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207B1 -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 Google Patents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207B1
KR100678207B1 KR1020040000410A KR20040000410A KR100678207B1 KR 100678207 B1 KR100678207 B1 KR 100678207B1 KR 1020040000410 A KR1020040000410 A KR 1020040000410A KR 20040000410 A KR20040000410 A KR 20040000410A KR 100678207 B1 KR100678207 B1 KR 10067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arrangement
input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992A (ko
Inventor
나원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207B1/ko
Priority to US11/016,045 priority patent/US20050146447A1/en
Publication of KR2005007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6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는; 한 프레임 내에서 퍼즐조각처럼 상호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가지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는 착탈 가능한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각 키들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매핑 테이블과 재배열된 상기 각 키들에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리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 인식을 수행하며, 상기 키보드를 통해 상기 키 배열 변경 정보가 입력되면 그 입력에 따라 상기 리매핑 테이블을 만들고, 이후부터는 상기 리매핑 테이블에 의거 키 인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키보드, 키 배치(배열), 퍼즐 맞추기, 이동단말기

Description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TERMINAL EQUIPMENT CAPABLE OF EXCHANGING A POSITION OF KEY IN A KEYBOARD AND EXCHANG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변경을 위한 화면 표시 상태 및 사용자 입력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키 배열이 변경된 키보드의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변경에 따라 키 인식을 실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변경에 따라 키 인식을 실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키보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단말기의 키보드 및 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 배열이 사용자에 가변되는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 배열이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1발명은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가; 한 프레임 내에서 퍼즐조각처럼 상호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가지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는 착탈 가능한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각 키들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매핑 테이블과 재배열된 상기 각 키들에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리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키 배열 변경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 인식을 수행하며, 상기 키보드를 통해 상기 키 배열 변경 정보가 입력되면 그 입력에 따라 상기 리매핑 테이블을 만들고, 이후부터는 상기 리매핑 테이블에 의거 키 인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2발명은 키 배열 가변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키들에 대응하는 코드값들을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 배열을 가변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뉴 화면에서 '키 배열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키 배열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설정 항목과 해제 항목으로 이루어진 서브-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 혹은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키 배열 변경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3과정과; 상기 키 배열 변경 정보에 따라 리매핑 테이블을 만들고, 이후부터는 상기 리매핑 테이블에 의거 키 인식을 수행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키 배열 순서 등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단말기는 이동 전화기를 예로 든 것이다.
참조부호 200은 이동 전화기의 키보드를, 400은 표시부를 나타낸다.
키보드 200 한 프레임 내에서 퍼즐조각처럼 상호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가지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는 착탈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키를 착탈할 수 있어야 하는 이유는 키 이동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상기 키보드를 통해서 키 배열 변경 정보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돔(dome) 방식 키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된 예는 편의상 하나의 키에 하나의 숫자가 할당된 형태이나 한글, 영어 등 다른 문자나 기능도 할당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참조부호 300은 상기 키보드의 각 키들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매핑 테이블 75와 재배열된 상기 각 키들에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리매핑 테이블 77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참조부호 100은 제어부로서, 본 발명을 위한 세 개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100은 상기 매핑 테이블 75를 참조하여 키 인식을 수행하며, 상기 키 배열 변경 정보가 입력되면 그 입력에 따라 상기 리매핑 테이블 77을 만들고, 이후부터는 상기 리매핑 테이블 77에 의거 키 인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입력인식모듈 52는 사용자가 키보드 200의 키를 눌렀을 때 해당 키의 코드값을 인식하는 모듈이다. 키인식모듈 54는 상기 코드값을 대응되는 리매핑 코드값을 인식하는 모듈이다. 표시제어모듈 56은 상기 리매핑 코드값을 표시부 400으로 전달하여 해당되는 표시가 이루어지게 하는 모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변경을 위한 화면 표시 상태 및 사용자 입력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2a)는 키 재배열이 이루어지기 전, 이동전화기의 표시부 및 키보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부에 기능 선택을 위한 다수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2b)는 (2a)와 같은 상태로 있던 이동전화기의 표시부에 키 재배열 항목이 포함된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메뉴 화면의 표시는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2c)는 (2b)와 같은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4. 키 배열 설정' 항목을 선택했을 경우 표시되는 서브-화면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서브-화면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키 재배열을 할 것인지(설정) 혹은 하지 않거나 이미 재배열된 상태를 원래 상태로 되돌릴 것인지(해제)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d)는 (2c)와 같은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설정' 항목을 선택했을 경우 원하는 키 재배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브-화면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키 재배열 정보란 키 재배열 순서 및 재배열 방향을 의미한다. 도시한 예는 3x4 매트릭스 구조에 가로 방향으로, 즉 1행 ~ 4행에 각각 016, 953, 784, 2#*를 배열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때 키의 이동은 사용자가 직접 퍼즐 맞추기 방식과 같이 실시한다. 편의상 키 이동이라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키 캡(key cap) 부분을 말한다. 여기서 키 캡(key cap)이란 돔 시트(dome sheet) 혹은 돔 스위치 위쪽에 이격되어 외부로 설치된 사출물을 의미한다.
