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914B1 -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914B1
KR100654914B1 KR1020040033090A KR20040033090A KR100654914B1 KR 100654914 B1 KR100654914 B1 KR 100654914B1 KR 1020040033090 A KR1020040033090 A KR 1020040033090A KR 20040033090 A KR20040033090 A KR 20040033090A KR 100654914 B1 KR100654914 B1 KR 10065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ly coupled
lever
fixed shaft
boarding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8052A (en
Inventor
전영옥
권영조
Original Assignee
노성셸링(주)
전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셸링(주), 전영옥 filed Critical 노성셸링(주)
Priority to KR102004003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14B1/en
Publication of KR2005010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3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separate from the vehicle, e.g. fixed on the pa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절로 구성된 레버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device including a lever composed of multiple joints and a wheelchair lift using the same.

특히,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 등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축, 회전축 및 다수의 레버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와, 상기 수평 유지 장치의 다관절 레버에 탑승테이블을 장치한 리프트에 노약자 및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편리하게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에 승하차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a leveling device including a fixed shaft, a rotating shaft, and a plurality of levers configured to be applied not only to the boarding point of the aerial work device but also to a construction site, and a lift equipped with a boarding table in the articulated lever of the level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lift that enables the elderly and wheelchair users to get on and off in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with a simple operation.

휠체어, 노약자, 장애, 레버, 탑승, 테이블, 고소작업, 수평유지Wheelchair, Elderly, Disability, Lever, Boarding, Table, Aerial Work, Leveling

Description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정면도.1A is a front view of a wheelch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1B is a side view of a wheelchair lif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평면도.Figure 1c is a plan view of a wheelch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 및 휠체어 리프트의 수평 유지부 평면도.Figure 2a is a plan view of the horizontal holding portion of the leveling device and the wheelchai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의 A부분 상세도.FIG. 2B is a detail view of portion A of FIG. 2A; FIG.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주행부 평면도.Figure 3a is a plan view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wheelch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주행부 측면도.Figure 3b is a side view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wheelch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주행부 정면도.Figure 3c is a front view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wheelch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해 버스에 탑승할때의 동작 순서도.Fig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when boarding the bus using a wheelchair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해 탑승하는 버스 승강장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of a bus platform for boarding using a wheelchair lif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에 탑승한 휠체어 이용자가 버스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는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6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heelchair user boarding a wheelchai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iting to board a bu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에 탑승한 휠체어 이용자가 버스에 탑승하는 순간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Figure 7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moment the wheelchair user boarding a bus in a wheelchai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정면도.8 is a front view of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레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레버 동작도.9 is a lever ope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lever operation of the horizontal h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고소작업차량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erial work vehicle to which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 of drawing]

2: 베이스 프레임 4: 제1 고정축2: base frame 4: first fixed shaft

5: 제2 고정축 7: 제1 레버5: 2nd fixed shaft 7: 1st lever

8: 제2 레버 9: 회전축8: 2nd lever 9: rotating shaft

16, 18: 유압실린더 19: 종행테이블16, 18: Hydraulic cylinder 19: End table

20: 탑승테이블 22: 전후이동랙기어20: boarding table 22: front and rear movement rack gear

23: 좌우이동랙기어 26: 전후이동모터23: left and right movable rack gear 26: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motor

27: 좌우이동모터 28: 모터베이스27: left and right moving motor 28: motor base

29: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 30: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29: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earing rail 30: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 rail

31: 좌우이동운동 베어링 32: 전후이동운동 베어링31: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 32: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earing

36: 전부스토퍼 37: 후부스토퍼36: all stopper 37: rear stopper

38: 감지센서 39: 위치인식좌표38: sensor 39: position recognition coordinates

40: 조작반 41: 번호표시판40: operation panel 41: number plate

본 발명은 다관절로 구성된 레버를 이용한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holding device using a lever composed of multiple joints and a wheelchair lift using the same.

보다상세하게는,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 등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축, 회전축 및 다수의 레버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와, 상기 수평 유지 장치의 다관절 레버에 탑승테이블을 장치한 리프트에 노약자 및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편리하게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에 승하차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leveling device including a fixed shaft, a rotating shaft, and a plurality of levers configured to be applied not only to the boarding point of the aerial work device but also to a construction site, and a boarding table on the articulated lever of the level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lift that allows an elderly person and a wheelchair user to ride on a lift and easily get on and off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with a simple operation.

일반적으로, 고소작업(高所作業) 장치는 고가도로의 수리작업이나 도장작업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구조물에서의 시설보수작업이나 화물의 승하강작업 등과 같이 일반적인 사다리높이의 한계를 벗어난 높이에서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매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In general, a high altitude work device is used for work at heights beyond the normal ladder height, such as repair work on an elevated road, painting work, or facility repair work on a high-rise structure such as an apartment, or lifting and unloading cargo. It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very appropriately when needed.

이와 같은 고소작업장치는 그 특성상 주로 3층높이 이상의 높은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t is common for such aerial work equipment to work at a high place of three stories or more.

대부분의 경우 고소작업장치의 말단 붐에 연결된 탑승함에는 작업자가 탑승하기때문에 고소작업장치를 구성하는 붐의 굴절각이 작업높이에 따라 변화하게 되더라도 최종 붐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탑승함은 반드시 수평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In most cases, because the operator boards the board connected to the terminal boom of the aerial work device, even if the angle of refraction of the boom constituting the aerial work device changes depending on the working height, the boarding board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nal boom must be horizontal. You must keep it.

본 발명은 말단 붐과 상기 말단 붐에 연결되는 탑승함과의 연결구조에 적용될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nd boom and the boarding board connected to the end boo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 유지 장치에 노약자 또는 휠체어 이용자를 탑승시킬수 있는 탑승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lift having a boarding table that allows the elderly and / or wheelchair users to board the leveling device.

