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268B1 -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password in Cabinet - Google Patents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password in Cabi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268B1
KR100649268B1 KR1020030073367A KR20030073367A KR100649268B1 KR 100649268 B1 KR100649268 B1 KR 100649268B1 KR 1020030073367 A KR1020030073367 A KR 1020030073367A KR 20030073367 A KR20030073367 A KR 20030073367A KR 100649268 B1 KR100649268 B1 KR 100649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password
loc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5812A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박상민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민, 김봉근 filed Critical 박상민
Publication of KR20050035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8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2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가 자신의 개인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보관함에 적용되는 개폐시스템과 그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에 대한 제1데이터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저장되면, 락신호 또는 언락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가 잠기거나 열리도록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수단에 락신호를 전송하는 잠금단계와;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에 대한 제2데이터와 기저장된 상기 제1데이터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두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잠금수단에 언락신호를 전송하는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가 일치할 경우에는 제1데이터를 삭제하는 한편, 상기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데이터를 유지시키는 데이터 삭제단계가 더 포함되어, 이전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비밀번호에 상관없이 이후 사용자는 각자가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어, 불특정 다수가 비밀번호 방식을 이용해 공중 보관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inputting a password, and more particularly,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pplied to a storage box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o that an unspecified majority can temporarily store their personal items. The control method, and when the first data for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is input / stored through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lock signal or unlock signal, the lock signal to the lock means which is mechanically operated to lock or open the door A locking step of transmitting; Checking whether the second data for the password entered by the user and the pre-stored first data is matched and if the two data match, the unlocking system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n unlock signal to the locking mean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leting a first data wh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a data deleting step of retaining the first data wh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do not coincide. After that, regardless of the password set by the previous user, each user can set a new password so that many unspecified users can use the public locker using the password method.

Description

비밀번호 방식이 적용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password in Cabinet}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password in Cabin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a public storage box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 보관함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ublic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공중 보관함의 또다른 개폐시스템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방식의 개폐시스템이 적용된 공중 보관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ublic storage box to which the password-based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잠금기구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동도,6 is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시건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7a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ck device operated b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도 7a의 시건장치로 제어되는 잠금기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FIG. 7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controlled by the locking device of FIG. 7A;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시건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k device operated by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 보관함의 또다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 트,9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public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10 is an ope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도이다.11 and 12 are operation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Explanation of terms for main parts of attached drawings-

1 ; 회동구멍 2 ; 가이드라인 3 ; 축대One ; Rotating hole 2; Guideline 3; Axle

10, 10' ; 개폐시스템 20 ; 전원수단 30, 526 ; 자물쇠10, 10 '; Switching system 20; Power supply means 30, 526; lock

100 ; 제어수단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 100; Control means 110; Input unit 120; Control

130 ; 메모리부 200 ; 잠금수단 300 ; 표시수단130; Memory 200; Locking means 300; Indicator

400 ; 센서 500 ; 시건장치 510 ; 제어기구 400; Sensor 500; Locking device 510; Control mechanism

520 ; 잠금기구 521 ; 구동모터 522 ; 디스크520; Locking mechanism 521; Drive motor 522; disk

523, 523', 523" ; 빗장 523a ; 가이드홈523, 523 ', 523 "; Latches 523a; Guide groove

524 ; 지지롤러 525 ; 연결축 540 ; 끼움편524; Support roller 525; Connecting shaft 540; Fitting

526 ; 통신수단 527 ; 센서 530 ; 표시용손잡이526; Communication means 527; Sensor 530; Display Handle

531 ; 지지롤러 532 ; 손잡이홈 533 ; 지지턱531; Support roller 532; Handle grooves 533; Support

534 ; 탄발부재 600 ; 카드판독수단 534; Bullet member 600; Card reading means

700, 700' ; 조작부 710 ; 키패드 720 ; 손잡이700, 700 '; Control panel 710; Keypad 720; handle

730 ; 표시기 740 ; 열쇠끼움부 750 ; 리더 730; Indicator 740; Key fitting 750; leader

A ; 닫힘표시 B ; 열림표시 C ; 보관함 A; Closing indication B; Open indication C; locker

D ; 도어 D-1 ; 고정구멍 D-2 ; 관통구멍 D; Door D-1; Fixing hole D-2; Through hole

D-3 ; 표시구멍 H ; 조립구멍 S ; 공간부 D-3; Display hole H; Assembly hole S; Space

S-1 ; 걸림대 S-2 ; 고정홈 R ; 고정편S-1; Hanger S-2; Fixing groove R; Fixed piece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가 자신의 개인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보관함에 적용되는 개폐시스템과 그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inputting a password, and more particularly,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pplied to a storage box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o that an unspecified majority can temporarily store their personal items. The control method is related.

