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948B1 -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948B1
KR100678948B1 KR1020040106440A KR20040106440A KR100678948B1 KR 100678948 B1 KR100678948 B1 KR 100678948B1 KR 1020040106440 A KR1020040106440 A KR 1020040106440A KR 20040106440 A KR20040106440 A KR 20040106440A KR 100678948 B1 KR100678948 B1 KR 100678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ser
help
li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618A (ko
Inventor
박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94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뉴 조작 정보를 조작 횟수에 따라 재정렬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도움말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 및 제2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도움말(Help), 메뉴, 사용 횟수, 재구성

Description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organization of sub-item of Help menu}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응용 프로그램에서, 도움말 메뉴 선택시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도움말 메뉴에서 하위 메뉴 선택 및 선택된 하위 메뉴에 대한 도움말 정보가 출력되는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에 저장되는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예시한 것이다.
도 7a는 원격제어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기기에서, 도움말 메뉴 선택시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에서 일어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원격제어기기
500 :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
600 :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
본 발명은 응용 프로그램의 도움말 메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 항목을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기능 및 각 기능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움말 메뉴를 통해 제공한다. 이러한 도움말 메뉴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S210), F1 키가 인가되거나, 응용 프로그램의 툴바에 구현된 도움말 메뉴가 선택됨에 따라 실행된다(S212). 도움말 메뉴가 선택되면, 일반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움말 메뉴 화면이 출력된다(S214).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움말 메뉴 화면이 출력된 후,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메뉴를 [목차] 메뉴에서 원하는 하위 직접 선택하거나, [색인] 기능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입력하게 되면, 디지털 장치는 선택된 하위 메뉴 혹은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하위 메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S218), 사용자가 원하는 하위 메뉴에 대한 도움말 정보를 출력한다(S219).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S220), 데이터 베이스에서 임의의 하위 메뉴를 검색하고(S222),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하위 메뉴에 대한 도움말 팁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하여(S224), 사용자에게 응용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유용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하위 메뉴에 대한 도움말 팁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출력된 내용을 확인하지 않은채 화면을 닫아버리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기능들이 상위 메뉴-하위 메뉴와 같이, 트리 구조로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하위 메뉴를 찾기 위해 여러 번 클릭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움말 메뉴 선택시 출력되는 리스트는, 자주 사용된 메뉴의 빈도수와 상관없이 항상 고정된 트리 구조의 형태로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대한 조작 순위 정보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 메뉴의 하위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 메뉴를 재구성하는 장치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소정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조작 정보를 조작 횟수에 따라 재정렬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도움말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 및 제2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원격제어기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뉴 조작 정보를 조작 횟수에 따라 재정렬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도움말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 및 제2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홈 네트워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란, 가정에 있는 2개 이상의 디지털 정보 기기들이 서로 통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는 홈 네트워크는 PC를 중심으로 여러 주변 장치들을 연결하고 인터넷 사용을 공유하는 PC 네트워크, 비디오, TV 등과 같은 AV 제품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AV 네트워크 및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의 백색 가전과 전력, 수도와 같은 에너지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빙 네트워크가 있다.
홈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로는 블루투스, HomeRF 등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및 전화선(HomePNA), 전력선(Power Line Controll; PLC), IEEE 1394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인터넷 냉장고, 디지털 TV, 세탁기 등과 같이 홈 네트워크 시장을 겨냥한 디지털 정보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지금까지 홈 네트워크의 개념 및 현재 연구되고 있는 네트워크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응용 프로그램의 도움말 메뉴와 관련된 것으로, 응용 프로그램 사용시, 사용자가 사용한 하위 메뉴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고, 도 움말 메뉴가 선택된 경우, 도움말 메뉴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 항목을 사용 횟수에 따라 재정렬하여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움말 재구성 방법은,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디지털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독립된 디지털 장치 또는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움말 재구성 방법이 홈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한 하위 메뉴 및 하위 메뉴의 사용횟수 등에 대한 정보 즉, 메뉴 조작 정보는 원격제어기기(400)에 로컬로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메뉴 조작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에 저장되는 경우를 실시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적용된 홈 네트워크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적용된 홈 네트워크는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 300), 다수의 디지털 정보 기기(200), 홈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다수의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기기(400) 및 홈 게이트웨이(300)와 연동되는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를 포함한다.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 300)는 인터넷(100) 또는 광역 서비스 네트워크와 가정내 디지털 정보 기기(200) 간의 가교(Bridge)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IP 주소 관리를 위한 내장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며, 공중망으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 비디오 등과 같은 복수의 서비스를 주택 전체를 통해 지원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300)는 인터넷(100)을 통해 오가는 외부 정보를 관리, 저장하여 가정 내의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이 외부 인터넷망(10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Home PNA, 블루투스, PLC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정 내에서 서로 연결된 모든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하며, 원격 제어기기(400)에서 사용된 메뉴의 조작 정보를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로 전송한다.
