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774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774B1
KR100660774B1 KR1020040060045A KR20040060045A KR100660774B1 KR 100660774 B1 KR100660774 B1 KR 100660774B1 KR 1020040060045 A KR1020040060045 A KR 1020040060045A KR 20040060045 A KR20040060045 A KR 20040060045A KR 100660774 B1 KR100660774 B1 KR 10066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p dat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290A (ko
Inventor
최원익
지영민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04006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7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동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된 메모리 수단에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단계;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생성된 지도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는, 절대 위치 좌표로 표시된 지도 데이터에서 하나의 기준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한 위치 좌표를 상기 기준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대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복수 회 반복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압축된 지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 지도 이미지, 현재 위치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Displaying User's Current Position On Display of A Mobile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정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 데이터의 압축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0: 메모리 수단
720: 측위 모듈
730: 지도 데이터 검색부
740: 지도 이미지 생성부
75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동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차량 등 운송 장치(vehicle)의 주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자동 항법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구상에 떠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 정보,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운송 장치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지도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GPS 수신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위치를 제공하거나 그에 따른 대중 교통 상황을 제공하는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 위치 조회 서비스, 친구 찾기 서비스 및 대중교통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저장 공간이 작다는 제약 때문에 소정의 정보가 필요할 때 마다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는 서버에 접속하여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으므로,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해 무선 망에 접속하는 통신료가 비싸다는 단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는 다운로드 받은 지도 데이터를 단순히 보여주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상기 다운로드 받은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할 때 마다 소정의 패킷 전송에 따른 통신료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위치 제공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자신의 위치를 제공 받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GPS 기능을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하는 방법은 소정의 지역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압축하여 소 용량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확대, 축소를 용이하게 하 는 기능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서버 의존적이었던 위치 제공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직접 수행하게 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관된 다양한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측위 모듈을 내장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 용량의 메모리 수단에 적당하게 지도 데이터를 압축하여 소정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서버 의존적이었던 위치 제공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직접 수행하게 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관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지역에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해 두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접근하여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데 소요되는 통신료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 공간의 제약이 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지도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 공간의 제약이 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 자체의 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된 메모리 수단에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기록하여 유지하는 단계;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생성된 지도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는, 절대 위치 좌표로 표시된 지도 데이터에서 하나의 기준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한 위치 좌표를 상기 기준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대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복수 회 반복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압축된 지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내장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고, 무선 인터넷(120)을 통해 소정의 지도 서버(130)에 접속하여 선택된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는 PC 등 별도의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지도 서버(130)에 접속하여 지도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PC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
지도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내장 또는 외장된 메모리 수단에 기록, 유지된다. 상기 지도 데이터는 지도 서버(13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소정의 압축 방법에 의해 압축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지도 데이터에 비하여 그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다. 상기 압축 방법은 절대 위치 좌표로 표시된 지도 데이터에서 하나의 기준 위치 좌표를 설정하고, 소정의 지역에 대한 위치 좌표를 상기 기준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대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을 복수 회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의 압축 방법을 이용하면 지도 데이터는 본래의 지도 데이터에 비해 현저하게 압축될 수 있으며, 지도 데이터가 방대할수록 그 효과는 더 크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산출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연관된 소정의 지역을 파악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GPS 수신기를 내장 또는 외장하고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MS-based 방식에 따라 소정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직접 산출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검색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소정의 지역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검색된 지도 데이터로부터 도로 정보 및 건물 정보(POI)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도로 정보 및 건물 정보의 포인트, 폴리곤, 폴리라인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한다.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와 같이 생성된 지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패드의 버튼을 누르는 등 별도의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아도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폴더 또는 플립을 여는 등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는 소정의 액션만 취하면 사용자는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는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지도 서버(130)로부터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PC 등 별도의 사용자 컴퓨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수신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역을 선택 받아, 선택된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지도 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지도 서버(13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그리드 별 지도 데이터를 유지한다. 그리드는 지도 데이터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위이다. 지도 서버(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수신 요청이 입력된 경우,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그리드를 식별한다. 지도 서버(130)는 상기 그리드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21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내장 또는 외장된 메모리 수단에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기록하여 유지한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 공간의 제약 때문에 지도 데이터를 대부분 위치 제공 서버에서 필요 시마다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들에게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지도 데이터의 크기 및 현재 다운로드 받은 지도 데이터의 확대, 축소 시마다 그에 따른 패킷 데이터 전송에 따른 통신료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지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메모리 수단에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종래기술에서의 통신료 부담을 감소시킨다.
