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306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306B1
KR100653306B1 KR1020050110446A KR20050110446A KR100653306B1 KR 100653306 B1 KR100653306 B1 KR 100653306B1 KR 1020050110446 A KR1020050110446 A KR 1020050110446A KR 20050110446 A KR20050110446 A KR 20050110446A KR 100653306 B1 KR100653306 B1 KR 10065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준
유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1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3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be fixed while the terminal is erected on a bottom surface in itself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enabling a user to conveniently use the terminal for a long time. A sliding part(300) is combined with a body part(100) to perform sliding motion. A rotating part(320) is connected to the sliding part(300), and is rotated at certain angle. A rotating surface of the rotating part(320) is contacted with a horizontal bottom surface to er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xed unit is mounted between the rotating part(320) and the sliding part(300).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이다.1 is a general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인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변형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디스플레이부가 90도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rotated 90 degrees.

도 5는 회동파트가 회동되어 스스로 세워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part is erected by itself.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고정 유닛이 눌리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unit is not pressed.

도 11은 고정 유닛이 눌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xing unit is press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동파트가 포개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rotating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동파트가 펼쳐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ivoting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부 110: 키패드100: main body 110: keypad

200: 디스플레이부 210: 디스플레이200: display unit 210: display

300: 슬라이드부 310: 지지파트300: slide portion 310: support part

320: 회동파트 512: 배터리320: rotating part 512: battery

540: 슬라이드 장착홈 541: 슬라이드 홈540: slide mounting groove 541: slide groove

542: 슬라이딩 블록 600: 고정 유닛542: sliding block 600: fixed unit

610: 접촉 부분 620: 후크 부분610: contact portion 620: hook portion

630: 연결 부분630: connection par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자에게 세련감을 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be refined to a user without fixing a display device to face the user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어느 곳에서나 상대방과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기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노트북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s with a counterpart at any place while the user easily carries it. Mobile terminals include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cellular phones,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s, hand-held PCs, CDMA-2000 (1X, 3X) phones, WCDMA (Wideband CDMA) phones, dual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Dual Band / Dual Mode phones, Global Standard for Mobile (GSM) phones,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s, and notebook computers.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를 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것이 선호되고 있으며, 디자인이 특별한 것이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요즘 출시되고 있는 핸드폰을 참조하면, 본래의 기능인 전화 통화는 물론이고, 이에 더불어서 음악 및 영화 감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자 전송 및 게임까지도 가능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eferred because of its small size because of its main purpose, and it is additionally preferred to include a special design or a variety of functions. Therefore, referring to a mobile phone that is being released these days, not only a phone call, which is an original function, but also a music and movie viewing as well as a product that can transmit texts and games are being released.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들은 외형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 방식, 폴더 방식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립 방식은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동일한 몸체에 형성하고, 하단에 힌지로 연결된 커버를 이용하여 키 입력부를 보호하거나 전화를 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폴더 방식은 2개의 폴더 파트를 힌지로 연결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형성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딩 방식은 2개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각 슬라이딩 파트에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같은 방향을 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은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근래에는 슬라이드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 또한,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점차 디자인에 식상해하는 사용자가 나타나고 있으며,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DMB 폰(Digital Mutimedia Broadcasting Phone)이 보급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이나 영화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장시간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들고 이용하는데는 불편함을 이야기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ay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a flip method, a folder method, and a sliding method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or operation method. The flip method generally refers to a method of forming a display uni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key input unit on the same body, and protecting the key input unit or receiving a call by using a cover connected to the bottom by a hinge. In addition, the folder method may be opened and closed by connecting two folder parts by a hinge, and means a method of forming a main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Finally, the slid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two sliding parts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key input unit face the same direction in each sliding part. In general, the sliding method may relatively slide the front sliding part to expose the display unit or the key input unit hidden on the rear surface. In recent years, the slide type has become the mainstream, but also, users are gradually disgusted with the design as it is widely spread, and it can be said that a new design is required. In addition, as DMB phones (Digital Mutimedia Broadcasting Phone) is spreading, more users are watching broadcasts or movi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such,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users who are uncomfortable with using a mobile terminal for a long time.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1을 제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장치(10)를 포함한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35)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30)와, 상기 본체부(20)에 장착되며 문자 및 숫자 정보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40)로 구성된다. 1 is shown for more detailed description. 1 is a general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20 including a camera device 10, a display 35, and a display unit 30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 It is mounted to the main body 20 and consists of a key input unit 40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ic information.