디지털 정보 기기(2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회로를 가진 장치로서, 컴퓨터, 프린터, 스캐너, 페이저, 디지털 카메라, 팩스, 디지털 복사기,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핸드폰, 디지털 전화, 디지털 프로젝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TV 방송 수신기, 셋탑 박스(Set Top Box, STB), 디지털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냉난방기, 조명, 가스 보일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기기(400)는 다수의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을 가정 내에서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월패드(wall pad)나 홈 패드(home pad) 및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을 외부에서 원격 제어하기 위한 휴대전화, 컴퓨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기기(400)가 홈패드인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홈패드와 같은 원격제어기기(400)는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에 대한 통합 제어 기능 외에도 영상 메모, VoIP 화상통화, 인터넷 검색 기능, TV/ Video, 일정관리, 방문자 확인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기기(4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700)를 출력하여, 사용 자가 집안 어디에서든지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기기(4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내면 도 4와 같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기기(4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원격제어기기(400)는 입력부(410), 디스플레이부(420), 네트워크 통신부(450), 메모리부(44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TV 방송 시청시, 방송 채널 변경 및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키 및 전원 공급키가 구비되며, 입력부(410)에 구비된 키들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경우, 소정의 키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43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420)는 사용자의 입력 처리 결과를 가시적인 형태로 보여주는 부분으로,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에 대한 통합 제어, 영상 메모, VoIP 화상통화, 인터넷 검색 기능, TV/ Video, 일정관리, 방문자 확인 등의 기능이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700)가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출력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20)는 디스플레이부(420) 단독으로 구현되거나 입력부(410)와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입력부(410)와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20)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an)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42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부(430)에 제공한다.
네트워크 통신부(450)는 홈 네트워크 상의 디지털 정보 기기(200)들이 제어 될 수 있도록 제어부(43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홈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 또한 [도움말] 메뉴(710) 선택시, [도움말] 메뉴(710) 선택에 따른 명령 신호를 홈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사용 횟수에 따라 재구성된 메뉴 리스트(640) 및 다른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50)를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430)에 제공한다. 이로써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횟수에 따라 재구성된 메뉴 리스트(730) 및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720)가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부(450)는 이더넷(Ethernet), 무선랜(Wireless LAN), PLC, Home PNA, IEEE 1394,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 규약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규약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무선 통신 규약을 지원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440)에는 원격제어기기(400)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들 및 [도움말] 메뉴 구성에 필요한 정보, 즉, 하위 메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부(440)는 캐쉬, ROM, PROM, EPROM, EEPROM, SDRAM 및 플래쉬와 같은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지는 않는다.
