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812B1 -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 Google Patents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812B1
KR100652812B1 KR1020050102837A KR20050102837A KR100652812B1 KR 100652812 B1 KR100652812 B1 KR 100652812B1 KR 1020050102837 A KR1020050102837 A KR 1020050102837A KR 20050102837 A KR20050102837 A KR 20050102837A KR 100652812 B1 KR100652812 B1 KR 10065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terminal
folder body
hinge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웅
류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0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8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8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folder-type hinge devic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ing the folder-type hinge device are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bodies so that the connected bodies can be individually mounted on the first/second folder bodies, and to freely rotat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bodies in vertical/horizontal directions, thereby servicing an easy-to-view screen for a user. The first folder body(130) includes the first rotary hinge(132) that rotates the first terminal body(110) by being mounted on a front side of the first terminal body(110). The second folder body(140) includes the second rotary hinge that rotates the second terminal body(120) by being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second terminal body(120). A rotation hinge is interposed between one section of the first folder body(130) and one section of the second folder body(140), and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folder bodies(130,140) at a rotational shaft.

Description

폴더형 힌지장치 및 폴더형 힌지장치를 사용한 개인휴대단말기{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Personal handheld terminal using a folding hinge device and a folding hinge device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하는 폴더형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folding type mobile phone that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rotat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3 is opened.

도 5는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 중 제1 단말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body is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3.

도 6은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 중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are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mo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s of FIG. 3.

도 7은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 중 제1 로터리 힌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rotary hing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3.

도 8은 도 7의 제1 로터리 힌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the first rotary hinge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제1 폴더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folder body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제1 단말기 본체 120:제2 단말기 본체110: first terminal body 120: second terminal body

130:제1 폴더 몸체 140:제2 폴더 몸체 130: first folder body 140: second folder body

150:회전 힌지부150: rotation hinge part

본 발명은 폴더형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말기 본체들 사이에 연결되어 단말기 본체들간에 접히거나 펴지는 상태로 개폐하는 폴더형 힌지장치 및 그 폴더형 힌지장치를 사용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type hinge devic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folding type hinge device and an individual using the folding type hinge device, which are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bodies to open and close in a folded or unfolded state between the terminal bodies.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정보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단순히 상대방과 음성을 통화하는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넘어, 사진 및 동영상 감상 기능, 카메라 및 캠코더 기능, 또는 전자수첩 및 전자사전 기능 등등으로 다양하게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y, personal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re not just functions for talking on the phone with other parties, but also for viewing photos and videos, cameras and camcorders, or electronic organizers and electronic dictionaries. It is being expanded in various ways.

최근에는 개인휴대단말기의 개폐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플립 방식, 슬라이딩 방식(sliding-type), 스윙 방식(swing-type) 및 폴더 방식(folder-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cently,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s been diversified, and in general,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s a flip type, a sliding type, a swing-type, and a folder-type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r operation method. ) Can be separated.

플립 방식은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동일한 몸체에 형성하고, 하단에 힌지로 연결된 커버를 이용하여 키 입력부를 보호하는 방식이다.In the flip method, a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re generally formed on the same body, and the key input unit is protected by using a cover connected to the bottom by a hinge.

슬라이딩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는 2개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슬라이딩 파트에 각각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게 하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The slid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which two sliding parts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key input unit face the same direction on the sliding part, respectively. In general, the sliding 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 may expose the display unit or the key input unit hidden on the rear side by sliding the front sliding part relatively.

스윙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는 2개의 단말기 본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하나의 단말기 본체가 나머지 단말기 본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360도 회전하여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을 스윙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라 지칭하고, 각각 단말기 본체의 위치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In the swing-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wo terminal bodie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one terminal body is rotated 360 degrees while maintaining a state parallel to the other terminal body. Such a method is referred to as a swing-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since the position of each terminal body can be freely designated, it has gained much popularity in recent years.

마지막으로, 폴더 방식은 2개의 폴더 파트를 힌지로 연결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메인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폴더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는 2개의 폴더를 닫아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폴더를 열어 전화를 수신하거나 키 입력을 통해 목적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Finally, the folder method may be opened and closed by connecting two folder parts by a hinge, and a main display unit and a key input unit are respectively form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folder-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n close two folders to protect the display unit and the key input unit, and can open a folder to receive a call or perform a desired function through key input.

