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017B1 - 무선 링크로 결합된 이중 분할 키보드를 갖는 복합 휴대용연산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링크로 결합된 이중 분할 키보드를 갖는 복합 휴대용연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017B1
KR100644017B1 KR1020047020061A KR20047020061A KR100644017B1 KR 100644017 B1 KR100644017 B1 KR 100644017B1 KR 1020047020061 A KR1020047020061 A KR 1020047020061A KR 20047020061 A KR20047020061 A KR 20047020061A KR 100644017 B1 KR100644017 B1 KR 10064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keyboard
portable computing
network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836A (ko
Inventor
쿠순홧
Original Assignee
와이어리스 쓰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어리스 쓰리지 filed Critical 와이어리스 쓰리지
Priority to KR102004702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0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링크로 결합된 두 개 이상의 휴대용 장치(101, 105)를 포함하는 복합 휴대용 연산 장치(100)가 제공된다.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104)는 전체 QWERTY 키보드 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105)는 전체 키보드의 나머지 부분의 키를 포함한다. 두 개의 장치는 함께 키보드 전체를 구성한다. 네트워크 링크는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104)와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105)를 연결시킨다. 두 장치에 일부 키보드 맵이 로드된다. 제 1 일부 키보드 맵은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104)와 일치하고, 제 2 키보드 맵은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105)의 키보드와 일치한다. 일부 키보드 맵은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104)와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105)가 연결되었을 때 하나의 완전한 키보드로 쓰일 수 있게 해준다.
연산 장치, 컴퓨터, 키보드, 네트워크, 키보드 맵

Description

무선 링크로 결합된 이중 분할 키보드를 갖는 복합 휴대용 연산 장치 {Compound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dual portion keyboard coupled over a wireless lin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용 연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입력용 이중 분할 키보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디지털 장치(이하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전화, 소형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소형 개인용 연산 장치가 보급되면서 데이터 입력 기능뿐만 아니라 키보드 디자인 및 구조도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모든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의 키패드는 사용하기에 익숙한 컴퓨터나 타자기의 키보드와 일치되어 사용에 용이하도록 종래 QWERTY 배치 방식의 구조로 표준화되어 왔다.
현재의 휴대용 연산 장치는 그 크기가 소형이어서 편리하고 휴대하기에 좋지만 대체적으로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입력에는 용이하지 않다. 많은 새로운 디자인들은 서로 다른 문자들이나 숫자에 대한 별개의 키가 제공되기도 한다. 그러나, 문자, 숫자, 구두점, 그리고 기능 버튼들을 개인의 손바닥 정도로 제한된 공간에 배치시키기 위해서는 그 키들이 매우 작아야 한다. 이러한 소형 버튼들은 빠르고 정확한 타이핑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키보드들의 편리함과 유용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어떤 디자인에 따르면 어떤 문자들을 입력하는데 두 번 또는 세 번의 연속된 키 입력을 해야 한다. 공간이 허용되는 한, 이러한 설계에서는 소정의 키들을 제거하고, 나머지 키들은 확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에 의하더라도 사용자가 새로운 키 입력 기술에 익숙해지기 전에는 다소 서툴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두 번 또는 세 번의 입력으로 입력 속도가 더욱 제한된다. 또한, 키보드의 키의 개수를 줄인다면 남아있는 키로는 자료 입력이 수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QWERTY 키보드의 인체 공학적 효과를 제공하고 용이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 거의 최대 크기의 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키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의 PDA 설계 동향은 개별 장치들의 특성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고급 PDA 장치들과 휴대폰의 특징은 무선 전화의 기능, 양 방향 무선 통신, 워드 프로세싱, 데이터 저장, 전자 메일(e-메일), 웹 브라우징 및 이러한 다른 여러 기능들을 하나의 소형 장치에 통합시킨 것이다. 어떤 사용자들은 이와 같이 고도로 통합된 장치들의 모든 이동성 기능(mobile functionality)을 가지고 있는 장치를 원하지만, 이들은 여전히 최소한의 수로 다른 장치를 휴대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분리된 장치를 휴대하기 꺼리지 않는 사람들은 분리된 PDA 형태의 장치 뿐만 아니라 무선 전화를 휴대하는 것을 더 선호하기도 한다. 상기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다기능 통합 장치들은 복잡하고, 사용하기 어려우며, 특정 기능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통상 PDA 장치는 휴대 전화로 사용되기에는 너무 크다. 반대로, 현재 휴대 전화는 PDA 장치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기에는 너무 작다. 이 때문에 휴 대 전화와 PDA 장치를 분리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장치들이 최적화되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조업자들이 대체로 통합 기능을 가진 장치에 대해서만 관심을 보인 결과, 분리되었지만 상호 보완적인 장치로서 휴대 전화와 PDA 장치의 기능을 통합하는데는 진전이 거의 없었다. 반면에 이러한 장치들은 디스플레이 화면, 키패드, 스피커, 마이크 등과 같은 요소들을 공유하고, 단일 네트워크 장치의 형태로 이용된다. 이러한 상호 보완적인 네트워킹으로 인해 두 개의 장치가 분리되어 제공되는 것보다 높은 유용성과 편리함을 제공하는 하나의 복합 장치를 얻게 된다. 이 경우, 두 개의 장치는 단일 장치 내에서 가상적으로 통합될 수 있고, 단일의 통합 장치보다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두 개의 장치의 특징을 결합시킨 휴대용 네트워크 장치를 생산하기 위해 무선 전화 형태의 장치와 PDA 형태의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휴대용 장치 네트워킹 시스템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다.
