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135B1 -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135B1
KR100641135B1 KR1020030060888A KR20030060888A KR100641135B1 KR 100641135 B1 KR100641135 B1 KR 100641135B1 KR 1020030060888 A KR1020030060888 A KR 1020030060888A KR 20030060888 A KR20030060888 A KR 20030060888A KR 100641135 B1 KR100641135 B1 KR 10064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icrophone
frequenc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8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2453A (en
Inventor
박배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135B1/en
Priority to CNB2004100369489A priority patent/CN100382658C/en
Publication of KR2005002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이용하여 무선마이크 모드로 동작하고 무선앰프에서 수신하도록 하는 것으로,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전기적 신호는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부; 오디오부와 접속되고 해당 선택에 의하여 오디오부의 음성급 신호 출력경로 설정을 선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와 접속되고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동조한 무선암프 주파수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는 마이크무선부; 제어부와 접속되고 음성급 신호를 이동통신에 할당된 주파수로 무선송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 모드로 선택 운용하는 경우에 내장된 마이크무선부 송신주파수와 외부 무선암프의 수신 무선주파수가 동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 휴대단말기의 송신주파수와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가 동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마이크무선부의 송신주파수를 동조시키는 보정과정; 휴대단말기 오디오부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무선마이크로 동작하도록 운용하는 마이크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로 대용하고, 다수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로 운용하므로 회의장 등에서 다수의 무선마이크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wireless microphone mode by using an additional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receives the signal from a wireless amplifier. The audio signal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nput, and the electrical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part;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udio unit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udio signal output path setting of the audio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A microphone wireless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verts an input voice level signal into a tuned radio amplifier frequency and transmits the radio sig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level signal at a frequency allocated to mobile communication, and further include a built-in microphone wireless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and operated in a wireless microphone mode. A start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transmission frequency and a reception radio frequency of the external radio amplifier are synchroniz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are not synchronized, a correction process of directly inputting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to synchronize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When a voice level signal is input from the audio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icrophone process operates to operate as a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a simple opera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replaced with a wireless microphone, and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are operated as a wireless microphone. There is an effect such as not having to prepare a wireless microphone.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

도1 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 구성도, 1 is a genera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 순서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기능 구성도, 3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무선부의 상세 기능구성도, 4 is a detailed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방법 순서도. 5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microphone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휴대단말기 110 : 오디오부 120 : 제어부100: portable terminal 110: audio unit 120: control unit

130 : 마이크무선부 132 : 국부발진부 134 : 믹서부130: microphone wireless section 132: local oscillation section 134: mixer section

136 : 무선부 138 : 주파수비교부 140 : 이동통신무선부 136: wireless unit 138: frequency comparison unit 140: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uni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부가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 모드로 동작되도록 선택 설정하고, 마이크무선부의 송신주파수를 별도 무선앰프의 수신주파수와 일치하도록 동조하므로 무선마이크와 같이 양질의 음성급 신호를 무선송신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ditional function of a wireless microphone of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and set to operate in a wireless microphone mode, 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is tuned to match the reception frequency of a separate wireless amplifi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high quality voice signals.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직접 휴대하면서 통신하는 장점이 있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Mobile terminal (MS: MOBILE STATION) is a state-of-the-ar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the advantage of communicating by direct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d anywhere while moving freely through the service area of the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사용상 편리한 통신장비는,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작고, 통신을 위한 대기(STANDBY) 상태로 휴대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므로, 휴대단말기의 실제 사용시간 또는 운용율이 극히 저조한 문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ient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d anywhere by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party has a small amount of time used for actual communication and a large amount of time to carry in a standby state for communication. There is a problem of extremely low usage time or operation rate.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운용 또는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게임 또는 무선인터넷 접속, 단문메시지 전송, 영상메시지 전송 등등의 서비스를 통신비용을 부담하면서 사용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가서비스이고, 전화번호부 기록, 메모 기록, 메시지 기록, 스케줄 관리, 게임, 카메라 기능, 전자계산기 기능, 알람기능 등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조사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에 내장하고 통신회선 사용료 부담 없이 자체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휴대단말기의 부가기능이다. In order to increase the operation or use rate of the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use services such as game or wireless Internet access, short message transmission, video message transmission, etc. at a cost of communication. It is an additional service of the system,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phone book record, memo record, message record, schedule management, game, camera function, electronic calculator function, alarm function, etc. are built into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manufacturer and are self-contained without burden of communication line fee. It is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use.