통상적인 폴더 타입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긴 사진이나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 화면 좌우 공간이 보여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전체 화면을 다 보여주는 경우에도 상하 화면이 여백으로 처리되어 본래 디스플레이장치의 크기보다 훨씬 작은 화면으로 감상할 수밖에 없으며, 상하 여백을 두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이 심하게 왜곡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The display device of a typical folder-type mobile phone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viewing a photo or a video whose length is longer than the leng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ft and right spaces of the screen are not shown, and the entire screen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creens are treated as margins, so that the screen is much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riginal display device, and when the upper and lower margins are not provided, the screen is severely distorted and displayed.

사진 및 동영상 기능을 포함한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데 있어 보다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93965호가 있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93965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environment in using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photo and video function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하는 폴더형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 folding type mobile phone that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rotates.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하는 폴더형 휴대폰은, 본체(4)와 직각 회동 힌지(12)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결합축 볼트(20)와 그 결합축 볼트(20)를 회전축으로 하는 직각 회동 힌지(12)에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구비된 커버(2)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folding mobile phone in which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rotates includes a coupling shaft bolt 20 and a coupling shaft bolt 20 formed for coupling the main body 4 to a right angle hinge 12. The cover 2 provided with the display device 10 is coupled to the orthogonal pivoting hinge 12 having the rotation axis a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를 개방한 상태에서 결합축 볼트(20)를 중심으로 직각 회동 힌지(12)를 90도 회전하면, 그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화면크기에 알맞게 디스플레이 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right angle pivot hinge 12 is rotated 90 degrees about the coupling shaft bolt 20 in a state where the cover 2 is opened, a controller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not shown) ) Will display pictures or videos whose length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ictu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 폴더형 휴대폰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2)가 90도 회전될 경우, 본체(4)의 상측 모서리에 커버가 연결되어 휴대폰의 형상이 비대칭적으로 되는데 이러한 형상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한 전단력 또는 회전 모멘트 등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응력이 크게 작용되는 결합축 볼트(20) 체결부나, 그 주위에 설치되는 센서(미도시)가 파손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cover 2 is rotated 90 degrees, the cover is conne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4 so that the shape of the mobile phone is asymmetric. This shape is such that the coupling shaft bolt 20 fastening portion, or the sensor (not shown) installed around the breakage of the stress generated by the influence of the shear force or the rotation moment due to the external force is largely applied, The disadvantage is easy.

또한, 상기 폴더형 휴대폰의 본체(4)를 손에 쥐고 장시간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 본체(4)의 상측 모서리에 비대칭적으로 연결되는 커버(2)에 의해 무게 중심이 뒤틀리게 되므로 비교적 손이 쉽게 피로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바닥에 상기 폴더형 휴대폰의 본체(4)를 거치시키고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에도, 한쪽으로 치우친 무게중심 때문에 별도의 거치 수단을 포함하지 않고서는 바르게 거치하기 어려웠다.In addition, when watching the video for a long time while holding the main body 4 of the clamshell mobile phone, the center of gravity is distorted by the cover 2 which is asymme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main body 4, so the hand is relatively eas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fatigue, even when mounting the main body (4) of the clamshell mobile phone on the bottom, it was difficult to mount correctly without including a separate mounting means because of the center of gravity biased to one side.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제1 폴더 몸체 및 제2 폴더 몸체에 각각 장착되도록 연결하며,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세로 및 가로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 폴더형 힌지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to be mounted on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respectively,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first 2 It is to provide a folding hinge devic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freely rotate the terminal bod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거치하기가 용이하도록 각각 가로로 회전하여 거치대 없이도 거치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unted without a cradle by rotating horizontally so as to easily mount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세로에서 가로로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화면이 세로에서 가로로 회전 가능하며, 사용자가 보기 편한 화면을 제공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that is capable of automatically rotating the screen from portrait to landscape while the display rotates from portrait to landscape, and provides a user-friendly scree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형 힌지장치는 제1 폴더 몸체, 제2 폴더 몸체 및 회전 힌지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shell hinge device has a first folder body, a second folder body and a rotating hinge portion.