특히, 휠체어 리프트의 탑승테이블에 탑승한 노약자 또는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테이블 일측에 위치하는 타워형의 조작반에 본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대중교통의 식별번호를 인식시킨 후, 주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본인 스스로의 간단한 조작으로 대중교통 수단에 탑승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an elderly person or a wheelchair user who rides on the boarding table of the wheelchair lif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that he / she wants to board in a tower-type operation panel located on one side of the boarding t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lift that can be operated on public transportation.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삶의 질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노약자 및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그들을 위한 환경개선에 실질적으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법의 보호아래 모든 작업장, 공공시설 내지 상업지역에 휠체어 리프트 등의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interest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re increasing day by day, and substantial investments are being made in improving the environment for them, especially in some countries. In the facility or commercial area, it is mandatory for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such as wheelchair lifts.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선행 기술에 따른 장애자용 휠체어 리프트는 단순히 경사각을 갖는 판상의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차량 정차시 수작업에 의해 거치시킨 형태로서 판상의 리프트를 승강장과 경사구조를 이루도록 설치하여 그 경사면을 따라 휠체어가 승하차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general, the wheelchair lift for the handicapp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s widely used, is simply formed in a plate-like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which is mounted by manual operation when stopping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such as a bus. Installed so that 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get on and off the wheelchair along the slope.

그러나, 상기한 구조와 같은 리프트를 이용하여 장애인을 승강시키는 경우,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를 이동시킬수 있는 동행인이 반드시 필요하고, 판상의 경사 리프트에 탑승한 장애인의 이탈방지를 위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지않아 안전사고 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elevating a disabled person using a lift as described above, a companion must be able to move the wheelchair occupied by the disabled person, an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disabled person on the inclined lift plate are not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a safety accident.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간접식 구동실린더를 이용한 리프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lift using an indirect drive cylind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간접식 구동실린더를 이용한 리프트 간접 유압장치를 내설한 리프트 본체 하단에 연결판이 수납된 탑승판을 형성하여, 리프트 본체를 고정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Lift using an indirect drive cylinder The board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lift main body incorporating the indirect hydraulic system, the board is accommodated, the lift body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fixed shaft.

이와 같은 구성은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이 정차한 상태에서 수작업에 의해 고정축에 설치된 리프트 본체를 차량의 외부로 180°회전 고정되게 한 후, 리프트를 차량의 바닥면 높이로 승하강 안내되도록 하여 장애인을 승차 또는 하차 시키게 되는 구조이다.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lift body installed on the fixed shaft to be rotated 180 ° outside the vehicle by manual operation while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bus stops, and then the lift is guided up and down by the height of the floor of the vehicle. It is a structure that allows people with disabilities to get on or off.

상기의 간접식 구동실린더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는 유압작동방식에 의해 안정적인 힘을 발휘하며 휠체어에 의지하고 있는 장애인을 편리하게 승하차 되도록 하는 다소의 장점이 있다.Wheelchair lift using the indirect drive cylinder of the abo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 stable force by the hydraulic operation method and to get on and off the handicapped people who are dependent on the wheelchair conveniently.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수작업에 의한 조작관계와 유압작동에 의한 조작관계를 반드시 병행해야만 하는 복잡한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과다한 작동시간을 요하게 된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requires excessive operating time due to a complicated structural defect in which the operation relationship by manual operation and the operation by hydraulic operation must be performed in parallel.

뿐만 아니라, 휠체어 리프트 사용을 위해 반드시 승무원이나 주변의 도움을 필요로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wheelchair lift must be necessary for the help of the crew or the surroundi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지면과 같은 높이에서 탑승테이블이 구비된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탑승하여, 주변의 도움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에 승하차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ride on a wheelchair lift device equipped with a boarding table at the same height as the ground, to get on and off public transport means such as buses without a simple operation arou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heelchair lift.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휠체어 리프트의 수평 유지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장치 등에도 적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pplicable to the horizontal maintenance of the wheelchair lift as described above, but also has an object to provide a horizontal maintenance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aerial work device, etc.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operator.

상기와 같은 목적 중 고소작업장치 등에 적용되는 탑승함의 수평 유지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관절 레버를 이용한 수평 유지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다수의 레버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관절구조를 구성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어 관절을 구성하는 레버 중 말단 레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회전축; 상기 고정축과 회전축의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 및 상기 관절구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horizontal maintenance of the boarding box applied to the aerial work device and the like of the above object, in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using the articulated lever, is fixed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re sequentially connected using a plurality of levers A fixed shaft constituting a joint structure, to which a plurality of sprockets are fixedly coupled;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distal lever of the lever coupled to the fixed shaft to form a joint, and the plurality of sprockets fixedly coupled; A chain connected to the sprocket of the fixed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And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for driving the joint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노약자 및 장애인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수평 유지 장치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heelchair lift using the leveling device to configure a wheelchair lift that can be easily used by the elderly and disabled.

상기 휠체어 리프트는 상기 수평 유지 장치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노약자 또는 휠체어를 이동시킬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heelchair lift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lev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fer unit for moving the elderly or wheelchair.

삭제delete

상기 이송부는,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주행부; 및 상기 주행부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탑승테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fer unit, a traveling unit coupled to the movable upper surface; And a boarding tabl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so as to be movable.

또한, 상기 주행부는,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랙기어,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랙기어로 구성된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의 전후이동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전후이동모터, 상기 좌우이동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좌우이동모터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내장,장착되는 모터베이스;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로 구성된 레일부; 및 상기 모터베이스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이동운동 베어링, 상기 모터베이스 하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이동운동 베어링으로 구성된 베어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rack gear unit including a front and rear movable rack gear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table, and a left and right movable rack gear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ing table; A drive unit including a front and rear movement motor having a pinion engaged with the front and rear movement rack gear of the rack gear part, and a left and right movement motor having a pinion engaged wit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ack gears; A motor base in which the driving unit is built and mounted; A rail unit including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earing rail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able and a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 rail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arding table; And a bearing unit configured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base to move alo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 rails, and to be moved back and forth to move alo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bearing rail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상기 탑승테이블의 전면에는 상기 휠체어 리프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of the boarding t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lift is mounted.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은 고소작업에 사용되는 장치의 말단과 연결되는 탑승함의 수평 유지를 위한 다관절 레버부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와, 상기 수평 유지 장치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를 구성함에 있다.The technical idea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leveling device including a multi-joint lever portion for the horizontal maintenance of the boarding boar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evice used for aerial work, and the wheelchair lift using the leveling device.

