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101B1 - 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 Google Patents

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101B1
KR100641101B1 KR1020040086835A KR20040086835A KR100641101B1 KR 100641101 B1 KR100641101 B1 KR 100641101B1 KR 1020040086835 A KR1020040086835 A KR 1020040086835A KR 20040086835 A KR20040086835 A KR 20040086835A KR 100641101 B1 KR100641101 B1 KR 10064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home network
block
blocks
fun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37781A (en
Inventor
전범진
손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101B1/en
Publication of KR2006003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7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홈 네트워크 서버는 가전 기기 제어망, 감지 기능 제어망, 외부 통신망을 비롯한 화상 통화 기능까지 하나의 단일 서버가 관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모든 기능들의 제어를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성능의 주 제어장치(CPU)와 복잡하고 높은 성능의 주변 시스템들이 필요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효율이 낮아지고 소비 전력이 커지며, 새로운 기능들을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모든 객체들의 자율성과 이동성 및 네트워킹 기능이 강조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서버를 주된 기능별로 블록화 하여 높은 제어 성능이 필요한 블록은 주 제어기를 장착하고, 높은 제어 성능이 필요 없는 블록은 낮은 성능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전문 기능용 제어기를 이용하도록 기능별로 블록화 한 후, 각 블록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서버 시스템을 분산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기능 추가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대기 전력 및 시스템 가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controlled home network server system, and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server controls all functions because a single server manages a video call function including a home appliance control network, a sensing function control network,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e need for a high performance main controller (CPU) and complex and high performance peripheral systems is inevitable, resulting in lower system efficiency, higher power consumption, and the difficulty of easily applying new featur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y could not cope with the ubiquitous environment in which their autonomy, mobility, and networking functions were emphasiz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block the home network server by the main function block that requires high control performance is equipped with the main controller, the block that does not need high control performance is the micro By blocking functions by using a controller or a controller for specialized functions, and distributing the server system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blocks, it maximizes system utilization, flexibly responds to function addition, and greatly reduces standby power and system price. It can be effective.

Description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Distributed control home network server system {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도 1은 종래 홈 네트워크의 일반적 구성이다.1 is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ome network.

도 2는 본 발명 분산형 홈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이다.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d home network.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제 1블록 15: 표시부 및 터치패널10: first block 15: display unit and touch panel

20: 제 2블록 25: 스피커20: second block 25: speaker

30: 무선 모뎀 제어기30: wireless modem controller

본 발명은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응하고 대기 전력을 줄이도 시스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의 제어부드을 분산시킨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control home network serv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ributed control home network server system in which a controlled control of a system is distributed in order to cope with a ubiquitous environment and reduce system standby power.

최근 각종 국부 지역 네트워크(LAN) 및 유무선 인터넷 망의 보급과 함께 각광받고 있는 홈 네트워크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 제품들이 서로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하여 리모콘 하나로도 대부분의 가전 제품을 동작 시키고, 인터넷을 통해 디 지털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즉, 텔레비전, 냉장고, 컴퓨터 등 가정의 모든 가전 제품들이 상호통신 되는 것은 물론 외부와도 아무런 어려움 없이 통신이 가능한 이른바 '홈네트워킹' 세상은 이미 시작 되었다. Recently, the home network, which is in the spotlight with the spread of various local area networks (LAN) and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s, enables home applian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most home appliances can be operated with a single remote controller. Digital audio and video data is now available. In other words, all home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s, refrigerators, and computers are not on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so-called 'home networking' world has been started.

이러한 가정내 가전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기능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비쿼터스 통합환경의 구현이 될 것이며, 이를 목표로 계속하여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The ultimate goal of these home appliances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will be the implementation of a ubiquitous integrated environment, with the aim of adding functions continuously.