상기 키 입력부(40)는 상기 본체부(20)에 위치하여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 형식의 입력키(4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위치하여 방사상으로 위치하여 선택적으로 누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네비게이션 키(42), 및 상기 네비게이션 키(42) 주위에 배치된 기능키(43)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키(41)는 문자 전송시 하나의 키를 복수번 누름으로써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key input unit 40 is a button-type input key 41 which is located on the main body 20 to input numerals and characters, and is radially positioned on the display unit 30 and selectively pressed. Navigation keys 42 configured to be operable, and function keys 43 arranged around the navigation keys 42. The input key 41 is configured to select and input characters by pressing one key a plurality of times during character transmission.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제점으로는 이하와 같다.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s follows.

먼저, 장시간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방송 시청, 영화, 음악 감상 또는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나 팔이 아파오게 된다. 특히, 전술한대로 DMB폰이나 MP3를 들을 수 있는 MP3 폰 등이 보급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은 더욱 증대되게 된다. 또한, 카메라를 타이머로 작동하여 촬영할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바닥 면에 고정하기가 어렵다.First, when watching a broadcast, watching a movie, listening to music, or using an additional service while holding a mobile terminal for a long time, a user's hand or arm hurts. In particular, as the above-mentioned DMB phone or MP3 phone that can listen to MP3 and the like,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long time, such inconvenience in use is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when shooting by operating the camera as a timer, it is difficult to fix the mobile terminal to the floo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운 채로 고정하는 보조장비가 개발되어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조 장비에 결합한 후 사용하지만 이는 별도의 장비로써 취급의 불편함이 있고, 또한 분실의 위험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식상함을 느끼고 있어서,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uxiliary device for fix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upright position has been developed,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auxiliary device, which is inconvenient to handle as a separate device, and there is also a risk of loss. In addition, due to the uniform design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feels tired, and the desire for a new design is increas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바닥면에 세운 채 고정할 수 있어서, 장시간 사용이 편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fixed for a long time by allo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fixed on its own floo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없이 스스로 세울 수 있으므로 취급이 간편하며, 추가장비의 분실 위험성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asy to handle, there is no risk of loss of additional equipment beca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et up by itself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경우에만 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를 접어서 세울 수 있으며, 통화시 등과 같은 경우에는 힘을 주어도 단말기의 일부가 접히지 않아서 실수로 원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ld up a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if desired, and in case of a call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folded in case of accidental unwanted because part of the terminal is not folded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세련된 느낌과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give a user a refined feeling and aesthetic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 디스플레이부 및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본체부에는 전면에 키패드가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측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키패드를 개폐시키며, 상기 본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파트 및 지지파트의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파트가 최하단에 위치할 때 상기 회동파트는 절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립 상태로 유지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and a slide. The main body is equipped with a keypad on the front,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is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display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slide unit sliding and sliding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to open and close the keypad, and includes a support part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main body portion and a rotating part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the support part is When located at the bottom, the pivot part is bent to mainta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upright state.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접촉부분과, 상기 회동부 내부에 형성된 후크홈에 삽입 가능한 후크가 형성된 후크부분, 및 상기 접촉부분과 상기 후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분에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wherein the fix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lide portion, the contact portion which can be pressed by the user, and the hook formed with a hook insertable in the hook groove formed in the rotating part A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More preferably, the connecting portion is equipped with an elastic membe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시 별도의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동 파트의 전면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가 장착되며, 상기 회동 파트의 회동시 상기 보조키와 수평인 바닥면이 접촉된다. 또는, 상기 키패드 상측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가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is rotatably coupled so that a separate speaker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isplay unit is rotated, and an auxiliary key for inputting information is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and the auxiliary key when the rotating part rotates.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Alternatively, an auxiliary key for inputting information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keypad.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며, 일정 각도 회동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의 회동면이 수평한 바닥면과 접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은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파트 및 지지파트의 하단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회동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파트가 최하단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파트의 최하단면이 각각 바닥면에 접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립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 sliding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 rotating surface connected to the sliding portion, the rotating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including a rotating portion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et up by contact. Alternative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and a display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such that the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part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main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can be rotat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pivotal parts, wherein the lowermost e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parts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upright position when the support part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do.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라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은 플립형이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aken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lip type or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First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변형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및 슬라이드부(300)로 구성된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display 200, and a slide 300.