이하, 수평 유지 장치를 설명 한다.Hereinafter, the leveling device will be described.

[수평 유지 장치][Leveling Device]

고소작업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다수의 레버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관절구조를 구성하는 다수의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어 관절을 구성하는 레버 중 말단 레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된다.Horizontal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aerial work is largely fixed to the base frame, the base frame, a plurality of fixed shafts are sequential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levers to form a joint structure, and coupled with the fixed shaft It is composed of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distal lever of the lever constituting the joint.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작동 원리에 설명한 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fte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레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레버 동작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고소작업차량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lever operation view for explaining the lever operation of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height-lifting operation to which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an example of a vehicl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유지 장치(50)는 하부 베이스 프레임(51)에 고정결합되는 브래킷(52)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관절구조의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축(54)과 제2 고정축(56), 상기 두축을 베어링(6a, 6b; 도 2a 참조)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레버(55, 도 2a의 도면부호 7 참조), 상기 제2 고정축(56)에 베어링(6c, 도 2a 참조)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 레버(57), 상기 제2 레버(57)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58)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8,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50 is coupled to the bracket 52 fixed to the lower base frame 51.
As shown in FIG. 8, the joint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xed shafts 54, 56, and two axes connecting the two shafts using bearings 6a and 6b (see FIG. 2a). First lever 55 (see reference numeral 7 in FIG. 2A), second lever 57 and second lever 57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shaft 56 using bearings 6c (see FIG. 2A). It is composed of a rotating shaft 58 rotatably connected to).

삭제delete

상기 베이스 프레임(51)의 일측면에는 제1유압 실린더(53)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유압 실린더(53)는 제1 레버(55)에 형성된 핀(17, 도1b 도면 부호 참조)에 핀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A first hydraulic cylinder 53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51, and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53 is a pin 17 formed on the first lever 55 (see FIG. 1B). It is a structure that is pinned to.

또한, 상기 제1 레버(55)의 상부에도 제2유압 실린더(60)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유압 실린더(60)의 타측은, 회전 브래킷(59)이 용접결합되어 있는 종행 테이블(61)의 하부면에 형성된 핀(미도시)에 핀결합되는 구조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60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ever 55,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60, the longitudinal end in which the rotary bracket 59 is welded The pin is coupled to the pin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61).

상기 종행 테이블(61)에는 도 10에 도시된 탑승합(63) 등이 설치되어 전신주(66) 등의 고소작업시에 상기 종행 테이블(61)의 수평을 용이하게 유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이다.The boarding table (63) shown in FIG. 10 is installed in the table 31 to facilitate the safety of the worker by easily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table 61 in the height of the telephone pole 66 and the like.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 유지 장치(50)의 개략적인 메카니즘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려 한다. 수평 유지 장치(50)의 작동원리는, 하기에 언급하는 본 수평 유지 장치(50)가 적용된 휠체어 리프트의 수평 유지부의 설명에서 보다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A schematic mechanism of the leveling device 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leveling device 50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in the description of the leveling part of the wheelchair lift to which the present leveling device 50 is described below.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 유지 장치(50)는 복수의 제1,2고정축(54, 56)과 회전축(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축들은 제1 레버(55) 및 제2 레버(57)를 이용하여 관절구조를 형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xed shafts 54 and 56 and a rotation shaft 58. The axes form a joint structure using the first lever 55 and the second lever 57.

상기 회전축(58)에는 종행 테이블(61)이 회전축(58)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버(55) 및 종행 테이블(61)에는 제1 및 제2유압 실린더(53, 60)가 연결되어 있어서, 유압 실린더(53, 60)의 작동에 따라 구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The longitudinal table 61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58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58.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ylinders 53 and 60 ar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55 and the vertical table 61, the first lever 55 and the vertical table 61 may be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s 53 and 60.

삭제delete

제1유압 실린더(53)의 이동변위(α)가 발생되어 제1 레버(55)가 이동(θ1)되게 된다. 이후에 제1 레버(55)의 일측과 상기 종행 테이블(61) 하부면에 연결된 제2유압 실린더(60)의 이동변위(α')가 발생됨과 동시에, 제2 레버(57)의 각변위(θ2)가 발생되어 종행 테이블(61)의 수평유지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종행 테이블(61)의 높이변위도 변하게 되는 원리이다.The movement displacement α of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53 is generated such that the first lever 55 is moved θ 1 . Thereafter, a movement displacement α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6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lever 5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table 61 is gene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ngular displacement of the second lever 57 θ 2 ) is generated so that the horizontal table 61 can be horizontally maintained, thereby changing the height displacement of the vertical table 61.

상기와 같은 종행 테이블(61)의 수평유지 원리는 제1,제2고정축(54, 56), 회전축(58), 제1,제2레버(55, 57), 제1,제2유압 실린더(53, 60) 및 종행 테이블(61)로 구성되는 연결구조에서 가능하다.The horizontal maintenance principle of the vertical table 61 is as follows: the first and second fixed shafts 54 and 56, the rotation shaft 58, the first and second levers 55 and 57, and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ylinders. It is possible in the connection structure consisting of (53, 60) and the vertical table (61).

이에 따른 보다 명확한 결합관계는 하기에 언급되는 본 수평 유지 장치(50)가 적용된 휠체어 리프트의 수평 유지부에서 상기 각각의 축(54, 56, 58)에 결합되는 스프로킷 및 체인을 부가하여 보다 명확히 설명될 것이다.The more obvious coupling relationship will be explained more clearly by adding sprockets and chains coupled to the respective shafts 54, 56, 58 in the horizontal holding portion of the wheelchair lift to which the present leveling device 50 is mentioned below. Will b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고소작업차량(65)에 연결된 다단붐(62)의 말단부에 고정결합되는 브래킷(64)을 이 용하여 수평 유지 장치(50)가 결합되어 전신주(66)와 같은 고소작업물에 접근하는 일예를 보여준다.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leveling device 50 using the bracket 64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multi-stage boom 62 connected to the aerial work vehicle 65 Is combined to show an example of approaching aerial work, such as telephone pole (66).