도 1은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서버의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정의 가전 기기 제어망, 유무선 데이터망, 방범/방재망 등이 복잡하게 연결되며, 화상통신 기능까지 추가되고 있어 대단히 복잡한 시스템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새로운 기능들의 추가 요구에 신속히 대응해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home network server. As shown in FIG. 1, a home appliance control network, a wired / wireless data network, and a security / disaster prevention network are complicatedly connected, and a video communication function is added. I'm going. There is also a growing need to respond quickly to the need to add new features.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가전기기들의 제어기능과, 각종 감지 기능들이 서버에 집중되고, 외부망 연동과 화상통화 및 유무선 통신 기능도 추가되면서 이를 감당하기 위하여 서버의 주 제어장치(CPU) 및 주변 시스템들이 고성능화 되었다. 하지만, 주 제어장치의 고성능화를 유발하는 화상 통화 등의 고급 어플리케이션은 주 제어장치의 고급화에 필요한 비용이나 소모하는 전류에 비해 그 활용 시간이 짧기 때문에 시스템의 효율성을 낮추는 주된 요인이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functions of all home appliances, various sensing functions are concentrated on the server, and the main control unit (CPU) and peripheral systems of the server are managed to cope with the addition of external network interworking, video call,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High performance. However, advanced applications such as video calls, which lead to higher performance of the main controller, are a major factor in lowering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because the utiliz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cost or current consumed for the main controller.

또한, 모든 객체들이 자율성과 이동성을 가지고 스스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네트워크에 통합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으로의 전환 추세에 비추어 종래의 중앙집중형 홈 네트워크 서버는 기술 발전의 추세에 역행하는 비효율적인 방법임에 틀림없다.In addition, in the light of the trend toward a ubiquitous environment where all objects are self-service and mobile, and aim to be integrated into the network, the conventional centralized home network server is an inefficient way to counter the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Must b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홈 네트워크 서버는 가전 기기 제어망, 감지 기능 제어망, 외부 통신망을 비롯한 화상 통화 기능까지 하나의 단일 서버가 관리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모든 기능들의 제어를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성능의 주 제어장치(CPU)와 복잡하고 높은 성능의 주변 시스템들이 필요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효율이 낮아지고 소비 전력이 커지며, 새로운 기능들을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모든 객체들의 자율성과 이동성 및 네트워킹 기능이 강조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server manages a single server from a home appliance control network, a sensing function control network,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o a single server, so that it can handle all functions. The need for the main control unit (CPU) and complex, high-performance peripheral systems reduces system efficiency, increases power consumption, makes it difficult to apply new features, and provides autonomy, mobility, and networking of all objects.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cope with the highlighted ubiquitous environment.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서버를 주된 기능별로 블록화 하여 높은 제어 성능이 필요한 블록은 주 제어기를 장착하고, 높은 제어 성능이 필요 없는 블록은 낮은 성능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전문 기능용 제어기를 이용하도록 기능별로 블록화 한 후, 각 블록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서버 시스템을 분산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기능 추가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대기 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block the home network server by the main function block that requires high control performance is equipped with the main controller, the block that does not need high control performance is a low performance micro By blocking functions by using a controller or a controller for specialized functions, and distributing the server system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blocks, it is possible to maximize system utilization, flexibly respond to function addition, and greatly reduce standby pow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led home network server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 처리 및 이더넷 통신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가장 높은 성능의 제어부와 주변 회로부를 구비한 고성능 제어 블록과; 다양한 감지 수단을 제어하고 음향 및 영상 신호들을 스위칭하며 유무선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들을 시스템 자원의 상관관계에 따라 구분한 후 개별 제어기를 가지도록 블록화 하고, 상기 고성능 제어 블록 및 상기 구분된 블록들 간에도 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하나 이상의 중저성능 제어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igh-performance control block having a control unit and the peripheral circuit portion of the highest performance to perform processing related to image processing and Ethernet communication; Functions for controlling various sensing means, switching audio and video signals, and processing wired / wireless control signal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system resources and blocked to have individual controllers, and also between the high performance control block and the separated blocks. And one or more medium and low performance control blocks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가 관리하는 각 기능들과 시스템 자원의 연관 관계에 따라 강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스템 자원들을 소정의 기능 블록으로 정의하고, 각 기능 블록들을 담당할 개별 제어부를 구성한 후,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정의함으로써,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기능 블록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system resource showing a strong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functions managed by the home network and the system resource as a predetermined function block, and after configuring the individual control unit for each function block, input and output By defining an interface, a plurality of functional blocks are interconnected by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interface and connected with home network device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function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별 블록들로 홈 네트워크 서버를 분산 구성하여 각 블록이 특정한 기능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각 블록의 전문성을 개별 관리하고, 특정 어플리케이션 구동시 관련 블록만 동작시켜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분산 제어 서버를 구축한 것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home network server is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functional blocks so that each block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the distributed control server is built to increase system efficiency by operating only relevant blocks when driving a specific application.

