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713B1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713B1
KR100678713B1 KR1020050102001A KR20050102001A KR100678713B1 KR 100678713 B1 KR100678713 B1 KR 100678713B1 KR 1020050102001 A KR1020050102001 A KR 1020050102001A KR 20050102001 A KR20050102001 A KR 20050102001A KR 100678713 B1 KR100678713 B1 KR 10067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obile communication
short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재준
이은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2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7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713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controlling setup of a standb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a downloaded application from being used on a standby screen by remotely controlling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application is download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in an agent mode. A method for controlling setup of a standby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the following several steps. An event for controlling a standby mode occurs(S210). The event is analyz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standby mode has to be changed into an OEM mode(S220). If the standby mode has to be changed into the OEM mode, an OEM mode control SMS message is generated and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230). If the standby mode has to be changed into an agent mode, an agent mode control SMS message is generated and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250).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the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controlling a setting of a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setting of a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이동통신망1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2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2: 무선 기지국 124: 이동통신 교환국122: wireless base station 124: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6: HLR 128: SMSC126: HLR 128: SMSC

130: 데이터 코어망 132: 모드 제어 서버130: data core network 132: mode control server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망 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어 단문 메시지(Control Short Message)를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모드로부터 에이전트(Agent) 모드로 또는 에이전트 모드로부터 OEM 모드로 설정을 변경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a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re specifically, if necessary, a control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hange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n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 mode to an agent mode 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a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changing a setting from an agent mode to an OEM mode.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 세대 아날로그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방식과, 제 2 세대 셀룰러(Cellular) / 개인 휴대 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방식을 거쳐 발전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ITU-R에서 표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이 상용화되고 있다. IMT-2000은 CDMA 2000 1X, 3X, EV-DO, WCDMA(Wideband CDMA) 등으로 기존의 IS-95A, IS-95B 망에서 진화한 IS-95C 망을 이용하여 IS-95A, IS-95B 망에서 지원 가능한 데이터 전송 속도인 14.4 Kbps나 56 Kbps보다 훨씬 빠른 최고 144 Kbps의 전송 속도로 무선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특히 IMT-2000 서비스를 이용하면 기존의 음성 및 WBS(Wireless Broadcasting Service)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AOD, VOD 등)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first generation analog AMPS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method and the second generation cellular (Cellular) /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method.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which is enacted as a standard in ITU-R, is commercially available. IMT-2000 is CDMA 2000 1X, 3X, EV-DO, Wideband CDMA (WCDMA), etc., and is used in IS-95A and IS-95B networks by using the IS-95C network that has evolved from the existing IS-95A and IS-95B networks. It is a service that can provide wireless Internet at a transmission speed of up to 144 Kbps, much faster than the supportable data transfer rate of 14.4 Kbps or 56 Kbps. In particular, by using IMT-2000 ser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multimedia services (AOD, VOD, etc.) at a faster speed as well as improving existing voice and wireless broadcasting service (WBS) service quality.

또한, 최근에는 전술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갖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이동하면서도 저렴한 요금으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HPi: High Speed Portable Internet System 또는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ystem)에 대한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노트북, PDA, Handheld PC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의 정지 환경에서와 보행 속도 및 중저속 이동 수준의 이동 환경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 및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이동통신 가입자로 하여금 시속 60km/h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24 Mbps의 하향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적용하면 50 Mbps의 하향 전송 속도까지도 제공할 수 있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무선 데이터 시스템이다.In addition, recently, as a par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in provid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portable Internet system (HPi: High Speed) capable of using high-speed wireless Internet service at a low cost while moving Development of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or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ystem. The portable internet system uses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laptops, PDAs, and handheld PCs to acces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ntents by accessing the Internet in indoor and outdoor stationary environments and in mobile environments at walking speeds and low to medium speeds. It is a service. In addition, it enables mobile subscribers to use the wireless Internet while moving at a speed of 60 km / h, provides a downlink transmission speed of 24 Mbps, and a downlink transmission speed of 50 Mbps when applying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system. It is a wireless data system based on IP (Internet Protocol) that can provide even.

