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454B1 - 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454B1
KR100682454B1 KR1020050136251A KR20050136251A KR100682454B1 KR 100682454 B1 KR100682454 B1 KR 100682454B1 KR 1020050136251 A KR1020050136251 A KR 1020050136251A KR 20050136251 A KR20050136251 A KR 20050136251A KR 100682454 B1 KR100682454 B1 KR 10068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ype mobi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6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승혁
심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벨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벨웨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벨웨이브
Priority to KR102005013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4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folding opening device for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n upper case to maintain a folding state at a predetermined slope while opening and withdrawing the upper case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upper direc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when the user searches the Internet or views a television program. A folding opening device for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the followings: an upper frame(10) which is built in the upper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guide frame(20) which is located in the lowe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uides the sliding of the upper frame(10); a fixed frame(30) in which the guide frame(20) is installed and fixed; a support frame(40) which is built in the lowe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which the fixed frame(30) is installed and fixed; and arm members(60) which connect the fixed frame(30)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40).

Description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

도 1a 내지 1c는 종래 접이식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과 그 작동관계를 보인 도면,1a to 1c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folding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전개도,Figure 2a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sli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지시된 "A"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전개도,FIG. 2B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A" indicated in FIG. 2A;

도 3a 및 3b는 도 2의 조립 및 결합형태와 상기 폴딩 개방기구의 슬라이딩 전 최초 상태를 보인 도면, Figures 3a and 3b is a view showing the initial state before the sliding and assembly of the assembly of Figure 2 and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도 4a 및 4b는 도 3으로부터 상기 폴딩 개방기구의 슬라이딩 진행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4a and 4b show the sliding progress of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from FIG.

도 5a 및 5b는 도 4로부터 상기 폴딩 개방기구의 가압 슬라이딩 후 최종 개방상태를 보인 도면, Figures 5a and 5b is a view showing the final open state after the pressure sliding of the folding opening from Figure 4,

도 6a 및 6b는 도 2의 상기 폴딩 개방기구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6A and 6B illustrat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FIG. 2 is incorporated;

도 7a 및 7b는 도 6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진행상태를 보여주 는 도면, 7a and 7b is a view showing a sliding progress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FIG. 6,

도 8a 및 8b는 도 7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압하여 추가로 슬라이딩시킨 후의 최종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8a and 8b are views showing the final open state after further sliding by pr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 : 상부프레임 20 : 가이드 프레임10: upper frame 20: guide frame

30 : 고정프레임 40 : 지지프레임30: fixed frame 40: support frame

21 : 요부 22 : 가이드레일21: main part 22: guide rail

31,32 : 유동로 41,42 : 힌지부31,32 Flow path 41,42 Hinge

43,44 : 고정핀 43a,44a : 핀홀43,44: fixing pin 43a, 44a: pinhole

50 : 보조커버 52 : 이탈방지팁50: auxiliary cover 52: separation prevention tip

60 : 아암부재 61 : 브라켓60: arm member 61: bracket

61a : 고정공 61b,61c : 걸림턱61a: fixing hole 61b, 61c: locking jaw

62 : 힌지레버 62a,62b : 체결공62: hinge lever 62a, 62b: fastening hole

62c : 중심공 63,66 : 고정핀62c: center hole 63,66: fixed pin

63a : 끼움부 66a : 걸림홈63a: fitting portion 66a: locking groove

67 : 스프링 67a,67b : 걸림공67 spring 67a, 67b locking hol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에 의해 개방됨과 동시에 소정 기울기의 경사각으로 폴딩상태를 유지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echanism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a sli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opened by sliding and maintains a folding state at an inclin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일반 휴대폰과 DMB폰, 그리고 게임폰 등이 소개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DMB폰에 대해 알아보면, 이동전화 겸용 단말기 방송과 통신의 컨버젼스(융합)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DMB)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탄생시켰다. 위성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위성DMB)와 지상파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지상파 DMB)은 이동하면서 방송을 볼 수 있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로서, 위성DMB폰은 방송센터가 송출한 내용을 받은 위성이 중계기를 거치거나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반면, 지상파 DMB폰은 방송센터가 송출한 내용을 지상의 송신탑이나 중계기 등에서 되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위성DMB폰과 지상파 DMB폰의 차이는 방송 신호를 위성을 통해 받는지 혹은 지상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받는지의 차이로서 품질에 특별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s is well know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 general mobile phones, DMB phones, and game phones. For reference, DMB phones, convergence of mobile terminal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has created a new service calle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DMB) an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 are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s that allow users to watch broadcasting while moving. On the other hand, the terrestrial DMB phone receives the contents transmitted by the broadcasting center from the terrestrial transmission tower or repeater and delivers the contents to the us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ellite DMB phone and the terrestrial DMB phone is whether the broadca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satellite or a repeater installed on the ground.

