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395B1 -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395B1
KR100678395B1 KR1020060056195A KR20060056195A KR100678395B1 KR 100678395 B1 KR100678395 B1 KR 100678395B1 KR 1020060056195 A KR1020060056195 A KR 1020060056195A KR 20060056195 A KR20060056195 A KR 20060056195A KR 100678395 B1 KR100678395 B1 KR 10067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atellite
data
aerial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1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대원지리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지리정보(주) filed Critical 대원지리정보(주)
Priority to KR102006005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3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3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36Videogrammetry, i.e. electronic processing of video signals from a single source or from different sources to give parallax or range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Abstract

A system and a method for correcting geometric information data in real-time with a satellite/aerospace image are provided to efficiently correct the geometric information data in real-time by correcting the real-time satellite/aerospace image, performing coordinate conversion, and correcting/storing the geometric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position desired from a user. An image obtainer(11) obtains the satellite/aerospace image of a specific area. An image corrector(12) corrects the satellite/aerospace image through various processes. A digitizer(13) receives/digitizes the corrected satellite/aerospace image as spatial data. A coordinate converter(14) forms a digital map by converting coordinates of the digitized spatial data. A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21) receives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a GPS. A map display part(22) outputs a map image by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A location corrector(23) displays the data converted in the coordinate converter on the displayed map image and enables the user to correct/store the geometric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position.

Description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system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method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종래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업데이트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l-time update method of conventional geographic dat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전처리부 11 : 영상 획득부10: preprocessing unit 11: image acquisition unit

12 : 영상 보정부 13 : 디지타이징부12: image correction unit 13: digitizing unit

14 : 좌표 변환부 20 : 실시간 위치 보정부14: coordinate conversion unit 20: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unit

21 : GPS 수신부 22 : 지도 표시부21: GPS receiver 22: map display

23 : 위치 보정부 30 : 전송부23: position correction unit 30: transmission unit

31 : 실시간 위치 전송부31: real-time location transmitter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으로 획득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보정처리하고 좌표변환하여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함으로써 지리정보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실시간 위치보정을 수행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in particular, to correct and store the geospatial data corresponding to the point that the user wants to correct by calibrating and transforming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acquired in real tim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geospatial data using satellite and aerial images, which are suitable for performing efficient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on geospatial data.

일반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은 지도에 관한 속성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서 해석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지도 정보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취급하는 정보는 인구 밀도나 토지 이용 등의 인위적 요소, 기상 조건이나 지질 등의 자연적 환경 요소 등 다양하다. 속성 정보를 가공하여 특정 목적을 위해 해석하고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지리정보시스템은 도시 계획, 토지 관리, 기업의 판매 전략 계획 등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된다.In general,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refers to a system for interpreting attribute information on a map using a computer. This is also called a map information system. The information handled varies, including human factors such as population density and land use, and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eather conditions and geology. It aims to process attribute information, interpret it for specific purposes, and support plann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urban planning, land management, and corporate sales strategy planning.

그래서 종래의 지리정보시스템의 지리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업데이트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557747('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업데이트 방법)'이 있었다.Thus, as a technique for updat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of the conven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real time, there was a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registration number 10-557747 ('real time update method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도 3은 종래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업데이트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l-time update method of conventional geographic data.

그래서 먼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정보 센터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에 포함되는 지형지물에 대한 전체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신받아 지리 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ST11).Therefore, firs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 entire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 of the feature included in the optimal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is received and stored i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 storage unit (ST11).

다음으로, GPS 수신기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현 위치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수신받는다(ST12).Next, position data on the current position is received from the satellite through the GPS receiver (ST12).

다음으로, 제어부를 통해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전체 지리정보 데이터 중 현 위치를 포함한 단위 셀 영역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기를 통해 표시부에 지도 영상으로 출력하고, 실시간으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도 영상 상에 중첩시켜 표시한다(ST13).Next,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unit cell area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among all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data is output through the graphic processor as a map image on the display unit, and the map data is received in real time by receiving the position data. The images are superimposed on the image (ST13).

이때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동 중 표시부에 출력된 지형지물에 대한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를 통해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불러들여 수정한다(ST14).At this time, if there is a modification to the feature output on the display unit d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 using the navigation system, the geo-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oint to be modifi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is loaded and modified (ST14).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실시간 위치보정 수행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하지 못한 한계 등이 있었다.However, these prior arts have limitations in not using satellite images and aerial images when performing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보정처리하고 좌표변환하여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함으로써 지리정보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실시간 위치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gener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rrect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the geography corresponding to the point that the user wants to corr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geo-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that can perform efficient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on geo-information data by modify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data.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system of geospatial data using satellite images and aerial images, and a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system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영역에 대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11)와; 상기 영상 획득부(11)에서 획득된 위성영상에 대해 전자파 소음 제거와 오류를 정정하는 전처리, 영상의 화질을 강화시키는 강조처리, 영상에 대한 주제별 분석을 수행하는 주제별 분석처리, 지표면의 정보를 추출하는 후처리를 수행하여 위성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11)에서 획득된 항공영상에 대해 위치, 크기, 형상을 결정하는 정량분석 처리, 자원 및 환경을 포함한 정보 조사에 이용되는 정성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항공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부(12)와; 상기 영상 보정부(12)에서 보정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입력받아 공간 데이터로 디지타이징화하는 디지타이징부(13)와; 상기 디지타이징부(13)에서 디지타이징화된 공간 데이터를 좌표변환하여 수치지도를 형성시키는 좌표 변환부(14)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21)와; 상기 GPS 수신부(21)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해 지도 영상을 출력하는 지도 표시부(22)와; 상기 좌표 변환부(13)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에 대한 좌표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지도 표시부(22)에 의해 출력된 지도 영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 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보정부(23)와; 상기 위치 보정부(23)에서 수정하고 저장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지리정보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리정보제공 서버에서 지리정보 데이터의 위치보정이 수행되고 반영되도록 하는 실시간 위치 전송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therein, an image acquisition unit 11 for acquiring satellite and aerial images of a predetermined area; The satellit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 pre-processing to remove the electromagnetic noise and correction of errors, emphasis processing to enhance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hematic analysis processing to perform thematic analysis of the image, extract the surface information Perform post-processing to correct satellite images, and use it for quantitative analysis processing to determine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aerial image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 and information including resources and environment. An image correction unit 12 performing correction on the aerial image by performing qualitative analysis processing; A digitizing unit 13 for receiving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corrected by the image correcting unit 12 and digitizing the spatial data; A coordinate transformation unit 14 for transforming the digitized spatial data by the digitizing unit 13 to form a numerical map; A GPS receiver 21 for receiv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 map display unit 22 outputting a map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21; Coordinate transformed data of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received in real time by the coordinate conversion unit 13 is displayed on the map image output by the map display unit 22, and whether the user corresponds to a point to be corrected. A position correction unit 23 for correcting and storing logical information data; A real-time position transmitter 31 for correcting the position correction unit 23 and transmitting the stored geo information data to a geo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o that the position correction of the geo information data is performed and reflected in the geo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method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영역에 대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획득하는 제 1 단계(ST1)와; 상기 제 1 단계 후 획득된 위성영상에 대해 전자파 소음 제거와 오류를 정정하는 전처리, 영상의 화질을 강화시키는 강조처리, 영상에 대한 주제별 분석을 수행하는 주제별 분석처리, 지표면의 정보를 추출하는 후처리를 수행하여 위성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획득된 항공영상에 대해 위치, 크기, 형상을 결정하는 정량분석 처리, 자원 및 환경을 포함한 정보 조사에 이용되는 정성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항공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ST2)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보정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공간 데이터로 디지타이징화하는 제 3 단계(ST3)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디지타이징화된 공간 데이터를 좌표변환하여 수치지도를 형성시키는 제 4 단계(ST4)와; GPS를 통해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 5 단계(ST5)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해 지도 영상을 출력하는 제 6 단계(ST6)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에 대한 좌표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제 6 단계에서 출력된 지도 영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제 7 단계(ST7)와; 상기 제 7 단계에서 수정하고 저장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지리정보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리정보제공 서버에서 지리정보 데이터의 위치보정이 수행되고 반영되도록 하는 제 8 단계(ST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therein, a first step ST1 of acquiring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The satellite image acquired after the first step, the pre-processing to remove the electromagnetic noise and correct the error, the emphasis processing to enhance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hematic analysis to perform thematic analysis of the image, the post-processing to extract the information of the ground surface To perform satellite image correction, perform quantitative analysis to determin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aerial image acquired in the first step, and perform qualitative analysis to be used for information survey including resources and environment. Performing a correction on the aerial image (ST2); A third step (ST3) of digitizing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corrected in the second step with spatial data; A fourth step (ST4) of forming a numerical map by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the digitized spatial data in the third step; A fifth step ST5 of receiv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A sixth step ST6 of outputting a map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ifth step; In the fourth step, the coordinate-converted data of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are displayed on the map image output in the sixth step, and the user can modify and store the geo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the point to be corrected. A seventh step ST7; And an eighth step (ST8)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by transmitting the stored geographic information data modified in the seventh step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t is don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for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spatial data using satellite images and aerial images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 or precedent of a user or an operator, and thus, the meaning of each term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먼저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보정처리하고 좌표변환하여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함으로써 지리정보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실시간 위치보정을 수행하고자 한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efficient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for geospatial data by modifying and storing geospatial data corresponding to the point that the user wants to correct by calibrating and transforming the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acquired in real time. will be.

