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172B1 - Method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72B1
KR100664172B1 KR1020040089933A KR20040089933A KR100664172B1 KR 100664172 B1 KR100664172 B1 KR 100664172B1 KR 1020040089933 A KR1020040089933 A KR 1020040089933A KR 20040089933 A KR20040089933 A KR 20040089933A KR 100664172 B1 KR100664172 B1 KR 100664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con
portable terminal
scree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0364A (en
Inventor
임민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72B1/en
Publication of KR2006004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3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휴대 단말기는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알려주지 못하여 다수의 기능들이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태에서 숫자 또는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능들 중에서, 상기 입력된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공할 수 있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콘 형상이 도시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좀더 쉽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help using an OSD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does not directly inform a user of various function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earching for a function of providing the input contents among functions previous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number or a symbol is input in the standby scre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f the search result has a function to be provided,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to be provided on the screen using the OSD of the mobile terminal; and if the button showing the icon shape is selected, the selected icon is selected.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and widely utilize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TECHNICAL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화면의 예시도.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user help providing scree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화면의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help provid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화면의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help providing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제어부 11: 메모리부10: control unit 11: memory unit

12: 키입력부 13: 화면표시부12: key input unit 13: screen display uni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숨겨진 기능을 아이콘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여 다양한 기능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user help using an OSD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user help using an OSD of a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the hidden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n icon and improving the utility of various functions. will be.

휴대 단말기는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적고 통신을 위하여 대기하거나 휴대하는 시간이 더 많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낮은 이용률을 높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 제공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 제공하는 것과 휴대 단말기 제조사에서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있다. Since mobile terminals generally use less time for communication and more time to wait or carry for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to increase the low utilization rate and convenience of use. For example, there are two types of services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those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로 무선인터넷 접속, 단문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 다운로드, 무선 온라인 게임 등이 있고, 휴대단말기 제조사에서 자체개발 생산하여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로, 폰 북(Phone Book) 기능, 메모장 기능, 스케줄 관리, 게임, 동영상 및 정지영상 촬영 카메라, 모닝콜, 착신 벨 설정 등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해서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nclude wireless Internet access, short message service,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program download, wireless online game, and the like, and are developed and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and provided by a mobile phone book ( Phone Book) function, memo pad function, schedule management, game, video and still image shooting camera, wake-up call, incoming call setting, etc., the additional service is continuously developing new functions.

또한, 상기와 같은 부가서비스 중의 일부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대기화면에서 숫자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번호를 입력한 후 소정 버튼이 눌러진 때 연계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some of the additional services as described above provide a function associated when a predetermined button is pressed after entering a number because the portable terminal user frequently presses a numeric button on the standby scree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사용자 도움말 화면의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 상태에서 숫자 버튼 입력 시 입력된 숫자만을 화면에 표시한다. 대기화면 상태에서 숫자를 입력한 경우 연계될 수 있는 기능으로, '검색', '무선 인터넷',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이 있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help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s shown therein, only numbers input when a number button is input in a standby screen state are displayed on a screen. If you enter a number on the idle screen, the function can be linked, such as 'search', 'wireless Internet', 'message transmission'.

