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799B1 -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799B1
KR100653799B1 KR20040091811A KR20040091811A KR100653799B1 KR 100653799 B1 KR100653799 B1 KR 100653799B1 KR 20040091811 A KR20040091811 A KR 20040091811A KR 20040091811 A KR20040091811 A KR 20040091811A KR 100653799 B1 KR100653799 B1 KR 10065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route
packet
communication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9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317A (ko
Inventor
가와구찌다까마사
안도우노부요시
후지오까다까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0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6Route discovery pa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4Organization of routing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s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이나 고정국, 이동국에 관계 없이, 전원이 온되거나 오프되거나, 이동하거나 하는 무선 장치를 구비하고, 직접 전자파가 닿는 무선 장치를 중계(멀티 호핑)함으로써, 직접 전자파가 닿지 않는 무선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 있어서, 통신 루트의 변경 빈도가 가능한 한 적어지도록 한다.
통신 루트를 선택할 때에, 전원이 오프되기 어려운 무선 장치나, 이동되기 어려운 무선 장치를 가능한 한 포함하는 통신 루트를 선택한다.
통신 루트, 루팅 테이블, 어플리케이션, 패킷

Description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RADIO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송수신 처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레벨 측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가값 산출 처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시간 감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RAM 감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CPU 감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팅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 단말기 평가값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패킷 수신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 천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상태 천이 도면.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상태 천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송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불통 통지 패킷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 는 흐름도.
도 3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패킷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패킷 중계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탐색 응답 패킷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시간 감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7은 본 실시예에 따른 RAM 감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 단말기의 평가값 산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 단말기의 평가값 산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 패스의 평가값 산출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가 공조로의 통신 루트를 탐색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중의 통신 루트가 불통이 된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홈 서버
102 : 중계 전용 기기
103 : 센서
104 : 공조
105 : 휴대 단말기
106, 107 : 조명
본 발명은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 통신 기술의 진보에 의해,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제품이 차례차례로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전기 제품을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이용함으로써, 주택이나 빌딩의 정보화를 도모하고,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거주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전기 제품을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가정이나 빌딩 내에서 네트워크 부설 공사를 행할 필요가 있는데, 네트워크 부설 공사는 통신 케이블의 설치, 접속 등, 작업 내용이 전문적인데다가 중노동이 동반되고, 공사비도 비싸다. 그 때문에, 네트워크 부설 공사를 행하지 않고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는 바램이 있다.
이 때문에, 무선 통신 방식을 채용함과 함께, 직접 통신할 수 없는 무선 장치끼리는 중계 장치(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장치)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네트워크 부설 공사없이 다수의 무선 장치끼리의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애드 혹 네트워크라고 불리는데, 기지국이나 고정국, 이동국에 관계없이, 무선 장치의 데이터 통신은 도중에서 복수의 무선 장치를 중계함으로써 행하는 네트워크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 장치를 중계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 11-239176호 공보, 특개 2003-115858호 공보 참조).
그런데, 애드 혹 네트워크에 있어서, 각 무선 장치 간의 통신을 어떤 무선 장치를 중계하여 행할지의 통신 루트의 선택은, 네트워크 전체의 처리량이나 신뢰성, 시스템 관리의 용이함에 대해 큰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가장 적합한 통신 루트를 선택·결정하기 위한 기술은 중요하다.
이러한 복수의 통신 루트중에서 적합한 통신 루트를 선택하고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종래부터 최소 홉 수(중계하는 중계 장치의 수)의 통신 루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단 통신 루트를 결정한 후, 중계 장치가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전원이 꺼지거나 하면, 이 중계 장치를 사용하는 통신 루트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이 중계 장치를 통신 루트로서 사용하고 있던 송신원의 무선 장치는 수신처의 무선 장치까지의 통신 루트를 재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 통신 루트의 탐색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처리가 필요하고, 또한 시간이 걸린다. 또한, 중계 장치가 이동하거나 전원이 꺼지거나 한 직후에는, 통신 도중의 데이터 패킷은, 새로운 송신처가 발견될 때까지 중계 장치에서 버퍼링되게 된다. 중계 장치의 버퍼가 넘치면,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일도 있다.
또한, 새로운 통신 루트를 탐색할 때에는, 대량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트래픽의 증대에 의한 패킷 손실이 더욱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패킷 손실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패킷 재송신 처리가 빈번히 발생하여, 쓸모 없는 데이터 패킷이 더 증대한다고 하는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루트의 재 탐색을 될 수 있는 한 필요로 하지 않는 루트를 미리 선택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무선 장치가 중계 장치를 통함으로써 상호 통신이 가능해지고, 중계 장치가 이동하거나 전원이 꺼지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용되어, 통신 루트의 재 탐색의 빈도가 적고 안정되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 환경을 실현하는 무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 장치를 구비하고, 각 상기 무선 장치가 다른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진 통신 루트에 따라 다음의 상기 무선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무선 장치 간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상기 무선 장치 로서,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의 다음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대응시킨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과,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새로운 상기 통신 루트로 다른 상기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상기 다른 무선 장치의 식별자와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의 탐색원으로서의 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와 상기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에 의해 각각 기재된 상기 각 무선 장치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하고, 자기를 수신처로 하여 송신되어 오는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산출한 각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탐색원이 되는 무선 장치로부터 자기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외에, 본원이 개시하는 과제 및 그 해결 방법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란 및 도면에 의해 명백해진다.
루트 재 탐색 처리의 빈도를 적게 하여 안정된 통신 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전체 구성예===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10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전체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가정 내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가전 제품이나 전기 제품을 무선 장치(100)로서 이용하여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일례로서 나타낸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가정 내에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사무실 내나 빌딩 내, 그 외에 옥외에서 구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홈 서버(101), 중계 전용기기(102), 센서(103), 공조(104), 휴대 단말기(105), 조명(106), 조명(107)이 무선 장치(100)로서 이용된다.
홈 서버(101)는, 예를 들면 가정 내에서 구축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2 00)의 각 무선 장치(100)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제2 네트워크)(500)와, 가정의 외부의 네트워크(제1 네트워크)(400)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게이트웨이로서 기능한다. 제1 네트워크(400)는 네트워크의 하위 층에 있어서, 예를 들면, ADSL, FTTH, ISDN(등록 상표) 등의 통신 방식으로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네트워크이다.
또한, 제2 네트워크(500)에 있어서, 각 무선 장치(100)는 중계 패스(51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는, 각 무선 장치(100)가 다른 무선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진 통신 루트를 따라 다음의 무선 장치(100)에 송신함으로써, 무선 장치(100) 간의 통신이 행하여진다. 중계 패스(510)는 인접하는 무선 장치(100) 간, 즉,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장치(100) 간에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로이다. 물론 각 무선 장치(100)는 각각 무선으로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통신로가 물리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중계 버스(510)를 통한 각 무선 장치(100) 간의 통신은 네트워크의 하위층에 있어서, 예를 들면,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블루투스, 특정 소전력 무선, IrDA 통신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중계 패스(510)를 통한 각 무선 장치(100) 간의 통신은 전부 동일한 통신 방식으로 행해도 되고, 다른 통신 방식이 혼재해도 된다.
홈 서버(10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홈 서버(101)는, 각 가정에 비치되어 있는 전력계나 브레이커 박스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중계 전용 기기(102)는, 가정 내의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 행해지는 무선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전용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제품이다. 예를 들면, 현관이나 창고, 복도 등, 가정 내에서 전기 제품이 그다지 설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파가 닿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된다.
센서(103)는, 예를 들면 실내의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온도 센서로 할 수 있 다. 온도 센서(103)에 의해 계측된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홈 서버(101)에 송신된다. 홈 서버(101)는 실내의 온도나 그 밖의 여러가지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공조(104)에 운전 개시나 정지의 지시를 행한다. 물론, 센서(103)로부터의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직접 공조(104)에 송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103)는 온도 센서 외에, 습도 센서, 명도 센서, 사람의 침입을 검출하는 센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공조(104)는 실내의 온도나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에어컨이나 환풍기로 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5)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나, 무선 전화, PDA, 텔레비전의 리모콘 등의, 운반이 용이한 전기 제품으로 할 수 있다.
조명(106), 조명(107)은 주위를 밝게 비추기 위한 전기 제품이다. 물론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면 시계나 인터폰, 냉장고, 세탁기, 전자 레인지, 다리미, 라디오, 텔레비전, 전화기, 스테레오, 컴퓨터, 급탕기, 선풍기, 손목 시계, 각로, 카메라, 복사기, 프린터, 전자 계산기, 스토브, 오븐, 비디오 녹화 재생기, DVD 녹화 재생기, 팩시밀리 송수신기, 의류 건조기, 식기 세척 건조기, 정수기, 엘리베이터, 태양열 발전기, 마루 밑 환풍기 등, 모든 전기 제품을 무선 장치(100)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각 무선 장치(100)는 각각의 가전 제품으로서의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와, 다른 무선 장치(10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단말기(1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각 전기 제품을 무선 장치(100)로서 보면, 예를 들면 텔레비전 등과같이 프로그램 시청 시에만 통전되는 것이나, 냉장고 등과 같이 정전시를 제외하고 항상 통전되어 있는 것, 혹은 세탁기 등과 같이 설치 장소가 이동되는 일이 없는 것이나, 카메라 등과 같이 운반되는 일이 많은 것, 휴대 단말기(105)와 같이 전지로 구동되는 것이나, 공조(104)와 같이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 등, 각 전기 제품에 따라서,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 안정성이라는 점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거의 통전이 오프되는 일이 없는 전기 제품은 무선 통신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장소가 그다지 이동되는 일이 없는 전기 제품도 무선 통신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제품도 무선 통신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제품 간에 주고 받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파의 강도가 강할수록, 무선 통신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의 각 무선 장치(100) 간에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 간의 통신 루트의 신뢰성이 중요해진다. 예를 들면, 외출처로부터 에어컨 등의 공조(104)를 조작하여 귀가 전에 실내의 온도를 맞춰 놓으려고 해도, 홈 서버(101)와 공조(104) 간의 무선 통신이 잘 행해질 수 없는 경우에는, 귀가 후, 방이 더운 것을 잠시 참아야만 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장치의 식별자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각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홈 서버(101), 중계 전용 기기( 102), 센서(103), 공조(104), 휴대 단말기(105), 조명(106), 조명(107)에는, 각각 제2 네트워크(500)로 통신하기 위한 하위 어드레스와 상위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하위 어드레스는 네트워크의 하위 층의 통신에 있어서 사용되는 어드레스이고, 예를 들면 IEEE802 사양 어드레스 등의, 적어도,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하게 각 무선 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하위 어드레스는 1 바이트의 하드웨어 식별자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위 어드레스는 서로 다른 하위 층을 서로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어플리케이션이 특정한 노드(무선 장치(100))에 대하여 전문(電文)을 송신할 때에, 수신처를 지정하는데 이용하는 어드레스이다. 상위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1 바이트의 네트워크식별부와 1 바이트의 노드 식별부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식별자는 적어도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고유하게 서브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구성되고, 노드 식별자는 적어도 각각의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하게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각 무선 장치(100)에는, 「A∼G」의 하위 어드레스와 「1」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1∼7」의 노드 식별자가 설정되어 있다.
