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898B1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898B1
KR100644898B1 KR1020050067469A KR20050067469A KR100644898B1 KR 100644898 B1 KR100644898 B1 KR 100644898B1 KR 1020050067469 A KR1020050067469 A KR 1020050067469A KR 20050067469 A KR20050067469 A KR 20050067469A KR 100644898 B1 KR100644898 B1 KR 10064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block
communication terminal
transcei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항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8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control a communication connection among mobile stations, base stations or mobile stations and base stations and to play a role of other special base station for other mobile station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the first transceiver(101), the first RF block(102), the first baseband block(103), the second transceiver(104), the second RF block(105), and the second baseband block(106). The first transceiver(101) transmits/receives signals to/from base stations. The first RF block(102) filters the signals,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101), into downlink band signals, and filters the signals, transmitted by the first transceiver(102), into uplink band signals. The first baseband block(103) transmits/receives signals to/from the first RF block(102). The second transceiver(104) transmits signals to or from mobile stations. The second RF block(105) filters the signals, received by the second transceiver(104), into uplink band signals, and filters the signals, transmitted by the first transceiver(104), into downlink band signals. The second baseband block(106) transmits/receives signals to/from the second RF block(105), and processes the signals filtered by the second RF block(105).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 및 무선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의 내부에서 신호가 전송되는 모습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inside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과 기지국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에 신호가 전송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2a to 2d briefly show how signals are transmitted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the drawing}

101 : 제 1 송수신단 102 : 제 1 RF 블럭101: first transceiver end 102: first RF block

103 : 제 1 베이스밴드 블럭 104 : 제 2 송수신단103: first baseband block 104: second transceiver

105 : 제 2 RF 블럭 106 : 제 2 베이스밴드 블럭105: second RF block 106: second baseband block

201 : 기지국 202 : 기지국의 셀201: base station 202: cell of a base station

203 : 무선통신 단말기 204 :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203: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4: cel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5 : 기지국의 셀 내의 이동국 206 :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205: mobile station in cell of base station 206: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207 :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의 이동국207: mobile station in a cel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8 : 무선통신 단말기와 이동국 사이의 통신208: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station

209 : 무선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209: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se station

210 : 이동국의 셀 변경210: change the cell of the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특정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중심으로 셀이 형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서버 또는 기지국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회로 모듈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 및 상기 서버 또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그에 접속하는 다른 단말기 간의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cell is formed around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separate circuit module for allowing a specifi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a role as a server or a base station. It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and a terminal performing the role of the server or base station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hereto.

최근 무선통신 서비스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하였고, 무선통신 단말기는 본래 주기능이었던 종래의 전화기의 전화연결의 기능 외에도 새로운 여러 종류의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the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come more common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related technologi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ing used for various new types of services in addition to the telephone connection function of conventional telephones, which were originally main functions.

