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161B1 -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161B1
KR100694161B1 KR1020060012884A KR20060012884A KR100694161B1 KR 100694161 B1 KR100694161 B1 KR 100694161B1 KR 1020060012884 A KR1020060012884 A KR 1020060012884A KR 20060012884 A KR20060012884 A KR 20060012884A KR 100694161 B1 KR100694161 B1 KR 10069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nformation
synchronizatio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훈
유원호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161B1/ko
Priority to US11/655,242 priority patent/US20070192797A1/en
Priority to JP2007010707A priority patent/JP5230948B2/ja
Priority to CN2007100043257A priority patent/CN101017497B/zh
Priority to EP07101641A priority patent/EP1819131B1/en
Priority to DE602007000066T priority patent/DE602007000066D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홈 네트워크에 분산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및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설정한 동기화 목록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여 최신의 정보를 유지함에 의해 변경된 내용에 따른 빠르고 효과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홈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of managing distributed contents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와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되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컨텐츠 정보 수집(aggregation)의 수행에 따른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재생 목록 동기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컨텐츠 파일 동기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메타 데이터 동기화의 수행에 따른 메타데이터 DB의 변화 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의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 네트워크 상에 분산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 네트워크가 확산되고 이를 지원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AV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 내에서 생성되거나 사용되는 AV 컨텐츠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의 모든 컨텐츠들은 하나의 장치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고, 각각의 장치에 개별적으로 저장되고 사용된다. 이러한 컨텐츠 저장 및 사용 환경을 분산 컨텐츠 환경(distributed contents environment)이라고 한다.
종래의 분산 컨텐츠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각각의 컨텐츠의 저장 위치, 즉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상태에 따라서는 컨텐츠의 사용에 제약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장치에서나 홈 네트워크 내의 모든 컨텐츠를 검색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종래의 기술(예를 들어 한국 공개 특허 공보 10-2004-0063627호에 개시된 분산 멀티미디어 자료 목록 표시 장치 및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하는 시점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자료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한 뒤,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선택하여 재생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매 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 전달과 선택 과정이 필요하고,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자료가 저장된 장치를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장치 목록 및 컨텐츠의 목록 등을 다시 수집하므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 상의 여러 컨텐츠 재생 장치에 분산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빠르게 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높여주는 컨텐츠 관리 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홈 네트워크에 분산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컨텐츠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설정한 동기화 목록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컨텐츠 정보 DB 처리부;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설정한 동기화 목록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예에서, 홈 네트워크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201 내지 206)를 포함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예로는 디지털 TV(201),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personal video recorder: PVR, 202), 네트워크 오디오(203), PC(204) 등과 같은 고정형 장치와, MP3 플레이어(205), 디지털 카메라(206) 등과 같은 이동형 장치가 있다.
고정형 장치는 TCP/IP 네트워크 기반의 랜(LAN)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이동형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와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되는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는 동기화 목록 DB(131), 재생 목록 DB(132), 컨텐츠 파일(133), 및 메타데이터 DB(134)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 장치(200)는 재생 목록 DB(211), 컨텐츠 파일(212), 및 메타데이터 DB(213)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파일(133, 212)은 컨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이다. 컨텐츠 재생 장치(200)는 자신의 컨텐츠 파일(212)을 저장하고 있으며,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도 자신의 컨텐츠 파일(133)을 가지고 있다.
메타데이터 DB(134, 213)는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이다.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의 종류 및 응용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DB(213)는 장치 자신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 즉 로컬 컨텐츠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한다. 반면,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DB(134)는 장치 자신을 포함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모든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DB(134)는 통합 컨텐츠 정보 DB가 된다.
재생 목록 DB(132, 211)는 재생 목록(play list)들을 저장한다. 재생 목록이란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들을 지정하여 놓은 목록이다. 사용자는 재생 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매번 개별적으로 검색하여 재생할 수도 있으나, 특정한 컨텐츠들을 재생 목록에 미리 지정하여 두고,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할 때 재생 목록을 이용하여 검색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동기화 목록 DB(131)는 컨텐츠 재생 장치와 컨텐츠 관련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목록 정보로서,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만 저장되고 관리된다. 동기화 목록 DB(131)는 사용자가 장치별로 설정한 재생 목록의 리스트들로 이루어진다.
