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522B1 -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522B1
KR100678522B1 KR1020060049256A KR20060049256A KR100678522B1 KR 100678522 B1 KR100678522 B1 KR 100678522B1 KR 1020060049256 A KR1020060049256 A KR 1020060049256A KR 20060049256 A KR20060049256 A KR 20060049256A KR 100678522 B1 KR100678522 B1 KR 10067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렬
권혜연
박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067,909 priority Critical patent/US8185108B2/en
Priority to PCT/KR2006/003766 priority patent/WO2007035051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모드 중에 제1 모드를 이용하여 제1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고, 제1 이동 제어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한다. 그리고, 멀티 모드 제어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2 이동 제어 장치 접속을 위한 페이징 요청을 제1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후에 페이징 요청을 분석하고, 분석에 따라 제1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제2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제2 모드를 활성화한다. 그 후, 활성화된 제2 모드를 이용하여 제2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모드를 관리하는 멀티 모드 제어 장치를 두어, 다중 모드 단말의 접속 모드에 따른 다양한 활성화 상태(IDLE)를 통합 및 관리함으로써, 다중 모드 단말의 다중 무선 접속 장치 접속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다중 모드 단말의 페이징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의 접속 변경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중 모드 통신, 페이징, 무선 접속 장치, 멀티 통신, 휴면 기간, SIM

Description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다양한 무선 접속 모드를 제공하는 다중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단말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통신 방법을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효율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은 물론이고 휴대 인터넷 단말,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이나 센서 네트워크 노드 등 통신기능을 가진 다양한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력 소모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에 따라, 이들 장치가 통신 중이 아닌 상태에서는 유휴 상태를 두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부분의 시간에 최소한의 전원 사용이 가능한 대기상태로 유도하고 있다. 이를 슬립/어웨이크(Sleep/Awake)로 표현하는데, 이는 단말이 유휴 상태 동안 잠이 들어(Sleep) 최소한의 전원을 사용하다가 주기적으로 깨어나서(Awake), 시스템으로부터 보내오는 방송정보 또는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는 전원이 인가된 후, 사용자의 요구가 있기 전까지는 대부분의 시간을 유휴 상태에 머무르며 동작을 최소화하다가 주기적으로 약속된 시간 슬롯에만 깨어나서 기지국이나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코디네이터의 방송정보를 수신하고 관련 정보를 갱신하며 그에 반응한다.
통신 장치는 해당 시간 슬롯에서 기지국 또는 코디네이터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 아이디(ID)와 자신의 아이디(ID)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페이징 응답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단말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면 이를 코디네이터에 등록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휴 상태에서 조차도 주기적인 단말의 폴링 동작은 통신 장치의 상태 천이나 데이터 송수신으로 전력을 소모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단말의 동작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이 하나의 단말로 통합되는 다중모드 단말의 경우, 하나의 단말이 접속 가능한 모든 무선 접속 장치 별로 유휴 상태 를 가지고 각각의 무선 접속 장치에 맞추어 단말이 주기적으로 동작해야 함으로 접속 장치별로 단말이 수행하는 슬립/어웨이크(Sleep/Awake)하는 시간이 다르게 되어 단말의 전력을 더욱 빠르게 소모시키는 결과를 가지며 최악의 경우 항상 단말이 깨어있게 되어 유휴 상태의 목적을 이룰 수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다양한 무선 접속 모드를 제공하는 다중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다중 모드의 통신을 제공하는 단말(10)과, 상기 단말(10)의 다중 모드 선택에 따라 무선 접속을 하는 제1 무선 접속 장치(AS)(20), 제2 무선 접속 장치(AS)(30) 및 제3 무선 접속 장치(AS)(40)와, 상기 제1 무선 접속 장치(20), 제2 무선 접속 장치(30) 및 제3 무선 접속 장치(40)를 제어하고, 단말(10)의 이동 관리, 사용자 인증 및 접근 제어를 하는 제1 이동 제어 장치(50), 제2 이동 제어 장치(60) 및 제3 이동 제어 장치(70)를 포함한다.