도서관, 스포츠센터, 할인매장 등, 다수의 불특정인이 모이는 공공장소에는 어김없이 그들의 개인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이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보관함에는 배치된 장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개인용구들이 일시적으로 보관되는데, 보관되는 이러한 물품들은 대부분이 개인적인 것들이므로 다른이들이 보거나 사용할 수 없도록 보관함 자체가 금고의 기능을 하여야 한다.In public places such as libraries, sports centers, discount stores, etc. where many unspecified people gather, storage boxes are used to store their personal items. These containers are temporarily stored in a variety of personal item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place in which they are placed. Most of these items are personal items, so the storage box itself must function as a safe for others to see or use.

이를 위해, 보관함의 도어에는 보관물품의 주인만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시건장치가 장착된다. 이런 시건장치는 열쇠와 이 열쇠에 상응하는 자물쇠로 구성되어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으로 잠그고 풀 수 있도록 된 것이 일반적이었다.To this end, the door of the storage box is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by the owner of the storage article. Such locks typically consisted of a key and a lock corresponding to the key so that it can be locked and unlocked by a user's physical manipulation.

하지만 종래 시건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열쇠를 항시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용무를 보는데 방해가 될 수 있으며, 분실위험이 항시 상주하므로, 사 용자는 이러한 시건장치가 장착된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불편함을 감수 해야만 했다. 이외에도, 바코드나 IC가 내장된 카드가 열쇠로 쓰이는 개폐시스템도 이용되고 있지만, 이들 또한 사용자가 늘 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열쇠 및 자물쇠로 이루어진 개폐시스템이 갖던 문제를 극복할 수는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ck device may interfere with the user's work because the user has to carry the key at all times, and the risk of loss is always present, so that the user may use the locker equipped with the lock device. Had to accept. In addition, an opening / closing system in which a card with a barcode or IC is used as a key is also used. However, they also have to be carried by the user all the time. Therefore, the problem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consisting of a key and a lock cannot be overcome.

한편, 근래에는 특정인 만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앞서 기술된 열쇠 및 카드가 이용되지 않아도 되는 비밀번호 방식의 개폐시스템이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폐시스템은 개인금고, 집, 사무실 등의 도어 또는 특정인 만이 이용할 수 있는 보관함 등에 적용되어 극히 보안을 요하거나 개인적인 곳에 활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only a specific person can open and close the door while a password-based opening and closing system that does not need to use the above-described key and card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applied to a personal safe, a door of a home, an office, or a storage box that can be used only by a specific person, and is used in an extremely secure or personal place.

일반적으로 이러한 개폐시스템은 하나의 비밀번호가 지정되면, 이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삭제하지 않는 이상 계속 기억되어 상기 개폐시스템의 작동을 제한하게 되고, 비밀번호를 변경하려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만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개폐시스템이 장착된 도어는 극히 제한된 사람만이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In general, when a single password is assigned, this password is kept in memory unless the user deletes it, thereby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To change the password, it is only possible to enter a password that was previously used. Therefore, the door equipped with such opening and closing system was only available to extremely limited peop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하루에도 몇번씩 사용자가 바뀌는 보관함을 열쇠나 개폐용 카드 없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 방식이 적용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is applied to the password method to be able to easily use the locker without changing the user several times a day by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ithout a key or opening and closing car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n / close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중 보관함의 도어를 잠그거나 푸는 개폐시스템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고유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이 비밀번호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입력부의 작동으로 발생된 상기 고유신호 중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한 신호는 제1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전송하면서 락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데이터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또다른 비밀번호 입력이 있으면 그에 대한 신호를 제2데이터로 변환하며,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를 대조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메모리에 제1데이터 삭제신호를 전송하면서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한편, 외부로부터 마스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마스터 데이터와 상기 제1데이터와의 일치여부에 대한 확인없이 상기 메모리에 제1데이터 삭제신호를 전송하면서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마스터 데이터가 기록된 카드와; 이 카드를 읽어 마스터 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카드판독수단;으로 구성된 제어수단,
열쇠,
하기 잠금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열쇠를 꽂아 작동시키면 잠금수단 또한 구동되면서 도어의 락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자물쇠,
상기 도어의 락 상태가 자물쇠의 조작으로 인해 강제로 언락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제1데이터의 삭제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센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락신호와 언락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 및 잠금수단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
이 포함되며,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to lock or unlock the door of the public storage,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unique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for inputting a password;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of this password; The signal for the set password among the unique signal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is converted into first data and transmitted to the memory unit to generate a lock signal, and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rough the input unit again. If there is another password input,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data, and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are compared to check whether they match. I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match,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The unlock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erase signal is transmitted, and when the master data is input from the outside, the unlock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first data era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without checking whether the master data matches the first data. A control unit to make it; A card on which the master data is recorded; Control means comprising: a card reading means for reading the card and transmitting master data to the control means;
key,
The lock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ollowing locking means, and when the key is inserted and operated, the locking means is also driven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is forcibly unlocked due to the manipulation of the lock, it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signal transmits a deletion signal of the first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sensor,
A locking means mechan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lock signal and the un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eans, and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control means and the lock means;
This incl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잠금수단의 락 또는 언락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수단이 더 포함된다.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means for confirming the locked or un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from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방식의 개폐시스템이 적용된 공중 보관함의 일실시예 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box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ublic storage box is applied with a password-based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먼저, 보관함(D)의 모습을 간략히 설명한다.First, the appearance of the storage box (D) will be briefly described.

