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990B1 -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990B1
KR100664990B1 KR1020050021827A KR20050021827A KR100664990B1 KR 100664990 B1 KR100664990 B1 KR 100664990B1 KR 1020050021827 A KR1020050021827 A KR 1020050021827A KR 20050021827 A KR20050021827 A KR 20050021827A KR 100664990 B1 KR100664990 B1 KR 10066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function
interface device
function expansion
expa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699A (ko
Inventor
이영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ublication of KR2006004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1Retrofittable electric locks, e.g. an electric module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manual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54Cover, lid, cap, encasing shield
    • Y10T70/5562Remov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06Predetermined time interval controlled
    • Y10T70/7028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51Using a powered device [e.g., motor]
    • Y10T70/7062Electrical type [e.g., solenoid]
    • Y10T70/7107And alternately mechanically actuated by a key, dial,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락을 교체하는 일 없이도 도어락의 그 기능을 확장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도어락 시스템은, 키 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도어의 괘정 및 해정을 행하며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을 보유하는 도어 락(100)과, 이 도어 락의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 이외에 추가 기능을 보유하고 도어 락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기능확장장치(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Easy-To-Retrofit, Electronically Controlled Door Lock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어 락이 기능확장장치에 의해 홈 네트워크시스템과 연결된 본 발명의 도어락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기능확장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도어 락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락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 락에 새로운 기능확장장치를 설치할 때의 초기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도어 락 102: 인증부
104: 콘트롤러부 106: 마이크로프로세서
108: 메모리 110: 인터페이스 장치
112: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 114: 구동부
116: 전원부 200: 기능확장장치
202: 인터페이스 장치 연결부 204: 서브세트 모듈
206: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 300: 홈 네트워크 서버
본 발명은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을 보유하는 도어 락에 기본 기능 이외의 추가 기능을 보유하는 기능확장장치를 교체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도어 락을 간편하게 개조하여 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호텔 객실, 아파트 등의 도어 개폐 장치로는 금속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 락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계식 도어 락은 도어 개폐 수단인 금속 열쇠가 분실 및 복제에 취약하여 보안성이 약한 편이었다. 요즈음에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 락이 지닌 취약성을 고려하여 마그네트 카드 방식 또는 스마트 카드 방식을 포함하는 전자 키(key)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락, 비밀 번호를 키 입력하여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락 등의 다양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음성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등 인체의 특정한 부위의 고유성을 이용하는 생체 인식을 통한 도어 개폐가 가능한 도어 락이 활발히 연구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과 이동 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 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는데,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 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이메일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 하나로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 통신 서비스 이외에도 금융 결제,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무선 인터넷 이용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초기의 정보 통신 기술은 컴퓨터, 이동 통신, 방송 등 이용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발전하였으나 현재에는 기술이 융합(convergence)되어 발전하는 추세로 접어들고 있다. 정보 통신 기술이 융합되는 대표적인 실례로 홈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현재까지는 초기 단계이지만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인터넷 및/또는 이동 통신과 연동되는 가전 기기가 생산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집 안에서 거주자가 TV 세트, 세탁기 등을 직접 조작하는 것만 가능하였지만, 최근에는 인터넷과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 하나로 집 밖에서도 TV 세트, 세탁기, 조명 장치, 오븐 등의 각종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종래의 도어 락은 초기 생산 단계에서 구성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의해 고정된 기능만을 수행하는 자립(stand-alone)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도어 락을 이용하여 방범, 지문 인증, 화재 감지, 홈 네트워크 등의 추가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더라도 도어 락 자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기능 확장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중인 도어 락을 필요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개조하여 방범, 지 문 인증, 화재 감지, 홈 네트워크 연동 등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어 락을 교체하는 일 없이 그 기능을 변경 또는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 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도어의 괘정 및 해정을 행하며,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을 보유하는 도어 락; 및 상기 도어 락의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 이외에 추가 기능을 보유하고 상기 도어 락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기능확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어 락의 키 수단을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기능확장장치를 상기 도어 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device)와, 상기 기능확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0) 및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 락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부와, 상기 콘트롤러부의 제어에 따라서 해정 또는 괘정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중인 도어 락을 교체하는 일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도어 락에 추가함으로써 도어 락의 기능을 변경 또는 확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락 시스템은 키 수단의 입력신호에 따 라 도어의 괘정 및 해정을 행하며,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을 보유하는 도어 락(100)과, 이 도어 락(100)의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 이외에 추가 기능을 보유하고 도어 락(100)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기능확장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본 기능(inherent function)"이라 함은 괘정(locking) 및 해정(unlocking) 기능을 포함한 도어 락에 기본적으로 내장된 모든 기능을 의미한다. "추가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도어 락(100)은 인증부(102), 콘트롤러부(104), 인터페이스 장치(110),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 구동부(114), 전원부(116)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다목적 인터페이스 장치(multi-purpose interface device)로서, 도면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MPID"로 표기한다.