상기 본체부(100)는 그 전면에 사용자의 문자나 숫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11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회로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CB)이 내장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한다.The main body 100 is equipped with a keypad 110 that can enter the user's character or numeric information on the front. 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equipped with a circuit component capable of processing data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unit 100. A battery (not shown) is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to supply power.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210)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00)가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10)는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회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210)에 영상을 시현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10)의 상측에는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220)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부(100) 중 상기 키패드(1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슬라이드 홈(120)이 구비된다.The display unit 200 having the display 21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unit 100. The display 210 provides image information to a user, and the display unit 200 is rotatable. The display unit 200 is equipped wit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for transmitting data to display an image on the display 210.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210, a speaker 220 for providing voice information is mounte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pad 110 of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slide groove 120 formed so that the slide unit 300 can slide.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키패드(110)를 개폐하는데,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폐쇄시에는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키패드(1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슬라이딩 시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키패드(110)를 개방한다. 상기 슬라이드부(300)의 하측에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330)가 장착된다.The slide unit 300 is coupled to be slidable below the display unit 200. The slide unit 300 opens and closes the keypad 110. In detail, the slide unit 300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unit 100 so that the keypad 1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o not When the slide unit 300 slides, the keypad 110 is opened while sliding downward. A microphone 330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is mounted below the slide unit 300.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파트(310)와, 상기 지지파트(310)와 절곡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개방되었을 경우 절곡되어 바닥면 등과 절곡된 부분이 밀착될 수 있는 회동파트(3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파트(310)는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 (120)에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지지파트(310)가 슬라이딩 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파트(310)와 상기 회동파트(320)는 힌지 결합된다. 상기 회동파트(320)에는 기능키나 네비게이션 키 등 보조키(340)가 장착될 수 있다.The slide part 300 is bent and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10 slid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310 to be bent when the slide part 300 is opened. Consists of the rotating part 32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ent surface and the like. The support part 310 is to be coupled to the slide groove 120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0,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 part 310 is slid,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pport part 310 and the pivot part 320 are hinged. The auxiliary part 340 such as a function key or a navigation key may be mounted on the pivot part 320.

상기 슬라이드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하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데, 상기 슬라이드부(300)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제자리에서 90도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을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가 90도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e unit 300 may slide down the display unit 200. When the slide unit 300 slides downward, the display unit 200 may rotate 90 degrees in place. have. This is illustrated in FIG. 4.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rotated 90 degrees.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가 회전한 상태에서는 DMB 방송이나 영화 시청 등에 적합한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에 비하여 방송이나 영화 시청은 장시간 사용하게 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들고서 사용하는 것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회동파트가 절곡되어 바닥면 등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울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isplay unit 200 rotates to a state suitable for DMB broadcasting or movie watching. In general, broadcasting or watching a movie is used for a long time as compared to a telephone call, and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with his han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rotating part can be bent to establis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회동파트(320)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으로 90도 절곡되며, 보조키가 장착된 면이 수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바닥면(400) 등 평평하게 구성된 면에 상기 보조키가 장착된 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울 수 있는 것이다. In more detail, the rotating part 320 is bent 90 degrees to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ide on which the auxiliary key is mounted is horizontally disposed.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rected by bringing the side on which the auxiliary key is mounted to the flat surface such as the bottom surface 400.