보관함(C)은 물품이 보관되는 공간부(S)와, 이 공간부(S)를 개폐하는 도어(D)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D)는 공간부(S)의 입구부 내측에 고정편(R)을 매개로 여닫을 수 있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R)은 고정홈(S-2)과, 고정구멍(D-1)에 각각 양단이 내입되는 축대(3)와 관통연결되는 회동구멍(1)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구멍(1)을 중심으로 도어(D)를 따라 이동하면서 공간부(S)에 형성된 걸림대(S-1)를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라인(2)이 형성된 부채꼴을 이룬다.The storage box C is comprised of the space part S in which an article is stored, and the door D which opens and closes this space part S. FIG. The door (D) is fixed to open and close the fixing piece (R) inside the inlet of the space (S).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R)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S-2), and a rotating hole (1) connected through the shaft (3) in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in the fixing hole (D-1), respectively, The guide line 2 forms a fan shape so that the guide line 2 is formed to move along the door S-1 formed in the space S while moving along the door D about the hole 1.

한편, 상기 도어(D)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이 적용/실현된 시건장치(50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시건장치의 제어기구(510)는 도어(D)의 전면에 배치되고, 잠금기구(520)는 후면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시건장치(500)가 장착되는 도어(D)의 일지점에는 조립구멍(H)을 형성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D) is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500 is applied / realized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mechanism 510 of the lock device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oor (D), the locking mechanism 520 should be disposed on the back, so that the lock device 500 is moun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m At one point of the door D, an assembly hole H is form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10)과 그 제어방법 및 개폐시스템(10)이 적용/실현되어진 시건장치(500)를 더불어 설명한다.Next,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tho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to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has been applied /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together.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통해 보관함(C)의 도어(D)를 잠그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100)과 잠금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수단(200)은 보관함(C)의 공간부(S)를 개폐하는 도어(D)에 장착되어서 이를 기계적으로 락 또는 언락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that allows the user to lock or unlock the door (D) of the storage box (C) through a password is composed of a control means 100 and a locking means 200 as shown in FIG. The locking means 200 is mounted on the door (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pace (S) of the storage box (C), and means for mechanically locking or unlocking i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preferred embodiments below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상기 제어수단(100)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부(110)와, 입력부(11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비밀번호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30)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means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through which a user can input a password, a control unit 120 controlling a signal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110, and a memory unit 130 storing data about the password. )

상기 제어수단(100)의 구성을 도 2(본 발명에 따른 공중 보관함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와 더불어 함께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10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FIG. 2 (the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public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입력부(110)는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 각 버튼마다 숫자가 기재된 키패드(710)로 적용/실현되며, 이 키패드(710)는 각 버튼마다 고유한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어떤 버튼을 눌렀는지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버튼방식은 종래 널리 활용되고 있는 공지기술로, 버튼방식에 대한 키패드(710)의 구체적인 기술적 내용은 본 설명에서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7A and 8, the input unit 110 is applied / realized to a keypad 710 in which numbers are written for each button, and the keypad 710 generates a unique signal for each button. This allows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identify which button the user pressed. In general, such a button method is a known technique widely used in the related art, and specific technical contents of the keypad 710 for the button method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사용자는 보관함(C)의 공간부(S)에 물품을 넣고, 도어(D)를 닫는다. 이렇게 닫혀진 도어(D)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10)이 적용/실현된 시건장치(500)가 장착되며 이 시건장치(500)는 상기 도어(D)를 락 또는 언락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시건장치(500)는 상기 제어수단(100)이 적용/실현된 제어기구(510)와, 상기 잠금수단(200)이 적용/실현된 잠금기구(520)로 이루어진다.The user puts the article in the space S of the storage box C and closes the door D. FIG. The closed door D is equipped with a lock device 500 to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implemented, and the lock device 500 locks or unlocks the door D. In this case, the locking device 500 is composed of a control mechanism 510 to which the control means 100 is applied / implemented, and a locking mechanism 520 to which the locking means 200 is applied / implemented.

계속해서, 사용자는 시건장치(500)에 자신만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키패드(710)를 조작한다. 일예로 0 ~ 9로 조합된 비밀번호를 키패트(710)의 해당 버튼을 통해 입력시키면 된다. 이러한 조작을 통해 상기 키패드(710, 입력부)는 해당하는 고유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고유신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1신호는 키패드(710)에 구비된 '설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어부(120)로 전송된다.(S10)Subsequently, the user manipulates the keypad 710 to set his / her own password to the locker 500. For example, a password combined with 0 to 9 may be input through a corresponding button of the keypad 710. Through this manipulation, the keypad 710 generates the corresponding eigensignal, and the first signal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eigensignals is controlled by pressing the 'setting' button provided on the keypad 710. S10).

