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580B1 - Cap with vintage on crown - Google Patents

Cap with vintage on crow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580B1
KR100686580B1 KR1020060032028A KR20060032028A KR100686580B1 KR 100686580 B1 KR100686580 B1 KR 100686580B1 KR 1020060032028 A KR1020060032028 A KR 1020060032028A KR 20060032028 A KR20060032028 A KR 20060032028A KR 100686580 B1 KR100686580 B1 KR 10068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lining member
sewing
lining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오승
Original Assignee
(주)청림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림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청림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6003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5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5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A cap with a vintage style on a crown is provided to improve beauty sensation due to exposure of a different color or fabric by applying a vintage style to a stitch sewing part that respective crown members are integrally sewed each other. The cap with a vintage style includes: a first lining member positioned inside a crown member; a second lining member overlapped on the first lining member within a crown(1); a button installed on the center that all of the first and second lining member cross; first sewing lines sewed for coupling the adjacent crown members, and having at least one opening area(50) formed with a regular length and exposing the first lining member; second sewing lin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wing lines and sewed on the first lining member, second lining member, and crown member; and third sewing lines sewed on the first lining member, second lining member, and crown member inside the crown.

Description

빈티지 처리된 모자{CAP WITH VINTAGE ON CROWN}Vintage Hat {CAP WITH VINTAGE ON CROWN}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모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general hat configuration.

도 3(a)는 일반적인 모자 크라운의 봉제부위의 이중 스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크라운 내부에서의 도 3(a)의 봉제부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uble stitch configuration of the sewing portion of the general hat crown. Figure 3 (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wing portion of Figure 3 (a) inside the crown.

도 4는 본 발명의 봉제부위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sew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봉제부위의 크라운 외부에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a)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utside the crown of the sew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c)는 본 발명의 봉제부위의 크라운 내부에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c)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side the crown of the sew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와 도 5(c) 사이에서의 봉제부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b)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wing portion between Figs. 5 (a) and 5 (c).

도 6(a)는 도 5(a)의 일례에서의 제 1 봉제선이 절개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소정의 개방영역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seam line in the example of FIG. 5 (a) is cut. 6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open area is formed.

도 7은 도 6(b)의 개방영역에 빈티지 처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vintage process state in the open area of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크라운 2 : 챙1: crown 2: visor

3 : 단추 4 : 모자 후면 개방부3: button 4: hat back opening

5 : 사이즈 조절끈 6 : 사이즈 조절 고정수단5: size adjustment strap 6: size adjustment fixing means

7 : 스티치 봉제영역 8 : 제 1 봉제선7: stitch sewing area 8: first seam

9 : 제 2 봉제선 10 : 안감9: second seam 10: lining

11 : 제 3 봉제선11: third seam

20 : 제 1 안감부재20: first lining member

30 : 크라운 부재30: crown member

31 : 제 1 봉제선31: the first seam

32 : 제 2 봉제선32: the second seam

40 : 제 2 안감부재40: second lining member

41 : 제 3 봉제선41: the third seam

50 : 개방 영역50: open area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돋구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첨언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indicate that they are exemplified as a reference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d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은 모자(CAP)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빈티지 패션 기법을 모자에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implementing vintage fashion techniques on the cap.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모자(CAP)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모자는 크라운(1)과 챙(2)이 봉제 되어 이루어지며, 크라운(1)은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고, 챙(2)은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크라운(1)은 하단은 거의 원형의 원주로 이루어지며, 그 원주의 연장선상에서 크라운(1)과 챙(2)이 봉제 된다. 또한, 크라운(1)을 6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6개의 봉제 부위는 이중 스티치로 이루어지며, 모자에 소정의 형상 지지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하였을 때 균형잡힌 모습이 되도록 만들어준다. 6개의 봉제부위는 가운데에는 제 1 봉제선(8)이 있고, 이 제 1 봉제선(8)을 중심으로 대략 4-5mm 떨어진 양 위치에 제 2 봉제선(9)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봉제 부위가 맨 위로 모이는 위치에 단추(3)가 형성된다.1 and 2 show the structure of a general cap (CAP). As shown in Figure 1, in general, the hat is made of a crown (1) and the visor (2) is sewn, the crown (1) accommodates the user's head, the visor (2) to block the sunlight The lower end of the crown 1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circular circumference, and the crown 1 and the visor 2 are sewn on an extension line of the circumference. In addition, the six sewing areas for dividing the crown (1) into six areas is made of a double stitch, providing a predetermined shape support to the hat to make a balanced appearance when the user wears the hat. The six seams have a first seam line 8 at the center thereof, and second seam lines 9 are formed at both positions about 4-5 mm apart from the first seam line 8. And the button 3 is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this sewing part gathers to the top.