무선 링크로 결합된 두 개 이상의 분리된 휴대용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휴대용 연산 장치가 개시된다.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는 표준 QWERTY 키보드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는 표준 키보드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장치는 무선 링크로 결합된다. 일부 키보드 맵은 제 1 및 제 2 장치의 메모리에 로드된다. 제 1 장치의 메모리에 로드된 일부 키보드 맵은 제 1 장치에 포함된 키보드의 일부에 대응되고, 제 2 장치의 메모리에 로드된 일부 키보드 맵은 제 2 장치에 포함된 키보드의 일부에 대응된다. 제 1 장치와 제 2 장치는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한다. 일부 키보드 맵들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 전체 QWERTY 키보드를 구성하게 되는 두 개의 키보드 부분들을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드 와이어(hard wire)로 결합된 두 부분의 개인용 장치 키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결합된 두 부분의 개인용 장치 키보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할 키보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첫번째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할 키보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두번째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할 키보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세번째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과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부분을 어떤 키들로 활용하는 장치를 위한 키보드 구조를 나타낸 것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이중 분할 키보드를 사용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할 키보드 장치의 주요 기능 요소를 나타낸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무선 연결된 이중 분할 휴대용 연산 장치 키보드가 설명된다. 하기하게 될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하게 세부적인 사항이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본 발명은 이러한 세부 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로, 용이한 설명을 위해 잘 알려진 구조와 장치가 블록도로 도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은 소프트웨어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휴대용 연산 장치에서 구현된다. 휴대용 연산장치는 소정의 프로그래밍된 고립된 장치이거나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나 연산 장치에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서버와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 표준 전화선 또는 무선 데이터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인 접근 단계, 다운로딩 단계, 데이터 조작 단계는 메모리에 저장된 일련의 명령을 수행하는 서버와 휴대용 장치인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중앙 처리 장치(이하 "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현된 다. 그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대용량 저장장치와 같은 영구 저장장치 또는 이러한 장치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일련의 명령들의 수행함으로써 CPU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계를 수행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컴퓨터 네트워크를 나타낸 것이다. 전체 네트워크(100)에서, 서버 컴퓨터(102)는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원격 클라이언트 연산 장치(104, 105)에 연결된다. 네트워크(11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원격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다수의 연산 장치를 다른 것과 연결하기 위한 비슷한 유형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서버(102)는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휴대용 연산 장치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받는다. 그러한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문자 데이터 또는 이것의 조합일 수 있다. 그 휴대용 연산 장치는 일반적으로 포켓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105), 휴대폰(104), 스마트폰 (SmartPhone; enabled telephones) 또는 다른 형태의 휴대 가능한 소형 네트워크 접근 장치이다. 그러한 장치는 무선 연결을 통하여 네트워크(11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대중적인 PDA 장치(104)는 PALM PILOTTM과 같은 PALM O/STM 장치들, 그리고 카시오(Casio), 휴렛패커드(Hewlett-Packard), 필립사(Philips Corp.)에서 만든 PDA 장치와 같은 WINDOWS CETM 장치들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 가능한 스마트폰(106)의 예로는 디지털 연산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휴대폰인 QualcommTM PdQ 폰이 있다. 휴대용 클라이언트 연산 장치(104, 105)는 포켓용 컴퓨터나 PDA 장치에서 웹 브라우져와 같은 그들의 내부 인터넷 브라우징 기능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인터넷-가능 장치이다. 다른 원격 장치는 고유의 브라우져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장치이다.
