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562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562B1
KR100686562B1 KR1020050117017A KR20050117017A KR100686562B1 KR 100686562 B1 KR100686562 B1 KR 100686562B1 KR 1020050117017 A KR1020050117017 A KR 1020050117017A KR 20050117017 A KR20050117017 A KR 20050117017A KR 100686562 B1 KR100686562 B1 KR 100686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display unit
button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0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대성
Original Assignee
유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성 filed Critical 유대성
Priority to KR102005011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5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A screen operating device of an electronic instrument is provided to add touch pad functions to input buttons so as to easily move positions of location display units such as a pointer, a character, and a menu selecting unit on a screen. Plural input buttons(2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certain intervals, and recognize differences of pressure applied by each user's contact as different input signals. A display unit(23) visually displays a position of a location display unit on a screen according to input signals inputted to the plural input buttons(21). A controller(22) moves the position of the location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23) in a direction equivalent to a selection sequence of at least two sequentially selected input buttons among the plural input buttons(21).

Description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Screen control device of electronic device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keypad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화면 조작 장치의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screen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조작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creen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조작 장치가 디지털 TV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creen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igital TV.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버튼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n input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서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된 터치패드부를 나타내는 도면. 6 is a view showing a touch pad part formed using a senso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및 세로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8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and vertical path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9개의 입력버튼을 갖는 경우의 포인터의 위치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osition movement of the pointer when having nine input butt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4개의 입력버튼을 갖는 경우의 포인터의 위치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osition movement of the pointer when having four input butt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10개의 입력버튼을 갖는 경우의 포인터의 위치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osition movement of the pointer when having 10 input butt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이동 통신 단말기 11: 숫자키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numeric keys

12: 기능키 13: 방향키12: Function Keys 13: Arrow Keys

14: 화면 20: 화면 조작 장치14: Screen 20: Screen operation unit

21: 입력버튼 22: 제어부21: input button 22: control unit

23: 디스플레이부 30: 이동 통신 단말기23: display unit 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디지털 TV의 원격조정기 41: 선택키40: Remote control of digital TV 41: Selection key

42: 메뉴키 51: 터치패드부42: menu key 51: touch pad

52: 키버튼 53: 돔 스위치52: key button 53: dome switch

54: 메인 보드 60: 센서필름54: main board 60: sensor film

61 내지 63: Y축 센서 64 내지 67: X축 센서61 to 63: Y-axis sensor 64 to 67: X-axis sensor

71: 위치인식부 72: 연산부71: position recognition unit 72: calculation unit

73: 출력부 81: 가로경로73: output unit 81: horizontal path

82: 세로경로 82: vertical path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서로 다른 입력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는 다수의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서 포인터(pointer) 등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manipulation apparatu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ition display means such as a pointer on a screen by us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that can recognize a difference in pressure applied by a user as different input signals. A device for moving a position.

