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081B1 -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081B1
KR100672081B1 KR1020050088771A KR20050088771A KR100672081B1 KR 100672081 B1 KR100672081 B1 KR 100672081B1 KR 1020050088771 A KR1020050088771 A KR 1020050088771A KR 20050088771 A KR20050088771 A KR 20050088771A KR 100672081 B1 KR100672081 B1 KR 10067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battery
emergency
residual current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8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0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0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 device and a method for originating an emergency call by using residual current are provided to enable a controller to originate the emergency call by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for notifying emergency, by using the residual curr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the residual current in a battery, thereby originating the emergency call for SOS in a state of emergency such as danger even when a normal call or service is impossible according as the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t off because the power of the terminal has come to cutoff voltage. A device for originating an emergency call comprises the followings: an input unit(205) in which a user inputs prese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for origination of the emergency call; a residual current determiner(215) which determines whether there is residual current in a battery in correspondence with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a controller(250) which originates the emergency call by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for notifying emergency, by using the residual current.

Description

잔여 전류를 이용한 비상 전화 발신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Emergency calling device and method using residual current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상 전화 발신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call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전류를 이용한 비상 전화 발신 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call apparatus using the residual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전류를 이용한 비상 전화 발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mergency call origination process using the residual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비상 전화 발신 시스템 120: 이동통신망100: emergency call origination system 12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0, 160: 이동 통신 단말기 111, 161: 기지국110 and 16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1 and 161: base station

112, 161: 이동교환기 130: 단문메시지서비스센타(SMSC)112, 161: Mobile Exchange 130: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140: 홈위치등록기(HLR) 150: 재난구조센터140: home location register (HLR) 150: disaster relief center

151: 공중전화망(PSTN) 170: 재난구조서버151: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170: disaster relief server

171: 인터넷 200: 비상 전화 발신 장치171: Internet 200: emergency call originating device

205: 입력부 210: 전원부205: input unit 210: power supply unit

215: 잔여전류 측정부 220: 메모리215: residual current measuring unit 220: memory

225: 오디오부 230: 듀플렉서225: audio unit 230: duplexer

235: 송신부 240: 수신부235: transmitter 240: receiver

245: 디스플레이부 250: 제어부 245: display unit 2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 전화를 발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잔여 전류를 이용하여 비상 전화를 발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using a residual curr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현재 이동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 히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인터넷을 결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이메일(E-mail) 전송 및 채팅(chatting)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only providing a call function but also being developed to perform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wireless Internet services combin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Internet are becoming popular,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email (E-mail) transmission, and chatting are availab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저렴하여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항상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위험 또는 재난 등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수단으로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79946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비상호출 처리장치와 그 방법'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용이한 버튼 조작만으로 비상연락처로 비상정보를 송출하여 비상상황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 동통신 단말기의 무음/무광 모드 전환에 의해 보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비상호출 처리장치와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56111호 '긴급 전화 걸기 방법'에는 단말기의 출고시에 생활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번호들 중에서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는 119, 112 등을 제외한 긴급 신고 번호들을 미리 전화번호부에 저장시켜 놓고 긴급 상황 발생시에 용이하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전화 걸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5428호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전화 자동연결방법'에는 비상시 사용자의 긴급전화를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경찰서나 소방서로 자동 연결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긴급전화 자동연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18493호 '단말기에서의 비상 전화 발신 방법'에는 사용자의 가변적인 상황에 따라 신속하고 간편한 호 송신을 할 수 있도록 단말기에서 비상 전화 발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mpact and are easy to carry and are inexpensiv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ways portable, it is usefully used as an emergency rescue request in an emergency such as a danger or disaster. 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379946 'Emergency cal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end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contact only by easy button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and In addition,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ethod for maintaining security by the silent / silent mode switch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losed.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56111 'emergency dialing method' stores emergency notification numbers in advance in the phone book, except for 119, 112, etc., which users can easily know from among the numbers directly necessary for life when the terminal is shipped. An emergency dialing method is disclosed, which allows a user to make a call easily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35428 'Automatic emergency call conne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emergency call automatic conne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utomatically connect the user's emergency call to the nearest police station or fire sta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s disclosed. Furthermor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18493, 'Emergency Call Sending Method in Terminal', discloses a method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from a terminal so that a user can quickly and easily send a call according to a user's variable situation. .

