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198B1 - 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198B1
KR100688198B1 KR1020050009131A KR20050009131A KR100688198B1 KR 100688198 B1 KR100688198 B1 KR 100688198B1 KR 1020050009131 A KR1020050009131 A KR 1020050009131A KR 20050009131 A KR20050009131 A KR 20050009131A KR 100688198 B1 KR100688198 B1 KR 100688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ound
sound source
terminal
sour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8295A (en
Inventor
김미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198B1/en
Publication of KR2006008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2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데이터가 재생되는 2개 이상의 스피커로 구성된 음원출력부와, 3차원 입체음향 구현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시간차를 두고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음원재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2개 이상의 스피커에 의해 단말기 사용자에게 게임이나 동영상 재생 등의 경우에 단순한 소리의 출력이 아니라 화면과 일치하는 공간적 깊이감을 가지는 3차원 입체적 음향을 제공함과 아울러 소비자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source output unit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two or more speakers for reproduc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a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at a time difference to enable 3D stereo s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av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including a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rough two or more speakers, wherein the two or more speakers provided in the terminal provide a simple sound to a terminal user in the case of game or video playback. Not only the output of the 3D sound but having a sense of spatial depth that matches the screen,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urchasing power of consumers.

입체음향, 이동통신, 단말기, 평판스피커Stereo Sou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lat Panel Speaker

Description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 및 입체음향 재생방법{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의 일실시예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aving sound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평판 스피커의 단면이 도시된 도면,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at panel speak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중앙/좌측/우측스피커가 탑재된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enter / left / right speaker is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ound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스피커와 청취자가 배치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peaker and a listener are arranged in a general audio system.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음원출력부 11: 좌측보조스피커10: sound source output unit 11: left sub speaker

12: 우측보조스피커 13: 중앙스피커12: Right auxiliary speaker 13: Center speaker

20: 음원재생부 30: 메모리 20: sound source playback section 30: memory

100: 진동자 101: 압전필름100: vibrator 101: piezoelectric film

102a,102b: 투명전극 103a,104b: 신호라인102a and 102b transparent electrodes 103a and 104b signal lines

본 발명은 음향 재생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에 구비된 2개 이상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음향효과를 가지도록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aving sound reproduc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having sound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sound source data using a two or more speakers provided in the terminal to hav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sound effect.

음향 재생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의 일례로 도 1 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폴더(1)와 본체(2)로 구성되고 상기 폴더(1)와 상기 본체(2)를 결합시키는 힌지부(3)로 구성된다.As an example of a terminal provided with sound reproducing means, FIG. 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ventional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argely composed of a folder 1 and a main body 2, and the folder 1 ) And a hinge portion (3) for coupling the main body (2).

상기 폴더(1)는 상대방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수화부 스피커(4)와 각종 문자나 숫자, 부호, 그리고 영상이 출력되는 액정표시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본체(2)는 전화번호나 각종 문자를 입력하는 2개 이상의 키버튼(6)과 사용자의 음성메시지를 수집하는 송화부 마이크(7)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older 1 includes a speaker unit 4 for listening to the other party's voic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5 for outputting various letters, numbers, codes, and images, and the main body 2 includes: Two or more key buttons 6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or various characters, a transmitter microphone 7 for collecting a voice message of a user, and an antenna 8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셀룰라(Cellular) 폰이나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벨소리(beep sound)나 경보음(alert sound)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면서 호의 착신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통신 및 음향 처리 기술의 발달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소형의 통신 단말기에서 보다 풍부한 음향이나 음악을 재생하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cellular phones and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 phones send a beep sound or alert soun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a call while using the terminal. You will know.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sound processing technology and user's request,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reproduce more rich sound or music in a small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에는 단말기에 2개 이상의 스피커들을 장착하여 3차원 입체음향 효과를 주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입체음향이란 청취자가 음향을 들었을 때 방향성과 거리감을 지각할 있도록 공간정보가 부가된 음향 신호를 말한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분야에서도 3차원 입체음향 효과를 적용하고 있어 보다 현장감(공간정보 및 움직임 정보)이 증대된 음향 신호 재생기술이 요구되고 있고, 3차원 음향효과에 대한 효과적인 제어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는 최근의 가정용 홈 시어터가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고, 각종 오디오 기기 등에서도 멀티 스피커를 사용한 입체적 음향 재생 기능이 각 제품의 성능을 표상하고 있는 경향과 발맞추어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한 음향 재생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를 소비자들이 선택함에 있어 구매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sound effect by mounting two or more speakers in a terminal. The stereoscopic sound refers to an acoustic signal to which spatial information is added so that a listener can perceive a sense of direction and distance when hearing a sound. Recently, in the field of mobile communication, three-dimensional stereophonic effects have been applied, and thus, a more demanding sound signal reproduction technology has been required, and effective control of three-dimensional acoustic effects has been required. In recent years, home theaters have gained popularity, and sound reproduction means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provided in line with the trend that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tion functions using multi-speakers represent various products' performances in various audio devices. In the consumer's choice of the termina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the purchasing power.