제어부(430)는 메모리부(4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원격 제어기기(400)가 동작되도록 한다. 또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기능이 구현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700)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집안 어디에서든 영상 메모, VoIP 화상통화, 인터넷 검색, TV 시청, 일정관리, 방문자 확인 및 디지털 정보 기기(200) 통합 제어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거실에 위치한 사용자가 원격제어기기(400)를 통해 주방의 가스밸브가 닫히도록 명령하였다면, 제어부(430)는 해당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신호를 네트워크 통신부(450)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 원격제어기기(400)에서 전송된 명령 신호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300)는 수신된 명령 신호를 네트워크 상의 가스밸브 제어기로 전송하여, 주방의 가스밸브가 잠기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대한 조작 정보를 홈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로 전송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방문자 확인]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방문자 확인] 메뉴에 대한 사용 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부(450)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 한편, [방문자 확인] 메뉴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한 홈 게이트웨이(300)는 해당 조작 정보를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로 전송하여, 사용자 세대에 대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가 갱신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도움말] 메뉴(710) 선택시, [도움말] 메뉴(710) 선택에 따른 명령 신호를 네트워크 통신부(450)를 통해 홈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로부터, 사용 횟수에 따라 재구성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40) 및 다른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50)를 수신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출력할 때에는, 리스트에 포함된 메뉴 항목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해 소 정의 메뉴가 선택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메뉴에 대한 도움말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기기(400)는 각 구성 요소들이 동작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기기(400) 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미도시), TV 방송 수신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는 네트워크 통신부(510), 제어부(520) 및 저장부(53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통신부(510)는 각 가정의 홈 게이트웨이(300)와 연동되는 부분으로, 각 가정의 홈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전송된 메뉴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520)에 제공함으로써,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가 생성되거나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가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가정의 원격제어기기(400)에서 [도움말] 메뉴(710)가 선택되는 경우, [도움말] 메뉴(710) 선택에 따른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520)에 제공하고, 제어부(520)에서 제공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40) 및 임의로 선택된 다른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50)를 해당 홈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부(510)는 이더넷(Ethernet),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블루투스(Bluetooth), IEEE 1394 등의 통신 규약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규약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20)는 네트워크 통신부(510)를 통해 수신된 메뉴 조작 정보를 처리하여,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생성하거나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갱신하고, 갱신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저장부(530)에 저장한다.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메뉴(620), 해당 메뉴의 사용 횟수 정보(630)를 포함하는데, 각 정보들은 사용자별(610)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 가정의 홈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전송되는 메뉴 조작 정보에는 사용된 메뉴 정보 및 각 가정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데, 제어부(520)는 이 메뉴 조작 정보를 처리한 후, 수신된 메뉴가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 존재하는 메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수신된 메뉴가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 존재하지 않는 메뉴라면, 즉, 가정에서 처음 사용된 메뉴라면, 제어부(520)는 수신된 메뉴 항목을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 추가시키고, 추가된 메뉴의 사용 횟수 정보를 1로 설정한다.
만약, 판단 결과, 수신된 메뉴가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 이미 존재하는 메뉴라면, 제어부(520)는 수신된 메뉴의 사용 횟수를 1회 증가시킨다. 제어부(520)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가정에서 전송된 메뉴 조작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의 내용을 갱신한다.
한편,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의 내용을 갱신한 후, 제어부(520)는 각 메 뉴의 사용 횟수 정보에 따라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재정렬한다. 예를 들어,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갱신한 결과가 도 6c와 같은 경우, 제어부(520)는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도 6d와 같이 재정렬한다.
이 후, 사용자가 [도움말] 메뉴(710)를 선택하면, [도움말] 메뉴(710) 선택에 따른 명령 신호가 해당 가정의 홈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로 전송되고, 도움말 재구성 장치(500)의 제어부(520)는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40)를 전송한다. 이 때, 임의로 선택된 다른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50)를 함께 전송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원격제어기기(400)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메뉴 사용 정보(720)가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530)에는 메뉴 사용순위 리트스(600)가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530)는 하드디스크(Hard Disk Drive; HDD) 같은 보조 기억장치 또는 캐쉬,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지는 않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는, 도시된 바는 없으나, 장치 전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장치 구동에 필요한 펌웨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 바이오스(Basic Input-Output System; BIOS)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움말 재구성 장치(500)에서 일어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내면 도 8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원격제어기기(400)를 사용하면, 사용된 메뉴에 대한 조작 정보가 홈 게이트웨이(300)를 경유하여,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로 전송된다. 이 때, 원격제어기기(400)에서 전송되는 메뉴 조작 정보에는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된 메뉴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한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는 각 가정에서 전송된 메뉴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S810), 수신된 정보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 후,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체크하여, 수신된 메뉴가 처음 수신된 메뉴인지를 판단한다(S820). 판단 결과, 수신된 메뉴가 처음 수신된 메뉴라면, 즉, 수신된 메뉴가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신된 메뉴를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 추가시키고, 추가된 메뉴의 사용 횟수 정보를 1로 설정한다(S832). 예를 들어,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가 도 6a와 같은 경우,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로 [화상전화] 메뉴에 대한 조작 정보가 수신되었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 [화상전화] 메뉴를 추가하고, [화상전화] 메뉴의 사용 횟수 정보를 1회로 설정한다.