현재 이동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 히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인터넷을 결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게임(game), 정보검색, 이메일(E-mail) 전송 및 채팅(chatting)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only providing a call function but also being developed to perform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a wireless Internet service combin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nternet is spreading, and electronic games, information retrieval, e-mail transmission, and chatt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이 다양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개발됨에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문자 입력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화면메뉴선택, 포인터 또는 게임의 캐릭터 등의 위치 이동을 위한 입력 장치에 대한 개발 역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As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re develop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ext input on the scre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various input devices for conveniently moving screen menu selections, pointers, or characters of games are made. ought.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특성상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면서도,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기능을 갖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 손에 잡힐 수 있는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고, 이에 구성되는 키패드 역시 자판의 크기나 개수가 최소한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기본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 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는 경박단소한 외관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문자 정보를 작성 및 전송하기 위한 설계 자유도가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ired to have a function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while pursuing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due to its characteristics.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that can be held in one hand, and the keypad is also configured to have a basic form in which the size or number of keyboards can be input with the minimum content. As such,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maintain a light and simple appear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sufficient character information is very low.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에는 숫자키(11)와, 기능키(12), 방향키(13)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화면(14)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13)상의 포인터 또는 물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방향키(13)을 이용하여 상하좌우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방향 이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숫자키(11) 상부에 작은 크기로 형성된 별도의 방향키(13)를 사용해야 하는데, 그 크기가 매우 작고 또한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키버튼(key button)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잘못 입력되거나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numeric key 11, a function key 12, a direction key 13, and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14.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user to move the pointer or the object on the screen 13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direction movement is possible by selecting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using the direction keys 13. 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needs to use a separate direction key 13 formed in a small size on the numeric key 11 in order to input a direction movement command. Since it is formed as a key button using elasticity,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frequently inputs a wrong input or is not input against a user's inten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7798호 "터치 패드를 구비한 무선 이동 단말기"에는 윈도우 기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이용하는데 적합한 터치 패드를 구비한 플립형 무선 이동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88795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키 입력수단으로 터치패드를 설치하여 터치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 입력방법이 개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발명들은 소형의 이동 통신 단말기 상에서 키버튼외에 별도의 터치패드를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소형화에 반하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7798 "Wireless Mobile Terminal with Touch Pad" discloses a flip type wireless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pad suitable for using various windows-based applications through simple operation. It is.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88795 "Key input method using a touch pa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key input method for receiving key data from a user through a touch pad by installing a touch pad as a key input mea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losed. However, the above-described inventions have a problem against miniaturization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ause a separate touch pad must be disposed in addition to the key button on the sm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기의 화면 상에서 포인터 등 위치표시수단의 위치 이동을 위한 신호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easily input a signal for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such as a pointer on th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각각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서로 다른 입력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입력버튼; 상기 복수의 입력버튼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화면상에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의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입력버튼의 선택 순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manipulation apparatus of an electronic device, the inpu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ecognizing a difference in pressure applied by a user's contact as a different input signal;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s input to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And a controller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on the display uni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selection order of at least two sequentially selected inpu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여기서, 상기 각각의 입력버튼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입력버튼에 가해지는 소정의 기준 압력값 이하의 압력을 입력신호로서 인식하기 위한 터치패 드; 및 상기 입력버튼에 가해지는 상기 소정의 기준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을 입력신호로서 인식하기 위한 키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each of the input button, the touch pad for recognizing a pressure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input button by the user's contact as an input signal; And a key button for recognizing a pressure exceedin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input button as an input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입력버튼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좌표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인식부;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위치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대응시켜 상기 위치표시수단의 위치이동값을 생성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생성된 위치이동값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 posi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the input signal input to each input button; A calculation unit for generating a position shift value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by match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ith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on the display;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shift value generated by the operation unit.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버튼이 일정 시간 이내에 2회 터치된 경우에 선택신호로서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control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cognize as a selection signal when the input button is touched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조작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조작 장치가 디지털 TV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조작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creen manipulation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creen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creen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igital TV. Hereinafter, the screen manip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작 장치(20)는 입력버튼(21), 제어부(22) 및 디스플레이부(2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screen manipulation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button 21, a controller 22, and a display unit 23.

상기 화면 조작 장치(2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30)기에 적용하거나, 도 4와 같이 디지털 TV의 원격조정기(remote controller)(40)에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디지털 TV의 원격조정기(40)에는 역시 입력버튼(21)뿐만 아니라, 선택키(41) 및 메뉴키(42) 등이 더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조작 장치(20)는 입력수단으로서 다수의 입력버튼을 갖고, 화면 상의 포인터, 커서, 게임등의 캐릭터, 메뉴바 등의 위치표시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자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위치표수단 중 특정위치를 지시하는 포인터(24)를 예로서 설명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creen manipulation device 20 may be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 as shown in FIG. 3 or to the remote controller 40 of the digital TV as shown in FIG. 4,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The remote controller 40 of the digital TV also shows a case in which not only an input button 21 but also a selection key 41 and a menu key 42 are further configured. That is, the screen manipula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as an input means, and is provid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moving a pointer, a cursor, a character such as a game, a position display means such as a menu bar, and the like. Applicab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pointer 24 indicating a specific position among the position table mean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입력버튼(21)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상기 입력버튼(21)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서로 다른 입력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버튼(21)에는 접촉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패드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접촉시키고, 이러한 접촉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을 입력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기준값 이상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터치패드에 의한 입력신호와는 다른 입력신호로서 구분할 수 있다. The input button 21 is formed of at least two or mor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input button 2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s contact as different input signals. For example, the input button 21 is configured with a touch pad for recognizing a contact signal, so that the user touches his or her finger and recognizes the pressure applied according to the contact as an input signal. In addition, the pressure appli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can be classified as an input signal different from the input signal by the touch pad.

