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231B1 -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Google Patents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231B1
KR100659231B1 KR1020050120764A KR20050120764A KR100659231B1 KR 100659231 B1 KR100659231 B1 KR 100659231B1 KR 1020050120764 A KR1020050120764 A KR 1020050120764A KR 20050120764 A KR20050120764 A KR 20050120764A KR 100659231 B1 KR100659231 B1 KR 100659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user
framework
commun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승희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0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2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2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for systematic analysis and provision in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to derive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n the basis of a scenario in which a similar life pattern is considered according to each of user groups and classify services in communication spaces of each person according to each application field by valuing the characteristics of a user-centralized personal service, thereby showing realistic possibility of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vision by mapping user's needs with technical needs. A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classifying users into plural group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and defining a scenario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each group; deriving a service provided to users of the predetermined group on the basis of the scenario and modeling a serv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fication in which the derived service is included; analyzing user's needs and deriving a service enabler for providing the modeled service to the user; and constructing the framework including infrastructure and a reference model for providing the service.

Description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체계적인 분석 및 제공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을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별 시나리오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모델링 방식이다.2 is a modeling method of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scenarios for each user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분야별 서비스 사례를 통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분류 맵이다.3 is a classification map of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service case for each application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비전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치, 서비스 요구사항, 서비스 인에이블러의 상호 연관성을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the correlation of user expectations, service requirements, and service enablers for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vis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성요소별 서비스 인에이블러가 포함된 참조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reference model including a service enabler for each infrastructure component for providing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체계적인 분석 및 제공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차세대 이동통신 환경에서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신속하게 제공하여 실현이 용이하도록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systematic analysis and provision of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providing services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quickly establish a concept. Provides a way to build a work.

종래에는, 단일 기술과 단일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는 인프라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획일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용량 증대나 성능 향상 등으로 인한 보다 나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가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을 요구할 때 체계적인 기법에 따른 적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고비용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related art, the service provider provides a uniform service by a service provider based on a single technology and an infrastructure built with a single system, or provides a better quality service by increasing capacity or improving performance. In the case of providing a service using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and high cost are caused when the user requests the provision of a new service because application is not easy.

또한, 미래 모바일 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려면 모바일 라이프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술들의 효율적인 조합과 새롭게 대두되는 기술을 적시에 수용하는 서비스 제공 기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러나 설계 및 구현 단계에서 재사용성, 융통성, 확장성이 용이한 체계적인 서비스 프레임워크 기법의 부재로 인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future mobile information society,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the service requirements of the mobile life users and to realize them, an efficient combination of various and diverse technologies and a service providing technique that accepts emerging technologies in a timely manner are urgently requir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a systematic service framework technique that is easy to reuse, flexible, and scalable a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stages, it is difficult to create new services quickly and efficient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급변하고 다양화되는 미래 모바일 정보화 패러다임에 대응하고자 사용자 그룹별로 유사한 생활패턴을 가지는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분석 및 실현을 위한 프레임 워크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build a framework for service analysis and realiz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imilar life patterns for each user group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and diversified future mobile information paradigm. Provide a method.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인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에 있어서,The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to a user,

(a) 사용자를 소정 특성에 따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시나리오를 정의하는 단계; (b) 상기 시나리오를 토대로 소정 그룹의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포함되는 분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모델링하는 단계; (c)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상기 요구 사항에 따라 상기 모델링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인에이블러를 도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도출된 인에이블러를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 구조 및 참조 모델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lassifying users into a plurality of group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and defining scenario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each group; (b) deriving a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of a predetermined group based on the scenario, and modeling the service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 classification including the derived service; (c) analyzing a user's requirements and deriving a service enabler for providing the modeled service to a user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d) including the derived enabler. Building a framework that includes the infrastructure and reference models to provid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 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work for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시간, 장소, 대상에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을 지원하며 다양한 이종망간에 끊임없는 연결을 통하여 지속적인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융합 서비스와, 사용자 정보의 수집 영역의 확대를 통한 사용자 및 주변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최적화된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로 발전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예측하기 어려우며 다양한 기술들이 조합되고 새로운 기술들이 대두되는 글로벌 통신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려면 미래 모바일 라이프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정확히 예측하고 이를 실현하여 시장에 적시에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분석 및 신속한 제공을 위한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pports high-speed multimedia communication with anyone,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time, place, and destination. Convergence service that provides continuous high quality service through continuous connection between various heterogeneous networks, and expansion of user information collection area It is expected to develop into a user-centered optimized personalized service based on user and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cope with changes in the global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ch are difficult to predict and combine various technologies and emerging technologies,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analysis to accurately predict and realize the service requirements of future mobile life users and provide them to the market in a timely manner You need a framework for providing it.