한편,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조적인 형태로서 플립형과 폴더형과, 그리고 슬라이드형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플립형과 슬라이드형이 주류를 이루는 추세이다. 플립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상부케이스를 상방향으로 젖혀서 단말기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개방된 상부케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액정 화면상의 내용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 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상부케이스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하부 케이스는 동일 평면의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므로 사용자가 액정 화면상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손목 또는 팔을 비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더욱이 DMB폰인 경우 장시간 시청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바닥이나 테이블에 놓아두어야 하는데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상·하부 케이스가 동일 평면을 유지하므로 사실상 시청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structural for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are a flip type, a folding type, and a slide type, among which the flip type and the slide type is the main trend. In the case of a flip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pper case is flipped upward to open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opened upper case maintains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ontents on the LCD screen. .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pper case is slid upward, the upper and lower cases are placed in a straight line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 user has to twist the wrist or arm to check the contents on the LCD screen.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MB phone, the terminal should be placed on the floor or a table in order to watch for a long time. However,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viewing is virtually impossible because the upper and lower cases are kept in the same plan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의 한 예를 설명한다.As a method for improving this problem, a conventional exampl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면 도 1은 종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일 례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2004-0096167호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도 1a는 종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측면 상태도이다. First, Figure 1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show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4-0096167.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G. 1C is a side view of FIG. 1B.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옆면에 슬라이딩안내홈(123)을 구비하고, 상단에 제1힌지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스(12), 상기 제1힌지(31)를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와 연결되고 하단에 제2힌지를 구비하는 제1상부케이스(23) 및 상면에 디스플레이부(221)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123)과 함께 길이방향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안내돌기(222)를 구비하는 제2상부케이스(22)를 포함한다. 도 1b 및 도 1c에 따르면, 제2 상부케이스(22)가 밀어올려질 때 옆면에 구비된 슬라이딩안내돌기(222)가 상기 하부케이스(12)의 슬라이딩안내홈(123)을 따라 상단으로 이동하여 안내홈(123)의 상단에 일시적으로 고정된 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2)에 구비된 키패드(121)가 노출되고, 제2힌지부(32)가 위로 올라가서 전후방으로 비탈면을 형성하게 되며, 제1상부케이스(23)와 제2상부케이스(22)는 상기 하부케이스(12)를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As shown, the conven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liding guide groove 123 on the side, the lower case 12 having a first hinge on the upper side, the lower through the first hinge 31 A sliding guide protrusion connected to the case and having a first upper case 23 having a second hinge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display unit 221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guiding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guide groove 123. And a second upper case 22 having 222. 1B and 1C, when the second upper case 22 is pushed up, the sliding guide protrusion 222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moves upward along the sliding guide groove 123 of the lower case 12. It is temporarily fixed to the top of the guide groove 123. At this time, the keypad 121 provided in the lower case 12 is exposed, the second hinge portion 32 is raised to form a slope in front and rear, the first upper case 23 and the second upper case ( 22 is a triangle forming the lower case 12 as the base.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종래 이동통신단말기는 슬라이드 개방시 제1상부케이스와 제2상부케이스가 삼각형을 이루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를 통해 파악해 보더라도 통화가 사실상 어렵거나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first upper case and the second upper case form a triangle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is state, even if it is understood through the bar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all is practically difficult or im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딩에 의해 개방·인출됨과 동시에 소정 기울기의 경사각으로 폴딩상태를 유지하며, 아울러 이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한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folding and opening of the sli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open and withdrawn by sliding and maintains a folding state at an inclin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also allows calls in this st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opening mechanis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부케이스에 내장되는 상부프레임과,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케이스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설치·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설치·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양측에서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아암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의 슬라이딩에 의한 개방·인출과 동 시에 폴딩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frame is embedded in the uppe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guide frame is located in the lowe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frame, the guide frame is installed and fixed A fixed frame, a support frame built in the lowe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stalled and fixed to the fixed frame, and a plurality of arm members connecting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support frame at both sides thereof.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a sli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and holding by the sliding and maintaining the folding state at the same tim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부케이스를 상방향으로 개방·인출함으로써 그와 동시에 상부케이스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폴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전화통화가 가능하며, 아울러 인터넷 검색이나 TV 시청 등에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ase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and withdrawn upwards,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case maintain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the folding state is main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 in searching the Internet or watching TV.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otary slide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in detail.