이하, 상기와 같은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를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wheelchair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휠체어 리프트][Wheelchair lift]

상기의 수평 유지 장치가 주요 부재로 구성된 휠체어 리프트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는 수평 유지 장치, 상기 수평 유지장치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노약자 또는 휠체어를 이동시킬수 있는 이송부로 구성된다.The wheelchair lift composed of the main member of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is largely composed of a base frame, a horizontal holding devic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a transfer part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to move the elderly or the wheelchair.

이하, 도 1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의 주요부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in mem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3C.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베이스 프레임(2)은 피트(1, 도 4 참조)의 바닥면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 상면에는 브래킷(3)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The base frame 2 is a structur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t 1 (see Fig. 4). The bracket 3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2 using a bolt.

상기 브래킷(3)에는 제1 고정축(4)이 고정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축(4)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다.The first fixed shaft (4) is fixedly coupled to the bracket (3), the first fixed shaft (4) is configured to be impossible to rotate.

수평 유지장치Leveling device

수평 유지 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축(4)과 제2 고정축(5), 상기 두축을 베어링(6a, 6b)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레버(7), 상기 제2 고정축(5)에 베어링(6c)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 레버(8), 상기 제2 레버(8)에 베어링(6d)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9) 그리고 상기 회전축(9)에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종행 테이블(19)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level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evers connecting the first fixed shaft 4, the second fixed shaft 5, and the two shafts using bearings 6a and 6b. (7), a second lever (8)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shaft (5) using a bearing (6c),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8) rotatably using a bearing (6d) (9) and a longitudinal table 19 fixed by a rotating bracket coupled to the rotary shaft 9.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수평 유지 장치를 부연하면, 다음과 같다.2A and 2B, the horizontal hold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a는 수평 유지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2a의 A부 상세도이다.FIG. 2A is a plan view of the leveling device, and FIG. 2B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A of FIG. 2A.

제1 고정축(4)은 브래킷(3)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제1 고정축(4)의 양측에는 제1스프로킷(10)이 상기 제1 고정축(4)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결합되어 있다.Since the first fixed shaft 4 is fixedly coupled to the bracket 3, the first fixed shaft 4 is configured to be incapable of rotation, and both sides of the first fixed shaft 4 are provided with the first sprocket 10. It is fixedly connected to 4 without rotation.

제1 레버(7)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고정축(4)과 연결되는 제2 고정축(5)의 양측에도 제2외측 스프로킷(11)이 고정결합되어 있고, 제2 레버(8)가 연결되는 제2 고정축(5) 상에도 제2 내측 스프로킷(12)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The second outer sprocket 11 is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ixed shaft 5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shaft 4 using the first lever 7, and the second lever 8 is The second inner sprocket 12 is also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fixed shaft 5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제2 고정축(5)과 베어링(6c)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 레버(8)의 말단에 연결되는 회전축(9)에도 제3스프로킷(13)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third sprocket 13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9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lever 8 connected by using the second fixed shaft 5 and the bearing 6c.

상기 브래킷(3)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제1 고정축(4)에 고정결합된 제1스프로킷(10)과 상기 제2 고정축(5)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제2외측 스프로킷(11)과는 제1체인(14)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고정축(4)이 상기 브래킷(3)에 결합되어 고정됨에 따라 제2 고정축(5)도 고정되어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이고, 상기 제2 고정축(5)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제2내측 스프로킷(12)도 회전축(9)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제3스프로킷(13)과 제2체인(15)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sprocket 10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ixed shaft 4 fixedly coupled to the bracket 3 and the second outer sprocket 11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fixed shaft 5 Since the first chain 14 is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second fixed shaft 5 is also fixed as the first fixed shaft 4 is coupled to the bracket 3 so that rotation is impossible. The second inner sprocket 12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fixed shaft 5 is also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third sprocket 13 and the second chain 15 fixed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9. have.