동기화 목록 DB(131), 재생 목록 DB(132, 211), 및 메타데이터 DB(134, 213)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5a, 5b, 7, 8, 9a, 및 9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 정보 DB 처리부(110)와 동기화 처리부(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정보 DB 처리부(110)는 홈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생성하거나 갱신한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정보 DB 처리부(110)는 장치 관리부(111), 컨텐츠 정보 수신부(112), 컨텐츠 변경 신호 수신부(113), 컨텐츠 변경 정보 수신부(114), 및 컨텐츠 정보 DB 갱신부(11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관리부(111)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AV 장치)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장치 관리부(111)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가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되는 경우, 새로이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다.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의 예로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장치 아이디(ID), 컨텐츠 재생 장치의 종류, 및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저장 용량 등이 있다.
컨텐츠 정보 수신부(112)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그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컨텐츠 정보 수신부(112)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가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되는 경우, 새로이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그 장치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200)는 컨텐츠 정보 변경 이벤트를 발생시켜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 컨텐츠 정보 변경 이벤트는 컨텐츠의 변경을 알리는 신호이다.
컨텐츠 변경 신호 수신부(113)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 변경 이벤트를 수신한다.
컨텐츠 변경 정보 수신부(114)는 변경이 발생한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변경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컨텐츠 정보 DB 갱신부(115)는 변경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컨텐츠 정보 DB 처리부(110)에서 컨텐츠 정보 수집 동작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200)는 홈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된 경우, 장치 자신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300).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100)는 새롭게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다(S305).
컨텐츠 재생 장치(200)의 정보에 대한 등록이 완료되면,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aggregation)하는 동작이 수행된다(S310).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재생 목록 DB(211)와 메타데이터 DB(213) 등이 있다.
컨텐츠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하여 컨텐츠 동기화가 수행된다. 컨텐츠 동기화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컨텐츠 재생 장치(2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이후에, 컨텐츠에 대한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디지털 TV(201)에 새로운 동영상이 녹화되거나, 디지털 카메라(206)에 새로운 사진이 생성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변경이 발생한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200)는 컨텐츠 변경을 알리는 신호를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S330). 컨텐츠 재생 장치(200)는 컨텐츠 변경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컨텐츠 정보 수집을 다시 수행한다(S340). 최초의 컨텐츠 정보 수집에서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지만, 컨텐츠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만을 수집하면 된다.
컨텐츠 변경에 따른 컨텐츠 정보 수집이 완료된 후에도, 변경된 내용에 따라 컨텐츠 동기화가 수행된다.
컨텐츠 재생 장치(200)가 홈 네트워크와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재생 장치(200)는 네트워크 연결 해제를 알리는 신호를 분산 컨 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S350).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삭제한다(S360).
도 5a 및 도 5b는 컨텐츠 정보 수집(aggregation)의 수행에 따른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컨텐츠 정보 수집이 수행되기 전의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컨텐츠 정보 수집이 수행된 후의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에 2개의 컨텐츠 재생 장치(207, 208)가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 및 도 5b의 예에서는 새로이 추가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각각 DEV1과 DEV2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는 DEV0로 표시하고 있다.
DEV1(207)에는 컨텐츠 메타데이터 DB에 컨텐츠 X01, X02, X03, X04, X05, 및 X1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CID는 컨텐츠 ID(contents ID)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 수집이 수행되기 전,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의 컨텐츠 메타데이터 DB에도 컨텐츠 X0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런데, 컨텐츠 X01의 위치(Location), 즉 컨텐츠 X01이 저장된 컨텐츠 재생 장치는 DEV0만이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정보 수집이 수행되면, DEV1(207)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된다(701, 702).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반영하여 컨텐츠 메타데이터 DB를 갱신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컨텐츠 X01에 대한 위치가 DEV0와 DEV1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DEV2(208)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도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로 전송된다(703). DEV2(208)에 저장된 컨텐츠 X21, X22, X23, X24, 및 X25는 원래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이다. 따라서,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는 X21, X22, X23, X24, 및 X25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메타데이터 DB에 추가한다(703).
