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664B1 -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664B1
KR100685664B1 KR1020050074128A KR20050074128A KR100685664B1 KR 100685664 B1 KR100685664 B1 KR 100685664B1 KR 1020050074128 A KR1020050074128 A KR 1020050074128A KR 20050074128 A KR20050074128 A KR 20050074128A KR 100685664 B1 KR100685664 B1 KR 10068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be
data
client
wake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304A (ko
Inventor
서진호
김병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664B1/ko
Priority to US11/486,931 priority patent/US20070055795A1/en
Priority to CNA2006101091978A priority patent/CN1913445A/zh
Priority to DE102006038369A priority patent/DE102006038369A1/de
Publication of KR2007001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4Testing correct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Sour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간 시리얼 링크로 연결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고, 차동 데이터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을 상당 기간 동안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호스트는 차동 데이터 채널로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시키고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킨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킨다.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 단방향으로 또는 쌍방향으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DAT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HOST AND CLIEN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AT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입출력 클라이언트, 입출력 호스트 및 시리얼 링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의 시리얼 링크를 통한 파워-다운 상태 진입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의 시리얼 링크를 통한 파워-다운 모드 진입 절차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호스트에 의한 웨이크-업 절차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호스트에 의한 웨이크-업 절차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웨이크-업 절차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웨이크-업 절차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클라이언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시리얼 링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클라이언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시리얼 링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로부터 클라이언트로의 단방향(uni-direc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클라이언트 양방향(bi-direc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트로브 전송부 20 : 스트로브 검출부
30 : 스트로브 수신부 50 : 웨이크-업 발생부
60 : 웨이크-업 검출부 70 : 데이터 전송부
80 : 데이터 수신부
100a, 100b, 100c : 입출력 호스트
200a, 200b, 200c : 입출력 클라이언트
300 : 호스트 400 : 클라이언트
500 : 제1 호스트 600: 제1 클라이언트
700 : 제2 클라이언트 800 : 제2 호스트
본 발명은 호스트(Host) 및 클라이언트(Client)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에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시리얼 링크(serial link)를 이용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파워다운(Power-Down) 및 웨이크-업(Wake-Up)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 시리얼 링크로 연결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는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 시리얼 링크를 통하여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수신한다.
시리얼 링크(Serial Link)로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host) 및 클라이언트(client)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이 상당 기간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파워다운 모드(Power-Down Mode)로 진입하여 전력 소모를 줄인다.
또한, 파워다운 모드에서 벗어나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웨이크-업(Wake-Up) 절차를 거쳐 정상 동작 모드(Normal Operation Mode)로 진입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종래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 적용되는 파워다운/웨이크-업 기술로는 퀄컴(QualComm)사에서 제안한 규격인 MDDI(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규격에 포함되어 있는 파워다운/웨이크-업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MDDI 규격에 포함되어 있는 파워다운/웨이크-업 방식은 데이터 채널만을 이용하여 파워다운 및 웨이크-업 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새로운 프로토콜(Protocol)로 정의된 파워다운 및/또는 웨이크-업 과정을 수행하는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새로운 프로토콜로 정의된 파워다운 및/또는 웨이크-업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와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상기 호스트는 상기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시키고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킨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킨다. 상기 호스트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호 스트와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스트로브 채널로 제공하는 스트로브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차동 웨이크-업(Wake-up)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 검출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로 차동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호스트; 및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된 경우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로브 검출부와,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데이터 채널로 제공하는 웨이크-업 발생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에 웨이크-업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는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웨이크-업 검출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웨이크-업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제1 호스트와 제1 스트로브 채널 및 제1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호스트와 제2 스트로브 채널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제2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상기 호스트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power-down) 상태로 진입시키고 또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각각 상기 파워다운 상태의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 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제1 호스트와 제1 스트로브 채널 및 제1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호스트와 제2 스트로브 채널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제2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 각각은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스트로브 채널로 제공하는 스트로브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차동 웨이크-업(Wake-up)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 검출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로 차동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각각은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된 경우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로브 검출부와,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데이터 채널로 제공하는 웨이크-업 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각각은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한다.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는 각각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된 경우 웨이크-업 될 수 있다. 상기 제1 호스트 및 제2 호스트는 각각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 서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경우 웨이크-업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호스트와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키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트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킬 수 있다.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power-down) 상태로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키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검출한 경우 웨이크-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에서 웨이크-업 마스크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스트로브 채널이 파워다운 상태 진입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웨이크-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경우 웨이크-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호스트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측이고, 클라이언트는 상기 대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이다. 예를 들어 호스트가 모바일 단말기의 이미지 센서인 경우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뎀(modem)이 될 수 있고, 호스트가 모바일 단말기의 모뎀(modem)인 경우 클라이언트는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영상 표시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입출력 클라이언트, 입출력 호스트 및 시리얼 링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입출력 호스트(I/O host, 100a), 스트로브 채널(strobe channel, 15a, 15b), 데이터 채널(55a, 55b) 및 입출력 클라이언트(I/O client, 100b)를 포함한다. 스트로브 채널(15a, 15b)은 스트로브 커넥터(12, 14, 16, 18), 제1 및 제2 전송선(15a, 15b)으로 이루어진다. 스트로브 신호는 차동 쌍(differential pair)의 전송선을 통하여 채널 노이즈에 강한 특성을 갖도록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로 전송된다. 데이터 채널(55a, 55b)은 데이터 커넥터(56, 58, 52, 54), 제3 및 제4 전송선(55a, 55b)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신호는 차동 쌍의 전송선을 통하여 차동 신호로서 전송된다.
