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111B1 -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111B1
KR100664111B1 KR1020040008003A KR20040008003A KR100664111B1 KR 100664111 B1 KR100664111 B1 KR 100664111B1 KR 1020040008003 A KR1020040008003 A KR 1020040008003A KR 20040008003 A KR20040008003 A KR 20040008003A KR 100664111 B1 KR100664111 B1 KR 100664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rsor
menu
signal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9518A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111B1/en
Priority to CNB2004100865065A priority patent/CN100464288C/en
Publication of KR2005007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1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하측부에 구비되는 스틱부에 손가락 터치를 하므로,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하고 선택을 간단하게 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커서를 손가락 터치로 간단하게 상하좌우 이동과 선택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스틱부; 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처리하고 해당 결과를 표시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표시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제어부에 다이얼링 신호와 기능선택 신호와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키버튼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특징과, 또한, 휴대단말기의 하측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손가락 터치로 상하좌우 운동하며 손가락 압력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여 커서를 이동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스틱부 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징과, 또한,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메뉴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시작과정; 시작과정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에 스틱부를 구동하는지 기능키 버튼부를 구동하는지 판단하고 선택된 기능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구동과정; 구동과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커서가 표시되는 메뉴 위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커서과정; 커서과정에서 선택된 메뉴가 게임이면 해당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이 아니면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운용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nger touch is applied to a stick part provided at a lower side of a mobile terminal, and thus, the cursor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selection is simplified. A stick unit for inputting a signal; A control unit which analyzes the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stick unit and outputs the result as a display signal;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display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It consists of a key button unit for inputting a dialing signal, a function selection signal and a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with a finger touch, and linearly by finger pressure. A star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menu using an additional service is searched for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tick unit structure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for moving a cursor;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the stick unit or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when searching for a menu in a start process, and in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selected function unit; A cursor process for controlling the cursor to move on the displayed menu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proces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rsor is selected; If the menu selected in the cursor process is a game, the game is executed. If the game is not a game, the menu is operated.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및 구조 및 방법{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Cursor movement device and structur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상태 설명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선택방법 순서도, 2 is a flowchart of a cursor selec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기능 구성도,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ursor mov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 구조 설명도,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ursor movement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이동 스틱부 상세 구조 설명도, 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etailed structure of a cursor moving stick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방법 순서도.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oving a cursor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휴대단말기 110 : 표시부 120 : 기능키버튼부100: portable terminal 110: display unit 120: function key button unit

130 : 다이얼키버튼부 140 : 마이크부 150 : 스틱부130: dial key button portion 140: microphone portion 150: stick portion

160 : 핸들부 170 : 로드부 175 : 측면센서부160: handle portion 170: rod portion 175: side sensor portion

180 : 센서부 182 : 가이드부 184 : 상향센서부180: sensor portion 182: guide portion 184: upward sensor portion

186 : 선택센서부 188 : 하향센서부 200 : 무선부186: selection sensor unit 188: downward sensor unit 200: wireless unit

210 : 제어부 220: 메모리부 230 : 키버튼부210: control unit 220: memory unit 230: key button uni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커서를 손가락 터치로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으로, 특히, 스틱부를 이용하여 커서를 상하좌우로 방향이동하고 선택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및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quickly moving a cursor of a mobile terminal with a finger tou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sor moving apparatus, a structure, and a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moving a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using a stick part and facilitating selection control. .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 등록된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를 이용하여, 기지국(BS: BASE STATION)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스위칭(SWITCHING)과 제어(CONTROL)에 의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동시에, 서버(SERVER)에 의하여 제공되는 각종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eely moves within a service area formed by a base station (BS) using a mobile terminal (MS: MOBILE STATION) registered with a mobile station (MSC: MOBILE SWITCHING CENTER). It is a high-te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nstantly connects and communicates with a desired party anytime and anywhere by switching and controlling, and us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a server.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편리하게 통신하는 휴대단말기는,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작고, 통신을 위한 대기(STANDBY) 상태로 휴대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므로, 휴대단말기의 실제 사용시간 또는 운용률이 낮은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bile terminal conveniently communicates with the desired party anytime and anywhere by convenient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 has a small amount of time used for actual communication and a large amount of time spent in standby for commun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ual use time or operation rate is low.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의 낮은 운용률 또는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는, 온라인 게임(ONLINE GAME),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접속, 메시지 전송, 영상메시지 전송 등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있고, 휴대단말기 제조사(MAKER)에서 개발하여 내장 생산하므로 제공되는 부가기능(이하 부가서비스라 함)은, 전화번호부(PHONE-BOOK) 관리, 메모 작성, 메시지 작성, 스케줄 관리, 게임, 카메라, 전자계산기, 알람 등등과 같이 다양하다. In order to increase the low operation rate or use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n additional service developed and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an online game (ONLINE GAME), a wireless Internet (WIRELESS INTERNET). There are some services such as connection, message transmission, video message transmission, etc., and the additional function (hereinafter called additional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manufacturer (MAKER) and built-in production is managed by phone book (PHONE-BOOK) management. There are various things like taking notes, writing messages, managing schedules, playing games, cameras, electronic calculators, alarms and more.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에 제공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표시하고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뉴를 사용하며, 상기 메뉴에 표시되는 다수의 부가서비스를 검색하기 위하여 방향표시 키버튼을 사용하고 해당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운용할 부가서비스를 선택한다. A menu is used to display and select various supplementary service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nd a direction key button is used to search for a plurality of supplementary services displayed on the menu and is operated using the corresponding selection button. Select additional services to use.