상기와 같은 부가 서비스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고 해당 채널을 점유 사용하므로 채널점유 사용료가 발생되고, 상기 부가기능은 휴대단말기 자체적으로 내장된 부가기능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채널점유에 의한 사용료가 발생되지 않지만, 종래의 부가기능은 통신과 관련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실생활에 직접 활용되지 못하는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Since the additional ser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occupies the corresponding channel, the channel occupancy fee is generated, and the additional function does not incur the royalties due to channel occupancy because the additional function uses the built-in addi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self.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dditional functions are mostly related to communication, there is a limited problem that cannot be directly utilized in real life.

따라서, 상기 실생활에 응용되는 휴대단말기의 부가기능으로, 무선앰프와 접속되는 무선마이크의 기능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부가기능으로 추가하는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dding a function of a wireless microphone connected to a wireless amplifier as an additional fun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as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the real life.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dditional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 순서도 이다. 1 is a general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IG.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1 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되고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즉시 통신하는 휴대단말기(MS)(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와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20)과; 상기 기지국(20)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SWITCHING) 하므로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해당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30)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mobile terminal (MS) 10 for freely moving in a service area of a subscribed and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any time and anywhere to wirelessly connect with a counterpart; A base station (BS) 20 for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o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ignals and to form a service area; Mobile Switching Station (MSC: MOBILE SWITCHING), which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20, analyzes and switche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switches (SWITCHING) so a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path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ignal, and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ENTER) 30.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20)은 일정한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서비스 영역 안에서 다수의 휴대단말기(10)와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기지국(20)이 다수 인접상태로 연결되어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전국을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detail, the base station 20 forms a certain service area, and transmits and receives communication signals with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 in the formed service area, the base st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20 are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in a number of adjoining states, the whole country is formed a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상기 다수 기지국(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음성급 통신을 비롯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에 의한 것으로, 문자와 기호 등을 이용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이동교환국(30)은 기지국(20)을 통하여 인가되는 휴대단말기(10)의 호접속 요청 신호인 다이얼링 신호를 분석하고, 스위칭(SWITCHING)을 통하여 상대방과의 통신경로 연결을 설정한다. The mobile terminal 1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at any time and anywhere while freely moving in the service area formed by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20, the voice level communication, including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a text message service using letters and symbols, the mobile switching center 30 analyzes a dialing signal which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0 applied through the base station 20, The communication path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is established through switching.

상기와 같이 통신경로가 설정된 휴대단말기(10)는,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거나 부가서비스인 데이터급의 문자메시지 통신하며, 영상 메시지 통신 및 실시간 영상통신, 무선인터넷 접속, 온라인 게임 등을 한다. The portable terminal 10 having the communication path set as described above communicates using a voice level signal or performs data level text message communication as an additional service, and performs video message communication,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and online game. .

상기 휴대단말기(10)로 기지국(20)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통신 서비스 또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자체적으로 내장된 부가기능으로, 전화번호부 기록관리, 메모 기록, 메시지 기록, 스케줄 관리, 게임, 카메라 기능, 전자계산기 기능, 알람기능 등등 을 이용하거나 또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mobile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20 and does not use a communication service or an additional service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hone terminal record management, memo recording, message recording, Use schedule management, games, camera functions, electronic calculator functions, alarm functions, or stay on standby.

이하,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2,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휴대단말기(10)는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어 운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부가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부가기능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표시된 부가기능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단계(S30)에서 판단하여 부가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고 부가기능이 선택된 경우는 해당 부가기능을 운용하는 제4 단계(S40)와; 상기 제1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통신모드를 선택하는지 판단하는 제5 단계(S50)와; 상기 단계(S50)에서 판단하여 통신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운용하는 제6 단계(S60)와; 상기 단계(S50)에서 판단하여 통신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는지 판단하는 제7 단계(S70)와; 상기 단계(S70)에서 판단하여 부가서비스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고 부가서비스를 선택한 경우는 선택된 해당 부가서비스를 운용하는 제8 단계(S80)로 이루어진다.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first step (S10) of determining whether an additional function mode provided by itself is selected and operated; A second step (S20) of displaying a menu of all additional functions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additional function is determined in the step S10; A third step S30 of determining whether one of the additional functions displayed in the step S20 is selected; A fourth step (S40) of returning to the first step (S10) if the additional function is not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S30) and operating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function if the additional function is selected; A fifth step (S50) of determining whether to select a communication mode when the additional function mode is not selected based on the first step (S10); A sixth step (S60)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s selected in the step (S50); A seventh step S70 of determining whether to select an additional service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s not selected in the step S5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0 that the additional service is not selected, the method returns to the first step S10 and when the additional service is selected, the eighth step S80 of operating the selected additional service is performed.