입출력 호스트(100a)는 스트로브 전송부(10), 웨이크-업 검출부(60), 데이터 전송부(70)로 구성된다.
입출력 클라이언트(100b)는 스트로브 수신부(30), 스트로브 검출부(20), 웨이크-업 발생부(50) 및 데이터 수신부(80)로 구성된다.
입출력 호스트(100a)의 스트로브 전송부(10)는 스트로브 신호 STB_A를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전송선(15a, 15b)을 통하여 스트로브 수신부(30)로 전송한다. 호스트측은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시킨다.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자체 클럭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수신된 스트로브 신호 STB_Y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내부 클럭(clock)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출력 클라이언트(100b)의 스트로브 검출부(20)는 입출력 호스트(100a)로부터 전송된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검출하여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를 출력한다. 스트로브 검출부(20)는 스트로브 검출부 제어 신호 STB_SD_OFF에 응답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예를 들어, 스트로브 검출부 제어 신호 STB_SD_OFF가 논리 하이 상태를 가지는 경우 턴온되고, 논리 로우 상태를 가지는 경우 턴오프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입출력 호스트(100a)의 데이터 전송부(70)는 데이터 DAT_A를 차동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제3 및 제4 전송선(55a, 55b)을 통하여 데이터 수신부(80)로 전송한다.
입출력 클라이언트(100b)의 웨이크-업 발생부(50)는 웨이크-업 신호 DAT_WKUP_A를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변환하여 제3 및 제4 전송선(55a, 55b)을 통하여 입출력 호스트(100a)의 웨이크-업 검출부(60)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측은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함으로써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킨다.
웨이크-업 발생부(50)는 웨이크-업 발생부 제어 신호 DAT_WKUP_OFF에 응답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발생부 제어 신호 DAT_WKUP_OFF가 논리 하이 상태를 가지는 경우 턴온되고, 논리 로우 상태를 가지는 경우 턴오프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입출력 호스트(100a)의 웨이크-업 검출부(60)는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여 웨이크-업 검출 신호 DAT_SD_Y를 출력한다. 웨이크-업 검출부(60)는 웨이크-업 검출부 제어 신호 DAT_SD_OFF에 응답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검출부 제어 신호 DAT_SD_OFF가 논리 하이 상태를 가지는 경우 턴오프되고 논리 로우 상태를 가지는 경우 턴온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채널을 확장하여 호스트-클라이언트 간 데이터 송-수신양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채널을 2개로 확장한 경우, 두 번째 데이터 채널은 도 1의 웨이크-업 검출부(60) 및 웨이크-업 발생부(50)를 공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호스트에 의한 파워다운 모드 진입 방법, 호스트에 의한 웨이크-업 방법 및 클라이언트에 의한 웨이크-업 방법에 대해 설명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의 시리얼 링크를 통한 파워-다운 상태 진입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노멀 동작 상태(normal operation state)에서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고, 차동 데이터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한다. 여기서, 차동 데이터 신호는 패킷의 형태로 전송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스트로브 채널이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스트의 데이터 전송부(70)가 소정의 파워다운 식별자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구간 P1). 여기서, 상기 파워다운 식별자는 파워 다운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신호가 될 수 있고 또는 마지막 패킷임을 알리는 EOP(End Of Packet) 신호가 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즉에서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후 t1 시간 내에 스트로브 검출부 제어 신호 STB_SD_OFF를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시켜 스트로브 검출부(20)를 턴온시킨다.
호스트는 EOP 패킷을 전송한 후 t1' 시간 후에 웨이크-업 검출부 제어 신호 DAT_SD_OFF를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시킨다. 그 결과, 웨이크-업 검출부 제어 신호 DAT_SD_OFF의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웨이크-업 검출부(60)를 턴온시킨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 t1' 시간은 t1 시간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t1' 시간은 t1 보다 큰 값을 가질 수도 있다.
