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364B1 -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364B1
KR100693364B1 KR1020060006748A KR20060006748A KR100693364B1 KR 100693364 B1 KR100693364 B1 KR 100693364B1 KR 1020060006748 A KR1020060006748 A KR 1020060006748A KR 20060006748 A KR20060006748 A KR 20060006748A KR 100693364 B1 KR100693364 B1 KR 10069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isplay unit
lighting
multimedia content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진
임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6000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adjusting a lighting mode in a display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according to kinds of reproduced multimedia contents,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terminal. A method for adjusting a lighting mode in a display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determining the types of multimedia contents which is reproduced(S1); determining a preset lighting mode of the display(S3); and differently adjusting the lighting of the display according to kinds o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s if the determined lighting mode is an automatic mode for differently setting the lighting of the display according to kinds o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s(S13).

Description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nu screen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a conventional display uni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llumination mode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3 is a menu screen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때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of controlling an illumination mode of a display unit that can control a lighting mode of a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media content played when a multimedia file is played using the mobile terminal. It is about.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설정한다.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설정하는 기능이 그 예이다.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ets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 example is a function of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종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 도 1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항상 켜두기 위한 점등 모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소등시키기 위한 소등 모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밝기 레벨을 일정 시간 경과 후 낮추는 절약 모드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에서 하나의 조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며, 선택된 조명 모드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조명 모드가 제어된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set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a user inputs a user command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nu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For example, a menu screen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lighting mode for always lighting on the display unit, an off mod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unit's illumina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elapsed a predetermined time of the brightness level of the display unit. Then the saving mode is displayed. The user inputs a user command for selecting one illumination mode on the displayed menu scree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lected illumination mode.

상기 설명한 종래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조명 모드를 점등 모드, 소등 모드 또는 절약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만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점등 모드 또는 절약 모드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항상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은 켜져 있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를 소모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mode, the lighting mod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set only to one of a lighting mode, a light-off mode, and an economy mode. Therefore, when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is set to the lighting mode or the saving mode, the display unit is always turned on to consume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even if the multimedia file to be played does not contain the image content.

한편, 소등 모드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이 꺼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다시 켜 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 키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켜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재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is set to the unlit mode, the display uni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even if the multimedia file to be played contains the video content.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re-enter a user command to turn on the display unit through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turn on the display unit agai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media content play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은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a 단계), 설정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b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조명 모드가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다르게 설정하는 자동 모드인 경우,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type of multimedia content to be played (step a), determining the lighting mode of the set display unit (step b) and the determined If the lighting mode is an automatic mode for differently setting the lighting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display un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step c). It is done.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점등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소등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step (c), when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includes the image content,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the lighting mode. When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does not include the image content, the display unit turns off the lighting mod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로, 재생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1).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llumination mode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type of multimedia content to be played is determined (step 1). The user selects the multimedia content to be play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inputs a user command for playing the selected multimedia content. The type of the multimedia content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is determined.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는 멀티미디어 파일명을 통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MP3 파일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는 음악 파일로 판단된다. 한편, 선택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k3g 파일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는 영상 콘텐츠로 판단된다.Preferably, the type of multimedia conte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multimedia file name. For example, when the selected multimedia file is an MP3 file, the type of the multimedia content is determined to be a music file. On the other hand, if the selected multimedia file is a k3g file, the type of the multimedia content is determined to be image content.

설정된 이동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판단한다(단계 3).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항상 점등시키는 점등 모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소정 시간 경과 후 소등시키는 소등 모드 및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다르게 설정하는 자동 모드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들 중에서 설정된 조명 모드가 자동 모드인지를 판단한다.The lighting mode of the set mobile terminal display unit is determined (step 3). For example,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lighting mode for always lighting the display unit, an unlit mod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unit's illumina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an automatic mode for differently setting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There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ighting mode set among the lighting modes of the display unit is an automatic mode.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제1 명령을 통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is set through a user first command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가 자동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 모드가 판단된다(단계 5). 상기 설정 모드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멀티미디어 콘텐 츠 별로 미리 정해진 소정의 조명 모드로 자동 설정하는 자동 설정 모드와 이동 단말기가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별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자동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모드가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set display unit is an automatic mode, a setting mode for set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is determined (step 5). The setting mode includes an automatic setting mode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to a predetermined lighting mode for each multimedia content and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set by the user for every kind of multimedia content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custom mode to set the mode automatically.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 설정 모드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가 점등 모드로 자동 설정되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가 소등 모드로 자동 설정된다.Preferably, in the automatic setting mode,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is automatically set to the lighting mode when the multimedia content includes the image content, and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is automatically set to the extinguishing mode when the multimedia content does not have the image content. do.