이러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래 모바일 라이프에 따른 사용자의 모바일 서비스 패러다임을 분석하고, 사용자 그룹 중심의 모바일 라이프를 고려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정의(S100)하여 시나리오로부터 서비스를 도출(S110)한다. 서비스 도출(S110)이 완료되면, 응용 분야별 서비스의 분류(S120)에 따라 서비스를 모델링하고, 도출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한다.As shown in FIG. 1,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work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alyzes a mobile service paradigm of a user according to a future mobile life, and defines a service scenario considering a user group-centered mobile life (S100). Deriving a service from (S110). When the service derivation (S110) is completed, the service is model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service for each application field (S120), and the user requirements for the derived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 analyzed.

사용자 요구사항의 분석을 토대로 핵심적인 UTOPIA(Ubiquitous, Trusty, Optimal, Personalized, Intelligent and Adaptable) 서비스 요구사항을 실현하기 위하여 서비스 인에이블러(Service Enabler)를 정의(S130)한다. 서비스 인에이블러가 정의(S130)되면, 유비쿼터스 ABC(Always Best Connected) 서비스의 비전을 수립하고, 비전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개념적 밑그림인 참조 모델을 정립(S140)한다.Based on the analysis of user requirements, a service enabler is defined (S130) in order to realize core UTOPIA (Ubiquitous, Trusty, Optimal, Personalized, Intelligent and Adaptable) service requirements. When the service enabler is defined (S130), the vision of the ubiquitous Always Best Connected (ABC) service is established, and a reference model, which is a conceptual sketch on the feasibility of the vision, is established (S140).

참조 모델이 제시(S140)된 후 인프라 구성요소 및 서비스 인에이블러에 따른 인프라 구조를 수립(S150)하고, 핵심 요소 기술을 분석 및 도전 과제를 도출(S160)한 후,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시장인 레드 오션(Red Ocean)과 현재 존재하지 않아서 알려져 있지 않은 시장인 블루 오션(Blue Ocean)을 넘나들며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창출(S170)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미래 이동통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전반적이고 순차적인 연구개발 단계와 각 단계에서의 핵심사항 정립 및 상호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After the reference model is presented (S140), the infrastructu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and service enabler is established (S150), the core element technology is analyzed and the challenges are derived (S160). It consists of creating new value-added services (S170) across Red Ocean and Blue Ocean, a market that does not exist and is not known. In this way, the basis for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overall sequential R & D stages and the establishment and interrelationship of each stage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and respond to the requirements of future mobile communication users.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그룹별 시나리오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모델링 방식이다.2 is a modeling method of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scenarios for each user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고, 다양한 요구사항이 대두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시대의 도래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려면, 사용자 그룹별로 유사한 생활패턴을 갖기 때문에, 사용되는 서비스 유형과 중요성이 특성화될 수 있는 점을 중시하여 서비스 분류 체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difficult to predict exactly what users want, and to respond quickly and efficiently to the arrival of the next gene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ere various requirements arise, each user group has a similar life pattern, so the type of service used and its importance are characterized. It is advisable to apply a service classification scheme with an emphasis on what is possible.

이에 따라 도 2를 살펴보면, 사용자 그룹별(100)로 서비스 시나리오(110)를 기반으로 한 미래 생활상을 도출하고, 사용자가 처한 상황(120)에 따라 필요한 서 비스 유형(130)을 도출하는 체계에 따라서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를 예측한다. 이때 사용자 그룹별로 라이프 스타일이 결정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시나리오를 구성한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2, a system for deriving a future life based on the service scenario 110 based on the user group 100 and deriving the required service type 130 according to the situation 120 of the user is provided. Therefore, the service to be provided 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s predicted. At this time, the basic scenario is compos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determined for each user group.