이를 위해 전처리부(10)의 영상 획득부(11)에서는 소정 영역에 대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획득한다(ST1).To this e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 of the preprocessing unit 10 acquires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ST1).

그리고 영상 보정부(12)에서는 영상 획득부(11)에서 획득된 위성영상에 대해 전자파 소음 제거와 오류를 정정하는 전처리, 영상의 화질을 강화시키는 강조처리, 영상에 대한 주제별 분석을 수행하는 주제별 분석처리, 지표면의 정보를 추출하는 후처리를 수행하여 위성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영상 획득부(11)에서 획득된 항공영상에 대해 위치, 크기, 형상을 결정하는 정량분석 처리, 자원 및 환경을 포함한 정보 조사에 이용되는 정성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항공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mage correction unit 12 performs thematic analysis on the satellit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 preprocessing to remove electromagnetic noise and correcting errors, emphasis processing to enhance the image quality, and subjective analysis of the image. Performs post-processing to extract the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earth's surface to perform satellite image correction, and to determine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aerial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 resources and environment. Qualitative analysis is used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rrection of the aerial image.

여기서 위성영상은 인공위성에 탑재된 탐지기에서 지표의 대상물이 반사 또는 방사하는 전자파 에너지를 탐지하여 이를 디지털 형태로 기록한 것으로서, 영상 보정부(12)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대상물 또는 현상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때 영상 보정부(12)에서는 가시광선 영역 뿐만 아니라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대한 정보도 취득한 위성영상을 분석하고, 정보를 여러 개의 파장대별로 분할하여 취득하여 지리정보의 분광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분석을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atellite image is a digital wave form that detects electromagnetic energy reflected or radiated by an object of the earth by a detector mounted on a satellite, and records it in digital form. The image correction unit 12 processes the data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or phenomenon. . In this case, the image correction unit 12 analyzes satellite images obtained not only in the visible light region but also in the infrared and ultraviolet light regions, and divides the information into a plurality of wavelength bands to obtain various analysis us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Can be done.

위성영상을 GIS에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로 만들기 위해서는 영상 보정부(12)에서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In order to make the satellite image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GIS, the image correction unit 12 undergoes a complicated process.

우선 위성으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에는 위성과 지표면간의 대기 중에서 발생되는 산란과 반사 및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계통적인 잡음과 우주공간의 특성상 발생하는 우연적인 잡음 등이 포함된다. 그래서 수집된 위성영상 자료는 위성과 지구의 움직임, 센서의 흔들림, 대기조건에 의해 발생하는 기하학적인 오류나 방사오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 하다 . 그래서 전처리 과정에서는 방사보정(Radiometric Correction)과 기하보정(Geometric Correction)을 수행한다. 방사보정이란 탐지기들 간의 미세한 감도차의 영향을 보정하고, 서로 다른 시기에 관측된 데이터를 모자이크할 때 태양고도의 영향을 보정하는 것이다. 방사오류를 보정하는 기술은 대부분의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성영상은 기하학적 왜곡과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위치를 보정하여 지상의 지도 좌표체계와 일치시켜야 한다. 그래서 기하보정은 데이터 취득 당시의 지구의 자전영향, 지구곡률 등의 영향을 보정하여 일반 지도의 투영과 같도록 보정하는 것이다. 위성영상의 기하학적 왜곡은 영상에서의 각 픽셀 위치좌표와 지도좌표계에서의 대상물 좌표와의 차이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러한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기하보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영상에서 확실히 식별되는 지상통제점(Ground Control Point, GOP)을 선정하고, 지상통제점에 대한 영상좌표와 지상좌표를 구하고, 두 좌표 간의 변환식을 설정하여 보정하게 된다. 변환식으로는 주로 일차식인 아핀(affine) 변환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대상영역이 넓을 경우에는 2차 이상의 고차 다항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픽셀의 재배열(resampling)이 이루어지게 된다.First of all, images received from satellites include scattering and reflection in the atmosphere between the satellite and the surface, systematic noises that occur regularly, and accidental noises that occu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So the collected satellite image data is the pre-treatment is required to remove the geometric errors or radial errors caused by the satellite and the earth's movement and shaking of the sensor, the atmospheric conditions. Therefore, in the pretreatment process, radial correction and geometric correction are performed. Radiation correction corrects for the influence of minute differences in sensitivity between detectors and for the effect of solar altitude when mosaicing data observed at different times. Radiation error correction techniques can be easily used in most image processing software. In addition, satellite images have geometric distortions and errors, so the position must be corrected to match the map coordinate system of the ground. Therefore, the geometric correction is to correct the effects of the earth's rotational influence and the earth curvature at the time of data acquisition to be the same as the projection of a general map. The geometric distortion of the satellite image can be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ordinates of each pixel in the image and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in the map coordinate system. In order to perform the geometric correction to correct the geometric distortion, the ground control points ( Ground Control Point (GOP) is selected, image coordinates and ground coordinates for ground control points are obtained, and the conversion equation between the two coordinates is set and corrected. As a conversion equation, an affine conversion equation, which is primarily a linear expression, may be used. When a target area is large, a second or higher order polynomial may be used. At this time, pixel resampling is performed.