우리나라는 현재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상적인 방식들 중 다른 방식에 비해서 시스템 용량이 월등히 크고, 각 개인에게 부여되는 코드를 토대로 통화음과 잡음을 구별하므로 통화의 질 또한 우수한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이하 'CDMA 방식'이라 한다)을 사용한다. CDMA 방식은 모든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가입자마다 상관도가 낮은 서로 다른 부호를 할당해서 전송 신호를 변조하고 수 신기에는 송신시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로 복조하는 방식으로, 단말기는 그에 할당된 부호와 맞지 않는 반송파는 모두 잡음으로 인식한다. In Korea, the capacity of the system is much larger than other methods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voice quality and noise a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codes given to each individual. Method "). The CDMA method uses the same frequency band in all cells simultaneously, assigns different codes with low correlation to each subscriber, modulates the transmission signal, and demodulates the receiver with the same code used for transmission. All carriers that do not match the code are recognized as noise.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신 및 기타 서비스는, 단말기가 무선통신 서비스망에서 가장 끝단에 위치하여 일정한 지역(셀, cell)을 담당하는 기지국 등에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단말기는 수동적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로서만 기능 하며, 통신 외의 별도의 서비스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와 접속하기 위해 단말기에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여,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장치의 성능과 소속된 시스템의 구조에서 기대되는 바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and other services are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at the far en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network and connected to a base station that is in charge of a predetermined area (cell, cell) to perform a communication service. In this manner, the terminal functions only as a client requesting a service manually. In order to perform a separate service other than communication, a terminal requires a separate operation to connect to a device that performs the service. The terminal performs limited functions that are less than expected in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and the architecture of the system to which it belong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적인 셀을 구성하여 다른 이동국에 대해서 기지국 또는 서비스 서버로서 기능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functions as a base station or a service server for another mobile station by configuring an independent ce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국,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거나 상기 이동국에 대해 별도의 기지국으로서 역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mobile statio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or serving as a separate base station for the mobile st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 상기 제 1 송수신부에 수신되는 신호는 다운링크 대역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 1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 1 알에프 블럭(RF 블럭); 상기 제 1 RF 블럭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필터링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 1 베이스밴드 블럭;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부; 상기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되는 신호는 업링크 대역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 2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 2 RF 블럭; 및 상기 제 2 RF 블럭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필터링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 first RF block (RF block) for filter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and a downlink band, and filte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to an uplink band; A first baseband bloc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first RF block and processing a signal filtered by the first RF block; A second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a mobile station; A second RF block for filter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to an uplink band 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to a downlink band; And a second baseband block that exchanges signals with the second RF block and processes the signal filtered by the second RF block.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송수신부 또는 상기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가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 또는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가 여부를 판별하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송수신부 또는 상기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가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을,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을 각각 구 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ignal in whic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in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is filtered in the uplink band from the first RF block or the second RF A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coinciding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filtered by the downlink band in the block, and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unit. If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coincides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filtered from the first RF block into the uplink band, the first baseband block is downlinked from the second RF block. In the case of matching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nd-filtered signal,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second baseband blocks,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는 장치일련번호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preferably information of the device serial nu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송수신부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는 각각 안테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second transceiver is preferably an antenna, respectively.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특정한 범위의 셀을 커버하는 기지국; 상기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 및 이동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의 셀과 독립적인 별도의 셀을 커버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의 셀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tation covering a specific range of cel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station,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vers a separate cell independent of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a cell of the base station or a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호를 상기 이동국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호로, 또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호를 상기 이동국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호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configured to transfer a call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o a call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all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It is preferable to switch to a call between the base stations.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과 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a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xchanges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의 범위는 상기 제 2 송수신단의 송 출신호의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nge of the cell o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gain of the originating call of the second transceiv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the following drawings,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의 내부에서 신호가 전송되는 모습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inside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실시예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외부의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받는 제 1 송수신부(101), 상기 제 1 송수신부에서 송수신 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알에프(RF) 블럭(102),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필터링되는 신호 또는 필터링될 신호를 처리하는 제 1 베이스밴드 블럭(103), 외부의 이동국과 신호를 주고받는 제 2 송수신부(104), 상기 제 2 송수신부에서 송수신 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2 RF 블럭(105), 및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필터링되는 신호 또는 필터링될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베이스밴드 블럭(106)을 포함한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first transceiver 101 for exchang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base station, a first RF block 102 for filter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and A first baseband block 103 for processing a signal to be filtered at a first RF block or a signal to be filtered, a second transceiver 104 for exchang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mobile station, and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at the second transceiver A second RF block 105 for filtering, and a second baseband block 106 for processing the signal to be filtered or the signal to be filtered in the second RF block.

상기 실시예에서, 외부의 기지국 또는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거나 또는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제 1 송수신부(101) 및 제 2 송수신부(104)는 안테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transceiver 101 and the second transceiver 104 that receive a signal from an external base station or mobile station or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are preferably antennas.

상기 제 1 RF 블럭(102)과 상기 제 2 RF 블럭(105)은 무선통신 단말기 내에서 안테나 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안테나 등으로 전송되어 송출된 신호의 주파수를 변복조, 필터링하는 유닛이다. 상기 제 1 송수신부(101)에 연결되어 기지국과의 사이에 주고받은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 RF 블럭(102)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구비되는 RF 블럭과 같이, 송신단(Tx)에서는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을 하여 제 1 송수신부로 송출할 신호를 전송하고, 제 1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받는 수신단(Rx)에서는 다운링크 대역을 필터링을 한다. The first RF block 102 and the second RF block 105 are a unit for modulating and demodulating and filtering a frequency of a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or the like and transmitted from an antenna or the lik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rst RF block 102,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ceiver 101 and filter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like, is an uplink at the transmitting end Tx, like an RF block provided in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nd is filtered to transmit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receiving end Rx receiv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performs filtering of the downlink band.