먼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구성이나 연결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홈 네트워크 서버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기능들을 확인하고, 이를 기능과 사용되는 시스템 자원별로 구분하여 블록화 해보도록 한다.First, by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r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ommonly used home network server, to check the basic functions that the home network server should have, and to block them by dividing them by function and system resources used.

기본적인 홈 네트워크 서버의 주요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The main functions of a basic home network server are as follows.

1. 도어폰 연동기능1. Door phone interworking function

2. 국선 통화 송수신 기능2. CO line cal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3. 방법/방재 기능3. Method /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4. 인터넷 연동 (화상) 통화(VoIP) 기능4. Internet interworking (VoIP) function

5. 아파트나 집단 거주지인 경우 단지 서버와의 네트워킹 기능5. Networking function with server only in apartment or group residence

6. 통합 리모콘과의 연동기능6. Linkage with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7. 상이한 여러 망들과의 연결을 위한 브릿지 기능7. Bridge function for connecting to different networks

8. 가전기기 제어 기능8. Home appliance control function

9. 사용자 콘솔 기능9. User Console Function

위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단일한 제어기를 가진 서버 하나로 모두 감당하기 위해서는 제어기의 성능이 높아져야 하며, 작은 기능을 하나 수행하기 위해서도 전체 시스템이 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기능과 시스템 자원의 상관 관계에 따라 블록화 하고, 공유될 수 있는 자원은 공유하도록 하여 가격과 시스템 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 In order to cover all the above functions with one server having a single controller,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ler must be high, and the entire system must be operated to perform one small function. Therefore, it should be block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function and system resources, and resources that can be shared should be shared to improve price and system efficiency.

다음의 표 1은 상기 언급한 홈 네트워크 서버의 주요 기능들과, 각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시스템 자원들과 연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main functions of the above-mentioned home network server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ystem resources that should be used to perform each function.

CPUCPU 비디오video 이더넷Ethernet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오디오audio 도어폰 연동 기능Door phone interlocking function 낮음lowness 높음height -- -- 보통usually 높음height 국선통화 송수신기능CO line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낮음lowness 높음height -- -- -- 높음height 방범/방재 기능Security /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낮음lowness -- -- 높음height -- 보통usually VoIP 통화기능VoIP call function 높음height 높음height 높음height -- -- 높음height 단지서버 네트워킹Only server networking 높음height -- 높음height -- -- 높음height 통합 리모콘 연동 기능Integrated remote control linkage function 보통usually -- -- -- 높음height -- 망 브릿지 기능(물리적)Network bridge function (physical) 낮음lowness -- -- 높음height -- -- 망 브릿지 기능Net bridge function 높음height -- 높음height 높음height 높음height -- 가전기기 제어 기능Appliance control function 낮음lowness -- -- 높음height -- --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User interface features 보통usually 높음height -- -- -- 높음height

도시된 표의 시스템 자원과 각 기능들과의 상관관계는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요구되는 성능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스템 자원들 중에서 제어부, 비디오 자원 및 이더넷 자원은 높은 성능의 가지는 기능부를 통해 구현되어야 하는 자원들이며, 직렬 통신이나 무선 통신 부분은 낮은 성능의 기능부를 통해서도 충분히 구현이 가능한 자원들이다. 또한, 오디오의 경우 역시 단순 아날로그 신호의 증폭이나 단순 알람음 생성 정도라면 낮은 성능의 기능부를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 resources of the table and each function means that the higher the correlation, the higher the required performance value. Among the system resources, the control unit, the video resource, and the Ethernet resource are resources to be implemented through a high performance function unit,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part is resources that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even through a low performance function unit. In addition, audio can also be implemented through low performance functions as long as it amplifies a simple analog signal or generates a simple alarm sound.

