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506B1 - Sliding-typ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Sliding-type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506B1
KR100663506B1 KR1020050114194A KR20050114194A KR100663506B1 KR 100663506 B1 KR100663506 B1 KR 100663506B1 KR 1020050114194 A KR1020050114194 A KR 1020050114194A KR 20050114194 A KR20050114194 A KR 20050114194A KR 100663506 B1 KR100663506 B1 KR 10066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housing
sliding housing
main bod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여진
김준서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5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5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minimize a connection line width of a flexible circuit which electrically connects a main housing to a sliding housing and to maximize the reliability of a product by installing only a speaker and a display unit at the sliding housing.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main body housing(10), the first sliding housing(20) and the second sliding housing(30). The first sliding housing(20) opens/closes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10) by moving over the main body housing(10) while continuing to maintain a state that the first sliding housing(20) faces the second sliding housing(10). The first sliding housing(20) always hold a force to be opened away from the main body housing(10), and automatically moves to a set distance if the first sliding housing(20) is released from a restriction state with the main body housing(10). The second sliding housing(30) faces the first sliding housing(30) over the main body housing(10) and releases a restriction stat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20) through a sliding movement.

Description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SLIDING-TYPE MOBILE PHONE}Sliding type mobile terminal {SLIDING-TYPE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sliding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open;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3 to 5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엠비 폰, 게임 폰, 채팅 폰, 카메라 폰, MP3 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손을 이용한 개폐 동작이 편리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M phone, a game phone, a chat phone, a camera phone, an MP3 phone, a cellular phone, a PC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hand-held phone (HHP),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which is easy to open and close using one hand.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 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terminal" in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slim, grip,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their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 direction in which various functions can be pursued.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휴대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휴대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휴대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por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in the bar-type, the flip-type por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shaped housing,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 단말기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휴대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휴대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ethod. A necklace-typ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typ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to a wrist.

또한, 휴대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휴대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 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휴대 단말기휴대 단말기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able por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of the two hous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tha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bove-described variously classified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s will be readily understood.

아울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the camera lens is adopted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has been a tren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and the lik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portab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externally or internally so that video calls with a counterpart or a desired subject photograph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 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두개의 대응하는 하우징, 즉 본체 하우징과, 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하우징이 본체 하우징 상에서 이동하여 본체 하우징 상면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슬라이딩 하우징에 스피커 장치, 표시 장치 및 다수 개의 키들이 배열되고, 이러한 구성 요소는 본체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성 회로가 사용되는 바, 슬라이딩 하우징에 너무 많은 요소가 배치되어서 연성 회로의 회로 라인이 증가함으로서, 연성 회로의 폭 증가로 인한 단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However, among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in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is composed of two corresponding housings, namely, a main body housing and a sliding housing, and the sliding housing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liding housing moves on the main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The device and a plurality of keys are arranged, and this component is used a flexible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body housing, too many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sliding housing so that the circuit line of the flexible circuit increases, so that the width of the flexible circu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disconnection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즉,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연성 회로는 어느 정도 벤딩되고, 이러한 동작에 따라서 연성 회로의 벤딩 부분에 응력이 발생한다. 이 때, 연성 회로의 폭이 작아야 응력 영향이 작지만,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할 회로 라인이 많아서 연성 회로의 폭이 커지면, 그 만큼 벤딩 부분의 응력이 커지게 되어서 단선될 확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That is, the flexible circuit is bent to some extent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nd stress is generated in the bending po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 this case, the stress influence is small when the width of the flexible circuit is small, but the width of the flexible circuit is increas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circuit line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 stress of the bending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probability of disconnection increases.

또한,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딩 하우징의 열림 동작 시, 한 손에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방으로 어느 정도 이상의 거리까지 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보편적으로 엄지 손가락은 아래 방향으로 내리는 동작이 용이하지만,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손에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방으로 어느 정도 이상의 거리까지 밀어야 함으로서, 여는 동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손에 휴대 단말기를 쥔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여는 동작의 거리가 짧아야 여는 동작이 편리하지만,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여는 동작 거리가 길이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여는 동작은 엄지 손가락이 아닌 다른 손가락을 이용할 때에도 여는 거리가 짧고, 아래로 향해야 편리하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n inconvenience of raising the sliding housing upward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using a thumb 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housing is opened is generated. Generally, the thumb is easily lower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ut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opening operation is inconvenient because it needs to be pushed upwards to a certain distance by using the thumb in a state of being held in the hand. In addition, the opening operation is convenient when the distance of opening using the finger is short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held in the hand, but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has a long opening distance using a finger, which causes inconvenience. The opening operation is short, even when using a finger other than the thumb, it is convenient to face down.

