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493B1 -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 Google Patents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493B1
KR100667493B1 KR1020050081614A KR20050081614A KR100667493B1 KR 100667493 B1 KR100667493 B1 KR 100667493B1 KR 1020050081614 A KR1020050081614 A KR 1020050081614A KR 20050081614 A KR20050081614 A KR 20050081614A KR 100667493 B1 KR100667493 B1 KR 10066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device
clock
master
voice channe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찬필
김민정
손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4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supporting a voice channel on a scatternet is provided to enable a slave device, connected to two maser devices, to synchronize a clock of one of the two master devices with a clock of the other master device, thereby removing guard slots necessary for connection with the two master devices. A method for supporting a voice channel on a scatternet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enabling a slave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master device(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M2), to synchronize clocks of the two master devices(M1,M2)(522); and enabling the slave device to designate a time slot, which will be used for supporting a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M2), according to the synchronized clock(528).

Description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도 1은 일반적인 스캐터넷 모습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form of a general scatternet appearance,

도 2는 블루투스 네트워크 상의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방식을 나타낸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division duplex (TDD) communication scheme over a Bluetooth network;

도 3은 블루투스에서 사용되는 HV(High-quality Voice) 패킷의 전송을 나타낸 도면, 3 is a view showing transmission of a high-quality voice (HV) packet used in Bluetooth,

도 4는 스캐터넷 상에서 형성되는 가드 슬롯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form of the guard slot formed on the scatterne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캐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을 나타낸 도면, 5 is a view showing a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on a scattern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해 놓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ime slot to be used for voice channe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at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캐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on a scattern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2 : 피코넷100, 102: piconet

본 발명은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 마스터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슬레이브 기기와 두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on a scatternet, and to a slave channel connected to two master devices and a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between two master devices.

블루투스는 저렴한 가격, 적은 전력 소모로 비교적 좁은 구역(10~100m) 내에서 여러 기기들 간의 자유로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규격이다. 1994년 에릭슨의 이동통신그룹(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Group)이 휴대폰과 주변기기들 간의 소비전력이 적고 가격이 싼 무선(radio) 인터페이스를 연구하기 시작해서, 1998년 2월 에릭슨,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로 구성된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가 발족되었고, 이 SIG에 의해 99년 8월에 버전 1.0 블루투스 규격이 발표되었으며, 공식적인 국제표준 단체로는 IEEE 802.15 워크그룹이 있어 블루투스 규격에 근거한 국제표준 제정을 위해 SIG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Bluetoot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tandard developed to enable fre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evices in a relatively small area (10-100m) at low cost and low power consumption. In 1994,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Group began researching low-power, low-cost radio interfaces between mobile phones and peripherals.In February 1998, Ericsson, Nokia, IBM, Toshiba, and Intel The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SIG) was established, and the version 1.0 Bluetooth specification was released in August 1999 by the SIG, and the official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was the IEEE 802.15 workgroup to establish international standards based on the Bluetooth standard. Is working closely with SIG.

블루투스는 가정 및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정보기기에 장착이 가능하며 이들 사이의 무선망을 구성, 어떠한 유/무선망과도 연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가 완성되면 모든 정보기기 특히, 노트북, PDA, 휴대폰 간의 데이터 교환이 자유로워지며, 블루투스를 이용해 인터넷 브리지를 구성하면 현재 광케이블이나 ADSL, 모뎀 등을 통해, 데스크탑 컴퓨터에 도달해 있는 인터넷 정보가 사용자의 손 안에까지 도달될 수 있게 된다. 즉, 블루투스를 이용하 면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어떤 형태의 정보도 교환한다는 무선통신의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luetooth can be installed in all information devices used in homes and offices, an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wireless network between them and to interwork with any wired / wireless network. Therefore, when the wireless network using Bluetooth is completed, data exchange between all information devices, especially laptops, PDAs, and mobile phones, is free. When the Internet bridge is configured using Bluetooth, it reaches the desktop computer through optical cable, ADSL, modem, etc. Internet information can be reached in the user's hand. In other words, by using Bluetooth, the ultimate goal of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reached at anytime, anywhere, anyone, and any type of information exchange.

블루투스 네트워크는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형태로 구성되는데, 하나의 마스터 역할을 하는 기기가 7개의 슬레이브 기기까지 거느릴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마스터 기기에 의해 구성된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피코넷(Piconet)이라고 하고, 다수의 피코넷이 연결된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스캐터넷(Scatternet)이라고 한다. The Bluetooth network is composed of a master / slave. A master device can have up to seven slave devices. The Bluetooth network composed of one master device is called a piconet, and a Bluetooth network to which a plurality of piconets are connected is called a scatternet.

도 1은 일반적인 스캐터넷 모습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 1 마스터기기(M1)는 Sl 및 A 슬레이브 기기와 서로 연결되어 피코넷(100)을 형성하고, 제 2 마스터 기기(M2)는 S2 및 A 슬레이브 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또 다른 피코넷(102)을 형성하면서 A 기기를 통해 두 피코넷(100,102)이 연결된 스캐터넷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1 is a view showing a form of a general scatternet, wherein the first master device M1 is connected to the Sl and A slave devices to form a piconet 100,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s S2 and FIG. 2 illustrates a scatternet form in which two piconets 100 and 102 are connected through the A device while forming another piconet 102 through connection with the slave device A. FIG.

블루투스의 채널는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채널과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채널이 존재한다. Bluetooth channels include SCO (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channels and Asynchronous Connection-Less (ACL) channels.

SCO 채널은 625us의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예약된 타임 슬롯(Slot)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또 한번 전송된 SCO 데이터 패킷은 재전송(Retransmission)되지 않는다. 따라서 SCO 채널은 시간적 요인이 중요하고 신뢰성은 크게 요구되지 않는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대부분 음성 채널로 사용된다.(실제로 하나의 타임 슬롯 길이인 625us는 음성신호 속도인 64kbps에 맞는 수치임) 그리고 피코넷 상의 마스터 기기는 최대 3개의 슬레이브 기기와 SCO 채널을 설정할 수가 있다. The SCO channel exchanges data through time slots reserved at regular time intervals of 625us. SCO data packets transmitted once again are not retransmitted. Therefore, the SCO channel is suitable for data transmission where time factors are important and reliability is not required, and is mostly used as a voice channel (actually, one time slot length of 625us corresponds to the voice signal speed of 64 kbps) and piconet. The master device on the PC can set up SCO channels with up to three slave devices.

