 모듈 중 디스플레이 모듈이 모듈 커넥터(10)를 통해 결합된 경우 본체(100)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고 현재 작동 중인 기능(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작성)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체(100)는 결합 가능한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하에서는 기능 모듈 제어 프로그램이라 칭함)가 구비되어야 한다. 기능 모듈 제어 프로그램은 미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 내의 또는 결합된 특정 저장모듈(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다.The main body 100 determines the type of the function module coupled through the module connector 1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modul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module of the function modules is coupled through the module connector 10, the main body 100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module and provides data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currently being operated (for example, writing a text message). By transmitting to the display module, the display module controls the display. Therefore, the main body 100 should be provided with software or hardw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unction module control program) capable of controlling each of the combineable function modules. The function module control program is previously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module (e.g. memory) in or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가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모듈 커넥터(10)를 통한 기능 모듈의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본체(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상하 연동되어 본체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체의 안테나는 기능 모듈이 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ntenna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s shown in the figure is show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bu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for ease of coupling of the functional module through the module connector 10 It may be formed, or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or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s interlocked up and down. That is, the antenna of the main body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prevent the function module from being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또한, 본체(100)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거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LCD와 같은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기능 모듈 중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하지 않고서도, 숫자 및 문자 등의 기본적인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전화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시 숫자 또는 문자 등의 입력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not shown) such as an LCD that can display input numbers or letters when a user makes a phone call or transmits a text message. That is, by providing a display unit that can display basic video data such as numbers and texts without combining display modules in the functional module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in input of numbers or letters during a telephone call or a text message transmission.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로 PCS와 같은 휴대폰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한 것이나, 도 1의 특징적인 일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모듈 커넥터 등)가 부가된 개인 휴대 장치(PDA)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mainly assuming a mobile phone such as a PCS. Howev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tc. to which some of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FIG. It is obvious that the device can be implemented.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 모듈의 예시 를 나타낸 도면이다.2 to 6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each functional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기능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듈 커넥터(10)와 결합되는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즉, 각 기능 모듈은 커넥터(20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며, 커넥터(20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2 to 6, the function module includes a connector 200 coupled with the module connector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each function module is coupl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connector 200,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through the connector 200.

도 2를 참조하면, 기능 모듈 중 하나로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엘씨디(LCD) 모듈(210)뿐만 아니라, 게임 및 방송 시청을 위한 서라운드 스피커 모듈이 장착된 와이드(wide) LCD 모듈(23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장치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2, there is shown a display module that can be applied as one of the functional modules. As the display module, not only an LCD module 210 used i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a wide LCD module 230 equipped with a surround speaker module for watching games and broadcasts may be used. Naturally, all the devices performing the functions can be applied equally.

또한, LCD 모듈(210) 및 와이드 LCD 모듈(230) 등을 디스플레이 모듈로써 하나의 기능 모듈로 정의하였으나, LCD 모듈(210) 및 와이드 LCD 모듈(230)을 별도의 기능 모듈 종류로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CD module 210 and the wide LCD module 230 are defined as one function module as the display module, the LCD module 210 and the wide LCD module 230 may be set as separate functional module types.

