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849B1 -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849B1
KR100676849B1 KR1020050102326A KR20050102326A KR100676849B1 KR 100676849 B1 KR100676849 B1 KR 100676849B1 KR 1020050102326 A KR1020050102326 A KR 1020050102326A KR 20050102326 A KR20050102326 A KR 20050102326A KR 100676849 B1 KR100676849 B1 KR 10067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nticular
frame
lenticular len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정호
김정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두시스템
유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두시스템, 유정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두시스템
Priority to KR102005010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8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Abstract

A display apparatus using a lenticular lens is provided to easily set/separate a lenticular panel in/from the display apparatu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multiple images. A display apparatus using a lenticular lens includes a frame(10) having a motor(11) and a battery, a multi-image(20) located in front of the frame and vertically moved, a lenticular panel(30), a vertical moving unit(40) and a mirror(50). The lenticular panel receives the multi-image and includes a lenticular lens(32) and an LCD(Liquid Crystal Display)(33). The lenticular panel is combined with the frame using a magnet. The vertical moving unit vertically moves the multi-image and displays different images on the lenticular panel. The mirror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vertical moving unit which corresponds to the bottom of the lenticular panel.

Description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using a lenticular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using a lenticular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상하이동수단에 의한 이미지의 상하이동에 따라 이미지가 변환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3 to 5 are front views showing that the image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Shanghai-dong of the image by the Shanghai-do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프레임 11 : 모터 10 frame 11: motor

11a : 편심돌기 13, 14 : 좌우 중심홀11a: eccentric projection 13, 14: left and right center hole

20 : 다중의 화상 이미지 30 : 렌티큘러 패널20: multiple image image 30: lenticular panel

31 : 자석 32 : 렌티큘러 렌즈31: magnet 32: lenticular lens

33 : LCD 40 : 상하이동수단33: LCD 40: Shanghai East Sudan

41 : 지지부재 41a : 지지돌기41: support member 41a: support protrusion

41c, 41d : 좌우측 결합홀 42, 43 : 좌우측 링크부재41c, 41d: left and right coupling holes 42, 43: left and right link members

42a, 43a : 제1 삽입돌기 42b, 43b : 슬롯홀42a, 43a: first insertion protrusion 42b, 43b: slot hole

42c, 43c : 제2 삽입돌기 44 : 제2 링크부재42c, 43c: second insertion protrusion 44: second link member

44a : 제3 삽입돌기 44b : 홀 44a: third insertion protrusion 44b: hole

50 : 거울50: mirror

본 발명은 렌티큘러 렌즈의 후면에 다중의 화상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다중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using a lenticular lens for displaying multiple images while moving multiple image images up and d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lenticular lens.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는 많은 분야에서 매우 절실하게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입체 영상 시스템에 대한 요구는 입체 영상이 2차원의 영상에 비하여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관찰자에게 새로운 물체에 대한 인식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3차원의 물체를 인식하는 데는 수평적으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두 눈에 입사하는 화상들이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체에 대한 깊이감, 두 눈동자를 움직여서 물체의 한 지점에 초점을 모을 수 있는 수렴 능력, 그리고 눈의 수정체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화상평면들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들을 필요로 한다.The demand for a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is very urgent in many fields. The need for such a stereoscopic imaging system is that stereoscopic imaging is not only natural than two-dimensional imaging but also makes it easier for an observer to recognize a new object. In general, in order to recognize a three-dimensional object, the human body is focused on a point of the object by moving the two eyes, the depth of the object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s that are incident on the two eyes located at a horizontal distance It requires the ability to collect convergence and the ability to control the lens of the eye to recognize image planes that exist at different locations.

3차원 입체 화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stereoscopy)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 이는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5mm 정도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lay)에 의해 입체감을 느끼도 록 하는 원리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화상을 구현하는 방식에는 홀로 그래픽 방식과 입체용 특수안경을 사용하는 방식, 그리고, 입체용 특수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비안경식으로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방식으로 분류된다.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stereoscopy through two eyes, which is caused by the binocular disparity caused by the disparity of two eyes, that is, because they are spaced about 65m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a principle that makes you feel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general,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is classified into a stereoscopic method using a holographic method, a stereoscopic special glasses, and a non-glass type without stereoscopic special glasses.