My 2실시예2 Exampl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510), 디스플레이부(520) 및 슬라이드부(530)로 구성된다.6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510, a display 520, and a slide 530.

상기 본체부(510)는 그 전면에 사용자의 문자나 숫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51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510)의 내부에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회로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CB)이 내장된다. 상기 본체부(510)의 후면에는 배터리(5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한다.The main body 510 is equipped with a keypad 511 that can enter the user's character or numeric information on the front thereof. 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equipped with a circuit component capable of processing data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510. The battery 5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510 to supply power.

상기 본체부(5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521)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520)가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21)는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520)는 회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2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521)에 영상을 시현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21)의 상측에는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스피커(522)가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520)가 90도 회동시에 노출되는 곳에는 음악 감상용 스피커(522)가 장착될 수 있다. 음악 감상용 스피커(522)는 방송이나 영화 시청시에 스탠딩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520 having the display 521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510. The display 521 provides image information to a user, and the display unit 520 is rotatable. The display unit 520 is equipped wit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at transmits data to display an image on the display 521. A speaker 522 for providing voice information may be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display 521, and a music listening speaker 522 may be mounted in a place where the display unit 520 is exposed when rotated 90 degrees. The speaker 522 for listening to music may serve as a standing speaker when broadcasting or watching a movie.

이와 다르게, 상기 음악 감상용 스피커(522) 대신에 보조키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제1 실시예와 같이, 회동파트에 형성된 보조키가 스탠딩 시 바닥면과 접촉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lternatively, an auxiliary key may be mounted in place of the music listening speaker 522. In this cas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uxiliary key formed in the rotation par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standing.

상기 슬라이드부(5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30)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부(530)는 키패드(511)를 개폐하는데, 보다 자세히 설 명하면 폐쇄시에는 상기 슬라이드부(530)가 상기 본체부(510)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키패드(5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530)가 슬라이딩 시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키패드(511)를 개방한다. 상기 슬라이드부(530)의 하측에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533)가 장착된다.The slide unit 530 is coupled to be slidable below the display unit 530. The slide unit 530 opens and closes the keypad 511. In detail, the slide unit 530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unit 510 to expose the keypad 511 to the outside. Do not When the slide unit 530 is slid, the keypad 511 is opened while sliding downward. A microphone 533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is mounted below the slide unit 530.

상기 본체부(510)와 상기 슬라이드부(530)가 슬라이딩 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510) 중 상기 키패드(511)의 좌우 양측에는 슬라이드 장착홈(54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장착홈(540)에는 상기 슬라이드부(530)와 연결되며, 슬라이드 홈(541)을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블록(542)가 구비된 슬라이더(543)가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543)는 본체에 형성된 슬라이드 장착홈(540)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543)에는 슬라이드 홈(541)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홈(541)에는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54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542)은 상기 슬라이드부(53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Slide mounting grooves 540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pad 511 of the main body 510 so as to slide the main body 510 and the slide 530. The slide mounting groove 540 is coupled to the slide unit 530, the slider 543 is provided with a sliding block 542 for moving the slide groove 541 is coupled. That is, the slider 543 is coupled to the slide mounting groove 540 formed in the main body, the slide 554 is formed with a slide groove 541. A movable sliding block 542 is coupled to the slide groove 541, and the sliding block 542 is connected to the slide unit 530.

상기 슬라이드부(530)는 상기 본체부(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파트(531)와, 상기 지지파트(531)와 절곡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530)가 개방되었을 경우 절곡되어 바닥면 등과 절곡된 부분이 밀착될 수 있는 회동파트(532)로 구성된다.The slide part 530 is bent and coupled to the support part 531 slid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510 and the support part 531 to be bent when the slide part 530 is opened. It is composed of a rotating part 532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ent surface and the like.