상기 디스플레이부(23)는 상기 복수의 입력버튼(21)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포인터(24)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3 visually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4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s input to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21.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복수의 입력버튼(21) 중, 적어도 두 개의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입력버튼(21)의 선택 순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3) 상의 포인터(24)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controller 22 adjust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selection order of at least two sequentially selected input buttons 21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21. It functions to mo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버튼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put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버튼(21)은 터치패드부(51) 및 키버튼(5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input button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pad unit 51 and a key button 52.

상기 터치패드부(51)는 사용자의 접촉(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접촉)에 의하여 상기 입력버튼(21)에 가해지는 소정의 기준 압력값 이하의 압력을 입력신호로서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22)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터치패드부(51)는 센서필름, 압력식 저항막방식, 접촉식 정전용량방식, 적분식 장력측정방식, 또는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을 적용한 터치패드 등 사용자에 의한 터치(touch) 또는 스크래치(scrach)와 같은 접촉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종래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되는 스프링 버튼식 키패드와 같이 상기 입력버튼(21) 을 강하게 누르지 않고서도, 상기 터치패드부(51)를 살짝 터치(touch)하거나 스크래치(scrach)함으로써 상기 특정 입력버튼(21)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 touch pad unit 51 recognizes a pressure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input button 21 as an input signal by a user's contact (for example, by a user's finger), It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the recognized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22. The touch pad unit 51 may be touched or scratched by a user such as a touch pad to which a sensor film, a pressure resistive film method, a contact capacitance method, an integrated tension measurement method, or a piezo effect method is applied. It can be formed using a means for recognizing a contact signal, such a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lightly touch the touch pad unit 51 without strongly pressing the input button 21, such as a spring-button keypad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a conventional spring. The specific input button 21 can be selected by scratching.

상기 키버튼(52)은 상기 입력버튼에 가해지는 상기 소정의 기준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을 입력신호로서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입력버튼(21)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소정의 기준 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키버튼(52)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메인 보드(Main Board)(54)상에 형성된 돔 스위치(Dome Switch)(53)를 누름으로써 종래의 스프링 버튼식 키패드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key button 52 functions to recognize a pressure exceedin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input button as an input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put button 21 by the user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value, the key button 52 is moved downward so as to be placed on the main board 54. By pressing the dome switch (Dome Switch) 53 formed in the can be used for the same purpose as the conventional spring-button keypad.