또한, 다양한 종류의 자체 게임(GAME)이나 온라인(ONLINE) 게임을 하는 경우, 해당 커서를 움직이거나 해당 제어를 하는 경우에도 상하좌우 방향표시 키버튼과 선택 키버튼을 이용하므로 제어가 비교적 복잡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case of playing various kinds of GAME or ONLINE games, the control is relatively complicated becaus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buttons and selection key buttons are used even when the cursor is moved or the corresponding control is performed. have.

특히, 상기 상하좌우 및 선택의 5개 키버튼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 빠르게 동작하는 게임에 신속하게 대응 제어하기 어려우므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의 즐거움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playing a game using the five key buttons of the up, down, left, right, and selection,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the fast-acting game quickly,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decrease in the enjoyment of the game using the mobile terminal.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커서의 이동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제어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easily and simp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cursor in a mobile terminal.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 기술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ursor movement techniqu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상태 설명도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선택방법 순서도 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electing a curso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10)의 구성을 설명하면, 표시부(20)는 휴대단말기(10)의 운용상태 정보, 일 예로, 기지국(BS: BASE STATION)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세기, 배터리(BATTERY) 잔량, 착신벨 설정상태, 현재 날자와 시각정보, 착신과 발신에 의한 고유 전화번호 표시, 송신을 위하여 입력하거나 수신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부가서비스 메뉴와 해당 운용상태 표시 등등의 각종 운용정보를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The display unit 20 can display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for example, a radio signal of a base station (BS). Received strength, battery level, incoming call setting status, current date and time information, unique phone number by incoming and outgoing call, message information input or received for sending, additional service menu and corresponding operation status display Displays various operational information.

상기 표시부(20)의 하단부에는 기능버튼부(30)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커서(CURSER)의 상하좌우 이동으로 선택하거나 특수 기능(FUNCTION)을 선택하여 운용하도록 하고, 상기 기능버튼부(30)의 하단부에는 다이얼 키버튼부(40)가 구비되어 상대방을 호출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입력한다. A function button unit 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20 to select various menu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10 by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cursor (CURSER), or to select and operate a special function (FUNCTION).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function button unit 30 is provided with a dial key button unit 40 to input a phone number or a text message for calling the other party.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로 통신하는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스피커부(50)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대방에게 송신할 신호를 마이크부(60)를 통하여 입력한다. When communicating with a voice level signal using the mobile terminal 10, a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unit 50, and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unit 60.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커서(CURSER)를 이동하거나 또는 게임(GAME) 등을 하는 경우, 상기 기능키버튼부(30)에 구비되는 상하좌우 방향키 버튼과 선택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buttons and selection function buttons provided in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30 when moving the cursor (CURSER) or playing a game (GAME)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Move using.

즉, 휴대단말기(10)로 이용되는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려면, 해당 메뉴에 진입하고, 상기 기능버튼부(30)의 방향키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입력하며, 게임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기능버튼부(30)의 방향키 버튼을 이용한다. That is, in order to select the additional service used by the mobile terminal 10, the user enters a corresponding menu, selects and inputs a desired menu using the direction key button of the function button unit 30, and plays the same as above. To use the direction button of the function button unit 30.

따라서, 일 예로, 커서를 움직이거나 게임을 하는 등의 경우에 상하좌우의 4 개 버튼과 선택기능버튼의 총 5개 버튼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등의 문제가 있다. Thus, for example, when moving a cursor or playing a game, four buttons of up, down, left, right, and a selection function button should be us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complicated and cumbersome use.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선택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ursor selection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메뉴(MENU)를 검색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메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메뉴를 표시부(2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S2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earch for menus of various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10 (S10), and when the menu is to be searched by the determination (S10), the corresponding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Output and display (S20).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10)의 표시부(20)에 표시되는 메뉴는 표시부(20)의 크기에 의하여 일부분만이 표시되므로, 상하 방향표시 키버튼 또는 좌우 방향표시 키버튼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하므로 스크롤(SCROLL) 또는 페이지(PAGE) 전환 등으로 메뉴의 추가부분을 표시한다(S30). Since only a portion of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of the mobile terminal 10 is displayed by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20 as described above, the cursor is moved by using the up and down direction key buttons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buttons. The additional portion of the menu is displayed by scrolling or switching the page (S30).

상기와 같이 표시부(20)의 제한된 면적에 의하여 제한되게 표시되는 메뉴를, 상기 기능키버튼부(30)에 구성되는 방향표시 키버튼을 이용하여, 상하 스크롤 또는 페이지 상하 전환 등으로 모두 순차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여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S40), 상하좌우의 방향표시 키버튼과 선택 키버튼을 사용하여야 하는 게임 메뉴 인지를 판단한다(S50). As described above, the menu displayed limited by the limited area of the display unit 20 is sequentially displayed by scrolling up or down or switching pages up or down using the direction key button configured in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30. In addition, when searching for a menu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and selecting one of them (S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ame menu should use the direction display key buttons and the selection key buttons (S50).