이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휴대단말기(10)는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되어 내장된 부가기능을 운용하는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부가기능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내장된 모든 부가기능의 메뉴를 표시부에 표시하며(S20), 특정한 부가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S30), 상기 판단(S30)에서 특정 부가기능이 선택된 경우(S30), 선택된 해당 부가기능을 운용하고 종료한다(S40). The portable terminal 10 determines whether the additional function mode is selected to operate the built-in additional function (S10), and displays a menu of all the built-in additional functions when the additional function mode is selected in the determination (S10). In operation S20, it is determined whether a specific additional function is selected (S30). When the specific additional function is selected in the determination (S30), the selected additional function is operated and terminated (S40).

또한, 상기 제1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부가기능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는, 통신모드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하고(S50), 상기 판단(S50)에서 통신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운용하고 종료한다(S60). In addition, if the additional function mode is not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in the first step S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mmunication mode is selected (S50), and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s selected in the determination (S50),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operated. And ends (S60).

또한, 상기 제5 단계(S50)에서 판단하여 통신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가서비스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70), 상기 판단에서 부가서비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느 하나의 부가서비스가 선택된 경우는 해당 부가서비스를 운용(S80)하고 종료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s not selected by the fifth step (S50), it is determined whether one additional service is selected from various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70), and the additional service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If is not selected, it returns to the first step (S10), and if any one of the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service is operated (S80) and ends.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에서 제공되는 부가기능에는, 많이 접속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기록관리하는 전화번호부, 필기구 없이 간단한 메모를 기록하는 메모기능, 필기구 없이 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기록, 일정을 관리하는 스케줄 관리, 자체적으로 운용되는 게임, 영상을 촬영하고 기록하는 카메라 기능, 연산을 하는 전자계산기 기능, 시간 정보를 알려주는 알람기능 등등이 있으며, 주로 통신에 관련된 것이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additional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phone book for recording and managing a phone number that is frequently accessed, a memo function for recording a simple memo without a writing instrument, and a message without a writing instrument. There are message recording, schedule management to manage schedules, in-house games, camera functions to shoot and record video, electronic calculator functions to perform calculations, alarm functions to inform time information, and so on.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대중에게 연설하거나 오락 등에 사용되는 무선앰프에 음성급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마이크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microphone function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voice level signal to a wireless amplifier which is used for speech or entertainment to a large public in everyday lif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부가기능으로, 별도의 외부 무선앰프에 음성급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마이크 모드 기능을 부가기능으로 추가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무선앰프의 무선 수신주파수에 자동 동조하여 설정된 무선송신주파수로 음성급 신호를 무선송신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ditional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dds a wireless microphone mode function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voice level signal to a separate external wireless amplifier as an additional function, and in particular, wirelessly tuned to the wireless recept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amplifi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voice signal at a transmission frequ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전기적 신호는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부와; 상기 오디오부와 접속되고 해당 선택에 의하여 오디오부의 음성급 신호 출력경로 설정을 선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동조한 무선암프 주파수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는 마이크무선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음성급 신호를 이동통신에 할당된 주파수로 무선송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dio unit converts the applied audio signal to an electrical signal and inputs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udio unit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udio-level signal output path setting of the audio unit by corresponding selection; A microphone wireless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verts an input voice level signal into a tuned radio amp frequency and transmits the radio sig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level signal at a frequency allocated to mobile communica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 모드로 선택 운용하는 경우에 내장된 마이크무선부 송신주파수와 외부 무선암프의 수신 무선주파수가 동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휴대단말기의 송신주파수와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가 동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마이크무선부의 송신주파수를 동조시키는 보정과정과; 상기 보정과정의 휴대단말기 오디오부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무선마이크로 동작하도록 운용하는 마이크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and operated in a wireless microphone mode, the start of judging whether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built-in microphone wireless unit and the reception radio frequency of the external radio amplifier is synchronized.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amplifier are not synchronized in the starting process, directly adjusting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amplifier to synchronize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When a voice level signal is input from the audio uni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correction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phone process for operating to operate as a wireless microphon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wireless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무선부의 상세 기능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방법 순서도 이다. 3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microphon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etailed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icrophone wireless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microphone method of a mobile terminal.