도면의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Figure 2a of the figure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sli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언급한 도면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는 개방기구로서, 완전 개방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정 각도의 폴딩(folding)상태를 유지하는 개방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ing mechanism built in a sli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maintains a folding s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fully opened. .

도 2a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딩 개방기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부케이스(100; 도 6a 참조)에 내장되는 상부프레임(10)과,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케이스(200; 도 6a 참조)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20),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이 설치·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이 설치·고정되는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부프레임(10), 가이드 프레임(20), 고정프레임(30) 및 지지프레임(40)은 판상의 금속체 또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2A,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upper frame 10 embedded in the upper case 100 (see FIG. 6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wer case 200 (see FIG. 6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guide frame 20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frame 10, a fixed frame 30 to which the guide frame 20 is installed and fixed, and a lowe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fixed frame ( 30)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upport frame 40 to be installed and fixed. On the other hand, the upper frame 10, the guide frame 20, the fixed frame 30 and the support frame 40 may be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a plate-like metal or plastic.

상부프레임(10)은 가이드 프레임(2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그 양측의 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절곡된 날 형태로 제공된다. 가이드프레임(20)은 그 양측의 단부가 절곡된 형태의 요부(21)를 구성하며, 이들 요부(21)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2)이 삽입·고정된다. The upper frame 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lade b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ds of both sides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frame 20. The guide frame 20 constitutes a recessed portion 21 in which both ends of the guide frame are bent, and the guide rail 22 for guid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upper frame 1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recessed portion 21. do.

고정프레임(30)은 그 양측의 단부가 절곡되어서 요부를 구성하며, 이 요부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 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그 상면에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이 결합된다. 고정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이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40)을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아암부재(60)가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로(31)(32)가 천공되어 있다. The fixed frame 30 is bent at both ends thereof to form a recess, and the guide frame 20 is coupled to the recess with the rail portion of the guide frame fitted thereto.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are perforated with flow paths 31 and 32 to which the arm member 60 for connecting the fixed frame and the support frame 40 is reciprocally coupled.

지지프레임(4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30)과 가이드 프레임(20)의 연결체가 설치·고정되며, 지지프레임(4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아암부재(60)의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41)(42)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아암부재(60)는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제공되므로 상기 고정프레임에 양측에 형성된 유동로와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는 각 방향에 2개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40)은 이의 일방향 끝단, 즉 상기 상부프레임(10)이 슬라이딩하여 인출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상부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커버(50)가 결합되는데, 이 보조커버(50)의 양측 단부에는 이탈방지용 팁(tip, 52; 이하 '이탈방지팁'이라 한다)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40)에서 각각의 아암부재(60)는 상기 힌지부(41)(42)를 관통하는 고정핀(43)(44)과 상호 맞끼워진 상태로 체결된다. 이러한 아암부재(60)의 결합형태 및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도 2b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 "51"은 '보조커버 본체'이다. A connecting body of the fixed frame 30 and the guide frame 20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40, and the other end of the arm member 60 is hinged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40. Hinges 41 and 42 ar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rm member 60 is provided on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fixing member, each of the flow path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frame and the hinge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40 are preferably provided in each of the two. Do. The support frame 4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cover 50 to prevent the upper frame on the one side end thereof,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frame 10 is drawn out by sliding, the secondary cover 50 of the auxiliary cover 50 At both ends, a separation prevention tip (tip, 52;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lease prevention tip”) protrudes.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arm member 60 in the support frame 40 is fastened in a state of being in engagement with the fixing pins 43 and 44 penetrating the hinge parts 41 and 42. The coupling form and configuration of the arm member 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B. Reference numeral "51",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drawings, is an 'auxiliary cover body'.

도면 도 2b는 도 2a에 지시된 "A"부분, 즉 아암부재(6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또한, 도면 도 3a 및 3b는 도 2의 조립 및 결합형태와 상기 폴딩 개방기구의 슬라이딩 전 최초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a 및 6b는 도 2a의 폴딩 개방기구가 내장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도 3a 및 3b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B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portion “A” indicated by FIG. 2A, that is, the arm member 60. 3A and 3B are views illustrating an initial state before assembly and coupling of FIG. 2 and sliding of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and FIGS. 6A and 6B are views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FIG. 2A is incorporated. 3A and 3B show the states.

