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195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195B1
KR100688195B1 KR1020040096530A KR20040096530A KR100688195B1 KR 100688195 B1 KR100688195 B1 KR 100688195B1 KR 1020040096530 A KR1020040096530 A KR 1020040096530A KR 20040096530 A KR20040096530 A KR 20040096530A KR 100688195 B1 KR100688195 B1 KR 10068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57386A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195B1/en
Priority to CNA2005100766878A priority patent/CN1780329A/en
Publication of KR2006005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3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1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에 대하여, 메시지 확인 시,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설정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메시지 수신 여부에 대한 별도의 회신이 불필요하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이 상기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통화 및 메시지 전송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or at least one of a received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upon confirmation of a message, the message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transmission setting.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cluded reply telephone number, so that a separate reply on whether or not the message is received is unnecessary, and the other party who has sent the message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message is received, and thus unnecessary calls and messages.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transmission and improving user convenience.

이동통신 단말기, 메시지 확인신호Mobile terminal, message confirmation signal

Description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and its oper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가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가 도시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si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입력부 20 : 표시부10: key input unit 20: display unit

30 : 통신모듈 40 : 메모리30: communication module 40: memory

50 : 마이컴 51 :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50: micom 51: message confirmation user interface

52 : 킷값처리부 53 : 디스플레이 제어부52: kit value processing unit 53: display control unit

54 : 메시지확인 판단부 55 : 자동송신부54: message confirmation determination unit 55: automatic transmission unit

56 : 확인신호 송신선택부 57 : 수동송신부56: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selection unit 57: manual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은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이 전송한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확인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서 상대방이 불필요하게 전화를 계속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particular, when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rms a message transmitted by the other party, the other party unnecessarily continues the call by transmitting a confirmation signal to the other par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so as not to transmit a messag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종래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메시지 확인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ssage confi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invention as follows.

먼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 등으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및 숫자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화면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2),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와 통신/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3) 및 상기 키입력부(1)와 표시부(2), 통신모듈(3)을 제어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컴(4)으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key input unit 1 consisting of a keypad or the like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letters or numbers, and a liquid crystal in which letters and numbers input by a user are displayed. Control the display unit (2) consisting of a screen, etc., the communication module (3) and the key input unit (1) and the display unit (2), the communication module (3)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t consists of a microcomputer (4) for controlling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 때, 상기 마이컴은 상기 표시부(2)를 통해 메모리(5)에 저장된 문자메시 지를 출력함으로서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음성사서함에 접속함으로서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outputs the text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5 through the display unit 2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received text message, and if the user wants to check the voice message, the voice message is stored. By accessing the voicemail box, the user can listen to the voicemail message.

즉, 키입력부(1)를 통해 입력된 킷값은 킷값처리부(6)를 통해 처리되며,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7) 및 상기 킷값처리부(6)와 연결되는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8)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7)를 통해 상기 표시부(2)에 문자메시지 등이 출력되도록 한다.That is, the kit value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 is processed through the kit value processing unit 6,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7 and the kit value controll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 so that a user can check the message. The message confirmation user interface 8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6 outputs a text message or the like to the display unit 2 through the display control unit 7.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상대방이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상대방은 중요한 연락을 해야 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전화를 하거나 메시지를 남길 수 밖에 없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user checks the message, there is no way for the other party to check the message, and the other party has no choice but to make a continuous call or leave a message.