상기 도3 과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100)의 무선마이크 장치는, 음성급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전기적 신호는 음성급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오디오부(110)와, 3 and 4, the wireless microphon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unit 110 converts and inputs the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converts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a voice signal (110) )Wow,

상기 오디오부(110)와 접속되고 해당 제어명령 분석에 의하여 상기 오디오부(110)의 음성급 신호 출력경로 설정을 선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무선마이크로 동작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상기 마이크무선부(130)로 출력하도록 음성급 신호 전송 경로를 설정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lected to operate as a wireless microphone by selecting and controlling the voice level signal output path setting of the audio unit 110 by connecting to the audio unit 110 and analyzing the control command. A control unit 120 for setting and controlling a voice level signal transmission path to output the voice level signal input from the audio unit 110 to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상기 제어부(120)와 접속되고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별도 선택된 외부의 무선암프 무선 수신주파수 신호로 변환 송신하기 위하여, 외부의 무선암프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수신 주파수 신호에 동조하여 무선송신 주파수를 설정하는 것으로, 입력 신호를 무선송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전압제어로 생성하는 국부발진부(132); 상기 국부발진부(132)의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혼합하는 믹서부(134); 상기 믹서부(134)의 신호를 입력하고 무선암프의 수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는 무선부(136); 상기 무선부(136)의 송신주파수 신호와 외부의 상기 무선암프 수신주파수 신호를 비교하여 차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전압신호로 출력하는 주파수비교부(138)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무선부(130)와, In order to convert and transmit the voice level sig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input into a separately selected external wireless amp radio reception frequency signal, a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is set in synchronization with a radio reception frequency signal applied from an external radio amp. A local oscillation unit 132 for generating a local oscillation frequency signal for converting an input signal into a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signal by voltage control; A mixer unit 134 for mixing the frequency signal of the local oscillator 132 and the voice leve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120; A radio unit 136 for inputting a signal of the mixer unit 134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reception frequency signal of a radio amplifier for wireless transmission; A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including a frequency comparison unit 138 for compar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signal of the radio unit 136 with the external radio amplifier reception frequency signal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as a voltage signal;

상기 제어부(120)와 접속되고 음성급 신호를 이동통신에 할당된 무선 주파수 신호로 무선송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14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 voice level signal to a radio frequency signal allocated to mobile communication.

또한, 상기 국부발진부(132)는, 상기 주파수비교부(138)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제어 신호에 의하여 생성 주파수를 조정하는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local oscillator 132 is configured to adjust the generated frequency according to the voltag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frequency comparator 138.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휴대단말기(100)는 선택에 의하여 통신모드 상태에서 부가기능 중에 하나인 무선마이크 모드로 전환되어 무선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선택을 인식한 제어부(120)는, 오디오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가 이동통신무선부(140)로 인가되는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무선마이크부(130)로 인가되도록 해당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마이크로 사용되는 경우,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무선암프와 별도 할당된 무선주파수 신호로 무선접속되어 단방향으로 음성급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무선암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50 KHz 대역의 무선주파수 신호를 이용하고, 상기 무선마이크로부터 단방향으로 무선송신되는 음성급 신호를 무선수신하며, 상기 무선수신된 음성급 신호를 설정된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유선으로 접속되지 않고서도 여러 사람에게 음성급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람이 모인 장소 등에서 공연, 의사전달 및 지휘 통제 등에 사용된다,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switched to a wireless microphone mode, which is one of additional functions, in a communication mode state by selection, and used as a wireless microphone. The controller 120 recognizing the above selection is input from the audio unit 110. Blocks a path from which the voice level signal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unit 140 and sets the corresponding path to be appli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130.
When used as a wireless microphone as described above, the radio amplifier is separately provided to the outside and the radio frequency signal separately allocated to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in one direction.
The radio amplifier generally uses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band of 20 to 50 KHz, wirelessly receives a voice leve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in one direction, and amplifies the wireless level voice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It can be used for performances, communication and command control in places where many people are gathered because it can transmit voice level signals to many people without being connected by wire.

상기 마이크무선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오디오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믹서부(134)에 인가하며, 상기 믹서부(134)에는 국부발진부(132)로부터 국부발진주파수가 동시 인가된다.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applies a voice level signal input from the audio unit 110 to the mixer unit 13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nd a local oscillation unit 132 to the mixer unit 134.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is applied simultaneously.

상기 믹서부(134)는 각각 입력되는 상기 음성급 신호와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하고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여, 무선부(136)에 인가하며, 상기 무선부(136)는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증폭 조정하며 해당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출력한다. The mixer unit 134 mixes the input voice level signal and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and up-modulates the high frequency signal to the radio unit 136, and the radio unit 136 appropriately applies the input high frequency signal. Amplify and adjust wirelessly through the antenna.

상기와 같이 마이크 무선부(130)의 무선부(136)를 통하여 무선출력되는 음성급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와 같이, 일 예로, 20 KHz 내지 50 KHz 범위이며, 상기 무선암프가 무선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신호의 범위와 일치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requency of the voice level signal wirelessly output through the wireless unit 136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20 KHz to 50 KHz, and the wireless amplifier can wirelessly receive the signal. Match the frequency range of the signal.