아암부재(60)는 상기 유동로(31)(32)와 힌지부(41)(42)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힌지레버(62)를 포함한다. 힌지레버(62)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상기 힌지부(41)(42)와 유동로(31)(32)에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62a)(62b)이 천공되어 있으며, 이들 체결공의 사이로 상기 힌지레버(62)의 중간부에는 아암부재(60)에 회전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탄력체, 즉 스프링(67)이 체결·고정되는 중심공(62c)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67)은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양단부에 걸림공(67a)(6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걸림공을 매개로 상기 스프링(67)은 상기 중심공(62c)을 관통하는 고정핀(66) 및 상기 체결공(62b)을 관통하는 체결핀(64)을 이용하여 체결·고정된다. 한편, 상기 힌지레버(62)의 체결공(62a)을 통해서는 소정의 고정핀(63)을 매개로 브라켓 (61)이 힌지부(41)(42)에 체결·구비된다. 브라켓(61)은 대략 부채꼴 또는 호 형상의 것으로서, 이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핀(63)이 관통하는 고정공(61a)이 천공되어 있고, 브라켓의 대경(大徑)측 선단에는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걸림턱(61b)(61c), 더욱 바람직하게는 요홈 형태의 걸림턱이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61a)을 통과한 고정핀(63)은 전술한 각각의 고정핀(43)(44)에 끼워지게 된다. The arm member 60 includes a hinge lever 62 of a predetermined length hinged and coupled to the flow paths 31 and 32 and the hinge portions 41 and 42, respectively. The hinge lever 62 is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62a and 62b for fastening to the hinge parts 41 and 42 and the flow paths 31 and 32, respectively,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hinge lever 62, a predetermined elastic body for providing rotational elasticity to the arm member 60, that is, a center hole 62c to which the spring 67 is fastened and fixed is 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pring 67 has an intermediate portion bent in a 'c' shape, and engaging holes 67a and 67b ar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spring 67 is formed through these locking holes. It is fastened and fixed using a fixing pin 66 penetrating the center hole 62c and a fastening pin 64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62b.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fastening hole 62a of the hinge lever 62, the bracket 61 is fastened and provided to the hinge portions 41 and 42 via a predetermined fixing pin 63. The bracket 61 has a substantially fan shape or an arc shape, and a fixing hole 61a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63 penetrates is drill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preferably at the tip of the large diameter side of the bracket. The two engaging jaw (61b) 61c, more preferably is formed in the recessed jaw spaced apart. The fixing pins 63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s 61a are fitted to the respective fixing pins 43 and 44.

도 3a 및 도 3b의 상태에서 고정핀(66)은 브라켓(61)의 제1 걸림턱(61c)에 의한 걸림상태를 유지한다. In the state of FIGS. 3A and 3B, the fixing pin 66 maintains a locking state by the first locking step 61c of the bracket 61.

도 2b에서 미설명된 부호 "65"는 와셔(washer) 또는 부쉬(bushing)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 "66a"는 '걸림홈'을 나타내고, 부호 "43a" 및 "44a"는 '핀홀'을, 부호 "63a"는 '끼움부'를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65” not illustrated in FIG. 2B may be configured as a washer or a bushing.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66a denotes a 'locking groove', reference numerals 43a and 44a denote a pinhole, and reference numeral 63a denotes a fitting portion.

이상과 같은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폴딩 개방기구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as follows.

먼저, 도면 도 4a 및 4b는 상기 도 3의 상태로부터 폴딩 개방기구의 슬라이딩 진행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 및 7b는 도 2a의 폴딩 개방기구가 내장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도 4a 및 4b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면 도 5a 및 5b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상기 폴딩 개방기구의 일측에 힘을 가하여 추가로 슬라이딩시킨 후 폴딩 개방기구의 최종 개방되어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a 및 8b는 도 2a의 폴딩 개방기구가 내장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도 5a 및 5b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rst, FIGS.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sliding progress state of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from the state of FIG. 3, and FIGS. 7A and 7B are FIGS. 4A and 4B of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FIG. 2A embedded therein. Figure showing the state of. 5A and 5B show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is finally opened after further sliding by applying a force to one side of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from the state of FIG. 4, and FIGS. 8A and 8B illustrate the folding of FIG. 2A. 5A and 5B illustrate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opening mechanism.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초 도 3의 상태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부케이스(100)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상부케이스(100)에 내장된 상부프레임(10)은 가이드레일(22)의 레일홈(23)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아암부재(60)의 상태는 도 4a 및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3의 최초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한다. 즉, 도 4a 및 도 4b의 상태에서 고정핀(66)은 브라켓(61)의 제1 걸림턱(61c)에 의한 걸림상태를 유지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upper cas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es upward from the state of FIG. 3, the upper frame 10 embedded in the upper case 100 is a rail groove of the guide rail 22. Slide along 23). At this time, the state of the arm member 60 is maintained in the same state as the initial state of FIG. 3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at is, in the state of FIGS. 4A and 4B, the fixing pin 66 maintains the locking state by the first locking step 61c of the bracket 61.