제1 폴더 몸체는 제1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제1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1 로터리 힌지를 포함하며, 제2 폴더 몸체는 제2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2 로터리 힌지를 포함한다. 제1 로터리 힌지 및 제2 로터리 힌지는 다양한 방식의 로터리 힌지를 사용할 수 있다. 회전 힌지부는 제1 폴더 몸체의 일단부 및 제2 폴더 몸체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제1 폴더 몸체와 제2 폴더 몸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folder body includes a first rotary hinge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body to rotate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body to rotate the second terminal body. A second rotary hinge. The first rotary hinge and the second rotary hinge may use various types of rotary hinges. The rotating hinge part is interpos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folder body and one end of the second folder body, and rotates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about a rotation axis.

종래의 폴더형 힌지장치는 단순히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각 단말기 본체들을 겹치도록 접었다가 다시 폈다가 하는 방식이다. The conventional foldable hinge device simply serves to connect end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to each other, and is folded and folded again to overlap each terminal body.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힌지장치는 제1 폴더 몸체와 제2 폴더 몸체가 회전 힌지부에 의해서 연결되며, 제1 폴더 몸체와 제2 폴더 몸체에 장착된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들이 종래와 같이 겹치도록 접었다가 다시 펴지면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제1 폴더 몸체 및 제2 폴더 몸체에는 각각 제1 로터리 힌지 및 제2 로터리 힌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로터리 힌지에 의해서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세로에서 가로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foldabl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are connected by a rotating hinge portion, and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mounted on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are conventional. It can be folded and folded to overlap and then open and unfold. In addition,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include a first rotary hinge and a second rotary hinge, respectively, and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freel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the first and second rotary hinges. Can be rotated.

따라서, 폴더형 힌지장치의 구조적 장점 및 경제적 이득은 개인휴대단말기에서도 적용될 수가 있다. 개인휴대단말기는 폴더형 힌지장치 외에도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더 포함하며, 제1 폴더 몸체에는 제1 단말기 본체가 장착되며, 제2 폴더 몸체에는 제2 단말기 본체가 장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tructural advantages and economic benefits of the folding hinge device can be applied to personal portable terminals.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erminal body and a second terminal body in addition to the folding hinge device, and the first folder body may be mounted on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folder body. .

종래의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중 하나 만이 로터리 힌지에 의해서 세로에서 가로로 회전되게 된다. 세로에서 가로로 회전되는 단말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세로에서 가로로 시청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기 편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는 하나의 단말기 본체 만이 세로에서 가로로 회전되므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시청하기는 편리할 수 있으나, 게임이나 문자 메시지등과 같이 다른 기능을 사용할 때에는 키 패드의 조작 등이 불편하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시청할 때에도 별도의 거치대 없이는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없으므로 거치대가 없는 경우에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손으로 들고 사용해야 한다. In the conventional fold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only one of the terminal bodies is rota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a rotary hinge. A display is formed in the terminal body that is rota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thus the user may view a screen of the displa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provide a user-friendly screen.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amshell personal portable terminal, since only one terminal body is rota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t may be convenient to watch the screen of the display. However, when using other functions such as a game or a text message, the operation of the keypad is performed. This is inconvenient. In addition, even when view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can not moun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thout a separate cradle, so if you do not have a cradle, you must use your personal portable terminal.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힌지장치를 사용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 폴더 몸체에 장착된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폴더 몸체에 장착된 제2 단말기 본체를 서로 접혔다가 다시 펴졌다가 하면서 폴더 타입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폴더 몸체는 제1 단말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로터리 힌지를 포함하므로 제1 단말기 본체는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폴더 몸체는 제2 단말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로터리 힌지를 포함하므로 제2 단말기 본체는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However,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ing the folding typ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lds and refolds the first terminal main body mounted on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main body mounted on the second folder body while being unfolded. I can open and close it with a typ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older body includes a first rotary hinge that rotatably connects the first terminal body, the first terminal body may be rotat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folder body includes a second rotary hinge that rotatably connects the second terminal body, the second terminal body may be rotat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내면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단말기 본체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시청하기에 편할 뿐만 아니라 내면에 키 패드가 형성된 제2 단말기 본체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2 단말기 본체의 지면에 넓은 면적이 닿게 되어 개인휴대단말기를 거치대 없이 거치할 수 있으며, 게임 등을 조작할 때에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제2 단말기 본체의 키 패드를 손으로 조작하기가 용이하다. Therefore, by rotating the first terminal body including the display on the inner sid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view the screen, as well as to rotate the second terminal body formed with the keypad on the inner sid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result, a large area of the second terminal body touches the ground, allowing the user to mount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without the holder, and easily operate the keypad of the second terminal body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hand when operating a game or the like. Do.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refers to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etc., and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Can be used as a generic concep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 중 제1 단말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개인휴대단말기 중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n stat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ure 3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body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ar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3. to be.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 단말기 본체(110), 제2 단말기 본체(120), 제1 폴더 몸체(130), 제2 폴더 몸체(140) 및 회전 힌지부(1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폴더 몸체(130), 제2 폴더 몸체(140) 및 회전 힌지부(150)는 폴더형 힌지 장치로 표현될 수 있다.3 to 6,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s a first terminal body 110, a second terminal body 120, a first folder body 130, a second folder body 140, and a rotating hinge part 150. ). Here, the first folder body 130, the second folder body 140 and the rotating hinge portion 150 may be represented by a folding hinge device.

