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963B1 -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963B1
KR100652963B1 KR20050076492A KR20050076492A KR100652963B1 KR 100652963 B1 KR100652963 B1 KR 100652963B1 KR 20050076492 A KR20050076492 A KR 20050076492A KR 20050076492 A KR20050076492 A KR 20050076492A KR 100652963 B1 KR100652963 B1 KR 10065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data transmission
transmission path
nodes
neighb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7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훈
박천수
김유선
고성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7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963B1/ko
Priority to US11/442,387 priority patent/US8125978B2/en
Priority to JP2006221819A priority patent/JP428685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은, 싱크 노드를 포함한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템에 적용되는 싱크 노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노드에 이웃노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요청한 이웃노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싱크 노드 자신의 이동에 따라, 주변 노드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결과 및 이웃노드 정보를 통해,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함에 있어서, 플루딩(Flooding)없이 손상된 경로를 복구하기 때문에 노드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은 어떠한 라우팅 프로토콜에도 부가적 조건없이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센서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경로, 싱크 노드 이동, 경로 재설정, 노드 정보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Method for Data Transmission Path Establishment in Sensor Network}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의 구현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이 적용되는 센서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웃노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 노드 이동시 주변 노드의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재설정의 유형에 대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의 구현원리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수신부가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수신부까지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효율으로 설정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단말(mobile element)과 기지국(base station)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과 기지국은 다른 이동단말/노드(node)들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하지만, 센서(sensor)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싱크 노드(sink node:데이터 수신부)로 전달하고자 할 경우 다른 노드들을 이용한다.
즉,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는 그 기능에 따라 싱크 노드, 소스 노드 및, 릴레이 노드를 포함한다. 싱크 노드는 데이터 수신부로서, 특정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목적지 노드이고, 소스 노드는 데이터 송신부로서, 싱크 노드에 전송되는 특정 데이터의 근원지 노드이다. 한편, 릴레이 노드는 소스 노드로부터 싱크 노드까지의 데이터 전송경로를 구성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소스 노드는 전송할 데이터를 직접 싱크 노드로 전달한다. 하지만 상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소스 노드는 수집된 데이터를 싱크 노드로 직접 전달하는 대신 상기 싱크 노드에 인접한 릴레이 노드들로 전송한다. 이는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즉, 싱크 노드와 소스 노드간의 거리와 상기 센서 노드가 싱크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은 일반적으로 비례관계에 있다.
따라서, 싱크 노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소스 노드는 복수 개의 릴레이 노드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싱크 노드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이동성이 보장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의 구현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싱크 노드가 제 1위치(10)로부터 제 2위치(20)로 이동하는 경우에, 최초에 설정된 경로상에서는 싱크 노드의 이동으로 인한 경로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회복하기 위해 새로운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싱크 노드의 이동으로 인한 경로손실발생시 경로설정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경로 재설정시 기존의 데이터 전송경로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수신부가 이동하는 경우에, 기존의 데이터 전송경로에 대한 정보를 통해 데이터 송신부로부터 데이터 수신부까지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은, 싱크 노드를 포함한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템에 적용되는 싱크 노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노드에 이웃노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이웃노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싱크 노드 자신의 이동에 따라, 주변 노드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 및 상기 이웃노드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 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웃노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노드는,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 노드 및 두번째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청한 이웃노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변 노드들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노드에 소정의 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노드로부터 노드 아이디를 포함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첫번째 노드는, 상기 검색된 주변 노드들 중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되고, 상기 우선순위에 의한 제1 순위의 노드는, 상기 검색된 주변 노드 중 상기 기 설정된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최대한 인접한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에 의한 제2 순위의 노드는, 상기 검색된 주변 노드 중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두번째 노드의 이웃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우선순위에 의한 제 3 순위의 노드는, 상기 검색된 주변 노드 중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 노드의 이웃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누적하며, 상기 누적된 가중 치가 소정의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의 재설정은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 전체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 전체를 재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누적된 소정의 가중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설정된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 상의 노드의 상기 이웃노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웃노드는 상기 노드로부터 1홉(Hop)거리에 있는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이 적용되는 센서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이 적용되는 센서 네트워크상에서의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스 노드(노드1)와 싱크 노드(노드74) 사이에는 데이터 전송경로가 만들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상의 모든 노드들은 1홉(Hop)거리에 있는 자신의 이웃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
예를 들면, 노드67은 1홉(Hop)거리에 있는 자신의 이웃 노드들로서 노드69, 노드70, 노드71 등에 대한 노드 아이디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노드69는 1홉(Hop)거리에 있는 자신의 이웃 노드들로서 노드67, 노드68, 노드71, 노드73, 노드74 등에 대한 노드 아이디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도 2상의 노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서 'HN'은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로에 있는 노드로서, 싱크 노드(노드74)로부터 홉(Hop)수가 'N'인 것을 의미한다. 즉, 'H1'은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싱크 노드(노드74)로부터 첫번째 노드인 것을 의미하며, 'H2'는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싱크 노드(노드74)로부터 두번째 노드인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도 2상의 이웃 노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서 'NHN'은 'HN'으로부터 1홉(Hop)거리에 있는 이웃 노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웃노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싱크 노드(HS)는 데이터 전송경로가 설정되면, 'H1'과 'H2'에게 전술한 이웃 노드 정보를 요청하는 메세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이웃 노드 정보는 이웃 노드들의 각각의 아이디를 포함한다.