상기 키패드(710,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신호는 제어부(120)를 통해 저장가능한 제1데이터로 변환되고, 메모리부(13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30)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pad 710 (input unit) is converted into first data that can be stored through the control unit 120, and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S30).

한편, 사용자가 실수 또는 타인에게 자신이 설정한 비밀번호가 공개된 경우, 이전 비밀번호를 취소하고 새로운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키패드(710)에 구비된 '취소' 버튼을 눌러 생성된 제1신호를 삭제시키고 처음으로 초기화 시켜 앞의 설정과정을 반복하면 된다.(S20)On the other hand, if a user makes a mistake or a password set by others to others, he may cancel the old password and re-enter a new password, which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cancel' button provided in the keypad 710. Delete the signal 1 and initialize it for the first time and repeat the previous setting process. (S20)

계속해서, 상기 제1데이터가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면, 제어부(120)는 언락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잠금수단(200)이 적용/실현된 잠금기구(520)로 전송하여 구동시킴으로서, 도어(D)가 단단히 잠기게 한다.(S40)Subsequently, when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n unlock signal and transmits and drives it to the locking mechanism 520 to which the locking means 200 is applied / implemented. The door D is locked firmly. (S40)

상기한 방법을 통해 잠겨진 도어(D)는 앞서 저장된 비밀번호에 대한 제1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락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이다.The door D, which is locked through the above method, remains locked until data matching the first data for the previously stored password is input.

이후, 사용자가 잠겨진 도어(D)를 다시 해제하기 위해 상기 키패드(710)를 조작하여 당해 비밀번호를 입력시킨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의 입력과 함께, 키패드(710, 입력부)로부터 각 번호에 대한 고유신호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고유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2신호는 '설정' 버튼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되어 제2데이터로 변환되게 된다. 이때도 역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하여 수정이 필요할 경우, 상기 '취소' 버튼을 통하면 가능함은 물론이다.(S50, S60, S70)Thereafter, the user inputs the corresponding password by operating the keypad 710 to release the locked door D again. As described above, with the input of the password, a unique signal for each number is generated from the keypad 710 (input unit), and the second signal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generated unique signals is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tting' button.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converted into second data. In this case, too, if a user incorrectly inputs a password and needs to be corrected, it is possible through the 'cancel' button. (S50, S60, S70)

상기 제2데이터는 제어부(120)로 전송되고, 상기 메모리부(130)에 기저장된 제1데이터와의 대조를 통해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일치여부 확인 결과, 두 데이터가 동일하다고 판정되면, 제어부(120)는 언락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상기 잠금수단(200)이 적용/실현된 잠금기구(520)로 전송하고,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던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를 삭제한다.(S80, S90, S110)The seco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match by checking the first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data are identical,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an unlock signal and transmits the unlock signal to the locking mechanism 520 to which the locking means 200 is applied / implemented, and to the memory unit 130. The stored first data and second data are deleted. (S80, S90, S110)

상기 언락신호를 받은 잠금기구(520)는 기계적으로 구동되면서 잠겨져 있던 도어(D)를 해제하게 된다.(S100)The locking mechanism 520 receiving the unlock signal releases the locked door D while being mechanically driven.

반면, 두 데이터가 비동일하다고 판정되면, 입력된 제2데이터는 삭제되고, 잠금기구(520)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data are not the same, the input second data is deleted, the lock mechanism 520 is of course maintained.

즉, 본 발명의 경우, 처음 입력된 제1데이터가 이후에 입력된 제2데이터와 일치 됨으로서, 상기 잠금기구는 락 상태를 해제 함과 동시에 기저장된 제1데이터도 삭제되도록 하여, 타인이 동일한 보관함(C)을 다른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data inputted first coincides with the second data inputted later, the locking mechanism releases the locked state and deletes the first stored data at the same time, so that others have the same storage box. (C) can be used as a different password.

미설명부호 '526'은 통신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표현한 것으로, 제어기구(510)와 잠금기구(5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매개이다.Reference numeral 52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communication means, and is a mediu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 mechanism 510 and the locking mechanism 520.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잠금기구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동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6 is an ope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ocking mechanism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시스템(10)의 일 구성요소인 잠금수단(200)이 적용/실현된 잠금기구(500)는 상기 제어기구(510, 제어수단)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보관함(C)의 도어(D)을 잠그거나 풀도록 된 기계적인 기구로서, 여기서 는 그 일예를 설명하고자 한다.In general, the locking mechanism 500 to which the locking means 20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implemented is stor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echanism 510 (control means). A mechanical mechanism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D of C), which will be described here.

앞서 기술된 제어기구(510, 제어수단)를 통해 잠기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잠금기구(520, 잠금수단)는 종래 열쇠 및 자물쇠 방식과는 달리 자동으로 작동되어야 하므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521)가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겠다.Locking mechanism 520 (locking means) that can be locked or unlocked through the control mechanism 510 (control means) described above should be operated automatically unlike the conventional key and lock method, so that the driving motor is supplied with power It is natural that there should be (521).