상기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시스템 혹은 유사입체영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 이러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시스템은 관찰자의 왼쪽과 오른쪽 눈에 비치게 되는 2개의 2차원 화상을 하나의 2차원 스크린에 동시에 표시한 다음 일정한 방법에 의해 그들을 분리시켜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각각 입사시켜서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여 준다. 이와 같이 화상을 분리하는 방법에 따라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또는 비오토스테레오스코픽 영상시스템으로 분류되는 바, 비오토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시스템에는 편광, 입체사진(anaglyph), 광셔터, 크로모스테레오스코픽(chromostereoscopic), 프리즘 들이 사용되고,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시스템에는 실체화(stereogram), 렌티큘러 렌즈, 시차 장벽(parallax barrier), 스캐닝 슬릿(scanning slit) 등이 사용된다.In the above, researches on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systems or similar stereoscopic image system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Such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systems display two two-dimensional images that are visible to the viewer's left and right eyes as one two-dimensional image. Simultaneously display them on the screen, then separate them by a constant method so that they can enter the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so that the viewer feels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this way, the image is classified into an autostereoscopic or non autostereoscopic imaging system. In the non-stereoscopic stereoscopic system, polarization, anaglyph, optical shutter, and chromostereoscopic are used. Prisms are used, and autostereoscopic stereoscopic systems use stereograms, lenticular lenses, parallax barriers, and scanning slits.

비오토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시스템은 관찰자에게 눈의 피로를 발생시키고, 또한 관찰자가 특수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함과 부자연스러움을 발생시킨다. 반면에,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시스템은 관찰자가 직접적으로 스크린을 주사하게 되어 이와 같은 단점이 없다. The bio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ing system generates eye fatigue for the observer and also causes discomfort and unnaturalness because the observer must wear special glasses. On the other hand, the auto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ing system does not have such disadvantages because the viewer directly scans the screen.

여기에서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시스템 중에서 특히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입체영상 시스템은 LCD 위에 원통 렌즈가 상하로 배열된 렌티큘러 패널의 후면에 각종 다중 화상을 위치시켜 광고하는 광고용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개 발되었다.Here, among auto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ing systems, in particular, a stereoscopic imaging system using a lenticular lens has developed a display apparatus for advertising advertising placing various images on the rear of a lenticular panel having cylindrical lenses arranged up and down on an LCD.