상기 검색 선택(S40) 및 판단(S50)에서 게임메뉴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의한 해당 부가서비스를 운용하고(S60), 상기 검색 선택(S40) 및 판단(S50)에서 게임메뉴가 선택되었으면, 상기 기능 키버튼부(30)에 구비되는 방향표시 키버튼을 사용하여 게임을 운용한다(S70). If the game menu is not selected in the search selection (S40) and the determination (S50),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is operated (S60), and the game menu is selected in the search selection (S40) and the determination (S50). If it is selected, the game is operated using the direction key button provided in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30 (S70).

상기와 같이 다수의 메뉴를 검색 선택하거나 게임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상하좌우의 4개 방향표시 키버튼과 해당 메뉴가 동작하도록 하는 1개 입력 키버튼의 5개 키버튼을 사용하므로, 사용이 복잡하고, 손가락 접근성이 불편하며 숙달된 사용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searching and selecting a plurality of menus or selecting a game menu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four key butt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nd five key buttons of one input key button to operate the menu is complicated. And finger accessibility is inconvenient and requires a skilled us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하단부에 스틱부를 구성하여 메뉴 검색 또는 게임하는 경우에 빠르고 용이하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커서의 방향제어 및 선택 명령을 입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및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rsor moving device, a structure, and a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or constructing a stick part at a lower end of a mobile terminal so as to input a direction control and selection command of a cursor quickly and easily and simply and quickly when searching or playing a menu. For that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커서를 손가락 터치로 간단하게 상하좌우 이동과 선택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스틱부와; 상기 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처리하고 해당 결과를 표시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표시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다이얼링 신호와 기능선택 신호와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키버튼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ick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nd selection simply by a finger touch the cursor of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 unit which analyzes the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stick unit and outputs the result as a display signal;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display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key button unit for inputting a dialing signal, a function selection signal, and a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하측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손가락 터치로 상하좌우 운동하며 손가락 압력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여 커서를 이동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스틱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cursor by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with a finger touch and linear movement by finger pressur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ick portion structur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메뉴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에 스틱부를 구동하는지 기능키 버튼부를 구동하는지 판단하고 선택된 기능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구동과정과; 상기 구동과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커서가 표시되는 메뉴 위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커서과정과; 상기 커서과정에서 선택된 메뉴가 게임이면 해당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이 아니면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운용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art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menu using the additional service is searched by the mobile terminal; A driv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a stick unit or a function key button unit and in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selected function unit when searching for a menu in the start process; A cursor proces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cursor on a menu display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proces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rsor is selected; If the menu selected in the cursor process is a game, the game is executed, and if the game is not a game, the operation process is execut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및 구조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 structure, and a method for moving a curso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 구조 설명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이동 스틱부 상세 구조 설명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방법 순서도 이다. It is attach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ursor movemen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cursor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cursor moving stick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oving a cursor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를 설명하면, 휴대단말기의 커서를 손가락 터치로 간단하게 상하좌우 이동과 선택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커서의 상하좌우 방향 이동과 커서가 위치한 메뉴 선택신호를 손가락 터치로 발생하고 제어부(210)에 인가하는 스틱부(150)와, Referring to FIG. 3, the cursor shifting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y simply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nd selection of the cursor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finger touch. A stick unit 150 generating a menu selection signal at which the cursor is located by a finger touch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controller 210;

상기 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처리하고 해당 결과를 표시신호로 출력하는 것으로, 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메뉴와 게 임을 선택하거나 제어하는 커서 위치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가 선택되면 실행하며 휴대단말기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210)와, Analyzing the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stick unit 150 and outputting the result as a display signal, the cursor position for selecting or controlling the menu and the game by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tick unit 15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ntroller 210 which executes when a menu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is selected and controls and monitors the entir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제어부(210)로부터 인가되는 표시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메뉴와 게임의 글자, 숫자, 기호,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커서를 중첩 표시하고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부(110)와, The display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210 is displayed visually, and displays letters, numbers, symbols, and images of a menu and a game, and superimposes the corresponding cursors and includes an LCD (LCD). The display unit 110,

상기 제어부(210)에 다이얼링 신호와 기능선택 신호와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키버튼부(230)와, A key button unit 230 for inputting a dialing signal, a function selection signal, and a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ler 210;

상기 제어부(210)가 처리한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며 휴대단말기의 운용 프로그램과 운용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부(220)와, A memory unit 220 for recording, storing and outputting the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10 and outputting an operation program and operation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기지국(BS)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20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0 is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wireless unit 200 for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base station (BS) and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mmunication signals.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cursor mov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210)는 메모리부(220)로부터 해당 운용 프로그램과 운용 데이터를 읽어 로드(LOAD) 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이동통신을 하도록 하고, 상기 키버튼부(230)로부터 메뉴를 검색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메뉴를 상기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시하며, 상기 메뉴의 이동 검색과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기능키 버튼부(120)로부터 입력할 것인지 스틱부(150)로부터 입력할 것인지 확인한다. The control unit 2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ads and loads the operation program and operation data from the memory unit 22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key button unit ( When a control signal for searching a menu is input from the 230, a menu of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Whether to input from the button unit 120 or the stick unit 150 is checked.

상기 제어부(210)는 휴대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확인 메뉴를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하고, 상기 키버튼부(120) 또는 스틱부(15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상하좌우 제어신호 및 선택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뉴를 지시하는 커서를 이동하고 선택한다. The control unit 210 outputs an additional service confirmation menu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corresponding up, down, left, right control signals applied from the key button unit 120 or the stick unit 150; The cursor indicating the menu is moved and selected by the selection control signal.

