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886B1 -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886B1
KR100687886B1 KR1020050131219A KR20050131219A KR100687886B1 KR 100687886 B1 KR100687886 B1 KR 100687886B1 KR 1020050131219 A KR1020050131219 A KR 1020050131219A KR 20050131219 A KR20050131219 A KR 20050131219A KR 100687886 B1 KR100687886 B1 KR 10068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window
key
user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5013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886B1/ko
Priority to EP06127195.3A priority patent/EP1804487B1/en
Priority to US11/646,722 priority patent/US2007015083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팝업창 관리방법은 복수의 팝업창에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팝업창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팝업창 관리방법은 a) 텔레비전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팝업창에 우선순위(priority)와 키핸들러를 미리 할당하는 단계, b) 현재 수행되어야 할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팝업창을 받아갈 때, 상기 팝업창에 할당된 우선순위와 키핸들러를 등록하는 단계, 및 c) 텔레비전 화면에 둘 이상의 팝업창이 제공된 상태에서 입력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이 수신될 때,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팝업창의 키핸들러를 호출하고, 호출된 키핸들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창 관리 방법은 제한된 입력을 수용하는 텔레비전 환경에서 다양한 팝업창이 사용자 화면에 제공될 때,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의 처리권한, 레이어링 및 포커스 처리 문제를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 방법{METHOD FOR THE MANAGEMENT OF POP UP WINDOWS DISPLAYED ON USER SCREEN IN TELEVISION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복수의 팝업창에 우선순위와 키핸들러가 설정된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 방법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여기서 (a)는 예약시간의 도래에 의해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b)는 프로그램 시청예약 팝업창(100m)과 더불어 PIN 코드의 입력을 프롬프트하는 팝업창(100k)이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때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는 복수의 팝업창 각각에 우선순위와 키핸들러의 설정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팝업창 관리 테이블이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단말에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순화는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단순화를 위해, 팝업창(pop-up window)이 광범위하게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팝업창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다수개의 팝업창이 생성되기도 하고, 때때로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팝업창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컴퓨터 환경에서, 다양한 플랫폼 및 사용자 단말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복합적으로 서로 다르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컴퓨터환경에서, 입력디바이스로서 마우스 및 키보드가 통상 함께 사용된다. 따라서, 복수의 팝업창이 생성되어도, 마우스를 이용하여 특정 팝업창으로 포커스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팝업창에만 사용자의 키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환경에서의 팝업창 관리방법과 관련해서는, 미국특허 제6,231,971호 및 이의 인용문헌을 참조하기 바란다. 그러나, TV 환경에서는 마우스와 키보드는 일반화되어 있지 아니하다. 반면에, 리모컨에 의해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고 있다. 상기 리모컨에는 최소한의 입력 이벤트들이 정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4개의 색상키들과, 4개의 방향키들과, 0 내지 9의 숫자키들과 확인(OK)키 등이 정의되어 있다. 이것은 한정된 사용자 상호작용을 허용한다. 때때로, 리모컨이라는 입력 디바이스의 특성상, 특정 팝업창으로 포커스를 변경시키는 것마저도 그 구현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TV 환경에서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 해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복수의 팝업창이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이들 팝업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TV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제공되는 종래의 관리방법은 런타임에 키입력의 상호충돌을 해소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런타임에 키입력의 상호충돌을 해소하는 방식은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통하여 상호충돌을 해소하는데,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수개의 팝업창을 만들어 낼 때, 이들 팝업창의 래이어링 및 포커스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쉽지 아니하였다. 구체적으로, 런타임 방식에서, 팝업창 상호간의 조율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기본적으로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띄우려는 팝업인가" 밖에 없고, 행동의 결과는 개개 어플리케이션의 의사 표현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팝업창 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우선 순위가 높은 팝업부터, 우선 순위가 낮은 팝업까지 복수개의 팝업을 만들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정보만으로 팝업창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개개 어플리케이션이 어떤 의사 표현을 하고 있는지를 미처 검증하지 못하고 이미 전개(deploy)되었을 때,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가령, 기존에는 "스마트카드를 입력하라" 는 팝업창이 다른 팝업의 키 양도 요청을 거절하였고, 이것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는데, 나중에 "호우경보가 발효되었습니다" 라는 위험상황 알림 팝업창이 무조건 더 위에 보여져야 하고, 추가가 되었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테스트시에 팝업창이 겹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모두다 확인하기도 쉽지가 않다. 