또한 영상 보정부(12)는 위성영상을 통해 보다 나은 정보획득을 위해 영상을 화질을 강화시키는 강조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영상의 판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영상이 갖고 있는 특징을 강조시키는 것으로, 이를 통해 영상의 시각의 판독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이후의 분석과 분류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대조(Contrast) 확장, 휘도 증폭(Contrast Stretching), 픽셀간 여과(Filtering), 영상간 연산처리 등의 기술에 의해 수행한다. 영상을 강조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래서 대조(contrast) 확장 방법은 모니터 화면 상에 시각적 강조를 주는 것으로, 데이터 값 자체를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영상의 농도를 분할하여 농담을 강조하는 농담 분할 처리 방법의 경우 밝은 색부터 어두운 색조로 나타난 영상에서 특정의 농도를 가진 영상만을 강조시켜서 주변의 대상물로부터 농도의 차가 두드러지게 하여 그 경계를 쉽게 분별할 수 있다. 또한 휘도가 나쁜 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하기 위해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백색에,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검은색에 대응하도록 증폭시켜서 영상의 화질이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휘도 증폭(contrast stretching)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인접한 픽셀간의 여과(fil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픽셀에 대하여 주변의 픽셀 값을 참조하여 농담의 차를 강조시켜서 경계부분을 눈에 두드러지게 하여 가장자리나 경계선 등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법과 두 개 이상의 밴드 데이터에 대해 연산처리를 하여 영상자료를 구축하는 영상간 연산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orrection unit 12 performs an emphasis process for enhancing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for better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the satellite image. This enhances the readability of the image in order to enhance the readability of the image, thereby improving the visual readability of the image, and facilitates subsequent analysis and classification. This is accomplished by techniques such as contrast extension, contrast stretching, inter-pixel filtering, and inter-image computation. There are many ways to emphasize the image. Thus, the contrast expansion method gives a visual emphasis on the monitor screen and does not change the data value itself. In the segmentation processing method that emphasizes the shade by dividing the density of the image,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boundary by emphasizing only the image having a certain density in the image that appears from the light color to the dark tone to make the difference of the density stand out from the surrounding objects. have. In addition, a contrast stretching method may be used to amplify a low brightness image so that the highest density corresponds to white and the lowest density corresponds to black so that the image quality is clearly displayed. . Another method is to extract edges or edges by making the edges stand out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 of shades by referring to the surrounding pixel values for each pixel by using filtering technique between adjacent pixel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extraction method and an inter-image calcul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image data by performing calculation processing on two or more band data.

또한 영상 보정부(12)는 영상에 대한 주제별 분석 단계를 수행한다. 이는 강조처리된 데이터를 선정한 주제들(themes)로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경관을 나타낸 영상은 다양한 토지 피복요소(여러 유형의 식생과 토지용도에 따른 특성)를 포함하고 있는데, 주제별 분석에서는 이렇게 서로 다른 피복유형을 각각의 주제도로 나누고, 그룹화시켜 통계분석을 통해 래스터 셀로부터 공통 주제들을 찾아내게 된다. 여기서 주제도(thematic maps)란 과학적, 사회적 자료들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나타내는 지도로서, 기후도, 식생도, 지질도, 무역도 등이 있다. 이러한 주제도는 특정된 주제에 대한 공간적 차이와 지역간의 다양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둔 지도로서, 어떤 특정한 현상에 관한 공간적 분포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주제도는 그 주제의 특성에 따라 지질도, 삼림도, 토양도, 토지이용도, 강수도, 기온도, 인구분포도, 경제지도, 관광지도, 교통도, 도시계획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제의 선정에는 제한이 없으며, 대개 자연적, 사회/경제적, 역사/문화적인 현상들의 지역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사용된다.In addition, the image correction unit 12 performs a subject-specific analysis step on the image. This is to analyze the highlighted data into selected themes. For example, images of landscapes include various land cover elements (various types of vege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nd use). In thematic analysis, these different types of cover are divided into different thematic maps and grouped together for statistical analysis. This allows us to find common themes from the raster cell. Thematic maps are maps show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cientific and social data, such as climate, vegetation, geology, and trade. These thematic maps are focused o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spatial differences and regional diversity on specific topics, and represent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n certain phenomena. Therefore, thematic maps can be classified into geological maps, forest maps, soil maps, land use maps, precipitation maps, temperature maps, population distribution maps, economic maps, tourist maps, traffic maps, and city planning maps. The selection of themes is unlimited and is often used to compar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socio / economic, historical / cultural phenomena.

또한 영상 보정부(12)는 지표면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후처리는 뚜렷한 범주로 주제를 분류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식생 주제도는 전체 토지 피복(삼림, 농경지, 불모지)으로부터, 군락(활엽수립, 침엽수립) 수준, 그리고 개별 종(Species)의 면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표면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감독분류(supervised classification)와 무감독분류(unsupervised classification)를 사용할 수 있다. 감독분류는 판별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전자파 특성을 알고 있거나 또는 그 대표적인 위치의 픽셀을 명백하게 하는 경우 그 값을 기준으로 하여 그 픽셀의 특성과 같은 대상물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판별의 기준이 되는 픽셀들을 각 항목별로 참조지(training field)로 정하고, 각 항목별로 데이터를 입력하여 판별의 기준을 만든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각각의 픽셀들이 어느 항목에 속하게 되는가는 연산판별방법(최대우도법, 평균치 거리비교법, 최단거리법, 최근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에 의해 식별되어 가장 근접한 항목에 포함되도록 한다. 만약 어떠한 참조지 자료에도 만족할 만큼 유사하지 않다면, 미상(unknown)으로 처리한다. 감독분류의 결과는 참조지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참조지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분류된 결과에 대해서는 현지 조사 등을 통하여 분류 정확도를 검증해야 하며, 이는 시행착오적 반복 분석 방법으로 진행되도록 하면 된다. 일반적으로는 최대우도법의 분류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를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최대우도법은 각 항목별 실습지의 평균값과 공분산행렬로부터 확률밀도함수를 설정한 후 가장 확률이 높은 항목으로 분류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정확하지만 연산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무감독분류는 참조할 지상 참조자료가 없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컴퓨터 자체의 데이터 분석에 의해 분석하는 것이다. 무감독분류에 의할 경우, 대상물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비슷한 그룹끼리 유형화하게 되는데, 서로 다른 군집을 형성하는 군집화 방법에는 순차적 군집화(sequential clustering), 통계적 군집화, ISODATA(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Data), RGB(red, green, blue) 군집화 등이 있다. 컴퓨터가 임의로 각 군집의 중심을 설정한 후 최적중심을 찾을 때까지 반복 계산하여 분류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mage corrector 12 performs a post-processing process for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ground surface. This post-treatment categorizes subjects into distinct categories, for example, vegetation theme maps from total land cover (forests, farmland, barren land), community levels (leaves, conifers), and area of individual species. Can be classified as 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can be used to extract such information from the surface of the earth. Supervised classification is a method of extracting an object, such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pixel, based on the value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to be determined is known or the pixel at the representative position is made clear. Here, the pixels used as the reference for the determination are defined as a training field for each item, and data for each item is input to form the reference for the discrimination. Based on this, which item each pixel belongs to is identified by arithmetic discrimination method (maximum likelihood method, average distance comparison method, shortest distance method, nearest Lean method, etc.) to be included in the nearest item. If any reference material is not similar enough to be satisfied, it is treated as unknown. The results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reference sheet, so selection of the reference sheet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should be verified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on the classified results, which can be carried out by trial and error repetitive analysis method. In general,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is known to have the highest classification accuracy, so it can be mainly use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sets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rom the average value and the covariance matrix of the practice area for each item, and classifies it as the most probable item. Unsupervised classification can also be used in the absence of terrestrial references to refer to, by analyzing the data on the computer itself. By non-supervised classification, similar groups are categorized us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Clustering methods for forming different clusters include sequential clustering, statistical clustering, ISODATA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Data), RGB (red, green, blue) clustering. The computer randomly sets the center of each cluster and iterates and classifies until it finds the best center.