즉,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여는 과정은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것과, 짧은 슬라이딩 거리가 요구되었다.That is, the process of opening by using a thumb while holding the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hort sliding distance were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가 용이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손에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또는 그 밖의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개폐가 용이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using a thumb or other finger in a state of being held in one ha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손에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측으로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서, 열림 동작이 편리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nvenient opening operation by providing a pushing force downward using a thumb in a state of being held in one ha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슬라이딩 하우징에 스피커와 표시 장치만이 장착되어 본체 하우징과 슬라이딩 하우징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의 연결 라인 폭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n which only a speaker and a display device are mounted in one sliding housing, thereby minimizing a connection line width of a flexible circu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sliding housing to maximize product reliability. In prov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은 미는 힘과 적은 슬라이딩 이동 거리로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small pushing force and a small sliding movement distance.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본체 하우징;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을 개폐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열리려는 힘을 보유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 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소정의 거리까지 이동하는 제1슬라이딩 하우징; 및The main body is mov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facing the body continuously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has a force to always ope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housing, the restrained state is A first sliding housing which automatically move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released; And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과 대치하게 마주보고, 그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제2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된다.And a second sliding housing facing the first sliding housing in a state of facing on the body housing and releasing a restraint stat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by sliding movement thereof.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개폐의 용이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추구한 단말기로서, 세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바, 하나의 본체 하우징(10)과, 두 개의 제1,2슬라이딩 하우징(20,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멀어지는 방향,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상 열리려는 힘을 보유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 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소정의 거리까지 이동한다.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과 대치하게 마주보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은 자신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의 구속 상태를 해제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in pursuit of the ea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onsisting of three housings, one main body housing 10, two Two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20 and 30.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moves to open and clos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0 while continuously moving the facing state on the main housing 10. In addition,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has a force to improve and ope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housing 10, specific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housing 10, and the body housing 10. When the restraint state is released in the state of restraint), it automatically move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is mounted to face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so as to face the main housing 10. In addition,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releases the restrained stat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by its sliding movement.