즉, 사용자는 상기 터치패드부(51)를 터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입력버튼(21)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3) 상에서 포인터(24)를 이동시키거나,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튼(52)을 강하게 누름으로써 종래의 버튼식 키패드와 같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ser moves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by using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ouching the touch pad unit 51, or optionally, the cover button 52. By pressing hard), it can be used like a conventional button keypad.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버튼(21)에 가해지는 서로 다른 압력값을 구분하기 위하여 터치패드와 키버튼을 이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스프링 버튼식의 키버튼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입력되는 압력값의 차이를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입력버튼(21)은 입력되는 압력의 차이를 서로 다른 입력값으로서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본 발명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pad and a key button are used to distinguish different pressure values applied to the input button 21, but the pressure value input by the user's contact using only a conventional spring button type key button. It may be configur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differences. That is, the input button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 in the input pressure as different input valu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서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된 터치패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touch pad part formed using a senso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각의 입력버튼(21) 후면에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필름(60)를 형성한 경우를 일 실시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입력버튼(21)에 입력되는 접촉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센서필름(60)에는 상기 입력버튼(21)의 세로축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Y축 센서(61, 62, 63)와 가로축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X축 센서(64, 65, 66, 67)가 구비된다.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nsor film 60 for sensing pressur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each input button 21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means for recognizing the contact signal input to the input button 21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he sensor film 60 includes a plurality of Y-axis sensors 61, 62, and 63 for detecting vertical movement of the input button 21, and a plurality of X-axis sensors 64, 65 for detecting horizontal movement. 66, 6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2)는 위치인식부(71), 연산부(72) 및 출력부(7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recognition unit 71, an operation unit 72, and an output unit 73.

상기 위치인식부(71)는 상기 각각의 입력버튼(21)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좌표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The position recognition unit 71 functions to recognize the coordinates of the input signal input to each of the input button 21.

상기 연산부(72)는 상기 입력버튼(21)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른 위치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3) 상의 포인터(24)의 위치를 대응시켜 상기 포인터(24)의 위치이동값을 생성한다. The operation unit 72 generates a position shift value of the pointer 24 by match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put to the input button 21 with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do.

상기 출력부(73)는 상기 연산부(72)에 의하여 생성된 위치이동값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3) 상의 포인터(24)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output unit 73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according to the position shift value generated by the operation unit 7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및 세로 경로를 나타 내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aths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3)는 픽셀 단위로 구분되는 복수의 X축에 대한 가로경로(81) 및 복수의 Y축에 대한 세로경로(82)가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입력버튼(21) 중,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입력버튼의 선택 순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3) 상의 포인터(24)의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display unit 23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ath 81 for a plurality of X axes and a vertical path 82 for a plurality of Y axes, which are divided in units of pixels. .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is mov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rder of input buttons sequentially selected by the user.