(2e)는 키 재배열이 이루어진 직후, 이동전화기의 표시부 및 키보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터치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인 경우에도 상기 (2b) ~ (2d)는 동일하게 실시된다. 이 경우는 키 이동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지 않고 단말기가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한다는 점만 상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키 배열이 변경된 키보드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3a)는 통상의 배열 상태를 가지는 3x4 키보드의 키 배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3b)는 상기 (3a)와 같은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키를 재배열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전술한 도 2의 (2d)와 같은 설정을 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3c)는 상기 (3a)와 같은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키를 재배열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3b)와 키 재배열 순서를 입력하는 데이터는 같으나 재배열 방향이 다르므로 결과는 다르다. 상기 (3b)와 (3c)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상에서만 편의상 가로 혹은 세로 방향 재배열을 표시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a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전술한 도 2의 (2b)와 같은 메뉴 화면 표시를 제어하고, 4b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배열 설정' 항목 선택을 감지하면, 4c단계에서 도 2의 (2c)와 같은 '키 배열 설정' 서브-메뉴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4d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사용자가 '설정' 항목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설정' 항목이 선택되었으면 도 2의 (2d)와 같은 메뉴 화면 표시를 제어한 다음, 4e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배열 순서 입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입력이 감지되면 4f단계에서 리매핑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재배열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재배열 모드를 설정하는 이유는 키 입력이 발생했을 때 매핑 테이블이 아닌 리매핑 테이블을 참조한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4d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 항목을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4h단계에서 재배열 모드를 해제한다. 이렇게 되면, 키 입력이 발생했을 때 매핑 테이블을 참조한 인식이 이루어진다.
한편, 점선 블록 OPT 내부에 그려진 4g단계와 4i단계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표시부 400의 화면에 키보드를 구현한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다. 즉, 4h단계에서 재배열 모드를 해제한 후에는 4i단계에서 표시부 400의 화면에 원래 키보드를 표시하고, 4f단계에서 재배열 모드를 설정한 후에는 4g단계에서 표시부 400의 화면에 재배열 키보드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변경에 따라 키 인식을 실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5a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키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만일 키 입력이 감지되면 5b단계에서 재배열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재배열 모드이면 5c단계에서 리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를 인식한다. 반면에, 재배열 모드가 아니면 5d단계에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를 인식한다. 5e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상기 키 인식 내용에 따라 인식 내용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5c단계에서의 리매핑 테이블을 참조한 키 인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은 고유의 키 배열 상태에서 각 키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예를 들어 나타낸 것이다.
숫자키 1 2 3 4 5 6 7 8 9 0 * #
코드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표 2는 리매핑 코드값을 예를 들어 나타낸 것이다.
재배열 숫자키 0 5 4 1 3 2 6 7 # 9 8 *
코드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표 3은 고유의 키 코드값을 예를 들어 나타낸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제어부 100에 포함되는 각 모듈들과 표시부 400에서 인식하거나 전달받는 코드값을 나타낸 것이다.