대기화면에 숫자를 입력한 후 메시지 전송 버튼을 누르면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숫자가 메시지 수신인의 전화번호로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 전송 화면으로 전환되고, 그에 따라 메시지 내용을 입력한 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버튼을 누르면 그 숫자를 폰북(Phone Book)에서 검색하여 표시하고, 도 1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번호로 무선 접속된다. Pressing the message transmission button after inputting a number on the standby screen, the message is switched to the message transmission screen in which the number is set as the phone number of the message recipient, as shown in FIG. Can be transferred afterwards. As shown in (d) of FIG. 1, when the search button is pressed, the number is searched and displayed in the phone book, and when the internet button is pressed as shown in (e) of FIG.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 기능을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알려주지 못하여 일부 기능이 사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various function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some functions are dead because the function cannot be directly informed to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십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매뉴얼(Manual)을 참조하거나, 어떠한 기능이 제공되는지 시행착오를 겪으며 탐색해야 하므로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refer to a manual (Manual) of the corresponding user or to search for the function provided through trial and err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OSD 형태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연계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user help using the OSD of the mobile terminal to utilize the associated functions by referring to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OSD. Its purpose is to present a method of provi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태에서 숫자 또는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능들 중에서, 상기 입력된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공할 수 있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콘 형상이 도시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f a number or symbol is input in the standby scre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mong the functions previous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there a function that can be provided as the input contents? Searching, and if the search result has a function to be provided,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to be provided on the screen using the OSD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button showing the icon shape. If it is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consisting of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또한,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태에서 숫자 또는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능들 중에서, 상기 입력된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공할 수 있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콘들 중 화면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 number or a symbol is input in the standby scre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earching whether there is a function that can be provided as the input contents among the pre-stored functions in the portable terminal; If there is a function to perform the step of displaying the icons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function on the screen using the OSD of the mobile terminal, 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icons Characterized in that ma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로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1)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2)와, 휴대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13)로 구성된다.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memory unit 11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0, the user And a key input unit 12 for dialing or inputting information, and a screen display unit 13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여기서, 제어부(10)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 특정 버튼과 연계되는 기능에 대한 가이드가 화면표시부(13)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메모리부(11)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특정 버튼과 연계된 기능을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화면표시부(13)에 표시할 아이콘을 저장한다. Here, the control unit 10 functions to control a guide for a function associated with a specific butt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13 in addition to the general function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memory unit 11 also stores an ic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13 so that a user can utilize a function associated with a specific butt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태에서 키입력부(12)를 통해 숫자를 입력하면, 해당 키(Key)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하여 화면표시부(13)에 입력된 숫자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기저정되어 있는 기능들 중에서, 상기 입력된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검색하고, 메모리부(11)에서 그 기능과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공받아 화면표시부(13)에 상기 숫자와 함께 출력한다. When a number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in the standby scre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 corresponding ke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0 so that the number input to the screen display unit 13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0 searches whether there is a function that can be provided by the input contents among the functions preset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e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in the memory unit 11. It is outputted along with the number on the screen display unit 13.

즉, 키입력부(12)를 통해 눌러진 버튼의 숫자와 함께, 입력된 사항으로 제공할 수 기능을 가이드 하는 아이콘을 화면표시부(13)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That is, along with the number of buttons press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12, an icon guiding a function that can be provided as an input item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13.

그리고 화면표시부(13)에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버튼을 눌러 그 기능을 사용하거나 또는 소정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를 방향키의 조작으로 원하는 아이콘으로 이동시킨 후 '확인' 버튼을 눌러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13 may be pressed to use the function, or the cursor positioned on the predetermined icon may be moved to the desired icon by using the direction keys, and then the function may be used by pressing the 'OK' button.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사용자 도움말 화면의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 화면 상태에서 숫자 버튼을 눌러 번호를 입력하면 입력한 번호뿐만 아니라 이와 연계 가능한 기능들에 대한 가이드를 아이콘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표시한다. 3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help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a user inputs a number by pressing a number button in a standby screen, a guide on not only the input number but also a function that can be linked thereto is provided. Icon Displays in OSD (On Screen Display) form.

OSD(On Screen Display)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별도의 신호 입력 없이 자체적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캠코더 등의 화면에 OSD 기능을 이용하며, 예컨대 영상 신호 케이블을 정확하게 연결하지 않았을 경우 "연결을 확인하십시오" 등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을 비롯해 각종 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작업화면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On-Screen Display (OSD) displays information required by users on their own screen without inputting a signal. In general, the OSD function is used on a screen of a television, a camcorder, or the like. In this case, a message such as "Please check the connection" is displayed, and a work screen necessary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is displayed on the scree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OSD 기능을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는데 가이드 역할을 하는 아이콘을 해당 기능버튼의 인쇄 사양(20, 21, 22)을 본떠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 방법을 직감할 수 있도록 한 다. 휴대 단말기의 화면은 기존의 OSD 기능을 활용하는 텔레비전이나 캠코더 보다 작은 반면, 다수의 기능이 연계되므로 사용자가 이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such an OSD function to a mobile terminal, and displays an icon serving as a guide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by displaying the print specification (20, 21, 22)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button on the screen. Make it intuitive. While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maller than a television or a camcorder utilizing an existing OSD function, a plurality of functions are linked so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as an ic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m at a glanc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도움말 화면의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화면 상태에서 번호를 입력하면 연계되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나타나고, 소정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한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help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icons for displaying associated functions appear when a number is entered in a standby screen state, and a cursor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icon. .

이 때, 첫 번째 아이콘(30)에 커서가 놓인 상태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메시지를 전송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첫 번째 아이콘에 커서가 놓인 상태에서 방향키를 이용해 커서를 두 번째 아이콘(31)으로 이동시킨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폰북을 검색한 후의 화면이 표시되고,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 번째 아이콘(32)에 대응되는 무선 인터넷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OK' button is pressed while the cursor is placed on the first icon 30, the message is switched to a screen for using the transmission function. However, if the cursor is placed on the first icon and the cursor is moved to the second icon 31 using the arrow keys and the 'OK' button is pressed, the screen after searching the phonebook is displayed, and the third icon (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corresponding to 32 may be used.