상기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 상의 포인터(24)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5 to 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may be moved as follows.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버튼(21)을 누름으로써, 상기 센서필름(60)을 통하여 X-Y축의 교차점을 접촉하게 되면, 접촉된 위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22)로 전달된다. 이 때 처음 접촉된 교차점이 상기 포인터(24)의 기준위치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동하여 다른 교차점으로 접촉이 이동하면, 역시 상기 제어부(22)로 이동된 교차점 정보가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2)는 최초의 접촉점인 기준위치와 이동 접촉점을 각각 1:1대응으로 연산하여, 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에 보낸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3) 상의 포인터(24)는 상기 제어부(22)로부터 제어정보를 받아서, 디스플레이부(23)상에서 픽셀 단위로 구분되는 X-Y축의 가로 및 세로 경로(71, 72) 상에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된 포인터(24)의 최종 위치에 대한 정보는 다시 상기 제어부(22)로 제공되어, 새로운 기준 위치가 된다.When a user touches the input button 21 by using his or her finger, and makes contact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X-Y axis through the sensor film 60,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ed posi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2. At this time, the intersection point of first contact becomes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pointer 24. Then, when the user moves the finger to another intersection point, the intersection information moved to the controller 22 is also transmitted. Then, the control unit 22 calculates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moving contact point, which are the first contact points, in a 1: 1 correspondence, and sends this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23. Then,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receives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22 and moves on the display unit 23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aths 71 and 72 of the X-Y axis, which are divided in units of pixels. Information about the final position of the pointer 24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is again provided to the controller 22 to become a new reference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버튼(21)의 수를 적절히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3)의 포인터(24)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24 of the display unit 23 can be efficiently adjusted by appropriately using the number of the input buttons 21.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9개의 입력버튼을 갖는 경우의 포인터의 위치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osition movement of the pointer when having nine input butt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버튼(21)에 도 9와 같이 적어도 1 내지 9의 9개 버튼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상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숫자 4를 터치한다음, 연속적으로 1을 터치하면 된다. 이외에도, 숫자 5와2, 6과3, 7과4, 8과5 또는 9와6을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상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when nine buttons of at least 1 to 9 are arranged in the input button 21 as shown in FIG. 9, the user moves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upward (↑). To move one unit, touch the number 4, and then touch 1 continuously. In addition,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numbers 5 and 2, 6 and 3, 7 and 4, 8 and 5 or 9 and 6,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can also be moved one unit upward (↑). Can be.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하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숫자 1을 터치한 다음, 연속적으로 4를 터치하면 된다. 이외에도, 숫자 2와5, 3과6, 4와7, 5와8 또는 6과9를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하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downward by one unit, the user touches the number 1 and then touches 4 consecutively. In addition,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numbers 2 and 5, 3 and 6, 4 and 7, 5 and 8 or 6 and 9,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can also be moved one unit downward (↓). Can be.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우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숫자 1을 터치한 다음, 연속적으로 2를 터치하면 된다. 이외에도, 숫자 2와3, 4와5, 5와6, 7과8 또는 8과9를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우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to the right direction (→) by one unit, the user may touch the number 1 and then touch 2 continuously. In addition,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numbers 2 and 3, 4 and 5, 5 and 6, 7 and 8 or 8 and 9,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can also be moved one unit in the right direction (→). Can be.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좌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숫자 2를 터치한 다음, 연속적으로 1을 터치하면 된다. 이외 에도, 숫자 3과2, 5와4, 6과5, 8과7 또는 9와8을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좌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touch the number 2 and then touch 1 continuously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one unit in the left direction (←). In addition,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numbers 3 and 2, 5 and 4, 6 and 5, 8 and 7, or 9 and 8,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is also moved left by (←). You can.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우측상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숫자 1을 터치한 다음, 연속적으로 5를 터치하면 된다. 이외에도, 숫자 2와6, 4와8 또는 5와9를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우측상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touch the number 1 and then touch 5 continuously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one unit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 In addition,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numbers 2 and 6, 4 and 8 or 5 and 9,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can be moved by one unit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좌측하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숫자 5를 터치한 다음, 연속적으로 1을 터치하면 된다. 이외에도, 숫자 6과2, 8과4 또는 9와5를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좌측하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touch the number 5 and then touch 1 continuously in ord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one unit in the lower left direction. In addition,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numbers 6 and 2, 8 and 4, or 9 and 5,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can be moved by one unit in the lower left direction.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좌측상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숫자 2를 터치한 다음, 연속적으로 4를 터치하면 된다. 이외에도, 숫자 3과5, 5와7 또는 6과8을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좌측상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touch the number 2 and then touch 4 continuously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one unit in the upper left direction. In addition,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numbers 3 and 5, 5 and 7, or 6 and 8,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can be moved by one unit in the upper left direction.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우측하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숫자 4를 터치한 다음, 연속적으로 2를 터치하면 된다. 이외에도, 숫자 5와3, 7과5 또는 8과6을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역시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우측하방향(↘)으로 한 단위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touch the number 4 and then touch 2 continuously in ord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one unit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In addition, by continuously touching the numbers 5 and 3, 7 and 5, or 8 and 6,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can be moved by one unit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This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1].