제 2 RF 블럭(105)은 상기 제 1 RF 블럭(102)과는 반대로 송신단(Tx)에서는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을 하여 제 2 송수신부로 송출할 신호를 전송하고, 제 2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받는 수신단(Rx)에서는 업링크 대역을 필터링을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받는 기지국 내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RF 블럭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In contrast to the first RF block 102, the second RF block 105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ceiver by filtering on the downlink band at the transmitter Tx, and receiv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transceiver. The receiving end (Rx) is filtered similarly to the uplink band, it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RF block that is usually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블럭(103) 및 상기 제 2 베이스밴드 블럭(106)은 통상적인 베이스밴드 블럭과 같이 RF 블럭과 주고받는 신호의 처리 및 무선통신 단말기의 운영체계 및 운영 시스템을 갖춘 유닛으로,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은 제 1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 수신되는 신호, 즉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은 제 2 송수신부를 통해 송출, 수신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주고받는 신호를 처리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baseband block 103 and the second baseband block 106 process the signals exchanged with the RF block and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s in the conventional baseband block. And a first baseband bloc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first transceiver, i.e., a signal exchanged with a base station, and a second baseband bloc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rough a second transceiver. It processes the received and exchanged signals with the mobile station.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송수신부 및 제 2 송수신부는 모두 같은 단말기에 구현되고 안테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제 1 송수신부 외에 제 2 송수신부로 수신될 수도 있고 이동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제 2 송수신부 외에 제 1 송수신부로 수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은 기지국과 주고받는 신호에 대해서 처리하고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은 이동국과 주고받는 신호에 대해서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밴드 블럭은 처리하도록 예정되지 않은 신호에 대해서는 대기상태(idle mode)를 취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에서의 신호처리 이전에 제 1 또는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된 신호가 어디서부터 전송되어온 신호인지 구별할 필요가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since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second transceiver are both implemented in the same terminal and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ntenna,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may be received by the second transceiver in addition to the first transceive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may be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in addition to the second transceiver.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baseband block is configured to process signals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band block is to process signals to and from the mobile station, the baseband block is not intended to be processed.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take an idle mode, an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from wher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or second transceiver is transmitted from before the signal processing in the first or second baseband block. Needs to be.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송수신부 또는 상기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가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 또는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가 여부를 판별하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유닛은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블럭 및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함께 입력받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밴드 블럭과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is down from the signal filtered by the uplink band from the first RF block or from the second RF block.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matching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filtered into the link band. The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coincides with the signal input to the first baseband block and the second baseband block together,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baseband block desirable.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유닛에서의 판별 결과, 상기 제 1 송수신부 또는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의 고유인식번호정보가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의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는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이,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는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이 각각 구동된다. As a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in the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matches, a signal in whic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is filtered from the first RF block into the uplink band When the first baseband block matches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the second baseband block is driven when the first baseband block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ownlink band filtered signal from the second RF block. do.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 일련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반적인 단말기로서 기능 함으로써 기지국 등과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에는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을 구동하는데,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면서 제 1 RF 블럭에서 본 단말기의 장치 일련번호의 정보를 신호에 개입시켜 전송하면 기지국으로부터 그 피드백으로 전송되어 오는 신호는 상기 장치 일련번호의 정보를 보유한다.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preferably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s as a general terminal and transmits a signal to a base station and the like, the first baseband block is driven. Whil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e information of the device serial number of the terminal in the first RF block intervenes in the signal. In this cas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feedback retains the information of the device serial number.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으로부터 유래한 신호의 피드백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경우, 상기 신호가 보유한 고유인식번호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 일련번호로 제 1 RF 블럭에서 필터링된 신호가 보유하는 것과 같으므로, 상기 신호가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되는 경우라도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유닛에 의해,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은 대기 상태에 놓이고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이 구동된다. In the case of a signal transmitted as a feedback of a signal derived from the first baseband block,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held by the signal is the same as that of the signal filtered in the first RF block by the device serial numb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even when the signal is received in the second transceiver, the second baseband block is placed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first baseband block is driven by the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matches.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으로부터 유래한 신호의 피드백으로 전송되는 신호 외의 임의의 신호의 경우, 상기 신호는 다른 이동국 등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이고 상기 신호가 보유한 고유인식번호정보는 다른 이동국 등의 장치 일련번호 등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 일련번호와는 같이 않은 것이므로, 상기 신호가 제 1 송수신부에 수신되는 경우라도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유닛에 의해,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은 대기 상태에 놓이고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이 구동된다. In case of any signal other than the signal transmitted in the feedback of the signal derived from the first baseband block, the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mobile station or the like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held by the signal is a device serial number of another mobile station or the like. For example, the first baseband block is determined by a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matches even when the signal is received in the first transceiver. The standby state is placed and the second baseband block is driven.