따라서, 본 발명에 활용되는 잠금기구(520)는 상기 구동모터(521)를 포함하는 동시에 이 구동모터(521)의 동력으로 작동되는 빗장(523)을 갖춘다. 이때, 상기 빗장(523)은 잠금기구(520)로부터 돌출 또는 내입되면서 보관함(C)의 본체에 걸리거나 걸리지 않도록 되어, 상기 도어(D)의 락 또는 언락을 가능하게 한다. Therefore, the locking mechanism 520 ut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rive motor 521 and has a latch 523 that is operated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521. At this time, the latch 523 is protruded or embedded in the locking mechanism 520, so as not to be caught or caught by the main body of the storage box (C), enabling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D).

잠금기구(520)에 대한 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기구(510)로부터 전송되는 락신호, 또는 언락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521)는 디스크(522)와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디스크(52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빗장(525)의 일단이 하나의 연결축(52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디스크(522)의 회전과 함께 이동된다. 이때, 상기 빗장(525)의 타단은 잠금기구(520)의 외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빗장(525)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롤러(524)에 의해 디스크(522)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그 타단이 잠금기구(520)의 일지점에서 왕복운동만을 할 수 있도록 된다.Referr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520 in more detail, the drive motor 521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lock signal or the un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echanism 510 is connected to the disk 522, Rotate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bar 525 is rotatably connected about one connecting shaft 525 to the edge of the disk 522 is moved with the rotation of the disk 522.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latch 525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mechanism 520, the rotation of the disk 522 by a pair of support rollers 524 for supporting the latch 525 on both sides. Nevertheless, the other end can only reciprocate at one point of the locking mechanism 520.

따라서, 도시된 (a), (b), 및 (c)의 과정에서와 같이 언락신호를 받은 구동모터(521)는 디스크(522)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빗장(523)을 최대로 끌어 들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락신호를 받은 구동모터(521)는 디스크(522)를 다시 180도 회전시켜 상기 빗장(523)을 최대로 밀어내면서 도어(D)의 잠금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하 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a), (b), and (c), the driving motor 521, which receives the unlock signal, rotates the disk 522 180 degrees to draw the latch 523 to the maximum. In this state, the drive motor 521 receiving the lock signal rotates the disk 522 again 180 degrees to allow the lock and release of the door D while pushing the latch 523 to the maximum.

물론 잠금기구(520)에 대한 상기 일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통해 작동되는 제어기구(520)와 이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잠금기구(520)로 이루어진 시건장치(10)와, 이 시건장치(10)의 작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이하의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520, the locking device 520 is made up of a control mechanism 520 and a locking mechanism 520 which is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lock device 10 and its control method are included in the following claims.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공중 보관함의 또다른 개폐시스템의 구성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a public storage box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일반적으로, 상기된 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으로 작동되는 시건장치(500)에 비밀번호 이외에 다른 수단을 통해 락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망각하거나 사용되지도 않으면서도 비밀번호에 의해 도어(D)가 잠겨져 있을 경우, 이러한 보관함(C)을 강제적으로 열 수 있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In general,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locked state through the means other than the password to the lock device 500 operated by the above-described opening and clos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forcibly open the storage box C when the door D is locked by the password without forgetting or using the password.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갖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해제수단으로는 특정 열쇠와 맞물리는 자물쇠(30), 카드 및 이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판독수단(600), 또는 보관함(C)에 설치된 모든 시건장치(500)에 적용되는 마스터 비밀번호의 입력 등이 있을 수 있다.Thus,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release means having this function. In general, such release means include a master password applied to a lock 30 engaging a specific key, a card and a card reading means 600 for reading the card, or all lockers 500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C. There may be input.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 보관함의 또다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로, 앞서 예시된 해제수단이 개폐시스템에 대한 제어방법에 더 포함되었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public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lease means illustrated above is further included in the control method for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이러한 해제수단은 기저장된 제1데이터보다 우선적으로 확인되며(S50'), 해제수단이 만족되면(S51') 상기 제1데이터는 삭제되고, 락 상태의 도어(D)는 해제되 어 당해 보관함(C)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S100, S110)The release means is first checked before the pre-stored first data (S50 '). When the release means is satisfied (S51'), the first data is deleted, and the door D in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and stored in the storage box ( C) can be used (S100, S110).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기 해제수단으로 예시된 사항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matter illustrated by the release means.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시건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시건장치로 제어되는 잠금기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열쇠와 자물쇠가 해제수단으로서 적용된 상태를 설명한다.Figure 7a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ck device operated b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king mechanism controlled by the lock device of Figure 7a The state in which the key and the lock are applied as the release means will be described.