상기 스틱부(150)는 하나의 핸들부(160) 구조를 손가락 터치에 의하여 간단히 움직이므로,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커서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핸들부(160)를 직선방향으로 눌러주는 경우에 특정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키버튼부(230)는 다수의 기능(FUNCTION) 버튼과 방향표시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하좌우의 방향표시를 위하여 4개의 방향버튼과 선택을 위하여 1개의 기능버튼이 할당되므로 총 5개의 버튼을 사용하여야 한다. Since the stick unit 150 simply moves the structure of one handle unit 160 by a finger touch, the stick unit 15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handle unit ( When pressing 160 in a linear direction, i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menu. The key button unit 2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nd direction display buttons. Since four direction buttons are assigned for display and one function button for selection, a total of five buttons should be used.

따라서, 스틱부(150)를 이용하여, 커서를 원하는 방향으로 간단하게 움직이도록 제어하므로,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뉴의 검색이 용이하고, 게임을 하는 경우에도 손가락의 터치에 의하여 해당 커서를 원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stick unit 150 to control the cursor to move simply in the desired direction, it is easy to search for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even when playing a game, the cursor is moved in the desired direction by the touch of a finger. It has the advantage of moving quickly.

또한, 스틱부를 이용하므로, 커서의 직선방향 이동을 포함하여 대각선 방향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ick part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movement in the diagonal direction inclu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cursor.

이하, 상기 첨부된 도4 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구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ursor movement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100)의 하측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손가락 터치로 상하좌우 운동하며 손가락 압력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여 커서를 이동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스틱부(150)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The stick unit 150 is construct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S 100 and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with a finger touch,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at moves a cursor by linearly moving by finger pressure. It features.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하측부에 일체로 고정 구성되는 상기 스틱부(150)는, 손가락의 터치에 의하여 상하좌우 운동 및 직선운동을 하는 핸들부(160)와, The stick unit 150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handle unit 160 for vertical, horizontal, left and right movements by a touch of a finger;

상기 핸들부(16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일체로 고정 구성되어, 상기 핸들부(160)의 물리적이고 기계적인 상하좌우 운동 및 직선운동을 전달하는 로드부(170)와, A rod unit 170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handle unit 160 to transmit physical and mechanical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and linear movements of the handle unit 160;

상기 로드부(170)와 접속되어 상기 핸들부(160)의 상하좌우 운동 및 직선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로드부(170)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상하좌우로 운동하고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부(182); 상기 로드부(170)의 기계적 및 물리적 상향 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센서부(184); 상기 로드부(170)의 기계적 및 물리적 하향 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하향센서부(188); 상기 로드부(170)의 물리적 및 기계적 직선 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센서부(186); 상기 로드부(170)의 물리적 및 기계적 좌우방향 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측면센서부(175)가 포함되는 센서부(180)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It is connected to the rod unit 170 to detect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handle unit 160 and to generate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e rod unit 170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linear movement Guide portion 182 to be; An upward sensor unit 184 that detects mechanical and physical upward motion of the rod unit 170 and outputs a corresponding electrical signal; A downward sensor unit 188 which detects mechanical and physical downward motion of the rod unit 170 and outputs a corresponding electrical signal; A selection sensor unit 186 for sensing physical and mechanical linear motion of the rod unit 170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The sensor unit 180 includes a side sensor unit 175 that senses physical and mechanical lateral movement of the rod unit 170 and outputs a corresponding electrical signal.

또한, 상기 센서부(18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 하측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칭상태로 일체 고정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170)를 물리적 운동상태로 체결하며 검출된 제어신호를 휴대단말기 제어부(210)에 출력하며, 좌측에 구성되는 측면센서부(175)에 의하여 핸들부(160)의 좌측 방향 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제어신호 를 제어부(210)에 출력하며, 우측에 구성되는 측면센서부(175)에 의하여 핸들부(160)의 우측 방향 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제어부(210)에 출력하는 것으로, 핸들부(160)와 로드부(170)의 기구적 운동을 물리적 접촉으로 감지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구조이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80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ixed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 symmetrical state, respectively, and the rod unit 170 is fastened in a physical motion state to detect the detected control signal. Output to the control unit 210, by the side sensor unit 175 configured on the left side to detect the left direction movement of the handle unit 160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10, the side sensor configured on the right The controller 175 detects a rightward movement of the handle part 160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210. The mechanical motion of the handle part 160 and the rod part 170 is brought into physical contact. It senses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signal.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커서 이동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ursor movement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시간정보, 기지국 신호 수신세기 정보, 배터리 용량 정보, 문자메시지 정보, 발신자 확인 정보를 포함하여 부가서비스 메뉴와 멀티미디어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10)를 상측부에 구성하고, 상기 표시부(110) 하단에 방향키버튼과 특수기능키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기능키 버튼부(120)가 구성된다. The mobile terminal 100 comprises a display unit 110 on the upper side for displaying the additional service menu and multimedia information, including time information, base station signal reception strength information, battery capacity information, text message information,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 function key button unit 120 including a direction key button and a special function key button is formed below the display unit 110.