입력 인식 모듈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키 인식 모듈 16→25 17→20 18→19 19→16 20→18 21→17 22→21 23→22 24→26 25→24 26→23 27→27
표시 제어 모듈 25 20 19 16 18 17 21 22 26 24 23 27
표시부 0 5 4 1 3 2 6 7 # 9 8 *
도 1을 참조하면, 키보드 200에서 커서(손 모양)가 숫자키 '5'에 위치해 있지만 표시부 400에 표시되는 숫자는 '3'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키 리매핑이 실시된 것으로 가정한 때문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5'번 키를 눌렀을 때 '3'번 키가 표시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5'번 키가 눌렸을 때 입력인식모듈 52는 '5'번 키에 대한 코드값 '2'를 인식하여 키인식모듈 54로 보낸다. 키인식모듈 54는 이미 키 리매핑된 값을 인식하여 숫자 '3'에 해당하는 코드값 '18'을 표시제어모듈 56으로 보내어 표시부 400에 표시되게 한다.
이하,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키 배열이 가변되는 키보드 2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 배열 변경에 따라 키 인식을 실시하는 방법을 적용한 키보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 6과 도 7은 가변 키보드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돔 스위치 등 전기적 신호 발생 및 전달을 위한 구성 요소들을 제외한 키보드 프레임 201과 키 캡 202들만을 도시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키보드 프레임 201은 네 개의 프레임조각들에 의해 사방이 폐쇄단으로 제공되고, 그의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으로서, 그의 내부에 다수의 키 캡들 202들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편의상 상기 네 개의 프레임조각들을 각각 순차적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프레임조각 201a, 201b, 201c, 201d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프레임조각들 201a, 201b, 201c, 201d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조각 201a, 201b는 그의 내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가이드 리브 211들을 구비한다. 또한, 제3 및 제4프레임조각 201c, 201d는 그의 내측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프레임조각 201c, 201d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의 제1 가이드 홀 213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프레임조각 201c, 201d는 각각 서로 접하게 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탈착홀 215들을 구비한다. 상기 탈착홀 215들은 상기 제1 가이드 홀 213들의 일부분을 각각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의 상면으로 노출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이 독립된 구성 요소로 나타내어져 있으나, 키보드 본체 또는 이동 전화기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본체 상에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키 캡 202들은 다수가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의 내부에서 각각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키 캡 202들에는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외측면에 제2 가이드 리브 221들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외측면에 제2 가이드 홀 223들이 각각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리브 221들은 각각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의 제1 가이드 홀 223 또는 인접하는 다른 키 캡 202의 제2 가이드 홀 223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제2 가이드 홀 223들은 각각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의 제1 가이드 홀 211 또는 인접하는 다른 키 캡 202의 제2 가이드 리브 221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키 캡 202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리브 211, 221들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홀 213, 223들의 구성에 의해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키 캡 202들이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키 캡 202들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키 캡 202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2의 제3, 제4 프레임 201c, 201d 상에는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탈착홀 215들이 형성되어, 상기 키 캡 202들 중 적어도 하나는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키 캡 202가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로부터 탈착 가능하기 위해서는 상기 탈착홀 215의 형상이 상기 키 캡 202의 제2 가이드 리브 221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하나의 키 캡 202를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리브 211의 일부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201a, 201b가 서로 접하는 모서리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키 캡 202가 이탈될 수 있을 정도의 구간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제1 가이드 리브 211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탈착홀 215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탈착홀 215는 상기 키 캡 202들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한 것임을 감안할 때,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의 외측으로 별도의 공간(도시하지 않음.)을 더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의 일단에 하나의 키 캡 202가 회피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형성함으로써, 다른 키 캡들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키 캡의 회피 공간을 별도로 더 확보한 경우, 회피 공간의 내측면에도 각각 키 캡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 및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보드 200은 상기 키 캡 202들 중 하나의 키 캡을 상기 키보드 프레임 201로부터 이탈시키면, 일정 공간이 확보되어 다른 키 캡들을 순차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키 캡의 배열을 사용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마음대로 키 배열을 바꿀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경향이나 요구를 맞춰 줄 수 있어 제품에 대한 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 키의 표면에 그림을 그려놓거나 색깔을 칠해둘 경우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에도 좋다. 