도 2는 모자의 배면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모자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뒷머리를 노출시키는 반원형의 개방부(4)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사이즈 조절끈(5) 및 그 사이즈 조절끈(5)의 조절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6)이 구비된다.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back of the hat. The back of the hat is formed with a semi-circular opening (4) for exposing the user's back, size adjustment strap (5) and the adjustment position of the size adjustment strap (5) that can be adjusted to fit the size of the user's head Fixing means 6 for securing are provided.

도 3(a)는 외부 크라운(1)의 어느 한 봉제부위의 이중 스티치 구조를 개략적 으로 나타낸다. 각각 분할되는 모자 크라운(1) 영역들은 제 1 봉제선(8)에 의해 상호 봉제되며, 그 제 1 봉제선(8)을 중심으로 대략 4-5mm 떨어진 위치에 양쪽으로 제 2 봉제선(9)이 형성된다. 제 2 봉제선(9)은 내부 크라운(1´)의 봉제부위 안감을 함께 봉제한다. 스티치 봉제영역(7)과 외부 크라운(1)의 재질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다. 한편, 도 3(b)는 내부 크라운(1´)의 봉제부위의 이중 스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외부의 제 1 봉제선(8) 및 제 2 봉제선(9)에 대응하는 내부 위치에는 안감(10)을 별도로 대고, 대략 10mm의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제 3 봉제선(11)에 의해 그 안감(10)을 내부 크라운(1´)에 봉제한다. 이 안감(10), 안감(10)과 크라운(1)과의 봉제, 단추(3) 등의 구성에 의해 모자가 전체적으로 균형잡히게 되며, 착용시에 모자의 형상을 유지해 준다. 그리고 그 안감(10)은 재질적 특성은 색깔이나 소재 등에서 크라운(1)의 그것과 차이를 가질 수 있다.Figure 3 (a) schematically shows the double stitch structure of any one sewing portion of the outer crown (1). Each of the divided hat crowns 1 regions are sewn together by the first seam 8, and the second seam 9 is formed on both sides at positions approximately 4-5 mm apart from the first seam 8, respectively. . The second seam 9 sews the lining of the sewing portion of the inner crown 1 'togeth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stitch sewing area 7 and the outer crown 1. On the other hand, Figure 3 (b) schematically shows a double stitch structure of the sewing portion of the inner crown (1 '). The lining 10 is separately applied to an inn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first seam 8 and the second seam 9, and the lining 10 is formed by the third seam 11 with a spacing of approximately 10 mm. ) Is sewn into the inner crown (1´). The cap 10 is generally balanc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lining 10, the lining 10 and the crown 1, the button 3, and maintains the shape of the cap when worn. The lining 10 may have a material proper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rown 1 in color or material.

옷 끝이 닳아 실밥이 터져 나온 바지나 구멍이 숭숭 뚫린 셔츠, 오래 입어 색이 바랜 옷 등 중고 의상을 가리키거나 또는 이러한 중고 의상을 즐겨 입는 경향 및 풍조를 빈티지 패션이라 부른다. 모자도 패션 수단이기 때문에 빈티지 패션이 구현될 필요가 있으나, 이상에서 설명한 모자의 기본 구조를 유지하면서, 빈티지 기법을 적용하려면, 모자의 일부분을 일부러 칼로 뜯어내는 방법과, 크라운에 별도의 천을 위에서 붙인 다음에 실밥을 터뜨리는 방법을 생각할 수는 있으나, 2가지 방법 모두 공업적 생산성이 없으며, 기획성도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뜯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머리가 그대로 노출돼버려 모자의 기밀성이 훼손된다. The trends and trends of wearing worn-out clothes, such as worn-out pants, perforated shirts, worn-out clothes, or faded clothing are called vintage fashion. Since hats are also a fashion tool, vintage fashion needs to be realized.However, to maintain the basic structure of the hats described above, to apply the vintage technique, a part of the hat is deliberately torn off with a knife, and a separate cloth is attached to the crown. Next, you can think of how to burst the seams, but both methods have a problem that there is no industrial productivity, nor planning. In addition, the user's head is exposed to the torn parts, thereby impairing the confidentiality of the hat.