상기 기능키버튼부(120)의 하단에는 다이얼링신호와 메시지와 해당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다이얼 키버튼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다이얼 키버튼부(130)의 하단에는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부(140)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부(140)의 하단에 스틱부(150)가 구성된다. The lower end of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120 is configured with a dial key button unit 130 for inputting a dialing signal, a message and a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and the lower end of the dial key button unit 130 for inputting a voice level signal. The microphone unit 140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stick unit 150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microphone unit 140.

상기 스틱부(150)는 손가락의 터치에 의한 물리적 힘으로 용이하게 움직이는 원통형 핸들부(160)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부(160)의 양쪽 끝단에는 축이 일치하는 로드부(170)를 각각 일체로 구비 또는 형성하는 구조이다. The stick part 150 has a cylindrical handle part 160 which is easily moved by a physical force by a touch of a finger, and each rod end 170 having a shaft coincides with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160. It is a structure provided or formed.

상기 로드부(170)는 휴대단말기(100)의 하단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성되는 센서부(180)의 가이드부(182) 구조에 의하여 이동상태로 고정 체결되고,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SPRING)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182)의 중앙부에 자동 적으로 위치한다. The rod unit 170 is fixedly fastened in a moving state by the structure of the guide unit 182 of the sensor unit 180 which is respectively configur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not shown in detail. It is automatical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portion 182 by the elasticity of the.

즉, 손가락의 터치 등과 같은 외력이 상기 스틱부(150)에 작용 또는 인가되면, 상기 핸들부(160)가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반작용 또는 이동하고, 외력이 차단되면 즉시 센서부의 중앙부 위치로 복귀하는 동시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조이다.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touch of a finger is applied or applied to the stick unit 150, the handle unit 160 reacts or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immediately returns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sensor unit when the external force is blocke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상기 센서부(180)는 대칭 상태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동일하게 구비되는 구조이다. The sensor unit 180 is configured to be identically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in a symmetrical state.

상기 센서부(180)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82)에는 상기 로드부(170)의 물리적 또는 기구적인 움직임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The guide unit 182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nsor unit 18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nsor for detecting physical or mechanical movement of the rod unit 170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as an electrical signal is integrally provided.

즉, 상기 가이드부(182)의 상측부에 상기 로드부(170)가 상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상향센서부(184)가 일체로 구비되고, 하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하향센서부(188)가 일체로 구비되며.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선택센서부(186)가 일체로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감지하는 측면센서부(175)가 일체로 내장 구비된다. That is, the upper sensor unit 184 for detecting the case in which the rod unit 170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guide unit 182, and the downward direction for detecting the cas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ensor unit 188 is provided integrally. The selection sensor unit 186 for detecting the case of moving in a straight direction is integrally provided, and the side sensor unit 175 for detecting the case of mov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is integrally provided.

즉, 상기 로드부(170)와 일체로 고정 구성되는 핸들부(160)에 손가락의 터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로드부(170)는 가이드부(182)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서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고, 해당 센서부(184, 186, 188, 175)에 의하여 움직임이 검출되어 전기적 신호로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210)에 인가된다. That is, when a touch of a finger is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160 that is integrally fixed to the rod portion 170, the rod portion 170 moves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long the groove formed in the guide portion 182. The motion is detected by the corresponding sensor units 184, 186, 188, and 175, and is output as an electrical signal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210.

또한, 상기 로드부(170)는 핸들부(16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중앙 위치로 복귀하므로 항상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센서부(175)에 인접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을 용이하게 검출한다. In addition, since the rod unit 170 returns to the center posi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unit 160,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djacent to the side sensor unit 175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s easily detected.

또한, 상기 핸들부(160)를 직선으로 미는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로드부(170)가 선택센서부(186)에 접속하므로,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커서가 위치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that pushes the handle unit 160 in a straight line is applied, the rod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selection sensor unit 186, so that the menu on which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s located is selected.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따라서, 상기 스틱부(150) 구조의 핸들부(160)는 손가락의 가벼운 터치에 의하여 상하 및 좌우의 방향이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직선방향으로 인가되는 터치에 의하여 선택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Accordingly, the handle part 160 of the stick part 150 structure generates a vertical movement control signal in a vertical direction by a light touch of a fing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selected by a touch applied in a linear direction.

이하,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oving a curso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210)에 의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하고자 메뉴(MENU)를 검색하는지 판단하는 시작과정(S100)과, Starting process (S100) for determining whether to search for a menu (MENU) to use by selecting one of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by the control unit 210 of the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100),

상기 시작과정(S100)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에 스틱부(150)를 구동하는지 기능키 버튼부(120)를 구동하는지 판단하고 선택된 기능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210)에 의하여 스틱부(150)를 구동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S110); 상기 판단과정(S110)에서 판단하여 스틱부(150)를 구동하는 경우 스틱부(150)로부터 상하좌우와 선택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과정(S120); 상기 판단과정(S110)에서 판단하여 스틱부(150)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는 기능키 버튼부(120)로부터 상하좌우와 선택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구동과정과, In the case of searching the menu in the start process (S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drive the stick unit 150 or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120 and input a control signal from the selected func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the stick unit 150 by the control unit 210 (S110);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up, down, left and right and selection from the stick unit 150 when driving the stick unit 150 a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110 (S120); When not determined to drive the stick unit 150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S110), the driving process comprising the step of inputt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selection from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120 (S130),