다만,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휴대용 단말기라는 측면에서 저장 공간의 제약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현재 위치 표시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자체의 메모리 수단뿐만 아니라 외장된 별도의 메모리 수단을 이용하여 저장 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을 확대하는 방법 외에도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할 지도 데이터 자체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소 용량의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을 사용하기 위하여 소정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소정의 압축 방법을 적용하여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저장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필요 시마다 서버에 접속하여 지도 데이터를 제공 받아야 했던 통신료 부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존해야 했던 종래의 위치 제공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직접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더 효율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단계(S22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내장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자체적으로 내외장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수신하거나, 소정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MS-based 방식으로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MS-based 방식은 이동통신단말기(110)에서 직접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획득된 현재 위치는 소정의 오차가 존재하며 이러한 오차에 의해 상기와 같이 획득된 현재 위치를 바로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소정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일예를 이하 도 2b 및 도 2c에서 설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측 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단계(S221)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람의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임계 거리를 선정한다. 상기 임계 거리는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측위 오차의 편차를 고려하여 일정한 반경 안에 위치해야 하는 소정의 제한 거리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한 걸음 움직이는데 보통 50 cm 를 걸을 수 있다고 가정하여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시간당 4 Km 로 설정하고, 현재 위치의 산출 주기와 상기 보행 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임계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 거리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고, 일률적으로 보통 성인의 걸음 거리를 평균으로 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S222)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일정 횟수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측위 모듈로부터 "측위"를 입력 받는다. 본 명세서에서 "측위"란 용어는 '측정된 현재 위치' 또는 '현재 위치를 측정함'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경로를 예측할 수 없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실시간으로 측위된 사용자의 위치를 입력 받아 일정 횟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된 측위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단계(S223)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입력된 측위 중에서 사용자의 직전현재 위치와 임계 거리를 비교하여 임계 거리 밖에 있는 측위를 제거하여 필터링 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측위한 사용자의 위치를 지도 이미지 상에 곧바로 적용할 경우, 해당 표시 위치가 너무 요동치거나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무관하게 표시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측위 오차를 줄이기 위해 일정 횟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측위 각각을 임계 거리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직전 위치에 대한 임계 거리 밖에 있는 측위를 삭제하는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단계(S224)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필터링된 측위의 평균인 평균 측위를 산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필터링된 측위와 필터링된 측위가 입력된 시점을 고려하여 필터링된 측위로부터 방향성을 판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판단 결과 필터링된 측위가 방향성을 갖는 경우, 필터링된 측위에 입력 시점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 측위를 산출한다. 예컨대, 입력 시점이 가장 앞선 제1 측위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5"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측위의 입력 시점보다 늦은 입력 시점을 가지는 제2 측위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3"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2 측위보다 늦은 입력 시점을 가지는 제3 측위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입력 시점이 다르므로, 입력된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 측위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측정될 경우, 최근 측위에 대해 가중치를 높여 가중 평균을 구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로 이동하는 경우와 현재 위치에 대한 지연 시간을 적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S225)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산출된 평균 측위를 추정 위치로 결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걸어가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직전 위치와 근접한 측위와 근접하지 않은 측위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평균 측위를 추정 위치로 결정하여, 이와 같이 산출된 추정 위치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산출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된 이동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단계(S226)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경로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도 2b에서와 같이 산출된 추정 위치를 경로 상에 정사(正射)시킨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미리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서부터 목적지 정보까지 경로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경로 탐색 요청에 의해 탐색된 경로 중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경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걸어가는 속도에 맞추어 예상한 경로 상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며, 위에서 결정한 추정 위치를 사용자가 가고 있는 경로 상에 정사시킨다.