잠금기구(520')에는 자물쇠(30, 526)가 더 내장된다. 이 자물쇠(30, 526)는 상기 디스크(522)와 연결되며, 자물쇠(30, 526)의 회전과 함께, 구동모터(521)에 의해 180도 회전될 때와 마찬가지로 회전된다. 즉, 상기 자물쇠(30, 526)에 상응하는 열쇠를 시건장치(500)의 열쇠끼움부(740)에 꽂고 회전시키면, 자물쇠(30, 526)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디스크 또한 회전하면서 상기 빗장(523)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The lock mechanism 520 'further includes locks 30 and 526. The locks 30 and 526 are connected to the disk 522 and rotate as with the locks 30 and 526 as they are rotated 180 degrees by the drive motor 521. That is, when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lock (30, 526) is inserted into the key fitting portion 740 of the lock device 500, and rotates, the lock (30, 526) and the disk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atch (523) To move.

이때, 잠금기구(520')에는 도어(D)가 락 상태 인지 언락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센서(527)가 더 장착되며, 이 센서(527)는 제어기구(510)의 명령에 의하지 않은 잠금기구(520')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구(51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구(510)는 기저장된 제1데이터를 삭제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물쇠(526)를 통해 강제적으로 락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D)가 열리더라도 그 다음 사용자는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시켜 보관함(C)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ocking mechanism 520 'is further equipped with a sensor 527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D) is in a locked state or an unlocked state, the sensor 527 is a locking mechanism that does not depend on the command of the control mechanism 510 The control unit 510 detects whether the driving unit 520 'is driven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510, and the control unit 510 deletes the previously stored first data. Therefore, even if the door D is opened by forcibly releasing the lock state through the lock 526, the next user can use the storage box C by inputting his / her passwor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시건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 시한 정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카드가 해제수단으로서 적용된 상태를 설명한다.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 device operated b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describes a state where the card is applied as a release means.

마그네틱, IC 또는 바코드를 저장수단으로 하는 카드의 판독기능을 하는 상기 카드판독수단(600)이 적용/실현된 리더(750)가 시건장치(500)에 장착되되, 상기 리더(750)는 상기 제어기구(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곳을 통해 읽혀진 카드의 진의 여부를 판독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21)를 작동시키도록 된다. 이때, 상기 카드에는 도어(D)의 락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마스터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어기구(51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제1데이터에 상관없이 상기 마스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구동모터(521)를 작동시켜 도어(D)를 언락 상태가 되도록 하는 신호를 잠금기구(5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도 역시 상기 제1데이터는 삭제된다.A reader 750 to which the card reading means 600 is applied / implemented, which reads a card using magnetic, IC or barcode as a storage means, is mounted on the locker 500, and the reader 750 controls the control.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mechanism 510, and reads whether or not the card is read through this, and actuates the drive motor 521 according to the result. At this time, the master data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D) is recorded on the card, and the control mechanism 510 is driven when the master data is input regardless of the first data stored by the user driving motor 521 By operating the signal to the door D to the unlocked state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mechanism (520). At this time, the first data is also deleted.

마지막으로, 상기 메모리부(130)에 잠긴 도어(D)를 해제할 수 있는 마스터 비밀번호에 대한 마스터 데이터를 저장시켜 둠으로서, 보관함(C)을 사용하고자 하는 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한 제1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되었더라도,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마스터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1데이터와의 일치여부에 상관없이 도어(D)의 락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도 역시, 잠금기구(520)가 언락 상태로 작동하면 앞서 기저장된 제1데이터는 삭제되어야 하며, 다음 사용자는 새로운 비밀번호를 저장시켜 상기 보관함(C)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Finally, by storing the master data for the master password to unlock the locked door (D) in the memory unit 130, the first password for the password input by the person who wants to use the storage box (C) Even if data is generated and stored, when the user inputs the master password through the input unit 110, the lock state of the door D can be released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st password matches the first data. In this case, too, when the lock mechanism 520 operates in the unlocked state, the previously stored first data should be deleted, and the next user should be able to use the storage box C by storing a new password.

계속해서,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내용에서, 미설명부호 '730'은 표시기를 인출한 것으로, 본 보관함(C)의 사용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시스템(10)의 표시수단(300)이 적용/실현된 것이다.Subsequently, in the contents shown in FIGS. 7A and 8, reference numeral 730 denotes an indicator, and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the storage box C is externally performed. The display means 300 is applied / implemented.

이러한 표시수단(300)은 다양한 구조로 실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수단(300)이 적용/실현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기술한다.The display means 300 may be realized in various structures.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means 300 is applied /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표시수단(300)에 대한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of the display means 300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표시기(730)는 램프를 이용한 발광으로 사용여부를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램프는 제어부(120)에 연결되어 도어(D)의 락 또는 언락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거나 차단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다수의 보관함(C)들 중 사용가능한 보관함(C)을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The indicator 730 illustrated in FIGS. 7A and 8 is us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light is emitted using a lamp, and the lamp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to supply power according to the locked or unlocked state of the door D. FIG. It is supplied or shut off,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a usable storage box C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C.