이웃 노드 정보 요청 메세지를 전송받은 'H1'과 'H2'는 각각 자신의 이웃노드 정보로서 (노드67,노드68,노드71,노드73,..)과 (노드69,노드70,노드71,..)를 싱크 노드에 전송한다. 'H1'과 'H2'로부터 각각의 이웃노드 정보를 전송받은 싱크 노드는 도 3상의 이웃노드 테이블을 저장하게 된다. 저장된 이웃노드 테이블은 이후에 싱크 노드의 위치가 이동된 경우에, 데이터 전송경로 재설정함에 있어서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 노드 이동시 주변 노드의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 이다. 먼저 싱크 노드가 'HN'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즉, 이동한 위치에서의 싱크 노드의 주변노드가 이동전 위치에서의 'HN'이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경로가 재설정되면,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는 기존의 데이터 전송경로에 비해, 'N-1'홉(Hop)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유형1'이라 한다.
한편, 싱크 노드가 'NH2'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즉, 이동한 위치에서의 싱크 노드의 주변노드가 이동전 위치에서의 'NH2'가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경로가 재설정되면,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는 기존의 데이터 전송경로와 같은 홉(Hop)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유형2'라 한다.
또한, 싱크 노드가 'NH1'부근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즉, 이동한 위치에서의 싱크 노드의 주변노드가 이동전 위치에서의 'NH1'가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경로가 재설정되면,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는 기존의 데이터 전송경로에 비해 '1'홉(Hop)만큼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유형3'라 한다.
만약, 이동한 위치에서의 싱크 노드의 주변노드가 상기 '유형1','유형2', 및'유형3'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유형4'라 한다.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싱크 노드는 위치를 이동한 후, 주변노드들을 검색하게 된다. 즉, 싱크 노드가 이동을 시작하여 'H1'과의 연결이 끊기면, 주변 노드에 소정의 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이를 전송받은 주변 노드들은 싱크 노드로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자신의 정보는 자신의 노드 아이디를 포함한 다.
주변 노드들의 정보를 전송받게 되면, 싱크 노드는 각 주변 노드들의 정보로부터, 정보를 전송한 주변 노드가 전술한 유형 중 어느 유형에 속하는 지를 확인한다. 확인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이웃노드 테이블을 활용한다. 즉, 전술한 이웃노드 테이블 상의 정보와 각 주변 노드들의 정보를 비교하여, '유형2' 또는 '유형3'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해당 주변 노드의 정보를 통해 기존의 데이터 전송경로를 구성하는 노드인지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서 '유형1'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싱크 노드는 전술한 주변노드들의 유형정보를 통해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하게 된다. 싱크 노드에 정보를 전송한 주변노드들 중에서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의 'H1'노드를 결정하게 된다.
주변 노드중, 'H1'노드로 결정되는 우선순위는 '유형1'에 해당하는 주변 노드를 최우선순위로 하며, 그 다음으로 '유형2' 마지막으로 '유형3'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유형1'에 해당하는 주변 노드들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기존의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의 소스 노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주변 노드가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의 'H1'노드로 결정될 것이다.