예를 들어, 회사원이나 학생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주중 기간과 토요일과 일요일의 주말 기간에서의 생활 패턴이 상이하므로, 주중과 주말에서의 시나리오를 분리하여 생활상을 도출한다. 또한, 각 개인이 가정이나 직장에 소속되어 생활하기 때문에 그룹 내 구성원 간에 요청되는 추가적인 서비스도 도출하여야 하며, 월드컵 또는 올림픽과 같은 국제 행사나 국제 회의와 같은 특별 행사 등의 시나리오에 따라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도 도출하여야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office worker or a student, the life patterns are different between the weekdays of the week from Monday to Friday and the weekend periods of the weekends of Saturday and Sunday. In addition, because each individual lives in a home or work, additional services requested between members of the group must be derived, and additionally required depending on scenarios such as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World Cup or Olympics or special events such as international conferences. Service should be deriv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용 분야별 서비스 사례를 통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분류 맵이다.3 is a classification map of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service case for each application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살펴보면,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의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므로, 먼저 응용 분야에 따라 서비스를 분류하고, 응용 분야별 대표적인 서비스 유형을 도출한다. 도출된 서비스의 특징에 따라 서비스 등급을 분류한 후, 각 서비스 유형별 사용자 그룹에 따라 서비스 수요를 예측한다.Referring to FIG. 3, since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es services of various application areas centering on a user, first, servi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pplication areas, and a representative service type for each application area is derived. After classifying service grad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erived services, service demand is predicted according to user groups for each service type.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사람들과의 대화를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여러 장소로 이동할 경우 내비게이션을 지원하는 위치·교통 서비스, 영화 감상 등의 레저를 지원하는 오락 서비스, 은행 업무 등의 재산 관리를 지원하는 비즈니스/상거래 서비스, 원격교육 등의 지식 획득을 지원하는 교육/정보 서비스로 분류된다. 또 한, 긴급상황을 통보하는 등의 안전 보호를 지원하는 안전/재난관리 서비스, 여론조산 등의 사회 참여를 지원하는 정부/단체 서비스, 건강 도우미 등의 웰빙을 지원하는 의료/건강 서비스 및 개인 비서 등의 개인 일정을 지원하는 생활 서비스 등의 응용 분야를 분류할 수 있다.Next-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re business services that support property management, such as communication services that support conversations with people, location and transportation services that support navigation when moving to various places, entertainment services that support leisure such as watching movies, and banking. It is classified as education / information service supporting knowledge acquisition such as commerce service and distance education. In addition, safety / disaster management services to support safety protection, such as notification of emergencies, government / group services to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such as public premature labor, and medical / health services and personal assistants to support well-being such as health assistants. Application areas such as life services that support personal schedules, such as can be classified.

서비스 등급은 기존의 다양한 기술간 융합을 토대로 융합(Convergence, "C"로 표기) 서비스, 향상된 초고속 무선 전송 능력 및 서비스 제공 능력에 따른 진화(Evolution, "E"로 표기) 서비스, 획기적인 무선 전송 기술 및 센서 네트워크, 개인 단거리 무선통신 등의 새로운 기술 도입에 따른 혁신(Revolution, "R"로 표기)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다.Service class is based on convergence between various existing technologies (Convergence, denoted "C") service, enhanced ultra-high-speed wireless transmission capability and evolution (Evolution, "E") service according to service provision capability, break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revolution, "R") services resulting from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sensor networks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일반적으로 사용자 그룹별로 사용하는 서비스가 유사하므로, 사무직, 자영업, 학생, 주부, 노약자 등과 같이 직업에 따라 사용자 그룹을 분류하고, 각 서비스 유형별 사용자 그룹의 사용 빈도를 예상하여 미래의 주요 서비스 고객 및 트래픽 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의 사용자 그룹, 용도, 서비스간 전체적인 윤곽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서비스별 주요 고객과 특성을 반영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서비스 개발과 시장 전략의 수립이 용이하게 된다. In general, the services used by user groups are similar, so users can be categorized by occupation such as office workers, self-employed, students, housewives, senior citizens, etc. The capacity can be identif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overall outline between user groups, uses, and services of services, and it is easy to quickly and efficiently develop services and establish market strategies reflecting the main customer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ervice.

여기서, 각각의 사용자 그룹과 서비스 분류의 유형에 따라 1:1 매칭되어 표기된 "H", "M" 및 "L"은 각 사용자 그룹의 서비스 사용 빈도 혹은 유용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High", "Medium" 및 "Low"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그룹의 "학생"에 대한 서비스 분류 "오락"의 "Mobile Game" 유형의 사용 빈도는 "H"로 표기하여 학생들의 모바일 게임에 대한 사용 빈도가 높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자 그 룹의 "노인"에 대한 서비스 분류 "의료/건강"의 "Health-Care Concierge" 유형의 사용 빈도는 "M"으로 표기하였다.Here, "H", "M", and "L" are 1: 1 matched according to each user group and type of service classification, indicating the frequency or usefulness of service use of each user group. "And" Low ". For exampl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Mobile Game" type of the service classification "entertainment" for the "student" of the user group is indicated by "H" to indicate that the students use the mobile game frequently.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Health-Care Concierge" type of service classification "Medical / Health" for the "elderly" of the user group is indicated as "M".