단계(S227)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정사에 의해 결정된 경로 상의 지점을 "정사 위치"라고 하면, 추정 위치와 정사 위치의 거리가 최소인 정사 위치를 선택한다. 상기 추정 위치를 경로 상에 정사시키는 경우 정사 위치는 하나 이상 발생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상기 추정 위치와 정사 위치의 거리가 최소인 정사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의 측위한 오차의 편차는 실제 사람의 보행 속도에 따른 실제 위치 변화보다 큰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 2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위 모듈에서 측위한 위치를 지도 이미지의 위치 표시에 곧바로 적용할 경우 해당 위치 표시가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의 일예로, 걸어가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예측 정보가 없는 경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내장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산출하는데, 산출한 측위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선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을 모르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측위 모듈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위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한 평균 측위를 추정 위치로 결정한다. 사용자가 도면과 같이 길 위를 따라 걷고 있다면,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측정한 측위 중에서 사용자의 직전 위치와 임계 거리 밖에 위치한 측위(예를 들면 330)는 제거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필터링된 측위를 제외하고, 임계 거리 안에 위치한 측위(예를 들면, 320, 340)를 사용자의 직전 위치에 연관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직전 위치와 근접한 측위(320)는 가중치를 높게 부여하고, 사용자의 직전 위치와 근접하지 않은 측위(340)는 가중치를 낮게 부여하여 평균인 평균 측위를 산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산출된 평균 측위를 추정 위치로 결정하여 결정된 추정 위치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단계(S228)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추정 위치와 선택된 정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선택된 정사 위치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결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추정 위치와 정사 위치 사이의 거리를 비교하여, 임계 거리를 초과한 경우, 정사 위치가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즉 사용자가 경로 상을 이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추정 위치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결정한다. 반대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추정 위치와 상기 정사 위치가 상기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정사 위치를 현재 위치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경로뿐만 아니라 상기 경로 상에서의 이동 방향을 더 고려하여 현재 위치를 결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지속적으로 산출되는 정사 위치의 이동 방향이 경로 상에서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선택된 정사 위치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결정한다. 상기 정사 위치의 이동 방향은 사용자의 직전 정사 위치와 현재 정사 위치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정사 위치의 이동 방향이 경로 상에서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택된 정사 위치는 잘못된 정보이므로 무시하고 새로운 정사 위치를 산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실제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현재 위치가 요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여, 단계(S23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산출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 중에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단계(S24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검색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지도 데이터는 벡터 지도 데이터로서 도로, 건물 등의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포인트, 폴리곤 및 폴리 라인의 좌표 정보, 색상 정보, 축소 또는 확대를 위한 레벨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단계(S25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부가 대기 모드인 경우, 생성된 지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는 경우(예를 들면, 폴더나 플립을 여는 경우)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생성된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가 통화 중이거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 중인 경우에는 해당 화면을 표시하고, 기본적으로 대기 모드에서는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지도 데이터 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되며, 이하 지도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이 채택한 다양한 기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드를 이용하여 소정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지도 데이터만을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기록하는 과정을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정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 공간이 상당히 작아서 그에 따른 제약이 많은데, 한국, 미국, 캐나다, 유럽 등과 같이 광활한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모두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지도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사각형으로 클리핑(잘라냄)하여 일부 지역의 지도만을 저장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일부 지역을 사각형으로 클리핑할 경우,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는 도 4의 도면 부호(410)으로 표시한 큰 사각형과 같이 사용자가 실제로 원하지 않는 영역(빗금치지 않은 영역)도 다수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불필요한 영역을 포함한 지도 데이터를 기록 유지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낭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지역을 그리드로 분할하고, 분할된 그리드 중에서 상기 지역을 포함하는 최소한의 그리드를 선택(빗금친 영역)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선택한 최소한의 그리드를 지도 데이터로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다. 지도 서버(130)는 소정의 지역을 그리드 별로 분할하여 유지할 수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수신 요청을 입력 받아 그리드에 포함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지역을 클리핑 하더라도 본 발명의 빗금친 영역은 14개의 그리드 만큼의 데이터 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지도 데이터 자체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 데이터의 압축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지도 형상을 나타내는 폴리곤, 라인, 포인트 등은 그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좌표계를 사용하며, 이 좌표계는 절대 좌표계가 이용될 수 있다. 