===통신 루트 탐색의 개요===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서, 어떤 무선 장치(10 0)로부터 다른 무선 장치(100)에 데이터를 송신하려고 할 때에, 신뢰성이 높은 통신 루트를 어떻게 찾아내는가를 나타내는 통신 루트 탐색의 개요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각 무선 장치(100)를 각각, A, B, C, D, E, F, G에 의해 식별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무선 장치 A(100)로부터 무선 장치 G(100)로의 통신 루트를 찾아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자세히는 후술하지만, 각 무선 장치(100)는 루팅 테이블(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140)과,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 간의 각각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루팅 테이블(140)은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와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를 대응시킨 것이다. 루팅 테이블의 일례를 도 18에 도시한다. 각 무선 장치(100)는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에서,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 란에 기재된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무선 장치(100)를 수신처로 한 데이터를 「넥스트 홉(Next Hop) 하위 어드레스」 란에 기재된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무선 장치(10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각 무선 장치(100)는 다른 무선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진 통신 루트에 따라 다음의 무선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시간 중의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하고 있던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하고 있던 시간의 비율이 큰 무선 장치(100)를 포함하는 통신 루트라면 안정된 무선 통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동안에, 일단 가동을 개시한 무선 통신 기능이 정지한 횟수 중, 가동의 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가동 시간이, 현재 가동 중인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보다도 긴 것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도 있다. 즉, 일단 가동 개시하고 나서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가동 시간이 현재 가동 중인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보다도 긴 것의 비율이 큰 무선 장치(100)를 포함하는 통신 루트라면 장래적으로도 안정된 무선 통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 간의 각각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각 무선 장치(100) 간에 통신을 행할 때의 각각의 전자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 있다. 강한 전자파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장치(100) 간에는, 노이즈 등에 보다 통신이 도중에 끊어지거나 하지 않고, 안정된 무선 통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무선 장치 A(100)로부터 무선 장치 G(100)로의 최적의 통신 루트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선, 새로운 통신 루트로 무선 장치 G(제1 무선 장치)(100)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장치 A(제2 무선 장치)(100)는,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 G(100)의 식별자(G)와 새로운 통신 루트의 탐색원으로서의 무선 장치 A(100)의 식별자(A)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에 송신한다(도 2 참조). 루트 탐색 패킷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로의 송신은,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루트 탐색 패킷에서는,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 G(100)의 식별자(G)는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각 무선 장치(여기서는, 무선 장치 B(100)와 무선 장치 C(100))는,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G)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와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A)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고,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무선 장치 B(100)는, 무선 장치 A(100)로부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G(100)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B)와 다 르기 때문에,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B)와 상기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 A(100)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무선 장치 A(100), 무선 장치 C(100), 무선 장치 D(100))(100)에 송신한다(도 3 참조).
한편, 무선 장치 C(100)는 무선 장치 A(100)로부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G(100)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C)와 다르기 때문에,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C)와, 상기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A)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무선 장치 A(100), 무선 장치 B(100), 무선 장치 E(100))(100)에 송신한다(도 3 참조).
이어서, 무선 장치 B(100), 무선 장치 C(100)로부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각 무선 장치(여기서는, 무선 장치 A(100), 무선 장치 B(100), 무선 장치 C(100), 무선 장치 D(100), 무선 장치 E(100))는,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G)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와,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여,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 (100)에 송신한다(도 4 참조).
여기서,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각 무선 장치(A, B, C, D, E)(100) 중, 무선 장치 A(100)는 이전에 자기가 송신한 루트 탐색 패킷을 다시 수신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 그 이상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다. 이전 자기가 송신한 루트 탐색 패킷을 다시 수신했는지 아닌지의 여부는,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이미 자기의 식별자가 추가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루프를 포함하는 통신 루트를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서 무선 장치 E(100)가 자기의 식별자와,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여,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에 송신하면, 그 루트 탐사 패킷은 무선 장치 G(100)에도 송신된다(도 5 참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G(100)는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G)가 자기의 식별자(G)와 동일하기때문에, 우선,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100)에 의해 각각 기재된 각 무선 장치(100)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무선 장치 E(100)와 자기(G)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한다.
도 5에서 무선 장치 G(100)에 송신된 루트 탐색 패킷은, 무선 장치 A(100)로부터 무선 장치 C(100), 무선 장치 E(100)를 경유하여 무선 장치 G(100)에 송신되어 오고 있고, 루트 탐색 패킷에는 무선 장치 C(1O0), 무선 장치 E(10O)에 의해서 각각의 무선 장치(100)의 가동율과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무선 장치 G(100)는, 예를 들면 각 무선 장치(100)의 가동율과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모두 곱함으로써,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한다. 물론,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산출은 각 무선 장치(100)의 가동율과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모두 곱할뿐만 아니라, 더함으로써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무선 장치(100 )의 가동율을 곱하여 얻은 값과,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곱하여 얻은 값을 합하여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각 무선 장치(100)의 가동율을 합하여 얻은 값과,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합하여 얻은 값을 곱하여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 각 무선 장치(100)의 가동율의 평균값, 및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 마찬가지로 루트 탐색 패킷이 각 무선 장치(100) 간에 송신되는 결과, 최종적으로, 무선 장치 G(100)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계 11 종류의 통신 루트를 경유하여 온 루트 탐색 패킷이 송신되어 온다.
무선 장치 G(100)는, 이와 같이 여러가지 통신 루트를 경유하여 자기에게 송신되어 오는, 자기를 수신처의 무선 장치(100)로 한 루트 탐색 패킷의 각각에 대하여,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각각 산출한 각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장치 A(100)로부터 무선 장치 G(100)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새로운 통신 루트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가장 큰 통신 루트를 새로운 통신 루트로서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장치 G(100)는 무선 장치 A(100)로부터 무선 장치 G(100)까지의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의 각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무선 장치 A(100)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10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무선 장치 G(100)가 무선 장치 A(100), 무선 장치 C(100), 무선 장치 E(100), 무선 장치 G(100)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루트를 새로운 통신 루트로서 결정한 경우에는, 무선 장치 G(100)는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무선 장치 A(100)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100)인 무선 장치 E(100)에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E(10O)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A(100)의 식별자(A)가 자기의 식별자(E)와 다르기 때문에,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G), 및 자기에게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 G(100)의 식별자(G)를 각각, 자기의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140)에서의,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 및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로서 기억하고,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무선 장치 A(100) 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무선 장치 C(100))에 송신한다.
그리고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C(100)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A(100)의 식별자(A)가 자기의 식별자(C)와 다르기 때문에,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G(100)의 식별자(G), 및 자기에게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E)를 각각, 자기의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140)에서의,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 및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로서 기억하고,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무선 장치 A(100) 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무선 장치 A(100))에 송신한다.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A(100)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A(100)의 식별자(A)가 자기의 식별자(A)와 동일하기 때문에,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G(100)의 식별자(G), 및 자기에게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 C(100)의 식별자(C)를 각각, 자기의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서의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 및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로서 기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서는, 무선 장치 A(100)로부터 무선 장치 G(100)에 이르는 통신 루트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은 통신 루트를 찾아낼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장치 A(100)는 무선 장치 G(1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에 따라서 무선 장치 C(100)에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가장 신뢰성이 높은 통신 루트에서 무선 장치 G(100)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장치 A(100)가 무선 장치 A(100)로부터 무선 장치 G(100)로의 새로운 통신 루트를 찾아내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발생하는 것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경우이다.
우선, 무선 장치 A(100)가 무선 장치 G(10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처음인 등의 이유로,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 란에 데이터의 수신처인 무선 장치 G(100)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또한,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 란에는 데이터의 수신처인 무선 장치 G(100)가 기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넥스트 홉 하위 어드레스」 란에 기재된 무선 장치(100)에 무선 장치 G(100)로의 데이터를 송신하려고 한 바, 그 무선 장치(100) 간의 통신에 이상을 검지한 경우이다.
이 경우, 무선 장치 G(100)로의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무선 장치(100)는, 무선 장치 A(100)인 경우도 있고, 다른 무선 장치(100)인 경우도 있다. 다른 무선 장치(100)인 경우란, 예를 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무선 장치 X(100)를 송신원으로 하는 데이터가 무선 장치 Y(100), 무선 장치 Z(100), 무선 장치 A(100), 무선 장치 C(100), 무선 장치 E(100), 무선 장치 G(100)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루트로 무선 장치 G(100)에 송신되는 경우에, 무선 장치 A(100)가 무선 장치 C(100)에 데 이터를 송신하려고 한 바, 무선 장치 C(100) 간의 통신에 이상을 검지한 바와 같은 경우이다.