또한, 복수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레버(7)의 각각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에 일측이 힌지결합된 제1유압 실린더(16)가 제1 레버(7) 내측에 돌출된 핀(17)에 핀결합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제1 레버(7)의 상부 일측에도 제2유압실린더(18)가 힌지결합되어 하기에 언급하는 종행테이블(19)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종행테이블(19)을 설명한다.
상기 종행테이블(19)의 양측 하부에는 브래킷(21)이 종행테이블(19)에 용접결합되어 있고, 회전축(9)에 상기 회전 브래킷(21)이 회전축(9)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레버(7)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2유압실린더(18)가 종행테이블(19) 하부에 핀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참고로, 상기에 언급했던 바와 같이 수평 유지부가 유압 실린더(16, 18)와 고정축(4, 5) 및 회전축(9)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수평 유지부의 말단에는 수평이 유지되어야 하는 종행테이블(19)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 유지부의 말단에 연결되는 종행테이블(19) 수평이 유지 원리를 도 2a 및 도 2b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종행테이블(19)은 베이스 프레임(2)과 제1 레버(7)에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16)가 작동해도 수평을 유지해야 하고, 제1 레버(7)의 상부 일측과 종행테이블(19) 하부면에 연결된 제2유압실린더(18)가 작동해도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바, 상기 두 유압실린더(16, 18)의 작동에 따른 종행테이블(19)의 수평유지 관계를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베이스 프레임(2)과 제1 레버(7)에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16)가 작동하게 되면, 제1 고정축(4)은 베이스 프레임(2)에 연결된 브래킷(3)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상기 제1 고정축(4)에 베어링(6a)을 이용하여 결합된 제1 레버(7)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 고정축(4)에 고정결합된 제1스프로킷(10)과 제2 고정축(5)에 고정결합된 제2외측 스프로킷(11)은 제1체인(14)으로 연동되게 감겨있기 때문에, 제1 고정축(4)이 브래킷(3)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제2 고정축(5)도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2 레버(8)와 지면 간의 사이각은 제1 레버(7)가 수직으로 상승되더라도 상기 제2 고정축(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레버(7)와 종행테이블(19)과 연결된 제2유압 실린더(18)의 결합구성에 의해 제2 고정축(5) 및 제 2 레버(8)의 회전가능요소가 모두 배제됨으로써 종행테이블(19)의 수평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제1 레버(7)의 일측 상부와 종행테이블(19) 하부면에 연결된 제2유압실린더(18)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에 언급한 구성원리로 인해 제2 고정축(5)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9)이 반시계방향(도 4 평면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유압실린더(18)가 종행테이블(19)을 밀어올린 만큼, 제2 고정축(5)에 베어링(6c) 결합된 제2 레버(8)가 상승되어 종행테이블(19)의 수평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제2 고정축(5)을 고정절점으로 하는 외팔보 형태의 제2 레버(8)가 유압실린더(18)의 이동변위 만큼,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수평변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부연하면, 제2유압실린더(18)가 상승할때는 회전축(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레버(8)를 상승시킴에 따라, 제2유압실린더(18)의 이동변위를 회전축(9)의 회전으로 흡수하게 되어 종행테이블(19)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2유압실린더(18)가 하강할때는 회전축(9)이 시계방향(도 4 평면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2 레버(8)를 하강시킴에 따라, 제2유압실린더(18)의 이동변위를 회전축(9)의 회전으로 흡수하게 되어 종행테이블(19)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levers 7 includes a first hydraulic cylinder 16 hinged to one side of the base frame 2 and a pin 17 protruding inside the first lever 7. ) And a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is hing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lever (7) to be connected to a vertical table (19).
The vertical table 19 will be described below.
Brackets 21 are welded to the longitudinal table 19 at both lower ends of the longitudinal table 19, and the rotary bracket 21 is rotatabl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9. It is a structure that is fixedly coupled.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ever 7, is pinn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table 19.
For reference, as mentioned above, the horizontal holding portion is composed of the hydraulic cylinders 16 and 18, the fixed shafts 4 and 5, and the rotating shaft 9. This is because 19 is connected.
The horizontal principle of the vertical table 19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holding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2B, and 4.
The vertical table 19 should be level even when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16 connected to the base frame 2 and the first lever 7 is operated, and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lever 7 and the vertical table ( 19) Even though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should be kept horizontal, the horizontal maintenance relationship of the vertical table 19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wo hydraulic cylinders 16 and 18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
When the first hydraulic cylinder 16 connected to the base frame 2 and the first lever 7 is operated, the first fixed shaft 4 is fixedly coupled to the bracket 3 connected to the base frame 2. Therefore, the rotation is impossible, and the first lever 7 coupled to the first fixed shaft 4 by using the bearing 6a is vertically raised.
At this time, the first sprocket 10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ixed shaft 4 and the second outer sprocket 11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fixed shaft 5 are woun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chain 14. For this reason, the first fixed shaft 4 is fixed by the bracket 3, so that the second fixed shaft 5 cannot be rotated and fixed.
Accordingly,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lever 8 and the ground is fixed to the second fixed shaft 5 even when the first lever 7 is vertically raised, and the first lever 7 and the longitudinal table 19 are fixed. By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connected to both the rotatable elements of the second fixed shaft (5) and the second lever (8) is to maintain the horizontal of the vertical table (19).
When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lever 7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able 19 is operated, the second fixed shaft 5 is fixed due to the aforementioned members. Therefore, as the rotary shaft 9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plane of FIG. 4),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pushes up the vertical table 19 so that the bearing 6c is coupled to the second fixed shaft 5. The second lever 8 is raised so that the vertical table 19 is kept horizontal.
That is, the second lever 8 of the cantilever shape having the second fixed shaft 5 as the fixed node is raised or lowered by the moving displacement of the hydraulic cylinder 18 to maintai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rises, as the rotary shaft 9 rotates counterclockwise to raise the second lever 8, the displacement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is changed to the rotary shaft 9. Absorption by the rotation of) keeps the vertical table 19 horizontal.
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is lowered, as the rotary shaft 9 rotates clockwise (based on the plane of FIG. 4) to lower the second lever 8, the movement of the second hydraulic cylinder 18 is performed. The displacement is absorb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9 to keep the vertical table 19 horizontal.

이송부Conveying part

이송부는 상기 종행 테이블(19)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탑승테이블(20)로 구성된다.The transfer part includes a trave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table 19 so as to be movable, and a boarding table 2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part.

이하, 주행부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unn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주행부는 상기 종행테이블(19)의 상면과 하기에 언급하는 탑승테이블(20)하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탑승테이블(20)을 전후,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주요 구성 부분이다.The driving part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table 19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ing table 20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the boarding table 20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주행부는 크게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장착하여 구성되는 이동모터를 구비한 구동부, 사기 구동부가 내장,장착되는 모터베이스, 주행부의 이송을 안내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부로 구성된다.The driving part is largely a rack gear part, a driving part having a moving motor configured to mount a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gear part, a built-in fraudulent driving part, a motor base mounted thereon, a rail part for guiding the moving part, and the rail part It consists of a bearing part moving along.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주행부의 주요 부재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main member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랙기어부는 종행테이블(19)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랙기어(22)와, 탑 승테이블(20)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랙기어(23)로 구성된다.The rack gear portion includes a front and rear movable rack gear 22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table 19, and a left and right movable rack gear 23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 table 20.

구동부는 상기 전후이동랙기어(22)에 맞물리는 피니언(24)을 장착한 전후이동모터(26)와, 상기 좌우이동랙기어(23)에 맞물리는 피니언(25)을 장착한 좌우이동모터(27)로 구성된다.The drive unit includes a front and rear movement motor 26 having a pinion 24 engaged with the front and rear movement rack gear 22, and a left and right movement motor having a pinion 25 engaged wit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ack gear 23. 27).

상기 전후이동모터(26) 및 좌우이동모터(27)는 모터베이스(28)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체결되어 있는 구조이다.The front and rear movement motor 26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motor 27 are fixed to the motor base 28 using bolts.

상기 레일부는 상기 종행테이블(19)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29),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30)로 구성된다.The rail unit includes a forward and backward moving bearing rail 29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able 19, and a left and right moving bearing rail 30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arding table 19.