상기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시스템의 기능을 크게 3개의 블록으로 구분한 경우, 다음과 같은 블록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간단한 기능들의 구분은 설계자의 재량에 따르거나 일종의 표준으로 결정할 수 있어 새로운 기능 추가시 새로운 블록을 더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function of the system is divided into three blocks through the above analysis results, it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blocks. The division of simple functions can be decided at the designer's discretion or as a kind of standard, so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new blocks so that new blocks can be connected.

먼저, 가장 복잡한 기능으로 영상 처리 기능과 이더넷 관리 기능(망 브릿지 기능 포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고급 어플리케이션 구동 기능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고성능 제어 블록(제 1블록(1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높은 성능의 제어기(CPU)와 각종 비디오 및 영상 관련 처리 장치, 그리고 이더넷과 인터넷 및 상이한 망을 브릿지 하기 위한 장치로 이루어져, 앞서 구분한 홈 네트워크 서버의 9가지 주요 기능들 중, 인터넷 연동 (화상) 통화(VoIP) 기능(4번 기능), 아파트나 집단 거주지인 경우 단지 서버와의 네트워킹 기능(5번 기능), 상이한 여러 망들과의 연결을 위한 브릿지 기능(7번 기능), 사용자 콘솔 기능(9번 기능)을 담당하며, 다른 망들과의 연결을 위한 직렬 통신 기능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부가 장치로 표시부 및 터치패드(15)가 연결될 수 있다.First, a high-performance control block (first block 10) may be configured as the most complicated function as shown for advanced application driving functions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function, an Ethernet management function (including a network bridge function), and a user interface. . It consists of a high-performance controller (CPU), various video and video processing devices, and a device for bridging Ethernet, the Internet, and different networks. ) Voice (VoIP) function (4 functions), networking with only server (5 functions) for apartments or group residences, bridge function (7 functions) for connecting to different networks, user console function ( Function 9), and also has a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nnecting to other networks. The display unit and the touch pad 15 may be connected to the additional device.

그 다음, 중간 성능을 요하는 기능을 위해서, 단순한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들을 제어하고, 해당 기기들로부터 상태 정보를 받아 자체 처리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상기 제 1블록(10)에 제공해 줄 수 있도록 제 2블록(2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는 간단한 연산이나 다양한 입출력 제어가 가능한 마이크로 콘트롤러 정도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별한 운영체제 등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고속 동작 및 낮은 가격의 실현이 가능해 지고, 많은 수의 입출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블록(20)이 담당할 수 있는 기능은 앞서 구분한 홈 네트워크 서버의 9가지 주요 기능들 중, 도어폰 연동기능(1번 기능), 국선 통화 송수신 기능(2번 기능), 방법/방재 기능(3번 기능), 가전기기 제어 기능(8번 기능)이 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스위칭하여 제 1블록(10)으로 제공해 주는 기능도 스위치소자의 제어로 가능할 뿐 아니라, 간단한 확인용 음향 출력등도 가능하다. 상기 제 2블록(20)에 연결되는 스피커(25)는 아날로그 오디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제 2블록(20)에서 관리하는 각종 방범/방재 기능이나 가전 기기 제어 기능등에 의한 상태 변경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음향 출력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Then, for a function requiring intermediate performance, a simple signal can be used to control external devices, receiv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devices, and provide it to the first block 10 which processes itself or manages a user interface. The second block 20 can be configured to b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can be configured as a microcontroller capable of simple operation or various input / output control. Since a special operating system is not required, high speed operation and low cost can be realized, and a large number of input / output can be managed effectively. Functions that the second block 20 can handle include door phone interworking function (1 function), trunk line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2 function), method /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Function 3), home appliance control function (Function 8), and the function to switch the analog audio / video signal to the first block 10 is not only possible by the control of the switch element, Simple confirmation sound output is also possible. The speaker 25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 20 is for outputting analog audio sound,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hanges state by various security /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or home appliance control functions managed by the second block 20. It may also be for digital audio sound output to alert the user.