따라서, 현재 휴대 단말기에서 숨은 기능으로 제공하는, 전화번호 입력 후 메시지 전송 기능, 단축번호 입력 후 메시지 전송 기능, 전화번호 입력 후 검색 기능, 날짜에 해당하는 숫자 입력 후 일정 검색 기능 및 번호 입력 후 인터넷 접속 기능 등을 안내하는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current mobile device provides a hidden function, the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after entering the phone number, the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after entering the shortcut number, the search function after entering the phone number, the calendar search function after entering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ate and the Internet after entering the number User can recognize through icon to guide access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를 구현하면, 추가 기능을 화면에 인지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 새로운 기능 추가가 용이하다. 따라서, 기존에는 제공되지 않은 기능이었으나, 날짜에 해당하는 숫자 입력 후 카메라 버튼을 눌러 포토앨범(Photo Album)을 검색하는 기능, 숫자 입력 후 메뉴 버튼을 눌러 원하는 메뉴에 바로 진입할 수 있는 기능 및 날짜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한 후 메시지 키를 눌러 수신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구현하고, OSD 방식으로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functions can be presented cognitively on the screen, thereby easily adding new functions. Therefore, this function was not provided before, but the function of searching for a photo album by pressing the camera button after inputting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ate, the function and date to directly enter the desired menu by pressing the menu button after inputting the number After inputting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to press the message key to retrieve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like, the OSD can be presented to the user to use the func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기화면에서 번호 입력 후 해당 입력 내용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OSD 형태의 사용자 도움말을 이용하여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좀더 쉽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forms the user of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more easily and broadly by informing the user of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provided using the corresponding input contents after inputting the number on the standby screen using the OSD-type user help.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available.

Claims (3)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태에서 숫자 또는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능들 중에서, 상기 입력된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와, If a number or a symbol is input in the standby scre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earching whether there is a function which can be provided as the input contents among the functions previous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검색 결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공할 수 있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If there is a function to b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earch,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to be provided on the screen using the OSD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아이콘 형상이 도시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when the button in which the icon shape is shown is selected.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태에서 숫자 또는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능들 중에서, 상기 입력된 내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와, If a number or a symbol is input in the standby scre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earching whether there is a function which can be provided as the input contents among the functions previously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검색 결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경우 상기 제공할 수 있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해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If there is a function to provide, as a result of the search, displaying icon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to be provided on the screen using the OSD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아이콘들 중 화면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icon selected on the screen among the ic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 중 화면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selected on the screen among the icons comprises: 상기 아이콘들 중 소정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단계와,Positioning and displaying a cursor on a predetermined icon among the icons; 상기 커서를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와, Moving the curso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irection key; 확인키가 눌러진 것을 감지한 때 상기 커서가 위치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OSD를 이용한 사용자 도움말 제공 방법.And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where the cursor is located when detecting that the confirmation key is pressed.
KR1020040089933A 2004-11-05 2004-11-05 Method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64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933A KR100664172B1 (en) 2004-11-05 2004-11-05 Method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933A KR100664172B1 (en) 2004-11-05 2004-11-05 Method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364A KR20060040364A (en) 2006-05-10
KR100664172B1 true KR100664172B1 (en) 2007-01-04

Family

ID=3714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933A KR100664172B1 (en) 2004-11-05 2004-11-05 Method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1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843A (en) 2012-08-23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and display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364A (en)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6228B2 (en) User interface with increased search characteristics
EP1803057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EP1536616B1 (en) Interactive phone book
US20070113204A1 (en) Method of displaying menus in mobile telephone
JP2008544618A (en) Enhanced call history menu
CN101432679A (en) Mobil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enabling efficient entry
WO2009117685A2 (en) Dynamic visual feature coordination in an electronic hand held device
CN101072410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16992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US20070261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730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user interface in a mobile station
KR100486516B1 (en) Method for setting up a screen of stand-by mode in cellular phone
KR100664172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guide using open screen display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284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 and Multiple Application Executing Method for the Same
KR20080075599A (en) Method for executing communication i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JPH11327715A (en) Information processor
JP2000236373A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portable telephone set
KR10086831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enu display method
JP2006211266A (en) Mobile phone
KR101312154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on stand by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55145B1 (en) Help message dis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icon menu selection
KR100701968B1 (en) Display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1112634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2003174497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07008242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uman data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of human data display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