또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부는 상기 모터베이스(28)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이동운동 베어링(31), 상기 모터베이스(28) 하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운동 베어링 레일(29)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이동운동 베어링(32)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earing portion moving along the rail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base 28, the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 31 moving alo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 rail 30,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tor base 28 It is composed of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earing 32 coupled to move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earing rail (29).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행부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언급하는 감지부에서 함께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ogether in the sensing unit mentioned below.

이하, 탑승테이블(20)을 설명한다.The boarding table 20 will be described below.

탑승테이블(20)은 상기 주행부의 좌우이동운동 베어링(31)에 상기 탑승테이블(20)의 하면에 장착된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30)이 삽입,안치되는 구조로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The boarding table 20 is positioned above the driving unit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 rails 30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arding table 20 are inserted into and placed i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s 31 of the driving unit. .

또한, 탑승테이블(20)에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33)이 용접결합되어 있고, 상기 핸드레일(33) 일측에 핀으로 연결된 2절링크(35)를 이용하여 접이식의자(34)를 구성하여 휠체어 사용자가 아닌 노약자도 상기 접이식의자(34)를 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A to 1C, the handrail 33 is welded to the boarding table 20, and using a two-segment link 35 connected to a pin on one side of the handrail 33. The folding chair 34 is configured to allow the elderly, not the wheelchair user, to use the folding chair 34 by unfolding it.

상기 탑승테이블(2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부스토퍼(36) 및 후부스토퍼(37)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인데 이는, 탑승테이블(20)에 탑승된 휠체어 사용자가 탑승했을시에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구성한 것이고, 이를 위해 탑승테이블 내에는 상기 전부스토퍼(36) 및 후부스토퍼(37)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된다.The front and rear of the boarding table 20 is equipped with all the stopper 36 and the rear stopper 37, which promotes the safety of the occupant when the wheelchair user boarded on the boarding table 20 To this end, a driving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all stopper 36 and the rear stopper 37 is embedded in the boarding table.

상기 전부스토퍼(36) 및 후부스토퍼(37)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반을 통하여 얼마든지 본 발명이 추구하는 특허청구범위 안에서 변형할 수 있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용이하게 받아들여질 것이다.Although not shown, the all stopper 36 and the rear stopper 37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pursuant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ontrol panel,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will be.

또한, 상기 탑승테이블(20)의 전면에 감지센서(38)를 장착하여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nsor 38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boarding table 20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관계에서 언급하는 버스 출입구에 부착된 위치인식좌표(39, 도 6 참조)를 승강장에 설치된 조작반(40, 도 6 참조)의 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상기에 언급한 주행부가 버스의 위치인식좌표(39, 도 6 참조)에 맞게 좌우이동한 후, 휠체어 리프트가 전후이동을 하여 버스내로 진입하게 될때, 전후이동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위치 검색을 감지센서(38)에서 수행하게 된다.A sensor (not shown) of the control panel 40 (see FIG. 6) installed in the platform detects the position recognition coordinates 39 (see FIG. 6) attached to the bus entrance mentioned in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wheelch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ove-mentioned driving unit mov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recognition coordinates (39, see FIG. 6) of the bus, and the wheelchair lift moves back and forth into the bus, the position search of the wheelchair lift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s performed. The detection sensor 38 is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휠체어 리프트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평 유지부 및 이송부로 구성된 휠체어 리프트에 탑승한 이용자가,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하여 휠체어 리프트가 위치하는 승강장 일측에 조작반을 구성한다.The wheelchair lift to which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ntrol panel on one side of a platform in which a wheelchair lift is located in order to use a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by a user who rides on a wheelchair lift including a base frame, a leveling part, and a conveying part. Configure.

조작반은 휠체어 리프트에 부착되어 구성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가 구동되어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 이용자가 탑승하기 위하여 승강장 일측에 위치하는 타워형의 조작반을 구성하여 승차하고자 하는 버스의 식별번호를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operation panel is not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wheelchair lift, but the wheelchair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o form a tower-type operation panel located on one side of the platform to board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bus to identify the bus to be boarded. To recognize the number.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작반의 자세한 구성 및 작용을 특허청구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대중교통의 식별번호를 인식시킬수 있는 조작반을 청구하는 것임을 밝히고, 휠체어 리프트 장치와의 보다 자세한 연동관계는 하기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관계에서 언급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limit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nel to the claims, but merely to request an operation panel that can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ublic transport to the user using the wheelchair li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more detailed linkage with the wheelchair lift device is mentioned in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wheelchair lift device below.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wheelchair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관계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토의 승차시와 하차시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wheelchair lift device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 public Kyoto, such as a bus when getting on and off.

승차시When board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가 장치되는 장애인 및 노약자 승강장은 노선버스일반정류장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ure 5,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platform is equipped with a wheelchair li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route bus general stop.

따라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도 5와 같이 별도로 구성된 승강장에 도착하 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트(1)에 설치되어 탑승테이블(20)이 지면과 같은 높이로 구성된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탑승(도 6 참조)하게 된다(s100).Therefore, the elderly or disabled arrive at the platform separately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5, the wheelchair lif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it (1) as shown in Figure 4, the boarding table 20 is the same height as the ground Boarded to (see Figure 6) (s100).

이때, 탑승자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탑승하여 조작반(40)을 조작하여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식별번호를 인식시키고 버스 운전자가 도 5와 같은 승강장 구조에서 자신의 버스 번호가 번호 표시판(41)에 나타나게 되면 장애인 및 노약자 승강장에 정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ccupan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us to be board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panel 40 by boarding the wheelchair lift device, and when the bus driver displays his bus number on the number display plate 41 in the platform structure as shown in FIG. You will be stopped at the platform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상기의 번호 표시판(41)에 나타난 번호의 버스가 장애인 및 노약자 승강장에 도착하게 되면, 버스 운전자는 원격조작으로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승차 신호를 보내게 되고,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미도시)에서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명하게 된다.When the bus of the number indicated on the number display plate 41 arrives at the platform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bus driver transmits a boarding signal to the wheelchair lift device by remote operation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wheelchair lift device. In (not shown) command the operation of the wheelchair lift device.