물론 이 경우, 무선 장치 X(100)로부터 무선 장치 A(100)에 이르는 통신 루트는 그대로, 무선 장치 A(100)로부터 무선 장치 G(100)에 이르는 통신 루트를 새로운 통신 루트로 재구축하도록 할 수도 있고, 무선 장치 A(100)가 데이터의 송신원인 무선 장치 X(100)에 통신의 이상을 알리고, 무선 장치 X(100)로부터 무선 장치 G(100)에 이르는 통신 루트를 새로운 통신 루트로 재구축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무선 장치 A(100)는, 데이터의 송신원인 무선 장치 X(100)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지는 통신 루트에 따라 자기에게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에 데이터의 수신처와 대응시켜 기억되는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무선 장치 C(100)) 간의 통신에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는, 수신처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데이터의 송신원인 무선 장치(무선 장치 X(100))를 수신처로 하여,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에 송신원인 무선 장치(무선 장치 X(100))와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무선 장치(예를 들면 무선 장치 V(100))에 송신한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V(100)는, 자기가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무선 장치 X(100))와는 다르기 때문에, 그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에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무선 장치 X(100))와 대응시켜 기억되는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예를 들면 무선 장치 W(100))에 송신한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W(100)은, 자기가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무선 장치 X(100))와는 다르기 때문에, 그 루트 불통통지 패킷을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에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무선 장치 X(100))와 대응시켜 기억되는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예를 들면 무선 장치 X(100))에 송신한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X(100)은, 자기가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이기 때문에, 새로운 통신 루트로 데이터를 수신처(무선 장치 G(10 0))에 송신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로의 루트 탐색 패킷의 송신을 행한다.
또한, 상술한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송신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순서에 따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우선, 데이터의 송신원인 무선 장치 X(100)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지는 통신 루트에 따라 각 무선 장치(무선 장치 Y, 무선 장치 Z)(100)를 경유하여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수신한 무선 장치(무선 장치 A(100))는, 자기의 루팅 테이블(140)에 데이터의 수신처(무선 장치 G(100))와 대응시켜 기억되는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무선 장치 C(100)) 간의 통신에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는, 수신처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데이터의 송신원인 무선 장치(무선 장치 X(100))를 수신처로 하여, 상기 통신 루트에서 무선 장치 X(100)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무선 장치 Z(100))에 송신한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Z(100)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X(100)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Z)와 다르기 때문에,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통신 루트에서 무선 장치 X(100)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무선 장치 Y(100))에 송신한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Y(100)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X(100)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Y)와 다르기 때문에,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통신 루트에서 무선 장치 X(100) 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무선 장치 X (100))에 송신한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무선 장치 X(100)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에 기재된 무선 장치 X(100)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X)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통신 루트 상의 어느 하나의 무선 장치(100)에 있어서 통신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로의 새로운 통신 루트를 재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재구축되는 새로운 통신 루트는 가장 신뢰성이 높은 통신 루트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무선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각 무선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100)는, 각각의 가전 제품으 로서의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와, 다른 무선 장치(10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단말기(1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물론, 무선 단말기(120)는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와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체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120)와 어플리케이션 기기(11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120)가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에 내장되어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와 무선 단말기(120) 간은, I/O(113)와 I/O(124)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와 무선 단말기(1 20)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데이터는, 예를 들면, 에코 네트(등록 상표) 규격서 Ver3.20 제7부에서 규정되어 있는 에코 네트(등록 상표) 미들웨어 어댑터 통신 프로토콜 등이다.
어플리케이션 기기(11O)는, 예를 들면, 에코 네트(등록 상표) 규격서 Ver 3. 20 제7부에서 규정되어 있는 에코 네트(등록 상표) 레디 기기로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기기(110)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제어부(111), 어플리케이션 기기 정보 취득부(112), I/O(113), 기기 정보 테이블(11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어플리케이션 기기 제어부(111)는, 무선 단말기(120)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기기 제어 요구 데이터를 I/O(113)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 기기 본체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명(106)의 경우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제어 요구 데이터에 따라서 점등 소등을 행한다.
어플리케이션 기기 정보 취득부(112)는, 무선 단말기(120)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기기 정보 취득 요구 데이터를 I/O(113)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기기 정보 테이블(114)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무선 단말기(120)에 송신한다.
I/O(113)은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와 무선 단말기(120) 간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를 한번에 1 비트씩 전송하는 통신 채널 등의, RS232C, 오픈 콜렉터, TTL 이다. 또한 I/O(113)는 병렬 I/F나 USB 등을 사용해도 된다.
기기 정보 테이블(114)은, 가전 기기의 기기 종별이나 메이커 정보, 형식, 전원 공급 형태 등을 기억해 두기 위한 에리어이다. 도 17에, 기기 정보 테이블(1 14)의 일례를 나타낸다.
기기 정보 테이블(114)은, 「기기 종별 코드」 란과, 「메이커 코드」 란과, 「형식」 란과, 「전원 공급 종별」 란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기기 종별 코드」 란은, 가전 기기의 기기 종별을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예를 들면, 홈 서버(101)이면 「0000」, 중계 전용 기기(102)이면 「0001」, 공조( 104)이면 「0002」 등과 같이, 미리 값을 정의해 놓고 그 값을 저장한다.
「메이커 코드」 란은, 가전 기기의 제조원의 메이커 정보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예를 들면, A 사면 「0001」, B 사면 「0002」 등과 같이, 미리 값을 정의해 놓고 그 값을 저장한다.
「형식」 란은, 가전 기기의 제조원의 메이커로 정의되어 있는 형식 정보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전원 공급 종별」 란은, 어플리케이션 기기(1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AC 전원으로부터 공급되어 있는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한편, 무선 단말기(120)는, CPU(121), RAM(122), 수정 발진자(123), I/O(124 ), 무선 송수신부(125), 기억 장치(126), 안테나(12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CPU(121)는, 무선 단말기(120)의 동작에 관한 계산 처리를 행하는 장치로, 주로 RAM(122)이나 기억 장치(126)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처리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다.
RAM(122)은, 내용을 변경할 수 있지만 전원을 중단하면 내용이 사라져 버리는 반도체 메모리이다. 무선 단말기(120)에서, 동작 중의 프로그램이 유지하는 변수나 테이블 정보나 로그 등을 기억한다.
수정 발진자(123)는, CPU(121) 등의 무선 단말기(120)를 구성하는 각 장치에 대하여 동작의 지침이 되는 클럭 신호를 부여하는 장치이다.
I/O(124)는, 무선 단말기(120)와 어플리케이션 기기(110) 간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를 한번에 1 비트씩 전송하는 통신 채널로서, RS232C, 오픈 콜렉터, TTL 이다. 또한 I/O(113)는, 병렬 I/F나 USB 등을 사용해도 된다.
무선 송수신부(125)는, 무선 통신의 채널 제어, 어드레스 제어, 변조, 복조를 행하는 장치이다.
안테나(127)는, 다른 무선 단말기(120) 간에 전자파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자파로서는 전파나 적외선 등으로 할 수 있다.
기억 장치(126)는, CPU(121)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이다. 기억 장치(126)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억 장치(126)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이 CPU(121)로 실행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 패킷 송수신 처리부(131), 전파 레벨 측정부(133), 평가값 산출 처리부(134), 동작 시간 감시부(135), RAM 감시부(136), CPU 감시부(137)가 실현된다. 또한 기억 장치(126)에는, 상술한 루팅 테이블(140), 시간 단말기 평가값 테이블(141),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142), 무선 송수신 드라이버(132)가 기억된다.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21)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 프로그램(800)에 의해 실현된다.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는,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와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의 생성, 송수신, 수신한 데이터의 해석을 행한다. 예를 들면, 에코 네트(등록 상표) 규격서 Ver.3.20 제 7부의 에코 네트(등록 상표) 미들 웨어 어댑터 통신 처리부를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로 할 수 있다.
패킷 송수신 처리부(13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21)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패킷 송신 처리 프로그램(810),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1), 데이터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2), 루트 불통 통지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 (813), 루트 탐색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4), 루트 탐색 응답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5),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6), 및 루트 탐색 수신 테이블(143)에 의해 실현된다.
패킷 송수신 처리부(131)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기초로, 다른 무선 장치(100)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데이터 패킷의 송신은 무선 송수신 드라이버(132)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다른 무선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이나, 루트 불통 통지 패킷, 루트 탐색 패킷, 루트 탐색 응답 패킷 등을 해석하고,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나 평가값 산출 처리부(134)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패킷이나, 루트 불통 통지 패킷, 루트 탐색 패킷,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무선 송수신 드라이버(132)는,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g, 블루투스, 특정 소전력 무선, IrDA 통신 등)으로, 다른 무선 장치(10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무선 송수신부(125)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전파 레벨 측정부(133)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21)에 의해 실행되는 전파 레벨 측정 프로그램(820)에 의해 실현된다. 전파 레벨 측정부(133)는, 주기적으로 전파 레벨 측정 패킷을 주위의 무선 장치(100)에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고, 이들의 무선 장치(100)로부터 유니캐스트로 송신되어 오는 전파 레벨 측정 패킷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각 무선 장치(100) 간의 전자파의 강도를 조사하여,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142)에 기록한다. 전파 레벨 측정 패킷은 특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송신처 하위 어드레스에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수신한 무선 단말기(100)가 응답을 주도록 한다.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142)은, 무선 장치(100)가 수신한 무선 데이터의 수신 이력 정보와 전파 레벨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19에,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142)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다.
「하위 어드레스」 란은, 자기에게 무선 데이터를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의 하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항목이다. 「시각」 란은, 무선 데이터의 수신 시각을 저장하는 항목이다. 「전파 레벨」은,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항목이다. 「전파 레벨」 란에 기재되는 전자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의 단위는, 예를 들면 데시벨로 할 수 있지만, 전자파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단위라면, 어떠한 단위로도 할 수 있다.
평가값 산출 처리부(134)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21)에 의해 실행되는 자 단말기의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830), 중계 패스의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831)에 의해 실현된다. 평가값 산출 처리부(134)는,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나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 간의 각각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한다.
동작 시간 감시부(135)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21)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 시간 감시 프로그램(840), 동작 횟수 카운터(150), 동작 시간 카운터(1 51), 동작 상태 천이 테이블(144)에 의해 실현된다.
RAM 감시부(136)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21)에 의해 실행되는 RAM 감시 프로그램(850)에 의해 실현된다.
CPU 감시부(137)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21)에 의해 실행되는 CPU 감시 프로그램(860)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각 무선 장치(100)는, 도 23에 도시하는 상태 천이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1 00)는, 「정지」, 「초기화 중」, 「통신 동작 중」, 「에러 정지」의 각 상태를 취한다.