본 발명은 모자에 빈티지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apply vintage techniques to hats.

본 발명의 목적은 빈티지 기법을 모자에 적용함에 있어, 빈티지 특유의 실밥이 터져 나오는 구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모자의 기밀성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vintage technique to the hat, while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hat as possible while making the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unique seams burs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자의 스티치 봉제부위에 빈티지 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크라운(1)의 색상 및 외부 봉제부위의 재질 또는 색상에 차이를 두어 빈티지 특성이 더욱 두드러지게 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vintage technique to the stitch sewing portion of the hat, the difference in the material or color of the crown and the outer sewing portion of the vintage (1) to make the vintage characteristics more prominent.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라운과 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자(CAP)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에 지지력을 제공하며, 크라운을 6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6개의 스티치 봉제 부위로서, 상기 크라운의 내부의 상기 스티치 봉제 부위에 위치하는 제 1 안감부재; 상기 크라운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안감부재에 위에 덧붙여지는 제 2 안감부재; 상기 제 1 안감부재 및 상기 제 2 안감부재가 모두 교차하는 중앙에 설치되는 단추; 상기 6개의 스티치 봉제 부위의 외부 중앙을 각각 가로지르며 인접한 크라운을 봉제하는 제 1 봉제선들로서, 상기 제 1 봉제선의 1개 이상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개방영역을 가지는 제 1 봉제선들; 상기 제 1 봉제선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감부재 및 상기 제 2 안감부재를 상기 크라운과 함께 봉제하는 제 2 봉제선들; 및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p (CAP) comprising a crown and a visor, providing a support force to the crown, and the six stitch sewing sites for dividing the crown into six areas, A first lining member positioned at the stitch sewing portion inside the crown; A second lining member attached to the first lining member in the crown; A button installed at a center where both the first lining member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cross each other; First seams crossing each of the outer centers of the six stitch seams and sewing adjacent crowns, at least one of the first seams having a constant length of open area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econd seam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am, and sewing the first lining member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together with the crown; And

상기 크라운 내부에서 상기 스티치 봉제 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안감부재 및 상기 제 2 안감부재를 상기 크라운과 함께 봉제하는 제 3 봉제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제 1 봉제선의 봉제실이 일정한 길이로 뜯어짐으로써 형성되며, 뜯어진 부위의 양쪽 단부의 실을 풀어지도록 하고,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안감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ird sewing lines sewing the first lining member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together with the crown in the stitch sewing portion in the crown, wherein the open area includes a sewing thread of the first sewing line. It is formed by tear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loosen the seals at both ends of the tor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ining member is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안감부재와 상기 제 2 안감부재는 재질 또는 색상이 상이한 것이 좋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first lining member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may be different in material or color.