또한, 메시지를 확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도 문자를 확인한 후 수신여부를 확인시켜 주기 위하여 수동적으로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야 하는데 단순히 수신확인만을 위하여 별도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시키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hecks the message also has to manually send a text message to the other party in order to confirm receipt after confirming the text. There is a problem that adds to the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이 이를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대방이 계속해서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없는 동 시에 사용자도 별도로 상대방에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which is that when the user confirms the message, the other party that sent the message can be automatically confirmed by the other party does not need to continue to send a mess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does not require a user to separately inform the counterpart that a message has been receiv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의 수신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확인된 경우, 메시지 확인신호의 자동전송 또는 수동전송 설정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Receiving at least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message is stored and at least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the reply call included in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or manual transmission setting of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And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the numb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확인되는 단계,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 송신되도록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may include verifying at least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whether the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Determining, and automatically send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a reply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확인되는 단계, 메시지 확인신호가 수동 송신되도록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수동 송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 여부가 설정되는 단계, 메시지 확인신호가 송신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고, 메시지 확인신호가 송신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시지의 확인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may include verifying at least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ther the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is manually transmitted. In the determining step, if it is set to be transmitted manually,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f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set to be transmitted,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ply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If not set, the step of checking the message is termina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2,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문자 또는 숫자 등 각종 명령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0)와, 상기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입력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서비스 관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화면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key input unit 10 including a keypad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various commands such as letters or numbers, and outputs letters or numbers inpu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The display unit 20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check an input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a liquid crystal screen on which a service related screen perform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최근에는 PDA 폰 등의 도입으로 상기 키입력부(10)와 표시부(20)는 터치패드 형식으로 일체형 구현 가능한 바, 본 발명은 이러한 PDA 폰 등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a PDA phone, the key input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20 can be integrally implemented as a touch pa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licable to such a PDA phon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무선통신 함으로써 전화통화가 이루어지게끔 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30)과,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모듈(3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임의에 입력한 전화번호부 목록이나 개인일정 등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communication module 30 for making a telephone call or enabl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base station, and storing various applications necessary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memory 40 that stores data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0 or data related to a phone book list or personal schedule input by the user.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40)는 사용자가 송수신하는 문자메시지가 저장되거나 수신하는 음성메시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부(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만일 사용자가 발신자표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발신번호가 저장되는 발신번호 저장부(42) 역시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the memory 40 further comprises a message storage unit 41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voice message is stored or received text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user, if the user displays the caller The caller ID storage unit 42 is also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aller ID when receiving the ser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동시에 키입력부(10) 및 표시부(20)를 제어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마이컴(50)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바, 전화통화 시 또는 데이터 송수신 시 상기 통신모듈(30)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irst half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riving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40 and at the same time by controlling the key input unit 10 and the display unit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further comprises a microcomputer 50 for controlling the input and output. In particular, the microcomputer 50 controls the input / output of th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ule 30 when the phone call 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마이컴(50)은 사용자가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20)에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키입력부(10)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메시지 입력 화면이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며, 실제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51)를 포함한다.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a text or voice message, the microcomputer 50 displays a screen on which the message can be checked on the display unit 2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message, and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The message input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to enable the input of the message, and actually includes a message confirmation user interface 51 for processing the input signal.

즉,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51)는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마이컴 내부에서 처리가능하도록 변환/처리하는 킷값처리부(52) 및 표시부에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바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53)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20)에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 확인창이나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면 상기 킷값처리부(52)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출력할 메시지를 선택한다.That is, the message confirmation user interface 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splay of the kit value processing unit 52 and the display unit for converting / process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to be processed in the microcomputer. Is connected to the display control unit 53 outputs a message confirmation window or a messag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message on the display unit 20, when the user selects a message to check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kit value processing unit 52 Select the message to be prin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 판단하는 메시지확인 판단부(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만일 상기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51)를 통해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시지확인 판단부(54)와 연결된 자동송신부(55)는 메시지 확인신호가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50)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essage confirmation determination unit 54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confirmed the message, if the user confirms the message through the message confirmation user interface 5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omatic transmission unit 55 is connected to the message confirmation determination unit 54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ule 50 so tha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that sent the text message.

한편,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저장부(41)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문자메시지 송신 시 자동적으로 상대방이 회신받기를 원하는 전화번호가 문자메시지와 함께 저장되는 바, 상기 자동송신부(55)는 문자메시지와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로 상기 메시지 확인신호가 송신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checks the text message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41, when the text message is sent to the phone number that the other party wants to automatically reply with the text message is stored, the automatic transmitter 55 is a text message The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number stored together.

또한, 자동송신부(55)는 사용자에 의해 음성메시지가 확인되는 경우, 음성메시지와 함께 음성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의 회신받기를 원하는 전화번호, 즉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voice message is confirmed by the user, the automatic transmitting unit 55 transmits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a telephone number, that is, a reply telephone number, to which the other party who has sent the voice message is returned, together with the voice message.