그러나, 종래의 단말기는 음원데이터 자체에서 입체음향 재생을 위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는 한 2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이와 같은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줄 만한 수준의 입체음향 재생할 수 없다. 즉, 특수하게 코딩되지 않은 일반 음원데이터의 경우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로 동일한 타이밍에 동일한 음이 출력되기 때문에 입체감을 느낄 수 없다. 만약, 각 음원데이터에 입체음향을 재생시키기 위한 정보를 수록한다면 그 용량이 너무 커져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소형 단말기에서는 데이터를 저장/처리하기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게임이나 영화감상 등을 하는 경우,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듣게 되는데 단일 스피커를 사용한다면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과 사운드의 일치감 없이 단순한 사운드만 출력할 뿐이고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더라도 동일한 타이밍에 동일한 소리를 재생하기 때문에 음향의 공간감과 깊이감을 느낄 수는 없는 단점이 있다. However, a conventional terminal cannot reproduce stereoscopic sound at a level that satisfies the needs of such users even if it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speakers unless the sound source data itself contains information for stereoscopic sound reproduction. That is, in the case of general sound source data that is not specially coded, the same sound is output to the two or more speakers at the same timing, so that a stereoscopic feeling cannot be felt. If information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sound is contained in each sound source data, its capacity becomes so large that there is a problem in storing / processing data in a small termina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when a user plays a game or a movi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ars the sound through a speaker built in the terminal. When using a single speaker, only a simple sound is output without a match between the image and the sound appearing on the screen. Even if the speaker is provided with the same sound at the same tim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you do not feel the sense of space and depth of the sound.

또 한 가지의 문제점은 입체적으로 음향을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피커가 필요하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스피커를 탑재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 같은 소형 단말기는 라우드 스피커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스피커 내장시 스피커가 탑재되는 공간이 그 만큼 더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크기가 갈수록 작아지는 추세에 있으므로, 스피커의 탑재 공간을 무제한으로 늘릴 수는 없다.Another problem is that at least two speakers are requi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produce sound in three dimensions. Therefore, it should be designed to mount two or more speakers. Since a small terminal such as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loudspeaker, when the plurality of speakers are built, more space is needed.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tting smaller, it is not possible to increase the mounting space of the speaker indefinitely.

즉, 이러한 공간적인 한계에 부딪히게 되어 입체 음향을 재생하기 위해 다수의 스피커를 내장해야 하므로 단말기 자체의 부피가 커져야 하는 문제와 함께 기존의 일반 이동통신단말기로서는 입체 음향을 재생하기에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a large number of speakers must be built in order to reproduce three-dimensional sound due to such a space limit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terminal itself must be increased, and there is a structural limitation to reproduce three-dimensional sound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향 재생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에 탑재된 2개 이상의 스피커를 시간차를 두고 구 동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입체적 음향을 느낄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평판 스피커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스피커 탑재에 따른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입체 음향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driving two or more speakers mounted on a terminal equipped with a sound reproducing means with a time difference to allow a terminal user to feel a three-dimensional sou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having a stereo sound reproduction function to a terminal user by overcoming the spatial limitations caused by mounting two or more speakers using a flat panel speak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는, 음원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좌측보조스피커, 우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좌측보조스피커와 상기 우측보조스피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원출력부, 및 3차원 입체음향 구현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음원데이터를 시간차를 두고 상기 좌측보조스피커, 상기 우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중앙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음원재생부를 포함한다.A terminal hav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memory, the left side speaker, the right side speaker, and the center located between the left side speaker and the right side auxiliary speaker A sound source output unit including a speaker, and a sound source playback unit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left sub-speaker, the right sub-speaker, and the center speaker at a time difference to enable the implementation of three-dimensional stereo sound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음향 재생방법은, 좌측보조스피커, 우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좌측보조스피커와 상기 우측보조스피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스피커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3차원 입체음향 구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음원데이터를 시간차를 두고 상기 좌측보조스피커, 상기 우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중앙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reophonic sound re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rminal having a left subsidiary speaker, a right subsidiary speaker, and a center speaker positioned between the left subsidiary speaker and the right subsidiary speaker, storing the sound source data, and 3 And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left subsidiary speaker, the right subsidiary speaker, and the center speaker at a time difference to enable the stereoscopic sou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음향 재생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음향 재생 수단이 구비된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무선랜단말기 등의 이동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음향재생 수단이 구비된 유/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며, 그 명칭에 상관없이 음향 재생 수단이 구 비된 단말기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av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a wireless LAN terminal equipped with a sound reproducing means It includes a wired /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sound reproducing means as well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nd is applicable to any terminal equipped with a sound reproducing means irrespective of its name.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ample.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의 일실시예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aving sound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재생하고자하는 음원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30)와,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가 출력되는 2개 이상의 스피커로 구성된 음원출력부(10)와,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3차원 입체음향효과를 가지도록 시간차를 두고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음원재생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und source output unit comprising a memory 30 for storing sound source data to be reproduced and at least two speakers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30 ( 10) and a sound source playback unit 20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30 through the two or more speakers with a time difference to have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sound effect.