이동통신 가입자는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면서 음성 통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문자, 이미지, 음성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은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적 또는 공간적 제약 없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검색 및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다.The mobile subscriber can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carry voice communication while carr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ly access the Intern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to transmit text, images, Multimedia data services such as voice or video are provided. The wireless Internet allows a mobile subscriber to search and download a variety of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time or space constraints.

최근에는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게임, 동영상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업체(CP: Content Provider)가 등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콘텐츠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증가하였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ultimedia data technology, a content provider (CP)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such as multimedia communication, network game, and video game has emerged, and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are provided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number of mobile subscribers to use has increased.

이에 무선 인터넷 환경으로 가상머신(Virtual Machine) 기반의 무선 인터넷 플랫폼(Wireless Internet Platform)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될 때 내 장되는 내장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정보 제공 서버에서 콘텐츠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생성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가입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구비된 무선 인터넷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었다.In this context, a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uses a virtual machine-based Wireless Internet Platform to execute embedded applications that are embedded when a mobile terminal is released or contents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n an information server. Is generated as an application running on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a mobile subscrib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ownload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es an application using the provided wireless internet platform. .

전술한 가상머신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종종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사용하기 위한 바탕화면 형식으로 제작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데, 이동통신 가입자가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대기화면으로 설정하면, 추후에 설정이 변경되지 않는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Flip), 슬라이드(Slide) 또는 폴더(Folder)가 열리면 자동으로 에이전트 모드가 실행되어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이 대기화면에 출력된다. Applications executed in the above-described virtual machine are often manufactured in a desktop format for use as a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f the mobile subscriber sets the background application to the standby screen, the application is set later. Unless this is changed, the agent mode is automatically executed when the flip, slide, or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and the background application is output on the standby screen.

이동통신 가입자가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대기화면으로 설정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사의 기본 화면으로 설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립(Flip), 슬라이드(Slide) 또는 폴더(Folder)가 열리면 자동으로 OEM 모드가 실행되어 기본 화면이 대기화면으로 출력된다.If the mobile subscriber sets the wallpaper application as the default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instead of setting the home screen, the OEM mode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flip, slide, or folder of the mobile terminal is opened. The default screen is displayed as the standby screen.

여기서, 에이전트 모드란 플랫폼(Platform) 즉, 가상머신에서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로 약속된 모드로서, 에이전트 모드가 설정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이 대기화면에 자동으로 출력된다. 또한, OEM 모드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가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로 약속된 모드로서, OEM 모드가 설정되면 전술한 기본화면 또는 수정된 화면이 대기화면으로 자동으로 출력된다.In this case, the agent mode is a mode promised to execute an application implemented in a platform, that is, a virtual machine. When the agent mode is set, the background screen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output to the standby scree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OEM mode is a mode promised to execute an application implement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OEM mode is set, the above-described basic screen or modified screen is automatically output to the standby screen.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 에이전트 모드가 설정되어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동통신 가입자가 추가로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하지 않는 한 통상적인 제조사 대기화면 즉, 기본 화면이 출력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OEM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추가로 설정을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하지 않는 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이 대기화면으로 출력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f the agent mode is set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ackground application is executed, the normal manufacturer standby screen, that is, the basic screen is not output, unless the mobile subscriber additionally changes the standby mode to the OEM mode. If is set, the wallpaper application is not output to the idle screen unless the mobile subscriber additionally changes the setting to the agent mode.

