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121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121B1
KR100659121B1 KR1020050120931A KR20050120931A KR100659121B1 KR 100659121 B1 KR100659121 B1 KR 100659121B1 KR 1020050120931 A KR1020050120931 A KR 1020050120931A KR 20050120931 A KR20050120931 A KR 20050120931A KR 100659121 B1 KR100659121 B1 KR 10065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eala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1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guarantee a larger display area by extending a length of moisture permeation with changing a path thereof by enlarging an applying width of sealant without increase in a dead space.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first substrate(10) has a concave portion(11). A second substrate(20) facing the first substrate(10) includes a convex portion(21),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11). A display unit(30) is plac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10,20) to embody an image. A sealant(50) connects the first substrate(10) with the second substrate(20) by being plac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10) and the second substrate(20).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표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unit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제1기판 11: 오목부10: first substrate 11: recess

20: 제2기판 21: 볼록부20: second substrate 21: convex portion

30: 표시부 50: 실런트30: display unit 50: sealant

60: 건습제60: desiccan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선된 밀봉구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an improved sealing structure.

통상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구동특성상 초박형화 및 플랙시블화가 가능하여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gener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an be made ultra thin and flexible due to its driving characteristics.

그런데,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수분의 침투에 의해 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봉지 구조를 필요로 한다.However,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s a property that is degraded by the penetration of moisture. Therefore, a sealing structure is needed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종래에는 금속 캔(can)이나 유리기판을 홈을 가지도록 캡(cap) 형태로 가공해 밀봉부재로 하여, 이 밀봉부재를 UV경화 실런트(Sealant)나, 열경화 실런트를 이용해 소자가 형성된 기판에 접합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Conventionally, a metal can or a glass substrate is processed into a cap shape so as to have a groove to form a sealing member, and the sealing member is applied to a substrate on which a device is formed using a UV curing sealant or a thermosetting sealant. The method of joining was used.

한편,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부 이외의 비발광 영역, 즉, 데드 스페이스르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실런트의 폭을 줄이게 되는 데, 이렇게 실런트의 폭을 줄일 경우에는, 외기에 노출되는 실런트의 측면으로부터 수분 및 산소가 침투되는 경로가 짧기 때문에, 결국,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가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non-emission area, that is, the dead space, other than the display unit where the image is implemented.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sealant is reduced. When the sealant is reduced in width, the path of penetration of moisture and oxygen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alant exposed to the outside air is short, resulting in a shortening of the life of the device. d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런트를 통한 수분 및 산소가 침투 경로를 증대시켜 소자의 장수명화를 기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lifetime of the device by increasing the penetration path of moisture and oxygen through the seala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목부를 구비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대향되고,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접합되는 실런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ubstrate having a concave portion,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having a 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the first substrate and Provided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interposed between a second substrate to implement an image, and a sealan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bo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제1기판(10)과, 이 제1기판(10)에 대향하여 실런트(50)에 의해 접합된 제2기판(20)을 포함한다. 제1기판(10) 및 제2기판(20)은 글라스재가 사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재, 금속 호일 등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기판(10) 및 제2기판(20)이 글라스재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 and a second substrate bonded by a sealant 50 to face the first substrate 10. And 20. Glass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astic material, a metal foil, and the like may also be applied. Hereinafter,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glass materi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기판(10)은 대략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인입된 오목부(11)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향되는 제2기판(20)에는 상기 오목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부(11)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있는 볼록 부(21)가 구비되어 있다. 제1기판(10) 및 제2기판(20)이 글라스재로 구비될 경우, 상기 오목부(11)와 볼록부(21)는 에칭에 의해 간단하게 얻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strate 10 includes a recess 11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recessed portion (2) is opposed to the second substrate 20. The convex part 21 which protrudes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art 11 is provid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11). Wh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are made of glass,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convex portion 21 can be obtained simply by etching.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오목부(11)와 볼록부(21)는 서로 소정 거리를 두고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convex portion 21 are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기판(10)의 오목부(11)에는 표시부(30)가 형성되어 있다.The display unit 30 is formed in the recess 11 of the first substrate 10.