「정지」는, 무선 장치(100)의 기능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이다. 「정지」는, 무선 장치(1OO)의 파워 온(Power On)에 의해서 상태 천이한다. 「정지」 상태의 무선 장치(1OO)는 「초기화 중」의 상태로 이행한다. 「초기화 중」은, 무선 장치(100)의 기능을 개시하기 위해서 초기화 처리를 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정지」로부터 천이하여 오는 경우와, 「통신 동작 중」 이나 「에러 정지」로부터 천이하여 오는 경우가 있다. 「통신 동작 중」은 다른 무선 장치(100) 간에 패킷의 송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이다. 무선 장치(100)는 「통신 동작 중」인 동안,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한다. 「초기화 중」에 행해지고 있던 초기화 처리가 종료되면, 「통신 동작 중」으로 천이한다. 「에러 정지」는, 어떠한 통신 이상을 검지하여, 패킷의 송수신 처리를 정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통신 동작 중」으로부터 천이한다. 또한, 이상 상태가 회복된 것을 검지하면 「통신 동작 중」으로 천이한다.
여기서 일례로서, 어떤 무선 장치(100)가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 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각 상태를 천이하여 온 모습을 도 24에 도시한다. 또한 무선 장치(100)가 각 상태에 있는 시간은, 도 22에 도시하는 동작 상태 천이 테이블(144)에 의해 기록되어 있다. 도 22에는, 도 24에 대응하여, 무선 장치(100)의 각각의 상태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이 나타나 있다. 동작 상태 천이 테이블(144)을 참조함으로써,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하고 있던 시간이나, 일단 가동을 개시한 무선 통신 상태가 정지한 횟수, 가동의 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가동 시간, 현재 가동 중인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상태 천이 테이블(144)은, 동작 시간 감시부(135)에 의해 작성, 갱신된다.
루팅 테이블(140)은, 임의의 무선 장치(100)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루팅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18에, 루팅 테이블(140)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다.
루팅 테이블(140)은, 임의의 무선 장치(100)의 어드레스 맵 정보가 되는 행과 행을 구성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루팅 테이블(140)의 항목은,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와, 「넥스트 홉 하위 어드레스」가 있다.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맵 정보를 구성하는 임의의 노드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항목이다. 「넥스트 홉 하위 어드레스」는, 통신 하위 층에 있어서의 송신처 정보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자 단말기 평가값 테이블(141)은, 자 단말기(무선 장치(100))가 「통신 동작 중」의 상태인 가능성의 대소를 판정하기 위한 테이블의 일례이다. 자 단말기가 「통신 동작 중」의 상태인 가능성이 클수록,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이 큰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20에, 자 단말기 평가값 테이블(141)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낸다.
「기기 종별」 란은, 무선 장치(100)의 기기 종별을 저장하는 항목이다. 기기 종별로서는, 예를 들면, 홈 서버(101), 중계 전용 기기(102), 센서(103), 공조(104), 휴대 단말기(105), 조명(106, 107) 등이 있다. 「전원 공급 종별」 란은, 무선 장치(100)에 대응하는 전원 공급 종별을 저장하는 항목이다. 전원 공급 종별로서는, 예를 들면, AC 100V, AC 100V 무 정전 전원 장치 부, 배터리 등이 있다. 「자 단말 기기의 평가값」 란은, 「기기 종별」 란에 대응하는 무선 장치(100)가「통신 동작 중」인 가능성의 대소를 나타내는 값이다. 예를 들면, 「0」에서「1」의 범위 내에서 값을 결정하여 저장한다. 도 20에서는, 홈 서버(101)가 「0.95」, 중계 전용 기기(102)가, 전원 공급 종별에 따라서「1.0」인 것과 「0.95」인 것, 센서(103)가 전원 공급 종별에 따라서 「0.5」인 것과 「0.95」인 것, 공조(104)가 「0.7」, 조명(106, 107)이 「0.6」로 하고 있다.
===패킷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100) 간에 주고 받는 패킷에 대하여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무선 장치(100) 간에 주고 받는 패킷은, 데이터 패킷(600),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 루트 탐색 패킷(620),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이다.
데이터 패킷(60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데이터, 상태 데이터, 화상 데이 터, 스트리밍 데이터 등을 교환하는 패킷이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은,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에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600)을 통신 루트에 따라서 다음의 무선 장치(100)에 송신하려고 한 무선 장치(100)가, 불통을 발견(이상을 검지)한 경우에, 데이터 패킷(600)을 차출한 무선 장치(100)에 대하여, 불통을 통지하기 위한 패킷이다.
루트 탐색 패킷(620)은, 데이터 패킷(600)을 차출하는 무선 장치(100)가,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에 데이터 패킷(600)을 송신하기 위한 통신 루트를 탐색하기 위해서 송신되는 패킷이다.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은, 데이터 패킷(600)의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가 결정한 통신 루트를, 그 통신 루트 상의 각 무선 장치(100)에 통지하기 위한 패킷이다.
각 패킷은, 「송신원 하위 어드레스」와, 「송신처 하위 어드레스」와, 「패킷 타입」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공통의 헤더부를 갖는다.
「송신원 하위 어드레스」는, 패킷 송신원의 하위 어드레스, 즉 자기의 하위 어드레스의 정보가 저장되는 에리어이다. 예를 들면, 「A∼G」의 송신원을 나타내는 1 바이트의 하위 어드레스가 저장된다.
「송신처 하위 어드레스」는, 패킷의 다음 송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의 하위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에리어이다. 예를 들면, 「A∼G」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1 바이트의 하위 어드레스가 저장된다. 또한, 특정한 값을 하위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라고 정하고, 하위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가 송신처 하위 어드레스에 지정되는 경우에는, 이 패킷을 무선으로 수신한 모든 무선 장치(100)가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패킷 타입」은, 패킷의 종별 정보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 패킷(600)은「0 x 00」,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은 「0 x 01」, 루트 탐색 패킷(620)은 「0 x 02」,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은 「0 x 03」등, 각 패킷의 종별로 고유해지도록 1 바이트의 값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패킷(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패킷(600)은, 상술한 데이터부 외에 「차출 상위 어드레스」,「수신처 상위 어드레스」,「데이터 길이」,「데이터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패킷(600)을 도 25에 도시한다.
「차출 상위 어드레스」는, 데이터 패킷(600)의 「데이터부」에 데이터를 저장한 무선 장치(100)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는, 데이터 패킷(600)의「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무선 장치(100), 즉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데이터 길이」는,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사이즈, 예를 들면 바이트 수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데이터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데이터, 상태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다음으로,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은, 상술한 헤더부 외에 「차출 상위 어드레스」,「수신처 상위 어드레스」, 「데이터 길이」, 「데이터부」를 구비한다.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을 도 26에 도시한다.
「차출 상위 어드레스」는, 데이터 패킷(600)의 「데이터부」에 데이터를 저장한 무선 장치(100)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는, 데이터 패킷(600)의 「데이터부」의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무선 장치(100), 즉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데이터 길이」는,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사이즈, 예를 들면 바이트 수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데이터부」는, 도달 불능인 데이터 패킷(600) 「데이터부」의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데이터, 상태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다음으로, 루트 탐색 패킷(6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루트 탐색 패킷(620)은, 상술한 헤더부 외에 「탐색원 상위 어드레스」,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 「루트 탐색 패킷 ID」, 「데이터 길이」,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를 구비한다. 루트 탐색 패킷(620)을 도 27에 도시한다.
「탐색원 상위 어드레스」는, 루트 탐색 패킷(620)을 발신한 무선 장치(100 ), 즉 새로운 통신 루트를 탐색하고자 한 무선 장치(100)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는, 루트 탐색 패킷(620)에 의해서, 통신 루트를 발견하고자 하는 탐색처의 무선 장치(100), 즉, 데이터 패킷(600)의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100)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루트 탐색 패킷 ID」는, 루트 탐색 패킷(620)의 동일성을 식별하기 위해서 루트 탐색 패킷(620)의 「차출 상위 어드레스」 란에서 특정되는 무선 장치(100)가 값을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데이터 길이」는,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의 데이터 사이즈, 예를 들면 바이트 사이즈를 저장한다.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는, 중계 단말기 즉 통신 루트 상의 각 무선 장치(100)의 정보를 리스트로 하여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루트 탐색 패킷(620)을 수신한 무선 장치(100)가 새로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할 때에, 해당 무선 장치(100)가 자신의 중계 단말기 정보를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에 추가한다.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는, 「중계 단말기 하위 어드레스」, 「중계 단말기 평가값」, 「중계 패스 평가값」 의 조(組)로 저장된다.
「중계 단말기 하위 어드레스」는, 루트 탐색 패킷(620)을 수신하여 새로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할 때에, 무선 장치(100)의 하위 어드레스, 즉 자기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중계 단말기 평가값」은, 루트 탐색 패킷(620)을 수신하여 새로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장치(100)가, 탐색원 상위 어드레스로 특정되는 무선 장치(100)로부터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로 특정되는 무선 장치(100)에의 데이터 패킷(600)의 통신 루트의 중계 장치로서 선택하는지의 여부의 판정 기준이 되 는 평가값, 즉,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중계 패스 평가값」은, 루트 탐색 패킷(620)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와 자기 간의 패스 평가값, 즉, 루트 탐색 패킷(620)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다음으로,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은, 상술한 헤더부 외에 「탐색원 상위 어드레스」,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 「루트 우선도」, 「데이터 길이」, 「중계 단말기 리스트」를 구비한다.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도 28에 도시한다.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중계하는 무선 장치(100)는, 수신한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중계 단말기 리스트」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루팅 테이블(140)을 갱신하여, 다음의 무선 장치(100)에 의해 송신한다.
「탐색원 상위 어드레스」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에 대응하는 루트 탐색 패킷(620)을 발신한 무선 장치(100)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에 대응하는 루트 탐색 패킷(620)에 의해서 통신 루트를 발견하고자 하는, 탐색처의 무선 장치(100)의 상위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루트 우선도」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중계 단말기 리스트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루트가, 모든 통신 루트 중 몇 번째로 신뢰성이 높은지의 정보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데이터 길이」는, 「중계 단말기 리스트」의 데이터 사이즈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중계 단말기 리스트」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무선 장치(100)에 의해 선택된 통신 루트에서의, 각 무선 장치(100)의 하위 어드레스의 리스트, 즉, 탐색원의 무선 장치(100)로부터 탐색처의 무선 장치(100)까지의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의 각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에리어이다.