즉,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의 슬라이딩 이동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강제적인 힘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후에 가한 강제적인 힘이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원 위치로 복귀한다. 즉,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은 원위치로 유지하려는 힘을 항시 보유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한 강제적인 힘으로 이동하고, 강제적인 힘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이동한다. 도 2에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이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의 구속 상태를 해제시켜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이고,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20)이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가 보여진다. 도 2의 화살표①는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에 사용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의미하고, 화살표②는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이 열리는 방향을 의미하며, 화살표③은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에 가해진 강제적인 힘이 제거된 경우,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물론,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완전히 열린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을 강제적으로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까지 강제적으로 밀면,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이 이동할 수 없는 구속상태가 되어 도 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is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by a force provided by the user, and the forced force applied after the movement is Once removed, it will automatical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since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always retains the force to maintain the original position,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moves to the forced force applied by the user, and moves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ed force is removed. In FIG. 2,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releases the restraint stat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so that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second sliding housing 20 is in its original position. The status returned to is shown. 2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force forcibly applied by the user to the second sliding housing, and the arrow ② indicates that the restrained stat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is released to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This opening direction means an arrow ③, and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ibl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is removed. Of course, if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forcibly pushed to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by forcibly pushing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is in a restrained state. The state as shown in FIG. 1 is maintained.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은 그의 상면에 스피커 장치(210)와, 상기 스피커 장치(210)와 바로 이웃하는 표시 장치(212)만이 배치된다. 상기 표시 장치(212)는 액정 표시 장치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에 장착된 스피커 장치(210)와 표시 장치(212)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미도시된 공지의 연성 회로가 담당한다. 미도시된 연성 회로는 종래의 구성, 즉, 스피커 장치, 표시 장치 및 다수 개의 키들을 본체 하우징에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성 회로의 회로 라인이 많아서 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에 따라서 단선될 확률이 높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에 스피커 장치(210)와 표시 장치(212)만을 배치하여, 개폐 동작이 반복되는 동안에 연성 회로의 회로 라인 폭과 연성 회로에 전달되는 진동을 기존에 비해서 최소화하였다.Only the speaker device 210 and the display device 212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peaker device 210 ar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The display device 212 may be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speaker device 210 and the display device 212 mounted on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shoul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housing 10. Such electrical connection may include a known flexible circuit (not shown). In charge. The flexible circuit not shown has a high probability of disconnec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housing due to the large number of circuit lines of the flexible circuit because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at is, the speaker device, the display device, and a plurality of keys must be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peaker device 210 and the display device 212 are disposed in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thereby minimizing the circuit line width of the flexible circuit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lexible circuit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repeated. It was.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의 상면에는 기능 키와 관련된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310)와 마이크 장치(312)만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 개의 3*4 키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110)만이 배치된다.Only the first keypad 310 and the microphone device 312 which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in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related to the function keys are disposed. As illustrated in FIG. 2, only a second keypad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3 * 4 key arrays opened and closed by movement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잡아 당기과 동시에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 간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은 원위치로 복귀하여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 단말기를 한 손에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을 약간 하측으로 미는 힘만을 제공하면,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 상에서 완전히 열리게 됨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여는 동작이 매우 편리하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개폐 동작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의 이동 거리가 매우 짧고, 이동 방향이 엄지 손가락이 움직이기 편리한 하방으로 향함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제1슬라 이딩 하우징의 여는 동작이 매우 편리하다.An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In the state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pulls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downward, the user can release the restraint state between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and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simultaneously. Moves upward of the body housing 10. Subsequently,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is removed,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force for pushing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downward by using a thumb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held in one hand by the user. 10) being completely opene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very convenient. In particular,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short moving distance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and a downward movement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liding housing is very convenient.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2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 이후의 이동 힘과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30)의 복귀 힘은 미 도시된 탄성체,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An unillustrated elastic body,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may be used as a moving force after the restrained stat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20 is released and the return force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30.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여는 동작이 편리해졌고, 제조업자의 관점에서 휴대 단말기의 고 신뢰성을 추구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opening opera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achieves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duct by pursuing the high reli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anufacturer's point of view.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본체 하우징;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을 개폐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열리려는 힘을 보유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 상태가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소정의 거리까지 이동하는 제1슬라이딩 하우징; 및The main body is mov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facing the body continuously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has a force to always ope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housing, the restrained state is A first sliding housing which automatically move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released; And 상기 본체 하우징 상에서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과 대치하게 마주보고, 그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제2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sliding housing facing the first sliding housing in a state of facing on the body housing, and releasing a restraint stat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by sliding movement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강제적인 힘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후 가한 강제적인 힘이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원 위치로 복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liding housing by a forcing force provided by the user, and if the forcing force applied after the movement is removed And a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의 상면에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스피커 장치; 및Speaker devices; And 상기 스피커 장치와 바로 이웃하는 표시 장치만이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only a display devic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speak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의 상면에는 기능 키와 관련된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만이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only a first keypad including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associated with a function key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은 상기 제2슬라이딩 하우징에 종속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is dependent on the second slidin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is direc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 개의 3*4 키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만이 배치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only a second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3 * 4 key arrays arrang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movement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KR1020050114194A 2005-11-28 2005-11-28 Sliding-type mobile phone KR1006635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94A KR100663506B1 (en) 2005-11-28 2005-11-28 Sliding-type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94A KR100663506B1 (en) 2005-11-28 2005-11-28 Sliding-type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506B1 true KR100663506B1 (en) 2007-01-02

Family

ID=3786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194A KR100663506B1 (en) 2005-11-28 2005-11-28 Sliding-type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50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169A (en) * 2002-08-22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77031A (en) * 2003-02-27 2004-09-04 주식회사 슈버 Rack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of both sides opening and shutting type utilizing the same
KR20050079361A (en) * 2004-02-05 2005-08-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Bilateral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169A (en) * 2002-08-22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77031A (en) * 2003-02-27 2004-09-04 주식회사 슈버 Rack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of both sides opening and shutting type utilizing the same
KR20050079361A (en) * 2004-02-05 2005-08-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Bilateral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41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up/down keys
KR100713483B1 (en) Sliding-type mobile phone using flexible material
KR100630098B1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418B1 (en)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663573B1 (en) Tri-hinge folder 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532334B1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18169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466B1 (en) Slim type mobile phone
KR10063010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pop up type keypad
KR20050100478A (en) Portable phone with automatic sliding pop-up type display unit
KR100663550B1 (en) Folding tyoe portable telephone
KR100640342B1 (en) 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tep-compensated mechanism
KR100630067B1 (en) Dual hing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da
KR10053993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40388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touch key
KR100606108B1 (en) Swing-type portable digital telephone and swing hinge device thereof
KR100703498B1 (en) Folding-type portable telephone
KR100663506B1 (en) Sliding-type mobile phone
KR100703510B1 (en)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with optical zoom lens assembly
KR20070021723A (en) Sliding-type portable device with wide display area
KR101075648B1 (en) Sliding/sw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KR100506223B1 (en) Portable phone
KR20060121483A (en) Sliding-type mobile phone
KR101058654B1 (en) Two Way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10556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