참고로, 상기 버스 운전자의 원격조작 수단은 리모트 콘트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명령에 의해 연동될 수 있는 수신 제어반(미도시)의 전기제어적 구성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For reference, the remote control means of the bus driver is composed of a remote controller, the electrical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reception control panel (not shown) that can be interlocked by the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easily configu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상기와 같이 승차신호를 받게 되면 후부스토퍼(37)가 닫히게 되고, 유압실린더(16)의 작동으로 인해 제1 레버(7)가 상승하게 된다(도 1a 참조).When the riding signal is received as described above, the rear stopper 37 is closed, and the first lever 7 is rais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16 (see FIG. 1A).

이때, 조작반(40)에 구성된 센서(미도시)가 버스 출입구 일측에 부착된 위치인식좌표(39, 도 6 및 도 7 참조)를 감지하여 버스의 출입구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s200).At this time, the sensor (not shown) configured in the operation panel 40 detects the position recognition coordinates 39 (see FIGS. 6 and 7)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us entrance (S200).

상기와 같이 버스 출입구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현재 탑승테이블(20)에 탑승한 이용자와 버스 출입구 간의 위치오차를 파악하게 되고, 상기 조작반(40)에 구성된 센서(미도시)에서 검출된 위치오차만큼, 제2 레버(8, 도 1a 참조)와 종행테이블(19)에 연결된 실린더가 작동하여 버스 출입구와 휠체어 리프트 간의 높이오차를 수정한 후, 좌우로 탑승테이블(20)이 이동하게 되면, 버스 출입구 정면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게 된다(s300).When the position of the bus entrance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error between the user currently boarding the boarding table 20 and the bus entrance is detected, and the position error detected by a sensor (not shown) configured in the operation panel 40 is obtained. When the cylinder connected to the second lever 8 (see FIG. 1A) and the end table 19 is operated to correct the height error between the bus entrance and the wheelchair lift, the boarding table 20 moves from side to side, The user can be located in front of the doorway (S300).

상기와 같이 버스 출입구에 휠체어 리프트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위치되면, 종행테이블(19) 상면의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29, 도 3a 참조)을 따라 주행부와 탑승테이블(20) 모두 전진하여 휠체어 리프트 사용자가 버스내로 진입할 수 있게 되어 승차할 수 있게 된다(s400).When the wheelchair lift user is positioned to enter the bus entrance as described above, both the driving unit and the boarding table 20 are advanced along the front and rear bearing rails 29 (see FIG. 3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able 19 to allow the wheelchair lift user. It is possible to enter the bus is able to ride (s400).

이때, 탑승테이블(20) 전면에 장착된 감지센서(38)에 의해 버스의 내부 위치가 감지되면 탑승테이블(20) 및 주행부의 작동은 멈춰지게 되고, 전부스토퍼(36, 도 1a 참조)는 수평으로 내려지게 되어 휠체어 탑승자나 노약자가 용이하게 내릴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nternal position of the bus is detected by the sensor 38 mounted on the front of the boarding table 20, the operation of the boarding table 20 and the driving unit is stopped, and all the stoppers 36 (refer to FIG. 1A) are horizontal. It can be easily dismounted by wheelchair occupants or the elderly.

상기와 같이 휠체어 탑승자나 노약자가 버스에 내린 후, 버스 운전자가 원격조작으로 복귀신호를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보내게 되면, 전부스토퍼(36, 도 1a 참조)는 닫히게 되고 초기 위치로 후진하여 초기 피트(1) 위치로 하강하게 되고 후부스토퍼(37)를 내리면서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When the wheelchair occupant or the elderly person gets off the bu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us driver sends a return signal to the wheelchair lift device by remote operation, all stoppers 36 (refer to FIG. 1A) are closed and retract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initial pit ( 1) is lowered to the position and completes the operation while lowering the rear stopper (37).

하차시When getting off

하차시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은 승차시와는 반대로 대칭순서로 이루어 짐에 따라 간략히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진행 순서만을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operation of the wheelchair lift device at the time of getting off is made in a symmetrical order as opposed to the time of getting on, the procedure of the wheelchair lift device will be briefly described.

하차시에는 버스에 탑승하고 있는 장애인 및 노약자가 버스 운전자에게 신호 를 보내면, 버스 운전자가 도 5와 같은 장애인 및 노약자 승강장에 정차하게 된다.When getting off, when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on the bus signal to the bus driver, the bus driver stops at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platform as shown in FIG.

이후에, 버스 운전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승강장에 위치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하차 신호를 보내게 되면, 하차 신호를 받은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상기에 언급한 승차시의 작동을 탑승자 없이 작동하여 버스 출입문까지 진행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bus driver uses the remote controller to send a disengagement signal to a wheelchair lift device located in the platform, the wheelchair lift device that receives the disengagement signal operates the above-mentioned boarding operation without a passenger to the bus door. Will proceed.

이후에, 휠체어 이용자나 탑승자가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탑승하게 되면 버스 운전자가 다시 하차 신호를 보내게 되고, 하차 신호를 받은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후부스토퍼(37)를 닫고 상기의 승차시에 사용자를 버스에 내린 후 후방 초기 위치로 복귀하듯이 복귀함으로써, 사용자가 승강자에 내릴수 있게 순차적으로 진행되게 된다.Afterwards, when a wheelchair user or a passenger rides on the wheelchair lift device, the bus driver sends a signal for getting off again, and the wheelchair lift device that receives the getting off signal closes the rear stopper 37 and puts the user on the bus at the time of boarding. By descending and returning to the rear initial position, the user proceeds sequentially so that the user can get off the elevator.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차량 및 장치의 말단붐에 적용될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고소작업자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받을수 있는 효과가 기대 된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evel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aerial work vehicle and the end boom of the device,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to ensure the stability for the aerial worker.

아울러, 상기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함에 따라, 장애인 및 노약자가 따로이 구성된 승강장에서 주변의 도움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 승차할 수 있어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과 노약자들에게 대중 교통시설에 대한 보다 용이한 이동권과 접근권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wheelchair lift to which the leveling device is applied, a disabled person and an elderly person can ride a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assistance of the surroundings in a platform in which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re separated, so that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mobility The effect of granting easier access and access to public transport facilities is expected.