동기화 처리부(120)는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설정한 동기화 목록(131)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동기화(contents synchronization)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동기화 처리부(120)는 재생 목록 동기화부(121),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 및 메타 데이터 동기화부(1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동기화 처리부(120)에서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재생 목록 동기화부(121)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목록(211)을 동기화 목록(131)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킨다(S420). 이를 위해 재생 목록 동기화부(121)는 각각의 장치에 대한 재생 목록을 포함하는 동기화 목록(131)을 이용하여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대한 재생 목록을 추출하여, 추출된 재생 목록을 컨텐츠 재생 장치(200)로 전송한다.
도 7은 재생 목록 동기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a 및 5b의 실시예에서 컨텐츠 정보 수집이 수행되었던 컨텐츠 재생 장치 DEV1(207)에 대 해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재생 목록 동기화부(121)는 먼저 동기화 목록을 이용하여 DEV1(207)에 대한 재생 목록을 추출한다(S810). 동기화 목록에는 DEV1에 대한 재생 목록으로 P01(802)과 P03(803)이 지정되어 있다(801). 또한, 도 7은 각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해서 기본 재생 목록이 설정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예에서 DEV1에 대해 기본 재생 목록으로 DEF_DEV1(804)이 지정되어 있다.
재생 목록 동기화부(121)는 추출된 재생 목록들(802, 803, 804)을 컨텐츠 재생 장치(207)로 전송한다(S820). 컨텐츠 재생 장치(207)의 재생 목록 DB(805)에는 P01, P03, 및 DEF_DEV1이 저장된다.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컨텐츠 재생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212)을 동기화된 재생 목록의 내용과 일치시킨다(S430).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동기화된 재생 목록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파일들, 즉 컨텐츠 재생 장치에 다운로드하여야 하는 컨텐츠들의 목록을 추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 파일들을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한다.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먼저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 각각이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의 경우,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분 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을 직접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한다.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의 경우,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검색하는데, 이는 컨텐츠 메타 데이터 DB(134)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를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라 부르기로 한다.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로,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을 직접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파일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파일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는 저장된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을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한다.
도 8은 컨텐츠 파일 동기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설명된 재생 목록 동기화가 수행된 후, DEV1(207)에 대해 컨텐츠 파일 동기화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먼저 다운로드할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을 추출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재생 장치(207)는 컨텐츠 파일 X01 내지 X08, 및 X21을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동기화 이전에 컨텐츠 재생 장치(207)에는 컨텐츠 파일 X01 내지 X05, 및 X11만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컨텐츠 재생 장치(207)로 컨텐츠 파일 X06 내지 X08, 및 X21(903)이 다운로드되어야 한다.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다운로드 파일 X06, X07, X08, 및 X21이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에는 X06, X07, 및 X08이 저장되어 있으나(901), X21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컨텐츠 파일 X21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결정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컨텐츠 파일 X21에 대한 컨텐츠 메타데이터에 위치(Location)로 DEV2가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컨텐츠 파일 X21에 대한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는 DEV2(208)이다.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122)는 DEV2(208)로 파일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파일 전송 메시지의 내용은, 컨텐츠 재생 장치 DEV2(208)가 컨텐츠 파일 X21을 직접 컨텐츠 재생 장치 DEV1(207)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파일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DEV2(208)은 컨텐츠 파일 X21(902)를 DEV1(20)로 전송한다.
메타 데이터 동기화부(123)는 동기화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 데이터(134, 213)에 컨텐츠 파일 동기화의 내용을 반영한다(S440). 메타 데이터 동기화부(123)는 동기화된 컨텐츠 파일, 즉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이 새로이 저장된 위치를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고, 위치가 추가된 메타 데이터를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한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위치가 추가된 메타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 DB(213)에 추가한다.