종래에는 이러한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여러 장면의 화상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동적인 화상의 표출을 위해 3 내지 4개의 디스플레이용 광고 패널을 회전시켜 각각의 패널의 이미지를 동적으로 표출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display dynamic images in which images of various scenes are automatically converted in such an advertisement display apparatus, three to four display advertisement panels are rotated to dynamically display images of each panel.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패널이 필요함으로서, 그 제조 단가가 고가이고, 그 부피도 크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증대되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display device for advertising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large number of panels, its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and its volume is also larg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installation area and deterioration in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렌티큘러 렌즈의 후면에 다중의 화상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다중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using a lenticular lens to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while moving the multiple image image up and down on the back of the lenticular lens. There i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 하단에 모터 및 배터리를 장착하여서 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다중의 화상 이미지와;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의 전면에서 상기 화상 이미지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의 사방면에 자석으로 결합되고, 렌티큘러 렌즈와 LCD로 결합되어서 된 렌티큘러 패널과;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렌티큘러 패널의 전면을 통해 각각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전면이면서 상기 렌티큘러 패널의 하단에 부착된 거울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지지돌기의 상면에서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의 하단면을 자석으로 결합하고 있는 수평 막대 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좌우측 결합홀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각각 슬롯홀이 천공되며, 그 중간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좌우 중심홀에 각각 삽입되는 제2 삽입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링크부재와; 상기 좌우측 링크부재의 타단에 각각 형성된 슬롯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3 삽입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모터의 축에 편심 결합된 편심돌기에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제2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splay apparatus using a lenticular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formed by mounting a motor and a battery at a lower rear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arrang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rame and movable up and down. A burn image; A lenticular panel which receives the image image in front of the multiple image images and is magnetically coupled to all four sides of the frame and is coupled to the lenticular lens and the LCD; A moving uni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ultiple image image to display different image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lenticular panel while moving the multiple image image up and down; A mirro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enticular panel while being the front of the shanghai means; The shank moving means includes a horizontal bar-shaped support member having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multiple image image, and coupling a lower end surface of the multiple image image with a magn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First insertion protrusion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coupling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slot holes are drill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second insertion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center holes formed in the frame at the middle thereof. A pair of left and right link members having protrusions formed thereon; A third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lot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link members at the same tim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second link member having a hole inserted into the eccentric protrusion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It featur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 하단에 모터(11) 및 배터리(도시안됨)를 장착하여서 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와;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전면에서 상기 화상 이미지(20)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사방면에 자석(31)으로 결합되고, 렌티큘러 렌즈(32)와 LCD(33)로 결합되어서 된 렌티큘러 패널(30)과;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다중의 화상 이미지(2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렌티큘러 패널(30)의 전면을 통해 각각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하이동수단(40)과; 상기 상하이동수단(40)의 전면이면서 상기 렌티큘러 패널(30)의 하단에 부착된 거울(50)로 이루어진다. A display apparatus using a lenticular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mounted with a motor 11 and a battery (not shown) at a lower rea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image image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ame 10 and movable up and down; The image image 20 is received in front of the multiple image image 20 and coupled to the magnets 31 on all sides of the frame 10, and coupled to the lenticular lens 32 and the LCD 33. A lenticular panel 30; A moving unit 4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multiple image image 20 to display different image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lenticular panel 30 while moving the multiple image image 20 up and down; It is made of a mirror 5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enticular panel 30 and the front of the shankdong means 40.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수단(40)은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41a)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지지돌기(41a)의 상면에서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하단 상하면에 자석(41b)으로 결합하고 있는 수평 막대 형상의 지지부재(41)와; 상기 지지부재(41)의 양단에 형성된 좌우측 결합홀(41c, 41d)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42a, 43a)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각각 슬롯홀(42b, 43b)이 천공되며, 그 중간에는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좌우 중심홀(13, 14)에 각각 삽입되는 제2 삽입돌기(42c, 43c)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링크부재(42, 43)와; 상기 좌우측 링크부재(42, 43)의 타단에 각각 형성된 슬롯홀(42b, 43b)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3 삽입돌기(44a)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모터(11)의 축에 편심 결합된 편심돌기(11a)에 삽입되는 홀(44b)이 형성된 제2 링크부재(44)로 이루어진다.Here, the shank movement means 40 is a support projection 41a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ultiple image image 20 is formed horizontally, the multiple image image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rojection (41a) A support member 41 having a horizontal bar shap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end of the magnet 41b; First insertion protrusions 42a and 43a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coupling holes 41c and 41d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41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slot holes 42b and 43b are respectively drilled at the other end thereof. A pair of left and right link members 42 and 43 formed with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42c and 43c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center holes 13 and 14 formed in the frame 10 in the middle thereof; Third insertion protrusions 44a which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slot holes 42b and 43b respectively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link members 42 and 43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11. The second link member 44 is formed with a hole 44b inserted into the eccentric protrusion 11a.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그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프레임(10)의 하단 후면에 모터(11)와 배터리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11)는 그 축이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으로 관통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는 다중의 화상 이미지(20), 즉, 사진과 같은 영상물을 위치시키는 바, 상하이동수단(40)의 지지부재(41)에 삽입되어 있는 자석으로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하단면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전면에 렌티큘러 렌즈(32)와 LCD(33)로 된 렌티큘러 패널(30)을 그 사방에 프레임(10)과 자석(31)으로 결합하여 부착하게 된다. 상기 렌티큘러 패널(30)의 하단, 즉, 상하이동수단(40)이 설치된 전면에 거울(50)의 부착하여서 사진틀과 같이 프레임(10)의 후면에 다리(60)를 설치하여 세우게 된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First, the assembl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The motor 11 and the battery are installed on the bottom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the motor 11 is installed such that the shaft penetrates to the front of the frame 10. In front of the frame 10, a plurality of image images 20, that is, a picture-like image object is placed, and a plurality of image images with a magnet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41 of the shank means 40 ( Fix the bottom surface of 20). Then, the lenticular panel 30 made of the lenticular lens 32 and the LCD 33 is coupled to the four sides of the multiple image image 20 by the frame 10 and the magnet 31. Attaching the mirror 50 to the lower end of the lenticular panel 30, that is, the shankdong means 40 is installed, the legs 60 are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frame 10 as shown in the picture frame.