상기 설정 모드가 자동 설정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영상 콘텐츠가 구비되어 있는지 판단한다(단계 9).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점등 모드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며(단계 9)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소등 모드로 제어한다(단계 11).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ting mode is the automatic setting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includes the image content (step 9). I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includes the image content,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in the lit mode (step 9). I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does not include the image content,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the unlit mode. (Step 11).

한편, 상기 설정 모드가 사용자 설정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한다(단계 13). 상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가 제어된다(단계 15).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ting mode is a user setting mode,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is set to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set b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step 13).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by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set display unit (step 1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를 참고로 사용자 제1 명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뉴 화면에는 점등 모드, 소등 모드 이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자동 모드가 디스플레이된다.3 is a menu screen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A, a menu screen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user's first command. For example, an automatic mode for automatically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ultimedia content is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한편, 도 3의 (b)를 참고로, 사용자 제2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설정 모드의 메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뉴 화면에는 자동 설정 모드와 사용자 설정 모드가 디스플레이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B, a menu screen of the setting mode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user second command. For example, the automatic setting mode and the user setting mode are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for example, a CD-ROM, DVD, etc.)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he Internet).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은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ontrols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media content to be play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Claims (5)

(a)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a) determining the type of multimedia content to be played; (b) 설정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b) determin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set display unit; And (c) 상기 판단된 조명 모드가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다르게 설정하는 자동 모드인 경우,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제어 방법.(c) if the determined lighting mode is an automatic mode for differently setting the lighting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differently. Lighting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제1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제어 방법.And a first user command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는The illumination mode of claim 2, wherein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is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항상 점등시키는 점등 모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소정 시간 경과 후 소등시키는 소등 모드,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밝기 레벨을 일정 시간 경우 후 낮추는 절약 모드 및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다르게 설정하는 자동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제어 방법.The lighting mode for always lighting the display unit, the off mode for turning off the display unit light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saving mode for lowering the brightness level of the display unit after a certain time, and the lighting mode of the display unit Lighting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mode to set different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step (c)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점등 모드로 제어하며,When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includes the image content,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the lighting mode, 상기 판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을 소등 모드 또는 절약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of the display unit to one of a light-off mode or a saving mode when the determined multimedia content does not include the image cont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가 자동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is set to the automatic mode,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 각각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제2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조명 제어 방법.And a second user command for setting an illumina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multimedia content.
KR1020060006748A 2006-01-23 2006-01-23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 KR100693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48A KR100693364B1 (en) 2006-01-23 2006-01-23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748A KR100693364B1 (en) 2006-01-23 2006-01-23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364B1 true KR100693364B1 (en) 2007-03-12

Family

ID=3810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748A KR100693364B1 (en) 2006-01-23 2006-01-23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364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0039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U20122320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ightness in a portable terminal
JP5108955B2 (en) Sleep mod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20090024719A (en) Portable media device with power-managed display
US20100048139A1 (en) Battery power consumption control
JP2001215914A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display part
US20100176752A1 (en) Event based ambient lighting control
JP2012231325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0604813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luminance control method
CN104020837A (en) Audio playing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device
KR1006933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ck light mode of the display in the mobile terminal
CN102523355A (en) Power management method of music player
US200300866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processing control method
KR101460366B1 (en) Power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US20070189251A1 (en)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JP2007108769A (en) Sound processor and display with the same
KR20060025847A (en) Method for controlling lcd's brightnes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38186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and program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5136674A (en) Mobile terminal
EP1513147A3 (en) Video player
JP2005110044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ound volume control method
KR100631651B1 (en) Mobile terminal with music replay ability and method for displaying equalizer thereof
JP2007019884A (en) Method of dc download for wireless digital content and its device
JP2007200460A (en)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N117880414A (en)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terminal and intelligen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