따라서, 런타임에서의 팝업창 관리는, 어플리케이션이 새롭게 추가가 되었을 때, 다른 어플리케이션들도 추가로 수정이 일어나야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의 효과적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팝업창 관리 방법은 런-타임(run-time)에 상호충돌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타임(design time)에 래이어링 및 포커스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창 관리방법은 팝업창별로 할당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모든 상황을 직접 테스트해 보지 않아도, 디자인 타임에 쉽게 팝업창의 우선순위를 쉽게 확인할 수가 있고, 새로운 팝업창이 할당이 되어도, 기존의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새로운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것으로 간단히 추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창 관리 방법은, 복수의 팝업창 각각에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팝업창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a) 텔레비전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팝업창에 우선순위(priority)와 키핸들러를 미리 할당하는 단계, b) 현재 수행되어야 할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팝업창을 받아갈 때, 상기 팝업창에 할당된 우선순위와 키핸들러를 등록하는 단계, 및 c) 텔레비전 화면에 둘 이상의 팝업창이 제공된 상태에서 입력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이 수신될 때, 보다 높은 우선순위 를 가진 팝업창의 키핸들러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키핸들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TV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b)의 수행과 동반하여,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의 관리 하에,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할 복수의 팝업창의 레이어링이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팝업창(pop-up window)"이라 함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벤트의 진행이 요구될 때, 상기 이벤트의 진행을 위해 요청되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프롬프트하는 창을 말한다. 이들 팝업창은 전체 스크린으로 표현되거나, 상기 스크린의 일부로 표현될 수 있다. 이들은 통상 직사각형 형태로 표현되고, 경계선 영역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을 요구하지 아니하고,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예를 들면, 현재 프로그램 "XXX"의 녹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와 같이 단순히 진행상태를 안내하는 팝업창)은 다른 팝업창과의 관계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한 상호충돌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이들에게는 키핸들러가 부여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 "우선순위"라 함은 하나의 팝업창과 다른 팝업창의 순위를 결정하는 값을 의미한다. 이들 우선순위는 숫자로 표현되거나 알파벳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우선순위는 숫자로 표현되었 다. 그리고, 숫자값이 높을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키핸들러"라 함은, 이것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의 처리패턴이 정의되는 함수를 말한다. 예를 들면, 특정 팝업창이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을 자신이 소비(consume)할 것인지 또는 바이패스(bypass)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함수를 말한다. 이 때, 소비(consume)하는 것은 키입력을 받아들이는 것(accept)과 키입력과 무시하는 것(ignore)이 둘 다 포함될 수 있다. 이들 "키핸들러"는 해당 팝업창의 종류, 요구되는 키입력의 종류, 함께 디스플레이될 팝업창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user interface manager, 또는 간단히 "UImanager")"라 함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주체를 말하며, 이것은 통상 미들웨어의 일부분으로서 포함된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로부터, 특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되는 팝업창을 받아가고, 팝업창의 사용자 화면상의 위치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에 의해 관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매니저는 우선순위와 키핸들러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등록받고, 이를 관리한다.
본 명세서에서, "미들웨어"라 함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의 사이에서,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을 분리시키는 소프트웨어 레이어(software layer)를 말한다. 따라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하드웨어 또는 운영시스템과 독립된 채, 수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복수의 팝업창에 우선순위와 키핸들러가 설정된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팝업창에 우선순위가 할당되고 키핸들러가 설정된다(S100). 도 2를 참조하면, 팝업창 "A"(100a)는 우선순위 "10"을 갖고, 팝업창 "B"(100b)는 우선순위 "20"을 갖는다. 이해의 편의로 위해, 본 명세서에서, 보다 높은 숫자를 갖는 팝업창이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따라서, 팝업창 "B"(100b)가 팝업창 "A"(100a)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더 나아가, 팝업창 "C"(100c) "D"(100d), "N"(100n)에도, 각각 "30", "40" 및 "50"의 우선순위가 할당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팝업창들(100a 내지 100n, 통합하여 "100")에 각각 키핸들러가 정의되어 있다. 이들 키핸들러는, 입력디바이스(통상,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이 수신될 때, 각각의 팝업창(100)이 입력된 키값을 자신이 받아들여 처리할 것인지, 바이패스(bypass)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것인지, 또는 무시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팝업창 "A"(100a), "B"(100b) 및 "C"(100c)가 사용자 화면에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여기서, 팝업창 "A"(100a), "B"(100b) 및 "C"(100c)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거나, 둘 이상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상기 팝업창 "A"(100a) 및 "B"(100b)는 애플리케이션 A에 사용되는 팝업창을 의미하고, 팝업창 "C"(100c) 및 "D"(100d)는 애플리케이션 B에 의해 사용되는 팝업창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A에 의해, 이벤트 "A" 및 이벤트 "B"가 발생하고, 애플리케이션 B에 의해 이벤트 "C"가 발생한 경우, 이들 이벤트들의 발생과 동반하여, 팝업창 "A"(100a), "B"(100b) 및 "C"(100c)가 사용자인터페이스관리자로부터 순차 또는 동시에 제공될 것이다.