셀룰러 원격 통신연결을 통하여 네트워크(110)에 접근하는 휴대용 클라이언트 연산장치(104, 105)를 위하여, 네트워크(110)는 무선 서비스 제공자(106)를 통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의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한 셀룰러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휴대용 장치(104, 105)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하거나 받을 수 있는 셀 사이트와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00)는 서버 컴퓨터(102)와 연결된 휴대용 클라이언트 연산장치(104, 105)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장치는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다른 통신장치나 컴퓨터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들의 사용자에게 잘 알려진 것으로서, 전형적인 휴대 전화와 PDA는 일반적으로 익숙한 타자기나 데스크탑 컴퓨터 키보드와 같은 표준 키보드 배열의 모든 QWERTY 키들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만약 모든 키보드 기능이 제공된다면, 이러한 장치들의 제한된 키패드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특별한 타자 기술이 요구될 것이다. 여기서는 분리된 장치들을 하나로 연결시키기 위한 휴대용 연산 장치를 위한 고유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설명되고, 따라서 그들의 제한된 키보드들은 특별한 타자 기술을 요구하지 않고 친숙한 타자기술이 사용되는 전체 QWERTY 키보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무선 전화(104)와 PDA 장치(105)는 전체 QWERTY 키보드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조정된 키보드에 특징이 있다. 각 장치는 전체 키보드 키들의 일부를 포함한다. 무선 전화는 익숙한 4-by-3의 열두개의 키의 전화패드 행렬로 일반적인 배치의 숫자들을 포함하는 키 배열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PDA(105)는 QWERTY 키들의 일부를 포함한다. 함께 사용될 때, 휴대 전화와 PDA는 전체 QWERTY 키보드를 형성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QWERTY 키보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된 휴대 전화와 PDA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휴대 전화(202)는 약 1inch * 1.5inch로 측정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206)을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기능키(211)가 휴대폰과 결합된 다양한 작동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포함된다. 휴대 전화(202)는 또한 키패드 영역(2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그 키들은 4행 3열의 행열로 배열된다. 열개의 키들은 표준 전화 키패드에서처럼 숫자 0~9과 문자들(이것은 다중의 타자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를 위하여 사용된다. 남은 두개의 키들은 표준 12-키 전화 키패드처럼 *와 # 버튼을 위해서 사용된다. 일부 키보드 맵이 이러한 키들이 어떤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휴대 전화의 메모리에 로드된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202)의 그 키들은 표준 QWERTY 키보드의 좌측의 문자에 배정된다. 선택적으로 그 키는 표준 키보드의 우측의 문자에 배정될 수도 있다.
도 2A에서, PDA(204)는 약 2inch *2 inch 로 측정되는 LCD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208)을 포함한다. 다양한 기능키가 PDA에 결합된 다양한 작동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포함된다. PDA(204)는 또한 키패드 영역(212)을 포함한다. 그 키는 일반적으로 6행 3열의 행열로 배열된다. 일 실시 예에서, 일부 키보드 맵이 PDA 장치(204)의 메모리에 로드된다. 그 PDA의 일부 키보드 맵은 휴대 전화(202)의 메모리로 로드된 일부 키보드 맵을 보충한다. PDA의 일부 키보드 맵이 표준 QWERTY 키보드의 보충하는 측의 문자에 배정되도록 전화기(104)의 키보드에 배정된 문자들에PDA(204)의 키들을 재배정한다. 그래서 만약 전화기(202)가 좌측의 키들에 배정된다면, PDA(204)는 반대로 우측의 키들에 배정된다. 휴대 전화(202)와 PDA(204)는 링크(21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 링크는 두 개의 장치가 입력 및 통신 장치로서 함께 사용되도록 한다. 함께 사용되는 경우, 분리된 키패드들(210, 212)과 그들 각각의 부분 키보드 맵들은 전체 QWERTY 키보드를 형성하도록 결합한다. 예를 들면, 키보드의 첫째 줄을 완성하기 위하여, QWER 키들은 휴대폰(202)에 의하여 제공 되고, TYUIOP는 PDA(204)에 의하여 제공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들 간의 물리적인 연결 대신에 무선 연결을 함으로써 그 장치의 위치 및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도 2B는 휴대 전화(224)와 PDA(225)가 무선 연결을 통하여 함께 연결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휴대 전화와 PDA 장치 사이의 키들의 분리를 위한 다양한 다른 키 배치들이 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과 우측 키패드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를 위한 키패드(302)는 4행 3열의 행열로 배열된 열두개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맨 윗줄은 QWER 문자의 키들로 구성되 고, 두번째 줄은 ASDF문자로 구성되며, 가장 아래줄은 ZXCV문자로 구성된다. 또한, 키패드(302)의 키들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와 부호키들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104)가 PDA(105)와 네트워크에서 연결될 때, 키보드 맵핑 기능은 일반 전화기 사용 즉, 다중키에 의한 문자와 숫자로부터 표준 데스크탑 키보드에서 처럼 싱글 키를 통하여 문자 사용 키보드로 키 입력기능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설정에서, 숫자 "5"를 위한 키는 대신 문자 "s"를 타자한다.