상기 콘트롤러부(104)는 직렬, 병렬 포트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6)와, 도어 락(100)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키 수단의 검출 정보 및 인증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08)를 구비한다. 또한, 콘트롤러부(104)는 인증부(102), 인터페이스 장치(110),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 구동부(114), 전원부(116)와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 락(100) 및 기능확장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키 수단"이라 함은 도어 락(100)의 괘정 및 해정에 필요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마그네틱 카드 타입의 전자 키, 반도체 스틱 키, 도어락(100)에 구비된 숫자버튼을 들 수 있다.
콘트롤러부(104)는 인증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인증부(102)에서 검출한 키 수단의 인증 정보와 메모리(108)에 저장된 검출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키 수단이 정당한 것인지를 체크한다. 키 수단이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콘트롤러부(104)는 도어 개폐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14)로 전달한다. 또한, 콘트롤러부(104)는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접속된 기능확장장치(200)를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를 통해서 제어하거나 기능확장장치(2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어 락(100)을 구동한다.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기능확장장치(200)를 도어 락(100)에 호환 가능하게 연결하는 장치이며, 넓은 의미에서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핀-슬롯 타입의 커넥터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도어 락(100)에 별도의 추가 기능,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 지문 인증 기능, 화재 감지 기능, 방범 기능, 홈 네트워크 연동 기능 등을 추가하고자 하면, 해당 기능이 구비된 기능확장장치(200)를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연결함으로써 도어 락(100)을 교체하지 않고도 그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는 인터페이스 장치(110)와 연결되는 기능확장장치(200)를 제어하는 알고리즘, 콘트롤러부(104) 및 기능확장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엔코더(encoder), 디코더(decoder) 등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는 신호의 전압이나 주파수, 타이밍 등의 전기적 특성, 커넥터의 핀(pin) 배치나 형상 등의 기계적 특성, 커맨드(command) 응답, 통신 규약(protocol) 등의 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연결되는 기능확장장치(200)를 식별하며 제어한다.
구동부(114)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릴레이 구동 장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서보 모터, 모티스 락(mortise lock)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114)는 콘트롤러부(104)에서 출력되는 도어 개폐 신호에 따라 서보 모터, 모티스 락를 포함하는 부하(負荷)를 구동하여 모티스 락으로 하여금 괘정 또는 해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티스 락"이라 함은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도어를 괘정 및 해정하는 도어 락의 링크 조립체를 의미한다.