===패킷 송수신의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패킷 송수신부(131)에 의해 행해지는 패킷의 송수신 처리의 흐름에 관해서, 도 29 내지 도 40의 흐름도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 송신 요구에 의해서 데이터 패킷(600)을 다른 무선 장치(100)에 송신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 29에 도시한다.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 프로그램(800)으로부터, 데이터 패킷 송신 요구를 수취하면, 데이터 패킷 송신 처리 프로그램(810)이 스타트된다. 데이터 패킷 송신 요구로 받은 정보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작성하고(S(1000), 데이터 패킷(60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가 루팅 테이블(14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 항목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1001), 존재하는 경우에는 "Yes"로 진행하여, 루팅 테이블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600)을 송신한다(S(1002).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o"로 진행하여,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의 루트 탐색 패킷(620)을 작성한다(S1005). 작성한 루트 탐색 패킷(620)을 송신하고(S1006 ),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S1007).
다음으로, 미리 설정한 타임아웃 시간 내에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수신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1008),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수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수신한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에 기초하여 루팅 테이블(140)을 갱신한다(S1009). 미리 설정한 타임아웃 시간 내에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수신이 없었던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프로그램(800)에 루트 탐색 타임아웃, 즉 소정의 타임아웃 시간 내에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수신하지 않았음을 회신하고(S1011), 처리를 종료한다.
S1002에서 데이터 패킷(600)을 송신한 후에는, 소정 시간,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을 수신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S1003).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수신이 소정 시간 내에 없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프로그램(800)에 송신 실패 통지 없음, 즉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수신이 소정 시간 내에 없었음을 회신하고(S1004),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수신이 소정 시간 내에 있었던 경우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프로그램(800)에, 송신 실패 통지 있음, 즉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수신이 소정 시간 내에 있었음을 회신하고(S1010),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무선 송수신 드라이버(132)가 수신한 다른 무선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패킷 송수신부(131)가 해석하여, 처리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도 30에 도시한다.
무선 송수신 드라이버(132)로부터 패킷의 수신 통지를 수취하면,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1)이 스타트한다.
우선, 수신한 패킷의 패킷 타입을 체크한다(S2000). 그리고 패킷 타입이 데이터 패킷(600)인 경우는, 데이터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2)에 데이터 패킷(600)을 송신하고(S2001) 처리를 종료한다.
패킷 타입이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인 경우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3)에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을 송신하고(S2002) 처리를 종료한다.
패킷 타입이 루트 탐색 패킷(620)인 경우는, 루트 탐색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4)에 루트 탐색 패킷(620)을 송신하고(S2003) 처리를 종료한다.
패킷 타입이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인 경우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5)에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송신하고(S2004)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2)의 흐름을 도 31에 도시한다.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1)으로부터 데이터 패킷(600)을 받으면, 데이터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2)이 스타트한다.
우선, 수신한 데이터 패킷(60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가 자신의 상위 어드 레스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00). 일치하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에 수신한 데이터 패킷(600)의 차출 상위 어드레스와 데이터부를 송신하고 종료한다(S3001).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60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를 검색 키로 하여, 루팅 테이블(14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 열에, 해당하는 상위 어드레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S3002). 수신한 데이터 패킷(6O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가 루팅 테이블(140)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3003),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600)의 송신원 하위 어드레스를 자신의 하위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송신처 하위 어드레스를 루팅 테이블(140)에서 발견된 하위 어드레스로 변경한다. 그리고 데이터 패킷(600)을 송신처 하위 어드레스로 특정되는 무선 장치(100)에 송신한다(S3004).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을 생성하여, 수신한 데이터 패킷(6OO)의 차출 상위 어드레스로 특정되는 무선 장치(1OO)에 송신한다(S3005). 그리고 데이터 패킷(600)을 파기하여 (S3006)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루트 불통 통지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3)의 흐름을 도 32에 도시한다.
우선,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1)으로부터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을 받으면, 루트 불통 통지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3)이 스타트한다.
수신한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가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4000), 일치하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에 수신한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차출 상위 어드레스와 데이터부를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4001).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를 검색 키로 하여, 루팅 테이블(14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 열에, 해당하는 상위 어드레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S4002). 수신한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가 루팅 테이블(140)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4003),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의 송신원 하위 어드레스를 자신의 하위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송신처 하위 어드레스를 루팅 테이블(140)에서 발견된 하위 어드레스로 변경한다. 그리고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루팅 테이블(140)에서 발견된 하위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무선 장치(10O)에 송신한다(S4004).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루트 탐색 패킷(610)을 파기한다(S4005).
다음으로, 루트 탐색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4)의 흐름을 도 33에 도시한다.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1)으로부터 루트 탐색 패킷(620)을 받으면, 루트 탐색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2)이 스타트한다.
우선,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의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가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00).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의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가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의 루트 탐색 패킷 ID(403)로부터 새로운 루트 탐색 패킷(620)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01). 새로운 루트 탐색 패킷(620)이면 S5002로 진행한다. 타임아웃을 초과한 오래된 루트 탐색 패킷(620)이면 S5011로 진행한다. 그리고, 그 타임아웃을 초과한 오래된 루트 탐색 패킷(620)을 파기한다(S5011). 또한,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의 탐색처 상위 어드레스가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6)에 루트 탐색 패킷(620)을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S5002에서, 수신한 새로운 루트 탐색 패킷(620)을 수신 리스트, 즉 루트 탐색 패킷 수신 테이블(143)에 추가한다. 루트 탐색 패킷 수신 테이블(14 3)을 도 21에 도시한다. 루트 탐색 패킷 수신 테이블(143)은,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마다, 루트 탐색 패킷 ID와, 수신 시각과, 홉 수를 기록한 것이다.
다음으로, 타임아웃 시간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5003), 타임아웃 시간 내인 경우에는 S5000으로 되돌아간다. 타임아웃 시간은, 여러가지 통신 루트를 경유하여 자기에게 송신되어 온, 자기를 수신처로 한 루트 탐색 패킷(620)의 수신을 접수하는 시간이다. 타임아웃 시간은 적절한 시간으로 할 수 있다.
타임아웃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 중에서 가장 평가가 높은 루트를 추출한다(S5004). 즉, 여러가지 통신 루트를 경유하여 자기에게 송신되어 오는, 자기를 수신처로 한 루트 탐색 패킷(620)의 각각에 대하여, 각 무선 장치(100)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 및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루트 탐색 패킷(620)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하고, 각각 산출한 각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루트의 탐색원이 되는 무선 장치(100)로부터 자기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새로운 통신 루트를 결정한다. 여기서, 선택된 통신 루트가 복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05). 복수의 통신 루트에서, 상기 산출된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동일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동일해지는 통신 루트가 복수였던 경우에는 "Yes"로 진행한다. 그리고, 그 중에서 탐색원이 되는 무선 장치(100)로부터 자기까지 경유하는 무선 장치(100)의 수가 가장 적은 통신 루트, 즉 홉 수의 가장 적은 통신 루트를 새로운 통신 루트로서 결정한다( S5006). 복수가 아닌 경우에는 "No"로 진행한다.
또한, S5007에서, 상기 홉 수가 가장 적은 통신 루트가 복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07). 복수인 경우에는, 그 중에서 가장 빠른 시각에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를 새로운 통신 루트로서 결정한다(S5008). 이와 같이 통신 루트가 결정되면, 루트 탐색 패킷 수신 테이블(143)을 삭제한다(S5009).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홉 수가 동일해지는 통신 루트에 대하여, 루트 탐색 패킷(620)의 수신의 선후의 판단을 행하고 있지만, 루트 탐색 패킷(620)의 수신이 동시인 통신 루트에 대하여, 홉 수의 대소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6)의 흐름을 도 34에 도시한다.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1)으로부터 루트 탐색 패킷(620)을 받으면,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5)이 스타트한다.
우선,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의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에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000).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가 없는 경우에는 "없음"으로 진행한다.
한편,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가 있는 경우는, 루트 탐색 패킷(620)을 파기하여 처리를 종료한다(S6005).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에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가 있는 경우에는, 이전에 자신이 중계 혹은 송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이 송신되어 온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에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가 없던 경우에는, 자 단말기의 평가값, 즉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한다(S60 01).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시간 중의,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하고 있던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 있다. 혹은,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동안에, 일단 가동을 개시한 무선 통신 기능이 정지한 횟수 중, 가동의 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가동 시간이, 현재 가동 중인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보다도 긴 것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도 있다.
자 단말기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자 단말기의 평가값은, 도 22에 도시한 동작 상태 천이 테이블(144)을 참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우선, 상술한 전자인 경우의 자 단말기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 38에 도시한다.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5)으로부터, 평가값 산출 요구가 있다면(즉 도 34의 S6001가 실행되면), 도 38에 도시하는 자 단말기의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 830)이 스타트한다.
우선, 첫회 기동 일시를 취득한다(S10000). 첫회 기동 일시란,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한 일시이다. 첫회 기동 일시는, 동작 상태 천이 테이블(144)의 제1회째의 「정지」 상태의 개시 시각이다. 도 22의 예에서는, 2003년 5월 12일 7시 23분 10초이다. 계속해서 현재 일시를 취득한다(S10001). 그리고, 동작 시간 감시부(135)의 동작 시간 카운터(151)에 기억되어 있는, 동작 시간을 취득한다(S10002). 동작 시간이란, 무선 장치(100)가 「통신 동작 중」의 상태에 있던 총 시간이다. 동작 시간(통신 동작 총 시간)은,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하는 타임차트에서는, 통신 동작 중 상태 개시(1)로부터 에러 정지(1)까지의 시간과, 통신 동작 중 개시(2)로부터 파워 오프(POWER OFF)(1)까지의 시간과, 통신 동작 중 개시(3)로부터 에러 정지(2)까지의 시간과, 통신 동작 중 개시(4)로부터 에러 정지(3)까지의 시간과, 통신 동작 중 개시(5)로부터 현재까지의 총 시간이다.
그리고, 첫 회 기동 일시로부터 현재 일시까지의 시간 중의, 통신 동작 중 총 시간의 비율을 산출하여 평가값으로 한다(S10003).