종래의 다중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0)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무선 접속 장치(20, 30, 40)의 통신 주기(동작 주기와 페이징 기간)(21, 22, 23)에 따라 슬립/어웨이크(Sleep/Awake)(7)를 반복하게 되고, 최악의 경우 슬립(Sleep)상태 없이 어웨이크(Awake)상태로 유지되면서 무선 접속 별로 방송되는 메시지의 수신과 페이징 요청에 따른 처리를 대기하고 있어 유휴 상태의 장점을 살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전원을 낭비하게 된다.
현재까지, 다중 모드 단말에 대한 페이징 절차가 아예 없거나, GSM 시스 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과 WCDMA(Wideband CDMA) 시스템과 같이, 같은 이동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를 사용하는 이중 모드 환경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GSM 시스템 및 WCDMA 시스템에서는 각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이동교환기로 페이징 메시지가 전달되고, 이동교환기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처리해야 하는 특정 시스템(GSM 또는 WCDMA 시스템)을 페이징 메시지에 추가하여 각 무선 접속 장치로 송신한다. 이중모드 단말은 현재 수신 대기 또는 사용중인 무선 접속 장치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페이징에 대한 응답 여부를 결정하여 가능한 경우, GSM 시스템 또는 WCDMA 시스템 등의 요구되는 무선 접속 장치로 페이징 응답을 수행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GSM 시스템과 WCDMA 시스템과 같이 이동교환기를 공유할 수 있는 같은 종류의 시스템에서만 수행이 가능하다.
2. 동시에 다양한 무선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현재 서비스가 페이징이 수신된 특정 접속 장치에서도 사용 가능하면 특정 접속 장치로 시스템간 핸드 오버를 수행하여 기존 서비스와 페이징된 서비스를 모두 받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페이징이 거절되고 현재 서비스만 제공받는다.)
3. 이동교환기에 위치한 페이징 제어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만 검사하여 이동교환기를 거치지 않는 IP 기반의 다양한 패킷 응용서비스 정책을 적 용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다.
4. 현재 유휴 상태인 다중모드 단말이 대기하고 있는 무선 접속 장치를 이동 교환기에서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다중모드 단말이 포함하는 모든 무선 접속 시스템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해야 한다.
5. 다중 모드 단말이 다양한 무선 접속 장치 중에 어떤 무선 접속 장치로 대기해야 하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어, 유휴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한편, 종래의 기술로, 이동 교환기와 같은 핵심망 내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공유가 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공유된 장치를 통해 다중 모드 단말의 페이징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공유가 불가능한 무선랜이나 와이브로(WIBRO)와 같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이 어렵고, 현재 대기 중인 무선 접속 장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효율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라서,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상기 이동 제어 장치와 연결된 멀티 모드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다중 모드 통신을 제공하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 은,
a)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모드 중에 제1 모드를 이용하여 제1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는 단계; b) 제1 이동 제어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단계; c) 멀티 모드 제어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2 이동 제어 장치 접속을 위한 페이징 요청을 제1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 페이징 요청을 분석하고, 분석에 따라 제1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제2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제2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e) 활성화된 제2 모드를 이용하여 제2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라서,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에 접속된 다중 모드 단말의 다중 모드 통신을 제공하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통신 방법은,
a) 제1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 받은 다중 모드 단말의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정보를 다중 모드 단말의 상태가 저장되는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c) 제2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페이징 요청에 따라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 및 e) 테이블 검색에 따라 다중 모드 단말이 이용중인 제1 이동 제어 장치로 페이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테이블은 다중 모드 단말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종류에 따른 활성화 정보 및 아이피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에 따라서,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이동 제어 장치와 연결된 멀티 모드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다중 모드 통신을 제공하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접속부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제1 이동 제어 장치와 접속하는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제2 이동 제어 장치와 접속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멀티 모드 제어 장치로부터 특정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에 따라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제1 이동 제어 장치 또는 제2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는 연동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동 제어 모듈은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 중에 슬립(Sleep) 시간이 가장 긴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접속을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은 다중 모드 단말(100), 무선 접속 장치(210, 220, 230), 이동 제어 장치(310, 320, 330) 및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은 무선 접속 장치(210, 220, 230) 및 이동 제어 장치(310, 320, 330)를 각각 3개를 이용하고, 다중 모드 단말(100)의 무선 통신 모드도 3개의 방식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무선 통신 모드의 확장 및 축소가 자유롭다.