이동 단말기의 모듈 커넥터(10)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200)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같이, 다양한 기능 모듈들 중 하나로 적용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3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함), 레이저 포인터 모듈, 리모콘 모듈, MP3 코덱/서라운드 모듈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외장 메모리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현재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기능 모듈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 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해질 할 것이다.A camera module that can be applied as one of various functional modules, such as a display module having a connector 200 that can be coupled with a module connector 10 of a mobile terminal (an LCD for displaying a captured image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display unit 310), a laser pointer module, a remote control module, an MP3 codec / surround module are shown in FIGS. In addition, it will be further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that all functional modules, which are developed or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which are combin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n external memory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can be equally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소 사용시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능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unction module in normal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평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듈 커넥터(10)에 덮개(110)를 씌워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커넥터(1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여 기능 모듈과의 연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평상시에는 LCD 모듈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According to FIG. 7,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normally use a cover 110 on the module connector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ccumulate on the module connector 10, thereby preventing a poor connection with the function module. In another embodiment, it is natural that a display module such as an LCD module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평소 음성 통화와 같은 기본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만을 수행할 경우가 많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아무런 기능 모듈을 결합시키지 않고 휴대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often performs only basic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voice calls, so that the user can carry without combining any function modu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게임을 하거나 방송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서라운드 스피커가 구비된 와이드 LCD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와이드 LCD 모듈 이외에도 카메라 모듈, MP3 코덱/서라운드 모듈, 리모콘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등도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a user wants to play a game or watch a broadcast, the user may combine a wide LCD module with a surround speak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wide LCD module shown in the drawings, it is obvious that the camera module, the MP3 codec / surround module, the remote control module and the Bluetooth module may be equally combined.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능 모듈이 결합되면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즉, 본체(100))가 결합된 기능 모듈의 유형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중 몇 가지 방법만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function module when the function module is combined.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functional module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e, the main body 100) is coupled may vary, but only a few of these methods are as follows.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능 모듈이 결합되면 기능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 고, 전원을 공급받은 기능 모듈이 전송한 특정 신호(즉, 기능 모듈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First, when a function module is combined, the mobile terminal supplies power to the function module and uses a specif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ed function module (that is, a predetermined signal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function module).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can be determined.

다른 방법으로, 전원 공급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에서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신호를 기능 모듈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기능 모듈에서 전술한 특정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는 모듈 커넥터(10)를 통해 결합된 기능 모듈의 고유 저항 값을 측정하여 해당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fter the power supply,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preset signal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function module to the func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above-described specific signal from the function module receiving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ransmit to 100. As another method,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by measuring the intrinsic resistance value of the function module coupled through the module connector 10.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커넥터의 핀 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모듈 종류의 인식을 위한 기능 모듈 인식 테이블 및 인식예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u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pin map of the modu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 module recognition table and an example of recognition for recognizing a type of a fun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도 8을 참조하면, 모듈 커넥터(10)는 어드레스(address)부(11), 데이터부(13), 컨트롤부(15), 모듈 인식부(17) 및 전원-그라운드부(19)를 포함한다. 각 구성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인(Line)을 포함하며, 핀(pin)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module connector 10 includes an address unit 11, a data unit 13, a control unit 15, a module recognition unit 17, and a power supply-ground unit 19. . Each component includes at least one line, and may be formed of a pin or the like.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는 모듈 커넥터(10)의 모듈 인식부(17)를 통해 기능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한다. 즉 , 본체(100)는 전원-그라운드부(19)를 통해 기능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고, 기능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해당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한다. 전원-그라운드부(19)는 기능 모듈 결합 시 본체(100)가 기능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그라운드(ground)하기 위한 라인이다.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by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function module through the module recognition unit 17 of the module connector 10. That is, the main body 100 supplies power to the function module through the power-ground unit 19,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through a signal received from the function module. The power-ground unit 19 is a line for the main body 100 to supply power or ground to the function module when the function module is coupled.