표시수단(300)에 대한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display means 30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에 위치된 빗장(523')과 마주하는 표시구멍(D-3)을 도어(D)의 일면에 형성시켜, 사용자가 상기 빗장(523')의 움직임을 표시구멍(D-3)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빗장(523')의 이동에 따라 표시구멍(D-3)을 통해 외관으로 드러나는 일면에는 열림표시(B)와 닫힘표시(A)를 각각 소정위치에 표기함으로서 사용자는 보다 쉽게 도어(D)의 개폐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0, a display hole D-3 is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door D to face the latch 523 'positioned inward, so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movement of the latch 523'. (D-3) to be visually confirmed, but the open display (B) and the closed display (A) on one surface exposed to the exterior through the display hole (D-3)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ar (523 '). By marking at each predetermined posi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know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D).

상기 열림표시(B) 및 닫힘표시(A)는 색을 입혀도 되고, '열림', '닫힘' 또는 '사용가능', '사용불가' 등 다양한 글자를 채택하여 표기할 수 있다.The open display (B) and the closed display (A) may be colored, and may be represented by adopting various letters such as 'open', 'close' or 'usable', and 'not available'.

표시수단(300)에 대한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of the display means 30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일면에 표시용손잡이(5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용손잡이(530)이는 사용자가 도어(D)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표시기능이 더 부가된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S. 11 and 12, a display handle 53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oor D. FIG. The display handle 530 is a part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D, and a display function is further added.

이러한 표시용손잡이(530)는 상기 잠금기구(520)의 구동으로 빗장(523")이 잠기면 표시용손잡이(530) 또한 안쪽으로 내입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짚을 수 없도록 되며, 외관상으로도 타인이 사용중임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 display handle 530 is locked by the latch 523 "by the driving of the locking mechanism 520, the display handle 530 is also inserted inward so that the user cannot hold it with his or her hand. It is easy to see that.

반면, 잠금기구(520)의 구동으로 빗장(523")이 풀리면 표시용손잡이(530)는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짚어 도어(D)를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함(C)이 비사용중일 경우, 도어(D)는 잠겨있지 않으므로, 상기 표시용손잡이(530)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관상으로도 사용가능한 보관함(C)임을 쉽게 알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atch 523 ″ is released by the driving of the locking mechanism 520, the display handle 530 protrudes to the outside to allow the user to open the door D by hand. When not in use, since the door (D) is not locked, the display handle 530 is projected to the outside,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storage box (C) that can be used in appearance.

이를 위해, 다음의 구조를 갖다.To this end,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e.

도어(D)의 일면에는 상기 표시용손잡이(530)의 출입이 가능한 관통구멍(D-2)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D-2)으로 상기 표시용손잡이(530)가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표시용손잡이(530)의 양단에는 지지턱(533)이 형성되고, 이 지지턱(533)은 안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발부재(534)와 연결된다. 표시용손잡이(530)의 배면에는 지지롤러(531)가 구비된다.One surface of the door (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D-2)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isplay handle 530, the through hole (D-2) is fixed to the display handle 530 to be movable. do. At this time, support jaws 53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splay handle 530, and the support jaws 533 are connected to the bullet member 534 for applying a force inwardly. A support roller 531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handle 530.

계속해서, 상기 표시용손잡이(530)의 배면과 지지롤러(531)를 매개로 맞물리는 빗장(523")의 일면은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홈(523a)이 형성되어, 상기 빗장(523")의 수평이동으로 인해 표시용손잡이(530)가 가이드홈(523a)을 따라 이동되도록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 및 디스크(521, 522)의 작동으로 빗장(523")이 움직이면, 상기 가이드홈(523a)에 맞물린 표시용손잡이(530) 또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탄발부재(534)의 힘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Subsequently, one surface of the latch 523 "engaged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handle 530 via the support roller 531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523a having an inclined surface, Due to the horizontal movement, the display handle 530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523a. That is, when the latch 523 ″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disks 521 and 522, the display handle 530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523a also protrudes outward while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r the bullet shot. It is moved inward by the force of the member 534.

앞서 기술된 제3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되는 표지물을 손으로 짚어 도어(D)의 열고 닫힘을 편리하게 하는 손잡이로 하였지만, 이외에도, 보관함(C)의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을 갖는 표지물을 별도로 더 부가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tate of use of the storage box C in addition to using a handle that facili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D by hand-marking the label that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Of course, the label having only a function to make it can be added and utilized separately.

미설명부호 '540'은 보관함(C)의 안쪽에서 상기 빗장(523')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편이다.Reference numeral '540' is a fitting piece to which one end of the latch 523 'is fitted and fixed inside the storage box (C).

미설명부호 '532'는 손잡이홈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곳이다.Reference numeral '532' is a handle groove, where the user's fingers are inserted.

미설명부호 '720'은 손잡이를 인출한 것으로, 도어(D)의 열고 닫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Reference numeral '720' is a pulled out handle, and is installed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D).