상기 메모리(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재생하고자 하는 음원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음원데이터는 단일화음정보를 가지거나 다중화음정보를 가진 모바일 게임용 사운드 데이터, MP3음악파일, 기타 다양한 포맷을 가진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memory 30 stores sound source data to be reproduc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ound source data includes sound data for mobile games, MP3 music files, and other formats having monophonic information or multiplex information.

상기 메모리(3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거나 이동통신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외장메모리를 포함한다.The memory 30 includes a memory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external memory detachabl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음원출력부(10)는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음원재생부(20)의 스피커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2 이상의 2개 이상의 스피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음원출력부(1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스피커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중앙스피커(13)와, 좌측보조스피커(11)와, 우측보조스피커(1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10 includes two or more two or more speakers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speaker control signal of the sound source playback unit 20 stored in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10 may include a central speaker 13, a left auxiliary speaker 11, and a right auxiliary speaker 12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a speaker is mou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상기 좌측보조스피커(11)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일반적으 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라우드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좌측보조스피커(11)는 일반 오디오 시스템의 좌측 서라운드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left auxiliary speaker 1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be generally implemented as a loudspeaker us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eft auxiliary speaker 11 serves as a left surround speaker of a general audio system.

상기 우측보조스피커(1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우측부에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라우드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우측보조스피커(12)는 일반 오디오 시스템의 우측 서라운드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right auxiliary speaker 12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be generally implemented as a loudspeaker us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ight auxiliary speaker 12 serves as a right surround speaker of a general audio system.

상기 중앙스피커(13)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앙부위에 위치하는 스피커로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도1의 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성통화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외에 따로 입체음향 재생을 위해 구비된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entral speaker 13 is a speaker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omposed of a speaker (4 in Fig. 1) that is output the voice from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speaker that performs the voice call fun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speaker provided for stereoscopic sound reproduction.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입체음향 재생을 위해 음성통화를 위한 스피커 이외에 상기 중앙스피커(13)를 따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중앙스피커(13)는 스피커가 탑재 공간을 줄이기 위해 평판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center speaker 13 in addition to the speaker for the voice call in a preferred embodiment for stereophonic sound reproduction, in this case the center speaker 13 is a flat speaker to reduce the mounting space Can be configured.

상기 평판 스피커는 얇은 판 형태의 스피커로 특히, 투명 평판 스피커의 경우 액정디스플레이, 유기EL디스플레이, PDP등의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에 장착시킬 수 있어 스피커가 탑재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 은 평판 스피커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인데 이를 참고로 하여 일반적인 평판 스피커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평판 스피커는 진동자(100)로서 압전필름(101)을 사용하는데 상기 압전필름은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압전필름의 양쪽에 전극(102a)(102b)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에 신호라 인(103a)(103b)을 형성하여 제어모듈에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진동을 진동판에 전달시켜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전필름에는 일반적으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Polyvinylidene fluoride)가 사용되고, 상기 전극은 금속전극과 투명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lat panel speaker is a thin plate-type speak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ransparent flat speaker,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EL display, and a PDP can be mounted on a display unit where the user can visually check information, thereby saving space i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can do.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at panel speaker. 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a general flat panel speaker, a flat panel speaker uses a piezoelectric film 101 as a vibrator 100. The piezoelectric film converts electrical signals into sound waves. The electrode 102a and 102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iezoelectric film, and the signal lines 103a and 103b are formed on the electrodes and connected to a control module to generate vibrations according to electrical signals.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diaphragm to generate sound wave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is generally used for the piezoelectric film, and the electrode may be a metal electrode and a transparent electrode.