또한 영상 보정부(12)는 항공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여러 대상물의 특성들을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하여 대상물의 형상, 지질, 식생, 토양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항공사진 판독은 항공사진 상에서 지형도 제작에서와 같이 논, 밭의 구분, 도로의 포장상태, 식생 등과 같이 직접 판독하여 정보를 얻어낼 수도 있고, 지질 판독과 같이 간접적인 관측으로부터 귀납적 혹은 연역적 방법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판정하고 수정할 수 있다. 항공사진 판독은 사진영상에 피사된 도로, 철도, 하천, 가옥, 지질, 수림 등의 대상물에 대한 특성을 판별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mage correction unit 12 properl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objects obtained from the aerial image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analyzes based on thi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hape, geology, vegetation, soil, etc. of the object. Aerial photographs can be read directly from aerial photographs such as paddy fields, field divisions, road pavement, vegetation, etc., as in topographic maps, or inductive or deductive methods from indirect observations such as geological readings. You can determine and correct the necessary information. The aerial photograph reading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such as roads, railways, rivers, houses, geology, and forests, which were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c image.

그래서 영상 보정부(12)는 항공영상에 대한 판독을 위해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을 수행한다. 즉, 위치, 크기, 형상 들을 결정하는 정량적인 항공영상 판독과, 자원 및 환경 등의 정보 조사에 이용되는 정성적인 항공영상 판독을 수행한다.Thus, the image correction unit 12 performs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reading the aerial image. That is, quantitative aerial image reading that determines position, size, and shape, and qualitative aerial image reading which are used to investigate information such as resources and environment are performed.