이와 같은 사진틀에서 상기 렌티큘러 패널(30)의 전면을 통해 다중의 화상 이미지(20)를 각각의 화상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즉, 상하이동수단(4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배터리의 전원 공급에 의해 모터(11)를 구동시키면, 모터(11)에 연결된 축이 서서히 회전하고, 이 축에 편심 연결된 편심돌기(11a)가 회전하게 된다. 이 편심돌기(11a)에는 제2 링크부재(44)의 타단이 삽입되어 그 일단의 제3 삽입돌기(44a)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좌우측 링크부재(42, 43)의 일단 슬롯홀(42b, 43b)이 상하로 이동하고, 이 좌우측 링크부재(42, 43)의 중간에 각각 형성된 제2 삽입돌기(42c, 43c)를 중심으로 제1 삽입돌기(42a, 43a)가 각각 상하로 이동하여 제1 삽입돌기(42a, 43a)에 각각 그 양단이 삽입되어 있는 수평 막대 형상의 지지부재(41)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41)가 상하로 이동하면, 지지돌기(41a) 위에 자석으로 고정 설치된 다중의 화상 이미지(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렌티큘러 렌즈(32)에 의해 각각의 화상 이미지로 변환되면서 디스플레이된다. In such a frame, in order to display the multiple image image 20 as each image image through the front of the lenticular panel 30, the multiple image image 20 is displayed while moving up and down.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eans for displaying the multiple image image 20, i.e., the shank movement means 40, first, when the motor 11 is driven by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it is connected to the motor 11; The shaft rotates slowly, and the eccentric protrusion 11a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shaft rotate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44 is inserted into the eccentric protrusion 11a, and slot slots 42b and 43b of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link members 42 and 43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protrusion 44a at one end thereof. ) Moves up and down, an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s 42a and 43a move up and down, respectively, about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42c and 43c respectively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eft and right link members 42 and 43.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rotrusions 42a and 43a, respectively, to move the supporting member 41 of the horizontal bar shape up and down. When the support member 41 is moved up and down in this manner, the multiple image images 20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protrusion 41a by magnets are moved up and down and converted into respective image images by the lenticular lens 32 to be displayed. do.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다중의 화상이 인화된 사진이나 다양한 내용의 화면 및 광고용 이미지를 화상으로 표출하기 용이하고, 다중의 화상 이미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렌티큘러 패널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구성하였으며, 간단한 구동원리를 적용한 상하이동수단 에 의해 다중의 화상 이미지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그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lenticular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express a picture or a screen of various contents and an image for advertisement as an image, and the lenticular so that multiple image images can be easily replaced. The pane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configuring multiple image images to be moved up and down by using a moving means applying a simple driving principle.