반면 ACL 채널은 예약된 타임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 포인트-멀티포인트(Point-To-MultiPoint)의 연결이 가능하나, 하나의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사이에는 ACL 채널은 반드시 한 개만 설정될 수 있다. ACL channels, on the other hand, do not have a reserved time slot. In addition, point-to-multipoint connection is possible, but only one ACL channel can be established between one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이에 따라, 제 1 마스터 기기(M1)는 자신의 피코넷(100) 상에 존재하는 S1 기기 또는 A 기기와 음성 채널로 SCO 채널을 3개까지 설정이 가능하며, 물론 A 기기와 S1 기기 두 기기를 모두를 통해서도 최종적으로 3 개의 SCO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마스터 기기(M2)도 자신의 피코넷(102) 상에 존재하는 S1 기기 또는 A 기기와 SCO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master device M1 can set up to three SCO channels as the S1 device or the A device and the voice channel existing on its piconet 100, and of course, two devices A and S1 All of them can finally form three SCO channels. Similarly, the second master device M2 may form an SCO link with the S1 device or the A device existing on its own piconet 102.

하지만 여기서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제 2 마스터 기기(M2)에 슬레이브 기기로 연결되어 있는 A 기기의 경우를 살펴보면, 각각 따로 제 1 마스터 기기(M1)와 SCO 채널을 형성하거나 제 2 마스터 기기(M2)와 SCO 채널을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제 2 마스터 기기(M2) 모두와 동시에 SCO 채널을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However, referring to the case of the A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s slave devices, the SCO channel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M1 or the second master device. It is possible to form the SCO channel with M2, but it is impossible to form the SCO channel simultaneously with bo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모든 블루투스 장치는 그 장치의 타이밍과 동작을 제어하는 순수한(Native) 자기 발진 카운터(Free-running Counter)를 가지고 있으며, 그 자기 발진 카운터를 통해 발생되는 클럭을 네이티브 클럭(Native Clock, 이하 CLKN이라 함)이라 한다. 그러면서 소정의 블루투스 장치가 마스터 기기로 동작하게 되면, 그 장치는 자신의 피코넷에 속한 슬레이브 기기들을 제어하며, 그 내부 참조 타이밍으로 자신의 CLKN을 사용한다. 그리고 슬레이브 기기가 마스터 기기와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클럭 오프셋(Off-set) 값을 자신의 CLKN에 추가하여 마스터 기기의 CLKN으로의 클 럭 변경을 수행하고 자신의 동작 제어에 사용하도록 한다. Every Bluetooth device has a native free-running counter that controls its timing and operation, and the clock generated by the self-oscillation counter is called a native clock (CLKN). It is called). Then, when a given Bluetooth device operates as a master device, the device controls slave devices belonging to its piconet and uses its CLKN as its internal reference timing. In order for the slave device to synchronize with the master device, a predetermined clock offset value is added to its CLKN to change the clock of the master device to the CLKN and use it for controlling its own operation.

그래서 각 피코넷의 슬레이브 기기는 자신의 마스터 기기의 클럭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므로, A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의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할 때 사용하는 클럭과 제 2 마스터 기기(M2)의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할 때 사용하는 클럭의 타이밍이 서로 달라서 어느 한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을 지원하며 또 다른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신호 전송을 위한 채널을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slave device of each piconet is mad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lock of its own master device, the device A uses the clock used when operating as the slave device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lave of the second master device M2. The timing of the clocks used when operating as a device is different so that it supports a voice channel with one master device and cannot acquire a channel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with another master devic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스케터넷 상에서 두 마스터 기기에 연결된 슬레이브 기기와 그 두 마스터 기기 간에 음성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on a scatternet that allows a slave channel connected to two master devices on a scatternet and a voice channel formed between the two master devices.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은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두 마스터 기기의 클럭을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동기화된 클럭에 맞추어 상기 각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oice channel supporting method on a scat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lave device connected to a first master device and a second master device to synchronize the clocks of the two master devices; And specifying, by the slave device according to the synchronized clock, a time slot to be used for voice channel support with each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여기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의 클럭 동기화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로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의 클럭과 동일하도록 클럭 변경을 요청하거나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의 클럭과 동일하도록 클럭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또는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가 자신의 클럭을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lock synchronization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ay include requesting a clock change so that the slave device is equal to the clock of the second master device to the first master device or the second master device. Requesting a clock change to be equal to a clock of one master device; And changing the clock of the first master device or the second master de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그리고 상기 요청에 따라 자신의 클럭을 변경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또는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가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 자신의 변경된 클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ransmitting, by the first master device or the second master device which has changed its clock according to the request, its changed clock information to the slave device.

또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의 클럭 동기화는,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와 이미 음성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음성 채널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의 클럭과 동일하도록 클럭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가 자신의 클럭을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요청에 따라 자신의 클럭을 변경한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가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 자신의 변경된 클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clock synchronization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master device not forming a voice channel when the slave device has already formed a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Requesting a clock change to be equal to the clock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changing, by the second master device, its clock according to the request, wherein the second master device, which has changed its clock according to the request, sends the changed clock information to the slave device. Transmitting; may further comprise.

본 발명에서 이러한 상기 클럭변경 요청은 LMP(Link Manager Protocol) 및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메시지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클럭변경 메시지를 전송하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ck change request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 clock change message having any one of a form of a Link Manager Protocol (LMP) and a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message.

그리고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와의 상기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 지정은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각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로 스니프 요청을 수행하며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ime slot designation to be used for supporting the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ay include a time slot to be used by the slave device performing a sniff request to each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specifying.

또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시에,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각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와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a time slot to be used for voice channel support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is designated, the slave device may be used as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with each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Specify a time slot.

하지만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와 이미 음성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시에,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만을 추가적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when the slave device has already formed a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when the time slot to be used for supporting the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is designated, only the time slot to be used as the data channel is additionally specified. It is characterized by.