도 9a 및 도 9b는 메타 데이터 동기화의 수행에 따른 메타데이터 DB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서 설명된 컨텐츠 파일 동기화가 수행된 후, DEV1(207)에 대한 메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는 메타 데이터 동기화가 수행되기 전의 메타데이터 DB의 상태를 나타 내고 있다. 도 9a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DB는 도 5b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DB와 같은 상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컨텐츠 파일 X06 내지 X08에 대한 위치(Location)에 DEV0만 지정되어 있으며(1001), 컨텐츠 파일 X21에 대한 위치에 DEV2만 지정되어 있다(1003).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207)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DB(1005)에는 컨텐츠 파일 X06, X07, X08, 및 X2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도 9b는 메타 데이터 동기화(1010)가 수행된 후의 메타데이터 DB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컨텐츠 파일 X06 내지 X08에 대한 위치에 DEV1이 추가되었으며(1002), 컨텐츠 파일 X21에 대한 위치에 DEV1이 추가되었다(1004). 또한, 컨텐츠 재생 장치(207)에 저장된 메타데이터 DB(1006)에 컨텐츠 파일 X06, X07, X08, 및 X2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동기화 처리부(120)가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때이다.
먼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 수집이 있는 때(도 4의 S310 또는 S340)에 컨텐츠 동기화가 수행된다.
또한, 사용자(50)로부터 동기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컨텐츠 동기화가 수행된다. 사용자(50)는 동기화 목록(131)을 변경하여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S400). 동기화 목록이 변경된 경우, 사용자(50)는 동기화 명령을 발생하여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100)로 하여금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컨텐츠 재생 장치마다 컨텐츠 정보의 변경을 로그로 기록하며, 컨텐츠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컨텐츠 정보 변경 이벤트를 수신한 서버(컨텐츠 관리 장치) 는 해당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여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변경된 내용에 따른 빠르고 효과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홈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컨텐츠 재 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가 변경된 경우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는 해당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여 최신의 정보를 유지함에 의해 변경된 내용에 따른 빠르고 효과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홈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재생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설정한 동기화 목록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가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장치 아이디(ID),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종류, 및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저장 용량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변경이 발생한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변경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이 발생한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변경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동기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목록을 상기 동기화 목록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재생 목록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을 상기 동기화된 재생 목록의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파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 데이터에 상기 컨텐츠 파일 동기화의 내용을 반영하는 메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목록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각각의 장치에 대한 재생 목록을 포함하는 동기화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재생 목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재생 목록을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파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된 재생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을 추출하는 단 계; 및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 파일들을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 파일들을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 파일들이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 중 상기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파일들 각각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컨텐츠 파일을 직접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된 컨텐츠 파일이 새로이 저장된 위치를 상기 동기화된 컨텐츠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가 추가된 메타 데이터를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 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 정보 변경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13.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컨텐츠 정보 DB 처리부;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설정한 동기화 목록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 DB 처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가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장치 관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 DB 처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변경이 발생한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변경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변경 신호 수신부;
    상기 변경이 발생한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변경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컨텐츠 변경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변경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컨텐츠 정보 DB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고정형 컨텐츠 재생 장치 또는 이동형 컨텐츠 재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고정형 컨텐츠 재생 장치인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TCP/IP 기반의 랜(LAN)을 이용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가 이동형 컨텐츠 재생 장치인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는 USB 또는 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 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목록을 상기 동기화 목록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재생 목록 동기화부;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을 상기 동기화된 재생 목록의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된 컨텐츠 파일에 대한 메타 데이터에 상기 컨텐츠 파일 동기화의 내용을 반영하는 메타 데이터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목록 동기화부는,
    각각의 장치에 대한 재생 목록을 포함하는 동기화 목록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재생 목록을 추출하는 재생 목록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재생 목록을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재생 목록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파일 동기화부는,
    상기 동기화된 재생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는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을 추출하는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 목록 추출부; 및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 파일들을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 전송부는,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의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 파일들이 상기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저장 여부 판단부;
    상기 다운로드 컨텐츠 파일들 중 상기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파일들 각각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를 결정하는 파일 저장 재생 장치 결정부; 및
    상기 파일 저장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컨텐츠 파일을 직접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파일 전송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 동기화부는,
    상기 동기화된 컨텐츠 파일이 새로이 저장된 위치를 상기 동기화된 컨텐츠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 추가하는 메타 데이터 추가부; 및
    상기 위치가 추가된 메타 데이터를 상기 동기화하고자 하는 컨텐츠 재생 장 치로 전송하는 메타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컨텐츠 관리 장치.