즉,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사서함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음성메시지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자동 송신부(55)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부(41)에 저장된 음성메시지와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 즉 회신 전화번호로 상기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 전송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voice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voice mailbox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voice message.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confirms the message, the automatic transmitter 55 automatically transmits the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stored phone number, that is, the reply telephone number, together with the voice message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4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그러나, 음성메시지에 회신 전화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송신부(55)는 상대방의 회신 전화번호를 대신하여 발신번호 저장부(42)에 저장된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However, if the reply message is not included in the voice message, the automatic transmitter 55 allows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caller number stored in the caller ID storage unit 42 in place of the caller's reply phone number.

즉, 상기 자동송신부(55)는 상기 메모리(40)에 구축된 발신번호 저장부(42)에 엑세스함으로서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에 놓친 부재중 통화의 발신번호로 상기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하여, 상대방이 음성메시지를 녹음한 후 회신받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남기지 않은 경우에도 메시지 확인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That is, the automatic transmitter 55 accesses the calling number storage 42 built in the memory 40 so tha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number of the missed call missed at the time when the voice message is received. Even if the other party does not leave the phone number to be answered after recording the voice message,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시지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는 메시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유선전화에도 적용 가능하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the phone number for receiving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is is also applicable to a wired telepho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메시지 확인신호의 전송을 위한 회신 전화번호가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유선전화의 전화번호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 하듯, 유선전화와도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 원리는 동일하며,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When the reply telephone number for transmitting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wired telepho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the message with the wired telephone as well as send and receive messages with the other mobile terminal. The same applies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메시지 확인 시 상대방에게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 전송되도록 설정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의 전송 여부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메시지 확인 신호가 전송되도록 설정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can be set to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when the message is confirmed,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set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Can be set to send.

따라서,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50)은 자동송신부(55) 대신 사용자에게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는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와, 상기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로 사용자가 확인신호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한해 상대방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수동송신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refore, in this case, the microcomputer 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s a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selection unit 56 to select whether to transmit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the user instead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unit 55, and the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selection unit 56. Only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transmit the confirmation signal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nual transmitter 57 for 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signal to the other party.

이때, 상기 자동송신부(55)와 상기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수동송신부(57)는 상호 배타적이거나 의존적인 관계를 가지지 않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도 외부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자동송신부(55)와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 및 수동 송신부(57)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축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송신할 것인지 혹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송신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tomatic transmitter 55 and the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selector 56 / manual transmitter 57 have no mutually exclusive or dependent relationship, and may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the outside with at least one configuration. have. In addition, even if the automatic transmitter 55, the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selector 56, and the manual transmitter 57 are built in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selectively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or optionally, if necessary. You can set whether to send the confirmation sig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가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이다. 상기 화면에서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는 사용자가 확인신호를 송신하기를 원하는지 선택할 수 있고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수동송신부(57)는 상대방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출력한다.3 is a screen that the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selection unit 56 outputs through the display unit 20 when the user wants to selectively transmit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creen, the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selection unit 56 may select whether the user wants to transmit the confirmation signal, and if the user selects the manual transmission unit 57 outputs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the other party.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단계에서 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소정의 통신수단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통화가 시도되어(S1), 제2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통화가 수신되어 통화가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아 부재중 통화로 기록될 수 있다(S2). 이때, 전화통화가 수신되어 연결되면(S3), 제3단계에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발신한 상대방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First, in the first step, a telephone call is attempted by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ans (S1), and in the second step, a telephone call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call is connected or not connected. It may be recorded as a missed call (S2). At this time, when the telephone call is received and connected (S3), in the third step, the user is able to make a voice call with the other party sen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2 단계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제4 단계에서 전화를 건 상대방에 의해 문자 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S4).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신자 번호표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와 같은 부재중 통화에 대하여 제5 단계에서 상대방의 발신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다(S5).If the user does not receive the call in the second step, at least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may be received by the called party in the fourth step (S4). At this tim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the caller ID display service, the calling party number of the other party is stored in the memory in step 5 for the missed call.