전원부(116)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내부 전원 및/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외부 전원으로 구성된다. 전원부(116)는 인증부(102), 콘트롤러부(104), 구동부(114), 기능확장장치(20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어 락(100)의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교체 가능하게 연결되는 기능확장장치(200)를 설명한다. 기능확장장치(200)는 인터페이스 장치 연결부(202), 서브세트(subset) 모듈(204),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20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장치 연결부(202)는 도어 락(100)의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서브세트 모듈(204)은 도어 락(100)의 기본 기능 이외에 확장하고자 하는 기능, 예를 들어, 카메라, 지문 인증, 화재 감시, 홈 네트워크 연동 등의 기능을 구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다수의 명령어 집합 및 운영 체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확장장치(200)를 도어 락(100)에 연결하면 도어 락(100) 기능이 확장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기능확장장치(200)를 도어 락(100)에 연결하면, 도어 락(100)을 개폐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도어 락(100)으로 기능이 확장되고, 지문 인증 기능을 구비한 기능확장장치(200)를 도어 락(100)에 연결하면 지문 인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받는 도어 락(100)으로 기능이 확장된다. 또한, 홈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기능확장장치(200)를 도어 락(100)에 연결하면, 홈 네트워크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도어 락(100)의 기능을 집 밖에서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206)는 기능확장장치(200)와 도어 락(100) 사이에서 상호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전기적 신호를 암호화하는 엔코더(미도시), 전기적 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더(미도시)를 갖추고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206)는 도어 락(100)의 콘트롤러부(104)가 기능확장장치(200)를 제어하는 암호화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면 이 전기적 신호를 복호화하여 서브세트 모듈(204)로 전달한다. 한편, 서브세트 모듈(204)에서는 복호화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기능확장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기능확장장치(200)가 도어 락(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도어 락(100)으로 전송할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206)는 이 전기적 신호를 암호화하여 도어 락(100)의 콘트롤러부(104)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어 락(100)이 기능확장장치(200)에 의해 홈 네트워크시스템과 연결 된 본 발명의 도어 락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도어 락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바꾸어 말해서, 홈 네크워크 시스템은 도어 락(100), 기능확장장치(200), 홈 네트워크 서버(300), 홈 네트워크 연동 기기(302), 이동 통신망(304), 이동 통신 단말기(306), 인터넷(308), 컴퓨터(310)로 구성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서버(300)와 상호 연결된 홈 네트워크 연동 기기(302)를 집 안팎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306) 또는 컴퓨터(310)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홈 네트워크 연동 기기(302)는 홈 네트워크 서버(300)와 연동되는 기기로서, 가스 감지 센서, 창문 센서, 가전 기기, 본 발명의 도어 락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802.11b 규격을 따르는 Wi-Fi 중 어느 하나의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호환성(compatibility)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300)에 불루투스를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연동기기(302)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서버(300)와 홈 네트워크 연동기기(302)를 지원하는 표준 기술이 상이하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 서버(300)의 제어에 의한 홈 네트워크 연동기기(302)가 동작하지 않는 등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도어 락 시스템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표준 기술을 구비한 기능확장장치(200)를 도어 락(100)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어 락(100)과 연결된 기능확장장치(200)는 도어 락(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기능확장장치(200)의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206)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기능확장장치(200)가 연결된 도어 락(100)은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206)를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300)로 도어 락(100)에서 발생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시간, 도어 출입자, 화재 경보 발생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가 서브세트 모듈(204)에서 생성된 후 홈 네트워크 서버(300)로 전송된다.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홈 네트워크 연동 기기(302), 이동 통신망(304), 인터넷(308)과 상호 연결되어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300)는 기능확장장치(200)에서 전송하는 도어 락(100)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홈 네트워크 서버(300)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이동 통신망(304), 인터넷(308)과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외부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306), 컴퓨터(310)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300)와 접속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 서버(300)에 접속한 이후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어 락(100)의 상태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306)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300)와 연결된 각종 홈 네트워크 연동 기기(302)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기능확장장치(400)가 도어 락(420)에 연결된 본 발명의 도어 락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어 락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 락(420)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락(100)과 유사하게 콘트롤러부(422),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424), 인터페이스 장치(426) 등을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기능확장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기능확장장치(200)와 유사하게 인터페이스 장치 연결부(402),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406), 서브세트 모듈(404)을 포함하고, 이 서브세트 모듈(404)은 카메라 모듈(410), 입출력 포트(412), 메모리(414),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408)로 구성된다. 도 1의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락(420)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기능확장장치(400)를 통해서 도어 락(420)의 개폐를 시도하는 자를 사진 및/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camera control processor)(408)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406)에서 전달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카메라 모듈(410), 입출력포트(412), 메모리(414)를 제어한다.
카메라 모듈(410)은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타입의 촬상 소자로 구성되며,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408)의 제어를 통해서 피사체에 대한 정지영상 및/또는 동영상 촬영을 한다.