도 3A의 키패드(30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PDA장치의 배치를 도시한다. PDA의 키패드(304)는 3행 5열 또는 6열의 행열로 배열된 17개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맨 윗줄은 T-Y-U-I-O-P의 문자키를 구성하고, 두 번째 줄은 G-H-J-K-L의 문자키를 구성하며, 마지막 줄은 B-N-M의 문자키를 구성한다. 하나의 키는 스페이스 키로 배정된다. 마침점, 콤마, 물음표 등의 다양한 기호는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나머지 키들이나 문자키들을 위한 키배열과 선택적으로 배정된다. PDA에서 기능키는 문자와 각 특정키에 배정된 제2 기호 사이에서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두 키패드들이 키패드(302)의 맨 윗줄과 키패드(304)의 맨 윗줄과 한 줄로 배열되도록 서로 다른 것과 이웃하여 배열될 때, 적어도 알파벳에서는 전체 양식화된 QWERTY 키보드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3A는 키패드(302, 304) 안의 키들의 한가지 가능한 배치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배치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표준 키보드에서 키들의 크기는 전형적으로 약 1/2 inch 제곱의 정사각형이다. 전형적인 휴대 전화와 PDA 장치에서 키들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매우 작고 장치마다 매우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화기 키패드(210)와 PDA 키패드(212)에서의 키들은 각각 약 3/8inch 제곱으로 설계된다. 전화기와 PDA 패키지의 크기에 의존하여, 키 사이의 간격은 작게 형성된다. 도 3A의 키패드에 도시된 것처럼, 선택적으로 키들 사이의 간격은 없을 수도 있다. 키들의 크기는 빠른 타이핑이 용이하도록 설정되는 반면, 그 크기가 제약되고, 장치들의 요소가 된다. 선택적으로, 빠른 타이핑이 작은 패키지 사이즈와 무게를 유지하는 것만큼 중요하지 않은 경우 키패드들(302, 304) 내의 키들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만큼 작게, 약 1/4inch제곱 정도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키패드(302, 304) 내의 키들은 크기가 거의 같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떤 키들은 장치내에 포함이 용이하도록 더 작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302)에서, 외곽의 키들은 한쪽 측면이 다른 키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더 좁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래서, 도 3A의 예를 들면, z키패드 3A의 오른손 측의 R, F, V 키들은 나머지 키보다 더 좁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의 정확한 타자를 위하여, 키패드의 중앙을 향하여 약간씩 상승하거나 각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B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와 PDA 키패드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배열과 키들의 상대적인 크기가 다르다. 도 3B의 키보드 배치에서, 휴대 전화의 키패드(306)는 다른 크기와 위치에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어떤 문자는 그들만의 키가 배정되지 않았으나, 대신 다른 키들과의 조합을 타자함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거의 사용되지 않는 문자인 Z 문자는 Q 문자를 두 번 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QQ"의 형식은 일반적으로 타이핑되는 어떤 단어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부호화는 다른 기호를 만드는데도 적합하다. 다른 그러한 더블 타이핑 기술이 기호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다른 문자나 기호를 부호화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호화의 사용은 키패드에 사용되는 키의 숫자를 감소시키고, 휴대 전화와 PDA 장치의 구성요소 크기 내에서 나머지 키들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도 3B에서 키패드들(306, 308)의 형태는 휴대 전화와 PDA 장치를 위한 키배치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범위 내에서 몇 가지 다른 배치들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포션 키보드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3C에 도시된 키보드 배치에서, 휴대 전화 키패드(310)는 방향키의 사용이나 미리 정해진 타자 순서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어떤 기호키와 함께 표준 전화 키패드에서 보이는 것과 비슷하게 문자들과 숫자들의 문자-숫자(alpha-numeric) 키패드를 구성한다. 게다가, PDA 키패드(312)는 특정한 방향키의 사용이나 타자 순서를 통하여 접근된 다수의 변형 기호들을 구성한다.
휴대용 장치들에 의해 강제되는 공간제한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휴대용 장치의 디스플레이 부는 장치의 형태에 의존하여 활용된다. 예를 들면, 많이 PDA 장치는 그 장치의 키보드 맵에 의해 유용한 상대적으로 큰 LCD 스크린 영역에 그 특징이 있다. 터치스크린 기능이 특징인 장치에서 그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부는 "그래피티 영역"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의 접촉이나 손으로 쓴 입력 을 받아들이는 비슷한 장치나 바늘에 의한 입력을 인지할 수 있는 스크린의 영역으로 간주한다.
