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165B1 -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165B1
KR100686165B1 KR1020060034953A KR20060034953A KR100686165B1 KR 100686165 B1 KR100686165 B1 KR 100686165B1 KR 1020060034953 A KR1020060034953 A KR 1020060034953A KR 20060034953 A KR20060034953 A KR 20060034953A KR 100686165 B1 KR100686165 B1 KR 10068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function icon
sub
function
ic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우범영
윤정혁
안현주
한승숙
박준석
천호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165B1/ko
Priority to US11/696,386 priority patent/US7565628B2/en
Priority to CNA2007101013314A priority patent/CN101060676A/zh
Priority to EP07007838A priority patent/EP1847917A3/en
Priority to JP2007108948A priority patent/JP5174372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된 기능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에 오에스디(OSD: 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 아이콘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기능 아이콘에 대한 다양한 제어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 오에스디(OSD), 기능 아이콘, 서브 아이콘

Description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OSD Function Icon And Method Of Displaying OSD Function Icon Using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텔레비전에서 제공되는 오에스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기능 아이콘을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능 아이콘의 제어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8개의 방향 아이콘을 갖는 네비게이션 아이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기능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에 따라 기능 아이콘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방향 아이콘들이 분리 이동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a)의 방향 아이콘들 중 상/하 방향 아이콘을 숨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좌/우 방향 아이콘의 크기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기능 아이콘에 대한 다양한 제어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에스디(OSD: On Screen Display) 기능은 텔레비전, 프로젝션,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능 중의 하나로서, 주로 화질 조정, 메뉴 선택 또는 정보 제공 등의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텔레비전에서 제공되는 오에스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오에스디는,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화질 조정이나 메뉴 선택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원래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정보 위에 겹쳐서 디스플레이되 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 휴대용 단말기 분야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종래의 텔레비전 등 대형 단말기에서 주로 활용되던 오에스디 기능이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구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대형 단말기 혹은 고정형 단말기 뿐만 아니라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오에스디 기능은, 매우 단순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고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단순하게 수동적으로 제공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각종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오에스디 기능은, 주로 텍스트 형태의 정보만을 제공하여 사용자와 쌍방향의 정보 교환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기능 아이콘에 관한 다양한 제어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단말기와 쌍방향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부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된 기능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에 오에스디(OSD: On Screen Diaplay)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 아이콘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된 기능 아이콘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에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능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표시부(210), 메모리부(220) 및 키 입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210)는, 키 입력부(230)와는 별도의 입력부(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터치 스크린(213)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표시부(2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이다. 메모리부(2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0)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 입력부(230)는, 각종 숫자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장치이다. 이하, 제어부(200)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SMS(Short Message Service)에 의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황을 상정하기로 한다.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된 기능 아이콘을 표시부(210)에 오에스디(OSD: 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기능 아이콘은, 각각 서로 다른 서브(sub)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기능 아이콘을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기능 아이콘(300)은, 네비게이션 기능이 할당된 경우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기능 아이콘(300)은, 상기 서브 아이콘으로서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이 할당된 4개의 방향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4개의 방향 아이콘들은, 상(上)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301)과, 하(下)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303)과, 좌(左)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305)과, 우(右)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307)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아이콘 및 서브 아이콘은, 상기 기능 아이콘 및 서브 아이콘의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드(control mode)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되는 상기 기능 아이콘 및 서브 아이콘의 제어 모드는, (1) 기능 수행 모드, (2) 이동 모드, (3) 분리 모드, (4) 숨기기 모드, (5) 크기 조절 모드 및 (6) 투명도 조절 모드가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드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 아이콘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아이콘(400)을 표시부(210)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스크린(213)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아이콘(400)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기능 아이콘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다른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 아이콘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메뉴창(410)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제어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1) 기능 수행 모드