여기서, 상기 음성 채널은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채널이다.In this case, the voice channel is a SCO (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is an Asynchronous Connection-Less (ACL) channe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각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시에, 6 개의 타임 슬롯 마다 2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하도록 지정하도록 하고, 마스터 기기와의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시에, 12 개의 타임 슬롯 마다 2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하도록 지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ave device designates a time slot to be used as a voice channel with each master device, the slave device is designated to use two time slots every six time slots, and a time to be used as a data channel with the master device. In designating a slot, two time slots are used for every 12 time slot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음성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 지정 및 상기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하기 위해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에 두 번씩 스니프 요청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ve device may perform a sniff request twice to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to designate a time slot to be used as the voice channel and a time slot to be used as the data channel. ha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블루투스 네트워크 상의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타임 슬롯(Time Slot)으로 배당된 각 채널의 길이는 625us이다. 그리고 타임 슬롯의 수는 피코넷 마스터 기기의 블루투스 클럭(Clock)에 따라 결정된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me division duplex (TDD) communication scheme over a Bluetooth network. Referring to the drawings, a length of each channel allocated to a time slot is 625us. The number of time slo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luetooth clock of the piconet master device.

타임 슬롯에 의해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는 택일적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즉, 마스터 기기는 짝수로 표기된 타임 슬롯에서만 패킷을 전송하고, 슬레이브 기기는 홀수로 표기된 타임 슬롯에서만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마스터 기기나 슬레이브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은 5개 이내의 타임 슬롯 내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여기서 패킷은 피코넷 채널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단위를 말한다. Due to the time slot,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alternatively transmit packets. That is, the master device transmits the packet only in the even numbered time slots, and the slave device transmits the packet only in the odd numbered time slots. In addition, a packet transmitted by a master device or a slave device must be implemented within 5 time slots. Here, the packet refers to a data unit transmitted in the piconet channel.

블루투스에서 사용하는 패킷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통신 연결 시에 이용하는 커먼(Common) 패킷, 음성데이터 통신용 SCO 패킷, 비음성 데이터 통신용인 ACL 패킷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관련되는 음성데이터 통신용 SCO 패킷으로는 HV(High-quality Voice)1, HV2, HV3 패킷이 있다. In more detail, a packet used in Bluetooth includes a common packet, a SCO packet for voice data communication, an ACL packet for non-voice data communication, and a SCO packet for voice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high quality voice (HV) 1, HV 2, and HV 3 packets.

HV1 패킷은 10바이트(Byte)의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패킷이다. 그리고 1/3 순방향에러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 이하 "FEC"라 함) 코드로 에러에 대한 보호를 하고 있다. 패이로드(Payload)의 길이는 240 비트로 패이로드 내의 헤더(Header)는 없다. 이 패킷을 사용하여 64kbps의 음성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1.25ms 주기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두 개의 타임 슬롯마다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HV1 packet is a packet for transmitting 10 bytes of voice data. In addition, the error is protected by a 1/3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code. The payload is 240 bits long and there is no header in the payload. When transmitting 64 kbps of voice data using this packet, it is possible to transmit at 1.25 ms period. That is,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every two time slots.

다음으로 HV2 패킷은 20바이트의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패킷이다. 그리고 2/3 FEC 코드로 에러에 대한 보호를 하고 있다. 패이로드의 길이는 HV1과 동일한 240비트로 패이로드 내의 헤더는 없다. 이 패킷을 사용하여 64kbps의 음성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2.5ms 주기의 전송이 가능하다. 즉, 네 개의 타임 슬롯마다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Next, the HV2 packet is a packet for transmitting 20 bytes of voice data. And 2/3 FEC code protects against errors. The payload length is 240 bits equal to HV1, and there is no header in the payload. When using this packet to transmit 64kbps of voice data, 2.5ms cycle is possible. That is,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every four time slots.

그리고 HV3 패킷은 30바이트의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패킷이다. FEC 코드로 에러 보정이 되지 않으며, 패이로드의 길이는 HV1과 동일한 240비트, 패이로드 내의 헤더는 없다. 이 패킷을 사용하여 음성을 전송하는 경우 3.75ms 주기의 전송이 가능하다. 즉, 여섯 개의 타임 슬롯마다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HV3 packet is a packet for transmitting voice data of 30 bytes. There is no error correction with the FEC code, and the payload length is 240 bits equal to HV1, and there is no header in the payload. When using this packet to transmit voice, transmission of 3.75ms period is possible. That is,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every six time slots.

도 3은 이와 같은 블루투스에서 사용되는 HV 패킷의 전송을 나타낸 도면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HV1 패킷은 두 개의 타임 슬롯마다, HV2 패킷은 네 개의 타임 슬롯마다, HV3 패킷은 여섯 개의 타임 슬롯마다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HV1 패킷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기기에서 단 하나의 SCO 채널만을, HV2 패킷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SCO 채널을, HV3 패킷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세 개의 SCO 채널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ransmission of an HV packet used in Bluetooth. As described above, the HV1 packet is transmitted every two time slots, the HV2 packet is transmitted every four time slots, and the HV3 packet is transmitted every six time slots. When transmitting voice data using the HV1 packet, only one SCO channel is used by the master device. When transmitting voice data using the HV2 packet, two SCO channels are used and the HV3 packet is use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voice data, up to three SCO channels can be supported.

도 4는 스캐터넷 상에서 형성되는 가드 슬롯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마스터 기기1은 자신의 슬레이브 기기1로 여섯 타임 슬롯마다 HV3 패킷의 음성 데 이터를 전송하며 슬레이브 기기1과 하나의 음성 채널을 형성하고 있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of a guard slot formed on a scatternet, in which a master device 1 transmits voice data of an HV3 packet every six time slots to its slave device 1, and transmits one voice channel with the slave device 1; Forming.

그리고 이 때에 슬레이브 기기1은 다시 마스터 기기2와 연결되어 있어서 슬레이브 기기2로 동작하는 때에는 마스터 기기2의 클럭 타이밍에 맞추어 동작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the slave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 2 again. When the slave device 2 is operated as the slave device 2, the slave device 1 operates according to the clock timing of the master device 2.