한편, 상기 제4 단계에서 상대방에 의해 상기와 같은 메시지가 수신되면(S4), 제6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S6). 이때, 제7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메시지 확인 여부를 판단한다(S7).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as described above is received by the other party in the fourth step (S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s the received message in the sixth step,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message (S6). In this case, the microcompu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message is checked by the user in step 7 (S7).

만일 상기 제7 단계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제8 단계에서 마이컴은 사용자가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S8)하고, 만일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9 단계에서 상기 자동송신부를 통해 메시지 확인신호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즉 상대방이 회신받기를 바라는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한다(S9).If the user checks the text message in the seventh step, in the eighth step, the microcomputer check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so that the user can automatically send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S8). If it is set to be transmitted in step 9 through the automatic transmitter transmits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the phone number tha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that is, the phone number that the other party wants to reply (S9).

그러나, 만일 제8 단계에서 마이컴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수동 전송으로 설정된 경우, 제10 단계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을 선택했는지 확인(S10)하고, 만일 송신을 선택한 경우 제11 단계에서 메시지 확인신호를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전송한다(S11). 이때,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되고, 입력부의 키입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 여부가 선택된다. However, if the microcomputer is set to manual transmiss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n step 8, check whether the user has selected to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n step 10 (S10), and if the transmission is selected. In step 11,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S11). At this time, a guide message for sett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output on the screen, and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by the use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input unit.

한편, 상기 제7 단계에서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제12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은 사용자가 확인한 음성메시지에 상대방이 회신받기 를 바라는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S12)하고, 만일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8 단계로 복귀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checks the voice message in the seventh step, in the twelfth step the microcompu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 phone number that the other party wants to reply to the voice message confirmed by the user includes (S12), If so, the process returns to the eighth step.

그러나, 만일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3 단계에서 사용자가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정했는지 확인한다(S13). 그리고 만일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적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이면, 제14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메시지를 남긴 자가 전화통화를 시도한 번호, 즉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발신번호로 제14 단계에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한다(S14).However, if not included,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has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in step 13 (S13). If the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is set to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in step 1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number to which the person who left the voice message attempted a telephone call, that is, the calling number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time when the voice message was received. In step 14, the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is transmitted (S14).

한편, 사용자가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겠다고 설정한 경우 제15 단계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을 선택했는지 확인(S15), 송신을 선택한 경우 제14 단계로, 송신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제11 단계로 복귀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ets not to send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automatically check whether the user selected to send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n step 15 (S15), if the transmission is selected in step 14, if the transmission is not selected Return to step 11.

또한, 음성메시지를 남긴 상대방의 발신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일 경우 메시지 확인신호는 바로 전송될 수 있으나, 만일 발신번호가 일반 유선전화일 경우 유선전화가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때에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if the caller's number of the other party who left the voice message is th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immediately. A confirmation signal will be available for transmiss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저장된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는 경우, 메시지를 송신한 자에게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메시지 송신자가 상대방의 메시지 수신 여부 확인이 용이하고,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또한 메시지 수신에 대한 별도의 회신이 불필요하므로, 그에 따라 불필요한 통화 및 메시지의 전송을 방지하여 무선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선택의 다양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t least one message of the stored text message and voice message is confirmed by the user, confirms the message to the sender of the message. By sending the signal automatically or manually, it is easy for the message sender to check whether the other party has received the message, and the user who received the message also does not need a separate reply to the messag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calls and messages. Therefore, the waste of radio resources can be prevented, user convenience can be enhanced, and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can be selectively set, thereby providing a variety of selections.