판단 결과, 만약 수신된 메뉴가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 존재하 는 메뉴라면,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서 해당 메뉴의 사용횟수 정보를 1회 증가 시킨다(S830). 예를 들어,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가 도 6a와 같은 경우, [방문자 확인] 메뉴에 대한 조작 정보가 수신되었다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에서 [방문자 확인] 메뉴의 사용 횟수를 1회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의 내용을 갱신한 후, 제어부(520)는 각 메뉴의 사용횟수 정보에 따라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재정렬한다(S840). 예를 들어,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갱신한 결과가 도 6c와 같은 경우, 제어부(520)는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도 6d와 같이 재정렬한다.
이 후, 제어부(520)는 원격제어기기(400)에서 [도움말] 메뉴(710)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850). 판단 결과, 원격제어기기(400)에서 [도움말] 메뉴(710)가 선택된 경우 즉, [도움말] 메뉴(710) 선택에 따른 명령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520)는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해당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40) 및 임의로 선택된 다른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50)를 함께 전송한다(S860).
한편, 도움말 메뉴 재구성 장치(500)에서 전송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는 홈 게이트웨이(300)를 경유하여, 원격제어기기(400)로 수신된다.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600)를 수신한 원격제어기기(4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리스트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출력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횟수에 따라 재정렬된 도움말 메뉴 리스트(730) 및 다른 사람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 리스 트(720)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출력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720, 730) 중에서 소정의 메뉴 예를 들어, [화상전화] 메뉴(722)를 선택하게 되면, 원격제어기기(400)의 제어부(430)는 메모리부(440)의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성전화] 메뉴에 대한 도움말 정보(740)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다른 사용자가 사용한 메뉴 항목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주 사용하지 않았던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 메뉴의 하위 항목을 재구성하므로, 자주 사용하는 하위 메뉴에 대한 도움말을 바로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용자로부터 소정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뉴 조작 정보를 조작 횟수에 따라 재정렬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도움말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 및 제2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메뉴 및 상기 조작된 메뉴의 사용 횟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 메뉴를 재구성하는 방법.
  3. 제1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소정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조작 정보를 조작 횟수에 따라 재정렬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도움말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 및 제2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상기 제1 사용자의 원격제어기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메뉴 및 상기 조작된 메뉴의 사용 횟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사용순위 리스트의 메뉴 중 선택된 메뉴에 대한 도움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 횟수에 따라 도움말의 메뉴를 재구성하는 장치.
KR1020040106440A 2004-12-15 2004-12-15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67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440A KR100678948B1 (ko) 2004-12-15 2004-12-15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440A KR100678948B1 (ko) 2004-12-15 2004-12-15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618A KR20060067618A (ko) 2006-06-20
KR100678948B1 true KR100678948B1 (ko) 2007-02-06

Family

ID=3716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440A KR100678948B1 (ko) 2004-12-15 2004-12-15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9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6417A (ja) * 1988-09-03 1990-07-20 Hitachi Ltd ヘルプ情報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8320751A (ja) * 1988-09-03 1996-12-03 Hitachi Ltd ヘルプ情報表示装置
KR20050074817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움말정보 출력 우선순위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6417A (ja) * 1988-09-03 1990-07-20 Hitachi Ltd ヘルプ情報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8320751A (ja) * 1988-09-03 1996-12-03 Hitachi Ltd ヘルプ情報表示装置
KR20050074817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움말정보 출력 우선순위 설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21864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618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3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evice control
US7383036B2 (en) Home network system
US8310335B2 (en) Network-based access and control of home automation systems
KR100657778B1 (ko) 시스템과 그 환경 장치들간에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태스크-연관 객체들의 클러스터링 방법
JP5557798B2 (ja) マルチデバイスコントロール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20160373296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KR10225225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5531206A (ja) 個人向けプログラマブル汎用遠隔制御装置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JP2007527133A (ja) 「スマートホームSmartHome」環境においてワイヤレ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および通信を行うための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用送受話器
JP2006524012A (ja) リモコンが使用可能な無線データを備える電気器具
CN111970180B (zh) 智能家居设备的组网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614331B1 (ko)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297376B2 (en) Set-top box with interactive feature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CN102184013B (zh) 一种用于电子设备间的输入方法及相应的电子设备
KR10220682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78948B1 (ko) 사용 횟수에 따른 도움말의 메뉴 재구성 방법 및 장치
KR100653266B1 (ko)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생성 방법
KR20090009415A (ko) 양방향 통합 리모컨의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5321926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2201505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nitary internet-of-things interface via a media gateway appliance
KR100879218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40354B1 (ko)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CN114884760A (zh) 组网方法、组网展示界面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038573B1 (ko)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