항공영상을 판독할 때는 사진영상의 크기, 형상(Shape), 음영(Shadow), 색조(Tone), 질감(Texture), 모양(Pattern)을 기본 요소로 하여 분석하고, 상호위치관계(Association), 과고감(Vertical exaggeration) 등의 요소를 부가적으로 조합하여 판독하도록 한다. 여기서 과고감이란 항공영상을 입체시하여 얻은 입체상의 높이가 실제보다 산지는 돌출하여 높고 기복이 심하게 보이고 계곡은 실제보다 깊고 경사면은 실제 경사보다 급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과고감은 지표의 기복을 과장하여 나타내기 때문에, 평탄한 지역에서의 지형판독과 사면의 경사를 갖는 지역에서의 지형판독시 고려되도록 한다(ST2).
그래서 항공사진상의 크기와 형상은 판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크기는 단일 형태 또는 단일 색조가 갖는 입체적, 평면적인 넓이나 길이를 말하며, 형상은 개체나 목표물의 윤곽, 구성, 배치 및 일반적인 형태 등을 뜻한다. 사진상의 실제 크기는 사진촬영 코도와 사진기 렌즈의 초점거리를 이용하여 계산이 가능하다. 항공사진 영상은 지표면 바로 위로부터 촬영한 영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옆으로 보는 시각과는 다르므로, 수직으로 보았을 때의 형태에 의해 판독되어야 한다.
또한 항공사진 판독에서 음영은 높은 탑과 같은 지물의 판독, 주위 색조와의 대조가 어려운 지형의 판독시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항공사진을 판독할 때 광선의 방향과 촬영시의 태양광선의 방향을 일치시키며 음영의 관계로부터 입체감이 얻어지고, 반대로 하면 반대의 느낌이 얻어지므로, 북반구의 항공사진을 볼 때는 일반 지도와는 반대로 남쪽을 위로 본 상태에서 판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에서 그림자 부분은 상세한 판독에 저해가 되므로 항공사진 촬영에서 고도가 적절하게 설정된 상태에서 항공사진이 촬영되도록 한다.
한편 항공사진의 색조는 주로 태양광선의 반사율에 의한 것으로, 식생의 군란 등의 대상물 판별에 이용한다. 흑백사진에서는 색과 명암이 백색으로부터 흑색까지의 단일색조로 기록된다. 항공사진의 색조는 또한 태양에 대한 피사체의 위치, 각도, 촬영시기와 기후, 필름의 감광성, 필터의 성질, 인화 처리법, 인화지의 종류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이 동일한 대상물에 대해서도 색조가 여러 가지로 변화하기 때문에 항공사진의 농도의 절대값 보다는 색조의 차이에 중점을 두고 항공사진을 판독한다. 특히 항공사진의 축척이 작을 경우 입체시를 통하여도 세부사항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판독에 있어 색조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흑백사진이 흰색에서 검은쌕까지 단일색조로 나타내는 것에 비해 천연색사진은 대상물의 색을 그대로 재현하기 때문에 흑백사진 보다 판독 범위가 넓다고 할 수 있다.
항공사진의 질감은 크기, 음영, 형상, 색조 등의 여러 요소가 모여 표현되는 영상명의 세밀하고 거치른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개개의 상태로는 식별하기 어려운 작은 대상물의 집합이 사진상에 나타나는 미세한 색조 변화이다. 질감의 표현은 거칠거나 조밀함, 또는 울퉁불퉁하거나 평평함으로 구분되며, 축척에 따라서 질감의 판독대상이 달라진다.
항공사진 상에 나타난 식생, 지형 또는 지표면 색조 등의 공간적인 배열상태를 모양이라 한다. 인공 또는 자연적인 여러 물체는 기본적인 형상의 반복 또는 관련성을 갖고 있어 판독에 도움이 된다. 또한 대상물의 구조와 성질, 종류, 용도 등은 그 배치상태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계 모양이나 공장의 규모 및 배치형태 등은 쉽게 판독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어떤 영상이 주위 영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항공사진 판독에서 중요하다. 한 형상은 일반적으로 주위의 영상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어느 특정한 영상만을 보고 다른 사진과의 관련사항을 고려하지 않으면 올바르게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특히 항공사진의 축척이 작아서 각각의 사진에 대한 관찰이 어려울 때는 특히 대상물의 상호간의 관계를 이용하도록 한다.
또한 항공사진을 입체시하여 얻은 입체상의 높이가 실제보다 산지는 돌출하여 높고 기복이 심하게 보이며, 계곡은 실제보다 깊고 경사면은 실제 경사보다 급하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과고감은 판독에 사용된 렌즈의 초점거리, 중복도 등에 의해 변한다. 과고감은 지표의 기복을 과장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낮고, 평탄한 지역에서의 지형판독에 크게 도움이 되는 반면, 사면의 경사가 실제보다 급하게 보이기 때문에 오판하지 않도록 한다.
When reading the aerial image, the size, shape, shadow, tone, texture, and pattern of the photo image are analyzed as basic elements, and the correlation, Additional combinations of factors such as vertical exaggeration can be read. Here, hypersensitivity means that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obtained by stereoscopic view of the aerial image is protruding, the relief is severe, the valley is deeper than the actual, and the slope is more urgent than the actual slope. This over-examination exaggerates the ups and downs of the surface, so it is considered to be considered for terrain reading in flat areas and terrain reading in slopes (ST2).
Thus, the size and shape of the aerial image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reading, and the size refers to the three-dimensional and planar width or length of a single shape or a single hue, and the shape refers to the outline, composition, arrangement and general shape of an object or a target. It means. The actual size of the pictur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photographing nose and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lens. Because aerial images are images taken from just above the ground surface, they are generally different from the side view from the ground, so they should be read in the form of when viewed vertically.
Shading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aerial photographic readings when reading features such as tall towers and terrains that are difficult to contrast with ambient tones. When reading aerial photographs, the direction of light rays matches the direction of sunlight during shooting, and a three-dimensional effect is obtain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hadows. Read south while looking up. In general, however, shadows in aerial photographs interfere with detailed readings, so that aerial photographs should be taken with altitude set appropriately for aerial photographs.
On the other hand, the color tone of aerial photographs is mainly due to the reflectance of sunlight, and is used to determine objects such as vegetation disturbances. In black and white photography, color and contrast are recorded in a single tone from white to black. The color of the aerial photo is also influenced by the subject's position an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n, the timing and weather of shoo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lm, the nature of the filter, the processing of the print, and the type of photo paper. In this way, since the color tone changes in various ways even for the same object, the aerial photograph is read 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 in color tone rath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aerial photograph. In particular, when the scale of aerial photographs is small, details cannot be known accurately through stereoscopic vision, so the importance of color tone is more prominent in reading. Compared to black-and-white photographs, white-to-black hue is a single color tone, while natural-color photographs reproduce the color of an object as it is.
The texture of aerial photographs shows the detail and roughness of the image name in which various elements such as size, shadow, shape, and hue are gathered together, and it is a minute hue change in which a small object set that is difficult to identify in each state is displayed. . The representation of the texture is divided into rough or dense, bumpy or flat, and the scale of the texture varies depending on the scale.
The spatial arrangement of vegetation, topography, or surface tones that appear on aerial photographs is called shape. Many objects, artificial or natural, have a basic shape of repetition or relevance to aid in reading. In addition, the structure, properties, types, uses, etc. of the object can be read by the arrangement thereof.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water system, the scale and layout of the plant, etc. can be easily read.
In addition, identifying which images relate to the surrounding images is important in aerial photograph reading. Since one shape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surrounding image, it may be difficult to read correctly without looking at only one particular image and considering the relation to the other photograph. In particular, when the scale of aerial photographs i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observe each photograph,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should be used.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obtained by stereoscopic view of the aerial photo is projected higher and more undulating, and the valley is deeper than the actual, and the slope is more urgent than the actual slope. This hypersensitivity changes due to the focal length, redundancy, etc. of the lens used for reading. Excessiveness is a result of exaggerated surface ups and downs, which helps greatly in reading terrain in low and flat areas, while avoiding misjudgment because slopes are more urgent than they actually are.

그리고 디지타이징부(13)에서는 영상 보정부(12)에서 보정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입력받아 공간 데이터로 디지타이징화 하게 된다. 이러한 디지타이징은 래스터 데이터 모델로 구축할 수도 있으며, 벡터 데이터 모델로 구축할 수도 있다(ST3). 여기서 래스터 데이터 모델이란 실세계의 객체를 그리드(grid), 셀(cell) 도는 픽셀(pixel)이라고 불리우는 최소지도화단위(minimum maping unit)들의 집합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래스터 데이터 구조의 경우 셀이 객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최소 크기이다. 이와 같이 규칙적인 공간배열로 표현되는 래스터 데이터는 전체 면을 일정크기의 단위 셀로 분할하고, 각 셀에 속성값을 입력하고 저장하여 연산하는 구조이다. 그래서 각 셀별로 정보의 유무에 따라 "1" 또는 "0"으로 주어진 객체의 이미지를 저장하며, 위치정보를 행과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벡터 데이터 모델은 실세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대상물이나 현상을 점, 선, 다각형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벡터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는 객체들의 지리적 위치를 방향과 크기로 나타낸다. 벡터 데이터 모델에서 객체들은 그들의 지리적 위치와 속성에 의해서 데이터 구조가 설계된다. 예를 들면, 유정(oil well)은 하나의 점 좌표(x, y)와 라벨로 표현되며, 송유관은 시작되는 노드(x, y)와 끝나는 노드(x, y) 그리고 라벨로 구성된 선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정유공장은 일련의 점 좌표(x, y)와 라벨을 포함하는 폴리콘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digitizing unit 13 receives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corrected by the image correcting unit 12 and digitizes the spatial data. Such digitizing can be built with a raster data model or a vector data model (ST3). Here, the raster data model refers to representing an object in the real world as a set of minimum maping units called grids, cells, or pixels. For raster data structures, the cell is the minimum size that represents the shape of the object. Thus, raster data represented by regular spatial arrangement is a structure that divides the entire surface into unit cells of a certain size, inputs attribute values into each cell, stores them, and operates. Therefore, each cell stores an image of an object given by "1" or "0"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rows and columns. In addition, the vector data model expresses various objects or phenomena in the real world using points, lines, and polygons. The vector data structure indicates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objects in directions and sizes. In the vector data model, objects are designed by their geographic location and attributes. For example, an oil well is represented by a single point coordinate (x, y) and a label, and the pipeline is a linear representation of the beginning node (x, y), the ending node (x, y) and the label. Can be. The refinery can also be represented by a polycon that includes a set of point coordinates (x, y) and a label.