입출력 포트(412)는 예를 들면, 핀-슬롯 타입의 커넥터로 구성된다. 기능확 장장치(400)는 입출력 포트(412)를 통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미도시), 컴퓨터(미도시), 홈네트워크 서버(미도시)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메모리(414)에 저장된 정지영상, 동영상을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를 사용하여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한 후 다운로드 받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414)는 읽고 쓰기가 용이한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혹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의 저장용 소자로, 카메라 모듈(410)에서 생성된 정지 영상, 동영상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어 락(420)에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기능확장장치(400)를 연결하면, 도어 락(420)은 도어 개폐 기능 이외에 도어 개폐를 시도하는 자에 대한 사진,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도어 락(420)으로 기능이 확장된다.
사용자가 도어 락(420)의 개폐를 시도하기 위해서 도어 락(420)에 전자 키를 근접시키거나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인증부(미도시)에서 전자 키 또는 비밀 번호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증부는 인증 성공 신호 또는 인증 실패 신호를 생성하여 콘트롤러부(422)로 전달한다.
인증 성공 신호 또는 인증 실패 신호를 전송 받은 콘트롤러부(422)는 구동 성공 신호 또는 구동 실패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미도시) 및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424)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424)는 전기적 신호를 엔코더를 사용하여 암호화한 후 도어 락(420)의 인터페이스 장치 접속부(426)를 통해 기능확장장치(400)의 인터페이스 장치 연결부(402)로 전달한다.
인터페이스 장치 연결부(402)를 통해 도어 락(420)으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는 기능확장장치(400)의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406)로 전달되고,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406)는 해당 전기적 신호를 복호화한다. 복호화된 전기적 신호는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408)로 전달되는데,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408)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카메라 모듈(410)을 동작시키게 된다.
카메라 모듈(410)은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408)의 제어하에 피사체에 대한 사진 촬영 및/또는 동영상 촬영을 수행한다. 카메라 모듈(410)에서 촬영된 사진 및/또는 동영상은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408)로 전달되며,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408)는 메모리(414)에 촬영된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외부 입출력 포트(412)에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를 연결하여 메모리(414)에 저장된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 시스템에 있어서 기능확장장치를 도어 락에 연결할 때의 초기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어 락(100)의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기능확장장치(200)를 연결한다(S500). 도어 락(100)의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는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연결된 기능확장장치(200)를 식별하여 정당한 장치인지를 판단하며,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에 구비된 통신 프로토콜과 기능확장장치(200)의 통신 프로토콜이 일치하는가를 검증한다(S502).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에서 기능확장장치(200)가 정당하고 통신 프로토콜이 일치한다고 판단하면(S502), 콘트롤러부(104)는 기능확장장치(200)를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하게 된다(S504). 기능확장장치(200)의 제어방식은 그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락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중인 도어 락을 필요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개조하여 방범, 지문 인증, 화재 감지, 홈 네트워크 연동 등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어 락을 교체하는 일 없이 그 기능을 변경 또는 확장할 수 있다.