따라서, 특정한 이유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더는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통상적인 기본 화면으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플래시(Flash)와 같이 정보(예를 들면, 광고, 날씨, 뉴스 등)를 담은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자 할 때,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그 설정을 OEM 모드나 에이전트로 모드로 변경하지 않는 한 이를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obile subscriber who downloads and uses the background application for some reason can no longer use the background application or the information (for example, flash) on the mobile terminal set as the normal main screen. For example, if you want to run a wallpaper application containing advertisements, weather, news, etc., you cannot achieve this unless you change the settings to OEM mode or agent mode in the conventional way.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부터 에이전트 모드로 또는 에이전트 모드로부터 OEM 모드로 설정을 변경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control short messag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necessary to set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OEM mode or the agent mode to the OEM mo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a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chang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 비스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대기 모드를 제어할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b) 이벤트를 분석하여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의 확인 결과,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d) 단계 (b)의 확인 결과,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하지 않고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구분자,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다수의 항목을 구분하는 구분자,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구분하는 식별자,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고유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식별자,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추가로 전달할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cluding a voice call service, a wireless data service and a short message servic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A system comprising a mode control server for controlling a standby mode of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generating an event to control a standby mode; (b) analyzing the event to determine whether the standby mode should be changed to OEM mode; (c)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 that the standby mode needs to be changed to an OEM mode, generating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ransmitting i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d) generating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if the standby mode is to be changed to the agent mode without changing the standby mode to the OEM mode, and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de control short messag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s and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s, are delimiters separating the beginning and end of mode control short messages, delimiters separating multiple items of mode control short messages, OEM An identifier that distinguishes between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 identifier indicating a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 identifier indicating whether to output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message to be additionally delivered; and A mobile communication stage comprising at least one A terminal standby mode control method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음성 통화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제어할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를 분석하여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하지 않고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모드 제어 서버를 포함하되,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구분자,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다수의 항목을 구분하는 구분자,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구분하는 식별자,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고유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식별자,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추가로 전달할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cluding a voice call service, a wireless data service and a short message servic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an event occurs to control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terminal, the event is analyzed and the standby mode is changed to the OEM mode, and then the standby mode is changed to the OEM mode. If you need to change the mode, create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send it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f you need to change to the agent mode without changing the standby mode to the OEM mode, Create and sen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ode control short message, including a mode control server, including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is a delimiter that separates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hat separates multiple items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Delimiter, an identifier that distinguishes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 identifier indicating a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 identifier indicating whether to output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and additionally It provides a standby mode control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ssage and one or more to be delive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controlling a setting of a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이동통신망(120) 및 모드 제어 서버(140)를 포함한다.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a mode control server 140.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 전화기와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SMSC(128)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120)이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to provide a voice call function for performing a normal voice call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landline phone, and also uses the SMSC 128. The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a short message and receive and 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an application using a wireless data service or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모드 제어 서버(140)로부터 모드 변경에 대한 제어 단문 메시지(Control Short Message)를 수신하면 대기 모드를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모드 또는 에이전트(Agent)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대기 화면을 제조사에 의해 구현된 기본 화면이나 다운로드한 가상머신(Virtual Machine)에 의해 구현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ontrol short message (Control Short Message) for the mode change from the mode control server 140, the standby mode to the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 mode or By changing to the agent mode, the standby screen is output to the base screen implemented by the manufacturer or the wallpaper application implemented by the downloaded virtual machine.

여기서, 모드 변경에 대한 제어 단문 메시지는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대기 모드를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포함한다.Here, the control short message for mode change includes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for changing the standby mode to the OEM mode and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for changing the standby mode to the agent mod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이 제공하는 음성 통신 서비스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의 기본 구성뿐만 아니라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설치 및 실행하고, 대기 화면을 기본 화면 또는 다운로드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며, 모드 제어 서버(140)로부터 모드 변경에 대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의 종류(즉,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인지 또는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그에 따라 대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basic configuration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ing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wireless data service or a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but also wireless. Download, install, and run various applications using the data service, set the standby screen as the default screen or downloaded wallpaper application, and when the control short message about the mode change is received from the mode control server 140, A configur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ie, whether it is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or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setting the standby mode accordingly.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가상머신(VM: Virtual Machine)을 탑재하여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상머신으로서는 모바일 C언어로 개발된 신지소프트사의 GVM(General VM), J2ME(Java 2 Micro Edition) 스펙(Specification)을 이용한 SK 텔레콤(SK Telecom)사의 SK-VM, 선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사의 KVM(Kilobyte VM)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한국 무선 인터넷 표준화 포럼에서 만든 모바일 표준 플랫폼 규격인 위피(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가 사용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cludes a means for installing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downloaded by mounting a virtual machine (VM). Such virtual machines include Shinjisoft's GVM (General VM) developed by the mobile C language, SK Telecom's SK-VM and Sun Microsystems using J2ME's Java 2 Micro Edition specification. Kilobyte VM (KVM), etc. may be used, and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which is a mobile standard platform standard created by the Korea Wireless Internet Standardization Forum, may be used.