이에 따라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1 및 마스터 기기2와 동작하며 그 두 마스터 기기의 클럭이 상이함에 따라 타이밍이 맞지 않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slave device operates with the master device 1 and the master device 2 and the timing is not corrected as the clocks of the two master devices are different.

그래서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1과 하나의 음성 채널을 형성하며 나머지 네 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스터 기기2의 슬레이브 기기2로 동작하면서 마스터 기기2의 동작 클럭에 맞추어진 타임 슬롯을 사용하게 되어 단지 두 개의 타임 슬롯만을 마스터 기기2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마스터 기기와의 통신 상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드 슬롯(Guard Slots)이 필요함을 살펴볼 수가 있다. Therefore, although the slave device forms one voice channel with the master device 1 and can use the remaining four time slots, the slave device operates as the slave device 2 of the master device 2 and uses the time slot that is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clock of the master device 2. Only two time slots are available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2. And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guard slots (Guard Slots) are required so that collision does not occur in communication with the two master devices.

그래서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1의 슬레이브 기기1으로 마스터 기기1과 음성 채널을 형성하며 동시에 마스터 기기2의 슬레이브 기기2로써 사용 가능한 두 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따로 마스터 기기2와의 음성신호 전달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타임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마스터 기기1과 마스터 기기2의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기기는 각 마스터 기기와 동시에 음성 채널 지원이 가능하지 못하게 된다. Therefore, the slave device forms a voice channel with the master device 1 as the slave device 1 of the master device 1, and can simultaneously perform data communication using two time slots that can be used as the slave device 2 of the master device 2. There is no time slot that can be used for voice signal transmission with device 2. As a result, the devices operating as slaves of the master device 1 and the master device 2 cannot support voice channels simultaneously with each master device.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두 피코넷의 마스터 기기에 연결된 슬레이브 기기가 하나의 마스터 기기 클럭을 다른 하나의 마스터 기기 클럭과 동일한 오프셋을 가지도록 클럭을 변경시킴으로써 두 마스터 기기의 클럭 타이밍을 맞춘다. 그래서 기존에 필요로 하였던 가드 슬롯(Guard Slots)을 제거하며 두 개의 음성 채널을 지원 가능하도록 해 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ve devices connected to the master devices of the two piconets adjust the clock timing of the two master devices by changing the clock so that one master device clock has the same offset as the other master device clock.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Guard Slots and enables two voice channel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캐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마스터 기기(M1)는 S1 기기와, 제 2 마스터 기기(M2)는 S2 기기와 연결되어 있고(500), A 기기는 피코넷(100)의 마스터 기기인 제 1 마스터 기기(M1)의 슬레이브 기기로 연결되어 있으며(502), 서로 간에 음성 채널(SCO 채널)을 형성하여 제 1 마스터 기기(M1)로부터 음성신호를 전송받고 있다(504,506).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on a scattern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master device M1 is connected to the S1 device,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s connected to the S2 device (500), and the A device is the first master that is the master device of the piconet 100. It is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of the device M1 (502), and forms a voice channel (SCO channel) between each other and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M1) (504,506).

이러한 상황에서 또 다른 피코넷(102)의 마스터 기기인 제 2 마스터 기기(M2)가 A 기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며(508) 연결을 요청하게 되면, A 기기는 응답신호를 전송하며(510), 제 2 마스터 기기(M2)의 슬레이브 기기로 연결될 수 있다(512). In this situation, when the second master device M2, which is the master device of another piconet 102, performs paging to the device A (508) and requests a connection, the device A transmits a response signal (510). 2 may be connected to the slave device of the master device (M2) (512).

단, 여기서 A 기기가 제 1 마스터 기기(M1)로부터 음성신호를 전송받을 시 사용되는 패킷은 SCO 채널의 HV3 패킷이다. Here, the packet used when the device A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M1 is an HV3 packet of the SCO channel.

그리고 A 기기는 제 2 마스터 기기(M2)로부터 음성채널 형성 요청을 입력받거나 아니면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자체적으로 제 2 마스터 기기(M2)와 음성채널을 형성하고자 하는 요청이 존재하는 때에(514), 제 2 마스터 기기(M2)로 클럭변경 메시지를 전송한다(516). When the device A receives a request for forming a voice channel from the second master device M2 or otherwise has a request to establish a voice channel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n order to provide a predetermined function (514). In operation 516, the clock chang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여기서, A 기기가 제 2 마스터 기기(M2)로 전송하는 클럭변경 메시지는 제 1 마스터 기기(M1)의 클럭과 동일한 타이밍을 가지도록 오프셋 조절을 요청하는 메시지로, 이 클럭변경 메시지를 통해 A 기기는 제 2 마스터 기기(M2)의 클럭이 제 1 마스터 기기(M1)의 클럭에 맞추어지도록 요청한다. Here, the clock chang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device A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s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offset adjustment to have the same timing as the clock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Requests that the clock of the second master device M2 be set to the clock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이와 같은 클럭변경 메시지는 블루투스의 LMP(Link Manager Protocol) 메시지 또는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메시지 형태로 클럭의 오프셋 변경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를 정의해 놓고 사용하도록 한다. The clock change message defines a messag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requesting a clock offset change in the form of a Bluetooth Link Manager Protocol (LMP) message or a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message.

제 2 마스터 기기(M2)는 현재 자신의 클럭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살피며(518), 클럭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A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며(520) 클럭 변경이 가능한 때에 다시 요청하도록 해 주고, 클럭 변경이 가능하다면 A 기기로부터 전송받은 클럭변경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동작 클럭의 오프셋을 조절하여 클럭을 변경하고(522), 그 변경된 클럭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슬레이브 기기인 A 기기와 S2 기기로 전송한다(524). The second master device M2 checks whether it is currently possible to change its clock (518). If the clock cannot be change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device A (520) and requests it again when the clock change is possible. If the clock change is possible, the clock is changed by adjusting the offset of its operation clock through the clock change message received from the device A (522), and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clock is transferred to the device A, which is its slave device.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2 device (524).