또한, 상기 제 1 안감부재는, 상기 크라운과 재질 또는 색상이 상이한 것이 좋다.The first lining member may be different in material or color from the crow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 등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known configura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 스티치 봉제 부위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크라운(1)을 6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6개의 봉제 부위에는 모자의 바깥쪽부터 크라운 부재(30), 제 1 안감부재(20) 및 제 2 안감부재(40) 순으로 위치한다. 크라운 부재(30)는 모자의 외면을 형성하며, 제 2 안감부재(40)는 모자 내면의 봉제 부위로서 노출된다. 그러나 제 1 안감부재(20)는 일반적으로는 노출되지 아니하며, 이하 에서 설명할 "개방 영역"을 통해서만 노출되도록 예정된다.Figure 4 shows a cross section of a double stitch sew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x sewing sites that divide the crown 1 into six regions are located in the order of the crown member 30, the first lining member 20,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40 from the outside of the hat. The crown member 30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40 is exposed as a sewing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However, the first lining member 20 is generally not exposed, and is intended to be exposed only through the "open area" described below.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도 4의 봉제 부위의 각 단면의 상세한 봉제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도 5(a)는 크라운(1)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티치 봉제부위의 크라운 부재(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티치 봉제 부위의 외부, 즉 크라운 부재(3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제 1 봉제선(31)은 인접한 크라운(1)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이 제 1 봉제선(31)으로 우측으로 대략 Δd4 떨어진 위치, 그리고 좌측으로 대략 Δd3 떨어진 위치에 각각 제 2 봉제선(32)이 안감부재를 크라운과 결합시키며 봉제한다. Δd3과 Δd4는 대략 3-6mm 범위에서 상호 동일하거나 약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Δd3과 Δd4 길이의 합 Δd1는 적어도 6mm 내지 12mm가량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봉제선(31)에는 소정의 개방영역이 형성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5 (a) to 5 (c) show a detailed sewing method of each cross section of the sewing site of FIG. First, FIG. 5A illustrates the crown member 30 of the stitch sew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rown 1. The first seam 31 outside of the stitch sewing site, ie across the center of the crown member 30, interconnects the adjacent crown 1. Then, the second seam 32 sews the lining member with the crown at the position separated by approximately Δd 4 to the right and the position Δd 3 to the left of the first seam 31. Δd 3 and Δd 4 may be equal to or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3-6 mm. The sum Δd 1 of the lengths Δd 3 and Δd 4 will be at least about 6 mm to about 12 mm. Meanwhile, a predetermined open area is formed in the first seam 31, which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below.

도 5(b)는 제 1 안감부재(20)의 봉제위치 및 봉제방법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모자 내부에서 상기 크라운 부재(30)에 덧대어 위치하는 제 1 안감부재(20)는 상기 제 2 봉제선(32)를 통해 크라운 부재(30)와 봉제된다. 즉 상기 크라운 부재(3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봉제선(32)은 도면부호 21 봉제라인을 따라 크라운 부재(30)와 제 1 안감부재(20)를 함께 봉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안감부재(20)의 봉제라인 21간의 너비는 Δd1로서, 상기 크라운부재(30)의 제 2 봉제 선(32)간의 너비와 동일하다. 한편, 제 1 안감부재(20)의 너비는 Δd2로서 Δd1보다 크다. 그 이유는 제 1 안감부재(20)의 일부분이 크라운 부재(30) 방향으로 접히기 때문이다. 즉 접힘영역(22)은 도면부호 23을 기준으로 도면 안쪽으로 접힌 다음에 상기 제 2 봉제선 및 하기의 제 3 봉제선에 의해 봉제되는 것이다.5 (b) shows the sewing position and the sewing method of the first lining member 20. The first lining member 20 positioned on the crown member 30 in the cap is sewn with the crown member 30 through the second seam 32. That is, the second seam 32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rown member 30 is to sew the crown member 30 and the first lining member 20 along the sewing line 21. Accordingly, the width between the sewing lines 21 of the first lining member 20 is Δd 1 , which is the same as the width between the second sewing lines 32 of the crown member 30. 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first lining member 20 is Δd 2, which is larger than Δd 1 . The reason is that a part of the first lining member 20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crown member 30. That is, the folded area 22 is folded inside the drawing based on reference numeral 23 and then sewn by the second seam and the third seam below.

도 5(c)는 제 2 안감부재(40)의 봉제위치 및 봉제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 2 안감부재(40)는 모자 안쪽에서 상기 제 1 안감부재(20) 위에 덧붙여진다. 크라운 부재(30), 제 1 안감부재(20) 및 제 2 안감부재(40)의 결합봉제는 위에서 설명한 제 2 봉제선(32)에 의해 제1회 봉제되고, 다음으로 제 3 봉제선(41)에 의해 제2회 봉제된다. 이는 제봉기에 의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Δd1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3개의 봉재부위들이 2번씩 봉제되어 완전한 기밀성을 유지한다. 한편, 도면부호 42를 기준으로 제 2 안감부재(40)도 접힌다. 즉 접힙영역(43)은 도면부호 42를 기준으로 도면 안쪽으로 접힌 다음에 상기 제 2 봉제선 및 제 3 봉제선에 의해 봉제된다.5 (c)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ewing position and a sewing method of the second lining member 40. The second lining member 40 is attached to the first lining member 20 inside the hat. The combined sewing of the crown member 30, the first lining member 20,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40 is first sewn by the second seam 32 described above, and then to the third seam 41. Is sewn twice. This can be done automatically or simultaneously by the sewing machine. Therefore, the three sewing portions are sewn twice, with a gap between Δd 1 to maintain complete airtightness. Meanwhile, the second lining member 40 is also folded based on reference numeral 42. That is, the folded region 43 is folded inside the drawing based on the reference numeral 42 and then sewn by the second seam and the third seam.