즉,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가 장치 일련번호인 경우,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유닛은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 일련번호와 같은 경우에는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 일련번호와 같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을 각각 구동한다. That is, whe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a device serial number, the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matches the first baseband block whe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device serial numb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f not the same as the device serial numb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drive the second baseband block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수신하는 신호가 스스로 송출한 신호에 대한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인지 또는 다른 이동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인지 판별함으로써, 상기의 두 경우에 따라 각각 제 1 베이스밴드 블럭 또는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을 구동하여, 기지국과의 통신과 다른 이동국과의 통신을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received signal is a feedback signal from a base station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mobile station for a signal transmitted by itself, and according to the above two cases, the first baseband block or the second base station. The baseband block may be driven to distinguish and communicate with a base station and with another mobile station.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국과 통신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기지국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인식하게끔 하나의 BTS로서 기능 할 수 있는 의사잡음(Pseudo noise)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의 의사잡음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이동국에 별도의 기지국과 같이 인식되며, 기지국 및 이동국을 포함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포함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2a 내지 도 2d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s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referably generates a pseudo noise code that can function as a BTS such that the mobile station recogniz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s being the same as the base s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ognized as a separate base station by the mobile station by generating the pseudo noise code, and can form a cell independent of the base st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FIGS. 2A to 2D below.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과 기지국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에 신호가 전송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앞서 도 1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무선통신 단말기로 기지국의 셀과는 별개인 독립적인 셀을 형성한다. 2a to 2d briefly show how signals are transmitted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ention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orms an independent cell separate from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도 2a는 본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독립된 셀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의해 형성된 셀이 각각 담당하는 범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도 2a의 기지국의 셀에 이동국이 존재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도 2a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에 이동국이 존재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도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3d는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이 담당하는 셀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담당하는 셀로 셀 간에 위치를 변경할 때 상기 기지국과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에 핸드오프가 일어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FIG. 2A illustrates a range in which a cell form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ming a cell independent of a base station is in charg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llustrates a mobile station in a cell of the base station of FIG. 3C shows that a mobile station exists in a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2A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u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lso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and FIG. 3D shows that the mobil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is is a case where a handoff occur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location between cells is changed from the cell in charge to the cell in charg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도 2a에서 기지국(201, Base Transceiver System, BTS)이 담당하는 특정한 셀(202)의 범위 내에 무선통신 단말기(203)가 위치하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독립적인 셀(204)을 형성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형성하는 셀(204)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3)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 이내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국 등으로 송출하는 신호의 세기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국에게 기지국(201) 대신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등으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일정한 거리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담당하는 셀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앞서 언급한 도 1의 실시예의 무선통신 단말기와 같은 것이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동국 등으로 송출하는 신호의 세기는 제 2 송수신단의 송출신호의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In FIG. 2A,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3 is located within a range of a specific cell 202 that is served by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ms an independent cell 204. The cell 204 fo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preferably 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3.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djusts the strength of a signal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or the like so that the mobile station is recognized as a service server or a base station instead of the base station 201, thereby providing the constant distance or the like. The range of cells in charg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adjusted. I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am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embodiment of FIG. 1 mentioned above,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bile station or the lik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gain of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second transceiver.