상기 지지파트(531)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542)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파트(310)와 상기 회동파트(320)는 힌지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파트(531)의 하측에 형성된 힌지 장착홈(550)이 구비된 힌지 연결대(551)에 삽입된 힌지(552)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552)는 상기 회동파트(532)와 연결되어 회동 가 능하게 된다.The support part 531 slides in combination with the sliding block 542.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10 and the pivot part 320 are hinged, the hinge 552 inserted into the hinge connecting rod 551 is provided with a hinge mounting groove 55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531. ) Is provided, the hinge 552 is connected to the pivoting part 532 to be rotatable.

상기 슬라이드부(530)에는 고정 유닛(600)이 장착되는데, 상기 고정 유닛(600)의 모습을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8은 고정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9은 고정 유닛의 측면도이다.The slide unit 530 is equipped with a fixed unit 600, the state of the fixed unit 600 is shown in Figs. 8 is a plan view of the fixing unit, and FIG. 9 is a side view of the fixing uni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600)은 대략 I 자 형태이다. 상기 고정 유닛(600)은 사용자가 상기 고정 유닛(600)을 누를 수 있는 접촉 부분(610)과,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후크(621)가 형성된 후크 부분(620)과, 상기 접촉 부분(610)과 후크 부분(620)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6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부분(630)에는 스프링(635) 등의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부분(61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기 좋도록 돌출 형성되며 일정 곡률을 가진 접촉 돌기(61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유닛(600)은 지지파트(531) 및 회동파트(532)에 걸쳐서 형성되며, 후크(621)는 회동파트(532)의 내부에 위치한 후크홈에 삽입되게 된다.As shown therein, the fixing unit 600 is approximately I-shaped. The fixing unit 600 includes a contact portion 610 that allows a user to press the fixing unit 600, a hook portion 620 that is bent inward to form a hook 621, and the contact portion 610. And a connecting portion 630 for connecting the hook portion 620.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635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630, and a contact protrusion 615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on the contact portion 610 so as to protrude so that the user's finger is in contact. . The fixing unit 600 is formed over the support part 531 and the rotation part 532, the hook 621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located inside the rotation part 532.

이하, 본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0 및 도 11을 제시하며, 도 10은 고정 유닛이 눌리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고정 유닛이 눌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0 and 11 are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unit is not pressed, and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unit is pressed.

슬라이드부(53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만약, 고정 유닛(600)을 누르지 않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621)는 후크홈(533)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회동파트(531)는 후크(621) 및 후크홈(533)에 의하여 간섭을 받아서 회동할 수 없게 된다.The sliding portion 530 is slid downwards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f the fixing unit 600 is not pressed, the hook 621 is not separated from the hook groove 533, as shown in FIG. 10, and the rotation part 531 has the hook 621 and the hook groove 533. It can not be rotated by interferenc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슬라이드부(530) 중 회동파트(532)를 내측으로 절곡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유닛(600)을 누른다. 이에 따라 후크 부분(620)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후크(621)는 회동파트(532) 내부에 위치한 후크홈(533)에서 후퇴하면서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회동파트(532)는 저항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in order to bend the rotating part 532 inward of the slide unit 530, the fixing unit 600 is pressed. Accordingly, the hook portion 620 is moved to the lower side, at which time the hook 621 is separated while retreating from the hook groove 533 located inside the rotating part 532. Thus, the rotating part 532 can rotate without resistance.