도 6(a) 및 도 6(a)는 크라운 부재(30)에 형성되는 개방 영역(5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6A and 6A schematically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 area 50 formed in the crown member 30.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봉제선(31)의 일부의 봉제를, 길이방향으로 "D" 길이 정도 절단한다. 봉제가 절단된 영역의 양 끝점은 나머지 영역의 봉제가 풀어지지 않도록 처리해 둔다. 제 1 봉제선(31)은 인접한 크라운(6개의 스티치 봉제부위는 6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크라운(1)을 모두 봉제하여 하나의 크라운(1)을 형성한다)을 단단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봉제가 풀어진 "D" 길이의 부분은 약간 벌어지게 된다. As shown to Fig.6 (a), the sewing of one part of the 1st seam 31 is cut | disconnected about the length "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area where the sewing is cut are treated so that the sewing of the remaining areas is not released. Since the first seam 31 serves to tightly couple adjacent crowns (six stitch sewing portions sew all the crowns 1 divided into six regions to form one crown 1), The part of the "D" length where the sewing is released will open slightly.

도 6(b)는 이렇게 개방 영역(50)이 벌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개방 여역(50)이 벌어지는 만큼 제 2 봉제선(32)도 함께 벌어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개방 영역(50)을 통해서 안에 있던 제 1 안감부재(20)가 노출된다. 6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n area 50 is opened. As long as the open area 50 is opened, the second seam 32 will be opened together. And the first lining member 20 which was inside through the open area | region 50 is exposed.

도 7은 상기 개방영역(50)에 빈티지 기법을 적용한 것을 나타낸다. 7 shows a vintage technique applied to the open area 5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봉제선(31)을 소정 길이(D)로 절단함으로써 개방 영역(50)이 생기고, 이 개방 영역(50)이 자연스럽게 벌어짐으로써 제 1 안감부재(20)가 노출되게 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때 개방 영역(50)의 양쪽 단부(51)의 직물실을 풀어버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빈티지 처리는 공지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양쪽 단부(51)의 직물조직을 훼손시켜 직물실을 불규칙적으로 풀리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n area 50 is formed by cutting the first seam 31 to a predetermined length D, and the open area 50 naturally opens so that the first lining member 20 is exposed. As shown in the figure, a work is performed to release the fabric chambers at both ends 51 of the open area 50. This vintage treatment is to damage the fabric structure of the both ends 51 by using a known tool to loosen the fabric thread irregularly.

한편,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안감부재(20)의 재질 또는 색상을 크라운(1)의 재질 또는 색상과 상이하게 구성한다. 예컨대 개방영역(50)을 통해 보이는 제 1 안감부재(20)의 색상과 크라운(1)의 색상이 상호 상이함으로써, 모자의 미감효과를 증진시키며 빈티지 효과를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크라운 재질을 진(Jean) 소재로 구성하고, 제 1 안감부재를 면 또는 직물지로 구성하여 모자에 입체감을 살릴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r color of the first lining member 20 exposed to the outside is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material or color of the crown (1). For example, since the color of the first lining member 20 and the color of the crown 1 seen through the open area 5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esthetic effect of the hat can be enhanced and the vintage effect can be emphasized. In addition, the crown material of the hat may be made of a Jean material, and the first lining member may be made of cotton or fabric paper to make the hat three-dimensional.