이 때, 현재 수행되어야 할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팝업창을 받아갈 때, 상기 팝업창에 할당된 우선순위와 키핸들러를 등록한다(S200). 상기 예에서, 팝업창 "A"(100a), "B"(100b) 및 "C"(100c)의 팝업창 "A"(100a), "B"(100b) 및 "C"(100c)의 우선순위 "10", "20" 및 "30"과, 키핸들러 "aaa", "bbb" 및 "ccc"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인터페이스메니저에, 등록된다.
둘 이상의 팝업창이 사용자 화면에 제공된 상태에서, 입력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이 수신될 때(S300), 수신된 키입력은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팝업창의 키핸들러를 호출하고(400), 이것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이 처리된다(S500). 다시 말해,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팝업창에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을 소비할 수 있는 우선적 권리가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팝업창 "A"(100a), "B"(100b) 및 "C"(100c)가 사용자 화면에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이 수신될 때,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팝업창 "C"(100c)가 상기 키입력을 소비하고, 상기 팝업창의 키핸들러 "ccc"에 기초하여, 상기 키입력을 처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키핸들러 "ccc"은, "숫자입력 --> 자신이 받아들임{accepted}, 채널업다운키, 파워키 --> 바이패스(bypassed), 다른 키 --> 무시(ignored)"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로부터 숫자값이 입력되면, 키핸들러 "ccc"에 의해, 입력값이 받아들여진다. 다시 말해, 팝업창 "C"(100c)에 의해 키입력값이 받아들여지고, 키입력값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수 없도록 블로킹되고, 사용자의 키입력이 소비된다. 이에 반해, 채널업다운키 또는 파워키가 눌러지면, 수신된 입력값을 바이패스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하고, 상기 채널업다운 또는 파워오프 이벤트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채널업다운 또는 파워오프가 수행한다. 다른 키를 입력하면, 입력값을 무시한다. 한편, 상기 S300의 판단결과, 단지 하나의 팝업창이 사용자 화면에 제시된 상태에서 수신된 경우, 해당 팝업창의 키핸들러가 호출되고(S600), 이것에 의해 사용자 키입력이 처리된다(S500).
본 발명에 따른 팝업창 관리방법의 구체적 예는 다음과 같다. 특정 프로그램의 시청을 예약하여 둔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시청에 대한 예약시간이 도래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러한 예약시간의 도래에 의해, 사용자에게 해당 프로그램으로 이동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이 생성되어 사용자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도 3(a)는 예약시간의 도래에 의해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창(100m)은 예약채널로의 이동을 명령하는 키입력을 프롬프트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도 4의 팝업창 관리 테이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그램 예약 팝업창(100m)에는 우선순위 "20"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키핸들러로서, "확인키 및 취소키 --> 자신이 받아들임, 채널업다운키, 파워키 --> 바이패스, 다른 키입력 --> 무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팝업창은 리모컨의 확인키의 입력은 상기 키입력을 받아들여 예약채널로 이동하고, 취소키의 입력에 의해 팝업창이 비활성화될 것이다. 그리고, 채널업다운키 또는 파워키가 눌러지면, 수신된 입력값을 바이패스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하고, 상기 채널업다운 또는 파워오프 이벤트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채널업다운 또는 파워오프가 수행한다. 다른 키를 입력하면, 입력값을 무시한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예약 팝업창(100m)이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디바이스를 조작하여 "채널업키(CH+)"을 눌렀다고 가정해보자. 이럴 경우, 사용자의 키입력(CH+)은 상기 프로그램 예약 팝업창(100m)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CH+)은 다른 애플리케이션("TV 시청 애플리케이션(WatchTV application)")에 의해 공유되고, 상기 TV 시청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다음 채널(next channel)로 이동하는 이벤트가 수행된다. 이 때, 다음 채널이 등급제한 등으로 인해 부모제어(parental control) 채널인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시청예약 팝업창(100m)과 더불어, PIN 코드(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code)의 입력을 프롬프트하는 팝업창(100k)이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도 3(b)는 프로그램 시청예약 팝업창(100m)과 더불어 PIN 코드의 입력을 프롬프트하는 팝업창(100k)이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때의 구체예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의 팝업창 관리 테이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은 우선순위 "30"이 할당되고, 키핸들러로서, "숫자입력 --> 자신이 받아들임, 채널업다운키, 파워키 --> 바이패스, 다른 키 입력 --> 무시"로 정의되어 있다.