Claims (9)

  1. 키 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도어의 괘정 및 해정을 행하며,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을 보유하는 도어 락(100); 및
    상기 도어 락의 미리 정해진 기본 기능 이외에 추가 기능을 보유하고 상기 도어 락(100)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기능확장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어 락(100)의 키 수단을 인증하는 인증부(102)와, 상기 기능확장장치(200)를 상기 도어 락(1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110)와, 상기 기능확장장치(200)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0) 및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 락(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부(104)와, 상기 콘트롤러부(104)의 제어에 따라서 괘정 또는 해정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부(114)로 구성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0)와 연결되는 상기 기능확장장치(200)를 제어하는 알고리즘, 상기 콘트롤러부(104), 상기 기능확장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엔코더,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부(112)는 신호의 전압이나 주파수, 타이밍을 포함하는 전기적 특성, 커넥터 핀의 기계적 특성, 커맨드 응답을 포함하는 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접속되는 상기 기능확장장치(200)를 식별하며, 상기 기능확장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부(104)는 상기 기능확장장치(200)를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능확장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확장장치(200)는 상기 콘트롤러부(104)로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도어 락(1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확장장치(200)는,
    상기 도어 락(100)의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0)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연결부(202);
    상기 도어 락(100)의 기본 기능 이외에 추가 기능을 구현한 서브세트 모듈(204); 및
    상기 서브세트 모듈(204)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10)로 입력되거나 그 반대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신호처리부(2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세트 모듈(204)은 상기 도어 락(100)에 추가하고자 하는 기능을 구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확장장치(200)의 추가 기능은 카메라 기능, 지문 인증 기능, 화재 감시 기능, 홈 네트워크 연동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확장장치(200)는 카메라 기능을 구현한 서브세트 모듈(204)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세트 모듈(204)은 카메라 모듈(410), 입출력 포트(412), 메모리(414),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40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KR1020050021827A 2004-03-16 2005-03-16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KR100664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7568 2004-03-16
KR1020040017568 2004-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699A KR20060043699A (ko) 2006-05-15
KR100664990B1 true KR100664990B1 (ko) 2007-01-04

Family

ID=3578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827A KR100664990B1 (ko) 2004-03-16 2005-03-16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35478B2 (ko)
JP (1) JP4545791B2 (ko)
KR (1) KR100664990B1 (ko)
CN (1) CN100570115C (ko)
WO (1) WO2006001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19351T2 (de) 2000-09-26 2007-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Verbesserte emulgatorsysteme zur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dehydratisierten stärkezutaten
WO2007095686A1 (en) * 2006-02-24 2007-08-30 Magt Pty Ltd Door locking/unlocking unit
US20080092610A1 (en) * 2006-10-20 2008-04-24 Chung-Yi Kuo Protective lock structure
US20090091422A1 (en) * 2007-10-03 2009-04-09 Apple Inc. Device identification via serial communication link
AU2009201756B1 (en) 2009-05-04 2010-05-20 Nexkey, Inc. Electronic locking system and method
CA2985367C (en) * 2012-05-08 2022-11-01 Schlage Lock Company Llc Remote management of electronic products
US9663972B2 (en) 2012-05-10 2017-05-30 Wesko Locks Lt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US10465422B2 (en) 2012-05-10 2019-11-05 2603701 Ontario Inc. Electronic lock mechanism
US20130305353A1 (en) * 2012-05-10 2013-11-14 Rutherford Controls International Corp. Low Power Driv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MX355747B (es) 2013-03-13 2018-04-27 Spectrum Brands Inc Cerradura electronica con monitoreo remoto.
US10181232B2 (en) 2013-03-15 2019-01-15 August Home,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s for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US11527121B2 (en) 2013-03-15 2022-12-13 August Home, Inc. Door lock system with contact sensor
US10691953B2 (en) 2013-03-15 2020-06-23 August Home, Inc. Door lock system with one or more virtual fences