폴리곤의 경우 n개의 좌표가 폐곡선을 이루는 형태이며, 라인의 경우 n개의 좌표가 이어져 폴리라인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고, 포인트는 한 개의 좌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대 좌표는 보통 두 개의 정수 또는 실수의 쌍으로 표기되는데, 절대 좌표를 그대로 지도 데이터에 사용하는 것은 매우 많은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절대 좌표로 구성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게 되면, 저장 공간이 증가하여 메모리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저장 공간에 적당하게 지도 데이터의 크기를 압축하여 최대한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형상의 왜곡은 전혀 없이, 원점과 옵셋 리스트로 지도 데이터를 변형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는 종래의 사각형 좌표를 표기하기 위해 절대 좌표 체계를 이용하여 4개의 좌표를 (152000, 523000), (156000, 523000), (152000, 527000), (152000, 527000)으로 표기한다. 지도 데이터를 상기와 같은 절대 좌표로 표기하는 경우, 하나의 좌표 당 8 바이트(byte)가 사용되어 총 32 바이트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는 저 용량이므로 크기가 너무 큰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도 데이터는 절대 위치 좌표로 표기된 지도 데이터에서 하나의 기준 위치 좌표(510)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지도 데이터는 소정의 지역에 대한 위치 좌표를 기준 위치 좌표(510)에 기초하여 상대 위치 좌표(520)로 변환한다. 상기 상대 위치 좌표(520)은 기준 위치 좌표(510)의 절대 좌표(150000, 520000)만큼의 크기를 쓰지 않고, 옵셋(400, 0)으로 표기하여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지도 데이터는 나머지 3개의 좌표에 대해서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기준 위치 좌표(510)에 대응하는 상대 위치 좌표(530, 540, 550)를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도 데이터는 1번의 압축 과정을 통해 4개의 좌표에 대하여 총 28 바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절대 위치 좌표를 사용할 때보다 4 바이트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압축 방법을 동일한 지도 데이터에 대해 2, 3회 정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그 용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지도 데이터는 좌표의 개수가 많을수록 기준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상대 위치 좌표를 줄일 수 있으므로, 압축율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는 지도 데이터의 용량을 축소하기 위하여 포인트 중에서 보간점에 대한 정보를 제한적으로 생략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지도 서버(130)에서 수행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용량이 축소된 지도 데이터를 제공 받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지도 서버(130)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제공 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지도 서버(130)에서 보간점에 대한 정보를 제한적으로 생략하여 지도 데이터의 용량을 축소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지도 서버(13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 중에서 폴리라인 또는 폴리곤을 구성하기 위한 보간점을 각각 식별한다. 지도 서버(130)는 식별된 보간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두 개의 링크를 연결하는 제1 보간점에서 상기 두 개의 링크가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를 소정의 임계 각도와 비교한다. 이러한 과정을 지도 서버(130)는 각각 식별된 보간점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비교 결과 상기 산출된 각도가 상기 임계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산출된 각도에 해당하는 제1 보간점을 각각 제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도 서버(130)는 식별된 보간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연속된 두 개의 보간점인 제1 보간점 및 제2 보간점을 식별한다. 지도 서버(130)는 식별된 제1 보간점 및 상기 제2 보간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산출된 거리와 소정의 임계 거리를 비교한다. 지도 서버(130)는 각각 식별된 보간점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비교 결과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임계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산출된 거리에 해당하는 제2 보간점을 각각 제거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지도 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지도 데이터에서 폴리곤 또는 폴리라인은 n개의 보간점으로 구성되는데, 보통 2개 이상에서 2000개 정도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지도 데이터를 확대할 때는 지도의 정밀도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든 보간점을 표기하여야 하지만, 그 외에는 보간점을 모두 표기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비효율적으로 크기가 큰 지도 데이터는 메모리의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 용량의 메모리에 적당하게 최소한의 형상 왜곡으로 지도 데이터를 표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지도 데이터에서 폴리라인 또는 폴리곤을 구성하기 위한 보간점을 각각 식별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식별된 보간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두 개의 링크를 연결하는 제1 보간점(P1)과 제2 보간점(P2)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를 소정의 임계 각도와 비교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제2 보간점(P2)과 제3 보간점(P3)에 대해서도 각도(반직선(P2, P3)와 선분(P1, P2)가 이루는 각)를 산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산출된 각도가 상기 임계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산출된 각도에 해당하는 제2 보간점(P2)을 제거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각각 식별된 보간점(P4, P5, P6)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P2-P3와 P3-P4의 각도가 상기 임계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산출된 각도에 해당하는 제3 보간점(P3)을 제거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P4-P5와 P5-P6의 각도를 비교하여 비교한 각도가 상기 임계 각도 이상인 경우, 산출된 각도에 해당하는 제5 보간점(P5)을 제거하지 않고 표기한다. 이렇게 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는 P1', P5', P6'로 표기되어 6개의 보간점을 3개의 보간점으로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식별된 제1 보간점(P1) 및 상기 제2 보간점(P2)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산출된 거리와 소정의 임계 거리를 비교한다. 도 6a에서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각각 식별된 보간점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비교 결과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임계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산출된 거리에 해당하는 제2 보간점을 각각 제거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700)는 메모리 수단(710), 측위 모듈(720), 지도 데이터 검색부(730), 지도 이미지 생성부(740), 디스플레이부(750)를 포함한다.