이와 같이,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어떤 서비스가 사용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새롭게 대두될 서비스에 대한 비전도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분류나 유형, 등급 혹은 사용자 그룹의 분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분류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at services are used by whom and when and where, as well as to present a vision of a new service. Here, the classification of the service classification, the type, the rating, or the user group may be variously classifi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classification sugges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비전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치, 서비스 요구사항, 서비스 인에이블러의 상호 연관성을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the correlation of user expectations, service requirements, and service enablers for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vis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살펴보면, 유비쿼터스 AB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대치, UTOPIA 개념 및 서비스 인에이블러를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provide ubiquitous ABC service, an expectation, a UTOPIA concept, and a service enabler for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 set.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기대치는 사생활 보장과 안전 보호(Secure Safety), 풍요롭고 생동감 있는 정보통신(Multimedia Information, Virtual Reality), 지능화된 도우미(Smart Assistance), 건강 관리 및 웰빙(Health Concierge), 쉽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Easy Interaction), 즐겁고 유익한 여가 시간을 지원하는 삶의 동반자 역할(Fun Leisur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Expectations for next-generation mobile services include privacy, secure safety, rich and vibrant information, virtual reality, smart assistance, health care and wellness, and easy and convenient It can be categorized into Easy Interaction, Fun Leisure, which supports pleasant and beneficial leisure time.

기대치에 대한 분류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사항인 UTOPIA를 유비쿼터스 접속(Ubiquitous Connectivity), 신뢰할 수 있는 보안(Trusty Privacy and Security), 최적의 QoS(Optimal QoS), 개인화된 개체적 서비스(Personalized Customization), 지능화된 편의성(Intelligent Convenience), 및 자율적 적응 (Autonomous Adaptation)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expectations, UTOPIA, the user's service requirements, can be classified into ubiquitous connectivity, trusty privacy and security, optimal QoS, personalized customization, It can be categorized as Intelligent Convenience, and Autonomous Adaptation. Such classific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사항인 UTOPIA 개념이 확립되면 이를 실제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서비스 인에이블러를 통하여 시공간의 제약으로부터 사용자를 자유롭게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어느 것보다도 최적의 서비스 품질로 유비쿼터스 ABC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의 서비스 인에이블러는 서비스 요구사항과 1:1 매핑되도록 실현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ce the UTOPIA concept, which is the service requirement of the user, is established, the service enabler, which is a key technology for realizing this, can provide ubiquitous ABC service with the best quality of service anytime, anywhere, anybody from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have. In this case, the service enabler realizes 1: 1 mapping with the service require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성요소별 서비스 인에이블러가 포함된 참조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reference model including a service enabler for each infrastructure component for providing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조 모델은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비전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는 개념적인 밑그림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통적인 기능 엔터티(Entity)들로 구성된다.The reference model is a conceptual sketch that shows the feasibility of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vision. It consists of common functional entities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참조 모델은 다양한 기술의 총체적인 집합체이며 미래 생활의 모든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부가가치 서비스 창출의 원천이 될 사용자 중심의 지능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NBIC(NT/BT/IT/CT, 나노기술/생명공학/정보기술/인지과학) 이동 단말(200), 인간의 서비스 요구사항 및 신체적 정신 상태 정보를 교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30), RFID/USN(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통하여 주변 상황이나 환경 정보를 교환하는 엠비언트(Ambient) 인터페이스(220), 사용자 주변의 로컬 입출력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로컬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210), 다양한 유무선 액세스 네트워 크를 수용하는 IP 기반 통합 네트워크(310)를 포함한다. The reference model i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diverse technologies and provides NBIC (NT / BT / IT / CT, Nanotechnology / Life Insurance), which provides user-centered, intelligent, customized services that will play all the important social roles of future life and will be the source of value-added services. Engineering / information technology / cognitive scien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the user interface 230 for exchanging human service requirements and physical mental state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RFID / US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Ubiquitous Sensor Network) Includes an ambient interface 220 for exchang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 local input / output device interface 210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local input / output devices around a user, and an IP-based integrated network 310 for accommodating various wired / wireless access networks. do.