호스트의 데이터 전송부(70)는 파워다운 식별자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t2) 동안(포스트-프로세싱 상태, P2 구간) 아이들 패킷을 전송하여 데이터 채널을 '로우' (또는 하이)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포스트-프로세싱 상태 동안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어 현재 클라이언트의 각종 상태(status) 정보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동작 등의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할 때 필요한 제반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t2는 클라이언트가 수행할 작업량에 의해 결정된다.
P2 구간 후 스트로브 채널은 하이 임피던스(Hi-Z) 상태로 되면서 실제 파워다운 상태(P3 구간)에 진입하게 된다.
스트로브 채널이 하이 임피던스(Hi-Z) 상태로 된 후 t3 시간 후에 스트로브 채널에 연결된 스트로브 검출부(20)에서 스트로브 채널의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감지하면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는 논리 하이 레벨에서 논리 로우 레벨로 천이된다.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의 하강 에지에 응답하여 스트로브 채널의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감지한 후부터 t4 시간 내에 스트로브 수신부 제어신호 STB_RX_OFF 및 데이터 수신부 제어 신호 DAT_RX_OFF를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시킨다. 그 결과, 스트로브 수신부 제어신호 STB_RX_OFF 및 데이터 수신부 제어 신호 DAT_RX_OFF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가 턴오프된다.
포스트-프로세싱 상태(P2 구간) 동안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를 턴온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스트로브 검출부(20)에서 스트로브 채널의 하이 임피던스(Hi-Z) 상태를 검출한 경우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의 논리 상태를 천 이시켜 데이터 채널의 아이들 상태(Idle State)가 종료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브 수신부 제어신호 STB_RX_OFF 및 데이터 수신부 제어 신호 DAT_RX_OFF를 스트로브 검출부(20)가 턴온된 후 t4' 시간 후에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시켜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를 턴오프시킬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웨이크-업 검출부(60)가 턴온되는 시점과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가 턴오프되는 시점이 모두 같은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웨이크-업 검출부(60)가 턴온되는 시점과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가 턴오프되는 시점은 서로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웨이크-업 검출부(60)를 먼저 턴온시킨 후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를 턴오프시킬 수도 있고,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를 먼저 턴오프시킨 후 웨이크-업 검출부(60)를 턴온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채널의 아이들 상태(Idle State)가 종료되어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하면 호스트는 내부적으로 t5 시간 동안 웨이크-업 마스크 신호 REWAKEUP_MASK 신호를 발생시켜 데이터 채널 및 스트로브 채널이 파워다운 상태 진입 후 일정 시간 동안에는 다시 깨어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호스트는 별도의 웨이크-업 마스크 신호 REWAKEUP_MASK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파워다운 상태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가 켜져 있고(STB_SD_OFF = Low),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가 켜져 있으며(DAT_SD_OFF = Low), 나머지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는 모두 꺼져 있는 상태이다. 또한,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에 있다. 또는 파워다운 상태에서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풀-다운(Pull-Down) 회로를 추가하여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이 로우(Low) 상태에 있게 할 수도 있고, 풀-업(Pull-Up) 회로를 추가하여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이 하이(High) 상태에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워다운 상태에서는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 및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만이 턴온되어 전류를 소모하고,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는 꺼져 있으므로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상 동작 상태에 비해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 및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의 턴온 전류를 충분히 작게 설계하여 파워다운 상태에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호스트에 의한 웨이크-업 절차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웨이크-업(Wake-Up) 방법은 크게 호스트가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위해 호스트측에서 개시하는 호스트 기동 웨이크-업(Host Initiated Wake-Up)과 클라이언트측에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측에서 개시하는 클라이언트 기동 웨이크-업(Client Initiated Wake-Up)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 두 가지 경우가 우연히 일치하는 경쟁 웨이크-업(Wake-Up with Contention)이 발생할 수 있다.
파워다운 상태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가 켜져 있고(STB_SD_OFF = Low),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가 켜져 있으며(DAT_SD_OFF = Low), 나머지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는 모두 꺼져 있는 상태이다.
먼저, 호스트의 스트로브 전송부(10)가 스트로브 신호 STB_A를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변환하여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고,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가 검출한다. 즉, 호스트가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을 시작한 후부터 t6 후에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가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액티브된다.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t7 시간 후에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 제어 신호 STB_SD_OFF를 하이 레벨로 액티브시켜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를 끈다. 또한,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t7 시간 후에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수신부 제어 신호 STB_RX_OFF 및 데이터 수신부 제어 신호 DAT_RX_OFF를 로우 레벨로 천이시켜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를 켠다.