상기 무선암프가 무선수신하는 무선주파수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무선부(130)가 무선송신하는 무선주파수는 일치 또는 동조(TUNING)되어야 하며, 상기와 같이 동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파수비교부(138)는, 외부의 상기 무선암프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직접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부(136)로부터 무선송신되어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경로로 입력된 주파수 신호를 비교하여 주파수 차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국부발진부(132)에 출력한다. The radio frequency wirelessly received by the radio amplifier and the radio frequency wirelessly transmitted by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should be matched or tuned. In order to tune as described above, the frequency comparison unit 138 At the same time, directly inputs a frequency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external wireless amplifier, and inputs a frequency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unit 136 and outputs a frequency signal input through each path as described above. In comparison,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difference is output to the local oscillator 132.

상기 마이크 무선부(130)의 국부발진부(132)는, 상기 주파수비교부(138)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생성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를 높이거나 낮추는 보정을 하므로, 상기 무선부(136)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와 외부의 상기 무선암프가 무선수신하는 주파수를 일치시키며, 상기 주파수비교부(138)로부터 주파수 조정을 위한 해당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국부발진부(132)는, 최종 설정된 국부발진주파수를 계속 발생 출력한다. The local oscillator 132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corrects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frequency comparator 138 to increase or decrease the local oscillation frequency. When the output frequency signal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external radio amplifier wirelessly received,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for frequency adjustment is not input from the frequency comparator 138, the local oscillator 132 is finally set. Local oscillation frequency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output.

상기 주파수비교부(138)는, 초기에 상기 외부 무선암프의 무선수신 주파수와 상기 마이크무선부(130)의 송신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동조를 위하여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를 별도의 경로를 통하여 직접 입력하고, 상기 무선부(136)가 출력하는 송신주파수가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와 대비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그 차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대비한 양자의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는, 상기 별도 외부 무선암프로부터 수신 주파수 입력을 차단한다. The frequency comparator 138 directly inputs a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through a separate path for tuning the radio reception frequency of the external radio amplifier to match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When the transmission frequency output from the radio unit 136 is not the same as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s output. Block the receive frequency input from an external radio amp.

상기 휴대단말기 마이크 무선부(130)의 주파수 비교부(138)에서 외부의 별도 무선암프로부터 수신주파수를 직접 입력받는 것은, 상기 외부 무선암프에 구비된 해당 유선의 코드(CORD)를 이용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 마이크무선부(130)의 주파수 비교부(138)에도 상기 코드가 접속되어 주파수 신호를 입력할 잭(JACK)을 구비한다. In order to directly receive a reception frequency from an external separate wireless amp from the frequency comparison unit 138 of the portable terminal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a corresponding cord of cord provided in the external wireless amp is used. The code is also connected to the frequency comparator 138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jack for inputting a frequency signal.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0)는, 무선마이크 모드 선택에 의하여 무선마이크로 사용되고,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100)를 다수 사용하는 경우, 회의장이나 강의실 등에서 하나의 무선암프를 다수에 의하여 동시 이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a wireless microphone by the wireless microphone mode selection, when using a plural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one wireless amp in a conference room or lecture room, etc. Can be used simultaneously.

이하, 상기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wireless microphone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휴대단말기(100)를 무선마이크 모드로 선택 운용하는 경우에 마이크무선부(130)와 상기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무선암프가 상호 송수신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동조(TUNING) 하였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것으로, 제어부(120)에 의하여 해당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무선마이크 모드(MODE)로 운용되도록 선택되었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의 확인 판단에서 무선마이크 모드가 선택된 경우, 휴대단말기(100)의 마이크무선부(130) 송신주파수가 상기 외부의 무선암프 수신주파수와 일치하는 동조(TUNING)되었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lected and operated in a wireless microphone mod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and the wireless amplifier separately provided outside are tuned to matc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requency. Analyz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selected to operate in a wireless microphone mode (S100); When the wireless microphone mode is selected in the confirmation of the process (S1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ned to match the external wireless amp reception frequency. The starting process consisting of the process (S110),