표시부(30)는 도 2와 같은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일예를 설명한다.The display unit 30 may be provided as an AM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2. An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기판(10)의 상면에는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버퍼층과 같은 절연층(3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 insulating layer, such as a barrier layer and / or a buff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to prevent diffusion of impurity ions, to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or external air, and to planarize a surface thereof. 32) can be formed.

이 절연층(32) 상에 TFT의 활성층(33)이 반도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34)이 형성된다. 활성층(33)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재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소스 영역(33a), 드레인 영역(33b)과 이들 사이에 채널 영역(33c)을 갖는다.On this insulating layer 32, an active layer 33 of the TFT is formed of a semiconductor material, and a gate insulating film 34 is formed to cover it. The active layer 33 may be an inorganic semiconductor such as 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or an organic semiconductor, and has a source region 33a, a drain region 33b, and a channel region 33c therebetween.

게이트 절연막(34) 상에는 게이트 전극(35)이 구비되고, 이를 덮도록 층간 절연막(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36) 상에는 소스 전극(37) 및 드레인 전극(38)이 구비되며, 이를 덮도록 평탄화막(39) 및 화소 정의막(40)이 순차로 구비된다.The gate electrode 35 is provid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34,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6 is formed to cover the gate insulating layer 34. The source electrode 37 and the drain electrode 38 are provid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6, and the planarization layer 39 and the pixel defining layer 40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cover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6.

상기 게이트 절연막(34), 층간 절연막(36), 평탄화막(39), 및 화소 정의막(40)은 절연체로 구비될 수 있는 데, 단층 또는 복수층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te insulating film 34,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6, the planarization film 39, and the pixel defining layer 40 may be provided as an insulator, and may be formed in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and may be formed of an organic material, an inorganic material, Or organic / inorganic composites.

상술한 바와 같은 TFT의 적층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의 TFT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stacked structure of the TFT as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ll TFTs of various structures are applicable.

상기 평탄화막(39)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한 전극인 화소전극(41)이 형성되고, 그 상부로 화소정의막(40)이 형성되며, 이 화소정의막(40)에 소정의 개구부를 형성해 화소전극(41)을 노출시킨 후,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유기 발광막(42)을 형성한다. The pixel electrode 41, which is an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39, and the pixel definition layer 40 is formed on the pixel definition layer 40. After openings are formed to expose the pixel electrode 41, the organic light emitting film 4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formed.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TFT의 드레인 전극(38)에 콘택 홀을 통해 콘택된 화소 전극(41)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된 대향 전극(43), 및 이들 화소 전극(41)과 대향 전극(43)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막(42)으로 구성된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by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and the pixel electrode 41 contacted to the drain electrode 38 of the TFT through a contact hole. ) And a counter electrode 43 provided to cover all the pixels,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film 42 dispos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s 41 and the counter electrode 43 to emit light.

상기 화소 전극(41)과 대향 전극(43)은 상기 유기 발광막(4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막(4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막(42)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The pixel electrode 41 and the counter electrode 43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2, and light is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2 by applying voltag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2. To be done.

상기 유기 발광막(42)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이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 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이 때,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은 공통층으로서, 적, 녹, 청색의 픽셀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는 달리, 이들 공통층들은 대향전극(43)과 같이, 전체 픽셀들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film 42 may be a low molecular or high molecular organic film. When using a low molecular organic film,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 Electron Injection Layer can be formed by stacking single or complex structure, and usable organic materials are copper phthalocyanine (CuPc), N, N-di (naphthalen-1-yl) -N , N'-diphenyl-benzidine (N, N'-Di (naphthalene-1-yl) -N, N'-diphenyl-benzidine: NPB),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including Alq3. These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films are formed by the vacuum deposition method. In this case,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and the like can be commonly applied to red, green, and blue pixels as a common layer. Thus, unlike FIG. 2, these common layers may be formed to cover all pixels, such as the counter electrode 43.

고분자 유기막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olymer organic film, the structure may include a hole transporting layer (HTL) and a light emitting layer (EML). In this case, PEDOT is used as the hole transporting layer, and polyvinylvinylene (PPV) and polyfluorene are used as the light emitting layer. Polymer organic materials such as (Polyfluorene) are used and can be formed by screen printing or inkjet printing.