제 2 마스터 기기(M2)의 변경된 클럭정보를 전송받은 A 기기와 S2 기기는 제 2 마스터 기기(M2)의 변경된 클럭에 맞추어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526), 결국 A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제 2 마스터 기기(M2)의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 시에 동일한 클럭의 타이밍에 맞추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The A device and the S2 device that receive the changed clock information of the second master device M2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clock of the second master device M2 (526). When operating as the slave device of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t is possibl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same clock.

이에 따라 A 기기는 이전에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제 2 마스터 기기(M2)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필요로하였던 가드 슬롯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면서 그 사용할 수 없었던 타임 슬롯을 통신에 사용할 수가 있다. Accordingly, the device A can connect to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t the same time and thus do not need the guard slot, which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그 다음에 A 기기는 제 2 마스터 기기(M2)로 두 번의 스니프를(528,530), 제 1 마스터 기기(M1)로 한 번의 스니프를 요청한다(532). A 기기의 스니프 요청은 현재 사용 가능한 타임 슬롯을 각각 제 1 마스터 기기(M1)와 통신이 가능한 타임 슬롯, 제 2 마스터 기기(M2)와 통신이 가능한 타임 슬롯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A 기기가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와 동시에 연결을 이루며 제 2 마스터 기기(M2)와도 음성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정 타임 슬롯을 할당해 놓는 작업을 수행한다. Device A then requests two sniffs (528, 530) to second master device (M2) and one sniff to first master device (M1) (532). The sniff request of the device A limits the currently available time slots to the time slot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time slot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respectively. A specific time slot is allocated so that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and a voice channel can also be formed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블루투스에서는 장치 간에 채널 및 링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각 기기는 액티브(Active), 홀드(Hold), 스니프(Sniff), 및 파크(Park)라는 4 가지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n Bluetooth, each device has four modes of operation: Active, Hold, Sniff, and Park to efficiently manage channels and links between devices and minimize power consumption. It can work.

액티브 모드는 마스터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와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홀드 모드는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데이터를 보낼 필요가 없을 때 이용되는 전형적인 모드이다. 스니프 모드는 슬레이브 기기에서만 가능하며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 사이에 통신이 가능한 타임 슬롯을 특정하게 제한하는 것이다. 즉, 슬레이브 기기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제한되어 있어서 특정 타임 슬롯일 때에만 마스터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파크 모드는 슬레이브 기기가 마스터 기기와의 동기 유지 및 액티브 모드의 전환을 요구하기 위해 마스터 기기 및 슬레이브 기기 상호 간에 간헐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The active mode is a mode in which the master device performs normal communication with the slave device, and the hold mode is a typical mode used when it is not necessary to send data for a relatively long time. Sniff mode is only available for slave devices and specifically limits the time slots that can be communicated between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That is, due to the limited duty cycle of the slave device, communication with the master device is possible only in a specific time slot. The park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lave device intermittently communicates with the master device and the slave device in order to maintain synchronization with the master device and to switch the active mode.

여기서, A 기기는 이미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음성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신호를 제 1 마스터 기기(M1)로부터 전송받고 있으므로, A 기기는 제 2 마스터 기 기(M2)로 첫번째 스니프 요청 시에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사용하고 있지 않은 타임 슬롯을 통해 제 2 마스터 기기(M2)와 음성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시작 타임 슬롯을 지정하고 그 시작 타임 슬롯을 기준으로 몇 번째 타임 슬롯마다 해당 타임 슬롯을 사용할 것인지의 주기 및 한 번에 몇 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할 것인지의 타임 슬롯 길이를 지정하여 제 2 마스터 기기(M2)로 스니프 요청을 한다(528). Here, since the device A has already formed a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M1, the device A requests the first sniff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Specify a start time slot so that a voice channel can be formed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through a time slot not in use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t a time, and a few time slots based on the start time slot Each time, a sniffer request is made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by specifying a period of time to use the corresponding time slot and a time slot length of how many time slots to use at a time (528).

이 때, A 기기는 제 2 마스터 기기(M2)와 음성 채널로 SCO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고, SCO 채널의 HV3 패킷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제 2 마스터 기기(M2)로 스니프 요청 시, 그 사용할 타임 슬롯의 주기를 6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A device forms an SCO channel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nd a voice channel, and transmits voice data using the HV3 packet of the SCO channel, thereby requesting a sniff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n this case, the period of the time slot to be used is set to 6.

그래서 제 2 마스터 기기(M2)와 6 타임 슬롯마다 한 번씩 두 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며 음성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당 타임 슬롯을 SCO 채널로 예약해 둔다. Therefore, the time slot is reserved for the SCO channel so that the voice data packet can be transmitted using two time slots once every six time slots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그리고 A 기기는 제 2 마스터 기기(M2)로 두 번째 스니프 요청 시에 제 2 마스터 기기(M2)와의 제어 데이터 및 일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채널인 ACL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예약해 둔다(534). The device A uses a time slot to be used to provide an ACL channel, which is a data channel required to transmit control data and a general data packet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t the second sniff request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Reserve (534).

이와 마찬가지로 A 기기는 또한 제 1 마스터 기기(M1)와도 제어 데이터 및 일반 데이터 패킷을 전송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서 제 1 마스터 기기(M1)로 스니프 요청을 하며 사용할 타임 슬롯을 예약해 두도록 하는데(53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기기가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제 2 마스터 기기(M2)로 음성 채널인 SCO 채널을 지원해 주기 위해 각각 6 타임 슬롯마다 두 개의 타임 슬롯씩 음성 패킷을 전송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Similarly, the device A also makes a sniff request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to provide a data channel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and general data packet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reserves a time slot to use. As shown in FIG. 6, two time slots are provided for each six time slots so that the A device supports the SCO channel, which is a voice channel, to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s shown in FIG. 6. It is used to transmit voice packets.