한편,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는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가 꺼진 후 t7' 후에 켜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호스트 웨이크-업(Host wake-up) 구간은 t8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상기 t8 시간은 호스트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호스트 웨이크-업 구간 동안 스트로브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링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호스트 웨이크-업 구간 후에 채널이 웨이크-업 되어 호스트는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고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된다.
이후, 클라이언트는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 동안(t9) 토글링하는 스트로브 신호 STB_Y를 이용하여 내부 클럭을 생성하고, 정상 동작 상태(Normal Operation State)로 진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브 신호 STB_A 및 STB_Y는 정상 동작 상태에서는 데이터 신호 DAT_Y가 토글링하는 경우에는 토글링하지 않고, 데이터가 토글링하지 않는 경우에 토글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웨이크-업 절차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클라이언트가 웨이크-업을 하는 경우는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0)가 웨이크-업 신호 DAT_WKUP_A를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고,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에서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여 호스트 시스템을 깨어나게 한다.
파워다운 상태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가 켜져 있고(STB_SD_OFF = Low),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가 켜져 있으며(DAT_SD_OFF = Low), 나머지 스트로브 수신부(30) 및 데이터 수신부(80)는 모두 꺼져 있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먼저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0)가 켜지고 (DAT_WKUP_OFF = Low),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0)가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한다.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여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0)가 켜진 후 t10 시간 후에 웨이크-업 검출 신호 DAT_SD_Y를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액티브시킨다.
웨이크-업 검출 신호 DAT_SD_Y가 하이 레벨로 액티브된 후 t11 시간 후에 웨이크-업 검출부 제어 신호 DAT_SD_OFF를 하이 레벨로 천이시켜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를 끈다.
상기와 같은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0)가 켜진 이후부터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0)를 끄는데 까지는 t12로 정해진 일정 시간 이내에 이루어진다. 상기 t12 시간은 클라이언트 및 호스트 시스템 구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웨이크-업(Client Wake-Up) 구간(t12)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0)가 데이터 채널을 구동한다.
이후 t16 시간 동안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를 거친 후에 정상 동작 상태(Normal Operation State)로 진입한다.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 중 t13 동안에는 호스트는 스트로브 신호 STB_A를 토글링(Toggling) 하여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고 차동 데이터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며,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한다. 따라서,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 중 t13 동안에는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기 때문에 데이터 채 널의 신호가 2배로 커지게 된다.
호스트가 스트로브 신호 STB_A를 토글링(Toggling) 하여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면,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는 호스트로부터의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호스트가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구동을 시작한 후부터 t10 후에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가 논리 로우 레벨에서 논리 하이 레벨로 액티브된다. 여기서, t10은 t13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에서는 웨이크-업 발생부 제어신호 DAT_WKUP_OFF는 논리 하이 레벨로 천이되어 웨이크-업 발생부(50)를 끄게 되고, 호스트만 데이터 채널을 t14 시간 동안 구동하게 된다. 즉, 웨이크-업의 주도권이 호스트로 넘어가게 된다.
클라이언트에서는 호스트로부터 차동 데이터 신호에 의해 데이터 채널이 구동됨을 감지하면 t12 시간 후 t15 시간 내에 스트로브 채널의 스트로브 수신부(30)를 켜고(STB_RX_OFF = Low), 데이터 채널의 데이터 수신부(80)를 켠다(DAY_RX_OFF = Low). 여기서, t15는 t16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에 있는 웨이크-업 발생부(50)가 꺼진 이후에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수신부(30)를 켜고(STB_RX_OFF = Low), 데이터 채널의 데이터 수신부(80)를 켤 수도 있다(DAY_RX_OFF = Low).
상기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는 t16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정상 동작 상태(Normal Operation State)에서는 호스트의 데이터 전송부(70) 가 차동 데이터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0)는 호스트의 스트로브 전송부(10) 또는 데이터 전송부(70)와 동일한 회로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간단히 구성하기 위해 전류원(Current Source)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웨이크-업을 요구하여 충돌(Contention)이 일어나는 경우는 스트로브 채널에 연결된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검출부(20)가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감지하고, 동시에 호스트의 데이터 채널에 연결된 웨이크-업 검출부(60)가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이다.