제1 단말기 본체(110)는 외면 중 상부 쪽에 제1 폴더 몸체(130)에 제1 로터리 힌지(132)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 본체(110)의 내면에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며, 디스플레이의 양 측부에 2개의 스피커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기능을 가진 모듈을 부가하여 장착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body 110 may be mounted to the first folder body 130 by the first rotary hinge 132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In addition, a display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body 110, and two speaker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display.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having a different function may be added and mounted according to a designer's intention.

제2 단말기 본체(120)는 제1 단말기 본체(1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제1 단말기 본체(110)와 마찬 가지로, 제2 단말기 본체(120)의 외면 중 상부 쪽에 제2 폴더 몸체(140)에 제2 로터리 힌지(미도시)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기 본체(120)의 내면에는 키 패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버튼들에 컴퓨터용 자판과 유사한 문자 패턴으로 문자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글자를 입력하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키 패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main body 120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terminal main body 110, and like the first terminal main body 110, the second folder body 120 is located on an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main body 120. 140 may be mounted by a second rotary hinge (not shown). In addition, a key pad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main body 120, and character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buttons in a character pattern similar to a computer keyboard, so that a user may easily input letters.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keypads may be mounted and used according to a designer's intention.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 본체(110)는 제1 폴더 몸체(130)에서 세로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기 본체(120)도 마찬가지로 제2 폴더 몸체(140)에서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 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 본체(110) 및 제2 단말기 본체(120)를 모두 가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 본체(110)에서 제2 단말기 본체(120)의 몸체를 이용하여 지면에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내면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단말기 본체(110)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시청하기에 편하다. 이때, 제1 단말기 본체(110)를 세로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화면의 방향이 세로에서 가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 본체(120)에는 키 패드를 컴퓨터용 자판과 같이 배치할 수 있으므로 문자를 보내거나 메모를 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등을 할 때에도 두 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버튼을 조작하기에 용이하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rst terminal body 110 may rotat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rst folder body 130 (ⓐ). 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may also rotat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econd folder body 140. Accordingly, both the first terminal body 110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re mounted on the ground using the body of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in the first terminal body 110. can do. In addition, by rotating the first terminal body 110 including a display on the inner sid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watch the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first terminal body 110 is rotat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screen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vertica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keypad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like a computer keyboard, it is more convenient to send a text or take a memo.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use both hands when playing a game us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t is easy to operate a button.

그리고,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가 제1 단말기 본체(110) 및 제2 단말기 본체(120)의 전면 및 후면에 안정적으로 결속되므로 개폐하는 동작이나 회전시키는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second folder body 140 are stably boun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terminal body 110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the rotating operation are performed. Can be performed stably.