메모리 수단(710)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되어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기록하여 유지한다. 메모리 수단(710)은 지도 서버로부터 소정의 압축을 적용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측위 모듈(720)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측위 모듈(720)은 MS_based 방식으로 소정의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수신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700)에 내, 외장된 GPS 수신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측위 모듈(720)은 산출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메모리 수단(710)에 저장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 검색부(730)는 메모리 수단(710)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산출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검색한다. 지도 데이터 검색부(730)는 검색된 지도 데이터에 대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지도 이미지 생성부(740)로 전송한다.
지도 이미지 생성부(740)는 검색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한다. 지도 이미지 생성부(740)는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최소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단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50)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여는 등의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생성된 지도 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750)는 표시한 지도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확대, 축소 및 저장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 메모리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 용량의 메모리 수단에 적당하게 지도 데이터를 압축하여 소정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효 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서버 의존적이었던 위치 제공 서비스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직접 수행하게 함으로써,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관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지역에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해 두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접근하여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데 소요되는 통신료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공간의 제약이 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지도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공간의 제약이 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지도 데이터 자체의 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지도 서버로부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그리드 영역으로 구분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절대 위치 좌표로 표시된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하나의 기준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한 위치 좌표를 상기 기준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대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반복하여 압축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지도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 또는 외장된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생성된 지도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측위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사람의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임계 거리를 선정하는 단계;
    일정 횟수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측위 모듈로부터 측위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측위 중에서 사용자의 직전 위치와 상기 임계 거리를 비교하여 임계 거리 밖에 있는 측위를 제거하여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측위의 평균인 평균 측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평균 측위를 추정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추정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측위의 평균인 평균 측위를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필터링된 측위와 상기 필터링된 측위가 입력된 시점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링된 측위로부터 방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필터링된 측위가 방향성을 갖는 경우, 상기 필터링된 측위에 입력 시점 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평균 측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추정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경로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추정 위치를 상기 경로 상에 정사(正射)시키는 단계;
    상기 정사에 의해 결정된 상기 경로 상의 지점을 정사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추정 위치와 상기 정사 위치의 거리가 최소인 정사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위치와 상기 선택된 정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선택된 정사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위치와 상기 정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추정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위치와 상기 정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선택된 정사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추정 위치와 상기 정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이고 상기 정사 위치의 이동 방향이 상기 경로 상에서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정사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는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 중에서 폴리라인 또는 폴리곤을 구성하기 위한 보간점을 각각 식별하는 제1 단계;