US11352812B2 (en) 2013-03-15 2022-06-07 August Home, Inc. Door lock system coupled to an image capture device
US11043055B2 (en) 2013-03-15 2021-06-22 August Home, Inc. Door lock system with contact sensor
US11421445B2 (en) 2013-03-15 2022-08-23 August Home, Inc. Smart lock device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US11802422B2 (en) 2013-03-15 2023-10-31 August Home, Inc. Video recording triggered by a smart lock device
US10140828B2 (en) 2015-06-04 2018-11-27 August Home, Inc.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camera and motion detector
US9916746B2 (en) 2013-03-15 2018-03-13 August Home, Inc. Security system coupled to a door lock system
US9704314B2 (en) 2014-08-13 2017-07-11 August Home, Inc. BLE/WiFi bridge that detects signal strength of Bluetooth LE devices at an exterior of a dwelling
TWI605183B (zh) * 2013-03-15 2017-11-11 薩爾金特製造公司 用於電子門鎖的可設定電連接器鑰匙
US11441332B2 (en) 2013-03-15 2022-09-13 August Home, Inc. Mesh of camera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follow a delivery agent within a dwelling
US10443266B2 (en) 2013-03-15 2019-10-15 August Home, Inc.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manual operation and push notification
US11072945B2 (en) 2013-03-15 2021-07-27 August Home, Inc. Video recording triggered by a smart lock device
KR102038746B1 (ko) 2013-03-15 2019-10-30 스펙트럼 브랜즈, 인크. 통합형 안테나, 터치 작동부 및 광통신 장치를 갖는 무선 잠금장치
US10388094B2 (en) * 2013-03-15 2019-08-20 August Home Inc.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notification to user regarding battery status
US9624695B1 (en) 2013-03-15 2017-04-18 August Home, Inc.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WiFi bridge
US9222282B2 (en) 2013-10-11 2015-12-29 Nexkey, Inc. Energy efficient multi-stable lock cylinder
CN104240350A (zh) * 2014-09-15 2014-12-24 陈忠泽 一种智能化指纹匙指纹锁式门禁系统
KR101834337B1 (ko) * 2015-06-15 2018-03-05 김범수 이중 인증 기반의 전자 키 및 전자식 잠금장치
EP3188136A1 (en) 2015-12-28 2017-07-05 Marques, SA Electronic door loc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158145B2 (en) 2016-03-22 2021-10-26 Spectrum Brands, Inc.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WO2018075153A1 (en) * 2016-10-17 2018-04-26 Abner Roy T Network connectivity module for electro-mechanical locks
AU2017345308B2 (en) 2016-10-19 2023-06-29 Dormakaba Usa Inc. Electro-mechanical lock core
US10943415B2 (en) 2017-08-30 2021-03-09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over inductive power transfer to door
US10937262B2 (en) * 2017-08-30 2021-03-02 Sensormatic Electronics, LLC Door system with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968669B2 (en) 2017-08-30 2021-04-06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to door
CN111094676B (zh) 2017-09-08 2022-04-08 多玛卡巴美国公司 机电锁芯
US11450158B2 (en) 2018-01-05 2022-09-20 Spectrum Brands, Inc. Touch isolated electronic lock
US10968660B2 (en) 2018-02-28 2021-04-06 Passivebolt, Inc. Electronic door lock
BR112020020946A2 (pt) 2018-04-13 2021-03-02 Dormakaba Usa Inc. núcleo de fechadura eletromecânico
US11466473B2 (en) 2018-04-13 2022-10-11 Dormakaba Usa Inc Electro-mechanical lock core
US11639617B1 (en) 2019-04-03 2023-05-02 The Chamberlain Group Llc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686126B2 (en) 2019-07-18 2023-06-27 Endura Products, Llc Methods of operating a lock
US11933092B2 (en) 2019-08-13 2024-03-19 SimpliSafe, Inc. Mounting assembly for door lock
US11002061B1 (en) 2020-01-04 2021-05-11 Passivebolt, Inc. Electronic door system
KR20230087449A (ko) 2020-09-17 2023-06-16 아싸 아블로이 인코퍼레이티드 로크 위치를 위한 자기 센서
US11821236B1 (en) * 2021-07-16 2023-11-21 Apad Access,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nic dynamic lock assembly
CN114370202B (zh) * 2022-01-11 2022-09-09 中物合(河北)锁业有限公司 一种建筑用门锁智能化改造装置及其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844Y1 (ko) * 2004-04-22 2004-07-1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 락의 기능확장용 배터리팩 및 그를 구비한 도어 락
KR200378844Y1 (ko) * 2004-12-10 2005-03-16 주식회사 아이레보 착탈식 통신 팩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 락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2403A (en) * 1972-06-29 1974-05-21 K Gartner Electronic combination lock including sequential signal generator and signal display
US3777306A (en) * 1972-10-16 1973-12-04 Simpson A Vehicle electronic security device