한편, 상술한 후자인 경우의 자 단말기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 39에 도시한다.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5)으로부터 평가값 산출 요구가 있으면(즉 도 34의 S6001가 실행되면), 도 39에 도시하는 자 단말기의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 830)이 스타트한다.
우선, 과거의 통신 동작 중 상태의 시간에서, 현재의 시각까지 통신 동작 중 상태인 횟수, 즉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사이에서, 일단 가동을 개시한 무선 통신 기능이 정지한 횟수를 취득한다(S1100 0). 예를 들면, 도 24의 타임차트에서는, 파워 온(1)으로부터 현재까지의 통신 동작 중 상태인 횟수는 5회이다.
이어서, 최후의 통신 동작 중 개시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과, 과거의 각각의 통신 동작 중 개시로부터 그 상태가 종료하기까지의 시간을 비교하여, 과거의 통신 동작 중 개시로부터 그 상태가 종료하기까지의 시간 쪽이 큰 경우의 횟수, 즉 가동의 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가동 시간이, 현재 가동 중인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보다도 긴 경우의 횟수를 취득한다 (S11OO1). 예를 들면, 도 24의 타임차트에서는, 통신 동작 중 개시(5)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보다 통신 동작 중 상태의 시간이 길었던 것은, 통신 동작 중 개시(2)로부터 파워 오프(1)까지의 경우와, 통신 동작 중 개시(4)로부터 에러 정지(3)까지의 경우의 2회이다.
그리고, (최후의 통신 동작 중 개시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에 비해, 과거의 통신 동작 중 개시로부터 그 상태가 종료하기까지의 시간 쪽이 큰 경우의 횟수)/(현재의 시각까지 통신 동작 중 상태인 횟수)를 계산하여, 자 단말기의 평가값을 산출한다(S11002). 또한, 도 24의 타임차트인 경우에서는, 자 단말기의 평가값은 0.4(2회/5회)가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어플리케이션 기기 통신 처리부(130)를 경유하여,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의 기기 정보 테이블(114)을 취득하고, 기기 종별 코드와 전원 공급 종별로부터 자 단말기 평가값 테이블(141)에 기초하여, 자 단말기의 평가값을 산출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기 종별이 중계 전용 기기(102)와 같은 설치 장소가 고정되어 있는 기기라면 평가값을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하고, 휴대 단말기(105)와 같은 설치 장소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기기이면 평가값을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한다. 또한, 전원 공급 형태가 AC 100V에서의 공급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값으로 하고, 배터리로부터의 공급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값으로 한다. 또한, 무선 단말기(100)의 RAM(122)의 용량의 크기나, CPU 처리 능력의 높이로부터, RAM(122)의 용량이 큰 경우나 CPU 처리 능력이 높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값이 되도록 한다.
도 34로 되돌아가, S6001의 처리가 끝나면, 이어서, 루트 탐색 패킷(620)의 송신원과 자 단말기 간의 중계 패스(510)의 평가값, 즉 루트 탐색 패킷(620)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OO)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한다(S6002). 루트 탐색 패킷(620)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루트 탐색 패킷(620)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와 자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때의 각각의 전자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 있다.
루트 탐색 패킷(620)의 송신원과 자 단말기의 사이의 중계 패스(510)의 평가값을 산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4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루트 탐색 패킷(620)의 송신원과 자 단말기 간의 중계 패스(510)의 평가값은, 도 19에 도시한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142)을 참조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5)으로부터, 평가값 산출 요구가 있으면(즉 도 34의 S6002가 실행되면), 도 40에 도시하는 중계 패스의 평가값 산출 프로그램( 831)이 스타트한다.
우선, 자신이 모바일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000).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의 기기 정보 테이블(114)로부터 자신의 기기 종별을 취득하고, 어플리케이션 기기(110)가 휴대 단말기(105)이면, 모바일이라고 판정한다.
다음으로,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142)을 취득하고,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142)을 해석하여, (응답이 돌아온 횟수/전체 시행 횟수)로부터 모바일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001). 예를 들면, 도 19의 전파 레벨 이력 테이블(142)에서는, 「하위 어드레스」가 E인 경우는, 3월 1일 10시 31분에서 「전파 레벨」이 0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다음으로, 자신과 중계 상대가 모바일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12002), 전파 레벨이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12003, S12006, S12009), 대응하는 중계 패스(51O)의 평가값을 설정한다(S12004, S12005, S12007, S12008, S12010, S 12011).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브로드캐스트 패킷에 의해서, 자 단말기(100)에 내장 또는 외장되는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의 기기 정보 테이블(114)과, 직접 통신 가능한 무선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기기(110)의 기기 정보 테이블(114)을 취득하고, 기기 종별 코드나 전원 공급 종별로부터, 중계 패스(510)의 평가값을 산출해도 된다.
도 34로 되돌아가, S6002의 처리가 끝나면, 루트 탐색 패킷(620)의 중계 단말기 정보 리스트에, 자신의 하위 어드레스(자기의 식별자)와, 자 단말기의 평가값(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과, 패스의 평가값(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조를 추가하고(S6003),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 송신, 즉,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100)에 송신한다(S6004).
다음으로, 루트 탐색 응답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5)의 흐름을 도 35에 도시한다.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1)으로부터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받으면, 루트 탐색 응답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5)이 스타트한다.
우선, 수신한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상위 어드레스가 자신의 상위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000). 일치하는 경우에는, "Yes"로 진행한다. 그리고, 수신한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에 기초하여 루팅 테이블(140)을 갱신한다(S7001). 구체적으로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에 기재된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 및 자기에게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를, 각각, 자기의 루팅 테이블(1 40)에서의,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 및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100)의 식별자로서 기억한다.
한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No"로 진행한다. 그리고, 수신한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를 검색 키로 하여, 루팅 테이블(140)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 열에 해당하는 상위 어드레스값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고(S7002), 루트 탐색 패킷(63O)의 수신처 상위 어드레스가 루팅 테이블(140)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7003), 루팅 테이블(140)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S7004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O)을 파기하여 (S7005), 처리를 종료할 수도 있다.
S7004에 있어서는, 수신한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의 송신원 하위 어드레스를 자신의 하위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송신처 하위 어드레스를 루팅 테이블(140)에서 발견된 하위 어드레스로 변경하여,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으로서 송신하여 처리를 종료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동작 시간 감시 프로그램(840)의 흐름을 도 36에 도시한다.
동작 시간 감시 프로그램(840)은, 루트 탐색 패킷(620)에 저장하는 평가값을 산출할 때에 이용되는 동작 시간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이다.
무선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초기화 중」으로부터 「통상 동작 중」으로 천이하면, 동작 시간 감시 프로그램(840)의 실행이 개시된다.
우선, 동작 시간 감시 프로그램(840)은, 동작 횟수 카운터(150)를 1 늘리고, 동작 시간 카운터(151)를 0으로 초기화한다(S8000). 동작 횟수 카운터(150)는,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동작 횟수를 기억해 두기 위한 카운터이다. 동작 시간 카운터(151)는,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 개시하고 나서의 시간을 기억해 두기 위한 카 운터이다.
다음으로, 현재의 동작 상태가 「통신 동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8001). 「통신 동작 중」이면 "Yes"로 진행한다. 통신 동작 중 상태가 아니라면 "No"로 진행하고, 일정 시간 슬립하여(S8002), S8000에 되돌아간다.
「통신 동작 중」인 경우는, 수정 발진자에 기초하는 CPU 인터럽트 이벤트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S8003). 수정 발진자에 기초하는 CPU 인터럽트 이벤트가 있으면, 동작 시간 카운터(151)를 1 늘린다(S8004). 「통신 동작 중」 동안은, 수정 발진자에 기초하는 CPU 인터럽트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동작 시간 카운터(151)를 1 늘리는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RAM 감시 프로그램(850)의 흐름을 도 37에 도시한다.
RAM 감시 프로그램(850)은, 동작 시간 감시 프로그램(840)의 동작 시간의 산출에 관계된 RAM(122)의 오버 플로우를 감시하는 프로그램이다.
무선 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정지」로부터 「초기화 중」으로 천이하면, RAM 감시 프로그램의 실행이 개시된다.
우선, RAM 감시 프로그램(850)은, RAM(122)이 오버 플로우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9000), 오버 플로우하지 않은 것이면, CPU(121)의 사용율이 100%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9001), CPU(121)의 사용율이 100%가 아니라면 일정 시간 슬립하고(S9002), S9000에 되돌아간다.
한편, RAM(122)이 오버 플로우하고 있거나, 또는, CPU(121)의 사용율이 100% 라면, 동작 상태를 「통신 동작 중」으로부터 「에러 정지」로 천이시킨다(S9003).
그리고, RAM(122)이 오버 플로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9004), 또한 오버 플로우하고 있는 것이면 일정 시간 슬립하고(S9006), S9004로 되돌아간다. RAM(122)이 오버 플로우하지 않은 것이면, CPU(121)의 사용율이 100% 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9005), CPU(121)의 사용율이 100%가 아니라면 동작 상태를 「에러 정지」로부터 「통신 동작 중」으로 천이시키고(S9007), S9000에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RAM 감시 프로그램(850)이 실행됨으로써, 무선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RAM(122)의 오버플로우 발생 유무, 및 CPU(121)의 사용율에 따라서, 「통신 동작 중」으로부터 「에러 정지」로 천이시키거나, 혹은 「에러 정지」로부터 「통신 동작 중」으로 천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서의 전체적인 동작 예를 도 41 및 도 4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에 의해, 홈 서버(101)가 공조(104)로의 통신 루트를 탐색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도 42에 의해, 홈 서버(101)로부터 휴대 단말기(105)로 데이터 패킷(600)을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중의 통신 루트가 불통이 된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도 41에 있어서, 홈 서버(101)는,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13000). 그렇게 하면, 중계 전용 기기(102)와, 센서(103)는, 루트 탐색 패킷(620)을 수신한다.