Claims (6)

다관절 레버를 이용한 수평 유지 장치에 있어서,In the leveling device using the articulated lever, 베이스 프레임상의 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제1고정축;과,A first fixed shaft fixedly coupled to the bracket on the base frame; And, 상기 제1고정축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스프로킷;과,A pair of first sprockets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ixed shaft; 상기 한 쌍의 제1스프로킷을 내부에 수용하는 한편 상기 제1고정축에 의해 일측이 관통되는 한 쌍의 제1레버;와,A pair of first levers accommodating the pair of first sprockets and having one side penetrated by the first fixed shaft; and 상기 한 쌍의 제1레버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는 제2고정축;과,A second fixed shaft penetrating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first levers; and, 상기 제2고정축의 양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제1레버의 타측 내부에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제2외측 스프로킷;과,A pair of second outer sprockets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ixed shaft and accommodated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first levers; 상기 제2고정축상에 일측이 고정결합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제1레버 사이에 위치하는 제2레버;와,A second lever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n the second fixed shaft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irst levers; 상기 제2레버 내부에 수용되는 한편 상기 제2고정축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내부 스프로킷;과,A second internal sprocket received inside the second lever and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fixed shaft; 상기 제2레버의 타측을 관통하는 회전축;과,A rotating shaft penetra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ever; 상기 회전축상에 고정 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2레버 내부에 수용되는 제3스프로킷;과,A third sprocket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lever;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는 종행 테이블;과,A longitudinal table fixed to a rotating bracket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일측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제1레버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1실린더;와,A pair of first cylinders,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fram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mounted to the pair of first levers; 일측은 상기 제1실린더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한편 타측은 상기 종행 테이블에 장착되는 제2유압 실린더;와,A second hydraulic cylinder having one side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ylinder while the other side mounted on the vertical table; and, 상기 제1스프로킷, 제2외측 스프로킷사이에서 연동되는 제1체인;과, A first chain interlocked between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outer sprocket; 상기 제2내부 스프로킷과 제3스프로킷사이에서 연동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장치.And a second chain interlocked between the second internal sprocket and the third sprocket. 제1항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와,Leve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상기 수평 유지 장치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노약자 또는 휠체어를 이동시킬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And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leveling device to move the elderly or the wheelchair.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송부는,The transfer unit,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주행부; 및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table to be movable; And 상기 주행부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탑승테이블;A boarding tabl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to be movable;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Wheelchair lif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주행부는,The driving unit,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랙기어,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랙기어로 구성된 랙기어부;A rack gear unit configured of a front and rear movable rack gear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table and a left and right movable rack gear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arding table; 상기 랙기어부의 전후이동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전후이동모터, 상기 좌우이동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좌우이동모터로 구성된 구동부;A drive unit including a front and rear movement motor having a pinion engaged with the front and rear movement rack gear of the rack gear part, and a left and right movement motor having a pinion engaged wit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rack gears; 상기 구동부가 내장,장착되는 모터베이스;A motor base in which the driving unit is built and mounted;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로 구성된 레일부; 및A rail unit including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earing rail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table and a left and right movement bearing rail fixedl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arding table; And 상기 모터베이스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이동운동 베어링, 상기 모터베이스 하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이동운동 베어링으로 구성된 베어링부;A bearing unit comprising a horizontal movement bearing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otor base to move along the horizontal movement bearing rail, and a longitudinal movement movement bearing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tor base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movement bearing rail;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Wheelchair lif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탑승테이블의 전면에는 상기 휠체어 리프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Wheelchair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boarding table is equipp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lift.
KR1020040033090A 2004-05-11 2004-05-11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KR100654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90A KR100654914B1 (en) 2004-05-11 2004-05-11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90A KR100654914B1 (en) 2004-05-11 2004-05-11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052A KR20050108052A (en) 2005-11-16
KR100654914B1 true KR100654914B1 (en) 2006-12-06

Family

ID=3728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090A KR100654914B1 (en) 2004-05-11 2004-05-11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22B1 (en) * 2010-10-11 2011-03-09 (주)삼성정밀 Lift for the disabled wheelchai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187A (en) * 1981-06-19 1982-11-23 Chapman Leonard T Compact hoisting device
JPH0640698A (en) * 1991-03-11 1994-02-15 Hajime Ban Obliquely moving lif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187A (en) * 1981-06-19 1982-11-23 Chapman Leonard T Compact hoisting device
JPH0640698A (en) * 1991-03-11 1994-02-15 Hajime Ban Obliquely moving 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052A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539A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US4058228A (en) Passenger vehicle access stair and elevator apparatus
US5425615A (en) Combination folding stair and platform wheelchair lift
US10589754B2 (en) Train platform located security system
CA1159793A (en) Lift for handicapped persons for a rail car
JP5049682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JP5268480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CA1084005A (en) Wheelchair lift device
US20220412097A1 (en) Ascending mechanised access ramp (a-mar)
KR100936020B1 (en) Low floor wheel chair lift
CA1084454A (en) Mechanism for transfer of wheelchair confined passengers to and from railway coaches at railway station platforms
US4407624A (en) Wheelchair loading device for passenger carrying vehicles
KR100654914B1 (en)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KR101924515B1 (en) Elevator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KR100727536B1 (en) Wheelchair lift for automobile
KR101924898B1 (en) Wheelchair lift appartus using entrance door for disabled moving vehicle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JP6095410B2 (en) Barrier-free boarding facility
KR102620648B1 (en) Wheelchair pool lift and platform
RU99704U1 (en) LIFTING DEVICE FOR LANDING AND DEPARTURE OF A PASSENGER IN A WHEELCHAIR INSTALLED IN A RAILWAY CAR
JP2007030677A (en) Boarding vehicle
JPH06286959A (en) Embarking device for wheelchair
JP3081073U (en) Suspended basket transfer device
KR100454007B1 (en) Lift apparatus for wheel chair
CN219769861U (en) Cab apron device of wheelchair at subway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