두개의 팝업창, 프로그램 시청예약 팝업창(100m)과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이 사용자 화면에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키입력이 수행되면,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이 사용자 키입력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숫자키의 입력과 연이은 "OK"키가 눌러지면, 상기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의 키핸들러가 호출되고, 상기 키핸들러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값이 우선적으로 처리된다.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은 숫자입력은 "자신이 받아들임(accepted)"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값은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그 후, 미리 설정된 PIN 코드와의 비교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값이 미리 설정된 PIN 코드와 일치하면, 부모제어(parental control)를 해제하고, 해당 채널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은 화면상에서 사라진다. 반면에, 사용자의 입력값이 미리 설정된 PIN 코드와 일치하면, 에러메시지와 함께, PIN 코드의 재입력을 프롬프트하는 팝업창(미도시)이 상기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을 대체하여 제공된다.
이 때, 두개의 팝업창, 프로그램 시청예약 팝업창(100m)과 PIN 코드 입력 팝업창(100k)의 화면상의 배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UImanager)에 의해 관리된다. 비록 도 3(b)에서는 두개의 팝업창(100m, 100k)이 일부 중첩(partically overlapped)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것은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때때로, 완전히 오버랩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팝업창이 사용자 화면에 제공될 때,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UImanager)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팝업창부터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팝업창으로 레이어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팝업창의 레이어 순서도 우선순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창 관리 방법은 다음의 이점을 제공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팝업창 관리 방법은 복수의 팝업창이 활성화될 때, 레이어링 및 포커스 문제를 디자인 타임에 해결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부모 제어(Parental control)를 위한 PIN 코드 팝업창과, 스마트카드 에러 팝업창이 함께 활성화되어 있을 때, 어떤 팝업창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을 디자인 타임에서 살피고 결정할 수 있게 한다.
(2) 기존의 런타임에 상호충돌을 해소하던 방식은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통해 상호충돌을 해소한다. 그러나,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만드는 여러 팝업창들의 다양한 우선순위를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창 관리방법은 팝업창마다 우선순위가 미리 할당되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아니한다.
(3) 사용자의 키입력이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팝업창에 의해 소비되고, 소비된 경우 키입력은 사용자 이벤트로 사용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기존의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전혀 수정하지 않고도, 효율적인 팝업창 관리가 수행된다.

Claims (4)

  1.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복수의 팝업창 각각의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둘 이상의 팝업창이 사용자 화면에 제공될 때,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팝업창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창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a) 텔레비전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팝업창에 우선순위(priority)와 키핸들러를 미리 할당하는 단계,
    b) 현재 수행되어야 할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팝업창을 받아갈 때, 상기 팝업창에 할당된 우선순위와 키핸들러를 등록하는 단계, 및
    c) 텔레비전 화면에 둘 이상의 팝업창이 제공된 상태에서 입력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이 수신될 때,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팝업창의 키핸들러를 호출하고, 호출된 키핸들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와 동반하여,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의 관리 하에,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야할 복수의 팝업창의 레이어링이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우선순위와 키핸들러의 등록이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매니저에 행해지는,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 관리방법.