  24. 하나 이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관련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설정한 동기화 목록에 정해진 내용과 일치시키는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60012884A 2006-02-10 2006-02-10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694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884A KR100694161B1 (ko) 2006-02-10 2006-02-10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655,242 US20070192797A1 (en) 2006-02-10 2007-01-19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tributed contents
JP2007010707A JP5230948B2 (ja) 2006-02-10 2007-01-19 分散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装置
CN2007100043257A CN101017497B (zh) 2006-02-10 2007-01-22 管理分布式内容的方法和设备
EP07101641A EP1819131B1 (en) 2006-02-10 2007-02-0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tributed contents
DE602007000066T DE602007000066D1 (de) 2006-02-10 2007-02-02 Verfahren und Gerät zur Verwaltung von verteilten Inhalt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884A KR100694161B1 (ko) 2006-02-10 2006-02-10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161B1 true KR100694161B1 (ko) 2007-03-12

Family

ID=3810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884A KR100694161B1 (ko) 2006-02-10 2006-02-10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92797A1 (ko)
EP (1) EP1819131B1 (ko)
JP (1) JP5230948B2 (ko)
KR (1) KR100694161B1 (ko)
CN (1) CN101017497B (ko)
DE (1) DE602007000066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568A3 (en) * 2008-08-27 2010-04-22 Motorola, Inc. Content item recommendation
KR101489974B1 (ko) 2009-05-14 2015-02-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에 따른 동기 방법과 그 이동통신단말기
US9833716B2 (en) 2013-11-22 2017-12-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eb content sharing method, and web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receiving terminal for web content sha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2798A1 (en) * 2005-12-30 2007-08-16 Barrett Morgan Digital content delivery vi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incorporating secured set-top devices
WO2008085979A1 (en) * 2007-01-08 2008-07-17 Bmo Llc Household network incorporating secure set- top devices
JP2009098733A (ja) * 2007-10-12 2009-05-07 Olympus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7991741B2 (en) * 2008-04-04 2011-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record with web document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JP2009282851A (ja) * 2008-05-23 2009-12-03 Toshiba Corp デジタル情報管理方法、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1697979B1 (ko) 2010-11-23 201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기기에서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009273A (ja) * 2011-06-27 2013-01-10 Toshiba Corp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CN103365882A (zh) * 2012-03-30 2013-10-23 网秦无限(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上垃圾文件清理的方法和系统
CN103369003A (zh) * 2012-03-30 2013-10-23 网秦无限(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云计算扫描移动设备的冗余文件的方法和系统
JP5670391B2 (ja) * 2012-07-27 2015-02-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WO2014071801A1 (zh) * 2012-11-12 2014-05-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播放列表同步方法及装置
US9325709B2 (en) * 2012-12-21 2016-04-26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orting and merging content items from different sources
US9866508B2 (en) 2015-04-02 2018-01-09 Dropbox, Inc. Aggregating and presenting recent activities for synchronized online content management systems
CN108920305B (zh) * 2018-06-20 2021-11-30 中广核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记账的usb设备接入风险检测方法及装置
CN114095511B (zh) * 2020-07-31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分布式系统数据同步的方法和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950A (ja) * 2001-11-07 2003-05-16 Casio Soft Co Ltd データベース同期化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242014A (ja) * 2002-02-18 2003-08-29 Hitachi Ltd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及びデュプリケート方法
JP2005025921A (ja) * 2003-06-09 2005-01-27 Sony Corp 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192B1 (en) * 2000-02-29 2004-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oftware download and distribution via image building and multicast
US7890661B2 (en) * 2001-05-16 2011-02-15 Aol Inc. Proximity synchronizing audio gateway device
US7620363B2 (en) * 2001-05-16 2009-11-17 Aol Llc Proximity synchronization of audio content among multiple playback and storage devices
US7136934B2 (en) * 2001-06-19 2006-11-14 Request, Inc. Multimedia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CA2464102C (en) * 2001-10-22 2021-04-13 Apple Computer, Inc. Intelligent synchronization for a media player
US20030167318A1 (en) * 2001-10-22 2003-09-04 Apple Computer, Inc. Intelligent synchronization of media player with host computer
US7159174B2 (en) * 2002-01-16 2007-01-02 Microsoft Corporation Data preparation for media browsing
US6941324B2 (en) * 2002-03-21 2005-09-0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playlists