그러나, 도 7a 및 7b의 상태로부터 상부케이스(100)의 슬라이딩방향으로 힘을 더욱 가하게 되면 도 8a 및 8b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부케이스(100)는 상방향으로 완전하게 인출되면서 하부케이스로부터 들리어져 소정의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된 폴딩 개방기구의 작동을 보면, 힘을 가하여 추가로 슬라이딩시킬 때 고정핀(66)은 도 5a 및 도 5b의 상태로부터 상기 스프링(67)의 회전 탄성에 의하여 브라켓(61)의 제2 걸림턱(61b)으로 넘어가고, 그에 의한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힌지레버(62)는 상방향으로 세워짐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0)이 연결된 고정프레임(30)의 일측을 들어올려 상부케이스(100)가 경사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However, when a force is further appli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upper case 100 from the state of FIGS. 7A and 7B, the upper cas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letely drawn upward and lifted from the lower case as shown in FIGS. 8A and 8B. To form a predetermined slope. In this case,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folding opening mechanism built in the inside of the terminal, when the additional sliding by applying a force, the fixing pin 66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elasticity of the spring 67 from the state of FIGS. 5A and 5B. It passes to the second locking step 61b of the bracket 61, thereby maintaining the locking state. At this time, the hinge lever 62 is erected up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case 100 is inclined by lifting one side of the fixed frame 30 to which the upper frame 10 is connected.

한편, 상부케이스(100)를 후진시켜 원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을 하여 고정핀(66)은 다시 브라켓(61)의 제1 걸림턱(61c)으로 넘어와서 걸림상태로 유지되고, 힌지레버(62)는 하강하여 상부프레임(10)이 최초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case 100 is retract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 the fixing pin 66 is transferred to the first latching jaw (61c) of the bracket 61 is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The hinge lever 62 is lowered so that the upper frame 10 maintains the original horizontal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단지 이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not limited only to this embodiment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ed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Modifications to the exten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부케이스를 상방향으로 개방·인출함으로써 그와 동시에 상부케이스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폴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전화통화가 가능하며, 아울러 인터넷 검색이나 TV 시청 등에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and withdraw the upper case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case maintains a predetermined inclined state, the telephone call in this st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 in searching the Internet or watching TV.