상기와 같은 유기막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organic layer as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상기 화소 전극(41)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대향 전극(4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41)과 대향 전극(4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The pixel electrode 41 functions as an anode electrode, and the counter electrode 43 functions as a cathode electrode. Of course, the polarities of the pixel electrode 41 and the counter electrode 43 may be reversed. It's okay.

제1기판(10)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bottom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41)은 투명 전극이 되고, 대향 전극(43)은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이 때, 화소 전극(41)은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형성되고, 대향 전극(43)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ottom emission type in which an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bstrate 10, the pixel electrode 41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opposite electrode 43 may be a reflective electrode. In this case, the pixel electrode 41 is formed of ITO, IZO, ZnO, In2O3 or the like having a high work function, and the counter electrode 43 is formed of a metal having a small work function, that is, Ag, Mg, Al, Pt, Pd, Au, or the like. , Ni, Nd, Ir, Cr, Li, Ca and the like.

대향 전극(43)의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발광형(top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41)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고, 대향 전극(43)은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화소 전극(41)이 되는 반사 전극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43)이 되는 투명 전극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을 증착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도전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top emission type for implementing an image in the direction of the counter electrode 43, the pixel electrode 41 may be provided as a reflective electrode, and the counter electrode 43 may be provid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have. At this time, the reflective electrode serving as the pixel electrode 41 is formed of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a compound thereof, and the like, and then thereon It may be formed by forming a high work function ITO, IZO, ZnO, In2O3 or the like. The transparent electrode serving as the counter electrode 43 is formed by depositing a metal having a small work function, that is,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and a compound thereof. After that, an auxiliary electrode layer or a bus electrode line may be formed thereon with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ZO, ZnO, or In 2 O 3.

양면 발광형의 경우, 상기 화소 전극(41)과 대향 전극(43) 모두를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ouble-sided light emission type, both the pixel electrode 41 and the counter electrode 43 may be provided as transparent electrodes.

상기 화소 전극(41) 및 대향 전극(43)은 반드시 전술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유기물이나, Ag, Mg, Cu 등 도전입자들이 포함된 전도성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할 경우,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프린팅할 수 있으며, 프린팅 후에는 소성하여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ixel electrode 41 and the counter electrode 43 are not limited to those formed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s,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organic material,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Ag, Mg, Cu, or the like. In the case of using such a conductive paste, it may be printed using an inkjet printing method, and after printing, may be baked to form an electrode.

이렇게 제조된 표시부(30)의 대향 전극(43)의 상면에는 이 표시부(30)를 덮도록 무기물, 유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 적층물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4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패시베이션막(44)은 무기 절여막 및/또는 유기 절연막을 사용 할 수 있는 데, 밀봉부재(20)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투명한 절연막으로 형성되도록 한다.The passivation film 44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an organic material, or an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laminate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nter electrode 43 of the display unit 3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passivation film 44 may use an inorganic scavenger film and / or an organic insulating film. In the case of a top-emitting display in which an image is realiz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20, the passivation film 44 is formed of a transparent insulating film.

무기 절연막으로는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5, HfO2, ZrO2, BST, PZT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고, 유기 절연막으로는 일반 범용고분자(PMMA, PS), phenol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막(44)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의 복합 적층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As the inorganic insulating film,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5, HfO2, ZrO2, BST, PZT, etc. may be included, and as the organic insulating film, a general-purpose polymer (PMMA, PS), a polymer derivative having a phenol group , Acrylic polymers, imide polymers, arylether polymers, amide polymers, fluorine polymers, p-xylene polymers, vinyl alcohol polymers and blends thereof may be included. The passivation film 44 may also be formed as a composite laminate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and an organic insulating film.

한편, 오목부(11)와 볼록부(21)의 가장자리에는 실런트(50)가 도포되어 제1기판(10)과 제2기판(20)을 서로 접합시킨다. 상기 실런트(50)는 열경화 또는 UV 경화 실런트를 사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alant 50 is applied to the edges of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convex portion 21 to bond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20 to each other. The sealant 50 uses a thermosetting or UV curing sealant.