중계 전용 기기(102)는, 루트 탐색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4)과,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6)을 실행하여, 루트 탐색 패킷(620)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620)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자 단말기의 평가값과 패스의 평가값을 추가하여,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13001). 그렇게 하면, 센서(103)와 공조(104)는 루트 탐색 패킷(6 20)을 루트 탐색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4)에 기초하여 수신 처리한다(S13002) . 한편, 홈 서버(101)는, 중계 전용 기기(102)로부터 송신된 루트 탐색 패킷(620)을, 루트 탐색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4)과, 루트 탐색 패킷 중계 프로그램(81 6)에 기초하여 파기한다(S13003).
마찬가지로, 센서(103)는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13004). 그렇게 하면, 중계 전용 기기(102)와 공조(104)는, 루트 탐색 패킷(620) 수신하고(S13005), 홈 서버(1O1)는 파기한다(S13006).
센서(103)로부터의 루트 탐색 패킷(620)을 수신한 중계 전용 기기(102)는, 루트 탐색 패킷(620)에, 자 단말기의 평가값과 패스의 평가값을 루트 탐색 패킷에 추가하여,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13007).
이 루트 탐색 패킷(620)은 공조(104)에서는 수신되지만(S13008), 센서(103)와 홈 서버(1O1)에서는 파기된다(S13009, S13010).
마찬가지로, S13001에서 중계 전용 기기(102)로부터 송신된 루트 탐색 패킷 (620)을 수신한 센서(103)는, 루트 탐색 패킷(620)에, 자 단말기의 평가값과 중계 패스의 평가값을 추가하고, 루트 탐색 패킷(620)을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한다(S1301 1). 그렇게 하면, 공조(104)는, 루트 탐색 패킷(620)을 수신 처리하지만(S13014), 중계 전용 기기(102)와 홈 서버(1O1)는 파기한다(S13012, S13013).
공조(104)는, 합계 4개의 루트 탐색 패킷(620)을 수신하는데, 그 중에서 평 가값이 가장 높은 통신 루트를 선택한다(S13015).
통신 루트의 평가값의 비교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계산식으로 비교한다.
(중계 단말기(1)의 평가값×중계 단말기(2)의 평가값…×중계 단말기(n)의 평가값)×(중계 패스(1)의 평가값×중계 패스(2)의 평가값×…×중계 패스(m)의 평가값)
예를 들면, 홈 서버(101), 중계 전용 기기(102), 공조(104) 순서의 통신 루트의 평가값은, 홈 서버(101) 자신의 평가값이 「0.95」, 중계 전용 기기(102) 자신의 평가값이 「0.95」, 공조(104) 자신의 평가값이「0.7」로 하고, 홈 서버(101)와 중계 전용 기기(102)의 중계 패스의 평가값이 「1.0」, 중계 전용 기기(102)와 공조 (104)의 중계 패스의 평가값이 「1.0」이라 하면, (0.95×0.95×0.7)×(1.0× 1.0)에 의해 0.63이 된다. 이 「0.63」이 홈 서버(101), 중계 전용 기기(102), 공조(104) 순서의 통신 루트의 평가값이 된다.
공조(104)는, 루팅 테이블(140)을 갱신하고,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중계 전용 기기(102)에 송신한다(S13016). 중계 전용 기기(102)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5)에 기초하여, 루팅 테이블(140)을 갱신하고, 루트 탐색 응답 패킷(630)을 홈 서버(101)에 송신한다(S13017).
이상의 처리에 의해, 홈 서버(101)는 공조(104)로의 최적의 통신 루트를 탐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2에 의해, 홈 서버(101)로부터 휴대 단말기(105)로 데이터 패 킷(600)을 송신하는 경우에서, 도중의 통신 루트가 불통이 된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홈 서버(101)는 데이터 패킷 송신 처리 프로그램(810)을 실행하고, 휴대 단말기(105)를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 패킷(600)을 통신 루트에 따라서, 다음의 송신처인 중계 전용 기기(102)에 송신한다(S14000). 그렇게 하면 중계 전용 기기(102)는 데이터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2)을 실행하여, 데이터 패킷(600)을 수신한다. 그리고 중계 전용 기기(102)는, 다음의 송신처인 공조(104)에 데이터 패킷(60 0)을 송신한다(S14O01). 공조(104)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600)을, 통신 루트에 따라서, 다음의 송신처인 휴대 단말기(105)에 송신한다(S14002).
여기서, 공조(104)의 무선 단말기(120)에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공조(104 )의 동작 상태는 「에러 정지」로 천이한다(S14003).
이 때에, 홈 서버(101)로부터 휴대 단말기(105)로 향한 데이터 패킷(600)이 송신되고(S14004), 중계 전용 기기(102)가 데이터 패킷(2625)을 공조(104)로 송신하려고 해도(S14005), 중계 전용 기기(102)는 공조(104)로부터의 수신 응답(Acknowledge)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중계 전용 기기(102)는, 데이터 패킷 수신 처리 프로그램(812)에 기초하여 루트 불통 통지 패킷(610)을 홈 서버(101)에 송신한다(S14006).
그리고 홈 서버(101)는, 중계 전용 단말기(102)로부터 루트 불통 통지 패킷( 610)을 수신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5)로의 통신 루트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 후 홈 서버(101)는, 도 41에 예시했던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휴대 단말기(105)로의 새로운 통신 루트를 탐색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제어 방법, 및 무선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무선 장치(100)끼리 다른 무선 장치(100)를 중계함으로써 서로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는, 통신을 중계하는 무선 장치(100)가 이동하거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서도, 통신 루트의 재 탐색의 빈도가 적고, 안정되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보다 안정된 통신 루트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성능 저하나 통신 장애를 초래하는 통신 루트의 재구축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성능 향상,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통신 루트의 재 탐색의 빈도가 적고, 안정되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 환경을 실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제어 방법은, 각 무선 장치(100)에 특별한 하드웨어 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으므로, 통신 루트의 재 탐색의 빈도가 적고, 안정되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 환경을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염가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100)는, 특별한 하드웨어 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염가와 소형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빌딩 내에서의 신뢰성이 높은 무선 통신 시스템(200)의 구축 을 용이하고 또한 염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각 무선 장치가 중계 장치를 통함으로써 상호 통신이 가능해지고, 중계 장치가 이동하거나 전원이 꺼지는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용되어, 통신 루트의 재 탐색의 빈도가 적고 안정되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 환경을 실현하는 무선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20)

  1. 복수의 무선 장치를 포함하고, 각 상기 무선 장치가, 다른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진 통신 루트를 통하여 다음의 상기 무선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무선 장치 간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상기 무선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의 다음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대응시킨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 및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새로운 상기 통신 루트를 통해 다른 상기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상기 다른 무선 장치의 식별자와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의 탐색원으로서의 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와 상기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에 의해 각각 기재된 상기 각 무선 장치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자기를 수신처로 하여 송신되어 오는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산출한 각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탐색원이 되는 무선 장치로부터 자기에게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결정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한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의 각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상기 탐색원이 되는 무선 장치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탐색원을 나타내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자기에게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각각,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의 다음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로서 기억하고,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상기 탐색원의 무선 장치 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탐색원을 나타내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자기에게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각각,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로서 기억하는 무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는,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시간 중의,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하고 있던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는,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일단 가동을 개시한 무선 통신 기능이 정지한 횟수 중, 가동의 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가동 시간이, 현재 가동 중인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보다도 긴 것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 간의 각각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와, 상기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상기 무선 장치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에 의해 각각 기재된 상기 각 무선 장치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상기 무선 장치와 자기 간의 상기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하는 무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 간의 각각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는, 각 무선 장치 간에 통신을 행할 때의 각각의 전자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이미 자기의 식별자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 무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송신원인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통신 루트를 통하여 자기에게 송신되어 온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와 대응되어 기억되는 상기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상기 무선 장치 간의 통신에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처에의 상기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상기 데이터의 송신원인 상기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 상기 송신원인 상기 무선 장치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자기가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와는 다른 경우에는,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와 대응되어 기억되는 상기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상기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자기가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인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처에 송신하도록,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의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의 송신을 행하는 무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송신원인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통신 루트를 통하여 자기에게 송신되어 온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와 대응되어 기억되는 상기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상기 무선 장치 간의 통신에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처에 송신하도록,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의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의 송신을 행하는 무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에 의해 각각 기재된 상기 각 무선 장치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상기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동일해지는 상기 통신 루트가 복수 있었던 경우에는,
    그 중에서 상기 탐색원이 되는 무선 장치로부터 자기까지 경유하는 상기 무선 장치의 수가 가장 적은 상기 통신 루트를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로서 결정하는 무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수신처가 되는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에 의해 각각 기재된 상기 각 무선 장치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상기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동일해지는 상기 통신 루트가 복수 있었던 경우에는,
    그 중에서 가장 먼저 수신한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상기 통신 루트를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로서 결정하는 무선 장치.