이에 따라 6 타임 슬롯마다 사용 가능한 타임 슬롯은 두 개의 타임 슬롯 만이 남으므로, 한 번은 제 1 마스터 기기(M1)의 ACL 채널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다음 번에는 제 2 마스터 기기(M2)의 ACL 채널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두 마스터 기기와 음성 채널을 지원하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s a result, only two time slots remain in each available time slot every six time slots,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ACL channel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at one time, and the second time slot of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s next. By enabling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ACL channel, both master devices and voice channels are supported and control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결국, 각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와의 ACL 채널을 위한 스니프 요청에서는 12 타임 슬롯마다 두 개의 타임 슬롯을 ACL 채널로 사용하도록 해당 타임 슬롯을 지정해 둔다. As a result, in the sniff request for the ACL channel with each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corresponding time slots are designated to use two time slots as ACL channels every 12 time slots.

위와 같은 A 기기의 스니프 요청에 의해 각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의 지정이 완료되면, A 기기는 지정된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제 1 마스터 기기(M1)와의 음성 채널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 2 마스터 기기(M2)와 새로운 음성 채널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534). When the time slot to be used as the voice channel and data channel with each master device is completed by the sniff request of the device A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A uses the designated time slot to establish a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t the same time, a new voice channel can be established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534).

도 6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니프 요청을 통해 각 타임 슬롯을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의 음성 채널인 SCO 채널로 및 데이터 채널인 ACL 채널로 사용되도록 지정해 놓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FIG. 6 shows that each time slot is designated to be used as an SCO channel, which is a voice channel of a first master device M1 and a second master device, and an ACL channel, which is a data channel, through a sniff request. Is showing.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A 기기는 두 마스터 기기인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제 2 마스터 기기(M2)의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하며 동시에 두 마스터 기기와 음성 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 준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A device operates as a slave device of two master devices,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nd simultaneously forms a voice channel with the two master devices.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하나의 예로써 블루투스 통신 네트워크 상 에서 A 기기가 제 1 마스터 기기(M1)와의 음성 채널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던 중 제 2 마스터 기기(M2)로 핸드오프가 발생할 경우에, 기존에는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만이 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도 지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이용 가능하다. Accordingly, as an examp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when handoff occurs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while the device A is making a call through the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o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ast, only hard handoff was possible,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ft handoff may also be used to improve call quality.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캐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는 각각 S1 기기 및 S2 기기의 마스터 기기로 연결되어 피코넷(100,102)을 형성하고 있다(700).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on a scatterne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re master devices of an S1 device and an S2 device, respectively. Are connected to form piconets 100 and 102 (700).

이러한 상황에서 A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의 페이징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여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연결을 이루고(702,704,706) 제 2 마스터 기기(M2)의 페이징에 대해서도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하며 제 2 마스터 기기(M2)와 연결을 이루어(708,710,712), 두 피코넷(100,102)이 연결된 하나의 스케터넷을 형성시킨다. In this situation, the device A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paging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702, 704, 706), and responds to the paging of the second master device M2. The signal is transmitted and connected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708, 710, 712) to form one scatternet connected to the two piconets (100, 102).

그리고 스케터넷 상에서 A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의 슬레이브 기기로써 동작하고,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로부터 음성채널 형성 요청을 입력받거나 아니면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자체적으로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 각각과 음성채널을 형성하고자 하는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714), A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 또는 제 2 마스터 기기(M2) 둘 중 어느 한 기기로 클럭변경 메시지를 보낸다(716). Then, on the scatternet, the device A operates as a slave device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nd requests a voice channel formation request from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When there is a request to establish a voice channel with each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n order to receive an input or to provide a predetermined function (714), the device A receives a first request. The clock change message is sent to either the master device M1 or the second master device M2 (716).

이와 같은 클럭변경 메시지는 도 5를 살펴보며 언급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의 LMP 메시지 또는 L2CAP 메시지 형태로 클럭변경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를 정의해 놓고 사용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lock change message is defined by using a messag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requesting a clock change in the form of an LMP message or an L2CAP message of Bluetooth.

그리고 A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로 클럭변경 메시지를 보낼 경우에는 그 클럭변경 메시지가 제 2 마스터 기기(M2)의 클럭과 동일한 타이밍을 가지도록 클럭 오프셋 조절을 요청하도록, 제 2 마스터 기기(M2)로 클럭변경 메시지를 보낼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그 클럭변경 메시지가 제 1 마스터 기기(M1)의 클럭과 동일한 타이밍을 가지도록 클럭 오프셋 조절을 요청하도록 메시지를 생성시켜 전송하도록 한다. When the device A sends a clock change message to the first master device M1, the second master device requests the clock offset adjustment so that the clock change message has the same timing as the clock of the second master device M2. When the clock change message is sent to M2, a mess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request the clock offset adjustment so that the clock change message has the same timing as the clock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그래서 이 클럭변경 메시지를 통해 A 기기는 M1 클럭이 M2 클럭과 동일한 타이밍을 갖도록 또는 M2 클럭이 M1 클럭과 동일한 타이밍을 갖도록 한다. Thus, through this clock change message, the device A causes the M1 clock to have the same timing as the M2 clock or the M2 clock to have the same timing as the M1 clock.

이에 따라 제 1 마스터 기기(M1)와 통신할 경우나 제 2 마스터 기기(M2)와 통신할 경우에 서로의 클럭 오프셋 차이로 인해 필요로 하였던 가드 슬롯을 제거시킨다. As a result, whe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master device M2, the guard slots required by the clock offsets of each other are removed.

도 7에서는 A 기기가 클럭변경 메시지를 제 1 마스터 기기(M1)로 전송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해 놓았으며, 만약 A 기기가 제 1 마스터 기기(M1)로 클럭변경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제 1 마스터 기기(M1)로부터 클럭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송받게 되면, 제 2 마스터 기기(M2)로 클럭변경 메시지를 전송하며 클럭 변경을 요청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제 2 마스터 기기(M2) 역시 클럭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A 기기는 두 기기 중 어느 한 기기의 클럭이 변경 가능할 때를 잠시 기다린 후에 클럭변경 메시지를 보내며 다시 클럭 변경을 요청하도록 한 다. In FIG. 7, the device A transmits the clock change message to the first master device M1 as an example. If the device A transmits the clock change message to the first master device M1, the first device may be changed. When receiving the message that the clock change is impossible from the master device (M1), it can be made to send a clock change message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nd request the clock change. However, if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lso cannot change the clock, the device A waits for a time when the clock of either device can be changed, and then sends a clock change message to request the clock change again.