다중 모드 단말(100)은 서로 다른 3개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제1 통신(Ri1), 제2 통신(Ri2), 제3 통신(Ri3)을 수행하며,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받은 페이징 요청에 따라 통신 모드를 변경한다. 여기서, 다중 모드 단말(100)은 제1 통신, 제2 통신, 제3 통신에 따른 각각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 별로 서로 다른 3개의 IP주소를 갖게 된다. 또한, 다중 모드 단말(100)은 접속된 무선 접속 장치(220)의 통신 기간(동작기간 및 페이징 기간)(222)에 따라 통신 기간(슬립 모드 기간이 포함됨)(102)를 갖게 된다.
또한, 다중 모드 단말(100)은 최초 접속 시에 전력 소모가 가장 작은(휴면 시간이 가장 긴) 접속 방식에 따라 무선 접속 장치(210, 220, 230)로 초기 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은 휴면 시간에 따라 최초 접속을 수행하지만, 사용자의 임의의 결정, 전파 수신 세기 측정 또는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최후 접속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무선 접속 장치(AS)(210, 220, 230)는 연결되어 있는 이동 제어 장치(MCE)(310, 320, 330)에 의해 각각 제어되며, 각각의 특정 통신 주기(동작 주기 및 페이징 주기)(212, 222, 232)를 갖는 제1 무선 접속 장치(210), 제2 무선 접속 장치(220) 및 제3 무선 접속 장치(230)를 포함하고, 각각의 무선 접속 장치(210, 220, 230)는 다중 모드 단말(100)의 통신 모드 선택에 따라 다중 모드 단말(100)과 무선 통신을 한다.
이동 제어 장치(Mobile Control Entity; MCE)(310, 320, 330)는 제1 이동 제어 장치(310), 제2 이동 제어 장치(320), 제3 이동 제어 장치(330)를 포함하며, 각각의 이동 제어 장치(310, 320, 330)는 해당 무선 접속 장치(210, 220, 230)와 연결되고, 접속되어 있는 다중 모드 단말(100)의 이동성, 사용자 인증 및 접근 제어를 관리한다. 특히, 각각의 이동 제어 장치(310, 320, 330)는 접속하고 있는 다중 모드 단말(10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로 제공한다. 이때, 다중 모드 단말(100)의 상태 정보는 IP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정보, 현재 접속 상태, ID 정보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멀티 모드 제어 장치(Multi-Mode Control Entity; MMCE)(400)는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310, 320, 330)와 연결되며,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310, 320, 330)로부터 다중 모드 단말(1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타 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나 페이징 요청 및 이동 제어 장치(310, 320, 330)로부터 수신되는 페이징 요청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중 모드 단말(100)의 상태 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을 기초로 다중 모드 단말(100)로 전송한다.
또한,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는 다중 모드 단말(100)의 상태 정보를 하기의 표1과 같이 테이블화하여 관리한다.
[표 1]
Figure 112006038752397-pat00001
이러한,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은 다중 모드 단말이 모든 접속 시스템이 아닌 대표 시스템에 맞춰 슬립/어웨이크(Sleep/Awake)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단말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모드 단말(100)은 다중 모드 접속 부(110), 제어 모듈(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입력 모듈(140) 및 음성 처리 모듈(150)을 포함한다.