이와 같이 종래에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에서 비상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발명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발명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전화를 발신하기에 충분한 경우에만 비상 전화를 걸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배터리의 전원일 일정한 컷오프(cutoff) 전압(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3.3V) 아래로 내려가면, 내부 회로의 보호를 위하여 전원을 차단(off)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위급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비상 전화를 발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inventions have been disclosed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in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the foregoing inventions can only make emergency calls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ufficient to make a call. In general,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alls below a constant cutoff voltage (eg, 3.3V in the case of a lithium-ion battery), which is a power source of a battery, the mobile terminal turns off the power for protection of an internal circuit.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t off,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mergency call cannot be made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컷오프(cutoff) 전압에 도달하여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위험 또는 재난 등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비상 전화를 발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make an emergency call for emergency rescue request in emergency or dangerous situation even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ches the cutoff voltage and the power is cut off.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상 전화를 발신하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비상전화 발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잔여전류판단부; 및 상기 잔여전류판단부에 의하여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잔여전류를 이용하여 비상전화를 발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the input unit for inputting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from the user; Residual curr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maining current of the battery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idual current exists in the battery by the residual current determining unit,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using the residual curren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상 전화를 발신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비상전화 발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잔여전류를 이용하여 비상전화를 발신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calling an emergency call, the first step of receiving predetermined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from the user;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battery current remains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residual current exists in the battery, a third step of making an emergency call using the residual curren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비상전화 발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잔여전류를 이용하여 비상전화를 발신하는 제3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rst step of receiv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from the user;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battery current remains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residual current exists in the battery, recording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a third step of making an emergency call using the residual curr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reference numerals and lik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상 전화 발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call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상 전화 발신 시스템(100)은 이동통신망(120)에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10), 기지국(111,161), 이동교환기(112,16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타(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130) 및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151)에 연결된 재난구조센터(150), 이동통신망(120)에 연결된 재난구조용 이동통신단말기(160) 및 인터넷(171)에 연결된 재난구조서버(170)와 접속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mergency call origination system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base station 111, 161, a mobile switch 112, 161, and a short message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130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14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a disaster relief center 150 connected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151, a disaster relie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the Internet 171. It can be connected to the disaster relief server 170 connected to.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내부 전원이 컷오프에 도달하여 차단된 경우에도, 내부 배터리에 존재하는 잔여 전류를 이용하여 재난 구조를 담당하는 재난 구조 시스템(150, 160, 170)으로 비상 전화를 걸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잔여 전류를 이용하여 직접 상기 재난 구조 시스템(150, 160, 170)으로 음성 통화 연결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MS)를 송부하여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rescue system 150, 160, 170 in charge of disaster rescue by using the residual current present in the internal battery even when the internal power source is cut off and cut off. I can make a phone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y not only make a voice call connection to the disaster relief system 150, 160, 170 by using the residual current, but also send a short message (SMS) to manage an emergency situation. You can inform.

먼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휴대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장치로서 단문 메시지(SMS)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으며, 단문 메시지(SMS)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is equipped with software for processing a short message (SMS), and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hort message (SMS).

상기 기지국(111, 16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 16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망 종단 장치이다. 상기 이동 교환기(112, 162)는 상기 기지국(111, 161)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 160)에 대한 호처리 및 중계 기능 등을 담당한다.The base station (111, 161) is a network termination devi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16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The mobile switching centers 112 and 162 ar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s 111 and 161 to perform call processing and relay function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0 and 160.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타(SMSC)(130)는 단문 메시지(SMS)의 저장, 경로배정(routing), 전달 및 재전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130 performs functions such as storing, routing, forwarding, and re-delivery of the short message SMS.

상기 홈위치등록기(HLR)(140)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위치 정보 를 기록 및 보관하며, 가입자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 16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 등록된 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홈위치등록기(HLR)(14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본 발명에 따라 비상전화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재난 구조 시스템(150, 161, 170)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140 records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f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and provides subscriber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es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and registered servic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10 and 160.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140 i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disaster relief system 150, 161, 170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kes an emergency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상기 IWF/PSDN(172)은 상기 이동 통신망(120)과 인터넷(171)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The IWF / PSDN 172 functions to connect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the Internet 17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전류를 이용한 비상 전화 발신 장치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call apparatus using the residual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전화 발신 장치(20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 내에 형성되며, 입력부(205), 전원부(210), 잔여전류 측정부(215), 메모리(220), 오디오부(225), 듀플렉서(Duplexer)(230), 송신부(235), 수신부(240), 디스플레이부(245)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2, the emergency call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nd includes an input unit 205, a power supply unit 210, a residual current measurement unit 215, and a memory 220. , An audio unit 225, a duplexer 230, a transmitter 235, a receiver 240, a display 245, and a controller 250.