예를 들어, 각 키의 표면에 퍼즐조각(puzzle piece) 그림을 그려 놓을 경우 사용자는 퍼즐 맞추기를 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한 프레임 내에서 퍼즐조각처럼 상호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가지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는 착탈 가능한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각 키들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매핑 테이블과 재배열된 상기 각 키들에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리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 인식을 수행하며, 상기 키보드를 통해 키 배열 변경 정보가 입력되면 그 입력에 따라 상기 리매핑 테이블을 만들고, 이후부터는 상기 리매핑 테이블에 의거 키 인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2. 화면에 표시된 키보드에 의한 키 입력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상기 키보드의 각 키들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매핑 테이블과 재배열된 상기 각 키들에 코드값을 매핑하기 위한 리매핑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 인식을 수행하며, 상기 키보드를 통한 사용자의 배열 순서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된 배열 순서에 따라 상기 리매핑 테이블을 만들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키보드의 키 배열을 상기 입력된 배열 순서에 따라 바꾸어 표시하며 이후부터는 상기 리매핑 테이블에 의거 키 인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3.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값은 m x n 매트릭스 구조의 각 좌표 위치에 대응되는 고정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4.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가,
    사방이 폐쇄단으로 제공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의 키보드 프레임과,
    상기 키보드 프레임 중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프레임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리브들과,
    상기 키보드 프레임 중 서로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프레임 내측면에 각각 함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홀들과,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외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 홀과 상응하는 제2 가이드 리브들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외측면에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와 상응하는 제2 가이드 홀들이 형성되어 상기 키보드 프레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다수의 키 캡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프레임은 상기 단말기 상에 일체형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 캡들은 각각 그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리브 및 제2 가이드 홀들이 상기 제1 가이드 리브 및 제1 가이드 홀 또는 인접하는 다른 키 캡들의 제2 가이드 리브 및 제2 가이드 홀들과 맞물려 슬라이딩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각각의 상기 제1 가이드 홀들을 상기 키보드 프레임의 상면으로 노출시키는 한 쌍의 탈착홀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홀들은 상기 제2 가이드 리브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10. 키 배열 가변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의 키들에 대응하는 코드값들을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 배열을 가변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뉴 화면에서 '키 배열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키 배열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설정 항목과 해제 항목으로 이루어진 서브-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 혹은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키 배열 변경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제3과정과,
    상기 키 배열 변경 정보에 따라 리매핑 테이블을 만들고, 이후부터는 상기 리매핑 테이블에 의거 키 인식을 수행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화면에 표시된 키보드에 의한 키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키보드의 키들에 대응하는 코드값들을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 배열을 가변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뉴 화면에서 '키 배열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키 배열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설정 항목과 해제 항목으로 이루어진 서브-메뉴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설정 혹은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설정 항목이 선택되면 키 배열 변경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배열 순서 입력을 감지하는 제3과정과,
    상기 입력된 배열 순서에 따라 리매핑 테이블을 만들고,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키보드의 키 배열을 상기 입력된 배열 순서에 따라 바꾸어 표시하며 이후부터는 상기 리매핑 테이블에 의거 키 인식을 수행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혹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키 인식 수행은,
    키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키 입력이 감지되면 키 재배열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단계와,
    상기 키 재배열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리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 인식을 수행하고,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키 인식을 수행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00410A 2004-01-05 2004-01-05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KR10067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10A KR100678207B1 (ko) 2004-01-05 2004-01-05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US11/016,045 US20050146447A1 (en) 2004-01-05 2004-12-17 Terminal having keyboard with keys variable in arrangement, and method of rearranging keys of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10A KR100678207B1 (ko) 2004-01-05 2004-01-05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92A KR20050071992A (ko) 2005-07-08