Claims (9)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부케이스에 내장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케이스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설치·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케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이 설치·고정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양측에서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아암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의 슬라이딩에 의한 개방·인출과 동시에 폴딩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An upper frame embedded in an uppe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guide frame positioned in a lower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uiding sliding movement of the upper frame, a fixed frame in which the guide frame is installed and fixe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upport frame which is built in the lower case of the support frame on which the fixing frame is installed and fixed, and a plurality of arm members connecting between them at both sides of the fixing frame and the support frame. And a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slider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state is maintained at the same tim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프레임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그 양측의 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절곡된 날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그 양측의 단부가 절곡된 형태의 요부를 구성하며, 이들 요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The upper fram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lade b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ds on both sides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guide frame, the guide frame constitutes a recessed portion of the bent shape on both sides thereof, A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a slid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rail for guiding slide movement of an upper frame is inserted and fixed.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프레임은 그 양측의 단부가 절곡되어서 요부를 구성하고, 이 요부 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 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그 상면에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아암부재가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로가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The fixing frame has a bent end of both sides thereof to form a recess, and the guide frame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with the rail portion of the guide frame fitted thereto, and the arm member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xing fram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sli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iprocating flow path is couple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가이드 프레임의 연결체가 설치·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아암부재의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and the guide frame is installed and fixed, the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sli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portion is hinged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rm member Folding opening mechanism.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아암부재는 고정부재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제공되고, 상기 유동로 및 힌지부는 각 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Two arm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and two flow paths and two hinge parts are provided on each sid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지지프레임은 이의 일방향 끝단에 상기 상부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커버의 양측 단부에는 이탈방지팁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v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upper frame at one end of the support fram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sli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separation tip is protruding and form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cover.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아암부재는 유동로와 힌지부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힌지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레버는 길이방향으로 그 양단부에 상기 힌지부와 유동로에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천공되며, 이들 체결공의 사이로 상기 힌지레버의 중간부에는 아암부재에 회전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이 체결·고정되는 중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The arm member includes a hinge lever of a predetermined length hinged and coupled to the flow path and the hinge portion, respectively, the hinge lever is bo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hinge hole and the flow passage for fastening, respectively, A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a sli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a center hole is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holes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inge lever, and the center hole is fastened and fix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arm member.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스프링은 이의 중간부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그 양단부에 걸림공이 형성되며, 이들 걸림공을 매개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중심공을 관통하는 고정핀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체결핀을 이용하여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The spring is bent in the form of the 'C' of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formed in the engaging holes at both ends, the spring through the locking hole using a fixing pin penetrating the center hole and the fastening pin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sli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and fixing.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힌지레버의 체결공을 통해서는 고정핀을 매개로 소정의 브라켓이 힌지부에 체결·구비되되, 상기 브라켓은 대략 부채꼴 또는 호 형상의 것이고, 그 중앙에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는 고정공이 천공되며, 상기 브라켓의 대경측 선단에는 상부프레임의 슬라이딩 개방 또는 인출시 상기 스프링의 회전 탄성에 의한 힌지레버의 회전으로부터 위치이동하는 상기 고정핀을 유지 및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걸 림턱이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을 통과한 고정핀은 각각의 고정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딩 개방기구.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hinge lever, a predetermined bracket is fastened to the hinge part by means of a fixing pin, and the bracket has a substantially fan-shaped or arc shape, and a fixing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penetrates is drilled in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catching jaws for maintaining and supporting the fixing pin which is moved from the rotation of the hinge lever due to the rotational elasticity of the spring when the upper end of the large diameter side of the bracket is slid open or withdrawn, The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is a folding opening mechanism of the sli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itted to each fixing pin.
KR1020050136251A 2005-12-31 2005-12-31 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 KR1006824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251A KR100682454B1 (en) 2005-12-31 2005-12-31 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251A KR100682454B1 (en) 2005-12-31 2005-12-31 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454B1 true KR100682454B1 (en) 2007-02-15

Family

ID=3810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251A KR100682454B1 (en) 2005-12-31 2005-12-31 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4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3406A2 (en) * 2008-04-03 2009-10-08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Opening-and-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 with two sliding and turning units
KR100998192B1 (en) 2007-07-04 2010-12-03 한 상 이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92B1 (en) 2007-07-04 2010-12-03 한 상 이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WO2009123406A2 (en) * 2008-04-03 2009-10-08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Opening-and-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 with two sliding and turning units
WO2009123406A3 (en) * 2008-04-03 2009-11-26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Opening-and-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 with two sliding and turning units
KR101005014B1 (en) * 2008-04-03 2010-12-30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liding and rotating each ot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2932B1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onnection member and hinge device thereof
US8250712B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JP4343817B2 (en) Sliding and rotating hinge device for sliding and rotating type portable terminal
US20040137940A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device
US20070072657A1 (en) Portable terminal foldable to form a triangular prism
US7532459B2 (en)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60671B1 (en) Rotating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and sw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and sliding/sw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and
KR20050012922A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20100137041A1 (en) Sliding rotating apparatus
KR100778529B1 (en) slide/hinge apparatus of portable unit
KR100682454B1 (en) Foldable opening device of slider type mobile phone
US20090070963A1 (en) Dual direction opening/closing hinge module and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KR100681068B1 (en)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phone
KR20060122583A (en)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99741B1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100725947B1 (en) Slide/hinge apparatus of portable unit
WO2008082080A1 (en) A portable terminal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KR200396211Y1 (en) Rotatable sliding apparatus, and Mobile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100753061B1 (en) Sliding and Rotary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0790076B1 (en) Rotating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and sw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KR200396210Y1 (en) Rotatable sliding apparatus, and Mobile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100965177B1 (en) slide module of portable terminal
KR20090125624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0204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60019202A (en)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