    상기 식별된 보간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두 개의 링크를 연결하는 제1 보간점에서 상기 두 개의 링크가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산출된 각도를 소정의 임계 각도와 비교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각각의 보간점에 대하여 상기 산출된 각도가 상기 임계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산출된 각도에 해당하는 제1 보간점을 각각 제거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생성된 지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되는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는,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중에서 폴리라인 또는 폴리곤을 구성하기 위한 보간점을 각각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보간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연속된 두 개의 보간점인 제1 보간점 및 제2 보간점을 식별하는 제 1단계;
    상기 제1 보간점 및 상기 제2 보간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와 소정의 임계 거리를 비교하는 제3 단계;
    각각의 보간점에 대하여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임계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로부터 상기 산출된 거리에 해당하는 제2 보간점을 각각 제거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생성된 지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지도 서버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지역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그리드 영역으로 구분된 지도 데이터를 절대 위치 좌표로 표시된 상기 지도 데이터에서 하나의 기준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소정의 지역에 대한 위치 좌표를 상기 기준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대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반복하여 압축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록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측위 모듈;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산출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는 지도 데이터 검색부;
    상기 검색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지도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생성된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40060045A 2004-07-30 2004-07-30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660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045A KR100660774B1 (ko) 2004-07-30 2004-07-30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045A KR100660774B1 (ko) 2004-07-30 2004-07-30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290A KR20060011290A (ko) 2006-02-03
KR100660774B1 true KR100660774B1 (ko) 2006-12-22

Family

ID=3712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045A KR100660774B1 (ko) 2004-07-30 2004-07-30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92B1 (ko) * 2006-02-15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형 보폭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0810005B1 (ko) * 2006-09-11 2008-03-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Td-scdma 환경에서의 고 정밀도 실시간 측위 방법
KR100787578B1 (ko) * 2006-10-31 2007-12-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간단 이미지 교통 정보 서비스와현재 위치의 연계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125U (ko) * 1999-02-13 2000-09-25 김창의 개인 항법 장치
KR20050027656A (ko) * 2003-09-16 2005-03-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단말기 및 방법
KR20050078696A (ko) * 2004-01-31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125U (ko) * 1999-02-13 2000-09-25 김창의 개인 항법 장치
KR20050027656A (ko) * 2003-09-16 2005-03-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단말기 및 방법
KR20050078696A (ko) * 2004-01-31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290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5572B (zh) 用于移动设备的基于位置的高速缓存
US93924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6430499B1 (en) Information terminal and cartograph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6334087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from a server to movable terminals
US93540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downloading and displaying map data
US7490005B2 (en) Non real time traffic system for a navigator
CN100511324C (zh) 导航系统
US941105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receiving satellite navigational system signals
US7079950B2 (en) Location information convers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90326810A1 (en) Caching navigation content for intermittently connected devices
US20060135180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ervices and information to wireless mobile devices
KR100727903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주변 위치 정보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20040233101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28681A1 (en)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ocation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CA2648703C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downloading and displaying map data
KR20050032407A (ko) 지도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607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 표시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695346B1 (ko) 위성 디엠비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
KR100519627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 교통 정보 생성방법, 및 네비게이션 방법
JP2004325083A (ja) 経路決定装置、経路決定方法および経路決定プログラム
KR10054039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5055286A (ja) ナビゲーション端末、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95546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4100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ap for navigation
KR1005551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지도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