Claims (11)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의 수신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A memory storing information on whether to receive at least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확인된 경우, 메시지 확인신호의 자동전송 또는 수동전송 설정에 따라,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When at least one of the text message and the voice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is confirmed, the communication to transmit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the reply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or manual transmission setting of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om to control the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컴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부 실행 결과 메시지 확인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메시지확인 판단부와; 상기 메시지확인 판단부에서 메시지가 확인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메시지 확인신호를 자동 전송하는 자동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icrocomputer includes a message checking user interface unit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allowing a user to check a message; A message acknowledgmen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message acknowledgment has been made as a result of the message acknowledgment user interface unit; And a message transmitter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ssage is confirmed by the message acknowledgment determin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발신번호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emory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ll numb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ca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자동송신부는 상기 메시지의 회신 전화번호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메시지에 회신 전화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번호 중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의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automatic transmitter determines whether the message includes a reply telephone number, and if the message does not include the reply telephone number, confirms the message by the calling number of the time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alling number stored in the calling number storag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컴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부 실행 결과 메시지 확인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메시지확인 판단부와; 상기 메시지확인 판단부에서 메시지가 확인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신호 송신선택부와;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선택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수동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icrocomputer includes a message checking user interface unit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allowing a user to check a message; A message acknowledgmen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message acknowledgment has been made as a result of the message acknowledgment user interface unit; An acknowledgment signal transmission selection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whether to transmit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when the message acknowledgm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message is confirmed; When the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transmission is select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comprising a manu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reply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발신번호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emory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ll numb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ca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수동송신부는 상기 메시지의 확인신호 전송 설정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메시지에 회신 전화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번호 중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의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anual transmitter determines whether to set the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of the message, and if the message does not include a reply telephone number, confirms the message by the calling number of the time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alling number stored in the calling number storage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확인되는 단계;Checking at least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 전송되도록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set to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reply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메시지에 회신 전화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과 유사한 시간에 수신된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if the message does not include a reply telephone number, transmitting the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called number received at a time similar to the time at which the message was received. Method of operation of the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메시지가 확인되는 단계;Checking at least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메시지 확인신호가 수동 전송되도록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set to be transmitted manually; 수동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 여부가 설정되는 단계;Sett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a message acknowledgment signal when it is set to manual transmission;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회신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고,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시지의 확인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when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set to be transmitted, send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to a reply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message, and when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not set to be transmitted, checking the message. Method of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메시지에 회신 전화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에 수신된 발신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If the message does not include a reply telephone number, the message confirmation signal is further transmitted to the outgoing call number received at the time the message is recei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message confirmation signal How it works.
KR1020040096530A 2004-11-23 2004-11-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6881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30A KR100688195B1 (en) 2004-11-23 2004-11-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NA2005100766878A CN1780329A (en) 2004-11-23 2005-06-1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verifying signals of delivery mess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30A KR100688195B1 (en) 2004-11-23 2004-11-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386A KR20060057386A (en) 2006-05-26
KR100688195B1 true KR100688195B1 (en) 2007-03-02

Family

ID=3677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30A KR100688195B1 (en) 2004-11-23 2004-11-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8195B1 (en)
CN (1) CN178032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279A (en) * 2020-02-06 2021-08-17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37B1 (en) * 2007-10-02 2009-02-24 (주)엠비즈코리아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62898B1 (en) * 2008-03-11 2014-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Read Confirmation Service of Mess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279A (en) * 2020-02-06 2021-08-17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KR102395311B1 (en) * 2020-02-06 2022-05-06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0329A (en) 2006-05-31
KR20060057386A (en)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9978B1 (en) Short message transmission
KR100790128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smitting an auto answer message linked with schedual management function
US20060160530A1 (en) Silent radio communications
KR10068819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350454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nd reflecting a sms message in digital portable phone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9049675A (en) Telephone
KR1005477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larm signal for missed call
KR101462898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Read Confirmation Service of Message
KR10081728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essage blocking of the telephone
KR20020078508A (en) Method of text chatting in a mobile phone
KR100820793B1 (en) Method for remote control mobile terminal
KR100460490B1 (en) SMS telephone system having a remote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648353B1 (en) Method of Immediate Replying in Short Message Service
KR100464557B1 (en) Wireless device which is able to convert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condition
KR100456114B1 (en) CID telephone hav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function of SM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585679B1 (en) Method for serving automatic reply in the mobile terminal
KR101063808B1 (en) How to Display Text Message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94227A (en) Mobil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68118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last call log and method thereof
KR100518170B1 (en) SMS telephone system having a SMS message individual transfer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50072982A (en) Method for furnishing transmitters with receivers&#39; conditions information service
KR100638463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e-alarm
KR100518175B1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having a function for receiving and transferring selectively a voice messag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6004694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