Claims (1)

후면 하단에 모터(11) 및 배터리를 장착하여서 된 프레임(10)과;A frame 10 mounted with a motor 11 and a battery at a lower rear side thereof;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와;A plurality of image images 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ame 10 and movable up and down;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전면에서 상기 화상 이미지(20)를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사방면에 자석(31)으로 결합되고, 렌티큘러 렌즈(32)와 LCD(33)로 결합되어서 된 렌티큘러 패널(30)과;The image image 20 is received in front of the multiple image image 20 and coupled to the magnets 31 on all sides of the frame 10, and coupled to the lenticular lens 32 and the LCD 33. A lenticular panel 30;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다중의 화상 이미지(2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렌티큘러 패널(30)의 전면을 통해 각각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하이동수단(40)과;A moving unit 4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multiple image image 20 to display different image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lenticular panel 30 while moving the multiple image image 20 up and down; 상기 상하이동수단(40)의 전면이면서 상기 렌티큘러 패널(30)의 하단에 부착된 거울(50)로 이루어지고;A mirror 5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enticular panel 30 at the front of the shank means 40; 상기 상하이동수단(40)은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41a)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지지돌기(41a)의 상면에서 상기 다중의 화상 이미지(20)의 하단 상하면에 자석(41b)으로 결합하고 있는 수평 막대 형상의 지지부재(41)와;The shank means 40 has a support protrusion 41a horizontally form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multiple image image 20, and a lower end of the multiple image image 20 on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41a. A horizontal bar-shaped support member 41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y a magnet 41b; 상기 지지부재(41)의 양단에 형성된 좌우측 결합홀(41c, 41d)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42a, 43a)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각각 슬롯홀(42b, 43b)이 천공되며, 그 중간에는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좌우 중심홀(13, 14)에 각각 삽 입되는 제2 삽입돌기(42c, 43c)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측 링크부재(42, 43)와;First insertion protrusions 42a and 43a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coupling holes 41c and 41d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41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slot holes 42b and 43b are respectively drilled at the other end thereof. A pair of left and right link members 42 and 43 formed with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42c and 43c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center holes 13 and 14 formed in the frame 10 in the middle thereof; 상기 좌우측 링크부재(42, 43)의 타단에 각각 형성된 슬롯홀(42b, 43b)에 동시에 삽입되는 제3 삽입돌기(44a)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모터(11)의 축에 편심 결합된 편심돌기(11a)에 삽입되는 홀(44b)이 형성된 제2 링크부재(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Third insertion protrusions 44a which are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slot holes 42b and 43b respectively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link members 42 and 43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11. Display device using a lenticular len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link member (44) having a hole (44b) is inserted into the eccentric protrusion (11a).
KR1020050102326A 2005-10-28 2005-10-28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KR100676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26A KR100676849B1 (en) 2005-10-28 2005-10-28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26A KR100676849B1 (en) 2005-10-28 2005-10-28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63U Division KR200406277Y1 (en) 2005-10-28 2005-10-28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849B1 true KR100676849B1 (en) 2007-02-02

Family

ID=3810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326A KR100676849B1 (en) 2005-10-28 2005-10-28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849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3953B2 (en) Stereoscopic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7468838B2 (en) Stereoscopic display for switching between 2D/3D images
KR101439842B1 (en) Backlight unit and 2D-3D switchable image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998439B1 (en) Device for recognizing 2-dimensional image as 3-dimensional image
JP5107564B2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50115942A (en) Autostereoscopic display
CN102591030A (en) 2-D and 3-D switchalbe and multi-full size image display system
EP1711022A3 (en) Stereoscopic display switching between 2D/3D images using polarization grating screen
JP2002514788A (en) Directional display
Dodgson Autostereo displays: 3D without glasses
KR100586221B1 (en) 3-d image display device using flat display unit
KR100274625B1 (en) Apparatus for 3D image generator using multiple liquid slit
US200902959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2D-3D Switchable Autostereoscopic Viewing
KR20070001533A (en) Lenticular type 3 dimension display device
Kakeya 21‐3: A Full‐HD Super‐Multiview Display with Time‐Division Multiplexing Parallax Barrier
KR100603607B1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variable observation distance
CN201138395Y (en) Autostereoscopic display
May A survey of 3-D display technologies
KR100676849B1 (en)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KR200406277Y1 (en) Display apparatus using lenticular lens
CN101907775A (en) Stereo display, stereo display method and backlight modulation unit thereof
JP2003098479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086305B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2002084553A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JP2005091447A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