클라이언트가 웨이크-업 절차를 수행하고 있을 때 클라이언트의 스트로브 채널에 연결된 스트로브 검출부(20)에서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레벨로의 천이를 감지한 경우에 클라이언트는 바로 웨이크-업의 주도권(ownership)을 호스트로 넘겨주게 되고(도 6 및 도 7의 t14 구간), 이 후 호스트 기동 웨이크-업(Host Initiated Wake-Up Procedure)을 거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클라이언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시리얼 링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1) 및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1)를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8의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1)는 웨이크-업 신호 DAT_WKUP_A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지 않고 전송하며,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1)는 전송선(55a)을 통해 전송받은 웨이크-업 신호 DAT_WKUP_A를 기준 전압 Vs와 비교하여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 DAT_WKUP_A가 기준 전 압 Vs보다 큰 경우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클라이언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시리얼 링크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호스트의 웨이크-업 발생부(11) 및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검출부(21)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9는 호스트의 스트로브 채널에 웨이크-업 발생부(11)를 별도로 더 포함하며, 웨이크-업 발생부(11)는 웨이크-업 신호 STB_WKUP_A를 차동 신호로 변환하지 않고 전송하며,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검출부(21)는 전송선(15a)을 통해 전송받은 웨이크-업 신호 STB_WKUP_A를 기준 전압 Vs와 비교하여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 STB_WKUP_A가 기준 전압 Vs보다 큰 경우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의 클라이언트의 웨이크-업 발생부(51), 웨이크-업 검출부(21), 호스트의 웨이크-업 발생부(11) 및 호스트의 웨이크-업 검출부(61)를 클라이언트 및 호스트 시스템에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로부터 클라이언트로의 단방향(uni-direc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호스트측은 호스트 컨트롤러(330), 직렬화기(320) 및 입출력 호스트(310)를 포함하며, 클라이언트측은 클라이 언트 컨트롤러(430), 역직렬화기(420) 및 입출력 클라이언트(410)를 포함한다. 입출력 호스트(310) 및 입출력 클라이언트(410)는 도 1, 도 8 및 도 9의 구성과 동일하다.
호스트 컨트롤러(320)는 패킷 수집기(150), 내부 컨트롤러(finite state machine, 140), 레지스터(special function register, 160) 및 물리계층 컨트롤러(Physical layer controller, 130)를 포함한다. 직렬화기(320)는 제1 클럭 발생기(110) 및 P2S(parallel-to-serial, 120)를 포함한다.
제1 클럭 발생기(110)는 시리얼 통신을 위한 클럭들인 bit_clk, byte_clk, word_clk, hword_clk을 생성한다. 또한, 제1 클럭 발생기(110)는 스트로브 신호 STB_A를 생성하여 스트로브 전송부(1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bit_clk은 400MHz의 주파수를 가지며, byte_clk은 bit_clk을 8분주한 50MHZ, word_clk은 bit_clk를 32분주한 12.5MHZ, hword_clk은 bit_clk를 16분주한 25M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패킷 수집기(150)는 데이터 전송 요청 등의 커맨드 및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내부 컨트롤러(140)로 전송한다.
내부 컨트롤러(140)는 word_clk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 등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소정의 패킷 형태로 패킷화하여 물리계층 컨트롤러(130)로 제공하고, 정상 동작 상태에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가 모두 파워다운 상태에서 클라이언트측의 웨이크-업 발생부(60)가 동작하여 호스트로 웨이크-업 신호 DAT_WKUP_A를 전송한 경우, 웨이 크-업 검출기(60)로부터 수신된 웨이크-업 검출 신호 DAT_SD_Y는 내부 컨트롤러(140)로 제공되며, 내부 컨트롤러(140)는 호스트 컨트롤러(330)를 웨이크-업 시킨다. 또한, 내부 컨트롤러(140)는 도 2의 파워다운 상태로의 진입 동작을 제어한다.
물리계층 컨트롤러(130)는 byte_clk 및 hword_clk 클럭에 응답하여 워드 단위(word-wise)의 패킷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byte-wise)의 패킷 스트림으로 분해하고, 상기 패킷 스트림에 에러 정정 코드(ECC, Error Correction Code) 및 에러 검출 코드(EDC, Error Detection Code)를 부가하여 P2S(120)로 전송한다.
레지스터(160)는 패킷 수집기(150), 내부 컨트롤러(140) 및 물리계층 컨트롤러(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s) 및 구성 레지스터(configuration register)를 포함한다.
직렬화기(120)는 bit_clk 및 byte_clk에 응답하여 워드 단위의 8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1비트의 직렬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송부(70)로 제공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컨트롤러(420)는 패킷 분배기(250), 내부 컨트롤러(finite state machine, 240), 레지스터(special function register, 260) 및 물리계층 컨트롤러(Physical layer controller, 230)를 포함한다. 역직렬화기(420)는 제2 클럭 발생기(210) 및 S2P(serial-to-parallel, 220)를 포함한다.
제2 클럭 발생기(210)는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 및 데이터 수신부(80)의 출력인 데이터 신호 DAY_Y를 조합하여 클라이언트의 내부 클럭들(bit_clk, byte_clk, word_clk, hword_clk)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2 클럭 발생기(210)는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 및 데이터 신호 DAY_Y를 배타적 논리합(XOR)하여 내부 클럭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2 클럭 발생기(210)가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 및 데이터 신호 DAY_Y를 조합하여 클라이언트의 내부 클럭들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2 클럭 발생기(210)는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만을 이용하여 내부 클럭들을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S2P(220)는 데이터 수신부(80)로부터 1비트의 직렬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bit_clk 및 byte_clk에 응답하여 1비트의 직렬 데이터 스트림을 워드 단위의 8비트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물리계층 컨트롤러(130)로 제공한다.