이렇게 오목부(11) 내에 표시부(30)가 안착되고, 그 바깥쪽의 오목부(11)와 볼록부(21)를 실런트(50)가 접합함으로, 실런트(50)를 통한 투습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In this way, the display portion 30 is seated in the recess 11, and the sealant 50 is bonded to the recess 11 and the convex portion 21 outside thereof, thereby increasing the moisture permeation distance through the sealant 50. .

실제, 도 1에서 보면, 실런트(50)를 통한 투습거리는 수평거리(a) 외에도 수직거리(b)가 생겨, 보다 길어지게 되었으며, 이와 아울러, 투습의 경로도 직선이 아닌 굴곡을 갖게 되므로, 투습이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다.In fact, as shown in Figure 1, the moisture permeable distance through the sealant 50 has a vertical distance (b) in addition to the horizontal distance (a), and became longer, and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path of the moisture permeation has a curvature rather than a straight line, This became more difficult.

이렇게 본 발명은 실런트의 도포 폭을 증대시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투습 경로를 변경시키는 방법으로 투습 거리를 확장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표시 영역을 확보함과 동시에, 소자의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pplication width of the sealant and extends the moisture vapor transmission distance by changing the moisture vapor transmission path without increasing the dead space, thereby securing a wider display area and increasing the life of the device. I can improve it.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볼록부(21)에는 건습제를 도포하여, 침투된 수분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convex portion 21 may be coated with a desiccant to absorb the moisture therein.

상기 건습제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건습제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될 수 있는 데, 수분을 흡수해서도 투명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desiccant may be applied to any desiccant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and more preferably, may be maintained even after absorbing moisture.

이러한 건습제로는, 나노사이즈의 다공성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며, 나노사이즈의 기공을 포함하는 투명 나노다공성 산화물막(transparent nanoporous oxide layer)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desiccant, a transparent nanoporous oxide layer including nano-sized porous oxide particles and containing nano-sized pores may be used.

다공성 산화물 입자는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인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황산염 및 금속 과염소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The porous oxide particle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 metal oxides, alkaline earth metal oxides, metal halides, metal sulfates and metal perchlorat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nm or less.

이 때,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산화리튬(Li2O), 산화나트륨(Na2O) 또는 산화칼륨(K2O)이고,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이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또는 산화마그네슘(MgO)이고, 상기 금속 황산염이 황산리튬(Li2SO4), 황산나트륨(Nai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코발트(CoSO4), 황산갈륨(Ga2(SO4)3), 황산티탄(Ti(SO4)2),또는 황산니켈(NiSO4)이고, 상기 금속 할로겐화물이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스토론튬(SrCl2), 염화이트륨(YCl2), 염화구리(CuCl2), 불화세슘(CsF), 불화탄탈륨(TaF5), 불화니오븀(NbF5), 브롬화리튬(LiBr), 브롬화칼슘(CaBr3), 브롬화세륨(CeBr4), 브롬화셀레늄(SeBr2), 브롬화바나듐(VBr2), 브롬화마그네슘(MgBr2), 요오드화 바륨(BaI2) 또는 요오드화 마그네슘(MgI2)이고, 상기 금속 과염소산염이 과염소산바륨(Ba(ClO4)2) 또는 과염소산 마그네슘(Mg(ClO4)2)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lkali metal oxide is lithium oxide (Li 2 O), sodium oxide (Na 2 O) or potassium oxide (K 2 O), and the alkaline earth metal oxide is barium oxide (BaO), calcium oxide (CaO), or magnesium oxide (MgO). And the metal sulfate is lithium sulfate (Li2SO4), sodium sulfate (Nai2SO4), calcium sulfate (CaSO4), magnesium sulfate (MgSO4), cobalt sulfate (CoSO4), gallium sulfate (Ga2 (SO4) 3), titanium sulfate (Ti) (SO4) 2), or nickel sulfate (NiSO4), and the metal halide is calcium chloride (CaCl2), magnesium chloride (MgCl2), strontium chloride (SrCl2), yttrium chloride (YCl2), copper chloride (CuCl2), Cesium fluoride (CsF), tantalum fluoride (TaF5), niobium fluoride (NbF5), lithium bromide (LiBr), calcium bromide (CaBr3), cerium bromide (CeBr4), selenium bromide (SeBr2), vanadium bromide (VBr2) (MgBr 2), barium iodide (BaI 2) or magnesium iodide (MgI 2), and the metal perchlorate is barium perchlorate (Ba (ClO 4) 2) or perchloric acid. May be a magnesium (Mg (ClO4) 2).