또한 디지타이징부(13)에서 디지타이징화를 수행할 때 데이터에는 여러 가지 유형의 오류들이 발생하게 된다. 즉, 폐곡된 폴리곤이 디지타이징되고 나면 실버(Silver) 폴리곤이 생성되는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하나의 경계선으로 두 개의 폴리곤이 접하여 있은 경우 경계선을 두 번 디지타이징하는 경우에 정밀하게 디지타이징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버 폴리곤이 형성된다. 또한 교차점을 지나서 선이 끝나게 되는 오버슈트(Overshoot)나 역으로 교차점을 만나지 못하고 선이 끝나는 언더슈트(Undershoot), 그리고 교차점에서 두 선이 만나는 과정에서 스파이크(Spike)가 생기기도 한다. 또한 폴리곤의 형성시에도 여러 가지 유형의 오류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폴리곤이 폐곡되지 않은 경우, 라벨이 이중으로 입력되는 경우, 또는 호수와 같이 다른 폴리곤 내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곤에 라벨이 빠져있는 경우, 그리고 인접한 폴리곤의 경계가 두 번씩 디지타이징되면서 생기는 오류 등등이 있다. 이렇게 발생되는 각종 오류들을 디지타이징부(13)에서는 수정하여 자동으로 디지타이징 데이터에 대한 수정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ST3).
그래서 언더슈트나 오버슈트는 두 선이 목표지점을 벗어나거나 못미치는 오류인데,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선분의 길이를 늘려주거나 줄여줌으로서 수정한다. 잘못된 선분을 선택한 다음, 교차점 또는 목표선분까지 끌고간 다음 그것을 적절하게 연결해주는 수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또한 라벨 오류의 경우, 폴리곤의 라벨 입력은 디지타이징하는 중이거나 또는 입력한 후에 붙일 수 있는데 어떤 폴리곤에는 라벨이 없거나 도는 여러 개의 라벨이 붙어 있거나 잘못된 라벨이 붙는 오류들이 나타난다. 그래서 잘못된 라벨을 선택해서 지우거나 첨가하거나 제 위치로 옮겨주어 수정하면 된다.
또한 선의 중복의 경우, 입력 내용이 복잡한 경우 같은 선이 두 번씩 입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선이 중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선을 제거함으로서 쉽게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실버 폴리곤의 경우, 실버 폴리곤이 형성되는 것은 복잡한 지도에서 디지타이징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이를 수정하는 방법은 발생한 오류에 따라 다르다. 폴리곤이 겹치지 않게 적절하게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서 제거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폴리곤을 형성하고 있는 부정확하게 입력된 선분을 만든 버틱스들을 제거함으로서 수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gitizing unit 13 performs digitizing, various types of errors occur in the data. In other words, after the closed polygon is digitized, an error occurs in which a silver polygon is generated. This is because a silver polygon is formed when two polygons are in contact with one boundary line, and thus the digitization cannot be precisely digitized when the boundary line is digitized twice. In addition, an overshoot that ends the line past the intersection, or an undershoot where the line does not meet the reverse point, and a spike occurs when the two lines meet at the intersection.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errors occur in the formation of polygons. For example, if the polygon is not closed, if the label is doubled, if the label is missing from a polygon contained within another polygon, such as a lake, and if the boundary of the adjacent polygon is digitized twice, etc. There is this. The digitizing unit 13 corrects the various errors generated in this way so that the digitizing data can be automatically corrected (ST3).
Thus, undershoot or overshoot is an error in which two lines fall outside or fall short of the target point. To correct this,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Select the wrong segment, then drag it to the intersection or target segment and run the fix that connects it properly.
Also, in the case of label errors, the label input of polygons can be pasted during or after digitizing, with some polygons having no label, multiple labels, or incorrect labeling. So you can select the wrong label, delete it, add it, or move it into place to fix it.
In addition, in the case of overlapping lines, when the input content is complicated, the same line may be input twice. If the lines are duplicated like this, the error can be easily corrected by removing one line.
Also, in the case of silver polygons, the formation of silver polygons occurs when digitizing in a complex map, and the way to correct them depends on the error that occurs. Sometimes polygons can be removed by shifting the position properly so that they don't overlap, or they can be corrected by removing the vertices that make up the incorrectly entered line segments that form the polygon.

그런 다음 좌표 변환부(14)에서는 디지타이징부(13)에서 디지타이징화된 공간 데이터를 좌표변환하여 수치지도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지도는 3차원의 지구를 2차원의 평면으로 투영한 것으로, 이러한 투영 과정에서 이미 형태, 면적, 거리, 방향 등이 변형된다. 그래서 좌표 변환부(14)는 디지타이징부(13)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의 좌표를 실세계의 좌표계로 맞추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T4).
이러한 좌표변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좌표변환의 기준이 되는 등록점 도는 기준점을 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타이징 작업을 시작할 때 반드시 적어도 네 개 이상의 기준점(tick mark)을 정하게 되며, 이 기준점 좌표를 토대로 하여 다른 대상물들의 위치가 좌표로 인식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준점의 갯수는 많을수록 좋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기준점의 좌표값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일차식의 변환식을 이용하는 아핀(affine) 변환방법과 2차식의 변환식을 이용한 정각(conformal) 변환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변환(translation), 회전(rotation), 축척 변화(scale change)의 3가지 과정이 발생한다.
변환은 데카르트 좌표평면 위의 다른 위치로 대상물 개체의 전체나 일부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개체의 X, Y 좌표에 필요한 좌표값을 더하거나 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X' = X + Tx, Y' = Y + Ty).
축척 변화는 축척이 서로 다른 지도를 비교하거나 서로 다른 축척으로 결과물을 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축척의 변화비율인 축척요소(sx, sy)를 곱하면 된다(X' = X * sx, Y' = Y * sy).
회전은 투영과 역투영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삼각함수를 사용한다. 즉, 회전되는 각도를 θ라고 하면 X 좌표에는 cosθ, Y 좌표에는 sinθ를 곱하여 합친 값으로 바뀌어진다(X' = Xcosθ + Ysinθ, Y' = -Xcosθ + Ysinθ).
Then, the coordinate conversion unit 14 coordinate-converts the spatial data digitized by the digitizing unit 13 to form a numerical map. Here, a map is a projection of a three-dimensional earth in a two-dimensional plane, and the shape, area, distance, direction, etc. are already deformed in this projection process. Thus, the coordinate conversion unit 14 performs a task of matching the coordinates of the data input through the digitizing unit 13 to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real world (ST4).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se coordinate transformations is to define the registration point or reference point that is the basis of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In general, at least four or more tick marks must be determined at the beginning of the digitizing operation, and the positions of other objects are recognized as coordinates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coordinates. Therefore, the larger the number of reference points, the better, and most importantly,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reference points should be measured accurately and precisely.
Thus, an affine transform using a linear transform and a conformal transform using a secondary transform can be used. Basically, three processes occur: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e change.
The transformation is the movement of all or part of the object to another location on the Cartesian coordinate plane,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coordinates required for the object's X and Y coordinates (X '= X + Tx, Y' = Y + Ty).
Scale changes can be used when you need to compare maps with different scales or produce results at different scales. In this case, it is multiplied by the scale factor (sx, sy) which is the rate of change of scale (X '= X * sx, Y' = Y * sy).
Rotation can be used during projection and backprojection, using trigonometric functions. In other words, if the angle to be rotated is θ, the sum is multiplied by multiplying cosθ by the X coordinate and sinθ by the Y coordinate (X '= Xcosθ + Ysinθ, Y' = -Xcosθ + Ysinθ).