레지스터(160)는 패킷 분배기(250), 내부 컨트롤러(240) 및 물리계층 컨트롤러(2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복수개의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s) 및 구성 레지스터(configuration register)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계층 컨트롤러(230)는 byte_clk 및 hword_clk 클럭에 응답하여 바이트 단위(byte-wise)의 패킷 데이터를 워드 단위(word-wise)의 패킷으로 변환하고, 에 에러 정정 코드(ECC) 및 에러 검출 코드(EDC)를 제거한 후 내부 컨트롤러(240)로 전송한다. 패킷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물리계층 컨트롤러(230)는 에러가 발생한 패킷 데이터를 폐기하거나 에러를 정정한다.
내부 컨트롤러(240)는 word_clk에 응답하여 상기 물리계층 컨트롤러(130)로부터 제공된 패킷 데이터로부터 원래 데이터를 추출한 후 패킷 분배기(250)로 제공한다.
스트로브 검출기(20)로부터 수신된 스트로브 검출 신호 STB_SD_Y는 내부 컨 트롤러(240)로 제공된다. 또한, 내부 컨트롤러(240)는 웨이크-업 신호 DAT_WKUP_A를 발생시켜 도 6 및 도 7의 웨이크-업 진입 동작을 제어한다
패킷 분배기(250)는 내부 컨트롤러(240)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클라이언트내의 LCD 패널부 또는 모뎀 블록 등의 다른 기능 블록(미도시)으로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클라이언트 양방향(bi-direc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양방향(bi-direc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제1 호스트(500) 및 제1 클라이언트(600), 제2 클라이언트(700) 및 제2 호스트(800)를 포함한다.
제1 호스트(500)는 호스트 컨트롤러(530), 직렬화기(520) 및 입출력 호스트(510)를 포함하며, 제1 클라이언트(600)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630), 역직렬화기(620) 및 입출력 클라이언트(610)를 포함한다. 제2 클라이언트(700)는 클라이언트 컨트롤러(730), 역직렬화기(720) 및 입출력 클라이언트(710)를 포함하며, 제2 호스트(800)는 호스트 컨트롤러(830), 직렬화기(820) 및 입출력 호스트(8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호스트(500) 및 제1 클라이언트(600) 그리고, 제2 클라이언트(700) 및 제2 호스트(800)의 각 내부 구성 블록들은 도 10과 동일하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호스트(500) 및 제2 클라이언트(700)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뎀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클라이언트(700)는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영상 표시 패널 등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호스트(800)는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의 이미지 센서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의 모뎀으로부터의 대용량 영상 데이터가 제1 호스트(500)를 통하여 제1 클라이언트(600)의 액정 표시 패널로 전송되고, 이미지 센서로부터 제2 호스트(800)를 통하여 제2 클라이언트(7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1 클럭 발생기(110)를 직렬화기(120)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직렬화기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내부 컨트롤러(14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2 클럭 발생기(210)를 역직렬화기(420)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역직렬화기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의 내부 컨트롤러(24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는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power-down) 상태로 진입시키고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키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킨다.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 단방향으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 쌍방향으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데이터 채널을 확장하여 호스트-클라이언트 간 데이터 송-수신양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웨이크-업을 원하여 경쟁(contention)이 발생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호스트로부터의 스트로브 검출 신호의 액티브 상태로의 천이시에 바로 웨이크-업의 주도권(ownership)을 호스트로 넘겨주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측의 내부 컨트롤러(fsm)에서는 스트로브 검출 신호만을 이용하여 호스트와 클라이언트간의 컨텐션 발생시의 처리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3)

  1. 호스트와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시키고,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키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스트로브 채널이 구동되는 것을 검출하여 웨이크-업되며,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된 경우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스트로브 채널이 하이-임피던스 상태인 경우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웨이크-업 마스크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스트로브 채널이 파워다운 상태 진입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웨이크-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경우 웨이크-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가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 상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검출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스트로브 채널로 제공하는 스트로브 발생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된 차동 웨이크-업(Wake-up)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 검출부; 및
    상기 데이터 채널로 차동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에 응답하여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로브 검출부; 및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데이터 채널로 제공하는 웨이크-업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뎀과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상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이미지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 신 시스템.