상기 평판 스피커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장착시키는 일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장착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평판 스피커는 투명 평판 스피커를 사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내용이 투과되어 보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투명 평판 스피커는 그 진동폭이 미크론 단위로 매우 작아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위에 장착해도 화면이 떨려 보이지 않으며, 엄지손가락만한 넓이의 사이즈라도 100Hz에서 17KHz 이상 초고역대까지 평탄한 음질재생이 가능해 동일한 크기의 콘타입 스피커보다 훨씬 뛰어난 기능을 착용한다. 투명 평판 스피커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압전필름과 투명전극을 사용한다. One embodiment in which the flat speaker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flat speak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tent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r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flat speaker. Such a transparent flat speaker has a very small vibration width in micron units, and the screen does not shake even when mount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ears much better features than cone-type speakers. The transparent flat panel speaker uses a light transmissive piezoelectric film and a transparent electrode.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좌/우측에 보조스피커(11)(12)가 탑재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앙 액정디스플레이 전면에 중앙스피커(13)로 상기 투명 평판 스피커(13)를 탑재시킨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4 is an auxiliary speaker 11, 12 is mounted on the left / righ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ansparent to the central speaker 13 in front of the central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 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lat panel speaker 13 is mounted.

상기 음원재생부(20)는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 재생시 상기 좌측보조스피커(11)와 우측보조스피커(12)를 먼저 구동시켜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중앙스피커(13)를 구동시켜 시간차에 의한 입체 음향재생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이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의 공간적 깊이감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3차원입체음향을 느끼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20 drives the left subsidiary speaker 11 and the right subsidiary speaker 12 first when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30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passes, the center The speaker 13 is driven to operate three-dimensional sound by time difference. Through this, the spatial depth of the output sound can be implemented to make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eel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sound.

상기 음원재생부(2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MPU(Micro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음원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음향효과의 목적에 맞게 상기 좌측보조스피커(11)를 먼저 구동시킨 후 시간차를 두고 차례적으로 중앙스피커(13) 및 우측보조스피커(12)를 구동시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음향이 지나가는 듯한 효과를 주도록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방향으로 제어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음향이 지나가는 효과를 줄 수도 있다.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20 may be embodied as an MPU (Micro Processing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rst drives the left subsidiary speaker 11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ound effect to be implemented using the sound source data. After the time difference, the two or more speakers may be controlled to sequentially drive the center speaker 13 and the right auxiliary speaker 12 to give an effect of passing sound from left to right. In addition, the control in the opposite direction may have the effect of passing the sound from right to left.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간 구동시 적용되는 시간차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크기와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간의 거리에 따라 각 스피커간 출력된 소리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The time difference applied when the two or more speakers are driven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when the sound output between each speaker reaches the ears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or more speakers. have.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간 구동시 적용되는 시간차를 이동통신단말기와 사용자간의 거리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단말기와 사용자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일 음원에서 출력되는 것처럼 들릴 수 있으므로 좀더 시간차를 크게 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time difference applied when the two or more speakers are driven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That i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increases, the sound may be output from the same sound source, and thus,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with a larger time difference.

상기 음원재생부(20)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를 시간차로 구동시켜 제어할 수 있다.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20 may be controlled by driving the two or more speakers with a time difference in various other form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입체음향 재생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5 는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이나,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입체 음향감을 느끼기 위한 스피커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완벽한 서라운드 입체 음향을 느끼기 위해서는 청취자의 후면에도 스피커가 있어야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스피커로 입체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고려해 보겠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speaker for feeling a stereoscopic sound in a general audio system or a television system. In order to feel perfect surround stereo sound, a speaker must be present at the rear of the listener, but in this embodiment, a system for realizing stereo sound with three speakers will be considered.