이와 같이, 고정 유닛(600)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영화나 방송 시청시 등 바닥면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운 체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고정 유닛을 누름으로써 이를 달성하며, 통화나 기타 경우 등 회동파트가 절곡되어서는 곤란한 경우에는 실수로 회동파트를 누르더라도 절곡되지 않아서 사용상 편리성이 증진되게 된다.As such, when the fixed unit 600 is additionally configured to fix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floor, such as when watching a movie or broadcast, this is achieved by pressing the fixed unit, and a rotating part such as a call or other case is bent. In case of difficulty, even if the rotating part is pressed by mistake, it is not bent,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제3 The third 실시예Example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동파트가 포개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3은 회동파트가 펼쳐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rotation p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cke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part is unfolded.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710), 디스플레이부(720) 및 슬라이드부(7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710, a display 720, and a slide 730.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ption of the same items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상기 슬라이드부(730)는 상기 본체부(7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파트(731)와, 상기 지지파트(731)와 절곡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730) 가 개방되었을 경우 절곡되어 바닥면 등과 절곡된 부분이 밀착될 수 있는 회동파트(740)로 구성된다.The slide part 730 is bent and coupled to the support part 731 slid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710 and the support part 731 to be bent when the slide part 730 is opened. It is composed of a rotating part 740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ent surface and the like.

상기 회동파트(7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1 회동파트(741)와, 상기 제1 회동파트(741)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면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2 회동파트(742)로 구성된다.The pivot part 74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vot part 741 which may be bent to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ivot part 741, which may be b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cond rotating part 742 is composed of.

즉, 상기 제1 회동파트(741)는 하측 방향으로 90도 절곡되며, 상기 제2 회동파트(742)는 상측으로 90도 절곡되어 바닥면(800)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711은 배터리, 721은 디스플레이이다.That is, the first pivot part 741 is bent 90 degrees downward, and the second pivot part 742 is bent 90 degrees upward to stably contact the bottom surface 800. Here, reference numeral 711 denotes a battery and 721 denotes a display.

이와 같이 구성하여, 상기 회동파트(730)가 양쪽으로 회동하면서 바닥면(800)과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pivoting part 730 can be configured to more stably contact the bottom surface 800 while rotating to both side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바닥면에 세운 채 고정할 수 있어서, 장시간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fixed while standing on its own floor, it is convenient to use for a long tim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없이 스스로 세울 수 있으므로 취급이 간편하며, 추가장비의 분실 위험성이 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et up by itself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it is easy to handle and there is no risk of loss of additional equipment.

또한, 원하는 경우에만 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를 접어서 세울 수 있으며, 통화시 등과 같은 경우에는 힘을 주어도 단말기의 일부가 접히지 않아서 실수로 원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folded and set only when desired, and in case of a call or the like, a part of the terminal can not be folded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hereby preventing the terminal from being folded if it is not desired by mistake.

또한, 본 발명의 디자인 및 변형 상태 등은 슬라이딩 폰에 식상한 사용자에게 세련된 느낌과 심미감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ign and the modifi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ive a user a refined feeling and aesthetics that is fed up on the sliding pho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9)