  14. 호스트와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스트로브 채널로 제공하는 스트로브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차동 웨이크-업(Wake-up)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 검출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로 차동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호스트; 및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된 경우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로브 검출부와,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데이터 채널로 제공하는 웨이크-업 발생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웨이크-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스트로브 채널이 하이-임피던스 상태인 경우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가 비활성화된 후 소정 시간후 상기 스트로브 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데이터 채널로 상기 파워다운 식별자를 제공한 후 소정 시간 후 상기 웨이크-업 검출부를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웨이크-업 마스크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스트로브 채널이 파워다운 상태 진입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웨이크-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0. 삭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가 활성화된 후 소정 시간후 상기 스트로브 검출부를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스트로브 검출 신호가 활성화된 후 소정 시간후 상기 스트로브 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웨이크-업 검출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웨이크-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웨이크-업 검출 신호가 활성화된 후 소정 시간 후 상기 웨이크-업 검출부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가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 상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검출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웨이크-업 발생부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수신하는 스트로브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차동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뎀과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영상 표시 패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이미지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기의 모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데이터 신호는 패킷 형태의 시리얼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1. 제1 호스트와 제1 스트로브 채널 및 제1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호스트와 제2 스트로브 채널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제2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기 호스트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상기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를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시키고 또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각각 상기 파워다운 상태의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4. 제1 호스트와 제1 스트로브 채널 및 제1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호스트와 제2 스트로브 채널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제2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호스트 각각은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스트로브 채널로 제공하는 스트로브 발생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차동 웨이크-업(Wake-up)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웨이크-업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 검출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로 차동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 각각은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된 경우 스트로브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스트로브 검출부와, 차동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데이터 채널로 제공하는 웨이크-업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상기 차동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는 각각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가 검출된 경우 웨이크-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트 및 제2 호스트는 각각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경우 웨이크-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7. 호스트와 스트로브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결합된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power-down) 상태로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키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로 소정의 파워다운(power-down) 식별자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파워다운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에서 스트로브 채널이 구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는 차동 스트로브 신호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차동 웨이크-업 신호로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40. 삭제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스트로브 채널을 구동하여 파워다운 상태의 클라이언트를 웨이크-업(wake-up)시키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차동 스트로브 신호를 검출한 경우 웨이크-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에서 웨이크-업 마스크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스트로브 채널이 파워다운 상태 진입 후 소정 시간 동안에는 웨이크-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을 구동하여 상기 호스트를 웨이크-업 시키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에서 상기 파워다운 상태에서 상기 차동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경우 웨이크-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050074128A 2005-08-12 2005-08-12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068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28A KR100685664B1 (ko) 2005-08-12 2005-08-12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11/486,931 US20070055795A1 (en) 2005-08-12 2006-07-14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multi-channel power-down and wake-up
CNA2006101091978A CN1913445A (zh) 2005-08-12 2006-08-09 具有多信道省电和唤醒的数据通信系统和方法
DE102006038369A DE102006038369A1 (de) 2005-08-12 2006-08-11 Host-Client-Datenkommunikationssystem und Betriebsverfah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28A KR100685664B1 (ko) 2005-08-12 2005-08-12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304A KR20070019304A (ko) 2007-02-15
KR100685664B1 true KR100685664B1 (ko) 2007-02-26

Family

ID=3768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128A KR100685664B1 (ko) 2005-08-12 2005-08-12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55795A1 (ko)
KR (1) KR100685664B1 (ko)
CN (1) CN1913445A (ko)
DE (1) DE102006038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42988A (en) * 2006-05-05 2007-11-16 Inventec Appliances Corp Interface transmission structure between modules and its method
KR100936445B1 (ko) * 2008-01-11 2010-01-13 한국과학기술원 고속 직렬-병렬 변환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5019A (ko) * 2008-05-26 2011-02-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동작 모드로부터 대기 모드로 및 대기 모드로부터 동작 모드로의 멀티미디어 소스 및 멀티미디어 싱크를 스위칭하는 방법
CN101369948B (zh) * 2008-09-19 2011-01-26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低功耗的通信系统