또한, 실제 상기 개방영역(50)을 통해 노출되는 것은 제 1 안감부재(20) 자체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접힘영역 22 및 43도 함께 노출될 것이다. 이렇게 접힘영역 22, 43이 함께 노출됨으로써 개방영역(50)의 입체감은 더욱 강조될 것이다. 상기 개방영역(50)의 가운데는 제 1 안감부재(20)가 그대로 노출되고, 개방영역(50)의 빈티지 처리된 양쪽 단부(51) 근방에는 상기 접힘영역 22, 43이 함께 노출되는데(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이때 제 1 안감부재(20)와 제 2 안감부재(40)의 재질이나 색상을 상이하게 구성하면, 접힘영역 22와 43의 재질 또는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개방영역(50)의 입체감은 더욱 강조된다.In addition, what is actually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50 will not only expose the first lining member 20 itself, but also the folding areas 22 and 43 mentioned above. As the folded regions 22 and 43 are exposed together,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open region 50 will be further emphasized. In the middle of the open area 50, the first lining member 20 is exposed as it is, and the folded areas 22 and 43 are exposed together near the vintage-processed both ends 51 of the open area 50 (in the drawing). (Not shown), if the material or color of the first lining member 20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40 are configured differently, since the materials or colors of the folding areas 22 and 43 are different, The three-dimensional effect is further emphasized.

도 8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8 show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크라운(1)의 이중 스티치 봉제 부분의 크라운 부재(30)에는 개방영역(5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방영역(50)의 양쪽 단부(51)는 빈티지 처리되었다. 그리고 개방영역(50)을 통해 제 1 안감부재(20)가 노출되어 있다. 한편, 챙(2)의 특정 위치에 다른 직물부재(60)가 덧붙여진 다음에, 이를 봉제하고, 상기 51처럼, 그 봉제된 부분의 직물실을 빈티지 처리하는 것도 좋다.An open area 50 is formed in the crown member 30 of the double stitch sewing portion of the crown 1, and both ends 51 of the open area 50 are vintagely treated. The first lining member 20 is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50. On the other hand, after the other fabric member 60 is add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visor 2, it may be sewn and, as in 51, the vintage thread of the sewn part may be processed.

본 발명은 이중 스티치 봉제 부분을 중심으로 이중원단이 가능한(예컨대 크라운 원단과 제1안감부재의 원단) 모자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크라운의 내부에 다른 재질 또는 색상이 다른 원단을 덧대고, 크라운의 임의 위치에 칼질처리를 하여 내부에 덧대어진 그 원단이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 추가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a cap capable of double fabric (for example, the fabric of the crown fabric and the first lining member) centered on the double stitch sewing portion, the other material or color of the fabric is padded on the inside of the crown, It may further be configured to expose the fabric that is padded therein by the knife treatment at any position.

위 실시례들은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첨언한다. The above embodiments add that i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분할된 크라운을 일체로 연결하는 봉제 부위인 이중 스티치 봉제 부위에 빈티지 특유의 실밥이 터져 나오는 구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서로 다른 느낌의 원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effective to expose the fabric of the different feeling while maximizing the configuration that the seams unique to the vintage popped to the double stitch sewing portion which is a sewing portion that connects each divided crown integrally. .

또한, 이러한 빈티지 처리에도 불구하고, 모자의 기밀성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despite the vintage treat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tightness of the hat can be maintained as it is.

나아가, 소정의 개방영역(50)을 통해 노출되는 안감부재들에 입체감이 형성되어 빈티지의 특성이 더욱 강조됨으로써, 심미적으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a three-dimensional feeling is formed in the lining members exposed through the predetermined open area 50, thereby further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ntage, thereby exhibiting an aesthetically superior characteristic.

Claims (3)