여기서 제 1 마스터 기기(M1) 또는 제 2 마스터 기기(M2)의 클럭 변경이 불가능한 경우는 이미 타 슬레이브 기기로부터 클럭 변경을 요청받아 클럭을 변경한 경우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case, when the clock change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or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s impossible, the case where the clock is changed by receiving a clock change request from another slave device may be representative.

도 7에서와 같이 A 기기로부터 클럭변경 메시지를 전송받은 제 1 마스터 기기(M1)는 자신의 클럭을 현재 변경 가능한지의 여부를 살핀 후(718), 불가능하다면 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A 기기로 전송하고(720), 클럭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전송받은 클럭변경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클럭 오프셋을 조절하여 클럭을 변경하고(722), 그 변경된 클럭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슬레이브 기기인 A 기기와 S1 기기로 전송한다(724). As shown in FIG. 7, after receiving the clock change message from the device A, the first master device M1 checks whether the current clock can be changed (718), and if not,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device A. If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lock, the clock is changed by adjusting the clock offset through the received clock change message (722),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clock is transferred to the slave device A and the S1 device. Transmit (724).

제 1 마스터 기기(M1)의 변경된 클럭정보를 전송받은 A 기기와 S1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의 변경된 클럭에 맞추어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726), 이에 따라 A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제 2 마스터 기기(M2)의 슬레이브 기기로 동작 시에 동일한 타이밍에 맞추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The device A and the device S1 receiving the changed clock information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clock of the first master device M1 (726). Accordingly, the device A is the first master device. When operating as the slave device of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t is possible to operate at the same timing.

그리고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A 기기는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로의 스니프 요청을 통해 각각의 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와 음성 채널(SCO 채널) 및 데이터 채널(ACL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해 놓도록 한다(728,730,732,734).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device A uses a sniff request to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nd each of the M1 and second master devices M2 and the voice channel SCO channel. And time slots to be used as data channels (ACL channels) (728, 730, 732, and 734).

도 5를 통해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에는 A 기기가 이미 제 1 마스터 기기(M1)와 음성 채널을 형성하고 있었으므로, 제 1 마스터 기기(M1)로는 한 번의 스니프 요청을 통해 제 1 마스터 기기(M1)와의 데이터 채널을 위한 타임 슬롯을 지정해 놓았지만, 도 7를 통해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에는 A 기기가 현재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 모두와 음성 채널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므로, 도 6에 도시해 놓은 바와 같이 각 타임 슬롯마다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와의 음성 채널(SCO 채널) 및 데이터 채널(ACL 채널)에 사용되도록 각 기기로 두 번씩의 스니프 요청을 통해 지정해 놓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since the device A has already formed a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the first master device M1 may make a first sniff request through a single sniff request. Although a time slot for a data channel with () is specifi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device A does not currently form a voice channel with bo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As shown in FIG. 6, each device can be used for each voice slot (SCO channel) and data channel (ACL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for each time slot. It is specified in two sniff requests.

A 기기의 스니프 요청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살펴보며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The description of the sniff request of the device A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will be omitted here.

한편, A 기기는 마스터 기기로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위한 타임 슬롯을 지정하기 위해서 두 번의 스니프 요청을 마스터 기기로 수행하는 것으로 언급하였다. 하지만 이를 한 번의 스니프 요청으로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스니프의 입력 파라메터로 새로운 파라메터를 추가시킨다면, 한 번의 스니프 요청으로도 각 마스터 기기와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evice A is referred to as performing two sniff requests to the master device to designate time slots for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to the master device. However, if you add a new parameter as the sniff's input parameter to make this possible with a single sniff request, you can specify a time slot for each master device, voice channel, and data channel with a single sniff request. can do.

도 6를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하자면, A 기기가 제 1 마스터 기기(M1)와의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은 타임 슬롯 0번부터 4 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하고 그 다음 2 개의 타임 슬롯은 사용하지 않으며 다시 음성 채널을 위한 2 개의 타임슬롯을 사용한 후 그 다음 4 개의 타임 슬롯은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는 12 개의 타임 슬롯을 주기로 반복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time slot used by the device A as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uses time slots 0 to 4 time slots, and the next two time slots Do not use it, and again use two timeslots for the voice channel and then the next four timeslots.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repeated in a cycle of 12 time slots.

이에 따라 스니프의 새로운 입력 파라메터(Parameter)로 위와 같은 타임 슬 롯 사용정보를 알려주는 파라메터를 정의해 놓는다면, 제 1 마스터 기기(M1)로 스니프 요청을 수행할 경우에 한 번의 스니프 요청으로도 제 1 마스터 기기(M1)와의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사용할 타임 슬롯이 지정 가능해 진다. 물론, 제 2 마스터 기기(M2)로의 스니프 요청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if you define a parameter that informs the time slot usage information as the new input parameter of sniff, one sniff request is performed when the sniff request is performed to the first master device M1. Also, a time slot to be used as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can be specified. Of course,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sniff request to the second master device M2.

위와 같은 스니프 요청이 완료되면, 제 1 마스터 기기(M1) 및 제 2 마스터 기기(M2)와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되어, A 기기는 각 마스터 기기와 지정해 놓은 타임 슬롯을 사용하며 음성 채널을 형성시킨다.(736,738). When the above sniff request is completed, a time slot to be used as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M1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M2 is designated, and the device A is assigned a time slot designated with each master device. And form a voice channel (736,738).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스케터넷 상에서 두 마스터 기기간에 연결된 슬레이브 기기가 두 마스터 기기 중 어느 한 마스터 기기의 클럭을 다른 한 마스터 기기의 클럭과 동일하도록 변경시킴으로써 이전에 두 마스터 기기와 연결 시 필요로 하였던 가드 슬롯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lave device connected between two master devices on a scatternet changes a clock of one of the two master devices to be the same as the clock of the other master device, so that a guard previously required when connecting to the two master devices is required. Allows you to remove the slot.