TWI421768B (zh) * 2008-09-22 2014-01-01 Asustek Comp Inc 具行動通信的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CN101373399B (zh) * 2008-09-22 2014-12-3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具有移动通信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TWI411331B (zh) * 2009-04-23 2013-10-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具有省電功能的網路系統之裝置及相關方法
JP5187277B2 (ja) * 2009-06-16 2013-04-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モード切り替え方法
EP2391056B1 (en) * 2010-05-26 2013-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a player device and method for wake-up thereof
US8542666B2 (en) * 2010-07-29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efficient idle operation in a dual SIM CDMA EVDO mobile station
US8018250B1 (en) * 2010-10-19 2011-09-13 Xilinx, Inc. Input/output block and operation thereof
US9285856B2 (en) 2010-12-21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apid entry into and for rapid exiting from sleep states for processors of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9104499B2 (en) 2010-12-21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or minimizing resource latency between processor application state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by scheduling resource state set transitions
US9098259B1 (en) * 2011-05-26 2015-08-04 Amazon Technologies, Inc. Secure digital input/output low-power mode
US8954980B2 (en) * 2011-11-11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Conserving power through work load estimation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ing scheduled resource set transitions
KR102253703B1 (ko) * 2014-08-06 202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모드에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1023379B2 (en) * 2019-02-13 2021-06-01 Google Llc Low-power cached ambient computing
CN114208388A (zh) * 2019-07-10 2022-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的多链路通信
CN111625484B (zh) * 2020-05-22 2023-04-2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通信装置
CN114125992B (zh) * 2020-08-28 2023-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链路通信的链路指示方法及相关装置
WO2022061657A1 (zh) * 2020-09-24 2022-03-3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线图像传输方法及设备、摄影装置、可移动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001A (ko) * 2000-12-15 2003-07-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고데이터율 신호 전달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인터페이스의 형성과 구현
KR20040036945A (ko) * 2001-09-06 2004-05-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하이 데이터 레이트 신호 전송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인터페이스의 생성 및 구현
WO2005018191A2 (en) 2003-08-13 2005-02-24 Qualcomm, Incorporated A signal interface for higher data rates
US20050144225A1 (en) 2003-10-29 2005-06-30 Anderson Jon J. High data rate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3572B1 (en) * 1999-04-28 2002-05-2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leepmode activation in a slave device
US6760772B2 (en) * 2000-12-15 2004-07-06 Qualcomm, Inc. Generating and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interface for high data rate signal transfer
BRPI0410885B1 (pt) * 2003-06-02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Gerar e implementar um protocolo de sinal e interface para taxas de dados mais altas
DE10339887B4 (de) * 2003-08-29 2011-07-07 Infineon Technologies AG, 81669 Geräte mit gegenseitiger Aufweckfunktion aus dem Bereitschaftsmodus
WO2005027467A1 (en) * 2003-09-10 2005-03-24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EP2244436B1 (en) * 2003-10-15 2013-09-25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EP2242231A1 (en) * 2003-11-12 2010-10-20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ith improved link control
BRPI0416895A (pt) * 2003-11-25 2007-03-06 Qualcomm Inc interface de alta taxa de dados com sincronização de link melhorada
CA2775784A1 (en) * 2004-03-10 2005-09-22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MXPA06010647A (es) * 2004-03-17 2007-01-17 Qualcomm Inc Metodo y aparato de interfaz de datos de alta velocidad.
RU2006137364A (ru) * 2004-03-24 2008-04-27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US)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8650304B2 (en) * 2004-06-04 2014-02-11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pre skew and post skew calibration data rate in a 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MDDI) communication system
ATE523009T1 (de) * 2004-06-04 2011-09-15 Qualcomm Inc Schnittstellenvorrichtung mit hoher datenrate und verfahren
US20060034301A1 (en) * 2004-06-04 2006-02-16 Anderson Jon J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001A (ko) * 2000-12-15 2003-07-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고데이터율 신호 전달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인터페이스의 형성과 구현
KR20040036945A (ko) * 2001-09-06 2004-05-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하이 데이터 레이트 신호 전송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인터페이스의 생성 및 구현
WO2005018191A2 (en) 2003-08-13 2005-02-24 Qualcomm, Incorporated A signal interface for higher data rates
US20050144225A1 (en) 2003-10-29 2005-06-30 Anderson Jon J. High data rate interfa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610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3445A (zh) 2007-02-14
US20070055795A1 (en) 2007-03-08
KR20070019304A (ko) 2007-02-15
DE102006038369A1 (de)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664B1 (ko) 호스트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0693863B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KR101105175B1 (ko) 고속 데이터 레이트를 위한 신호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의 생성 및 구현
KR100647186B1 (ko) 데이터 전송 제어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1595701B (zh) 差分对作为单端数据路径以传输低速数据之运用
US8751709B2 (en) Hybrid interface for serial and parallel communication
JP5645272B2 (ja) ドライバ回路、レシーバ回路及びそれらを含む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7688550B (zh) 设备连接检测
US200800631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efined wake-up of high speed serial link
US10609741B2 (en) Multi-gigabit wireless tunneling system
US1125894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lane mapping, link training and lower power modes for a high speed bus interface
US20150100711A1 (en) Low power camera control interface bus and devices
KR102656961B1 (ko) 동적 히스테리시스 회로
JP2007233998A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162013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패킷 구조
KR101109904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패킷 구조
US20030188069A1 (en) In-protocol impedance compensation control
JP2004072225A (ja) Usbバス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