제1 폴더 몸체(130)의 일면은 제1 단말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제2 폴더 몸체(140)와 회전 힌지부(15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는 회전 힌지부(150)를 회전 축으로 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 및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폴더 몸체(13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폴더 몸체(140)와 회전 힌지부(150)에 의해서 ㄷ-자 형상으로 결속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단말기 본체(110) 및 제2 단말기 본체(120)는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에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제1 폴더 몸체(130)의 전면에는 카메라나 디스플레이 등을 장착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One surface of the first folder body 130 is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terminal body 110,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by the second folder body 140 and the rotation hinge part 150. Therefore,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second folder body 14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and close to each other using the rotation hinge portion 150 as the rotation axis. The first folder body 130 is formed in a b-shape, and is bound in a c-shape by the second folder body 140 and the rotating hinge part 150.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body 110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second folder body 140 to form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second folder body ( 140 can be stably bound.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first folder body 130 may be equipped with a camera or a display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 중 제1 로터리 힌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로터리 힌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rotary hing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irst rotary hinge of FIG. 7.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폴더 몸체(130)는 제1 단말기 본체(1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제1 단말기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제1 로터리 힌지(132)를 포함한다. 3 to 8, the first folder body 130 includes a first rotary hinge 132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body 110 to rotate the first terminal body 110.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터리 힌지(132)는 제1 단말기 본체(110)에 제 1 고정부(134)가 결합되고, 제1 고정부(134) 내부로 제1 로터리 힌지(132)의 몸체에 제1 이송부(136)가 삽입되며, 제1 이송부(136) 내부로 다각기둥 형상의 제1 중심부(138)가 삽입되어 제1 로터리 힌지(132)를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first rotary hinge 132 has a first fixing part 134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body 110, and the first rotary part inside the first fixing part 134. The first transfer unit 136 is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hinge 132, the first central portion 138 having a polygonal pillar shape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ransfer unit 136 to form the first rotary hinge 132. .

제1 이송부(136)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는 제1 고정부(134)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134b) 및 고정돌기(134a)에 의해서 제1 고정부(134)의 내부에 고정되어 제1 이송부(136)가 상향으로 이송될 경우에 제1 고정부(134)로부터 제1 이송부(136)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136)의 내부는 제1 중심부(138)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되고, 제1 고정부(134) 내부의 상측에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고정돌기(134a)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로터리 힌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lange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ransfer part 136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part 134 by the locking projection 134b and the fixing protrusion 134a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134, and thus, the first fixing part 134 is fixed. When the transfer part 136 is transferred upward, the first transfer part 136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part 134.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irst transfer unit 136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central portion 138, by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134a)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upper side inside the first fixing portion 134. It is fixed so that it cannot move downward.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rotary hinge mean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제2 폴더 몸체(140)의 일면은 제2 단말기 본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제1 폴더 몸체(130)와 회전 힌지부(15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2 폴더 몸체(14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폴더 몸체(130)와 회전 힌지부(150)에 의해서 ㄷ-자 형상으로 결속되게 된다. 또한, 제2 폴더 몸체(140)는 제2 단말기 본체(120)의 전면에 장착되어 제2 단말기 본체(120)를 회전시키는 제2 로터리 힌지를 포함한다. 제2 로터리 힌지는 제1 로터리 힌지(132)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2 고정부, 제2 이송부 및 제2 중심부 모두 제1 고정부(134), 제1 이송부(136) 및 제1 중심부(138)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One surface of the second folder body 140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by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rotation hinge part 150. The second folder body 140 is formed in a b-shape, and is bound in a c-shape by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rotating hinge part 150. In addition, the second folder body 140 includes a second rotary hing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to rotate the second terminal body 120. The second rotary hinge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rotary hinge 132, and the second fixing part, the second conveying part, and the second central part all have the first fixing part 134, the first conveying part 136, and the first central part ( 138), the same drawings and descriptions can be omitted.

회전 힌지부(150)는 제1 폴더 몸체(130)의 일단부 및 제2 폴더 몸체(140)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며,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의 회전 축이 된다. 따라서, 제1 폴더 몸체(130)는 회전 힌지부(150)를 회전 축으로 하여 제2 폴더 몸체(140)에서 대략 180도 정도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The rotation hinge part 150 is interpos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one end of the second folder body 140,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second folder body 140. It becomes an axis. Therefore, the first folder body 130 may be rotated about 180 degrees in the second folder body 140 using the rotation hinge 150 as the rotation axis.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may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 로터리 힌지(132)의 중심에서 제1 폴더 몸체(130)의 상부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170)로 정의하며, 제1 거리(170)는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1 로터리 힌지(132)의 중심부터 가장 먼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로터리 힌지(132)의 중심에서 제1 단말기 본체(110)까지의 거리를 제2 거리(160)로 정의하며, 제1 로터리 힌지(132)의 중심에서부터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 사이의 공간에서 제1 단말기 본체(110)에 가장 먼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거리(160)는 제1 로터리 힌지(132)의 중심에서부터 대각선 방향의 제1 단말기 본체(110)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제1 거리(170)는 제2 거리(160)보다 소정의 거리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단말기 본체(110)는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 사이에서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제1 폴더 몸체(130) 및 제2 폴더 몸체(140)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13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older body 130 is defined as the first distance 170, and the first distance 170 is the first folder body.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132 to the furthest point in the space between the 130 and the second folder body 140.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132 to the first terminal body 110 is defined as the second distance 160, and the first folder body 130 is formed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132. And a distance farthest from the first terminal body 110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folder body 14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distance 160 mean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132 to the first terminal body 110 in the diago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distance 17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distance longer than the second distance 160.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body 110 is caught between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second folder body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folder body 130 and the second folder body 140. Can be rotated freely.