  12. 복수의 무선 장치를 포함하고, 각 상기 무선 장치가, 다른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진 통신 루트를 통하여 다음의 상기 무선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무선 장치 간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대응시킨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 및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와,
    새로운 상기 통신 루트를 통해 제1 상기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와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의 탐색원으로서의 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와, 상기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에 의해 각각 기재된 상기 각 무선 장치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자기를 수신처로 하여 송신되어 오는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산출한 각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장치까지의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의 각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상기 제2 무선 장치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자기에게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각각,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로서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상기 제2 무선 장치 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자기에게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각각,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로서 기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는,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시간 중의,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하고 있던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는,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최초로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일단 가동을 개시한 무선 통신 기능이 정지한 횟수 중, 가동의 개시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가동 시간이, 현재 가동 중인 무선 통신 기능이 가동을 개시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보다도 긴 것의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선 장치는,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 간의 각각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는,
    상기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와, 상기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상기 무선 장치와 자기 간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에 의해 각각 기재된 상기 각 무선 장치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각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에게 송신하여 온 상기 무선 장치와 자기 간의 상기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
  16. 제15항에 있어서,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 간의 각각의 통신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는, 각 무선 장치 간에 통신을 행할 때의 각각의 전자파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이미 자기의 식별자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제2 무선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송신원의 상기 무선 장치이고,
    상기 제1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한 상기 데이터의 송신원인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지는 상기 통신 루트를 통해 송신되어 온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무선 장치는,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와 대응되어 기억되는 상기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상기 무선 장치 간의 통신에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상기 제2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 상기 제2 무선 장치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상기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는,
    자기가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와는 다른 경우에는,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을,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 상기 제2 무선 장치와 대응되어 기억되는 상기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상기 무선 장치에 송신하고,
    자기가 상기 루트 불통 통지 패킷의 수신처인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1 무선 장치에 송신하도록,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로의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의 송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제 2 무선 장치는,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와 대응되어 기억되는 상기 다음의 송신처가 되는 상기 무선 장치 간의 통신에 이상을 검지한 상기 무선 장치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복수의 무선 장치를 포함하고, 각 상기 무선 장치가, 다른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에 따라서 정해진 통신 루트를 통하여 다음의 상기 무선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무선 장치 간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무선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대응시킨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 및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새로운 상기 통신 루트를 통해 제1 상기 무선 장치를 수신처로 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와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의 탐색원으로서의 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패킷을 상기 제2 무선 장치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에, 자기의 식별자와, 상기 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각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루트 탐색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한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각 무선 장치에 의해 각각 기재된 상기 각 무선 장치의 가동율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이 경유하여 온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산출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자기를 수신처로 하여 송신되어 오는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산출한 각 통신 루트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를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패킷을 수신한 상기 각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제2 무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장치까지의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의 각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상기 제2 무선 장치 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자기에게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각각,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로서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상기 새로운 통신 루트에서 상기 제2 무선 장치측에 인접하는 무선 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2 무선 장치의 식별자가 자기의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에 기재된 상기 제1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자기에게 상기 루트 탐색 응답 패킷을 송신하여 온 무선 장치의 식별자를, 각각, 자기의 상기 통신 루트 관리 테이블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 및 상기 데이터의 다음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상기 무선 장치의 식별자로서 기억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40091811A 2004-07-05 2004-11-11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 KR100653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8103A JP4526886B2 (ja) 2004-07-05 2004-07-05 無線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JP-P-2004-00198103 2004-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317A KR20060003317A (ko) 2006-01-10
KR100653799B1 true KR100653799B1 (ko) 2006-12-05

Family

ID=3551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91811A KR100653799B1 (ko) 2004-07-05 2004-11-11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4066B2 (ko)
JP (1) JP4526886B2 (ko)
KR (1) KR100653799B1 (ko)
CN (1) CN1004384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9789B1 (en)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JP3836118B2 (ja) * 2004-02-19 2006-10-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ケット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パケットルーティング装置
US9197857B2 (en) * 2004-09-24 2015-11-24 Cisco Technology, Inc. IP-based stream splicing with content-specific splice points
US8966551B2 (en) * 2007-11-01 2015-02-24 Cisco Technology, Inc. Locating points of interest using references to media frames within a packet flow
US7633879B2 (en) * 2004-12-13 2009-12-1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he incoming media path for an internet protocol media session
KR100713145B1 (ko) * 2005-02-1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네트워크형성방법
JP4577163B2 (ja) * 2005-09-06 2010-1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ターワーキング方法及び装置
CN101150498B (zh) * 2006-09-18 2012-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跳无线中继通信系统及其下行数据传输方法
WO2008037916A1 (fr) * 2006-09-26 2008-04-03 France Telecom Procede pour evaluer la fiabilite d'une route dans un reseau cooperatif
KR100800605B1 (ko) * 2006-10-26 2008-02-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애드 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무선 태그 판독장치및 그 판독장치의 데이터 전송방법
JP2008152343A (ja) * 2006-12-14 2008-07-03 Toshiba Corp 家電制御装置および家電制御方法
JP4905109B2 (ja) * 2006-12-15 2012-03-28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無線ネットワークの異常通知システム
KR101360250B1 (ko) * 2007-03-06 2014-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변 대상을 감지하여 통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267240B (zh) * 2007-03-15 2011-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跳无线中继通信系统及其下行数据传输方法、装置
US7936695B2 (en) * 2007-05-14 2011-05-03 Cisco Technology, Inc. Tunneling reports for real-time internet protocol media streams
US8023419B2 (en) 2007-05-14 2011-09-20 Cisco Technology, Inc. Remote monitoring of real-time internet protocol media streams
US7835406B2 (en) 2007-06-18 2010-11-16 Cisco Technology, Inc. Surrogate stream for monitoring realtime media
US7817546B2 (en) 2007-07-06 2010-10-19 Cisco Technology, Inc. Quasi RTP metrics for non-RTP media flows
JP4855499B2 (ja) * 2008-09-22 2012-01-18 株式会社オプティム 電化製品の種別を決定する情報処理装置、方法、サーバ
JP4720899B2 (ja) * 2008-11-27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5146305B2 (ja) * 2008-12-26 2013-02-2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8976795B2 (en) 2009-02-25 2015-03-10 Microsoft Corporation Gateway advertisement in a wireless mesh
US8385230B2 (en) * 2009-02-25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network address assignment in a wireless mesh
US8838473B2 (en) 2009-02-25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Services advertisement in a wireless mesh
US8301982B2 (en) * 2009-11-18 2012-10-30 Cisco Technology, Inc. RTP-based loss recovery and quality monitoring for non-IP and raw-IP MPEG transport flows
EP2541989B1 (en) * 2010-02-23 2018-04-11 Kyushu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 slave node, route building method, and program
US8819714B2 (en) 2010-05-19 2014-08-26 Cisco Technology, Inc. Ratings and quality measurements for digital broadcast viewers
JP5743221B2 (ja) * 2012-06-29 2015-07-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同期システム、無線装置、センサ装置、無線同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02517A (ja) * 2013-01-22 2013-05-23 Canon Inc 無線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098322B2 (ja) 2013-04-17 2017-03-22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方法、ノード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191411B2 (ja) * 2013-11-15 2017-09-06 富士通株式会社 ノード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ノード装置の動作方法
EP2916490B1 (en) * 2014-03-04 2017-10-11 Microbees Technology Ltd. Home automation system
US9414338B2 (en) * 2014-08-07 2016-08-09 Alcatel Lucent Notification of relay capabilities for UE-to-network relay functions
CN105632152A (zh) * 2014-10-29 2016-06-01 深圳友讯达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力用户用电信息抄读方法、系统及智能互动终端
JP6410922B2 (ja) * 2015-03-06 2018-10-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ホップ無線通信システム
CN105258103B (zh) * 2015-11-27 2018-03-13 广州特种承压设备检测研究院 全自动锅炉智能报警提醒系统及方法
JP6555433B2 (ja) * 2016-12-16 2019-08-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7635205B (zh) * 2017-08-03 2020-02-18 魔玛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自组网的编号分配方法及通信架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510190B (en) * 1994-11-30 1996-06-13 British Telecomm Rout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5987011A (en) * 1996-08-30 1999-11-16 Chai-Keong Toh Routing method for Ad-Hoc mobile networks
US6351775B1 (en) * 1997-05-30 2002-0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ading balancing across servers in a computer network
JPH11239176A (ja) 1998-02-20 1999-08-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のパケットルーティング方法
US6250878B1 (en) 1999-09-24 2001-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ssembly for connecting air ducts in gas turbine engines
JP2004531971A (ja) * 2001-06-14 2004-10-14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モバイル・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ソフトウェア・アーキテクチャ・プロトコル・スタックの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ルーティング層の下に埋め込まれたルーティング・プロトコル
JP2003069616A (ja) * 2001-08-24 2003-03-07 Mitsubishi Heavy Ind Ltd 通信経路網最適化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経路網最適化装置
JP2003087310A (ja) * 2001-09-06 2003-03-20 Mitsubishi Heavy Ind Ltd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JP4037640B2 (ja) * 2001-11-15 2008-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
DE60132472T2 (de) * 2001-12-28 2009-01-15 Motorola, Inc., Schaumburg Kommunikation über einen ausgewählten Teil eines Netzwerkes
JP3597511B2 (ja) * 2002-02-22 2004-12-08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その通信経路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281057B2 (en) 2002-04-29 2007-10-09 Harris Corporation Hierarchical mobile ad-hoc network and methods for performing reactive routing therein
US6954435B2 (en) 2002-04-29 2005-10-11 Harris Corporation Determining quality of service (QoS) rout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US7764617B2 (en) 2002-04-29 2010-07-27 Harris Corporation Mobile ad-hoc network and methods for performing functions therein based upon weighted quality of service metrics
CN1214572C (zh) * 2002-07-16 2005-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开放式最短路径优先路由协议的路由计算方法
US6961310B2 (en) * 2002-08-08 2005-11-01 Joseph Bibb Cain Multiple path reactive routing in a mobile ad hoc network
MXPA04004719A (es) * 2003-05-19 2004-09-06 Eaton Corp Red ad-hoc y metodo de enrutar comunicaciones en una red de comunicaciones.
JP4569328B2 (ja) * 2004-03-18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2366A1 (en) 2006-01-05
KR20060003317A (ko) 2006-01-10
JP2006020221A (ja) 2006-01-19
US7664066B2 (en) 2010-02-16
CN1722703A (zh) 2006-01-18
JP4526886B2 (ja) 2010-08-18
CN100438495C (zh)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799B1 (ko)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
US9100103B2 (e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and slave unit
CN101217784B (zh) 一种通信架构中的无线网络、通信设备和接入点
US85440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pairing
CN102076107A (zh) 无线电通信设备、无线电通信系统、无线电通信方法和程序
US20060062190A1 (en) Wireless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and terminal control program
JP6355040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JPH09880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895951A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系统
JP4463288B2 (ja) 中継器、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717525B2 (ja) 無線報知装置及び遠隔報知システム
WO2016042157A1 (en) Floating link handover using virtual access point identification
CN113938342A (zh) 配网方法、存储介质、移动终端、家电设备和配网系统
US81269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JP4863863B2 (ja) 中継器、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6596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00981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6192706A (ja) 情報収集システム、中継端末、中継端末のセンタシステムへの接続制御方法、センサ端末、センサ端末のセンタシステムへの接続制御方法
TWI523363B (zh) 電力量計、電力量計量系統
JP5834250B2 (ja) 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ハイブリッド子機、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路の選択方法
JP5685305B2 (ja) 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ハイブリッド子機、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路の選択方法
JP2022003738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229892A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
JP3894189B2 (ja) 中継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無線通信用プログラム
JP2014090480A (ja) ハイブリッド子機、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