KR100678207B1 true KR100678207B1 (ko) 2007-02-05

Family

ID=36585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410A KR100678207B1 (ko) 2004-01-05 2004-01-05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46447A1 (ko)
KR (1) KR100678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0481B2 (en) * 2005-11-23 2012-07-24 Armstrong Quinton Co.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configuring an operational mode of an input interface based on a privacy level
US7571037B2 (en) * 2005-12-21 2009-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relocatable self-defining buttons to control machinery
US7836032B2 (en) * 2006-03-28 2010-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apping child references when parent reference updates are processed
KR100760808B1 (ko) 2006-06-13 2007-09-20 주식회사 팬택 키 입력 장치에서의 키 설정 방법
JPWO2009050941A1 (ja) * 2007-10-18 2011-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操作部表示方法
US7780368B2 (en) * 2008-05-15 2010-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able key positioning on a keyboard
US20130044058A1 (en) * 2011-08-19 2013-02-21 Korry Electronics Co. Reconfigurable fixed function, nbc compatible integrated display system
KR101340703B1 (ko) * 2011-11-25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GB201212878D0 (en) 2012-07-20 2012-09-05 Pike Justi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9436295B2 (en) * 2014-03-28 2016-09-06 Intel Corporation Alternate dynamic keyboard for convertible tablet computers
GB201520741D0 (en) 2015-05-27 2016-01-06 Mypinpad Ltd And Licentia Group Ltd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11275451B2 (en) * 2020-02-19 2022-03-15 Apple Inc. Deployable key mo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233A (ja) * 2000-04-26 2001-11-02 Nec Corp キー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40059630A (ko) * 2002-12-28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키위치 변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4622A (ja) * 1987-05-18 1988-11-21 Bandai Co キ−ボ−ド
DE9404065U1 (de) * 1994-03-11 1994-07-14 Feller Erhard Schiebespiel mit (Ent)-Sicherungsschieber
US5748177A (en) * 1995-06-07 1998-05-05 Semantic Compaction Systems Dynamic keyboard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defining keys on a keyboard
US5769418A (en) * 1996-12-11 1998-06-23 Gilbert; Daniel B. Transparent puzzle having at least two image planes
JP2002229861A (ja) * 2001-02-07 2002-08-16 Hitachi Ltd 著作権保護機能つき記録装置
US6864881B2 (en) * 2002-05-28 2005-03-08 Inventec Appliances Corp. Key switch-replaceable keyboard mounting arrangement
US6616358B1 (en) * 2002-07-25 2003-09-09 Inventec Appliances Corporation Keyboard structure alteration method
JP2004157866A (ja) * 2002-11-07 2004-06-03 Fujitsu Component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移動電話
US20040212595A1 (en) * 2003-04-28 2004-10-28 Debiao Zhou Software keyboard for computer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6233A (ja) * 2000-04-26 2001-11-02 Nec Corp キー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40059630A (ko) * 2002-12-28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키위치 변경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59630 *
1330623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92A (ko) 2005-07-08
US20050146447A1 (en)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725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78207B1 (ko) 키 배열 가변 키보드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 가변 방법
CA2412243C (en) Keyboard assembly for a mobile device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0917330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CN100549922C (zh) 通过方向输入设备输入字符的方法和装置
CN102812415A (zh) 具有触摸面板功能的移动终端及其输入方法
US20090009472A1 (en)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CN208061923U (zh) 一种键盘装置
CN108346542A (zh) 一种键盘装置
US20040252819A1 (en) Input unit and input method using it
KR100777653B1 (ko) 문자입력장치
US20100073298A1 (en) Data input apparatus
KR1010453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2007241875A (ja) 端末装置
KR101083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407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JP2002190231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230158675A (ko) 스마트폰 거치 키보드
KR100794986B1 (ko) 확장키를 갖는 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입력 방법
KR101004567B1 (ko) 건반형 키패드를 구비한 통신단말기
KR10155856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74643A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JP2006245898A (ja) 携帯情報端末
JP2005038249A (ja) 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