다중 모드 접속부(110)는 제1 통신 모듈(112), 제2 통신 모듈(113), 제3 통신 모듈(114), 연동 제어 모듈(115), 가입자 정보 저장모듈(116)을 포함하며, 상기 도2에 도시한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의 페이징 요청에 따라 사용중인 통신 모듈을 슬립(Sleep)시키고, 페이징 요청에 따른 통신 모듈을 어웨이크(Awake)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다중 모드 접속부(110)는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의 페이징 요청에 따라 통신 모듈(112, 113, 114)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페이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12)은 제1 무선 인터페이스(Ri1)을 포함하며, 제1 무선 인터페이스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도2에 도시한 무선 접속 장치(AS1)(210)에 접속한다.
제2 통신 모듈(113)은 제2 무선 인터페이스(Ri2)를 포함하며, 제2 무선 인터페이스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도2에 도시한 무선 접속 장치(AS2)(220)에 접속한다.
제3 통신 모듈(114)은 제3 무선 인터페이스(Ri3)을 포함하며, 제3 무선 인터페이스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도2에 도시한 무선 접속 장치(AS3)(230)에 접속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 모듈(116)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가입자 정보로는 사용자가 가입한 시스템 정보(SKT, KTF, LGT, Hanaro 등의 통신 정보), 각 접속별 과 금 정보, 각 접속별 이동성 지원 정보, 가입자 ID 정보 및 단말의 전원이 최후로 꺼지기 전에 접속했던 무선 접속 장치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때, 가입자 정보 저장 모듈(1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과 같은 경우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카드 형식으로 내장되어 있다.
연동 제어 모듈(115)은 제1 통신 모듈(112), 제2 통신 모듈(113), 제3 통신 모듈(114) 및 가입자 정보 저장 모듈(116)을 제어하며,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로부터 수신받은 페이징 요청에 따라 해당 통신 모듈(112, 113, 114)을 제어한다. 즉, 연동 제어 모듈(115)은 현재 접속을 수행하고 있는 통신 모듈을 통해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로부터 수신받은 페이징 요청에 따라 통신 모듈을 변경하고, 변경에 따라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한다. 이때, 연동 제어 모듈(115)은 수신받은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 아이디(ID)와 자신의 아이디(ID)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연동 제어 모듈(115)은 가입자 정보 저장 모듈(116)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상기 도2에 도시한 무선 접속 장치(210, 220, 230)에 접속되어 있는 제1 통신 모듈(112), 제2 통신 모듈(113) 또는 제3 통신 모듈(114)을 통해 이동 제어 장치(310, 320, 330)에 제공한다.
제어모듈(120)은 다중 모드 단말(100)의 내부 모듈을 제어하며, 응용 프로그램 제어, 입출력 제어, 음성 처리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 플레이모듈(130)은 제어 모듈(12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처리 정보를 제공한다.
입력 모듈(14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 모듈(120)에 제공한다.
음성 처리 모듈(150)은 제어 모듈(12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받은 음성 정보를 처리하여 제어 모듈(120)에 제공한다.
이러한, 다중 모드 단말은 현재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통해 멀티 모드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페이징 요청에 따라 비활성화(Sleep)된 통신 모듈을 활성화(Awake)하고, 활성화(Awake) 중인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Sleep)함으로써, 전원 소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고, 페이징에 빠른 대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통신 방법을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단말(100)은 제2 이동 제어 장치(320) 접속 중에, 페이징 요청에 따라 통신 모듈을 변경하여 제3 이동 제어 장치(330)와 접속한다.
다음에서 도4를 참조하여, 이러한 페이징 요청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 변경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중 모드 단말(100)은 전원이 동작되어 최초 초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선택하게 된다. 전원 동작에 따라 최초 초기 접속 수행은 전력 소모가 가장 작은(휴면 시간이 가장 긴) 접속 방식에 따라 초기 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단말(100)은 휴면 시간에 따라 최초 접속을 수행하지만, 사용자의 임의의 결정, 전파 수신 세기 측정 또는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최후 접속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다중 모드 단말(100)은 초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을 선택하고(S100),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제2 이동 제어 장치(320)로 등록(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2). 이때, 등록(인증)요청 메시지에는 다중 모드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는 IP 정보, 가입자 정보 및 맥(MAC) 정보 등의 단말 정보가 포함된다.