이동통신망(120)은 무선 기지국(122),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24),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라 칭함)(126), 단문 메시지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이하 'SMSC'라 칭함)(128) 및 데이터 코어망(DCN: Data Core Network)(130)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음성 통화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a wireless base station 122,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24,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126, and a short message center. (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C') 128 and a data core network (DCN: Data Core Network) 130, including a voice call service, wireless data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a network for providing a short message service.

여기서, 무선 기지국(122)은 위치 등록 기능,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기능,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24)은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Here, the radio base station 122 performs a location registration function, a function of allocating a radio channel, various functions required for radio call processing such as handoff, and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center 124 performs basic and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for providing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incoming and outgoing call processing of a subscriber,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nd handoff procedure, and interworking with other networks.

HLR(126)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HLR 126 is a database that stores service profiles related to mobile subscriber information. The HLR 126 is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 mobile device serial number (ESN), and a service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subscriber information by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subscriber.

SMSC(128)는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즉, SMSC(128)는 다양한 문자 전달 시스템(PC 통신 시스템, 인터넷 서버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가입자들 사이에 숫자, 문자들을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SMSC 128 functions to provide a short message service for delivering short messages to mobile subscribers. In other words, the SMSC 128 allows two-way exchange of numbers and letters between various character delivery systems (PC communication system, Internet server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and subscribers.

데이터 코어망(130)은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서비스,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 서비스, 심플(Simple) IP 및 모바일(Mobile) IP 서비스, PPP(Point-to-Point Protocol) 인증, 과금 및 패킷 압축 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data core network 130 may include a high speed data service for providing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ervice, an internet / intranet access service,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access service, a simple IP and a mobile IP service, Performs Point-to-Point Protocol (PPP) authentication, billing, and packet compress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제어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 (110)의 대기 모드를 제어할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하여금 대기 모드를 OEM 모드 또는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또는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망(120)이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Mode control server 1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n event to control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mobile terminal 110 changes the standby mode to OEM mode or agent mode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or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to be controlle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여기서, 대기 모드를 제어할 이벤트란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다운로드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의 가입 기간 또는 구매 기간이 종료한 경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특정 광고 메시지나 뉴스, 날씨 등의 정보를 제공할 경우 등을 말한다.Here, the event to control the standby mode is, for example, when the subscription period or the purchase period of the wallpaper application downloaded by the mobile terminal 110 has ended, or the specific advertising message or news to the mobile terminal 110, When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the weather, etc.

즉, 전술한 예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다운로드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의 가입 기간 또는 구매 기간이 종료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하여금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강제적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대기 화면을 기본 화면으로 설정하게 함으로써 그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계속 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when the subscription period or the purchase period of the background screen application down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terminated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transmitted. By forcibly causing the standby mode to change to the OEM mode to set the standby screen as the default screen, the background application is prevented from being used by the mobile terminal 110 continuously.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특정 광고 메시지나 뉴스, 날씨 등의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하여금 대기 모드를 에이전트 모드로 강제적으로 변경하도록 하여 대기 화면을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그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할 광고 메시지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a specific advertisement message, news, weather, etc.,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ransmits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reby ca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be in a standby mode. To forcibly change to the agent mode so that the standby screen is output to the wallpaper application so that an advertisement message or information to be provided by the wallpaper application is outpu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setting of a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대기 모드를 변경해야 할 이벤트가 발생한다(S210). 이러한 이벤트의 발생은 모드 제어 서버(140)가 독자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과금을 담당하는 특정 서버나 이동통신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를 보유한 특정 서버 등)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대기 모드를 변경해 달라는 요청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for example, an event to change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occurs (S210). The occurrence of such an event may be independently determined by the mode control server 140, or may be determined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specific server in charge of charging or a specific server having service information of a mobile subscriber). A request may be made to change the standby mode of 110.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대기 모드를 변경해야 할 이벤트가 발생하면 모드 제어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대기 모드를 어떠한 대기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 즉, 모드 제어 서버(140)는 독자적으로 판단하거나 외부로부터 요청된 이벤트를 파악하여 OEM 모드로의 변경이 필요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20).When an event to change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occurs, the mode control serv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hould be changed to which standby mode. That is, the mode control server 140 independently determines or grasps the event requested from the outside and checks whether the change to the OEM mode is necessary (S220).