상기 기능 수행 모드는, 상기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 또는 상기 서브 아 이콘에 할당된 서브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4(a)의 제어 아이콘(400) 중 기능 수행 모드가 할당된 제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기능 수행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제어 모드가 상기 기능 수행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으로 상기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수행 모드에서, 도 4(a)의 상(上)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301)이 터치되면, 커서(420)가 상(上)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기능 아이콘이 네비게이션 기능이 할당된 네비게이션 아이콘인 경우, 상기 기능 수행에 관한 다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네비게이션 아이콘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은, 동일한 방향이 할당된 적어도 2개의 방향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방향 아이콘들은, 상기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가 서로 다르게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8개의 방향 아이콘을 갖는 네비게이션 아이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8개의 방향 아이콘에, 상(上), 하(下), 좌(左), 우(右) 방향이 각각 2개씩 할당되어 있다. 이 때, 우(右)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을 예로 들면, 참조번호 500이 터치되면 커서가 우(右)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하고, 참조번호 510이 터치되면 커서가 현재 라인의 우측 끝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동일한 방향이 할당된 적어도 2개의 방향 아이콘들은, 그 이동 범위에 관한 조합을 다양하게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500 혹은 참조번호 510이 터치되면 커서가 우(右)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하고, 참조번호 500 및 510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에 커서가 현재 라인의 우측 끝으로 이 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2) 이동 모드
상기 이동 모드는, 상기 기능 아이콘 및 상기 서브 아이콘을 표시부(210) 상에서 이동시키는 제어 모드이다. 즉, 상기 기능 아이콘 및 상기 서브 아이콘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표시부(210) 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이 이동하는 구체적인 방식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이 수동으로 이동하는 방식(이하 "수동 이동 모드"라 함)이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213) 상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이 이동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는,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이다. 상기 수동 이동 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상기 외부 터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능 아이콘 또는 서브 아이콘이 표시부(210)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시부(210)에 OS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 기능 아이콘을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한 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기능 아이콘은 상기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도 3의 기능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에 따라 기능 아이콘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은, 기능 아이콘(300)이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참조번호 300a의 상태에서 참조번호 300b의 상태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서브 아이콘의 이동은, 후술할 분리 모드와 연계되므로, 분리 모드에 관한 설명에서 자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둘째,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서브 아이콘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표시부(210)의 소정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방식(이하 "자동 이동 모드"라 함)이다. 상기 자동 이동 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서브 아이콘이 표시부(210)의 소정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4(a)의 제어 아이콘(400) 중 상기 이동 모드에 관한 제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서브 아이콘은 표시부(210) 내의 소정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서브 아이콘은, 키 입력부(230)를 통한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부(210) 내의 소정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3) 분리 모드
상기 분리 모드는, 상기 기능 아이콘이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콘을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제어 모드이다. 상기 분리 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콘이 나머지 서브 아이콘들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터치 스크린(213) 상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인 경우, 제어부(200)는 상기 외부 터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터치된 서브 아이콘이 나 머지 서브 아이콘들과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콘이 표시부(210)의 소정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도 3의 방향 아이콘들이 분리 이동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 숨기기 모드
상기 숨기기 모드는,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을 표시부(210) 상에서 사라지게 하는 제어 모드이다.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숨기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기능 아이콘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콘을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숨기기 모드로 진입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213) 상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어느 서브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터치된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터치된 서브 아이콘은 표시부(210)에서 사라진다. 표시부(210)에서 사라진 기능 아이콘 또는 서브 아이콘은 사용자의 명령 신호에 의해 표시부(210)에 다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아이콘은, 상기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서브 기능의 실행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서브 기능의 실행 빈도에 따라,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한다.
도 8은, 도 7(a)의 방향 아이콘들 중 상/하 방향 아이콘을 숨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5) 크기 조절 모드
상기 크기 조절 모드는,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모드이다.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되는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크기 조절 모드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의 모서리 부분을 드래그함으로써, 상기 기능 아이콘의 표시 크기를 작게 혹은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혹은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서브 기능의 실행 빈도에 따라,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이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되는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右)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의 실행 빈도가 높은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右)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의 크기를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6) 투명도 조절 모드
상기 투명도 조절 모드는,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모드이다. 상기 투명도는, 다음의 세 가지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첫째,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의 투명도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도 4(a)의 제어 아이콘(400) 중 투명도 조절 모드가 할당된 제어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투명도 조절 모드로 진입함과 동시에 바(bar) 형태의 투명도 조절창을 제공한다. 사 용자는 상기 투명도 조절창을 통해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제어부(200)는,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서브 기능의 실행 빈도에 따라,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의 투명도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어느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실행 빈도가 낮은 경우, 그 서브 아이콘의 투명도를 높임으로써 희미하게 디스플레이한다.