도 3D는 터치스크린 키로서 어떤 키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부를 사용하는 PDA 장치의 키보드 배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PDA 키패드(320)는 감소한 숫자의 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P"와 "Enter" 키들은 키패드(322) 내에 물리적인 키들로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에 그들은 그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부에서 터치스크린 키들(324)로서 구현된다. 임의의 수의 키들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유용한 공간의 유용함에 의존하여 그렇게 암호화된다. 도 3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328)은 다목적 스크린으로 구성된다. 그것은 출력 디스플레이, 터치-감지 제품을 위한 그래피티 영역, 또는 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부분 키보드로서 사용될 때, 가상 키보드부로서 기능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할 키보드 장치의 주요 기능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시스템(500)은 도 2b에 도시된 휴대 전화 장치(224)나 PDA 장치(225)에 있어서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중앙 처리 장치(CPU; 502)는 디스플레이 화면(504)과 키보드(508)에 연결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보드(508)는 도 3A에서 도시하는 변형된 휴대 전화 키보드(302)에 대응된다. CPU(502)에 연결되는 무선 환경(506)은 도 2B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제 2 이동형 장치에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환경으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CPU(502)는 온보드 메모리(on-board memory; 510)에도 연결된다.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 및 이동형 장치의 조작을 제어하는 자료 객체들을 저장한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의 자료 객체는 키패드(508)의 키를 적절한 문자 및 숫자와 매핑하는 상주 키보드 맵(resident keyboard map; 512)이 된다. 이로써 시스템(500)이 휴대 전화인 경우, 키보드 맵은 전화 키패드용 표준 키보드 맵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510)는 하나 이상의 부분 키보드 맵(514, 516)을 저장한다. 도 2B에서 도시하는 복합 이동형 장치 시스템에서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부분 키보드 맵은 장치의 QWERTY 키보드 부분에 대응되는 키들을 키패드(508)에 할당한다. 도 2b에서 도시하는 휴대 전화(224)와 같이 장치가 좌측 장치인 경우, 좌측 부분 키보드 맵(514)이 메모리(510)에 로딩된다. 마찬가지로, 도 2b에서 도시하는 PDA(225)와 같이 장치가 우측 장치인 경우, 우측 부분 키보드 맵(516)이 메모리(510)에 로딩된다. 이에 따라 도 5에서 도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키패드(508)가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측 키들로 구성되는 경우, 좌측 부분 키보드 맵(514)이 메모리에 로딩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적절한 부분 키보드 맵(514 또는 516)은 장치가 좌측 또는 우측 장치 중 어떤 것으로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장치의 메모리(510)에 로딩 된다. 이로써 장치가 모든 복합 장치 네트워크에서 좌측 또는 우측 장치 중 어떤 장치로 기능 하는지 여부가 정해진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좌우 측 부분 키보드 맵(514,516) 모두 또는 이 둘을 결합하는 전체 키보드 맵이 장치의 메모리(510)에 로딩 된다. 이로써 복합 장치 네트워크 내에서 설치시 정의된 장치의 기능을 허용하게 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A 및 2B의 휴대 전화 및 PDA의 키패드 각각은 그것들 자체의 상주 키보드 맵(512) 뿐 아니라 각 부분 키보드 맵(514 또는 516)에 접속하게 된다. 부분 키보드 맵은 2개의 독립적인 키패드가 전체 키보드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A에 도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에 있어서, 휴대 전화(104) 및 PDA(105)는 물리적 링크(21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물리적 링크(214)는 가변적이고 조절이 가능한 길이의 잘 구부려지는 전기 케이블일 수 있다. 키패드(210, 212)는 복합 장치의 입력 키보드를 함께 형성한다. 타이핑된 출력은 PDA의 디스플레이(208)나 휴대 전화의 디스플레이(206) 상에 표시되거나 양쪽 모두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2B는 휴대 전화(224)와 PDA(225)가 무선 링크(216)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B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양 장치는 모두 양 장치들의 작동을 동기화하고 공통 데이터에 접근하고 공통 출력을 출력하는 것을 허용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 프로토콜의 하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이다. 블루투스는 산업 컨소시움 개발 기술로 소형 폼 팩터(form factor), 저비용, 저전력 소모, 이동형 피씨, 휴대 전화 및 기타 이동형 장치들 간의 단거리 무선 링크의 표준을 정의하는 것이다. 블루투스의 핵심 표준은 라디오 레이어 위에 있는 기저 대역과 링크 관리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정의한다. 무선 주파수층(radio layer)은 2400에서 2483.3 MHz까지의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확산 스펙트럼 통신을 사용한다. 기저 대역층은 무선을 제어하고 무선 링크를 통해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 블루 투스 프로토콜하에서, 2가지 형태의 링크, 동기식 연결형(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SCO)과 비동기 비연결형(Asynchronous ConnectionLess; ACL)가 제공될 수 있다. SCO 링크는 음성 데이터와 같은 동기식 데이터용으로 사용되는 반면, ACL 링크는 동기식 링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 전송 어플리케이션용으로 사용된다. 