상기 구동과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커서가 표시되는 메뉴 위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과정의 제어부(210)가 표시하는 메뉴 위에 커서를 중첩 표시하고 상기 인가되는 상하좌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커서를 이동 표시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진 커서과정과, It is determined to control and move the cursor on the menu display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process. The cursor is displayed on the menu displayed by the control unit 210 of the driving process, and the upper, lower, left, right, Moving and displaying the curs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140); Cursor process consisting of the step (S150) of determining whether to select a menu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in the step (S140),

상기 커서과정에서 선택된 메뉴가 게임이면 해당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이 아니면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것으로, 상기 커서과정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가 게임 메뉴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60); 상기 판단과정(S160)에서 판단하여 게임메뉴이면 선택된 게임을 실행하는 과정(S170); 상기 판단과정(S160)에서 판단하여 게임메뉴가 아니면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과정(S180)으로 이루어진 운용과정으로 구성된다. If the menu selected in the cursor process is a game, executing the corresponding game; otherwise, executing the menu, determining whether the selected menu is a game menu (S160); Determining in step S160 to execute the selected game if it is a game menu in step S170; If i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step (S160) and the game menu is not the operation process consisting of the step (S180) of executing the selected menu.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커서 이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method of moving the curso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MS)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S100), 스틱부(150)를 구동하여 커서를 이동할 것인지 아니면, 키버튼부(230) 이거나 기능키 버튼부(이하 기능키 버튼부로 함)(120)를 구동하여 커서를 이동할 것인지 판단한다(S110). If you want to search for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MS) (S100), whether to move the cursor by driving the stick unit 150, the key button 230 or a function key button unit (hereinafter function key) It is determined whether to move the cursor by driving the 120) (S110).

상기 판단(S110)에서 스틱부(150)를 구동하는 경우는 상기 스틱부(150)로부터 상하좌우 방향신호 및 선택신호를 인가받고(S120), 상기 판단(S110)에서 기능키 버튼부를 구동하는 경우는 상기 기능키 버튼부(120)로부터 상하좌우 방향신호 및 선택신호를 인가 받는다(S130). In the case of driving the stick unit 150 in the determination (S110) when receiving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signal and the selection signal from the stick unit 150 (S120), in the case of driving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in the determination (S110) Receives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signals and the selection signal from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120 (S130).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표시부(110)에는 메뉴(MENU)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부(110)는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의 숫자가 제한되므로, 상기와 같이 인가되는 상하좌우 방향신호에 의하여 커서를 이동하고 다수의 메뉴를 모두 검색한다(S140). A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unit 110 is limited to the number of menus that can be displayed at one time. Move and search for a plurality of menus (S140).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여, 특정한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50), 상기 판단(S150)에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종료로 진행하며, 특정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는 상기 선택된 메뉴가 게임(GAME) 메뉴(MENU) 인지를 판단한다(S160). The menu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is searched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menu is selected (S150), and if the specific menu is not selected in the determination (S150), the process proceeds to the end. When a specific menu is selected, the selected menu is selected. In operation S16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AME menu is a menu.

상기 과정(S160)에서 게임메뉴로 판단되면 선택된 게임(GAME)을 실행하고, 상기 스틱부(150)에 손가락 터치(TOUCH) 하므로 커서(CURSOR)의 상하좌우 방향이동과 선택을 용이하게 제어운용하고, 상기 과정(S160)에서 게임메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해당 메뉴를 실행하고 스틱부(150) 또는 기능키버튼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하좌우의 방향제어신호와 선택신호에 의하여 운용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the process (S160) that the game menu is selected, the selected game (GAME) is executed, and the finger unit (TOUCH) touches the stick unit 150, so that the control of the cursor (CURSOR) up and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selection and easy control In operation S1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ame is not a game menu, the selected menu is executed and operated according to a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a selection signal of up, down, left, and right inputted through the stick unit 150 or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120. .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휴대단말기의 커서가 이동하도록 하는 해당 프로그램은, 일 예로, 다음과 같다. A corresponding program for moving the cursor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s, for example, as follows.

< Event 처리에 대한 Pseudo code ><Pseudo code for Event processing>

Switch( MsgType ) // 어떤 메시지가 들어왔는가?Switch (MsgType) // What message came in?

{{

case MSG_KEYDOWN: // 키가 눌려진 경우     case MSG_KEYDOWN: // If the key is pressed

switch( (KEY) wParam ) // 무슨키가 눌러졌냐에 따라 각각 적절한 함수를 호출switch ((KEY) wParam) // Invoke the appropriate function depending on what key is pressed

{{

case MENUBAR_UP_KEY : // 메뉴바 상 키가 눌린경우라면    case MENUBAR_UP_KEY: // If key on menu bar is pressed

메뉴를 위로 이동 or 목표물을 위로 한 칸 이동시킴;         Move menu up or move target up one space;

break;         break;

case MENUBAR_DOWN_KEY : // 메뉴바 하 키가 눌린경우라면case MENUBAR_DOWN_KEY: // If Menu Bar Down Key is pressed

메뉴를 아래로 이동 or 목표물을 아래로 한 칸 이동시킴;          Move down menu or move target down one space;

break;          break;

case MENUBAR_RIGHT_KEY : // 메뉴바 오른쪽 키가 눌린경우라면    case MENUBAR_RIGHT_KEY: // If right key on menu bar is pressed