도 9를 참조하면, 모듈 인식부(17)에 4개의 핀(핀 번호 25 내지 28 참조)이 할당되어 총 16(=24)개의 기능 모듈이 구별될 수 있다. 즉, 기능 모듈은 본체(100)가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결합 시에 각각 미리 설정된 특정 신호를 전송하도록 커넥터(200) 또는 기능 모듈의 본체에 회로 설계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는 미리 저장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기능 모듈에서 전송하는 특정 신호에 대한 정보(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듈인식 정보"라 칭함)가 설정된 기능 모듈 인식 테이블(30)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모듈의 커넥터(200)는 모듈인식 정보를 모듈 커넥터(10)의 모듈 인식부(17)에 전송하기 위한 모듈인식 정보 전송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모듈 커넥터(10)의 모듈 인식부(17)가 네 개의 핀으로 형성될 경우, 모듈인식 정보 전송부는 모듈 인식부(17)와 결합되는 네 개의 단자일 수 있다. 즉, 기능 모듈은 커넥터(200)의 모듈인식 정보 전송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모듈인식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듈 커넥터(10)를 통해 본체(10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9, four pins (see pin numbers 25 to 28) are allocated to the module recognizing unit 17 so that a total of 16 (= 2 4 ) functional modules may be distinguished. That is, the functional module is designed in the circuit of the connector 200 or the main body of the functional module so as to transmit the specific signal, respectively preset at the time of coupling, so that the main body 100 can recognize the type. Therefore,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with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function module as shown in FIG. 9 stored in advan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unction module recognition table 30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type of function module to be combined. Here, the connector 200 of the functional module is provided with a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to the module recognition unit 17 of the module connector 10. For example, when the module recognition unit 17 of the module connector 10 is formed of four pins, th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may be four terminals coupled to the module recognition unit 17. That is, the function module transmits th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preset through th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of the connector 200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module connector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0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모듈이 모듈 커넥터(10)를 통해 본체(100)에 결합되면, 모듈 인식 테이블(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모듈은 모듈 인식부 (17)의 4 개의 라인(또는 4개의 핀)을 통해 모듈인식 정보 "0101"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체(100)는 기능 모듈로부터 수신된 모듈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모듈 커넥터(10)를 통해 결합된 기능 모듈이 블루투스 모듈임을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Bluetooth modul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module connector 10, as illustrated in the module recognition table 30, the Bluetooth module may have four lines (or four) of the module recognition unit 17. 4 pins)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0101" to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main body 100 may recognize that the function module coupled through the module connector 10 is a Bluetooth module using th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unction module.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어드레스부(11)는 기능 모듈과 본체 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저장된 영역에 대한 주소 정보가 전송되는 라인(또는 핀)이며, 데이터부(13)는 기능 모듈의 기능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기능 모듈과 본체 간에 송수신되는 라인이고, 컨트롤부(15)는 기능 모듈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제어 신호 및/또는 응답신호가 송수신되는 라인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0)는 모듈 커넥터(10)의 어드레스부(11), 데이터부(13), 컨트롤부(15)를 이용하여 결합된 기능 모듈과의 데이터 송수신 및 기능 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the address unit 11 is a line (or pin) through which address information on a stored area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function module and the main body is transmitted, and the data unit 13 corresponds to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module.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function module and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unit 15 is a line through which control signals and / or response signals required for the function module to operate. Therefore, the main body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 receives data and functions of the functional modules coupled using the address unit 11, the data unit 13, and the control unit 15 of the module connector 10. Can be controlled.

여기서, 모듈 커넥터(10)는 기능 모듈과의 기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별도의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 it is obvious that the module connector 1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ther signals with the function module.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서 결합된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combined function module in a main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본체(100)는 임의의 기능 모듈이 결합됨을 인식한다. 본체(100)는 모듈 커넥터(10)에 기능 모듈이 결합되면 스위칭(switching) 또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and-Play)기능 등을 통해 인터럽트(interrupt)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operation 310, the main body 100 recognizes that an arbitrary function module is combined. When the functional module is coupled to the module connector 10, the main body 100 may generate an interrupt signal through a switching or plug-and-play function to recognize the interrupt signal.

단계 320에서 본체(100)는 결합된 기능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신호를 통해 기능 모듈의 종류를 인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미리 저장된 모듈 인식 테이블(30)을 이용하여 모듈 커넥터(10)의 모듈 인식부(17)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해당 기능 모듈의 종류를 인식한다. 여기서, 본체(100)는 모듈 커넥터(10)의 전원-그라운드부(19)에서 전원을 기능 모듈에 공급하여, 기능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신호에 의해 기능 모듈이 결합됨을 인식 및 해당 기능 모듈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320, the main body 100 recognizes the type of the function module through a specif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bined function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recognizes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by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odule recognition unit 17 of the module connector 10 using the module recognition table 30 stored in advance. Here, the main body 100 recognizes that the function module is coupled by a specific signal received from the function module by supplying power to the function module from the power-ground unit 19 of the module connector 10 and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You can also judge.

또한, 바람직하게는 결합된 기능 모듈이 저장된 모듈 인식 테이블(30)에 설정되지 않은 신호를 전송하였을 경우 새로운 기능 모듈임을 인식하고, 새로운 기능 모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모듈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기능 모듈의 제어 프로그램을 취득할 수 있다. 물론, 모듈 인식 테이블(30)에는 새로운 기능 모듈의 모듈인식 정보를 설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combined function module transmits a signal that is not set in the stored module recognition table 30, it recognizes that it is a new function module, and uses information about the new function module (for exampl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can be obtained from the specific server set in advance through the network. Of course, the module recognition table 30 sets the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new function module.