상기 입력부(205)는 다수의 키 버튼(key button)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비상전화 발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 및 단문 메시지(SMS)가 입력된다. The input unit 205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and predetermined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short message SMS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are input by a user.

상기 전원부(210)는 상기 비상 전화 발신 장치(200)에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에 연결되어 상기 비상 전화 발신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 공한다.The power supply unit 210 is connected to a battery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emergency call transmitter 200 to provide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call transmitter 200.

상기 잔여전류 측정부(215)는 상기 전원부(210)의 공급 전압이 소정의 컷오프 전압(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3.3V)에 도달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이 차단(off)된 경우이더라도,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입력부(205)를 통하여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배터리 내에 잔여 전류가 남아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The residual current measuring unit 215 is a supply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210 reaches a predetermined cutoff voltage (for example, 3.3V in the case of a lithium-ion battery),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ut off ( Even if it is off, when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05, it functions to determine whether residual current remains in the battery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상기 메모리(22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제어부(250)에 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00)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화 발신을 위하여 미리 설정한 비상전화번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비상전화 발신 시 전송할 단문 메시지(SMS)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The memory 220 stores data input and output when a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performed by a program and a controller 25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a predetermined area. do. In addition, the memory 200 stores information on an emergency phone number preset by a user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on a short message (SMS) to be transmitted when the emergency call is sent.

상기 오디오부(225)는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부(225)는 수신부(24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The audio unit 225 converts an analog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MIC into a digita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In addition, the audio unit 225 converts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40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og signal as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PK.

상기 듀플렉서(230)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미 도시)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The duplexer 230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not shown) through an antenna ANT and separat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송신부(235)는 상기 입력부(205)에 입력된 정보 및 오디오부(225)로부터 제공된 디지털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230)를 거쳐 안테나(AT)를 통해 송신한다. The transmitter 235 filters and amplifies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205 and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audio unit 225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hrough the duplexer 230 through the antenna AT.

상기 수신부(240)는, 상기 듀플렉서(230)에 의해 분리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미약한 수신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The receiver 240 receives a radio signal separated by the duplexer 230, and amplifies, filters, and outputs the weak received signal.

상기 디스플레이부(245)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송수신되는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45 visually displays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nformation input by a user.

상기 제어부(25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잔여전류판단부(215)에 의하여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잔여전류를 이용하여 비상전화를 발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잔여전류는 배터리의 컷오프 전원 이하에서 배터리에 존재하는 전류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전류가 소진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기 비상전화의 발신을 시도한다.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idual current is determined by the residual current determining unit 215, the controller 250 uses the residual current. To make an emergency call. Here, the residual current refers to the current present in the battery below the cutoff power supply of the batter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50 continuously attempts to send the emergency call until the remaining current of the battery is exhaus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모리(220) 내에는 119, 112, 113 등의 기존 응급전화번호가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비상전화 발신 요청 시 디스플레이부(245)에 상기 다수의 응급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상기 응급전화번호 중 원하는 번호로 비상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상기 다수의 응급전화번호에 우선순위(예를 들어, 1순위:119, 2순위:112, 3순위:113)를 정한 후, 사용자에 의하여 비상전화발신의 요청이 있으면 최우선 순위의 응급전화번호로 비상전화를 발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isting emergency telephone numbers, such as 119, 112, 113, are stored in the memory 220. In addition, when the user requests an emergency call, the plurality of emergency phone number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5 so that the user can make an emergency call to a desired number among the emergency phone number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ser sets a priority (for example, first priority: 119, second priority: 112, third priority: 113) to the plurality of emergency call numbers in advance, if the user requests an emergency call,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make emergency calls to the highest priority emergency number.