이동방향Direction of movement 입력순서Input order 4-1, 5-2, 6-3, 7-4, 8-5, 9-64-1, 5-2, 6-3, 7-4, 8-5, 9-6 1-4, 2-5, 3-6, 4-7, 5-8, 6-91-4, 2-5, 3-6, 4-7, 5-8, 6-9 1-2, 2-3, 4-5, 5-6, 7-8, 8-91-2, 2-3, 4-5, 5-6, 7-8, 8-9 2-1, 3-2, 5-4, 6-5, 8-7, 9-82-1, 3-2, 5-4, 6-5, 8-7, 9-8 1-5, 2-6, 4-8, 5-91-5, 2-6, 4-8, 5-9 5-1, 6-2, 8-4, 9-55-1, 6-2, 8-4, 9-5 2-4, 3-5, 5-7, 6-82-4, 3-5, 5-7, 6-8 4-2, 5-3, 7-5, 8-64-2, 5-3, 7-5, 8-6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4개의 입력버튼을 갖는 경우의 포인터의 위치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moving a pointer in the case of having four input butt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내지 4의 최소 4개의 입력버튼이 구성되면, 모든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모두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은 입력버튼 배열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3과 1 또는 4와 2를 연속적으로 터치하면 된다. As shown in FIG. 10, when at least four input buttons of 1 to 4 are configured, all input signals for moving in all the up, down, left, right, and diagonal directions can be selected. For example, in the input button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0, the user may touch 3 and 1 or 4 and 2 continuously in ord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upward (↑).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1과 3 또는 2와 4를 연속적으로 터치하면 된다. On the contrary, in order for the us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downward (↓), the user may touch 1 and 3 or 2 and 4 continuously.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1과 2 또는 3과 4를 연속적으로 터치하고,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좌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2와 1 또는 4와 3을 연속적으로 터치하면 된다. Also, in order for the us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in the right direction (→), the user touches 1 and 2 or 3 and 4 continuously, and conversely, the user touches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To move left (←), touch 2 and 1 or 4 and 3 continuously.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우측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3과 2를 연속적으로 터치하면 되며, 좌측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2와 3을 연속적으로 터치하면 된다. In addition, the user may touch 3 and 2 continuously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 and continuously move 2 and 3 to move the lower left direction in the left direction. Touch it.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3)상의 포인터(24)를 좌측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4와 1을 연속적으로 터치하면 되며, 우측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1과 4를 연속적으로 터치하면 된다. In ord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in the upper left direction, the user may touch 4 and 1 continuously, and in order to move the pointer 24 on the display unit 23 in the lower right direction, the user may continuously move 1 and 4. Touch it.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This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2].

이동방향Direction of movement 입력순서Input order 3-1, 4-23-1, 4-2 1-3, 2-41-3, 2-4 1-2, 3-41-2, 3-4 2-1, 4-32-1, 4-3 3-23-2 2-32-3 4-14-1 1-41-4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10개의 입력버튼을 갖는 경우의 포인터의 위치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moving a pointer in the case of having 10 input butt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1 내지 9, 및 0 으로 구성되는 10개의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상기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소 4개 이상이 버튼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최소 4개 이상의 입력버튼이 구성되면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23) 상의 포인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t least four or more buttons are includ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even in the case of 10 input buttons composed of 1 to 9 and 0.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f at least four input buttons are configure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on the display unit 23 can be easily changed by the same princip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입력버튼(21)의 터치패드(51)가 일정 시간 이내에 2회 터치된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24)에 의하여 지시되고 있는 특정 메뉴 또는 명령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로서 인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 메뉴 또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uch pad 51 of the input button 21 is touched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y a user, it is selected a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menu or command indicated by the pointer 24. By configuring it to recognize, it is possible to execute a particular menu or command.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The screen manipul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 등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입력버튼에 터치패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화면 상의 포인 터, 캐릭터, 메뉴선택수단 등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dding a touch pad function to an input button,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such as a pointer, a character, and a menu selection means on the screen can be easily moved.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버튼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움직이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어 있는 포인터가 움직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선택할 수 있고, 휴대폰 게임 이용 시 손의 움직임에 따라 게임조작이 가능함으로써 민첩함을 요구하는 게임 이용이 더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으로 인하여 보다 민첩함을 요구하는 게임의 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 개발도 가속화될 것이며, 컴퓨터나 게임 전용 기기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게임들을 조작의 편리로 인하여 휴대폰에서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moves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input button,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is moved to directly select the desired content, the game opera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and when using a mobile phone game Using games that require can be used more easil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elerated as the use of a game that requires more agility, and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a mobile phone due to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f games that were available only in computers or game-only devices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TV 등 디지털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조작버튼에 각 버튼의 용도를 상세히 표시하기에는 어려움을 해소하여,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하고, 사용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접근하는 것이 디지털 기기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lied to a digita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digital TV, to solve the difficulty of displaying the use of each button on the operation button in detail, so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user using a pointer Accessing conten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digital devices more convenient to use.