CN100479455C (zh) * 2002-04-05 2009-04-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使用系统
US7797446B2 (en) * 2002-07-16 2010-09-14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playlists
JP2004005315A (ja) * 2002-06-03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関する、装置または方法または記録媒体またはプログラム
KR20040049667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509485B1 (ko) * 2003-01-08 2005-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멀티미디어 자료 목록 표시 장치 및 방법
JP4158530B2 (ja) * 2003-01-14 2008-10-0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システム
US20050114374A1 (en) * 2003-04-04 2005-05-26 Juszkiewicz Henry E. User interface for a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US20050060264A1 (en) * 2003-09-15 2005-03-1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laying globally relevant playlists
US7293047B2 (en) * 2003-10-23 2007-11-06 Microsoft Corporation Synchronization view
JP2005141635A (ja) * 2003-11-10 2005-06-02 Sony Corp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共有方法
KR100562907B1 (ko) * 2003-12-18 200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의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7403769B2 (en) * 2004-03-23 2008-07-2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sic synchronization in a mobile device
US8028038B2 (en) * 2004-05-05 2011-09-27 Dryden Enterprises, Llc Obtaining a playlist based on user profile matching
US20050286546A1 (en) * 2004-06-21 2005-12-29 Arianna Bassoli Synchronized media streaming between distributed peers
US8190680B2 (en) * 2004-07-01 2012-05-29 Netg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digital media playback
US7636509B2 (en) * 2005-08-04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Media data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0950A (ja) * 2001-11-07 2003-05-16 Casio Soft Co Ltd データベース同期化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242014A (ja) * 2002-02-18 2003-08-29 Hitachi Ltd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及びデュプリケート方法
JP2005025921A (ja) * 2003-06-09 2005-01-27 Sony Corp 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転送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7568A3 (en) * 2008-08-27 2010-04-22 Motorola, Inc. Content item recommendation
KR101489974B1 (ko) 2009-05-14 2015-02-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접속 장치에 따른 동기 방법과 그 이동통신단말기
US9833716B2 (en) 2013-11-22 2017-12-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eb content sharing method, and web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receiving terminal for web content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9131A1 (en) 2007-08-15
CN101017497B (zh) 2010-05-26
DE602007000066D1 (de) 2008-09-25
CN101017497A (zh) 2007-08-15
EP1819131B1 (en) 2008-08-13
US20070192797A1 (en) 2007-08-16
JP5230948B2 (ja) 2013-07-10
JP2007215170A (ja)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161B1 (ko) 분산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JP4708128B2 (ja) 携帯端末及びコンテンツ継続視聴システム
CN1768373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EP18739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sing the content directory service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network
CN101868793B (zh) 一种对等回放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70149923A1 (en) Remote access of media items
US82716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ontents of home network devices
US20110038613A1 (en) Remote storage of digital media broadcasts for time-shifted playback on personal digital media devices
US20060288081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ing application for obtaining meta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of obtaining metadata
JP2008533566A (ja) UPnPAV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ユニバーサルな「フォローミー」機能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995970B1 (en) Receiv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content receiving method, and content recording method
EP1683045A1 (en) Virtual content directory service
KR20050104358A (ko) 정보 처리 장치, 콘텐츠 관리 방법, 콘텐츠 정보 관리 방법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5893458B (zh) 媒体内容回放系统和方法
RU252486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связи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JP5314840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20070055650A1 (en) Query caching in a system with a content directory service
US20070027764A1 (en)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information managing system
JP2011119859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1130040A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5338383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EP2530945B1 (en) Server,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data distribution method
JP201114687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3975092B2 (ja) 映像再視聴システム、映像再視聴方法、この方法の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816852B2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