모드 제어 서버(140)는 단계 S220의 확인 결과, OEM 모드로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망(120)이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S230).If the mode control server 140 needs to change to the OEM mode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220, the mode control server 140 generates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hen uses the short message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110 to transmit (S230).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저장된 대기 모드의 정보를 확인하고 대기 모드가 OEM 모드인 경우에는 OEM 모드를 유지하고, 에이전트 모드인 경우에는 에이전트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하여 OEM 모드를 구동하고, OEM 모드에 따라 제조사에 의해 구현된 기본 화면을 대기화면으로 출력한다(S240).Upon receiving the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the mobile terminal 110 checks the information of the stored standby mode, maintains the OEM mode when the standby mode is the OEM mode, and changes the agent mode to the OEM mode when the agent mode is used. Drives the OEM mode, and outputs the basic screen implemented by the manufacturer to the standby screen according to the OEM mode (S240).

또한, 모드 제어 서버(140)는 단계 S220의 확인 결과, OEM 모드로의 변경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에이전트 모드로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동통신망(120)이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S250).In addition, the mode control server 140 generates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when the change to the agent mode is required, but the change to the OEM mode is not necessar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provides the result. The short message servi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S250).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저장된 대기 모드의 정보를 확인하고 대기 모드가 에이전트 모드인 경우에는 에이전트 모드를 유지하고, OEM 모드인 경우에는 OEM 모드를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하여 에이전트 모드를 구동하고, 에이전트 모드에 따라 저장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대기화면으로 출력한다(S26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저장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이 다수인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배경화면으로 설정되었던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거나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으면 그 우선 순위에 따라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하거나 기본 배경화면으로 설정되어 있는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면 그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한다.Upon receiving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the mobile terminal 110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stored standby mode, maintains the agent mode when the standby mode is the agent mode, and changes the OEM mode to the agent mode when the OEM mode is used. The agent mode is driven, and the background application stored according to the agent mode is output as the standby screen (S260). He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ed wallpaper applicatio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outputs the wallpaper application which was set as the wallpaper most recently, or outputs the wallpaper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iority if the priority is set. If there is a wallpaper application set as a wallpaper, the wallpaper application is output.

이로써 모드 제어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대기 모드를 필요에 따라 OEM 모드나 에이전트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모드 제어 서버(140)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대기 모드를 OEM 모드나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하면 모드 제어 서버(140) 또는 모드 제어 서버(140)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대기 모드 제어를 요청한 외부의 구성 요소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다운로드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거나 광고, 뉴스, 날씨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ode control server 140 may control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OEM mode or the agent mode as necessary. When the mode control server 140 changes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OEM mode or the agent mode, the mode control server 140 or the mode control server 140 controls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requested external component may prevent the illegal use of the wallpaper application down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or provide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s, news, and weather.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의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control message for controlling setting of a standby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는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는 ";[Work Type]$[Sequence Number]$[Disp]$[Message];"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5$1$0302123456$0$15716180510;"로 생성되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3B에 나타내었다.3A shows an example of a message format of a mode control short message including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is preferably generated as "; [Work Type] $ [Sequence Number] $ [Disp] $ [Message];". For example, as shown, "5 $ 1 $ 0302123456 $ 0 $ 15716180510;" is preferably generated. A description of each item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is shown in 3B.

3B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구성 항목을 나타낸 예시 테이블이다. ";[Work Type]$[Sequence Number]$[Disp]$[Message];"에서 ";"는 토큰(Token)으로서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시작 및 끝을 구분하는 구분자이다. "$"는 토큰(Token)으로서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내부에서 항목 간을 구분하는 구분자이다. "[Work Type]"은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로 제어할 대상 및 제어할 업무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Work Type]"이 예를 들어 "5"라면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하는 것이고, "6"이라면 대기 모드를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하는 것이다.3B is an example table showing a configuration item of a mode control short message. ";" In "; [Work Type] $ [Sequence Number] $ [Disp] $ [Message];" is a token and is a delimiter separating the start and end of a mode control short message. "$" Is a token and is a delimiter between items in a mode control short message. "[Work Type]" is an identifier indicating a target to be controlled and a task to be controlled by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If "[Work Type]" is "5", for example, change the standby mode to OEM mode, and if "6", change the standby mode to agent mode.