셋째, 제어부(200)는,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이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의 투명도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상(上)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은 문자와 겹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상(上)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의 투명도를 높임으로써,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가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도 2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된 기능 아이콘을 표시부(210)에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S10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능 아이콘은, 각각 서로 다른 서브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 아이콘 및/또는 서브 아이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드 가 선택된다[S110]. 상기 제어 모드의 세부적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상기 제어 모드는, (1) 기능 수행 모드, (2) 이동 모드, (3) 분리 모드, (4) 숨기기 모드, (5) 크기 조절 모드 및 (6) 투명도 조절 모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S110 단계에서의 상기 제어 모드 선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제어 모드 선택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한 자동 선택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제어 모드 선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한 자동 선택은, S100 단계의 수행과 동시에 디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110 단계에서 선택된 제어 모드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 및/또는 서브 아이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각 제어 모드에 관한 구체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다. 각 제어 모드에 대한 개략적인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S110 단계에서 선택된 제어 모드가 기능 수행 모드인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선택된 제어 모드가 이동 모드인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능 아이콘 또는 서브 아이콘을 표시부(210) 상에서 이동시킨다.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는, 터치 스크린(213) 상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서브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선택된 제어 모드가 분리 모드인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콘이 나머지 서브 아이콘들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선택된 제어 모드가 숨기기 모드인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혹은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여부가 결정된다. 즉,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선택된 제어 모드가 크기 조절 모드인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혹은 그 사용 빈도에 따라, 그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선택된 제어 모드가 투명도 조절 모드인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 또는 상기 서브 아이콘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혹은 그 사용 빈도에 따라, 혹은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따라, 그 투명도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에 관한 기타 세부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 아이콘을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새로운 개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에 관한 다양한 제어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통해 단말기와 능동적으로 쌍방향 정보 교환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표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된 기능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에 오에스디(OSD: 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 아이콘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터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능 아이콘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이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혹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투명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그 표시되는 크기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각각 서로 다른 서브(sub)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서브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은,
    각각 서로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각각의 서브 아이콘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터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터치된 서브 아이콘이 나머지 서브 아이콘들과 분리되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콘이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혹은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서브 기능의 실행 빈도에 따라, 혹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여부와, 투명도와,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네비게이션 아이콘이고,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은 어느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은, 동일한 방향이 할당된 적어도 2개의 방향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방향 아이콘들은, 상기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가 서로 다르게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15.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에스디(OSD: On Screen Display) 기능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된 기능 아이콘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에 오에스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능 아이콘을 상기 표시부 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한 외부 터치의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혹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투명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그 표시되는 크기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각각 서로 다른 서브(sub)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서브 아이콘에 할당된 서브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은,
    각각 서로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서브 아이콘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신호에 따라, 혹은 그 사용 빈도에 따라, 혹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여부가 결정되거나, 그 투명도가 변화되거나, 그 크기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네비게이션 아이콘이고,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은 어느 방향이 할당된 방향 아이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아이콘들은, 동일한 방향이 할당된 적어도 2개의 방향 아이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방향 아이콘들은, 상기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가 서로 다르게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60034953A 2006-04-18 2006-04-18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8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953A KR100686165B1 (ko) 2006-04-18 2006-04-18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1/696,386 US7565628B2 (en) 2006-04-18 2007-04-04 Functional icon display system and method
CNA2007101013314A CN101060676A (zh) 2006-04-18 2007-04-17 功能图标显示系统和方法
EP07007838A EP1847917A3 (en) 2006-04-18 2007-04-17 Functional icon display system and method