크라운과 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자(CAP)에 있어서,In the cap (CAP) comprising a crown and a visor, 상기 크라운에 지지력을 제공하며, 크라운을 6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6개의 스티치 봉제 부위로서, 상기 크라운의 내부의 상기 스티치 봉제 부위에 위치하는 제 1 안감부재;A sixth stitch sewing portion providing support force to the crown and dividing the crown into six regions, the first lining member being located at the stitch sewing portion inside the crown; 상기 크라운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안감부재에 위에 덧붙여지는 제 2 안감부재;A second lining member attached to the first lining member in the crown; 상기 제 1 안감부재 및 상기 제 2 안감부재가 모두 교차하는 중앙에 설치되는 단추;A button installed at a center where both the first lining member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cross each other; 상기 6개의 스티치 봉제 부위의 외부 중앙을 각각 가로지르며 인접한 크라운 을 봉제하는 제 1 봉제선들로서, 상기 제 1 봉제선의 1개 이상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개방영역을 가지는 제 1 봉제선들;First seams crossing each of the outer centers of the six stitch seams and sewing adjacent crowns, at least one of the first seam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open area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 1 봉제선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감부재 및 상기 제 2 안감부재를 상기 크라운과 함께 봉제하는 제 2 봉제선들; 및Second seam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am, and sewing the first lining member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together with the crown; And 상기 크라운 내부에서 상기 스티치 봉제 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안감부재 및 상기 제 2 안감부재를 상기 크라운과 함께 봉제하는 제 3 봉제선들;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영역은 상기 제 1 봉제선의 봉제실이 일정한 길이로 뜯어짐으로써 형성되며, 뜯어진 부위의 양쪽 단부의 실을 풀고, 상기 개방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안감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티지 처리된 모자.And third sewing lines sewing the first lining member and the second lining member together with the crown in the stitch sewing portion in the crown, wherein the open area includes a sewing thread of the first sewing line. And is formed by tearing to a constant length, unwinding threads at both ends of the teared portion, and exposing the first lining member through the open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안감부재와 상기 제 2 안감부재는 재질 또는 색상이 상이한, 빈티지 처리된 모자.And the first and second lining members are different in material or col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안감부재는, 상기 크라운과 재질 또는 색상이 상이한, 빈티지 처리된 모자.And the first lining member is different in material or color from the crown.
KR1020060032028A 2006-04-07 2006-04-07 Cap with vintage on crown KR100686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028A KR100686580B1 (en) 2006-04-07 2006-04-07 Cap with vintage on crow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028A KR100686580B1 (en) 2006-04-07 2006-04-07 Cap with vintage on crow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580B1 true KR100686580B1 (en) 2007-02-26

Family

ID=3810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028A KR100686580B1 (en) 2006-04-07 2006-04-07 Cap with vintage on crow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5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21Y1 (en) 2008-05-15 2010-08-30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Headwear with threadless embroidery
KR200457664Y1 (en) 2010-03-09 2011-12-28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Headwear having vintage effe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940A (en) * 2001-06-29 2004-03-09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A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urinary function
KR20040026049A (en) * 2002-09-17 2004-03-27 고려강선주식회사 High polymer coated steel tire cord improved in corrosion-resistance, and the method of tre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940A (en) * 2001-06-29 2004-03-09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A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urinary function
KR20040026049A (en) * 2002-09-17 2004-03-27 고려강선주식회사 High polymer coated steel tire cord improved in corrosion-resistance, and the method of treat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4209400000
200426049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21Y1 (en) 2008-05-15 2010-08-30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Headwear with threadless embroidery
KR200457664Y1 (en) 2010-03-09 2011-12-28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Headwear having vintage eff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0258B2 (en) Headgear with integrated hair shielding mechanism
CN202122098U (en) Shirt
KR100686580B1 (en) Cap with vintage on crown
EP3461355A1 (en) Tailored j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952483B2 (en) Head covering and protector with coiffured appearence
KR200426049Y1 (en) Cap with vintage on crown
US20050268927A1 (en) Headwear with ponytail pull through
US20190380414A1 (en) Head Covering With Removable Liner
KR200420940Y1 (en) Cap with vintage style on visor of a cap
KR102236609B1 (en) Face cover clothes with face cover for switching functions through a slit
JP3117743U (en) Draping eye mask
JP3623444B2 (en) hood
KR20060004821A (en) A method of fur race and goods with artificial or natural fur and fur race and goods thereby
KR101052741B1 (en) A hat with a back neck
JP6374755B2 (en) Hat manufacturing method
JP7465529B2 (en) hat
KR200426405Y1 (en) Knit hat
JP3140287U (en) Neck guard
KR200257729Y1 (en) A korean robe having the function of putting on its both sides
JP3124351U (en) Decorative kimono
KR2008007385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at
KR200375173Y1 (en) A fur race and fur goods with artificial or natural fur
KR20210104464A (en) Mask
KR20100002361U (en) Headgear
JP3162935U (en) Hat with col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