또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배터리가 컷오프 전압에 도달하여 전원이 꺼진(off) 경우에는 다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파워키(예를 들어, 종료키)를 이용하여 전원을 켜려고(on) 시도하더라도 전원이 켜지지 않거나, 켜지더라도 곧바고 꺼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상 전화 발신 장치(200)의 전원이 컷오프에 도달하여 전원이 꺼진(off) 경우에도, 사용자는 부팅(booting) 시 비상전화를 발신하기 위하여 비상 전화 발신 장치(2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파워키(예를 들어, 종료키)와 미리 정해진 소정의 키버튼(예를 들어, 통화키)을 누름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잔여전류를 이용한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비상전화를 발신하고자 하는 경우, 파워키를 누름으로써 부팅을 시행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 이내에 비상전화 발신을 위하여 미리 정한 특정 숫자열(예를 들어, '0000')을 누름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잔여전류를 이용한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tempts to turn on the power by using a power key (for example, an end key) that turns the power on / off again when the battery reaches the cutoff voltage and is turned off (off). on) Power will not turn on even if attempted, or will turn off immediately.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ower of the emergency call sending device 200 reaches the cutoff and the power is turned off, the user may turn on the power of the emergency call sending device 200 to send an emergency call at booting time. Recognizing tha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residual current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a power key (for example, an end key) and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key button (for example, a call key) to turn on / off can do.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ants to make an emergency call, a specific number string (for example, predetermined for a emergency call) is ma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after booting by pressing a power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residual current may be recognized by pressing '0000').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소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만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에 설정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라 비상전화를 발신할 때에는 별도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서도 비상전화를 발신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is set in the software so that the user can use his mobile terminal 100 only when a predetermined password is entered in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emergency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do not want to enter a password, it is desirable to set up so that emergency calls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비상전화 요청시, 사용자기 미리 정한 단문 메시지(SMS)를 전송하여 위급상황임을 신고하거나, 음성 호를 연결을 시도하여 직접 위급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requests an emergency call, the user may send a short message (SMS) predetermined by the user to report an emergency situation, or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by attempting to connect a voice cal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전류를 이용한 비상 전화 발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mergency call transmission process using the residual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자신의 비상 전화 발신 장치(200)의 배터리가 컷오프 전원에 도달하여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잔여전류를 이용하여 비상전화를 발신하기 위하여, 입력부(225)에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를 입력한다(S310). 여기서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컷오프 전압에 도달하여 차단된 경우, 부팅시 파워키와 소정의 키버튼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는, 파워키를 누름으로써 부팅을 시행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특정 숫자열을 누름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first, when an emergency occurs, when a battery of the emergency call transmitter 200 reaches the cutoff power and the power is cut off, the user makes an emergency call using a residual curr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ke a call,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set in advance is input to the input unit 225 (S310).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may be input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power key and a predetermined key button during booting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ches the cutoff voltage and is cut off. In addition,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may be input by pressing a specific number str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booting by pressing a power key.

그러면 잔여전류 측정부(215)는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Then, the residual current measuring unit 215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sidual current of the battery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S320).

상기 단계(S320)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단문 메시지(SMS)를 전송하거나 또는 음성 호의 연결 시도에 의한 비상전화의 발신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S330 내지 S36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20, when a residual current exists in the battery, an emergency call transmission attempt may be made by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SMS or attempting to connect a voice call by the user (S330 to). S360).

먼저,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SMS)를 전송하여 위급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가 직접 위급상황 발생시 전송할 문자열을 입력하여 단문 메시지(SMS)를 전송하거나(S340), 또는 단말기 사업자에 의하여 비상전화 발송용으로 메모리(22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 문자열을 전송할 수 있다(S350). 만약 사용자가 재난 구조 시스템(150, 161, 170)과 직접 음성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S330 내지 S350)는 생략될 수 있으며, 곧 바로 음성 호의 연결을 시도한다(S360). First, when a user wants to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by sending a short message (SMS), the user inputs a string to be transmitted when an emergency occurs directly by the user's selection and transmits a short message (SMS) (S340), or The terminal operator may transmit a basic string stored in the memory 220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S350). If the user wants to make a direct voice call with the disaster relief systems 150, 161 and 170, the steps S330 to S350 may be omitted, and the voice call is immediately attempted (S360).

이와 같이 비상전화의 발신 시도가 이루어진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화 발신 장치(200)에 의하여 비상전화 발신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70), 성공한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하고, 아직 성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잔여전류가 모두 소진할 때까지 비상전화의 발신을 계속하여 시도한다(S380). 그리고 상기 단계(S320, S380)에서 판단한 결과, 내부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모두 소진한 경우에는 더 이상 비상전화 발신을 시도를 지속할 수 없으므로 절차가 종료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emergency call is attempted, the emergency call origina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emergency call is successful (S370). If not, continues to try to send emergency calls until all the remaining current is exhausted (S38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s S320 and S380, when all the remaining current is exhausted in the internal battery, it is no longer possible to continue attempting to make an emergency call and the procedure ends.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잔여 전류를 이용하여 비상 전화를 발신하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using a residual curr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컷오프(cutoff) 전압에 도달하여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정상적인 통화 또는 서비스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위험 또는 재난 등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 구조 요청을 위한 비상 전화를 발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ches a cutoff voltage and the power is cut off so that normal calls or services cannot be used, an emergency rescue request may be made in an emergency such as danger or disaster. There is an advantage to making an emergency call.