도 2b에서 상기 기지국의 셀(202) 내에 이동국(205)이 위치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독립적인 셀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204) 내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아, 기지국과 통신(206)한다. In FIG. 2B, a mobile station 205 is located within cell 202 of the base station, which is not located within cell 204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ming the independent cell, thereby communicating 206 with the base station. .

도 2c에서 상기 독립적인 셀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204) 내에 이동국(207)이 위치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신(208)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3)는 서버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써 상기 이동국과 통신(208)하는 동시에, 통상적인 이동국으로서 기지국과도 통신(209)한다. In FIG. 2C, a mobile station 207 is located within a cell 204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forms the independent cell, and the mobile station communicates 208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3 communicates 208 with the mobile station as a server or base station, and also 209 with a base station as a normal mobile station.

도 2d에서 상기 기지국의 셀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205)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207)의 위치로 위치를 변경(210)한다.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의 셀(202) 내에 위치할 때는 기지국과 통신(206)하지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204)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신(208)하므로, 상기 위치의 변경이 일어날 때 이동국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관장하는 셀을 변경시켜 이동국이 수행하던 호 통화 등의 서비스가 끊기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핸드오프가 일어난다. In FIG. 2D, the mobile station 205 located in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changes 210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207 located in the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station communicates 206 with the base station when it is located in the cell 202 of the base station, but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8 when it is located within the cell 204 o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change of the location When it occurs, a handoff occurs that changes the cell that manages the mobile station's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services such as call calls that the mobile station has made are maintained without interruption.

상기 도 2d에서 이동국은 기지국의 셀 내에 위치할 때(205)는 기지국과 통신 중(206)이나, 상기 이동국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로 진입하면(207, 210) 상기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이동국 사이의 통신으로 핸드오프 된다. 상기 이동국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로의 진입은 상기 기지국의 의사잡음코드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의사잡음코드 중 어느 쪽이 상기 이동국의 수신단에 더 큰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게 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In FIG. 2D, when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a cell of the base station (205),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6), but when the mobile station enters the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7, 210),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is lost. It is handed off by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station. The entry of the mobile station into the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by which of the pseudo noise cod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pseudo noise co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uses the receiving end of the mobile station to detect the greater signal strength.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에 진입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인식하고 통상 기지국이 이동국에 요구하는 제어신호, 정보요구 신호 등을 다운링크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상기 요구된 신호를 업링크하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운링크의 송출과 업링크의 수신은 도 1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 2 송수신단, 제 2 RF 블럭,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에서 수행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기지국 등에 상기 이동국에 대한 추가정보를 요구하는데, 이때는 도 1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 1 송수신단, 제 1 RF 블럭,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을 통해서 기지국 등과 통신하며, 상기 기지국 등으로부터 이동국의 정보를 획득해 상기 이동국의 무선통신망에의 접속을 관리한다. When the mobile station enters a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recogniz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and downlinks a control signal, an information request signal, and the like, which is normally reques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plinking the requested signal to th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of the downlink and the reception of the uplink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in the second transceiver, the second RF block, the second baseband bloc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Is perform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station from a base station or the like, in this case,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 first transceiver, a first RF block, and a first baseband block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Obtains information of the mobile station from the mobile station and manages the mobile station's connec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와 같이 핸드오프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이동국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을 통해서 무선통신망에의 접속을 유지하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국에 대해 별도의 서비스 서버 등으로 기능 할 수 있다. By performing the handoff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station maintains a connec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function as a separate service server for the mobile station.

상기 도 2d는 상기 이동국이 기지국의 셀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의 독립적인 셀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핸드오프에 대해서만 기재되었지만, 반대로 무선통신 단 말기의 셀에서 벗어나 기지국의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핸드오프가 일어난다. Although FIG. 2D describes only the handoff that occurs when the mobile station moves from a cell of the base station to an independent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handoff is similarly performed when the mobile station moves out of the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Happen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내에서 능동적으로 동작하고 독립적인 셀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이동국에 대해 통신 서비스 및 별도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and various other services to a mobile station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ctively operates in a system and forms an independent cel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기에 칩 등 별도의 인식수단을 삽입하는 등의 조작을 가할 필요 없이, 무선통신 단말기를 별도의 서비스 서버로 이용하는 통신 및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erforming various service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and the us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s a separate service server without the need to insert a separate recognition means such as a chip into the terminal and A service system can be provided.