제2 이동 제어 장치(320)는 다중 모드 단말(100)로부터 수신 받은 등록(인증)요청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고(S104),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로 다중 모드 단말(100)의 등록을 요청한다(S106). 이때, 제2 이동 제어 장치(320)가 다중 모드 단말(100)로 송신하는 등록 요청에는 IP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정보, 현재 접속 상태 등의 단말 상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2 이동 제어 장치(320)는 인증을 수행에 따라 관리 대상 단말로 다중 모드 단말(100)을 등록하여 관리하게 된다.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는 등록 요청에 따라 다중 모드 단말(100)의 상태 정보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S108), 등록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제2 이동 제어 장치(320)로 전송한다(S110). 이때,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는 다중 모드 단말(100)을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제2 이동 제어 장치(320)는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 여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면, 다중 모드 단말(100)로 등록(인증)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하여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S112).
다중 모드 단말(100)은 등록(인증)요청에 따른 응답에 따라 제2 이동 제어 장치(320)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여, 페이징 주기에 따라 슬립/어웨이크(Sleep/Awake)를 반복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S114). 이때, 다중 모드 단말(100)은 제2 이동 제어 장치(32)와 접속되어 있는 제2 통신 모듈을 제외한 모든 통신 모듈은 슬립(Sleep)상태가 된다.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는 타 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메시지 또는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거나 제3 이동 제어 장치(330)로부터 페이징 요청을 수신한다(S118). 이때, 제3 이동 제어 장치(330)로부터 수신되는 페이징 요청은 제3 이동 제어 장치(330)가 제3 통신을 이용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루어진다(S116).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는 수신받은 페이징 요청을 분석하여, 테이블을 검색하고(S120), 테이블 검색에 따라 현재 다중 모드 단말(100)이 이용하고 있는 제2 이동 제어 장치(320)로 페이징 요청을 전송한다(S122). 이때,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가 제2 이동 제어 장치(320)로 전송하는 페이징 요청에는 제3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페이징 정보가 포함된다.
제2 이동 제어 장치(320)는 멀티 모드 제어 장치(400)로부터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받은 페이징 요청을 다중 모드 단말(100)로 전송한다(S124).
다중 모드 단말(100)은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여 분석하고(S126), 분석에 따 라 페이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페이징 정보(제3 통신 이용을 위한 정보가 포함됨)를 기초로 제3 통신 모듈을 활성화(Awake)하고, 현재 이용중인 제2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Sleep)하여 통신 모듈을 변경한다(S128). 이때, 다중 모드 단말(100)은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 아이디(ID)와 자신의 아이디(ID)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페이징 절차를 수행한다.
그리고, 다중 모드 단말(100)은 제3 이동 제어 장치(330)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S130).
이러한, 다중 모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다중 모드 단말이 현재 활성화된 무선 접속을 멀티 모드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페이징 요청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전원 소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을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은 다중 모드를 관리하는 멀티 모드 제어 장치를 두어, 다중 모드 단말의 접속 모드에 따른 다양한 활성화 상태(IDLE)를 통합 및 관리함으로써, 다중 모드 단말의 다중 무선 접속 장치 접속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다중 모드 단말의 페이징에 따른 무선 접속 장치의 접속 변경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3)

  1.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상기 이동 제어 장치와 연결된 멀티 모드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다중 모드 통신을 제공하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모드 중에 제1 모드를 이용하여 제1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제1 이동 제어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멀티 모드 제어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2 이동 제어 장치 접속을 위한 페이징 요청을 상기 제1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페이징 요청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상기 제1 모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제2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활성화된 제2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 후에 아이피 정보, 가입자 정보 및 맥(MAC) 정보가 포함된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의 저장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페이징 요청에 포함된 수신 아이디와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페이징 요청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 중 상기 제1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기 위해 다수의 모드 중에 슬립(Sleep) 기간이 가장 긴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드를 결정하는 특징을 갖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 결정은 상기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 중 상기 제1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의 결정, 전파 수신 세기 또는 SIM(Subscriber Identify Module)에 저장되어 있는 최후 접속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
  6.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에 접속된 다중 모드 단말의 다중 모드 통신을 제공하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통신 방법에 있어서,
    a) 제1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 받은 상기 다중 모드 단말의 접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정보를 상기 다중 모드 단말의 상태가 저장되는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c) 제2 이동 제어 장치로부터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페이징 요청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테이블 검색에 따라 상기 다중 모드 단말이 이용중인 상기 제1 이동 제어 장치로 상기 페이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다중 모드 단말이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종류에 따른 활성화 정보 및 아이피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방법.