메뉴를 오른쪽으로 이동 or 목표물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킴;         Move menu to the right or move target one space to the right;

break;         break;

case MENUBAR_LEFT_KEY : // 메뉴바 왼쪽 키가 눌린경우라면    case MENUBAR_LEFT_KEY: // If left key on menu bar is pressed

메뉴를 왼쪽으로 이동 or 목표물을 왼쪽으로 한 칸 이동시킴;         Move menu left or target one space to the left;

break;         break;

case MENUBAR_SELECT_KEY : // 메뉴바 선택 키가 눌린경우라면case MENUBAR_SELECT_KEY: // If menu bar selection key is pressed

메뉴를 선택 or 목표물을 선택등 GAME에 define되어 있는 fuction;         Fuction defined in the GAME, such as menu selection or target selection;

break;         break;

}}

case MSG_XXXX_XXXX : // 다른 메시지를 처리하는 부분case MSG_XXXX_XXXX: // handle other messages

case MSG_XXXX_XXXX :  case MSG_XXXX_XXXX:

case MSG_XXXX_XXXX :case MSG_XXXX_XXXX:

...        ...

} }

DisplayResultOnLCD(); // 함수가 수행된후 결과를 휴대폰 LCD에 뿌려준다. DisplayResultOnLCD (); // After the function is executed, the result is scattered on the phone LCD.

상기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MS)의 표시부(110)를 통하여 표시되는 메뉴의 검색 또는 게임 등을 하는 경우에 스틱부(150) 구조를 이용하여 손가락 터치로 커서가 용이하게 상하좌우 이동되도록 하고 원하는 항목을 선택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sor is easily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by a finger touch using the stick unit 150 structure when searching for a menu or a gam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MS. And select the desired item.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하측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스틱부를 이용하고 손가락의 간단한 터치에 의하여 표시부의 커서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n industrial use effect of facilitating the cursor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by a simple touch of a finger by using a stick unit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휴대단말기로 게임 등을 하는 경우 커서의 이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어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playing a game with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in use to quickly and easi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ursor in the desired direction.

Claims (17)

휴대단말기의 커서를 손가락 터치로 간단하게 상하좌우 이동과 선택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스틱부와, A stick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nd selection simply by a finger touch on the cursor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처리하고 해당 결과를 표시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A controller which analyzes the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stick unit and outputs the result as a display signal;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표시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 display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에 다이얼링 신호와 기능선택 신호와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키버튼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And a key button unit for inputting a dialing signal, a function selection signal, and a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 unit.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가 처리한 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며 휴대단말기의 운용 프로그램과 운용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A memory unit for recording, storing and outputt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an operation program and operation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무선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And a wireless unit configured to wirelessly connect with a base station and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communication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ick portion, 커서의 상하좌우 방향 이동과 커서가 위치한 메뉴 선택신호를 손가락 터치로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 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A cursor movemen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of the cursor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menu selection signal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is generated with a finger touch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스틱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메뉴와 게임의 커서 위치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가 선택되면 실행하며 휴대단말기의 전체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The portable device is configured to move the cursor position of the menu and the g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tick part, to execute when the menu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is selected, and to control and monit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ursor mover of the terminal.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엘시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장치. The display unit cursor movemen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n LCD. 휴대단말기의 하측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손가락 터치로 상하좌우 운동하며 손가락 압력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여 커서를 이동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스틱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구조. Cursor movement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mprises a stick part structure that generate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cursor by linear movement by finger pressure,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with a finger touch.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부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ick portion, 손가락의 터치에 의하여 상하좌우 운동 및 직선운동을 하는 핸들부와, A handle part for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and linear movement by the touch of a finger, 상기 핸들부의 좌우측에 일체 구성되어 상하좌우 운동 및 직선운동을 전달하는 로드부와, A rod part integr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part and transmitting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nd linear movements; 상기 로드부와 접속되어 상기 핸들부의 상하좌우 운동 및 직선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구조. And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rod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nd linear movements of the handle unit and to generate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od portion,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움직이고 상기 인가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중앙부로 원위치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구조.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nsor por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the cursor movement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by the applied external force and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re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the center por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nsor unit, 상기 로드부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상하좌우로 운동하고 직선 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와, A guide part configured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linearly move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상기 로드부의 상향 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센서부와, An upward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up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상기 로드부의 하향 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하향센서부와, A downward sensor unit for detecting a downward movement of the rod unit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상기 로드부의 직선 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센서부와, A sel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a linear motion of the rod unit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상기 로드부의 좌우방향 운동을 감지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측면센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구조. Cursor movement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comprising a side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rod portion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nsor unit, 상기 휴대단말기 하측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칭상태로 일체 고정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를 운동상태로 체결하며 검출된 제어신호를 휴대단말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구조. Cursor movement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rtable terminal is fixedly configured in a symmetrical state, respectively, and the rod unit is fastened in a movement state and outputs the detected contro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nsor unit, 상기 휴대단말기 하측부의 좌측에 구성되는 측면센서부에 의하여 핸들부의 좌측 방향 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며, 상기 휴대단말기 하측부의 우측에 구성되는 측면센서부에 의하여 핸들부의 우측 방향 이동을 감지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구조. Detects the left side movement of the handle part by the side sensor part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and the right side of the handle part by the side sensor part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structure for detecting a movement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제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센서부는 로드부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여 해당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구조. The sensor unit is a cursor movement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output of the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the physical contact of the rod.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메뉴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A start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menu using an additional service is searched by the mobile terminal; 상기 시작과정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경우에 스틱부를 구동하는지 기능키 버튼부를 구동하는지 판단하고 선택된 기능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구동과정과, A driving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a stick unit or a function key button unit and inputting a control signal from a selected function unit when searching for a menu in the start process; 상기 구동과정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커서가 표시되는 메뉴 위를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커서과정과, A cursor process for controlling the cursor to move on the displayed menu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proces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rsor is selected; 상기 커서과정에서 선택된 메뉴가 게임이면 해당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이 아니면 해당 메뉴를 실행하는 운용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방법. If the menu selected in the cursor process is a game, the corresponding game is executed;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riving process,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스틱부를 구동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the stick unit by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판단과정에서 판단하여 스틱부를 구동하는 경우 스틱부로부터 상하좌우와 선택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up, down, left, right, and selection from the stick part when driving the stick part by judging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상기 판단과정에서 판단하여 스틱부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는 기능키 버튼부로부터 상하좌우와 선택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방법. The method of moving the cursor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s input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the selection from the function key button unit when the determination is not made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ursor process, 상기 구동과정의 제어부가 표시하는 메뉴 위에 커서를 중첩 표시하고 상기 인가되는 상하좌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커서를 이동 표시하는 과정과, Superimposing a cursor on a menu displayed by the controller of the driving process and moving and displaying the cursor by the applied control signals of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상기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방법. And determining whether to select a menu where the cursor is located.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peration process, 상기 커서과정에 의하여 선택된 메뉴가 게임 메뉴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he menu selected by the cursor process is a game menu; 상기 판단과정에서 판단하여 게임메뉴이면 선택된 게임을 실행하는 과정과, Judging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if the game menu is selected, executing the selected game; 상기 판단과정에서 판단하여 게임메뉴가 아니면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커서 이동방법.The method of moving the cursor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selected menu if not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menu.
KR1020040008003A 2004-02-06 2004-02-06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KR1006641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003A KR100664111B1 (en) 2004-02-06 2004-02-06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CNB2004100865065A CN100464288C (en) 2004-02-06 2004-10-21 Portable terminal cursor shifting device and it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003A KR100664111B1 (en) 2004-02-06 2004-02-06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518A KR20050079518A (en) 2005-08-10
KR100664111B1 true KR100664111B1 (en) 2007-01-04