단계 330에서 본체(100)는 인식된 기능 모듈의 종류에 상응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 모듈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한다.In operation 330, the main body 100 extracts and executes a control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functional module from the storage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 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MP3, 외장 메모리 모듈 등의 각 기능에 따른 기능 모듈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기능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bining and detaching function modules according to respective functions such as a camera, an MP3, an external memory module, and the like.

또한, 상황에 따라 필요한 기능 모듈만을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nly necessary function modul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to the user.

또한, 결합되는 기능 모듈의 종류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type of function module to be coupled and automatically executes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ly.

또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이 고장났을 경우에는, 해당 기능 모듈만을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되므로 A/S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function module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is broken, only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needs to be repaired or replaced, thereby providing easy A / S.

또한, 필요 시에만 하나의 기능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by combining one functional module only when necessary.

또한, 하나의 모듈 커넥터를 이용하여 모든 기능 모듈들이 호환되므로 상품화 가능성이 용이하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all functional modules are compatible using a single module connector,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is eas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5)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모듈 인식부를 포함하는 모듈 커넥터; 및A module connector including a module recognition unit; And 상기 모듈 커넥터에 연결되는 기능 모듈의 종류를 상기 모듈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모듈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연결된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기능 모듈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module capable of recognizing a type of a fun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odule connector using module recogn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module recognition unit and controlling a connected func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능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 카메라 모듈, 레이저 포인터 모듈, 리모콘 모듈, 외장 메모리 모듈, MP3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function module may be at least one of a display module, a camera module, a laser pointer module, a remote control module, an external memory module, an MP3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듈 인식부는 복수개의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module recogniz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i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듈 커넥터는 어드레스부, 데이터부, 컨트롤부 및 전원-그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odul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n address unit, a data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ground unit. 삭제delete
KR1020050105670A 2005-11-04 2005-11-04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 KR100695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670A KR100695901B1 (en) 2005-11-04 2005-11-04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
PCT/KR2006/003669 WO2007052896A1 (en) 2005-11-04 2006-09-14 Mobile terminal combinable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CNA2006800017970A CN101099298A (en) 2005-11-04 2006-09-14 Mobile terminal combinable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EP06798779A EP1943739A4 (en) 2005-11-04 2006-09-14 Mobile terminal combinable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US11/824,834 US20070259648A1 (en) 2005-11-04 2007-07-02 Mobile terminal combinable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670A KR100695901B1 (en) 2005-11-04 2005-11-04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901B1 true KR100695901B1 (en) 2007-03-19

Family

ID=3901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670A KR100695901B1 (en) 2005-11-04 2005-11-04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5901B1 (en)
CN (1) CN10109929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396A (en) * 1999-02-20 2000-09-15 조정남 An upgradable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396A (en) * 1999-02-20 2000-09-15 조정남 An upgradabl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9298A (en)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5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KR101792183B1 (en) Ear-Phone System For Portable Device
US9226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ccessory of portable terminal
US8396509B2 (en) Signal transmission path selection circuit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circuit
US8335870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on external device basis and external device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00075723A1 (en) Potable device including earphone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380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arphone mounting in portable terminal
US7734247B2 (en) Configurable serial memory interface
CN1015343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xternal connection device in mobile terminal
KR20120068274A (en) Apparatus for integration connecting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in mobile terminal
US11431181B2 (en)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US20100100643A1 (en) Multimedia system by using external connection apparatus and external connection apparatus therefor
US20090085868A1 (en) Composite notebook
CN102073282B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EP1943739A1 (en) Mobile terminal combinable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CN109684241B (en) Terminal and terminal equipment
KR100695901B1 (en)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the function module
KR20060095386A (en) Apparatus for multiple interfa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2988109B (en) Single-audio interface signal switching circuit and single-audio interface switching device
KR100651262B1 (en) Mobile terminal combinable to various func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CN109991866B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CN103489431A (en) Display terminal
CN109218914B (en) Audio playing device and audio transmission circuit
KR20060044208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extern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CN102118531A (en) Household information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