JP2007108948A JP5174372B2 (ja) 2006-04-18 2007-04-18 機能アイコン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953A KR100686165B1 (ko) 2006-04-18 2006-04-18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165B1 true KR100686165B1 (ko) 2007-02-26

Family

ID=3810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953A KR100686165B1 (ko) 2006-04-18 2006-04-18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65628B2 (ko)
EP (1) EP1847917A3 (ko)
JP (1) JP5174372B2 (ko)
KR (1) KR100686165B1 (ko)
CN (1) CN10106067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3458A (ko) * 2010-09-03 2012-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140508B1 (ko) 2009-02-24 2012-04-30 김용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1607969B1 (ko) * 2009-05-11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38198B1 (ko) 2011-02-15 201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CN111627369A (zh) * 2020-05-14 2020-09-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显示方法、显示屏、显示屏组件以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2387B2 (en) * 2002-10-18 2007-07-10 Autodesk, Inc. Pen-mouse system
KR20080104858A (ko) * 2007-05-29 2008-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기반의 제스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그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 기기
KR101430519B1 (ko) * 2007-09-04 201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대기화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KR100984230B1 (ko) * 2008-03-20 2010-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면 제어 방법
EP2104024B1 (en) 2008-03-20 2018-05-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using the same
US9069575B2 (en) * 2008-03-25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related memory management
US9600261B2 (en) 2008-03-25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update scheduling
US9269059B2 (en) * 2008-03-25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port optimization for widget content delivery
US9110685B2 (en) * 2008-03-25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widg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9747141B2 (en) 2008-03-25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inter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1506488B1 (ko) * 2008-04-04 2015-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371002B2 (ja) * 2008-04-23 2013-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284468A (ja) * 2008-04-23 2009-12-03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00088628A1 (en) * 2008-10-07 2010-04-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ive preview of open windows
US20100146459A1 (en) * 2008-12-08 2010-06-10 Mikko Repka Apparatus and Method for Influencing Application Window Functionalit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ouch Initiated User Interface Manipulations
JP4627090B2 (ja) * 2009-01-23 2011-02-0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76292B1 (ko) * 2009-05-21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99288B1 (ko) * 2009-09-24 2016-03-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CN101819527B (zh) * 2009-12-28 2013-02-13 东南大学 一种提高嵌入式图形用户接口系统实时性的方法
JP5506522B2 (ja) * 2010-04-19 2014-05-28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37325B2 (ja) 2010-04-28 2013-07-17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US8531417B2 (en) 2010-09-02 2013-09-10 Blackberry Limited Location of a touch-sensitiv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P2431849B1 (en) * 2010-09-02 2013-11-20 BlackBerry Limited Location of a touch-sensitiv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2385475B (zh) * 2010-09-06 2017-04-1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交互方法
JP5606875B2 (ja) * 2010-10-29 2014-10-1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42457B1 (ko) * 2011-03-09 201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커서 운용방법
EP2761412A4 (en) * 2011-09-30 2015-07-01 Intel Corp MECHANISM FOR EMPLOYING AND FACILITATING A TOUCH PANEL TOUCH SENSOR IN A COMPUTER DEVICE
US8490008B2 (en) 2011-11-10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EP2776908A4 (en) 2011-11-09 2015-07-15 Blackberry Ltd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US9652448B2 (en) 2011-11-10 2017-05-1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or replacing on-keyboard prediction candidates
US9310889B2 (en) 2011-11-10 2016-04-12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9715489B2 (en) 2011-11-10 2017-07-25 Blackberry Limited Displaying a prediction candidate after a typing mistake
US9122672B2 (en) 2011-11-10 2015-09-01 Blackberry Limited In-letter word prediction for virtual keyboard
US9557913B2 (en) 2012-01-19 2017-01-31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display having a ticker proximate to the virtual keyboard
CA2789827C (en) 2012-01-19 2017-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KR20130092196A (ko) * 2012-02-10 2013-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셔터키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30222255A1 (en) 2012-02-24 2013-08-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3380407B (zh) 2012-02-24 2017-05-03 黑莓有限公司 在触摸屏键盘与候选字母靠近关联的分区中提供词预测的触摸屏键盘
US9201510B2 (en) 2012-04-16 2015-12-0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US9292192B2 (en) 2012-04-30 2016-03-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354805B2 (en) 2012-04-30 2016-05-3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207860B2 (en) 2012-05-25 2015-12-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gesture
JP6071107B2 (ja) 2012-06-14 2017-02-01 裕行 池田 携帯端末
EP2677410A1 (en) * 2012-06-21 2013-12-2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sition indicator
US9116552B2 (en) 2012-06-27 2015-08-25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selection of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US9063653B2 (en) 2012-08-31 2015-06-23 Blackberry Limited Ranking predictions based on typing speed and typing confidence
US9524290B2 (en) 2012-08-31 2016-12-20 Blackberry Limited Scoring predictions based on prediction length and typing speed
CN102932532B (zh) * 2012-09-27 2014-06-1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应用管理的方法及其移动终端
US20140152585A1 (en) * 2012-12-04 2014-06-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US9195382B2 (en) * 2013-01-29 2015-11-24 Google Inc. Intelligent window sizing and control
JP6154184B2 (ja) * 2013-04-26 2017-06-28 株式会社サミーネットワークス 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情報端末