한편 실시간 위치 보정부(20)에서 GPS 수신부(21)는 GPS를 통해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T5).On the other hand, the GPS receiver 21 in the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unit 20 receives the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ST5).

그러면 지도 표시부(22)는 GPS 수신부(21)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해 지도 영상을 출력한다(ST6).Then, the map display unit 22 outputs a map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21 (ST6).

그리고 위치 보정부(23)는 좌표 변환부(13)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에 대한 좌표변환된 데이터를 지도 표시부(22)에 의해 출력된 지도 영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ST7).The position correction unit 23 displays coordinate converted data for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coordinate conversion unit 13 on the map image output by the map display unit 22, and is corrected by the user. The geospatial data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point can be modified and stored (ST7).

그런 다음 전송부(30)의 실시간 위치 전송부(31)에서는 위치 보정부(23)에서 수정하고 저장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지리정보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지리정보제공 서버에서 지리정보 데이터의 위치보정이 수행되고 반영되도록 한다(ST8).Then, the real-time position transmitter 31 of the transmitter 30 corrects the position correction unit 23 and transmits the stored geo information data to the geo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ereby performing the position correction of the geo information data on the geo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be reflected (ST8).

이처럼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보정처리하고 좌표변환하여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함으로써 지리정보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실시간 위치보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efficient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for the geospatial data by correcting and storing the geospatial data and the aerial image by correcting and transforming the geospatial data corresponding to the point to be corrected by the user. will b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실시간으로 획득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보정처리하고 좌표변환하여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함으로써 지리정보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실시간 위치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of geospatial data using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rrect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obtained in real time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by the user to modify By modifying and storing the geospatial data corresponding to the point,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icient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on the geospatial data.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obvious that such application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laims (2)

소정 영역에 대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11)와;An image acquisition unit 11 for acquiring satellite and aerial images of a predetermined region; 상기 영상 획득부(11)에서 획득된 위성영상에 대해 전자파 소음 제거와 오류를 정정하는 전처리, 영상의 화질을 강화시키는 강조처리, 영상에 대한 주제별 분석을 수행하는 주제별 분석처리, 지표면의 정보를 추출하는 후처리를 수행하여 위성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11)에서 획득된 항공영상에 대해 위치, 크기, 형상을 결정하는 정량분석 처리, 자원 및 환경을 포함한 정보 조사에 이용되는 정성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항공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부(12)와;The satellit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 pre-processing to remove the electromagnetic noise and correction of errors, emphasis processing to enhance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hematic analysis processing to perform thematic analysis of the image, extract the surface information Perform post-processing to correct satellite images, and use it for quantitative analysis processing to determine th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aerial image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 and information including resources and environment. An image correction unit 12 performing correction on the aerial image by performing qualitative analysis processing; 상기 영상 보정부(12)에서 보정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입력받아 공간 데이터로 디지타이징화하는 디지타이징부(13)와;A digitizing unit 13 for receiving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corrected by the image correcting unit 12 and digitizing the spatial data; 상기 디지타이징부(13)에서 디지타이징화된 공간 데이터를 좌표변환하여 수치지도를 형성시키는 좌표 변환부(14)와;A coordinate transformation unit 14 for transforming the digitized spatial data by the digitizing unit 13 to form a numerical map; GPS를 통해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21)와;A GPS receiver 21 for receiv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상기 GPS 수신부(21)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해 지도 영상을 출력하는 지도 표시부(22)와;A map display unit 22 outputting a map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21; 상기 좌표 변환부(13)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에 대한 좌표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지도 표시부(22)에 의해 출력된 지도 영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보정부(23)와;Coordinate-converted data of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received in real time by the coordinate conversion unit 13 is displayed on the map image output by the map display unit 22, and the geography corresponding to the point to be corrected by the user A position corrector 23 for correc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data; 상기 위치 보정부(23)에서 수정하고 저장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지리정보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리정보제공 서버에서 지리정보 데이터의 위치보정이 수행되고 반영되도록 하는 실시간 위치 전송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시스템.A real-time position transmitter 31 for correcting the position correction unit 23 and transmitting the stored geo information data to a geo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o that the position correction of the geo information data is performed and reflected in the geo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system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소정 영역에 대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획득하는 제 1 단계(ST1)와;A first step (ST1) of acquiring satellite and aerial images of a predetermined area; 상기 제 1 단계 후 획득된 위성영상에 대해 전자파 소음 제거와 오류를 정정하는 전처리, 영상의 화질을 강화시키는 강조처리, 영상에 대한 주제별 분석을 수행하는 주제별 분석처리, 지표면의 정보를 추출하는 후처리를 수행하여 위성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획득된 항공영상에 대해 위치, 크기, 형상을 결정하는 정량분석 처리, 자원 및 환경을 포함한 정보 조사에 이용되는 정성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항공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ST2)와;The satellite image acquired after the first step, the pre-processing to remove the electromagnetic noise and correct the error, the emphasis processing to enhance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hematic analysis to perform thematic analysis of the image, the post-processing to extract the information of the ground surface To perform satellite image correction, perform quantitative analysis to determine position, size and shape of the aerial image acquired in the first step, and perform qualitative analysis to be used for information survey including resources and environment. Performing a correction on the aerial image (ST2); 상기 제 2 단계에서 보정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공간 데이터로 디지타이징화하는 제 3 단계(ST3)와;A third step (ST3) of digitizing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corrected in the second step with spatial data; 상기 제 3 단계에서 디지타이징화된 공간 데이터를 좌표변환하여 수치지도를 형성시키는 제 4 단계(ST4)와;A fourth step (ST4) of forming a numerical map by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the digitized spatial data in the third step; GPS를 통해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 5 단계(ST5)와;A fifth step ST5 of receiv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상기 제 5 단계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해 지도 영상을 출력하는 제 6 단계(ST6)와;A sixth step ST6 of outputting a map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ifth step; 상기 제 4 단계에서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에 대한 좌표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제 6 단계에서 출력된 지도 영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수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지리정보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제 7 단계(ST7)와;Displaying coordinate converted data of the satellite image and the aerial image on the map image output in the sixth step, and allowing the user to modify and store geo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a point to be corrected. 7 steps ST7; 상기 제 7 단계에서 수정하고 저장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지리정보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리정보제공 서버에서 지리정보 데이터의 위치보정이 수행되고 반영되도록 하는 제 8 단계(ST8);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영상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지리정보 데이터의 실시간 위치보정 방법.And performing an eighth step (ST8)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 is performed and reflected by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by transmitting the stored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 to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 the seventh step.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method of geographic data using satellite image and aerial image.
KR1020060056195A 2006-06-22 2006-06-22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 KR1006783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95A KR100678395B1 (en) 2006-06-22 2006-06-22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95A KR100678395B1 (en) 2006-06-22 2006-06-22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395B1 true KR100678395B1 (en) 2007-02-02