그리고, 상기 투명 나노다공성 산화물막내의 기공의 평균직경이 100nm 이하일 수 있다.The average diameter of pores in the transparent nanoporous oxide film may be 100 nm or less.

또한, 상기 투명 나노다공성 산화물막은 투명 나노다공성 칼슘옥사이드(CaO)막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nanoporous oxide film may be a transparent nanoporous calcium oxide (CaO) film.

이러한 투명 나노다공성 산화물막은 나노사이즈의 다공성 산화물 입자를 용매 및 산에 분산하여 얻은 졸 상태의 혼합물을 제2기판(20)의 볼록부(21)에 스크린 프린팅방법으로 도포하고, 이를 건조 및 열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The transparent nanoporous oxide film is a sol mixture obtained by dispersing nano-sized porous oxide particles in a solvent and an acid is applied to the convex portion 21 of the second substrate 20 by screen printing, and then dried and heat treated. You can get it.

상기 열처리온도는 250℃ 이하, 특히 10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열처리온도가 250℃를 초과하면, 입자간의 예비소결(pre-sintering)에 의한 비표면적 감소로 인한 흡습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heat processing temperature is 250 degrees C or less, especially 100-200 degreeC. If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exceeds 250 ℃, the moisture absorp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by pre-sintering between particles is deteriorated, which is undesirable.

상기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산화물 입자를 용매 및 산과 혼합하는 과정에 있어서, 하기 순서대로 진행하는 것이 분산성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the process of mixing the nano-sized porous oxide particles with a solvent and an acid, it is preferable to proceed in the following order in terms of dispersibility.

용매 및 산을 부가하여 pH를 1 내지 8 범위, 특히 약 2로 조절한 다음, 여기에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산화물 입자를 부가한다. 이 때 산은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다.Solvent and acid are added to adjust the pH to a range of 1-8, especially about 2, followed by addition of nano-sized porous oxide particles. At this time, the acid may be optionally added.

상기 산은 선택적 성분으로서, 이를 부가하면 분산성이 개선되는 잇점이 있다. 산의 예로서 질산, 염산, 황산, 아세트산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산의 함량은 다공성 산화물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인 것이 바 람직하다. The acid is an optional component, with the added advantage of improving dispersibility. Examples of the acid include nitric acid,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cetic acid and the like. And the content of the acid is preferably 0.01 to 0.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rous oxide particles.

상기 용매로는 다공성 산화물 입자를 분산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틸에틸케톤, 순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PGM), 이소프로필셀룰로오즈(IPC), 메틸렌 클로라이드(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그 함량은 다공성 산화물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99 중량부이다.The solv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disperse the porous oxide particles.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ethanol, methanol, propanol, butanol, and isopropanol.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ethyl ketone, pure water, propylene glycol (mono) methyl ether (PGM), isopropyl cellulose (IPC), methylene chloride (MC), and ethylene carbonate (EC), the content of which is porous 60 to 9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xide particles.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투명 나노다공성 산화물막은 두께가 0.1㎛ 내지 12㎛인 박막으로서, 충분한 흡습 및 산소 흡착 특성을 갖고 있어서, 표시부(30)를 밀봉시키는 기능이 우수하다. The transparent nanoporous oxide film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is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0.1 µm to 12 µm, has sufficient moisture absorption and oxygen adsorption characteristics, and has an excellent function of sealing the display unit 30.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투명 나노다공성 산화물막은 그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막은 수분을 흡수하기 전이나 수분을 흡수한 후에 투명하게 유지된다. 상기 기공은 평균직경이 100nm 이하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7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nm이어야 한다. 만약 기공의 평균직경이 100nm를 초과하면 충분한 흡습특성을 갖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The transparent nanoporous oxide film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pores formed therein, and the film is kept transparent before or after absorbing the moisture. The pore should have an average diameter of 100 nm or less, preferably 70 n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to 60 nm. I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ores exceeds 100nm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does not have sufficient hygroscopic properties.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투명 나노다공성 산화물막은 수분을 흡수하기 전이나 또는 수분을 흡수한 후에도 투명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The transparent nanoporous oxide film formed by this method has the property of being kept transparent before or after absorbing moistur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실런트(50)가 표시부(30) 전체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 경우, 실런트(50)에 의한 수분의 침투를 더욱 차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수분 침투 경로를 복잡하게 하 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3 illustrates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alant 50 includes the entire display unit 30. In this case, the penetration of moisture by the sealant 50 can be further blocked, and 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penetration path can be complicated to further improve durability.