CN103455248B (zh) * 2013-08-22 2017-02-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浏览文件的内容滑动方法和系统
US20150121306A1 (en) * 2013-10-30 2015-04-3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functions of media guidance applications
US20150193096A1 (en) * 2014-01-07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US10120557B2 (en) * 2014-04-14 2018-11-06 Ebay, Inc.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actions
CN104049895A (zh) * 2014-06-13 2014-09-17 广州金山网络科技有限公司 显示内容切换方法及系统
JP6356558B2 (ja) * 2014-09-25 2018-07-11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CN105677193A (zh) * 2014-11-18 2016-06-15 夏普株式会社 对象操作方法和电子设备
JP6655940B2 (ja) * 2015-10-13 2020-03-04 株式会社セラク 環境監視用の携帯端末
US20170199748A1 (en) * 2016-01-13 2017-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venting accidental interaction when render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CN105718173B (zh) * 2016-01-19 2019-12-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终端操控方法、终端操控装置和终端
US9871962B2 (en) 2016-03-04 2018-01-16 RollCall, LLC Movable user interface shutter button for camera
KR102607564B1 (ko) 2016-09-13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557232A (zh) * 2016-12-01 2017-04-05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在电子设备中控制光标的方法和设备
JP6659604B2 (ja) * 2017-02-27 2020-03-04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USD954104S1 (en) * 2018-07-24 2022-06-07 Magic Leap,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377382A (zh) * 2019-06-27 2019-10-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提醒消息显示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609A (ko) * 2002-06-12 2003-12-24 현대디지텍 주식회사 Lcd 화면에 한글 메뉴를 표시하여 기능버튼을공용화하는 홈오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55284A (ko) * 2003-12-06 2005-06-13 (주)토마토엘에스아이 Osd기능을 갖는 구동장치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및그 osd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5625A (ja) * 1990-11-28 1992-07-1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827612B2 (ja) * 1991-10-07 1998-11-25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の表示方法。
US6057844A (en) * 1997-04-28 2000-05-02 Adobe Systems Incorporated Drag operation gesture controller
KR980007559A (ko) * 1997-11-11 1998-03-30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 구현장치 및 방법
US6037937A (en) * 1997-12-04 2000-03-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Navigation tool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00347645A (ja) * 1999-03-31 2000-12-15 Sony Corp 画像表示処理方法、画像表示処理プログラム格納媒体、および画像表示処理装置
WO2000073970A2 (en) * 1999-05-19 2000-12-07 Nicholas James J Cursor movable interactive message
JP3773716B2 (ja) * 1999-09-13 2006-05-10 富士通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表示装置及びその装置での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て行なわ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AU2002226886A1 (en) * 2000-11-09 2002-05-21 Change Tools, Inc. A user definable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3872322B2 (ja) * 2001-09-17 2007-01-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パネルに対応した入力方法、入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TWI238348B (en) * 2002-05-13 2005-08-21 Kyocera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7242387B2 (en) * 2002-10-18 2007-07-10 Autodesk, Inc. Pen-mouse system
JP2005328379A (ja) * 2004-05-14 2005-11-24 Toshiba Corp 入力ガイド表示操作システム
EP1774427A2 (en) * 2004-07-30 2007-04-18 Apple Computer, Inc.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100624744B1 (ko) 2004-10-20 2006-09-18 대구텍 주식회사 핀 밀러 커터용 인서트 팁
JP4602166B2 (ja) * 2005-06-07 2010-12-22 富士通株式会社 手書き情報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609A (ko) * 2002-06-12 2003-12-24 현대디지텍 주식회사 Lcd 화면에 한글 메뉴를 표시하여 기능버튼을공용화하는 홈오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55284A (ko) * 2003-12-06 2005-06-13 (주)토마토엘에스아이 Osd기능을 갖는 구동장치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및그 osd 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08B1 (ko) 2009-02-24 2012-04-30 김용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1607969B1 (ko) * 2009-05-11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23458A (ko) * 2010-09-03 2012-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88942B1 (ko) *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38198B1 (ko) 2011-02-15 201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CN111627369A (zh) * 2020-05-14 2020-09-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的显示方法、显示屏、显示屏组件以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93849A (ja) 2007-11-08
US20070245269A1 (en) 2007-10-18
JP5174372B2 (ja) 2013-04-03
US7565628B2 (en) 2009-07-21
CN101060676A (zh) 2007-10-24
EP1847917A3 (en) 2011-09-28
EP1847917A2 (en)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165B1 (ko)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467729B2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television
US10282081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JP3630153B2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5580694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1835385A2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266079A1 (en) Usability of cross-device user interfaces
CN101667058B (zh) 在多系统间切换焦点的交互方法
WO2008044321A1 (fr) Logiciel et système informatique de support d'opération
JP2014021787A (ja) 文字列選択装置、文字列選択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29988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74928B1 (ko) 투명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투명아이콘의 디스플레이방법
JP5875262B2 (ja) 表示制御装置
KR101085239B1 (ko) 양면 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US20220269382A1 (en) Command display control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and apparatus
TW201317881A (zh) 使用觸控模組編輯螢幕顯示選單的方法
KR10192086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JP4900955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7215857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24970B1 (ko) 복수 개의 화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51029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74752B1 (ko) 스마트 기기용 터치 마우스 장치
US9143588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n enlarged-display function, method for controlling enlarged display, and computer-read-enabled recording medium
CN112771488A (zh) 操作输入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