또한, 모바일 액세스 네트워크(240),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50),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260),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통 요소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280),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able Interface)(300)를 이용하여 제3자의 서비스 개발자에 의한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용이한 환경(290)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서버(27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mobile access network 240, a wireless access network 250, a wired access network 260, a mobile service platform 280 that provides common element functions for service provision, and an op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300 It includes a variety of application server 270 that can provide an environment 290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new services by a third party service developer using.

이에 따라, 광범위한 분야의 기술과 시스템이 포함되며 융합화, 개인화, 지능화를 지향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개념에 적합한 체계적인 서비스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단계별 역할 및 일목요연한 연관관계와 핵심 기술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Accordingly, it provides a framework of systematic services that includes technologies and systems in a wide range of fields and is suitable for the concept of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iming at convergence, personalization, and intelligence. The ability to derive relationships and key skills enables them to active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market changes.

여기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Here,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그룹별로 유사한 생활 패턴을 고려한 시나 리오 기반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도출하고,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 서비스의 특성이 중시되어 각 개인의 통신 공간에서의 서비스를 응용 분야별로 분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derived based on a scenario considering similar life patterns for each user grou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centered personalization service are emphasized to classify the services in each individual communication space by application fields. can do.

따라서, 사용자 요구사항을 기술적 요구사항으로 매핑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비전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는 개념적인 밑그림을 제시할 수 있다. Therefore, by mapping user requirements to technical requirements, a conceptual sketch suggesting the feasibility of th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vision can be presented.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단계별 역할 및 연관관계와 핵심 기술을 도출하여 급변하는 시장 흐름에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actively cope with rapidly changing market flows by deriving roles, relationships and core technologies for each stage for providing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또한, 예측하기 어렵고 다양해지는 정보화 환경에 대응하여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술들의 조합 및 새롭게 대두되는 기술을 수용하여 융합화, 개인화, 지능화를 지향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적시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익성 있게 창출이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reate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iming at convergence, personalization, and intelligence in a timely, efficient and profitable manner by accommodating complex and diverse combinations of technologies and emerging technologies in response to the unpredictable and diversified information environment. Do.

Claims (6)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에 있어서,In the framework build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to a user, (a) 사용자를 소정 특성에 따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시나리오를 정의하는 단계;(a) classifying users into a plurality of group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and defining scenario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each group; (b) 상기 시나리오를 토대로 소정 그룹의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서비스가 포함되는 분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모델링하는 단계;(b) deriving a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of a predetermined group based on the scenario, and modeling the service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 classification including the derived service; (c)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상기 요구 사항에 따라 상기 모델링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인에이블러를 도출하는 단계; 및(c) analyzing a user's requirements and deriving a service enabler for providing the modeled service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d) 상기 도출된 인에이블러를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 구조 및 참조 모델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단계(d) constructing a framework comprising a reference model and an infrastructure for providing the service, including the derived enabler;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는,In step (b), 상기 서비스를 응용 분야별로 분류하는 단계;Classifying the service by application field; 상기 각 응용 분야별로 서비스 유형을 도출하는 단계;Deriving a service type for each application field; 상기 서비스 유형별로 서비스 특징에 따른 서비스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 및Assigning a service level according to a service characteristic for each service type; And 각 서비스 유형에 대하여 사용자 그룹별로 해당 서비스의 수요를 나타내는 사용자 빈도를 예측하는 단계For each service type, estimating the frequency of users representing demand for that service by user group.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시나리오에 따라 도출된 서비스를 각 분야별 서비스 유형, 서비스 등급 그리고 각 사용자 그룹별 사용 빈도에 따라 모델링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A method of buil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amework for modeling a service derived according to the scenario according to a service type of each field, a service grade, and a frequency of use of each user group.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서비스 등급은,The service level is, 여러 기술간 융합을 통한 융합 서비스, 기존의 서비스보다 향상된 무선전송 능력과 서비스 제공 능력에 따른 진화 서비스, 기존에 존재하지 않은 무선전송 기술, 센서 네트워크 여부, 개인 단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한 새로운 기술 도입에 따른 혁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부여되는 이동통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Convergence service through convergence of various technologies, evolutionary service based on improved radio transmission capability and service provision ability than existing services, non-existent radio transmission technology, sensor network status, and new technology including pers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method of establish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amework based on at least one of innovation servic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는 각 사용자 그룹별 생활 패턴을 토대로 작성되고, 각 생활 패턴별로 판별된 사용자 상황을 토대로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이 도출되는 이 동통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The service scenario is created based on the life patterns of each user group,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is derived from the service type provided based on the user situation determined for each life patter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d) 단계에서In step (d) 상기 참조모델은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 상기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엠비언트 인터페이스, 로컬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개방형 API, 응용 서버 및 서비스 개발 환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축 방법.The reference model i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amework including a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a service, a user interface, an ambient interface, a local input / output device interface, a mobile service platform, an open API, an application server, and a service development environment. How to build.
KR1020050120764A 2005-12-09 2005-12-09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KR1006592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764A KR100659231B1 (en) 2005-12-09 2005-12-09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764A KR100659231B1 (en) 2005-12-09 2005-12-09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231B1 true KR100659231B1 (en) 2006-12-19