Claims (9)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 상기 제 1 송수신부에 수신되는 신호는 다운링크 대역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 1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 1 알에프 블럭(RF 블럭); 상기 제 1 RF 블럭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필터링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 1 베이스밴드 블럭;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부; 상기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되는 신호는 업링크 대역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 2 송수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제 2 RF 블럭; 및 상기 제 2 RF 블럭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필터링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A first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a base station; A first RF block (RF block) for filter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and a downlink band, and filte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ceiver to an uplink band; A first baseband bloc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first RF block and processing a signal filtered by the first RF block; A second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a mobile station; A second RF block for filter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to an uplink band 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ceiver to a downlink band; And a second baseband bloc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second RF block and processing a signal filtered by the second RF b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송수신부 또는 상기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가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 또는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가 여부를 판별하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에서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송수신부 또는 상기 제 2 송수신부에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가 상기 제 1 RF 블럭에서 업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베이스밴드 블럭을, 상기 제 2 RF 블럭에서 다운링크 대역으로 필터링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인식번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베이스밴드 블럭을 각각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is a signal filtered by the uplink band from the first RF block or the first signal; And a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it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filtered by the downlink band in the RF block, and the first transceiver or the second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unit. If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coincides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filtered from the first RF block into the uplink band, the first baseband block is stored in the second RF block. If th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filtered to the downlink band is matched to drive the second baseband block, respectively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인식번호정보는 장치일련번호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a device serial nu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부 및 상기 제 2 송수신부는 각각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ransceiver and the second transceiver are antennas. 특정한 범위의 셀을 커버하는 기지국;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무선통신 단말기; 및 이동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의 셀과 독립적인 별도의 셀을 커버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의 셀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A base station covering a specific range of cel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f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mobile station,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vers a separate cell independent of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a cell of the base station or a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호를 상기 이동국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호로, 또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호를 상기 이동국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호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6.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lls the call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o a call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all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And switching to a call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xchanges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과 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6.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xchanges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when the mobile station is located in a cel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셀의 범위는 상기 제 2 송수신단의 송출신호의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6.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ange of cells o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gain of the outgoing signal of the second transceiver.
KR1020050067469A 2005-07-25 2005-07-25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44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69A KR100644898B1 (en) 2005-07-25 2005-07-25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69A KR100644898B1 (en) 2005-07-25 2005-07-25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898B1 true KR100644898B1 (en) 2006-11-14

Family

ID=3765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469A KR100644898B1 (en) 2005-07-25 2005-07-25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898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3271B1 (en) Portable radio telephone data terminal using cdpd
CN10040971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ignal interference in a local radio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in a mobile terminal
EP0986865B1 (en) Dual-mode satellite/cellular phone architecture with physically separable modes
EP1520359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7164930B2 (en) Switching a call from a network assisted communication mode to a direct communication mode
US81401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ommunication mode in multi-antenna system considering channel environment
US6438378B1 (en) Device using selected receivers to facilitate handoff to a base transceiver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S62216435A (en) Zone enhancer for radio zone telephone system having diversity function
GB2396775A (en) Direct mode communication for mobile terminals
EP1547412B1 (en) Direct cellular communication
US20010021640A1 (en) Motor vehicle wireless telephone system
KR10064489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40060A1 (en) Network device, user terminal, chip,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3491040B2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mobile station device
EP1022868A4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N111726841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JPH0332122A (en) Transmission output contro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620744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eving gps signal using antennas
JP3538178B2 (en) Mobile station registr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JPS63234740A (en) Radio communicating system, mobile terminal, radio channel controller and radio base station controller
JPH1155717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CA2250515A1 (en)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s and mobile or fixed terminals
EP0915628B1 (en)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fixed terminals
KR10070367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Communicaton Terminal Equipment having the multi communication type
KR200600574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base transceiver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