JPH0533536A (ja) * 1991-07-26 1993-02-09 Nippon Steel Corp 鍵の管理保管装置
JPH06146674A (ja) 1992-11-10 1994-05-27 Zexel Corp Icキー・ロック・システムのデータ入力装置
US5848541A (en) * 1994-03-30 1998-12-15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Electrical/mechanical access control systems
FR2729700B1 (fr) * 1995-01-25 1997-07-04 Nofal Dawalibi Dispositif electronique de fermeture programmable
US5818334A (en) * 1995-02-03 1998-10-06 Simplex Time Recorder Company Addressable devices with interface modules having electrically readable addresses
US6038457A (en) * 1997-12-05 2000-03-1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powering an accessory
JP2000295360A (ja) * 1999-04-07 2000-10-20 Shoji Hirabayashi 後付コードレスインターホンユニット
WO2000065770A1 (en) * 1999-04-22 2000-11-02 Veridicom, Inc. High security 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a public key/private key encryption pairs
JP2001262913A (ja) * 2000-03-22 2001-09-26 Komatsu Wall Ind Co Ltd 引戸の閉鎖補助装置
CA2324679A1 (en) * 2000-10-26 2002-04-26 Lochis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hysical access control using wireless connection to a network
AT4892U1 (de) * 2000-11-03 2001-12-27 Wolfram Peter Einrichtung zur steuerung von funktionen über biometrische daten
JP2003076436A (ja) 2001-08-31 2003-03-14 Toyota Motor Corp 携帯電子情報機器
JP2003129712A (ja) * 2001-10-26 2003-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共同玄関施解錠システム
JP4094304B2 (ja) * 2002-02-12 2008-06-04 昌彦 清水 指紋認証開錠システム
JP3808796B2 (ja) * 2002-04-17 2006-08-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自動ドア装置
KR20020081168A (ko) * 2002-09-02 2002-10-26 김석균 전자식 도어록
US20040123113A1 (en) * 2002-12-18 2004-06-24 Svein Mathiassen Portable or embedded access and input devices and methods for giving access to access limited devices, apparatuses, appliances, systems or networks
KR100493883B1 (ko) * 2003-01-02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113070B2 (en) * 2003-03-21 2006-09-26 Sheng Bill Deng Door lock and operation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844Y1 (ko) * 2004-04-22 2004-07-1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 락의 기능확장용 배터리팩 및 그를 구비한 도어 락
KR200378844Y1 (ko) * 2004-12-10 2005-03-16 주식회사 아이레보 착탈식 통신 팩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 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70115C (zh) 2009-12-16
CN1934327A (zh) 2007-03-21
JP2007529658A (ja) 2007-10-25
JP4545791B2 (ja) 2010-09-15
KR20060043699A (ko) 2006-05-15
WO2006001572A1 (en) 2006-01-05
US20070204663A1 (en) 2007-09-06
US8035478B2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990B1 (ko) 간이개조형 전자제어식 도어 락 시스템
WO2006003661A2 (en) Intelligent interactive lock and locking system
CN204926231U (zh) 一种门禁及门禁系统
JP2004514080A (ja) 鍵自己設定可能・一鍵万ロック実現のスマートロックおよびその鍵と設定ツール
Vamsi et al. Face recognition based door unlocking system using Raspberry Pi
KR101916250B1 (ko)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US20220046094A1 (en)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server connections to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cluding electronic locks
KR100925971B1 (ko) 중앙접근제어유닛
JP2009044524A (ja) 電気錠システム
US11263844B2 (en) Electronic lock, system, and take over lock module,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JP2018071280A (ja) 鍵システム、鍵ケース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KR101255733B1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TW201638445A (zh) 易於改進的電子控制門鎖系統
KR100800050B1 (ko)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설정/해제 시스템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744571B1 (ko) 스마트 도어록
KR200356844Y1 (ko) 도어 락의 기능확장용 배터리팩 및 그를 구비한 도어 락
KR10061459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 시스템
CN108830973A (zh) 智能门禁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439114B1 (ko) 카드 리더를 겸비한 지문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JP6917601B1 (ja) 扉開閉制御装置
KR100929354B1 (ko) 전자식 비디오폰 카메라 도어록장치
JP7496513B2 (ja) 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端末
KR102337635B1 (ko) 비밀번호 노출 방지형 디지털 도어락의 출입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24

Effective date: 201012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127

Effective date: 20110729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825

Effective date: 201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