Claims (4)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각각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서로 다른 입력신호로서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입력버튼;A plurality of input butto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ecognizing a difference in pressure applied by a user's contact as a different input signal; 상기 복수의 입력버튼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화면상에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s input to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And 상기 복수의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의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입력버튼의 선택 순서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on the display uni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selection order of at least two sequentially selected input buttons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입력버튼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put button,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입력버튼에 가해지는 소정의 기준 압력값 이하의 압력을 입력신호로서 인식하기 위한 터치패드; 및A touch pad for recognizing a pressure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input button by a user's contact as an input signal; And 상기 입력버튼에 가해지는 상기 소정의 기준 압력값을 초과하는 압력을 입력신호로서 인식하기 위한 키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장치.And a key button for recognizing, as an input signal, a pressure exceeding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input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각각의 입력버튼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좌표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인식부;A posi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input signal input to each input button;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위치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대응시켜 상기 위치표시수단의 위치이동값을 생성하는 연산부; 및A calculation unit for generating a position shift value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by match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ith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on the display; And 상기 연산부에 의하여 생성된 위치이동값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위치표시수단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장치.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display means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shift value generated by the ope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버튼이 일정 시간 이내에 2회 터치된 경우에 선택신호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selection button as a selection signal when the input button is touched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KR1020050117017A 2005-12-02 2005-12-02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KR100686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017A KR100686562B1 (en) 2005-12-02 2005-12-02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017A KR100686562B1 (en) 2005-12-02 2005-12-02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562B1 true KR100686562B1 (en) 2007-02-26

Family

ID=3810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017A KR100686562B1 (en) 2005-12-02 2005-12-02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56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071B1 (en) 2007-02-08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ouch input in mobile device with touchscreen
KR100890135B1 (en) 2007-11-15 2009-03-20 주식회사 게임빌 The device for controlling a key input event of a game
WO2012033345A1 (en) * 2010-09-08 201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control touch screen method and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274A (en) * 2003-12-04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274A (en) * 2003-12-04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071B1 (en) 2007-02-08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ouch input in mobile device with touchscreen
US8493333B2 (en) 2007-02-12 2013-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y using touch input in mobile terminal
KR100890135B1 (en) 2007-11-15 2009-03-20 주식회사 게임빌 The device for controlling a key input event of a game
WO2012033345A1 (en) * 2010-09-08 201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control touch screen method and apparatus
US9684439B2 (en) 2010-09-08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tion control touch screen method and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7518C (en)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in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122318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ducing keyboard data entry errors
KR101115467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keyboard
US8797192B2 (en) Virtual keypad input device
US8739053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617821B1 (en) User interfacing apparatus and method
US7479947B2 (en) Form factor for portable device
US9244602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 touch input uni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856203B1 (en) User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inger mark recognition sensor
US9104247B2 (en) Virtual keypad input device
US20070236474A1 (en) Touch Panel with a Haptically Generated Reference Key
US8232965B2 (en) Adjustable on-screen cursor sensitivit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2005317041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189077B2 (en) User character input interface with modifier support
KR200900917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a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050035951A1 (en) Display device
US2011022783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keypad
US20070188460A1 (en) Adjustable on-screen cursor sensitivit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ll alphabetic keyboard
KR10068656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US20070188461A1 (en) Adjustable on-screen cursor sensitivit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educed alphabetic keyboard
US20070188459A1 (en) Adjustable on-screen cursor sensitivity on a wireless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KR20070100209A (en) Touchscreen input method without stylus
KR100469704B1 (en) Mobile phone user interface device with trackball
KR20100042762A (en) Method of performing mouse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KR2007004475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touch key pa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