또한, 제2 폴더 몸체는 제1 폴더 몸체(130)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2 로터리 힌지를 중심으로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정의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folder body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lder body 130, a first distance and a second distance may be defined based on the second rotary hing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제1 폴더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folder body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폴더 몸체(130)는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44)가 형성된다. 제2 폴더 몸체(140)에서 상부로 회전된 제1 폴더 몸체(130)는 돌출부(144)가 제2 폴더 몸체(140)에 밀착되면서 제1 폴더 몸체(130)가 더 이상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폴더 몸체(130)는 회전 힌지부(150)를 중심으로 제2 폴더 몸체(140)에서 대략 150도 이상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제1 폴더 몸체에 형성된 돌출부의 위치에 의해 제1 폴더 몸체와 제2 폴더 몸체 간에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folder body 130 has a protrusion 144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first folder body 130 rotated upward from the second folder body 140 prevents the first folder body 130 from being rotated any further while the protrusion 1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older body 140. do. Accordingly, the first folder body 130 may be rotated by about 150 degrees or more in the second folder body 140 about the rotation hinge 150.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the rotation between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may be adjusted by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first folder body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모두 가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 본체에서 제2 단말기 본체의 몸체를 이용하여 거치대 없이 지면에 거치할 수 있다. Therefore, both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an be mounted on the ground without a cradle using the body of the second terminal body in the first terminal body.

또한, 내면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단말기 본체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시청하기에 편하다. 이때, 제1 단말기 본체를 세로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면 자동적으로 화면의 방향이 세로에서 가로로 전환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rotating the first terminal body including a display on the inner side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watch the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first terminal body is rotat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screen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vertica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제2 단말기 본체에는 키 패드를 이용하여 컴퓨터용 자판과 같이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를 보내거나 메모를 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등을 할 때에도 두 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버튼을 조작하기에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terminal body can be input like a computer keyboard using a keypad, it is more convenient to send texts or take notes.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use both hands when playing a game us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t is easy to operate a butt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0)