링크 관리 프로토콜은 ACL/SCO 링크를 제공하고, 보조 장치를 부착/제거하고, 링크 파라미터(전력, 품질, 보안 등)를 설정하는 일 및 기타 유사한 기능들과 같은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도 2B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 및 PDA 장치는 모두 피코넷(piconet)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블루투스 가능 장치들이다.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피코넷은 유일한 주파수 도약 시퀀스(hop sequence)로 식별되는 동일 채널을 형성하도록 연결된 한 그룹의 장치들이다. 휴대 전화(224)나 PDA(225) 장치 중 하나가 주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보조 장치이다. 블루투스 장치는 2402+k MHz(k=0,1,......,78)에 고정된 주파수 도약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공칭 도약율(nominal hop rate)은 초당 1600 홉으로 625 마이크로초의 단일 홉 슬롯을 요구한다. 각 장치는 수신기의 타이밍과 호핑을 결정하는 내부 시스템 클럭(clock)을 가진다. 피코넷 채널에서의 타이밍과 주파수 호핑은 주 장치의 클럭에 의해 결정된다. 피코넷이 구축되면, 주 장치 클럭은 보조 장치와 통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좌측 키를 포함하는 장치는 블루투스 보조 장치로 구성되고 우측 키, 즉 도 3a의 키패드(304)를 포함하는 장치는 블루투스 주 장치가 된다. 2개의 장치는 표준 블루투스 절차를 따라 상호 간의 접속을 구축한 다. 다른 장치의 근접해서 배치되는 경우 PDA나 휴대 전화는 자동적으로 그것의 범위내에서 접근 지점이 어떤 것인지를 찾는 질의를 개시한다. 만약 다른 장치가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그것은 자신의 주소를 대답하게 된다. 그러면 질의를 개시한 장치가 클럭 오프셋(clock offset), 주파수 홉, 및 다른 개시 파라미터가 두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되는 페이징 절차를 개시하게 된다. 보안 모드가 하나 또는 양 장치 모두에의 접근을 제한한다면, 접근 지점은 페어링(pairing)에 대한 보안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 이리하여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적절한 식별자 코드를 입력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단 링크가 구축되고 나면, 개시 장치 내에 있는 링크 관리 프로토콜이 접근 지점 장치로부터 어떠한 서비스가 사용가능한지를 결정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이원 키보드 맵은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에 의해 식별가능한 서비스로서 사용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부분 키보드 맵이 장치의 활동 메모리에 로딩 되는 것을 허용하고 입력 키 스트로크(keystroke)가 키보드 맵 내에서 대응되는 키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에 대응하여, 도 2B에 도시되는 피코넷에서의 휴대 전화(224) 및 PDA(225) 장치들 각각은 메모리(510)에 상주 키보드 맵(512)을 저장할 뿐 아니라, 부분 키보드 맵(514 또는 516)을 저장한다. 부분 키보드 맵은 키보드 장치가 구비하는 전체 QWERTY 키보드의 일부에 대응한다. 피코넷의 구축시, 장치 내에 포함되는 키보드 일부에 대응되는 부분 키보드 맵 내부의 키들이 활성화된다. 이리하여, 예를 들어 휴대 전화(224)는 그것의 상주 키보드 맵(512)에 전체 QWERTY 키보드에 대한 바이트 코드를 저장한다. 반면, 휴대 전화가 PDA(225)와 함께 피코넷에서 사용되는 때에는, 예를 들어 도 3A에 있는 키패드(302; 좌측 키, QWER ASDF ZXCV)와 같은 키보드의 부분에 대응하는 키들만이, 좌측 부분 키보드 맵(514)의 사용을 통해 활성화된다.
도 2B의 복합 장치 네트워크에서의 각 장치들의 디폴트 모드는 활성화된 개별적인 상주 키보드 맵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각 장치들은 통상의 휴대 전화나 PDA 장치들로 동작하는 것이다. 각 장치의 부분 키보드 모드는 양 장치들을 포함하는 복합 데이터 엔트리 네트워크의 구축시에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들은 적절한 부분 키보드 맵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하드와이어(hardwire)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장치 상에 포함되는 분리된 버튼일 수 있거나 키패드 상에 존재하는 키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장치들은 각 장치가 자신의 스위치에 의해 개별적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장치들은 일단 양 장치들 사이의 네트워크가 구축된 경우에는 한 장치의 부분 키보드 맵의 활성화가 양 장치들을 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블루투스나 이와 유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된 장치들에 있어서, 한 장치 내의 부분 키보드 맵의 활성화는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가는 미리 설정된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비 블루투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는 인터로게이션(또는 이와 유사한) 신호가 장치 내의 부분 키보드 맵을 활성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장치가 부분 키보드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되면, 상주 키보드 맵은 비활성화된다. 이 지점에서, ASCII 또는 키패드 키들에 의해 생성되는 다른 디지털 코드 출력은 적절한 부분 키보드 맵에 포함되는 키 할당에 의해 지시된다. 장치가 더이상 복합 장치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면, 상주 키보드 맵이 재활성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 키보드 맵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하드와이어 스위치를 통해 비활성화된다. 또한 장치들은 특정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거나 장치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특정 소프트웨어 명령을 통해 상주 키보드 작동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2개의 이동형 컴퓨팅 장치들을 사용하여 복합 키보드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공정은 제 2 장치, 즉 접속 지점(예로 PDA(225))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개시 장치(예로, 휴대 전화(224))인 장치에서 시작한다. 단계 402에서 개시 장치는 무선 접속 지점 장치가 범위 내에 있는지를 점검한다. 단계 404에서 응답이 있는 장치가 범위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개시 장치는 단계 406의 시간 경과가 될 때까지 점검을 계속한다.