Family

ID=3781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764A KR100659231B1 (en) 2005-12-09 2005-12-09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23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191B1 (en) 2008-09-23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er-centric Layered Service Delivery Platform for Enabling I-centric Services
WO2018151384A1 (en) * 2017-02-14 2018-08-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ommunication data model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959A (en) * 1999-11-30 2001-06-15 김태균 Method to service of providing personalized Web Pages by Internet
KR20030029555A (en) * 2003-03-11 2003-04-14 김완태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network system use wireless mobile telephone
KR20040052808A (en) * 2004-05-06 2004-06-23 주식회사베스트디씨 System and Method for Anonym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
KR20050060685A (en) * 2003-12-17 2005-06-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The understanding method of user's terminal usage pattern information and thereof system
KR20060065968A (en) * 2004-12-11 2006-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obile personalization service system and mobile personalization service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959A (en) * 1999-11-30 2001-06-15 김태균 Method to service of providing personalized Web Pages by Internet
KR20030029555A (en) * 2003-03-11 2003-04-14 김완태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network system use wireless mobile telephone
KR20050060685A (en) * 2003-12-17 2005-06-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The understanding method of user's terminal usage pattern information and thereof system
KR20040052808A (en) * 2004-05-06 2004-06-23 주식회사베스트디씨 System and Method for Anonym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
KR20060065968A (en) * 2004-12-11 2006-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obile personalization service system and mobile personalization service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191B1 (en) 2008-09-23 2010-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er-centric Layered Service Delivery Platform for Enabling I-centric Services
WO2018151384A1 (en) * 2017-02-14 2018-08-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ommunication data modeling method
KR101942905B1 (en) 2017-02-14 2019-0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method for modeling communication data
US11102088B2 (en) 2017-02-14 2021-08-24 Lsis Co., Ltd. Communication data model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yastha et al. Applications, architectures, and protocol design issues for mobile social networks: A survey
Yaqoob et al. Internet of things architecture: Recent advances, taxonomy, requirements, and open challenges
Makris et al. A survey on context-aware mobile and wireless networking: On networking and computing environments' integration
Abualsaud et al. A survey on mobile crowd-sensing and its applications in the IoT era
Townsend Life in the real-time city: Mobile telephones and urban metabolism
Mitola Cognitive radio architecture evolution
Hu et al. A survey on mobile social networks: Applications, platforms, system architectur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Dutta et al. Unified framework for IoT and smartphone based different smart city related applications
Conti et al. Looking ahead in pervasive comput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era of cyber–physical convergence
Zheng et al. Smart phone and next generation mobile computing
Zhou The internet of things in the cloud
Atzori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A survey
Yang et al. Mobile social networks: state‐of‐the‐art and a new vision
Barsocchi et al. COVID-19 & privacy: Enhancing of indoor localization architectures towards effective social distancing
CN105284139A (en) Categorized location identification based on historical locations of a user device
Matamalas et al. Assessing reliable human mobility patterns from higher order memory in mobile communications
Boavida et al. People-centric internet of things—challenges, approach, and enabling technologies
CN102638770A (en) Social network realization method and system
JP59153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70049426A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user centric service
Nazarenko et al. Towards collaborative cyber-physical systems
Salina et al. Next Generation Networks: perspectives and potentials
KR100659231B1 (en) Framework construction method of systematic analysis and rapid provision for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askin GSM MSC/VL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Service
Al Shammary et al. Smart transportation application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