Claims (13)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상 전화를 발신하는 장치에 있어서,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apparatus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사용자로부터 비상전화 발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inputting prese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from a user;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잔여전류판단부; 및Residual curr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maining current of the battery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상기 잔여전류판단부에 의하여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잔여전류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비상전화를 발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장치.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idual current is present in the battery by the residual current determination unit, emergency call ou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sending an emergency call by sending a short message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using the residual curr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전류는 배터리의 컷오프 전원 이하에서 배터리에 존재하는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장치.The emergency cal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dual current is a current present in the battery below the cutoff power of th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위급상황을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고 나서 상기 배터리의 잔여전류가 소진될 때까지 계속해서 음성호 연결을 위한 비상전화의 발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hort message inform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continues to try to make an emergency call for voice call connection until the remaining current of the battery is exhauste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컷오프 전압에 도달하여 차단된 경우, 부팅시 파워키와 소정의 키 버튼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se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power key and a predetermined key button during booting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ches a cutoff voltage and is cut off. Emergency call o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는, 파워키를 누름으로써 부팅을 시행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특정 숫자열을 누름으로써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장치.The emergency cal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e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by pressing a specific number str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booting by pressing a power key. 삭제delete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상 전화를 발신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사용자로부터 비상전화 발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받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prese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from a user;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battery current remains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상기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잔여전류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비상전화를 발신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esidual current in the battery, the emergency telephone cal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nding an emergency call by sending a short message info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using the residual curr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전류는 배터리의 컷오프 전원 이하에서 배터리에 존재하는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maining current is a current present in the battery below the cutoff power of the batter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전류가 소진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기 비상전화의 발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step continues to attempt the emergency call until the remaining current of the battery is exhaus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컷오프 전압에 도달하여 차단된 경우, 부팅시 파워키와 소정의 키버튼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se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by simultaneously pressing a power key and a predetermined key button during booting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aches a cutoff voltage and is cut off. How to make an emergency cal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는, 파워키를 누름으로써 부팅을 시행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특정 숫자열을 누름으로써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se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by pressing a specific number str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booting by pressing a power ke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화 발신은 음성 호의 연결을 시도하거나 또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화 발신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mergency call is made by attempting to connect a voice call or by sending a short message.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비상전화 발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비상전화 요청정보가 입력받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by the user, preset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for emergency call transmission from a user; 상기 비상전화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및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battery current remains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information; And 상기 배터리에 잔여전류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잔여전류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비상전화를 발신하는 제3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esidual current in the battery,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that records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a third step of making an emergency call by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informing of an emergency using the residual current. Record carrier.
KR1020050088771A 2005-09-23 2005-09-23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 KR1006720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771A KR100672081B1 (en) 2005-09-23 2005-09-23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771A KR100672081B1 (en) 2005-09-23 2005-09-23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081B1 true KR100672081B1 (en) 2007-01-19

Family

ID=3801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771A KR100672081B1 (en) 2005-09-23 2005-09-23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08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585A (en)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Battery cut-off voltage controll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51008A (en) * 2001-12-20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etting method of urgent call when the mobile phone's battery is exhaust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585A (en) * 2000-12-28 2002-07-08 구자홍 Battery cut-off voltage controll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51008A (en) * 2001-12-20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Setting method of urgent call when the mobile phone's battery is exhaus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3672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emergency recording and notification and associated method
KR100908216B1 (en) Remote switching method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device
KR100653162B1 (en) Method for refusing call receiv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7709B1 (en)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000299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os message service
US20050221866A1 (en)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2003101640A (en) Portable terminal
KR100379945B1 (en) System for conducting absence mess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fore
JP2003217058A (en) Emergency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JP6050395B2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KR100672081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call using residual current
JP2006054623A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crime-preventing functions
JP4244888B2 (en) Mobile phone terminal
KR10073656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larm Function During Calling and Method thereof
KR100571239B1 (en) How to confirm receipt of a favor
JP2011029812A (en) Telephone system
KR100455772B1 (en) Method of responding auto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phone
KR100618776B1 (en) Method for emergency call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6050472B2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JP2002368868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its remote control method
JP5860080B2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JP5631437B2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TWI282234B (en) Portable terminal
KR20040093247A (en) Method for transmitting out going message selective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