응답이 있는 접속 지점 장치가 범위 내에 있다면, 양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피코넷이 형성되는 것이고, 적절한(왼쪽 또는 오른쪽) 부분 키보드 매핑 테이블이 개시 장치 및 접속 지점 장치의 메모리로 로딩 된다(단계 408). 이 단계에서, 상주 키보드 맵은 비활성화되거나 겹쳐 쓰이게 된다.
단계 410에서, 개시 장치가 키보드 테이블의 좌측 부분 즉, QWER ASDF 등을 사용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개시 장치가 키보드 테이블의 좌측 일부를 사용하는 경우, 개시 장치는 단계 412에서 슬레이브 장치로서 접근점(access point)과 데이터 링크를 구축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접근점이 마스터가 된다. 만일 개시 장치가 키보드 테이블의 우측 일부를 사용하는 경우, 단계 416에서 접근점이 슬레이브 장치가 되면서 개시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서 데이터 링크를 구축한다. 슬레이브 장치로서 좌측 키보드를 할당하는 것과 마스터 장치로서 우측 키보드를 할당하는 것은 임의적이다. 그러므로,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좌측 키보드 장치는 마스터 장치가 될 수 있고, 우측 키보드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가 될 수 있다.
만일, 개시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가 된다면, 그 개시 장치는 단계 414에서 핵심 신호를 전송하고, 응답을 수신한다. 달리 말하면, 개시 장치가 마스터 장치가 되는 경우, 개시 장치는 슬레이브 접근점 장치로부터 핵심 신호를 수신하기를 기다렸다가 단계 418에서 응답 핵심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핵심 신호는 두 개의 장치 사이에서 블루투스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게 된다.
단계 420에서, 상기 두 개의 장치 사이의 연결이 종료되었는지를 결정한다. 그 연결은 다양한 조건 즉, 다른 장치의 범위 밖에 놓인 장치, 연장된 한 주기의 시간 동안 비활성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백한 종료 명령 등에 의하여 종료된다. 그 연결이 종료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무선 링크는 단계 428에서 종료되고, 단계 430에서, 일부 키보드 맵은 개시 및 접근 점 장치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주 키보드 맵은 재로드 되거나 재활성화되어 통상적인 장치 동작이 재개된다.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시스템은 단계 422에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의 어느 하나의 키가 눌러졌는지를 결정한다. 어떠한 키 입력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두 개의 장치 사이에서 주기적인 핵심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연결 상태가 유지된다. 선택적인 타임 아웃 루틴(timeout routine)은 비활성 주기에 절대적인 시간 제한을 부과하여 연결을 종료시킬 수 있다.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장치의 어느 하나에서 타자 입력(keystroke)이 검출되면, 각 장치의 메모리 내 일부 키보드 테이블에 타자 입력이 맵핑(mapping)된다. 이후,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상기 장치의 어느 하나 또는 양 쪽 모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거나, 도 1의 서버 컴퓨터와 같은 분리된 컴퓨터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426에서, 키코드(keycode)는 피코넷(Piconet)의 또 하나의 장치로 전송되고, 그 장치는 피어(peer) 장치라 불린다. 이는 마스터와 슬레이브 장치 둘 다 반대쪽의 장치에 입력되는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처리 과정은 블루투스(Bluetooth) 연결이 끊길 때까지 계속된다.
도 2B는 무선 접속 장치가 블루투스(Bluetooth)인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기는 하지만, 적외선 통신 또는 기지국 기반 이동 통신 등의 다른 무선 접속 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하나의 휴대 전화와 하나의 PDA로 이루어진 피코넷 네트워크 통신을 설명한 것이지만, 어느 휴대용 장치의 결합으로도 복합 QWERTY 키보드를 사용하는 통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PDA나 하나의 PDA와 다른 휴대용 장치도 적당히 배열되어 완전한 QWERTY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두 개 이상의 휴대용 장치를 결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 개의 휴대 전화가 블루투스 피코넷(Bluetooth Piconet)으로 연결되어 완벽한 키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배치를 위해서는 각 일부 키보드 맵은 그 장치의 키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2A에서는 휴대 전화와 PDA의 연결은 하드 와이어 링크로 이루어지고, 기능은 상기 설명한 무선 연결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 대신에 작거나 그 로컬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키보드로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 각 장치에 키보드 맵이 저장되고 각 일부 키보드에 입력된 키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슬레이브와 마스터 장치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 기능의 조정은 도 4에서와 같이 수행하면 된다. 마스터와 슬레이브 장치가 필요 없는 프로토콜은 통신을 두 장치가 네트워크 피어(network peer)로 되어있는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스템은 휴대용 장치들을 네트워크 연결과 복합 키보드를 만들어 통합한 것이다. 본 발명이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지만 이 범위 내에서 다수의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를 예시한 것이다.