Family

ID=3810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195A KR100678395B1 (en) 2006-06-22 2006-06-22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395B1 (e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46B1 (en) 2007-06-29 2007-12-07 태양정보시스템(주)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map added watermark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KR101020170B1 (en) 2010-08-05 2011-03-08 동국지리정보(주) Apparatus and method of field inspection for generating digital map
KR101021967B1 (en) 2010-08-05 2011-03-16 동국지리정보(주)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map using electronic digital drawing
KR101023836B1 (en) 2010-08-05 2011-03-22 동국지리정보(주) System for generating digital map
KR101440503B1 (en) * 2012-12-06 2014-09-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light simulator apparatus providing instructor screen based on satellite image
KR101581037B1 (en) * 2015-10-20 2015-12-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geological boundary using drone
KR20160048255A (en) * 2014-10-23 2016-05-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 gis-based thematic mapping method to use in estimating the annual amou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partially updated land-cover map
KR101771492B1 (en) * 2014-12-29 2017-08-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using UAV and multi-sensor
KR20190012439A (en) * 2017-07-27 2019-02-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position of drone
KR101992672B1 (en) 2019-03-04 2019-06-25 (주)선운이앤지 Visual impact analyzing method for overhead transmitting line
CN111507255A (en) * 2020-04-16 2020-08-07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Surface ground o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cloud technology
KR102306659B1 (en) * 2021-03-18 2021-09-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Tourist spot recommending method, ser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396429B1 (en) * 2021-11-02 2022-05-12 주식회사 브이앤지 Image analysis system for extracting doubts about urban change
KR102532731B1 (en) * 2022-06-14 2023-05-16 메이사플래닛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atalite im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200A (en) * 2000-05-24 2000-08-05 박용선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Method of Using Internet Network
KR20010035392A (en) * 2001-02-09 2001-05-07 최종엽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utilized satellite image
KR20050066373A (en)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on online geometric correction using gcp chi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200A (en) * 2000-05-24 2000-08-05 박용선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Method of Using Internet Network
KR20010035392A (en) * 2001-02-09 2001-05-07 최종엽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 information utilized satellite image
KR20050066373A (en)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on online geometric correction using gcp chips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46B1 (en) 2007-06-29 2007-12-07 태양정보시스템(주)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map added watermark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KR101020170B1 (en) 2010-08-05 2011-03-08 동국지리정보(주) Apparatus and method of field inspection for generating digital map
KR101021967B1 (en) 2010-08-05 2011-03-16 동국지리정보(주)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map using electronic digital drawing
KR101023836B1 (en) 2010-08-05 2011-03-22 동국지리정보(주) System for generating digital map
KR101440503B1 (en) * 2012-12-06 2014-09-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light simulator apparatus providing instructor screen based on satellite image
KR101724801B1 (en) * 2014-10-23 2017-04-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 gis-based thematic mapping method to use in estimating the annual amou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partially updated land-cover map
KR20160048255A (en) * 2014-10-23 2016-05-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 gis-based thematic mapping method to use in estimating the annual amou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partially updated land-cover map
KR101771492B1 (en) * 2014-12-29 2017-08-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using UAV and multi-sensor
KR101581037B1 (en) * 2015-10-20 2015-12-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geological boundary using drone
KR20190012439A (en) * 2017-07-27 2019-02-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position of drone
KR102040289B1 (en) * 2017-07-27 2019-11-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position of drone
KR101992672B1 (en) 2019-03-04 2019-06-25 (주)선운이앤지 Visual impact analyzing method for overhead transmitting line
CN111507255A (en) * 2020-04-16 2020-08-07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Surface ground o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cloud technology
CN111507255B (en) * 2020-04-16 2023-07-2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Cloud technology-based surface featur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KR102306659B1 (en) * 2021-03-18 2021-09-2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Tourist spot recommending method, ser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396429B1 (en) * 2021-11-02 2022-05-12 주식회사 브이앤지 Image analysis system for extracting doubts about urban change
KR102532731B1 (en) * 2022-06-14 2023-05-16 메이사플래닛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atalite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3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position correc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data using satellite and aerospace image
Song et al. Use of Landsat and Corona data for mapping forest cover change from the mid-1960s to 2000s: Case studies from the Eastern United States and Central Brazil
Phinn et al. Monitoring the composition of urban environments based on the vegetation-impervious surface-soil (VIS) model by subpixel analysis techniques
Wu et al. Mapping invasive plant with UAV-derived 3D mesh model in mountain area—A case study in Shenzhen Coast, China
Münzinger et al. Mapping the urban forest in detail: From LiDAR point clouds to 3D tree models
CN111738144A (en) Surface water product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Google Earth Engine cloud platform
Grigillo et al. Automated building extraction from IKONOS images in suburban areas
Jiang et al. HISTIF: A new spatiotemporal image fusion method for high-resolution monitoring of crops at the subfield level
Sugg et al. Mapping impervious surfaces using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in a semiarid urban region
Luo et al. VHR GeoEye-1 imagery reveals an ancient water landscape at the Longcheng site, northern Chaohu Lake Basin (China)
Choi et al. UAV-based land cover mapping technique for monitoring coastal sand dunes
Zhang et al. Mapping functional vegetation abundance in a coastal dune environment using a combination of LSMA and MLC: a case study at Kenfig NNR, Wales
Sakieh et al. An integrated spectral-textural approach for environmental change monitoring and assessment: analyzing the dynamics of green covers in a highly developing region
Hassan et al. Modelling of land-use changes and their effects by climate change at the southern region of Port Said governorate, Egypt
CN113516059B (en) Solid waste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awak et al. Validation of high-density airborne LiDAR-based feature extraction using very high resolution optical remote sensing data
Gaber et al. Mapping the surface changes in the area of East Port-Said, Egypt using multi-temporal and multi-sensors remote sensing data
Thompson et al. A methodology proposed for a South African national wetland inventory
Kanjir et al. Application of object based approach to heterogeneous land cover/use
de Lange Remote Sensing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Bentir et al. Optimization of object—based image segmentation in classifying water region
Chadwick et al. San Clemente Island Baseline LiDAR Mapping: Final report
Albalawi COMPARING PIXEL-BASED TO OBJECT-BASED IMAGE CLASSIFICATIONS FOR ASSESSING LULC CHANGE IN AN ARID ENVIRONMENT OF NORTHERN WEST SAUDI ARABIA
Anderson High Resolution Remote Sensing of Eelgrass (Zostera marina) in South Slough, Oregon
Chen et al. Improving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by Integrating Multispectral and Nighttime Light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