Family

ID=3488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003A KR100664111B1 (en) 2004-02-06 2004-02-06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4111B1 (en)
CN (1) CN100464288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40834B (en) * 2005-09-30 2014-10-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Circular menu display device and its display controlling method
US7523418B2 (en) * 2006-03-15 2009-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choosing a position on a display having a cursor
CN101356493A (en) * 2006-09-06 2009-01-28 苹果公司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CN102289613A (en) * 2011-06-22 2011-12-21 北京天诚盛业科技有限公司 Liquid crystal universal serial bus (USB) Key equipment capable of identifying fingerprint
CN102890580B (en) * 2012-09-06 2016-06-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The method that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ursor position is selecte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604Y1 (en) 2001-05-21 2001-10-29 엘지전자주식회사 Stick type 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20073633A (en) * 2001-03-15 2002-09-28 김영수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irection-key input device
KR20030006217A (en) * 2001-07-12 2003-01-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Apparatus for operating cursor in mobile terminal
KR20030016476A (en) * 2001-08-20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ick type pad of mobile phone
KR200308528Y1 (en) 2002-12-28 200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Joystick of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8564B2 (en) * 1994-02-22 1997-11-1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Direc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JP3406800B2 (en) * 1997-04-25 2003-05-12 ホシデン株式会社 Control switch
JP2002261918A (en) * 2001-03-02 2002-09-13 Hitachi Ltd Cellular phone
JP2002351598A (en) * 2001-05-24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4256685B2 (en) * 2002-05-13 2009-04-2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Multi-directional input key and key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633A (en) * 2001-03-15 2002-09-28 김영수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irection-key input device
KR200244604Y1 (en) 2001-05-21 2001-10-29 엘지전자주식회사 Stick type 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30006217A (en) * 2001-07-12 2003-01-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Apparatus for operating cursor in mobile terminal
KR20030016476A (en) * 2001-08-20 200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ick type pad of mobile phone
KR200308528Y1 (en) 2002-12-28 200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Joystick of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4288C (en) 2009-02-25
CN1652072A (en) 2005-08-10
KR20050079518A (en)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64538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using action influence of user to control and its control method
US20080129685A1 (en) Touch Selection Device
KR10133994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nput Device
JPWO200814674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television display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01069223A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201300072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in portab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EP2544436A1 (en) Interfac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2005182367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1147773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664111B1 (en) A method and a structure and a apparatus of moving cursor for mobile phone
JP2007082101A (en) Mobile terminal, and program used for same
US20160077551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apparatus
JP2004038603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05269567A (en) Mobile terminal
KR101302091B1 (en) Game device
KR101353415B1 (en) The mobile terminal of pen mouse type
JP2004362316A (en) Telephone with two-step switch
JP2002099381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KR100608795B1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input message for mobile phone
KR100774986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60034118A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 window screen in portable terminal and terminal used for the same
KR100664165B1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joystick for mobile phone
KR101080530B1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power saving with display part for mobile phone
KR100790070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in wireless terminal
KR20060114272A (en) Methods and apparatus&#39; of improving ui performance for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