  8. 다수의 이동 제어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상기 이동 제어 장치와 연결된 멀티 모드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다중 모드 통신을 제공하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접속부에 있어서,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제1 이동 제어 장치와 접속하는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제2 이동 제어 장치와 접속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멀티 모드 제어 장치로부터 특정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상기 제1 이동 제어 장치 또는 제2 이동 제어 장치로 접속하는 연동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접속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에 슬립(Sleep) 시간이 가장 긴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초기접속을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접속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접속은 사용자의 결정, 전파 수신 세기 또는 저장되어 있는 최후 접속 정보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접속부.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 모듈은, 상기 분석에 따라 해당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해당 통신 모듈을 제외한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특징을 갖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접속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 모듈은, 상기 특정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 아이디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페이징 요청에 따른 상기 제1 통신 모듈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듈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접속부.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가 가입한 시스템 정보, 상기 접속 별 과금 정보, 상기 접속 별 이동성 지원 정보, 가입자 아이디 및 단말의 전원이 최후로 꺼지기 전에 접속했던 이동 제어 장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의 다중 모드 접속부.
KR1020060049256A 2005-09-23 2006-06-01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67,909 US8185108B2 (en) 2005-09-23 2006-09-22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CT/KR2006/003766 WO2007035051A2 (en) 2005-09-23 2006-09-22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8724 2005-09-23
KR1020050088724 2005-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522B1 true KR100678522B1 (ko) 2007-02-02

Family

ID=3810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256A KR100678522B1 (ko) 2005-09-23 2006-06-01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85108B2 (ko)
KR (1) KR100678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767B1 (ko) * 2007-11-22 2010-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4167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모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337B1 (ko) * 2006-11-30 2012-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인터페이스 환경에서의 다중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66620A (ko) * 2008-12-10 201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에서 무선접속기술 간 측정 장치 및 방법
US8213371B1 (en) * 2009-03-19 2012-07-0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sing a synchronized access channel to track a mobile device
US8213358B1 (en) * 2009-03-19 2012-07-0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Reducing communication latency by utilizing a quick-paging channel
US20100260092A1 (en) * 2009-04-09 2010-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ooperative mimo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081949B2 (en) * 2009-04-17 2011-1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d sleep request messages for multi-mode operations
US8965293B2 (en) * 2009-06-26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S9775046B2 (en) * 2009-06-26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ES2372080B1 (es) * 2010-02-08 2012-11-22 Vodafone España S.A.U. Método para procesar una llamada 2g, dispositivo y programa informático.