상기와 같은 오목부(11) 및 볼록부(21)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반드시 직각 구조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도 4와 같이, 오목부(11) 및 볼록부(21)의 외측이 경사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런트(50)의 도포 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수분의 침투 거리가 더욱 길게 될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convex portion 21 as described above do not necessarily have a right angle structure,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as shown in FIG. 4, the outer side of the concave portion 11 and the convex portion 21. It may be inclined.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ating width of the sealant 50 is widened, and thus the penetration distance of moisture may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전술한 표시부(30)는 반드시 제1기판(10)의 오목부(11)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표시부(30)가 제2기판(20)의 볼록부(21)에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 제1기판(10)의 오목부(11)에는 전술한 건습제(60)가 도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30 described abov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in the recess 11 of the first substrate 10. 5 illustrate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30 is formed on the convex portion 21 of the second substrate 20.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desiccant 60 may be applied to the recess 11 of the first substrate 10.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5,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embodiment of FIG. 1 may be obtain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실런트를 통한 투습거리가 보다 길어지게 되며, 이와 아울러, 투습의 경로도 직선이 아닌 굴곡을 갖게 되므로, 투습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permeable distance through the sealant becomes longer, and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path of the moisture permeation has a curve rather than a straight line, the moisture permeability becomes more difficul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런트의 도포 폭을 증대시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투습 경로를 변경시키는 방법으로 투습 거리를 확장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표시 영역을 확보함과 동시에, 소자의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oating width of the sealant and extends the moisture permeation distance by changing the moisture permeation path without increasing the dead space, thereby securing a wider display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life of the device. Also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 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may be made therefrom.

Claims (7)

오목부를 구비한 제1기판;A first substrate having a recess; 상기 제1기판에 대향되고,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제2기판;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having a 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부; 및A display uni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implement an image; And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접합되는 실런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And a sealan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bond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글라스, 플라스틱, 및 금속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At least one of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is formed of any one of glass, plastic, and met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는 각각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And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positioned at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는 각각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each provided with an area including the displa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런트는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And the sealant is disposed at edges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런트는 상기 표시부를 덮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And the sealant is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건습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siccant interposed between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KR1020050120931A 2005-12-09 2005-12-0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659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931A KR100659121B1 (en) 2005-12-09 2005-12-0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931A KR100659121B1 (en) 2005-12-09 2005-12-0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121B1 true KR100659121B1 (en) 2006-12-19

Family

ID=3781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931A KR100659121B1 (en) 2005-12-09 2005-12-0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1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83B1 (en) * 2007-12-26 2009-08-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83B1 (en) * 2007-12-26 2009-08-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138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805398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56995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2525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CN105679807B (en) OL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16913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88451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825332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 absorption pattern unit
US792843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8330338B2 (en) Double-side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15995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27629A (en) Functional polarizing film and 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US8598786B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a hydroxyquinoline-based layer as part of the seal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14789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86864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70382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08009094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067036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046345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porous material layer
KR10065912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64771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70873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65912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0873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730162B1 (en) Manufacturing method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