이 경우, 좌측 스피커가 중앙 스피커로부터 30~45도 정도 떨어져 있는것이 이상적이다. 각 스피커에서 동일한 음이 재생된다고 가정할 경우, 중앙에 위치한 청취자는 각 스피커의 위치와 거리에 따라서 음의 공간감을 지각하여 입체 음향을 느끼게 된다. 즉, 좌측 스피커에서 청취자의 귀까지의 거리(a)와 중앙 스피커의 청취자의 귀까지의 거리(b)를 비교해 보면 상기 좌측 스피커에서의 거리(a)보다 중앙 스피커에서의 거리(b)가 더 길다. 즉, 소리가 중앙 스피커에서 청취자의 귀에 다다르는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고, 시간적으로 아주 적은 간격의 차이로 인해 입체적 음향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ideal that the left speaker is about 30 to 45 degrees away from the center speaker. Assuming that the same sound is reproduced in each speaker, the listener located at the center senses the spatial sense of the soun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each speaker to feel 3D sound. That is, when comparing the distance (a) from the left speaker to the listener's ear (b) and the distance (b) from the listener's ear to the center speaker, the distance (b) at the center speaker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a) at the left speaker. long. In other words, the longer it takes the sound to reach the listener's ear from the center speaker, the smaller the difference in time can be to recognize the three-dimensional sound.

본 발명의 입체음향 재생방법은 출력하고자 하는 음원데이터를 3차원 입체음향효과를 가지도록 시간차를 두고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동시켜 음원데이터를 재생시키는 것이다.The stereoscopic sound re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by driving the two or more speakers with a time difference so that the sound source data to be output ha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sound effect.

그 일실시예로 음향 재생 수단을 가진 단말기가 좌측보조스피커와 우측보조스피커와 중앙스피커를 구비하고 있다면 상술한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과는 달리, 비록 좌/우측 스피커를 구분하여 탑재하고 있어도 그 거리는 실제 오디오 시스템에 비해 아주 짧고, 또한 청취 각도 또한 상기의 30~45도가 되지 못한다. In one embodiment, if a terminal having sound reproducing means includes a left subsidiary speaker, a right subsidiary speaker, and a center speaker, the distance is actual audio even though the left and right speakers are separately mounted, unlike the general audio system described above. It is very short compared to the system, and the listening angle is also less than 30-45 degree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음원재생부를 사용하여 좌측과 우측의 스피커가 음을 재생하는 것과 중앙의 스피커가 음을 재생하는 것과의 시간지연(Time Delay)을 발생시켜 입체 음향을 재생한다. 즉, 단말기의 좌우에 설치된 스피커를 먼저 구동시켜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단말기의 중앙에 설치된 스피커를 구동시켜 소리의 공간적 깊이감을 느끼도록 동작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to generate a time delay between the left and right speakers to reproduce the sound and the center speaker to reproduce the sound to reproduce the three-dimensional sound. In other words, the speaker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terminal is driven first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terminal is operated to feel the spatial depth of sound.

상기 소정시간은 단말기의 크기와 상기 2개 이상의 스피커간의 거리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보조스피커와 우측보조스피커가 각각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의 음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좌측에서 우측으로 옮겨가듯이 시간차를 두고 스피커를 구동시키거나 소리의 크기를 조정하여 입체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or more speakers. In addition, the left auxiliary speaker and the right auxiliary speaker to control the sound of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et range, respectively, or to control the speaker by moving the time or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with a time difference as if moving from left to right three-dimensional feeling It can be controlled to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terminal hav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the application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Can b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는 단말기에 구비된 2개 이상의 스피커에 의해 단말기 사용자에게 게임이나 동영상 재생 등의 경우에 단순한 소리의 출력이 아니라 화면과 일치하는 공간적 깊이감을 가지는 3차원 입체적 음향을 제공함과 아울러 소비자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The terminal having the sound reproduc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wo or more speakers provided in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user does not simply output the sound in the case of playing a game or a video, but has a spatial depth that matches the screen. In addition to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sound with a sen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purchasing power of consumers.