이러한 표시수단(300) 상기 예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play means 3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밀번호 방식이 적용된 개폐시스템이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인에게 이용되어지는 보관함에 장착됨으로서,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만이 아는 임의의 비밀번호를 용이하게 생성시켜 상기 보관함의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고, 이로인해 별도의 열쇠나 개폐용 카드의 소지가 불필요해지므로, 상기 열쇠나 개폐용 카드에 대한 분실위험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이들을 소지함으로서 발생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ssword-based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to be used for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o that a large number of users can easily generate a random password known only by the The doors of the storage box can be opened and closed,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carrying a separate key or card for opening and closing, thereby essentially eliminating the risk of losing the keys or card for opening and closing, and eliminating the hassle of having them. It can be minimized.

Claims (8)

공중 보관함의 도어를 잠그거나 푸는 개폐시스템에 있어서,In the opening and closing system to lock or unlock the door of the public storage,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고유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이 비밀번호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입력부의 작동으로 발생된 상기 고유신호 중 설정된 비밀번호에 대한 신호는 제1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전송하면서 락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데이터가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또다른 비밀번호 입력이 있으면 그에 대한 신호를 제2데이터로 변환하며,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를 대조하여 그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메모리에 제1데이터 삭제신호를 전송하면서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한편, 외부로부터 마스터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마스터 데이터와 상기 제1데이터와의 일치여부에 대한 확인없이 상기 메모리에 제1데이터 삭제신호를 전송하면서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마스터 데이터가 기록된 카드와; 이 카드를 읽어 마스터 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카드판독수단;으로 구성된 제어수단,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unique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for inputting a password;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of this password; The signal for the set password among the unique signal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is converted into first data and transmitted to the memory unit to generate a lock signal, and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rough the input unit again. If there is another password input,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data, and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are compared to check whether they match. I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match, the first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The unlock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erase signal is transmitted, and when the master data is input from the outside, the unlock signal is generated while the first data era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without checking whether the master data matches the first data. A control unit to make; A card on which the master data is recorded; Control means comprising: a card reading means for reading the card and transmitting master data to the control means; 열쇠,key, 하기 잠금수단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열쇠를 꽂아 작동시키면 잠금수단 또한 구동되면서 도어의 락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자물쇠,The lock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following locking means, and when the key is inserted and operated, the locking means is also driven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상기 도어의 락 상태가 자물쇠의 조작으로 인해 강제로 언락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기저장된 제1데이터의 삭제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센서, When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is forcibly unlocked due to the manipulation of the lock, it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signal transmits a deletion signal of the first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sensor,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락신호와 언락신호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잠금수단, 및A locking means mechan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lock signal and the unloc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eans, and 상기 제어수단 및 잠금수단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control means and the lock means;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잠금수단의 락 또는 언락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보관함의 개폐시스템.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the public lo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means for confirming the locked or unlocked state of the locking means from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30073367A 2003-10-13 2003-10-21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password in Cabinet KR1006492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1053 2003-10-13
KR1020030071053 2003-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12A KR20050035812A (en) 2005-04-19
KR100649268B1 true KR100649268B1 (en) 2006-11-24

Family

ID=3723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367A KR100649268B1 (en) 2003-10-13 2003-10-21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password in Cabi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26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665B1 (en) * 1997-05-23 2001-10-19 하재홍 Lock and key system employing an id code
KR100423848B1 (en) * 2001-11-07 2004-03-22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A relay device for an article to be delivered and its us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665B1 (en) * 1997-05-23 2001-10-19 하재홍 Lock and key system employing an id code
KR100423848B1 (en) * 2001-11-07 2004-03-22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A relay device for an article to be delivered and its u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12A (en)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5378C1 (en) Electronic safety system
JPS63500254A (en) Method of operating security devices, security devices and data carriers used in the method of operation
JP5329625B2 (en) Storage system
JP2755735B2 (en) Clothes dryer
KR100649268B1 (en)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password in Cabinet
JPS6162995A (en) Utilization state controller
JP4567299B2 (en) Safe system
JP2006256842A (en) Storing system and electronic key
JPH08277666A (en) Locker device
KR100564308B1 (en) Opening and shutting system applied the fingerprint record in Cabinet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JPS63241283A (en) Card type locking apparatus
JP7061633B2 (en) Inner box for safe deposit box and safe deposit box using it
JPH04363490A (en) Storage safe
JP3354605B2 (en) Automatic toll collection device
JPH02171480A (en) Lock recovery system
JPH0642239A (en) Key controller
JPH01256674A (en) Fingerprint collating type locker
JPS58120971A (en) Room-entry control in hotel
KR200200489Y1 (en) Neighboring door lock
JPH07102838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JPH08260785A (en) Lock for door of cabinet
JP3340593B2 (en) Battery-operated electronic lock device
JP2555476B2 (en) PIN code input type locker system
JP2002138728A (en) Storage
JPS58120972A (en) Room-entry control in ho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