상기 시작과정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 무선부(130)의 송신주파수와 상기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가 동조(TUNING)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마이크무선부(130)를 동조시키는 것으로, 상기 외부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를 동조용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입력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입력된 상기 외부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무선부(130) 송신주파수가 동조(TUNING)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에서 판단하여 동조된 경우에, 상기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 입력을 차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30)에서 상기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와 휴대단말기(100)의 마이크무선부(130) 무선 송신주파수가 동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상기 무선암프 수신주파수를 직접 입력하고 기준으로 설정하여, 상기 마이크무선부(130) 송신주파수를 보정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진 보정과정과, In the start process,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radio unit 130 and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is not tuned (TUNING), the radio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Inputting directly to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inputting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external wireless amp to the portable terminal for tuning (S120); Confirm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reception frequency of the external wireless amp input in step S120 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tuned (SUN); Blocking the radio frequency input of the radio amplifier when it is determined and tuned in the process (S130) (S14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radio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and the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re not tuned, the radio amplifier reception frequency is directly inputted as a reference. By setting, the correction process consisting of a step (S170) for correcting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상기 보정과정의 휴대단말기 오디오부(110)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무선마이크로 동작하도록 음성급 신호 전송경로를 설정 운용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오디오부(110)를 통하여 무선마이크를 위한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에서 판단하여 무선마이크 모드 운용을 위한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무선부(130)로부터 무선송신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로 운용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 과정으로 구성된다. When a voice level signal is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audio unit 110 of the correction process, the voice level signal transmission path is set and operated to operate as a wireless microphone, and wirelessly through the audio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firming and determining whether a voice level signal for the microphone is input (S150);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S150) and a voice level signal for operating in the wireless microphone mode is input, the microphone is composed of a microphone process consisting of the step of wirelessly transmitting from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as a wireless microphone (S160). do.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의 무선마이크 방법을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wireless microphone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신모드로 이용할 것인지 또는 무선마이크 모드로 운용하도록 선택되었는지를 상기 제어부의 해당 제어명령 분석에 의하여 확인 판단하고(S100), 상기 확인 판단(S100)에서 무선마이크 모드로 운용하는 것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외부의 무선암프와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무선부(130)가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동조(TUNING)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0). Whether to use in the communication mode or the wireless microphone mode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is confirmed and confirmed by the analysis of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S100), the wireless microphone in the confirmation determination (S100) When it is analyzed by the control command to select to operate in the m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ernal wireless amplifier and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uned (TUNING) to match the transmission frequency and the reception frequency (S110).

즉,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마이크무선부(130)에 구비되는 무선부(136)로부터 출력되어 무선송신되는 무선주파수 신호와, 상기 외부의 무선암프가 무선수신하는 무선주파수가 동일하게 일치되어 동조(TUNING) 되었는지를 확인 판단한다(S110). That is, the radio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radio unit 136 provided in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radio transmission are identical to the radio frequency radio reception by the external radio amplifier. Check and determine whether the tuning (TUNING) (S110).

상기 판단(S110)에서 상기 외부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와 상기 마이크 무선부(130)의 무선부(136)의 무선 송신주파수가 일치하여 동조된 경우는 상기 마이크과정(S150)으로 진행하고, 동조되지 않은 경우는, 동조를 위하여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를 입력하고(S120), 상기 과정(S120)에서와 같이 입력된 수신주파수와 무선부(136)의 송신주파수가 일치하는 동조되었는지를 확인 판단하며(S130), 상기 판단(S130)에서 동조되지 않은 경우는 무선부(136)의 무선 송신주파수를 변경하는 보정하고(S170), 상기 동조판단 과정(S130)으로 궤환(FEEDBACK)한다. If the wireless reception frequency of the external wireless amp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unit 136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are coincided with each other in step S110, the process proceeds to the microphone process S150. If not, input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for tuning (S120), and as shown in the step (S120) and confirms whether the received frequency 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radio unit 136 is matched and judged If it is not tuned in the determination (S130) (S130), it is corrected to change the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radio unit 136 (S170), and the feedback to the tuning determination process (S130) (FEEDBACK).

상기 동조판단 과정(S130)에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무선부(130)의 주파수 비교부(138)가 생성하여 출력하는 송신주파수가, 상기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와 일치하는 동조(TUNING)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외부의 무선암프로부터 입력되는 수신주파수를 차단한다(S140). The transmission frequency generated and output by the frequency comparator 138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by the control unit 120 in the tuning determination process (S130) is synchronized with the radio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UNING), the reception frequency input from the external radio amp is cut off (S140).

상기와 같이 마이크무선부(130)의 무선 송신주파수와 상기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가 일치하는 동조 상태를 확인한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오디오부(110)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50), 상기 판단(S150)에서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부(110)와 마이크무선부(130)의 경로를 연결하므로, 상기 마이크무선부(130)에서 상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해당 무선 송신주파수로 출력하여 무선송신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firms a tuning state in which the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and the radio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are identical to each other. Is determined (S150), and when the audio level signal is input in the determination (S150), the path of the audio unit 110 and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is connected, so that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Outputs the voice level signal at a corresponding wireless transmission frequency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상기 무선부(136)가 무선마이크 모드 운용을 위하여 송신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는, 일 예로, 20 KHz 내지 50 KHz 범위로 상기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무선암프의 종류에 따라서 점유하는 대역폭에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 The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by the radio unit 136 for the wireless microphone mode operation, for example, 20 KHz to 50 KHz range slightly depending on the bandwidth occupied according to the type of radio amplifier separately provided in the outside There is.