주변 노드들 중에서, '유형1', '유형2', 및 '유형3'에 해당하는 노드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유형4'로 판단하고, 이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경로 전 체를 재설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재설정의 유형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재설정된 데이터 경로상에서의 'H1'노드가 '유형1', '유형2', 및 '유형3'인 경우의 데이터 전송경로 재설정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유형1'인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홉(Hop)수가 감소하고, '유형2'인 경우에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홉(Hop)수가 동일하고, '유형3'인 경우에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홉(Hop)수가 '1'만큼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싱크 노드의 계속적인 이동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경로 재설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네트워크상의 복잡도가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은 부분적인 경로 재설정 알고리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네트워크상의 복잡도가 어느 정도 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재설정이 한번 수행될 때마다, 전술한 유형에 따라 가중치(W)를 설정하여, 누적시켜 나감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반복적인 경로 재설정에 따른 가중치 누적값(P)이 일정 한계치(T)를 넘게 되면 '유형4'를 적용하여 전체 경로를 재설정한다. 이 때 누적된 가중치를 다시 초기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가중치와 한계치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서 다르게 주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 유형별 가중치는 '유형3'에서의 가 중치를 '유형2'에서의 가중치보다 크게 하고, '유형2'에서의 가중치를 '유형1'에서의 가중치보다 크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의 구현원리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의 구현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싱크 노드는 가중치 누적값을 초기화하고, 네트워크의 동작환경에 따라 전술한 한계치(T)를 설정한다(S600).
그 다음 싱크 노드는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노드에 이웃 노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나,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노드들은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자신의 이웃 노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며, 또한,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1홉(Hop)거리에 있는 노드(H1)및 2홉(Hop)거리에 있는 노드(H2)에게만 이웃 노드의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H1' 및 'H2'에게만 이웃 노드의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H1' 및 'H2'는 각각 자신의 이웃 노드의 싱크 노드에 전송할 것이며 싱크 노드는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S610).
이후에 싱크 노드의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620), 싱크 노드는 이동된 위치에서의 주변 노드에게 소정의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를 전송하고, 주변 노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주변 노드에 대한 정보 를 전송받으며, 주변 노드의 각 이웃 노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받을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이웃 노드에 대한 정보는 이후에 다시 싱크 노드의 이동에 따른 경로 재설정이 있는 경우에 전술한 S610단계에서의 사전조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싱크 노드는 전술한 전송받은 주변 노드에 대한 정보로부터, 각 주변노드를 전술한 유형별로 분류한다.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에 위치할 노드의 유형을 결정하며, 이를 위해서 '유형1', '유형2', '유형3'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한다(S630). 만약, S630단계에서 '유형1', '유형2', '유형3' 중 어느 하나의 유형의 주변 노드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유형4'로 결정된다.
만약, '유형4'인 것으로 판단되면(S640), 전체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고, 기존의 데이터 전송 경로상에서의 정보를 활용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가중치 누적값(P)은 초기화될 것이다(S660). 또한, 싱크노드는 전체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한 후에, 이동한 위치에서 전술한 S610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만약, '유형4'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가중치 누적값(P)이 S60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한계치(T)를 초과하였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S650).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전체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고, 기존의 데이터 전송 경로상에서의 정보를 활용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가중치 누적값(P)은 초기화될 것이다(S660). 또한, 싱크노드는 전체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한 후에, 이동한 위치에서 전술한 S610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그러나, 누적값(P)이 S60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한계치(T)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싱크 노드는 전술한 유형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하며, 동시에 유형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를 누적시킨다(S670).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함에 있어서는, 우선 재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에 위치할 노드를 선정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전술한 S630 단계에서 결정된 유형에 해당하는 주변노드가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에 위치할 노드(H1)로 선정되는 데, 동일한 유형에 해당하는 주변 노드가 복수개인 경우에 이들중에서 어떠한 노드를 'H1'으로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유형1'인 주변 노드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소스 노드로부터 가장 인접한 거리에 있는 주변 노드를 'H1'으로 결정한다. 그러나, 소스 노드로부터 홉(Hop)수가 동일한 노드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랜덤(Random)방식에 따른 선택에 의할 것이다.
그 외에 '유형2'인 주변 노드가 복수개인 경우와 '유형3'인 주변 노드가 복수개인 경우에도 각각 랜덤(Random)방식에 따른 선택에 의해 'H1'를 결정할 것이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H1'이 결정되면, 싱크 노드는 'H1'으로 결정된 주변 노드를 통해서, 이후에 데이터를 전송받게 될 것이다.