"[Sequence Number]"는 모드 제어 서버(14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 모드 제어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고유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모드 제어 서버(140)에서는 "[Sequence Number]"를 관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대기 모드 변경 여부를 확인한다."[Sequence Number]" is an identifier indicating a unique ID for managing a mode control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ode control server 14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he mode control server 140 manages "[Sequence Number]" to check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hanges the standby mode.

"[Disp]"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Disp]"가 예를 들어 "0"이면 화면에 모드 제 어 단문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1"이면 화면에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표시한다. "[Message]"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와 함께 추가로 전달할 메시지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Disp]" is an identifier indicating whether to display a mode control short message on the scree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f "[Disp]" is "0", for example,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If "1",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Message]" is an identifier indicating a message to be additionally delivered with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따라서, 3A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낸 ";5$1$0302123456$0$157161805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고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는 표시하지 말 것을 지시한다. 또한, 모드 제어 서버(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고유 ID를 "0302123456"로 관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추가로 전달한 메시지는 "15716180510"이다.Accordingly, "5 $ 1 $ 0302123456 $ 0 $ 15716180510;" shown by way of example in 3A changes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to the OEM mode and does not display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In addition, the mode control server 140 manages the unique ID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s "0302123456". The message further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1571618051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에이전트 모드로 동작하여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이 대기 화면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이 부정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trolled remotel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in the agent mode, thereby preventing the downloaded application from being used on the standby scre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downloaded application from being used illegally.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OEM 모드로 동작하여 기본 화면이 출력된 경우에도 이동통신 가입자의 추가적인 조작이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해야 할 정보를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controlled remotely,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in the OEM mode and the basic screen is outpu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dditional operation of the mobile subscriber is provi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by the downloaded application.

Claims (9)