본체부;Main body;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A sliding part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며, 일정 각도 회동되는 회동부;A rotating part connected to the sliding part and rotating at an angle; 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의 회동면이 수평한 바닥면과 접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세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surface of the rotating un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to establis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동부와 상기 슬라이드부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And a fixing unit mounted between the pivoting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wherein the fixing unit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접촉부분;A contac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lide portion and which the user can press; 상기 회동부 내부에 형성된 후크홈에 삽입 가능한 후크가 형성된 후크부분; 및A hook portion having a hook insertable into a hook groove formed in the pivoting portion; And 상기 접촉부분과 상기 후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연결부분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fix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촉 부분에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는 접촉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ac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to the contact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contact the user's fing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시 별도의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ain body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having a display, wherein the display unit is rotatably coupled so that a separate speaker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isplay unit rotat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키패드가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딩시 상기 키패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keypad is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e unit opens and closes the keypad when the sliding is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동부의 전면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가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의 회동시 상기 보조키와 상기 바닥면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front side of the rotating unit is equipped with an auxiliary key for inputting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key and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키패드가 장착되며, 상기 키패드 상측에는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A keypad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an auxiliary key for inputting information is further mounted on the keypad. 전면에 키패드가 노출된 본체부;A main body with a keypad exposed on the front;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he display unit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측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키패드를 개폐시키며, 상기 본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파트 및 지지파트의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파트가 최하단에 위치할 때 상기 회동파트는 절곡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립 상태로 유지하는 슬라이드부;Sliding movement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to open and close the keypad, including a support part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main body portion and a rotating part rotatably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when the support part is located at the bottom The rotating part is bent to the slide unit for maintai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upright stat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회동부와 상기 슬라이드부 사이에 장착되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And a fixing unit mounted between the pivoting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wherein the fixing unit 상기 슬라이드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접촉부분;A contact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lide portion and which the user can press; 상기 회동부 내부에 형성된 후크홈에 삽입 가능한 후크가 형성된 후크부분; 및A hook portion having a hook insertable into a hook groove formed in the pivoting portion; And 상기 접촉부분과 상기 후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시 별도의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display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speaker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isplay unit rotate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회동 파트의 전면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가 장착되며, 상기 회동 파트의 회동시 상기 보조키와 수평인 바닥면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is equipped with a supplementary key for inputting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key when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키패드 상측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Sli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dditional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keypad for inputting information.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지지파트의 하측에 힌지 장착홈이 구비된 힌지 연결대가 제공되고 상기 힌지 연결대에는 힌지가 삽입되며 상기 힌지는 상기 회동파트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hinge connector provided with a hinge mounting groove at a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a hinge is inserted into the hinge connector, and the hing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ivot part. 본체부;Main body;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including a displa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파트 및 지지파트의 하단에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회동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파트가 최하단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파트의 최하단면이 각각 바닥면에 접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립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first and a second rotating part mounted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and a support part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parts are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And a bottom end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ar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right.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회동파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측으로 90도 회동하며, 상기 제2 회동파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측으로 90도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pivot part rotates 90 degrees upw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pivot part rotates 90 degrees downw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는 키패드가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딩시 상기 키패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keypad is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e unit opens and closes the keypad when the sliding is performed.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시 별도의 스피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display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speaker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isplay unit rotates.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회동파트의 전면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보조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ide of the first pivot part is equipped with an auxiliary key for inputting information.
KR1020050110446A 2005-11-17 2005-11-17 Mobile terminal KR1006533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46A KR100653306B1 (en) 2005-11-17 2005-11-17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446A KR100653306B1 (en) 2005-11-17 2005-11-17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306B1 true KR100653306B1 (en) 2006-12-05

Family

ID=3773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446A KR100653306B1 (en) 2005-11-17 2005-11-17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30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06A (en) *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obile terminal having supporting means
KR20050036208A (en) * 2003-10-15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 apparatus of mobile phone
JP2005303964A (en) 2004-04-10 2005-10-27 Tsurayuki Yano Portable telephone s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406A (en) *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obile terminal having supporting means
KR20050036208A (en) * 2003-10-15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 apparatus of mobile phone
JP2005303964A (en) 2004-04-10 2005-10-27 Tsurayuki Yano Portable telephone 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8089B1 (en) A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i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KR100744295B1 (en) Portable terminal
KR100630024B1 (en) Portable phone with rotational display unit and hinge device thereof
EP1775596B1 (en) Keypad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7202906B2 (en) Key and button arrangement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CN101005523A (en) Communication portable device
US20070184882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KR10063013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800827B1 (en) Flip-up type mobile phone
US20080125198A1 (en) Portable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53306B1 (en) Mobile terminal
KR100378120B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EP1887762A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EP1594291B1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apparatus
US725151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ata-inputting expansion
KR20060062839A (en) Apparatus slant opening display for mobile terminal
US2010012494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pivotable screen
KR101058737B1 (en) Hinge device for sliding / swing type mobile terminal
KR100790169B1 (en) Swing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50011777A (en) Slide/folder type mobile phone
KR20060132111A (en) Double side opening and closing type multipurpos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100009842A (en) Folding-type portable device for multimedia
KR20040044212A (en) Auxiliary folder having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