개인휴대단말기의 제1 단말기 본체 및 제2 단말기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In the hinge device for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th each other, 상기 제1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1 로터리 힌지를 포함하는 제1 폴더 몸체; A first folder bod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body and including a first rotary hinge for rotating the first terminal body; 상기 제2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2 로터리 힌지를 포함하는 제2 폴더 몸체; 및 A second folder bod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including a second rotary hinge configured to rotate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상기 제1 폴더 몸체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폴더 몸체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폴더 몸체와 상기 제2 폴더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힌지부; A rotation hinge interpos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folder body and one end of the second folder body and for rotating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about a rotation axis; 를 구비하는 폴더형 힌지장치.Foldable hinge device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폴더 몸체 및 상기 제2 폴더 몸체는 상기 회전 힌지부에 의해서 ㄷ-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힌지장치.And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shape by the rotating hinge par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폴더 몸체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폴더 몸체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폴더 몸체 또는 상기 제2 폴더 몸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에 의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폴더 몸체 또는 상기 제1 폴더 몸체의 상부에 걸려서 소정의 각도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힌지장치.The first folder body is formed in a b-shaped, the second folder body is formed in a b-shaped, the first folder body or the second folder body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s, The projecting portion is a folding hin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rotation to catc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older body or the first folder body to prevent the rotation over a predetermined ang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로터리 힌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폴더 몸체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로터리 힌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단말기 본체의 상부까지의 제2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힌지장치.A clamshe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to the first folder body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to the top of the first terminal body. Hin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로터리 힌지는 상기 제 1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며 단부가 상기 제1 폴더 몸체에 장착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이송부를 고정시키는 제1 중심부를 포함하고, The first rotary hinge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body,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first conveying part. It includes a first central portion for fixing the first transfer portion, 상기 제2 로터리 힌지는 상기 제 2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며 단부가 상기 제2 폴더 몸체에 장착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이송부를 고정시키는 제2 중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힌지장치.The second rotary hinge may be inserted into a second fix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terminal body, the second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art, and an end of which is mounted to the second folder body and into the second conveying part. And a second center portion for fixing the second transfer portion. 내면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단말기 본체; A first terminal body including a display on an inner surface thereof; 상기 제1 단말기 본체에 마주하는 제2 단말기 본체;A second terminal body facing the first terminal body; 상기 제1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1 로터리 힌지를 포함하는 제1 폴더 몸체; A first folder bod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body and including a first rotary hinge for rotating the first terminal body; 상기 제2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단말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2 로터리 힌지를 포함하는 제2 폴더 몸체; 및A second folder bod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including a second rotary hinge configured to rotate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상기 제1 폴더 몸체의 일단부 및 상기 제2 폴더 몸체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폴더 몸체와 상기 제2 폴더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힌지부; A rotation hinge interpos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folder body and one end of the second folder body and for rotating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about a rotation axis; 를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A personal mobile terminal having a.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폴더 몸체 및 상기 제2 폴더 몸체는 상기 회전 힌지부에 의해서 ㄷ-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second folder body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shaped by the rotating hinge por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폴더 몸체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폴더 몸체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폴더 몸체 또는 상기 제2 폴더 몸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에 의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폴더 몸체 또는 상기 제1 폴더 몸체의 상부에 걸려서 소정의 각도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first folder body is formed in a b-shaped, the second folder body is formed in a b-shaped, the first folder body or the second folder body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s, The protrusion is caught by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older body or the first folder body by the rotation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personal computer over a predetermined angl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로터리 힌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폴더 몸체까지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로터리 힌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단말기 본체의 상부까지의 제2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fir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to the first folder body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con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ry hinge to the top of the first terminal body.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로터리 힌지는 상기 제 1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며 단부가 상기 제1 폴더 몸체에 장착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이송부를 고정시키는 제1 중심부를 포함하고, The first rotary hinge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body,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folder body and the first conveying part. It includes a first central portion for fixing the first transfer portion, 상기 제2 로터리 힌지는 상기 제 2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 내부로 삽입되며 단부가 상기 제2 폴더 몸체에 장착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이송부를 고정시키는 제2 중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second rotary hinge may be inserted into a second fix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terminal body, the second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art, and an end of which is mounted to the second folder body and into the second conveying part. Personal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central portion for fixing the second transfer unit.
KR1020050102837A 2005-10-31 2005-10-31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KR1006528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837A KR100652812B1 (en) 2005-10-31 2005-10-31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837A KR100652812B1 (en) 2005-10-31 2005-10-31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812B1 true KR100652812B1 (en) 2006-12-04

Family

ID=3773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837A KR100652812B1 (en) 2005-10-31 2005-10-31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81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8073B (en) Portable, at least two modes of use including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d mechanism therefor
US7526325B2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8358513B2 (en) Expansion module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41570B1 (en) Dual display folder type terminal
JP5238654B2 (en) Mobile device
FI118621B (en)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with open and closed operating position and handle arrangement
JP4517551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744397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using capable of both sliding and swinging
KR100991567B1 (en) Two part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US8457564B2 (en) Dual-use portable display device
KR101013626B1 (en)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JP2007179525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2004104233A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5198062A (en) Folding mobile phone
JP2007194855A (en) Folding type electronic apparatus
US8275425B2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KR100800827B1 (en) Flip-up type mobile phone
US7136687B2 (en) Electrical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a top module and a bottom module
US20220075426A1 (en) Foldable multimedia terminal
KR100652812B1 (en)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KR100849284B1 (en) Dual rotation folder-type mobile phone and hinge unit thereof
KR102215610B1 (en) Folding multimedia terminal
JP2005038217A (en) Folding portable device
EP1887762A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JP2004135118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