음성 통화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cluding a voice call service, a wireless data service, and a short message servic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de for controlling a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ystem comprising a control server,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andby mode, (a) 상기 대기 모드를 제어할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a) generating an event to control the standby mode; (b) 상기 이벤트를 분석하여 상기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b) analyzing the event to determine whether the standby mode should be changed to an OEM mode; (c) 상기 단계 (b)의 확인 결과,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c)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andby mode to the OEM mod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b), generating an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d) 상기 단계 (b)의 확인 결과,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OEM 모드로 변경하지 않고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d)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andby mode to the agent mode without changing the standby mode to the OEM mode, generating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ing to 를 포함하되, 상기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상기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는 상기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구분자, 상기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다수의 항목을 구분하는 구분자, 상기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상기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구분하는 식별자, 상기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고유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식별자, 상기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추가로 전달할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방법.A mode control short message including the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a separator for distinguishing a start and end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a plurality of items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 delimiter,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 identifier indicating a unique ID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whether to output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ndby mod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dentifier indicating and further to be delivered and one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b), 상기 모드 제어 서버는 상기 이벤트를 분석한 결과, 상기 이벤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다운로드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의 가입 기간 또는 구매 기간이 만료된 이벤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방법.When the mode control server analyzes the event and determines that the event is an event in which a subscription period or a purchase period of a wallpaper application downloaded by the mobile terminal has expired, the mode control server should change the standby mode to the OEM mode. Standby mod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confi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b), 상기 모드 제어 서버는 상기 이벤트를 분석한 결과, 상기 이벤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이벤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방법.When the mode control server analyzes the event and determines that the event is an event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de control server determines that the standby mode should be changed to the agent mode. How to control the standby mode of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c), 상기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저장 된 대기 모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상기 OEM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OEM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상기 에이전트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 모드를 상기 OEM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checks information on a pre-stored standby mode, maintains the OEM mode when the standby mode is the OEM mode, and the standby mode is the agent mode. If, the standby mod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agent mode to the OEM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d), 상기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저장된 대기 모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상기 에이전트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 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상기 OEM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OEM 모드를 상기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checks information on a pre-stored standby mode, maintains the agent mode when the standby mode is the agent mode, and the standby mode is the OEM mode. If the OEM mode is changed to the agent mode. 음성 통화 서비스, 무선 데이터 서비스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cluding a voice call service, a wireless data service, and a short message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ntrolling system,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대기 모드를 제어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를 분석하여 상기 대기 모드를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OEM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 하고,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OEM 모드로 변경하지 않고 에이전트 모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모드 제어 서버When an event occurs to control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vent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standby mode to the OEM mode, and when the OEM mode is to be changed to the OEM mode. Generating a mode control short message,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generating an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when the standby mode needs to be changed to the agent mode without changing to the OEM mode, A mode control server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를 포함하되, 상기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상기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는 상기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구분자, 상기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다수의 항목을 구분하는 구분자, 상기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 및 상기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구분하는 식별자, 상기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의 고유 ID(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식별자, 상기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추가로 전달할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시스템.A mode control short message including the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a separator for distinguishing a start and end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a plurality of items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 delimiter,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the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 identifier indicating a unique ID of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and whether to output the mode control short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ndby mode control syst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dentifier indicating and further to be delivered and one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모드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OEM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OEM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OEM 모드가 구동되면 기본 화면을 대기 화면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시스템.When the OEM mode control shor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de control server, the standby mode is set to the OEM mode, and when the OEM mode is driven, the standby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standby screen. Control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모드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에이전트 모드 제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 면,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에이전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에이전트 모드가 구동되면 기 저장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대기 화면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시스템.When the agent mode control shor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de control server, the standby mode is set to the agent mode, and when the agent mode is activated, the previously stored wallpaper application is output as a standby screen. Standby mode control system of the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수의 상기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대기 화면으로 설정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 및 최우선 순위로 설정된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배경화면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대기 화면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제어 시스템.If the plurality of wallpaper applications are stored, one of the wallpaper applications set as the standby screen and the wallpaper application set as the highest priority is output as the standby screen. Mode control system.
KR1020050102001A 2005-10-27 2005-10-27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6787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001A KR100678713B1 (en) 2005-10-27 2005-10-27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001A KR100678713B1 (en) 2005-10-27 2005-10-27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713B1 true KR100678713B1 (en) 2007-02-05

Family

ID=3810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001A KR100678713B1 (en) 2005-10-27 2005-10-27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7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800A1 (en) * 2012-07-20 2014-01-23 Facebook, Inc. Adjusting mobile device state based on user intentions and/or ident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800A1 (en) * 2012-07-20 2014-01-23 Facebook, Inc. Adjusting mobile device state based on user intentions and/or identity
US9052896B2 (en) 2012-07-20 2015-06-09 Facebook, Inc. Adjusting mobile device state based on user intentions and/or identity
US9591580B2 (en) 2012-07-20 2017-03-07 Facebook, Inc. Adjusting mobile device state based on user intentions and/or ident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77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information for a communication
US7630706B2 (en) Dynamically distributed, portal-based application services network topology for cellular systems
US8768316B2 (en) Customizable keypress tones and method of installing
US20130041959A1 (en) Synchronizing messages on connected devices
US20080261566A1 (en) Method for Activating a Network-Based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Apparatus, Device and Network Therefore
KR100834629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based service on internet protocol classified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939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delivering supplementary services to multi-technology capable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US20070220498A1 (en)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working via a card application toolkit
MX2007015279A (en) System, terminal, network entit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ystem selection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EP20760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M application toolki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009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eyword Searching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74335A (en) Client provisioning with flag parameters
JP4778708B2 (en) Communication device management via GPRS and GSM connections
JP2005529550A5 (en)
KR1007933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verting Servic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6787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nfiguration of stand by mode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140150B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for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Group ID
KR10190171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text message in multi sim mobile terminal
KR1007236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 Dimensional Content Download Service
CN101437207B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calling name card business
KR1005906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with information of latest application
KR1008362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pplication
KR20080035307A (en) Method for controlling telephone conversation remotely, and terminal thereof
KR1007384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E-mail Filtering Service by Using Phone Book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09525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ttering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