Claims (8)

음원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A memory in which sound source data is stored; 좌측보조스피커, 우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좌측보조스피커와 상기 우측보조스피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원출력부; 및A sound source output unit including a left sub-speaker, a right sub-speaker, and a center speaker positioned between the left sub-speaker and the right sub-speaker; And 3차원 입체음향 구현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음원데이터를 시간차를 두고 상기 좌측보조스피커, 상기 우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중앙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음원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A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left sub-speaker, the right sub-speaker, and the center speaker so as to realize a 3D stereo sound; Terminal with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중앙스피커는 평판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The center speaker is a terminal having a sound reproduc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speak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중앙스피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장착되며, 투명전극과 진동자를 사용하여 음향을 재생시키는 투명 평판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The center speaker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the terminal having sound reproduc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flat speaker to reproduce the sound using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 vibra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원재생부는, 상기 음원데이터의 재생시, 상기 좌측보조스피커와 상기 우측보조스피커를 먼저 구동시켜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중앙스피커를 구동시켜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The sound source reproducing unit regenerates the sound source data by first driving the left subsidiary speaker and the right subsidiary speaker when the sound source data is reproduced, and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by driving the center speak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terminal comprising sound reproduc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간차는 상기 중앙스피커와, 상기 좌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우측보조스피커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 And the time difference is determined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speaker, the left subsidiary speaker and the right subsidiary speaker. 좌측보조스피커, 우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좌측보조스피커와 상기 우측보조스피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스피커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체음향 재생 방법에 있어서,In the stereophonic sound reproduction method of a terminal having a left subsidiary speaker, a right subsidiary speaker, and a center speaker located between the left subsidiary speaker and the right subsidiary speaker,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Storing sound source data; And 3차원 입체음향 구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음원데이터를 시간차를 두고 상기 좌측보조스피커, 상기 우측보조스피커, 및 상기 중앙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음향 재생방법.And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left subsidiary speaker, the right subsidiary speaker, and the center speaker at a time difference to enable a three-dimensional stereophonic soun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재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좌측보조스피커와 상기 우측보조스피커를 먼저 구동시켜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중앙스피커를 구동시켜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음향 재생 방법.In the reproducing step, the left subsidiary speaker and the right subsidiary speaker are driven first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center speaker is driven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data. .
KR1020050009131A 2005-02-01 2005-02-01 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688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131A KR100688198B1 (en) 2005-02-01 2005-02-01 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131A KR100688198B1 (en) 2005-02-01 2005-02-01 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95A KR20060088295A (en) 2006-08-04
KR100688198B1 true KR100688198B1 (en) 2007-03-02

Family

ID=3717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131A KR100688198B1 (en) 2005-02-01 2005-02-01 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19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30A3 (en) * 2010-03-19 2011-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WO2011139090A3 (en) * 2010-05-04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WO2012082148A1 (en) * 2010-12-17 2012-06-21 Dalwynder Singh Sidhu Circuit device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sou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43B1 (en) * 2006-10-02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Stereo supporting system of potab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54A (en) * 2003-01-22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ving a three-dimensional surround effect in po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54A (en) * 2003-01-22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ving a three-dimensional surround effect in potable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67354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30A3 (en) * 2010-03-19 2011-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CN102812731A (en) * 2010-03-19 2012-12-05 三星电子株式会社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US9113280B2 (en) 2010-03-19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CN102812731B (en) * 2010-03-19 2016-08-03 三星电子株式会社 For the method and apparatus reproducing three dimensional sound
US9622007B2 (en) 2010-03-19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WO2011139090A3 (en) * 2010-05-04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AU2011249150B2 (en) * 2010-05-04 2014-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US9148740B2 (en) 2010-05-04 201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US9749767B2 (en) 2010-05-04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WO2012082148A1 (en) * 2010-12-17 2012-06-21 Dalwynder Singh Sidhu Circuit device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sou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95A (en) 200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237B1 (en)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EP1883268B1 (en) Speaker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958470B1 (en) Audio transducer component
US8718295B2 (en) Headset assembly with recording function for communication
US20040087346A1 (en) Mobile handset and assembly having multi-loudspeaker system
CN212324354U (en) Loud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CA2582473C (en) Acoustic apparatus and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US2007011026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1662605B1 (en) FM transmission antenna device in a portable terminal
CN204810369U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4466097A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sound leakage and sound out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688198B1 (en) terminal for playing 3D-sound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0119032A (en) Speaker device,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speak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device
CN109040384B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alizing stereophonic sound
WO2024037183A1 (en) Audio outpu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9081743A (en) Stereo-speaker arrangement structure of cellphone and method
CN100484161C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ry loudspeaker
CN212278462U (en) Audio module and terminal
KR100442943B1 (en) A speaker apparatus of mobile phone
CN112565495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3259810A (en) Audio module and terminal equipment
CN211457354U (en) Audio module and terminal equipment
KR200396238Y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Four Channel Stereo Game
JP4274361B2 (en) Mobile phone terminal
CN114071337A (en) Audio modu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