CN102469622B (zh) 2010-11-16 2014-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模控制器入局消息处理方法、装置及多模控制器
GB2491569B (en) * 2011-05-31 201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ling a communication to a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wireless network
US9253722B2 (en) * 2012-03-02 2016-02-02 Intel Corporation Network interface for reduced host sleep interruption
WO2014042570A1 (en) * 2012-09-14 2014-03-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Qos-based cooperative scheduling for handling of data traffic
US9883515B2 (en) * 2013-01-17 2018-01-30 Intel Deutschland Gmbh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US8917668B1 (en) * 2013-06-06 2014-12-23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aving in a wireless system
WO2020237447A1 (zh) * 2019-05-24 2020-1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962A (ko) * 2002-01-29 2004-08-3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이의 무선 동작 지원 방법,소프트웨어 제품 및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776A (en) * 1994-09-14 1997-01-14 Ericsson Inc. Efficient paging system
US5870673A (en) * 1996-08-30 1999-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current receipt of incoming calls from a wide area cellular network and a privat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FI107982B (fi) * 1997-05-06 2001-10-31 Nokia Mobile Phones Ltd Solun valinta käyttöprofiilin perusteella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US6141570A (en) 1998-08-26 2000-10-31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serving battery energy in a wireless telephone with an integral global positioning system
US6317607B1 (en) * 1999-06-14 2001-11-13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jecting an over-the-air request for call initialization
US6289228B1 (en) 1999-07-20 2001-09-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EP1079655B1 (en) * 1999-08-23 2005-02-09 Lucent Technologies Inc. RAU optimisation for UMTS URA connected state
US6748246B1 (en) * 2000-07-05 2004-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technology in a multi-mode terminal
KR100342501B1 (ko) * 2000-08-19 2002-06-28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GB2371172B (en) * 2001-01-10 2003-01-08 Ericsson Telefon Ab L M Paging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068669B2 (en) * 2001-04-20 2006-06-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IP connectivity with a radio network
US8195187B2 (en) * 2001-06-25 2012-06-05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Radio network control
US7133702B2 (en) * 2002-08-27 2006-11-07 Qualcomm Incorporated Idle mode cell reacquisition and reselection
US7688786B2 (en) * 2003-03-17 2010-03-30 Qualcomm Incorporated Avoiding data loss and reducing registration overhead in packet networks
GB2405558B (en) * 2003-08-29 2005-08-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ccess in a WLAN environment
KR20050032243A (ko) 2003-10-01 2005-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1X 시스템과 1xEV-DO 시스템간의 페이징 터널링을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76254A1 (en) * 2003-10-01 2005-04-07 Robinson Michael A. Sleep recovery circuit and method
JP2005252501A (ja) 2004-03-03 2005-09-15 Nec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RU2327286C1 (ru) * 2004-03-04 2008-06-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чим режимом мас-уровня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ирокополосным беспроводным доступом
US7200383B2 (en) * 2004-04-26 2007-04-03 Nokia Corporation Subscriber authentication for unlicensed mobile access signaling
US20050276273A1 (en) * 2004-06-10 2005-12-15 Valentin Oprescu-Surcobe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between a 3G1X network and a wireless packet data network
KR20060013059A (ko) * 2004-08-05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060126582A1 (en) * 2004-12-09 2006-06-15 Nokia Corporation Delivering data to a mobile node in idle mode
CN101053181B (zh) * 2005-01-04 2012-05-30 Sk电信有限公司 异步通信网络与同步通信网络的混合网络中的切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962A (ko) * 2002-01-29 2004-08-30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이의 무선 동작 지원 방법,소프트웨어 제품 및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통신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75962 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767B1 (ko) * 2007-11-22 2010-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망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4167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모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59765B1 (ko) * 2009-09-28 201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모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85108B2 (en) 2012-05-22
US20080207230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522B1 (ko)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88801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LAN network detection
US75677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paging mechanism within wireless networks including multiple access points
US88741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standby operation for a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US7403512B2 (en) Service discovery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s
JP4653070B2 (ja) ワイアレス・ローカル・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検出及び選択
US8755848B2 (en)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KR101015755B1 (ko) 터미널, 액세스 포인트 및 연결/인증 전의 질의 로밍 방법
US20110195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US20040165563A1 (e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system detection and selection
US201102495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ge delivery to a wireless client device in idle state
CN101480089A (zh) 用于无线移动装置的电池高效的通用广告服务
JP2004234667A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内の電力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0520653A (ja) 固定ワイヤレス局のためのwake−on−WLAN
JP2015505192A (ja) アクセス・ポイント省電力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2067670A (zh) 用于mih客户端的动态简档功能性的方法和设备
EP2050229A1 (en) Paging operation for idle mode terminals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interfaces
US8676881B2 (en) Location update method, heterogeneous network communications system and device
US20220159558A1 (en) Enhanc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Dedicated-Scan Radio
WO2007035051A2 (en)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990148B2 (ja)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WO2022252837A1 (zh) 定位方法、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90036186A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절감을 위한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