KR1020050131219A 2005-12-28 2005-12-28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관리 방법 KR100687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219A KR100687886B1 (ko) 2005-12-28 2005-12-28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관리 방법
EP06127195.3A EP1804487B1 (en) 2005-12-28 2006-12-27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pop up windows displayed on user screen in television environment
US11/646,722 US20070150833A1 (en) 2005-12-28 2006-12-28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pop up windows displayed on user screen in television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219A KR100687886B1 (ko) 2005-12-28 2005-12-28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886B1 true KR100687886B1 (ko) 2007-02-27

Family

ID=3787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219A KR100687886B1 (ko) 2005-12-28 2005-12-28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150833A1 (ko)
EP (1) EP1804487B1 (ko)
KR (1) KR100687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049B1 (ko) * 2010-05-13 2017-09-28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맞춤식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유저 도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0918B2 (ja) * 2006-02-13 2008-08-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ウィンドウの表示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7890972B2 (en) * 2006-09-06 2011-02-15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nic program guid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90049500A1 (en) * 2007-08-01 2009-02-19 Hiroshi Aoki Receiving device
JP5454405B2 (ja) * 2010-07-21 2014-03-26 ヤマハ株式会社 音響調整卓
US20120331389A1 (en) * 2011-06-22 2012-12-27 Google Inc. Download area management
CN104571781B (zh) * 2013-10-18 2018-01-26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安卓系统中多应用窗口显示方法和窗口管理装置
US10348656B2 (en) * 2015-02-06 2019-07-09 Jamdeo Canada Ltd.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 device notifications and key handling
US9652220B2 (en) 2015-05-11 2017-05-16 Sap Portals Israel Ltd. Zero down-time deployment of new application versions
CN106101837B (zh) * 2016-07-15 2019-07-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Linux智能电视的多应用按键分发和处理的方法
US10743057B2 (en) 2018-11-23 2020-08-11 Sony Corporation Broadcaster application remote control key handl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6673A (ja) 1986-05-26 1987-12-01 Toshiba Corp マルチウインドウ表示装置
US5619274A (en) * 1990-09-10 1997-04-08 Starsight Telecast, Inc. Television schedul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utilization system and process
KR0167116B1 (ko) 1991-07-26 1999-03-20 마이클 에이치. 모리스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메모리 제공방법 및 장치
US5250929A (en) * 1991-07-29 1993-10-05 Conference Communications, Inc. Interactive overlay-driven computer display system
DE69523593T2 (de) * 1994-06-17 2002-09-26 Intel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teilung der anwendung in einer graphischen benutzerschnittstelle
US6160554A (en) 1998-03-19 2000-12-12 Hewlett Packard Company Computer file content preview window
BR0004701A (pt) * 1999-02-08 2000-12-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ocesso para exibir um guia de programa eletrônico, e, aparelho para receber uma pluralidade de programas
CN1475081A (zh) * 2000-10-11 2004-02-11 联合视频制品公司 补充按需式媒体的系统和方法
DE60320570T2 (de) * 2002-10-03 2009-06-04 Panasonic Corp., Kadoma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tastaturereignissen
US7380218B2 (en) * 2003-03-27 2008-05-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ndows
US7653693B2 (en) * 2003-09-05 2010-01-26 Aol Llc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instant messages
US20050119935A1 (en) * 2003-12-01 2005-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splay of unsolicited instant web advertisements
US7376911B2 (en) * 2004-05-20 2008-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creen focus for files and applications during presenta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u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049B1 (ko) * 2010-05-13 2017-09-28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맞춤식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위한 유저 도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4487A1 (en) 2007-07-04
EP1804487B1 (en) 2016-12-07
US20070150833A1 (en)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886B1 (ko) 텔레비전 환경에서 사용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팝업창관리 방법
US8627217B2 (en) Window display system, window display method, program development support device, and server device
US10399816B2 (en) Elevator system
KR20220011063A (ko) 서버 리소스 할당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US9430053B2 (en) Multi-hardware-system data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thereof
US201402827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in multi-tuner devices and systems
US7861023B2 (en) Multiuser KVM switch
US8332874B2 (en) Application executing terminal
CN105117320B (zh) 在电子终端中管理应用的方法及其电子终端
CN105867797A (zh) 对触摸屏上的虚拟按键的控制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EP19653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program
JP497120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992958B (zh) 一种多窗口同屏互动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06445647A (zh) 多开应用的数据操作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1090866A (zh) 应用权限管理方法、移动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96580A (zh) 显示设备及用户界面的控制方法
US9522805B2 (en) Elevator system fixtures and server for controlling the fixtures
TW201331839A (zh) 電視系統及其應用程式管理方法
CN111913707B (zh) 运行进程的复用方法和装置
CN113867585A (zh) 界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5229604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JP5861708B2 (ja) 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7291512B (zh) 应用程序多开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2024032550A (ja) 設定装置、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055840A1 (en) Method for managing the shared resources of a computer system, a module for supervising the implementation of same and a computer system having one such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