한편, 'H1'으로 결정된 노드의 유형에 따라, 가중치(W)를 부여하고 이를 누적함에 있어서, 발명의 동작환경에 따라서 '유형1'의 경우에는 '-1', '유형2'의 경 우에는 '+1', '유형3'의 경우에는 '+2'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싱크노드는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한 후에, 이동한 위치에서 전술한 S610단계에서의 사전조사를 수행할 것이고, 이후에 전술한 S620단계에서 싱크 노드의 이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지 아니한 채 절차는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함에 있어서, 플루딩(Flooding)없이 손상된 경로를 복구하기 때문에 노드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은 어떠한 라우팅 프로토콜에도 부가적 조건없이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싱크 노드를 포함한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템에 적용되는 싱크 노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노드에 이웃노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한 이웃노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싱크 노드 자신의 이동에 따라, 주변 노드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 및 상기 이웃노드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노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상의 노드는,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 노드 및 두번째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한 이웃노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노드들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노드에 소정의 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노드로부터 노드 아이디를 포함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노드는,
    상기 검색된 주변 노드들 중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되고, 상기 우선순위에 의한 제1 순위의 노드는, 상기 검색된 주변 노드 중 상기 기 설정된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상에서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최대한 인접한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에 의한 제2 순위의 노드는,
    상기 검색된 주변 노드 중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두번째 노드의 이웃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우선순위에 의한 제 3 순위의 노드는,
    상기 검색된 주변 노드 중 상기 싱크 노드로부터 첫번째 노드의 이웃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소정의 가중치를 누적하며, 상기 누적된 가중치가 소정의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의 재설정은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 전체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 전체를 재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누적된 소정의 가중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상기 데이터 전송경로 상의 노드의 상기 이웃노드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노드는 상기 노드로부터 1홉(Hop)거리에 있는 노드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KR20050076492A 2005-08-19 2005-08-19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KR10065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76492A KR100652963B1 (ko) 2005-08-19 2005-08-19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US11/442,387 US8125978B2 (en) 2005-08-19 2006-05-30 Method for establishing data transmission path and sensor network employing the same
JP2006221819A JP4286850B2 (ja) 2005-08-19 2006-08-16 センサー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伝送経路の設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76492A KR100652963B1 (ko) 2005-08-19 2005-08-19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963B1 true KR100652963B1 (ko) 2006-12-01

Family

ID=3773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76492A KR100652963B1 (ko) 2005-08-19 2005-08-19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25978B2 (ko)
JP (1) JP4286850B2 (ko)
KR (1) KR1006529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352B1 (ko) 2008-09-01 2009-04-01 코람이엘(주) 유비쿼터스를 통한 솔라 가로등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18107B1 (ko) 2008-01-30 2009-09-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에 따른 메쉬 액세스포인트의 효율적인 경로 복구 방법
KR100921559B1 (ko) 2007-10-12 2009-10-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플러딩 방법 및장치
US7994942B2 (en) 2007-11-16 2011-08-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ata based on sensor network
KR101421160B1 (ko) * 2007-10-29 2014-07-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평면 라우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4671B2 (en) 2005-07-01 2012-03-27 Twitchell Jr Robert W Communicating via nondeterministic and deterministic network routing
US7142107B2 (en) 2004-05-27 2006-11-28 Lawrence Kates Wireless sensor unit
US20090129306A1 (en) * 2007-02-21 2009-05-21 Terahop Networks, Inc. Wake-up broadcast including network information in common designation ad hoc wireless networking
WO2009140669A2 (en) 2008-05-16 2009-11-19 Terahop Networks, Inc. Securing, monitoring and tracking shipping containers
JP5075088B2 (ja) * 2008-10-28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91435B2 (en) 2008-12-25 2013-03-05 Google Inc. Receiver state estimation in a duty cycled radio
US8626444B2 (en) * 2009-03-16 2014-01-07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afety based road map navigation
KR101772579B1 (ko) * 2010-12-17 2017-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싱크의 동작 방법, 그리고 센서 네트워크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702B1 (en) * 1991-10-01 2002-06-04 Intermec Ip Corp. Radio frequency local area network
US6728771B2 (en) * 1998-03-20 2004-04-27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Generic transport option for transporting messages in relay or broadcast mode via combinations of ISDN B-channels or D-channels
US6487177B1 (en) * 1998-06-12 2002-11-2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communications efficiency in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CA2266208C (en) * 1999-03-19 2008-07-08 Wenking Corp. Remote road traffic data exchange and intelligent vehicle highway system
US7653030B2 (en) * 2000-04-12 2010-01-26 Nokia Corporation Generation broadband wireless internet, and associated method, therefor