그리고 가드 슬롯으로 사용할 수 없었던 타임 슬롯을 두 마스터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 가능해짐에 따라 두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획득할 수 있게 되어, 동시에 두 마스터 기기와 음성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As time slots, which could not be used as guard slots, can be used to communicate with two master devices, time slots can be obtained to form a voice channel with the two master devices. Enables sending and receiving.

Claims (13)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두 마스터 기기의 클럭을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Synchronizing clocks of the two master devices by slave devices connected to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And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동기화된 클럭에 맞추어 상기 각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Designating a time slot to be used by the slave device for supporting the voice channel with each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according to the synchronized cloc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의 클럭 동기화는, The clock synchronization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로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의 클럭과 동일하도록 클럭 변경을 요청하거나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의 클럭과 동일하도록 클럭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Requesting, by the slave device, a clock change to be equal to the clock of the second master device to the first master device or requesting a clock change to be equal to the clock of the first master device to the second master device; And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또는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가 자신의 클럭을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And changing the clock by the first master device or the second master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요청에 따라 자신의 클럭을 변경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또는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가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 자신의 변경된 클럭 정보를 전송하는 단 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And transmitting the changed clock information of the first master device or the second master device to the slave de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How channels are support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의 클럭 동기화는, The clock synchronization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와 이미 음성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음성 채널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로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의 클럭과 동일하도록 클럭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If the slave device has already formed a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requesting a clock change to be equal to the clock of the first master device to the second master device not forming a voice channel; And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가 자신의 클럭을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And changing the clock by the second master devi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요청에 따라 자신의 클럭을 변경한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가 상기 슬레이브 기기로 자신의 변경된 클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And transmitting, by the second master device which has changed its clock according to the request, its changed clock information to the slave device.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상기 클럭변경 요청은 LMP(Link Manager Protocol) 및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메시지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클럭변경 메시지를 전송하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The clock change request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a clock change message having any one of a form of a Link Manager Protocol (LMP) and a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message. .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음성 채널을 이미 형성하고 있는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시에,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만을 추가적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In designating a time slot to be used for supporting a voice channel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that has already formed a voice channel, the slave device additionally specifies only a time slot to be used as a data channel. How to appl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와의 상기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 지정은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각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로 스니프 요청을 수행하며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The time slot designation to be used for the voice channel support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designates a time slot to be used by the slave device performing a sniff request to each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on a scatterne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 지원을 위해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시에,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각 제 1 마스터 기기 및 제 2 마스터 기기와 음성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When a time slot to be used for voice channel support with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is designated, a time for the slave device to use as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with each of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Voice channel support method on a scat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is specified.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음성 채널은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채널이고, 상기 데이터 채널은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The voice channel is a SCO (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channel, the data channel is an Asynchronous Connection-Less (ACL) cha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channel on a scatternet.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각 마스터 기기와의 음성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시에, 6 개의 타임 슬롯 마다 2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하도록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And assigning two time slots for every six time slots when the slave device designates a time slot to be used as a voice channel with each master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각 마스터 기기와의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 시에, 12 개의 타임 슬롯 마다 2개의 타임 슬롯을 사용하도록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터넷 상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And assigning two time slots to every 12 time slots when the slave device designates a time slot to be used as a data channel with each master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음성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 지정 및 상기 데이터 채널로 사용할 타임 슬롯을 지정하기 위해 상기 슬레이브 기기가 상기 제 1 마스터 기기 및 상기 제 2 마스터 기기에 두 번씩 스니프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터넷 상 에서 음성 채널 지원 방법. Scat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lave device performs a sniff request twice to the first master device and the second master device to designate a time slot to be used as the voice channel and a time slot to be used as the data channel. To support voice channels on Windows.
KR1020050081614A 2005-09-02 2005-09-02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KR100667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614A KR100667493B1 (en) 2005-09-02 2005-09-02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614A KR100667493B1 (en) 2005-09-02 2005-09-02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493B1 true KR100667493B1 (en) 2007-01-10

Family

ID=3786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614A KR100667493B1 (en) 2005-09-02 2005-09-02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4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83B1 (en) 2006-07-28 2007-07-20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data using wireless lan and bluetoot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750A (en) * 2001-03-21 200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ynchronous device of DECT system using bluetooth
US20050136835A1 (en) 2003-12-17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relay device
KR20060066902A (en) * 2004-12-14 2006-06-19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implementing scatter-net in wireles personal area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750A (en) * 2001-03-21 200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ynchronous device of DECT system using bluetooth
US20050136835A1 (en) 2003-12-17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relay device
KR20060066902A (en) * 2004-12-14 2006-06-19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implementing scatter-net in wireles personal area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83B1 (en) 2006-07-28 2007-07-20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data using wireless lan and bluetoo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27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connectionless broadcasting
US7602754B2 (en) Short-range RF access point design enabling services to master and slave mobile devices
JP4944251B2 (en) Automatic reconnection of previously lost connections in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systems
JP5313374B2 (en) Media access control for ultra-wideband communications
Bhagwat Bluetooth: technology for short-range wireless apps
US7333514B2 (en) Flexible frame scheduler for simultaneous circuit-and packet-switched communication
JP4734336B2 (en) Wireless network interconnection using master / slave nodes
JP421660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rrangement
US20080117850A1 (en) Dual Mod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rchitecture
GB2371449A (en) Synchronizing a new device to a synchronized network of devices
JP4714676B2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method
KR20030050124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nection rate
US7564832B2 (en) Scheduling poll packets in bluetooth sniff mode
KR20030019818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aving time for mutual data communication in sniff mode
KR100667493B1 (en)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hannel on scatternet
JP4778661B2 (en) Communication system, primary station, secondary station and method
US6970440B1 (en) Enhanced performance in frequency hopping wireless communications by combining frequency dwelling with data transmission adjustments
KR10053894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connectionless broadcast
KR10048152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onless oriented broadcast and method thereof
Chaudhry et al. Protocols stack & connection establishment in Bluetooth radio
KR10036515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information by FHS packet in bluetooth
JP2011199730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Popovski et al. Avoidance of Self-Interference in Bluetooth Scatternets
Kleinschmidt Enabling Technologies for Pervasive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