Claims (16)

  1. 전체 키보드의 제 1 부분을 갖는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
    전체 키보드의 제 2 부분을 갖는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를 상기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에 결합시키는 네트워크 링크;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의 메모리 내로 로딩되는 제 1 부분 키보드 맵; 및
    상기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의 메모리 내로 로딩되는 제 2 부분 키보드 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전체 키보드의 키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키보드 맵은,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가 상기 전체 키보드의 제 1 및 제 2 부분을 사용하는 텍스트 입력을 제공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작동하기 위해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키보드는 종래 QWERTY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링크는 플렉시블 하드 와이어 케이블 (flexible hard-wire c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산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링크는 무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산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는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 사이에서 블루투스 규약(Bluetooth protoco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 지정되고, 상기 전체 키보드의 제 1 부분은 종래 QWERTY 키보드의 좌측에 위치하는 키를 구성하고,
    상기 제 2휴대용 연산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 지정되고, 상기 전체 키보드의 제 2 부분은 종래 QWERTY 키보드의 우측에 위치하는 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는 무선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는 무선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산 장치.
  9. 종래 QWERTY 키보드에 대응하는 전체 키보드의 제 1 부분을 갖는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전체 키보드의 제 2 부분을 갖는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를 상기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에 결합시키는 네트워크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의 메모리 내로 제 1 부분 키보드 맵을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의 메모리 내로 제 2 부분 키보드 맵을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가, 상기 전체 키보드의 제 1 및 제 2 부분을 사용하는 텍스트 입력을 제공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전체 키보드의 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링크는 플렉시블 하드 와이어 케이블 (flexible hard-wire c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링크는 무선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는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 사이에서 블루투스 규약(Bluetooth protoco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를 슬레이브 장치로 지정하고, 상기 전체 키보드의 제 1 부분을 종래 QWERTY 키보드의 좌측에 위치하는 키를 구성하도록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를 마스터 장치로 지정하고, 상기 전체 키보드의 제 2 부분을 종래 QWERTY 키보드의 우측에 위치하는 키를 구성하도록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가 상기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 사이에 블루투스 무선 링크를 구축하는 단계;
    핵심 신호가 상기 제 1 및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 사이에서 전송되거나, 키 입력 동작이 제 1 또는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에서 검출되는 한, 무선 링크를 유지하는 단계; 및
    종료 동작이 검출되면 무선 링크를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는 무선 전화, PDA 및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 2 휴대용 연산 장치는 무선 전화, PDA 및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휴대용 연산 장치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일부에 구현될 종래 QWERTY 키보드의 좌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키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47020061A 2002-06-10 2003-06-06 무선 링크로 결합된 이중 분할 키보드를 갖는 복합 휴대용연산 장치 KR10064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0061A KR100644017B1 (ko) 2002-06-10 2003-06-06 무선 링크로 결합된 이중 분할 키보드를 갖는 복합 휴대용연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67,251 2002-06-10
KR1020047020061A KR100644017B1 (ko) 2002-06-10 2003-06-06 무선 링크로 결합된 이중 분할 키보드를 갖는 복합 휴대용연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836A KR20050020836A (ko) 2005-03-04
KR100644017B1 true KR100644017B1 (ko) 2006-11-10

Family

ID=4175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061A KR100644017B1 (ko) 2002-06-10 2003-06-06 무선 링크로 결합된 이중 분할 키보드를 갖는 복합 휴대용연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081A (ko) * 2019-01-11 201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US10613959B2 (en) 2010-08-20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3959B2 (en) 2010-08-20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US11144422B2 (en) 2010-08-20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20190007081A (ko) * 2019-01-11 201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70079B1 (ko) 2019-01-11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836A (ko) 200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3997B2 (ja) 無線リンクで接続されている二つの部分からなるキーボードを有する複合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
US7646316B2 (en) Compound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dual portion keyboards coupled over a transmission link
US20080048986A1 (en) Compound Computing Device with Dual Portion Keyboards Controlled by a Single Processing Element
US7684791B2 (en) Multiple keyboard context sensitivity for application usage
US64050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 a wireless network access device
KR20070039178A (ko) 유니버설 키보드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장치
US20080102890A1 (en) Effecting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onnection
US20150373179A1 (en) Method for selecting and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US2005015919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 out display and/or keyboard
RU2421773C2 (ru) Клавиатура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лавиатурой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EP1734727B1 (en) Application dependent keystroke mapping in mobile device having multiple keyboards
KR100644017B1 (ko) 무선 링크로 결합된 이중 분할 키보드를 갖는 복합 휴대용연산 장치
KR100391577B1 (ko) 방위형 문자 입력 장치
JP2002252685A (ja) 移動通信装置及び携帯電話端末装置
JP3546407B2 (ja) 電子機器のパスワード認証方法
CN101388921A (zh) 手持电子设备上邻近于导航工具的结合的输入键
KR2003004282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365853B1 (ko)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JP2004220618A (ja) 電子機器のパスワード認証方法
KR20040032768A (ko) 개선된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정보 단말장치 및 이휴대용 무선정보단말장치에서 정보를 입력처리하는 방법
KR20090016366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