상기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100)를 무선마이크 모드로 선택하고(S100), 마이크무선부(130)의 무선 송신주파수를 상기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와 일치되도록 동조하며(S110 내지 S140), 상기와 같이 동조한 후에 오디오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마이크 무선부를 통하여 동조된 무선주파수 신호로 무선송신하여 무선마이크로 운용(S150, S160)하는 것으로, 다수 휴대단말기(100)를 동일한 송신주파수의 무선마이크로 설정하여 동시 운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s selected as a wireless microphone mode (S100), and tunes the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130 to match the radio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S110 to S140), After tuning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level signal input from the audio unit 110 is wirelessly transmitted as a radio frequency signal tuned through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to operate wireless micro (S150, S160), and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0 are the same. Simultaneous operation can be made by setting the wireless microphone of the transmission frequency.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운용모드를 무선마이크 모드로 선택하는 조작에 의하여 필요시에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로 대용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n industrial use effect of substituting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wireless microphone when necessary by an operation of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the wireless microphone mode.

또한, 전압제어에 의하여 발진주파수를 변경하는 국부발진부를 이용하고, 별도로 분리된 외부 무선암프로부터 직접 인가되는 무선 수신주파수와 무선부의 무선 송신주파수의 차이를 검출하여 국부발진부를 제어하므로, 정확하게 동조된 송신주파수로 양질의 음성급 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local oscillator for chang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by voltage control, the local oscillator is controlled accurately by detecting a difference between a radio receiving frequency directly applied from a separate external radio amplifier and a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radio unit. It is convenient to use to transmit high quality voice quality signal at the specified transmission frequency.

또한, 다수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로 동시 운용하므로 회의장 등에서 다수의 무선마이크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re simultaneously operated by a wireless microphone,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in that a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s do not need to be prepared in a conference room or the like.