US7088674B2 (en) * 2001-12-27 2006-08-08 Alcatel Can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continuity of leaf-to-root VLAN connections
US7834754B2 (en) * 2002-07-19 2010-11-16 Ut-Battelle, Ll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conditions
US7707307B2 (en) * 2003-01-09 2010-04-2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ackup route in a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7379447B2 (en) * 2003-05-02 2008-05-27 Microsoft Corporation Slotted seeded channel hopping for capacity improvement in wireless networks
ATE384382T1 (de) * 2003-07-04 2008-02-15 British Telecomm Ad-hoc kommunikationssystem
KR100621369B1 (ko) * 2003-07-14 200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US8023941B2 (en) * 2003-12-17 2011-09-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pendent and efficient delivery of services to wireless devices capable of supporting multiple radio interfaces and network infrastructure
KR100612447B1 (ko) * 2004-02-16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스 라우터의 망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액세스 라우터
US8289859B2 (en) * 2004-05-25 2012-10-16 Alcatel Lucent Link delay determination using virtual concatenation
KR20060006583A (ko) * 2004-07-16 2006-01-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방향성 플러딩 방법
WO2006020658A1 (en) * 2004-08-09 2006-02-23 Johnny Yau Method and apparatus for ad hoc mesh routing
US8027280B2 (en) * 2004-10-27 2011-09-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ayered architecture for data management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7693049B2 (en) * 2004-10-29 2010-04-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lf-organization of sensor networks using ant colony optimization
US7596152B2 (en) * 2004-12-07 2009-09-2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low duty cycle hierarchical AD HOC networks
KR100675365B1 (ko) * 2004-12-29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이터전송 방법
US8115593B2 (en) * 2005-03-30 2012-02-14 Memsic Transducer Systems Co., Ltd. Adaptive network and method
US7440436B2 (en) * 2005-05-13 2008-10-21 Natural Lighting Systems, Inc. Self-organizing multi-channel mesh network
US20060271661A1 (en) * 2005-05-27 2006-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adaptively modifying the observed collective behavior of individual sensor nodes based on broadcasting of parameters
KR100760041B1 (ko) * 2005-06-17 2007-09-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 싱크와 로테이션을 사용한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59B1 (ko) 2007-10-12 2009-10-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플러딩 방법 및장치
KR101421160B1 (ko) * 2007-10-29 2014-07-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평면 라우팅 방법.
US7994942B2 (en) 2007-11-16 2011-08-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ata based on sensor network
KR100918107B1 (ko) 2008-01-30 2009-09-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에 따른 메쉬 액세스포인트의 효율적인 경로 복구 방법
KR100891352B1 (ko) 2008-09-01 2009-04-01 코람이엘(주) 유비쿼터스를 통한 솔라 가로등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53765A (ja) 2007-03-01
US20070042711A1 (en) 2007-02-22
JP4286850B2 (ja) 2009-07-01
US8125978B2 (en)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963B1 (ko)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경로 설정방법
JP686311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中継プログラム
US20110141932A1 (en) Nod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1755596B1 (ko) RPL 기반 IoT 네트워크에서 서브 트리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021945A1 (en) Node apparatus and alternative path search method
RU2006104554A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задержки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в сетях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100921559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효율적인 플러딩 방법 및장치
US20160337875A1 (en) A method for configuring a network comprising several nodes,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said network, and corresponding equipment and computer program
JP5705030B2 (ja) 通信システム
CN113259864A (zh) 窄带通信方法、对讲机、设备、存储介质及自组网系统
JP2001128231A (ja) 可変エリア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
KR101136051B1 (ko) 무선 이동 멀티홉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멀티캐스트 라우팅 방법
WO2017024952A1 (zh) 设备到设备的无线网格网络的路由寻找方法和装置
KR101473868B1 (ko) 컨텐츠 중심 네트워킹 환경에서 노드들 사이의 통신 방법 및 노드
CN112637923B (zh) 节点确认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647970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1655017B1 (ko)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링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6459665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EP1655895B1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ccommodating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WO2000005843A1 (fr)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pour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par paquets
KR20130015800A (ko)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다중 경로 QoS 라우팅 방법
JP4851511B2 (ja) ルーティング方法並びに前記方法を実行するトランシーバ基地局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i et al. A real-time routing protocol for (m, k)-firm stream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Naushad et al. Analyzing link connectivity to ensure faster failure detection for qos routing in manets: A peculiar outline
KR101883904B1 (ko) 위치 기반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라우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