Claims (10)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전기적 신호는 음성급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부와, An audio unit converting an applied voice leve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inputting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into a voice level signal; 상기 오디오부와 접속되고 해당 선택에 의하여 오디오부의 음성급 신호 출력경로 설정을 선택 제어하는 제어부와,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udio unit and selectively controlling the audio signal output path setting of the audio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동조한 무선암프 주파수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는 마이크무선부와, A microphone wireless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verts an input voice level signal into a tuned radio amplifier frequency and transmits the radio signal;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고 음성급 신호를 이동통신에 할당된 주파수로 무선송수신하는 이동통신무선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And a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level signal at a frequency allocated to mobile communic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 동작으로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상기 마이크무선부로 출력하도록 경로설정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selected as a wireless microphone operation, the wireless microphone apparatus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ting setting is controlled to output a voice level signal input from the audio unit to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무선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별도 구비되는 외부의 무선암프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수신 주파수에 동조하여 무선송신 주파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to set the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adio reception frequency applied from an external radio amplifier provided separatel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무선부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무선송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해당 제어에 의하여 생성 출력하는 국부발진부와, A local oscillation unit generating and outputting a local oscillation frequency signal for converting a voice leve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into a radio transmission frequency signal by a corresponding control; 상기 국부발진부의 주파수 신호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혼합하는 믹서부와, A mixer unit for mixing the frequency signal of the local oscillation unit and the voice level signal inputted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믹서부의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외부 무선암프의 수신 주파수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는 무선부와, A wireless unit which inputs a signal of the mixer unit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reception frequency of the external wireless amp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상기 무선부의 송신주파수와 상기 외부의 무선암프 수신주파수를 입력하고 비교하여 차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비교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And a frequency comparator configured to input and compare a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radio unit and a radio frequency reception frequency of the external unit, and outpu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al oscillator, 상기 주파수비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제어신호에 의하여 생성 출력되는 주파수를 조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장치. The wireless microphon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frequency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frequency comparator.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 모드로 선택 운용하는 경우에 내장된 마이크무선부 송신주파수와 외부 무선암프의 수신 무선주파수가 동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In the case of selecting and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in the wireless microphone mode, a start-up process of judging whether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built-in microphone wireless unit and the reception radio frequency of the external radio amplifier are synchronized; 상기 시작과정에서 휴대단말기의 송신주파수와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가 동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마이크무선부의 송신주파수를 동조시키는 보정과정과,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amplifier are not tuned in the starting process, the correction process of directly inputting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amplifier to synchronize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상기 보정과정의 휴대단말기 오디오부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무선마이크로 동작하도록 운용하는 마이크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방법. And a microphone process operated to operate as a wireless microphone when a voice level signal is input from the audio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correction proces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arting process, 상기 휴대단말기 제어부에 의하여 무선마이크 모드로 운용되도록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is selected to operate in a wireless microphone mode; 상기 과정에서 무선마이크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확인 판단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무선부 무선 송신주파수가 상기 무선암프의 무선 수신주파수와 동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방법.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microphone mode is selected in the above process, the wireless microphone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ynchronized with the wireless recept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amplifier.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rrection process, 상기 시작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 무선부가 상기 외부의 무선암프와 무선주파수 신호에서 동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를 동조용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Inputting, by the controller of the starting process, a reception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for tuning when the microphone radio unit is not synchronized with the external radio amplifier and a radio frequency signal; 상기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와 휴대단말기의 마이크무선부 송신주파수가 동조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amp input in the input process and the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microphone wireless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상기 판단과정에서 판단하여 동조된 경우에 상기 무선암프의 동조용 수신주파수 입력을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방법. And a step of blocking the input of the tuning frequency of the radio amplifier when the tune is determined and tune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제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판단과정에서 상기 무선암프의 수신주파수와 휴대단말기의 상기 마이크무선부 송신주파수가 동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암프 수신주파수를 기준으로 마이크무선부 송신주파수를 보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방법. If the reception frequency of the wireless amplifier and the microphone wireless transmission frequenc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tune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microphone wireless transmission frequency based on the wireless amplifier receiving frequency Wireless microphone method of using a mobile termina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icrophone process, 상기 보정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오디오부로부터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 판단하는 과정과, Confirming and determining whether a voice level signal is input from the audio unit by the controller of the correction process; 상기 판단과정에서 판단하여 무선마이크를 위한 음성급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무선부로부터 출력 무선송신하므로 휴대단말기를 무선마이크로 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무선마이크 방법. The wireless microphone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as a wireless microphone because the output is wireless transmission from the microphone wireless unit when a voice level signal for the wireless microphone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KR1020030060888A 2003-09-01 2003-09-01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 KR100641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888A KR100641135B1 (en) 2003-09-01 2003-09-01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
CNB2004100369489A CN100382658C (en) 2003-09-01 2004-04-21 Portable terminal wireless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888A KR100641135B1 (en) 2003-09-01 2003-09-01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453A KR20050022453A (en) 2005-03-08
KR100641135B1 true KR100641135B1 (en) 2006-11-02

Family

ID=3723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888A KR100641135B1 (en) 2003-09-01 2003-09-01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1135B1 (en)
CN (1) CN100382658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4781C (en) * 2005-03-11 2009-01-21 联想(北京)有限公司 Method for implementing association between radio loudspeaker and radio sound source
CN102170607A (en) * 2010-02-26 2011-08-31 嘉强电子股份有限公司 Wireless voice amplification system and volume control method of wireless microphone and wireless voice amplif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2904A (en) * 1998-01-22 1999-11-09 Voice Communication Interface Corp. Wireless headset
FR2777719B1 (en) * 1998-04-20 2000-05-26 Alsthom Cge Alcatel RADIO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2658C (en) 2008-04-16
KR20050022453A (en) 2005-03-08
CN1592493A (en)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3619B2 (en) Method for offering TTY/TDD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595695B1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modular with additional service for mobile phone
US7027881B2 (en) Remote control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KR100389521B1 (en) Voice processing method, telephone using the same and relay station
KR1003933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urrent time in cellular wireless telephones
US20040204168A1 (en) Headset with integrated radio and piconet circuitry
CN101422024A (en) Select from the carrier type that external equipment initiates to carry out to the calling of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US2005019199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 use of same
KR100312233B1 (en)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forming of compound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224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 terminal equipment
KR100641135B1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erating wireless microphone by using mobile phone
KR101076500B1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KR200500358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transmission power of a remote wireless device
KR20080033631A (en) Ultra wide b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0474183B1 (en) A mobile radio for mobile wireless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1103530A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3060737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program thereof
US20080009247A1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KR100628045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the receiving method thereof
KR100381698B1 (en) Analogue/Digital radio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KR10062696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utomation using mobile phone
KR100469854B1 (en) Method for reserved tv-phone broadcasting using a classified region-channel scanning
KR100194417B1 (en) How to adjust the ring volume of the fixed device using the mobile device of the cordless phone
KR970003973B1 (en) Complex terminal
KR20010027310A (en)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mobile station useful both for wide-band wireless local-loop network and narrow-band mobile wireless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