마지막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RF 통신)을 담당하는 부분을 별도로 분리하여 개별 블록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간단한 무선 모뎀 제어기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 모뎀 제어기는 단순한 무선 통신 관련 프로토콜 및 직렬 통신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 콘트롤러일 수 있으므로 가장 낮은 성능을 가지는 블록(제 3블록(30))이 된다. 이는 RF 도어락이나 홈넷 통합 리모콘(RF 나 적외선)의 입력을 받아들여 상기 제 1블록(10)이나 제 2블록(20)에 제공해 주는 단순 기능이며, 앞서 구분한 홈 네트워크 서버의 9가지 주요 기능들 중, 통합 리모콘과의 연동기능(6번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Finally, the part responsib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RF communication) can be separately separated and set as individual blocks, which can consist of a simple wireless modem controll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wireless modem controller may be a microcontroller having a simple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protocol and a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us becomes the block having the lowest performance (third block 30). This is a simple function that accepts an input of an RF door lock or a homenet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RF or infrared) and provides it to the first block 10 or the second block 20. The nine main functions of the home network server identified above are provided. In the meantime, it will be in charge of the interlocking function with the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Function 6).

상기와 같이 나누어진 제 1블록(10), 제 2블록(20), 제 3블록(30)은 직렬 통신 방식으로 상호 정보 및 제어 신호를 교환하며, 아날로그 오디오/비디오 신호가 교환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각 블록들은 하나의 장치에 통합 구성되거나 분산되어 사방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The first block 10, the second block 20, and the third block 30 divided as described above exchange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with each other in a serial communication manner, and are connected to exchange analog audio / video signals. Each of these blocks may be integrated in one device or distributed and divided in all directions.

당연하게도 상기 제 2블록(20)을 더욱 세밀하게 나누어 여러 블록들로 구성해도 되고, 제 2블록(20)과 제 3블록(30)을 통합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다른 기능들을 담당하는 블록들을 더 추가하여 홈 네트워크 서버를 구성할 수도 있다. As a matter of course, the second block 20 may be divided into more detailed blocks, and the second block 20 and the third block 30 may be integrated into one block.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home network server by adding more blocks responsible for other functions.

상기와 같이 홈 네트워크가 관리하는 기능들을 시스템 자원과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복수의 제어 블록들로 나눈후, 각각의 제어 블록들을 상호 블록간 통신이 가능한 제어기로 관리하도록 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dividing the functions managed by the home network into a plurality of control blocks in consideration of correlation with system resources, managing each control block as a controller capable of inter-block communication, provides the following advantages: You can get it.

즉,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개선되는 경우 각 블록별로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 에 용이하게 새로운 흐름에 편승할 수 있게 되며, 각 블록들이 용도에 적합한 성능으로 최적화 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효율성이 크게 높아지고, 사용되지 않는 블록들은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위한 블록들만 동작할 수 있으므로 전원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In other words, if it is improved to a ubiquitous environment, each block can be modified so that it can easily ride on a new flow.Because each block can be optimized for performance, the system efficiency is greatly increased. They can significantly reduce power consumption because only blocks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can be operated while wait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서버를 주된 기능별로 블록화 하여 높은 제어 성능이 필요한 블록은 주 제어기를 장착하고, 높은 제어 성능이 필요 없는 블록은 낮은 성능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전문 기능용 제어기를 이용하도록 기능별로 블록화 한 후, 각 블록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서버 시스템을 분산 구성함으로써, 시스템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기능 추가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대기 전력 및 시스템 가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ed controlled home network server system blocks a home network server according to its main functions so that a block requiring high control performance is equipped with a main controller, and a block that does not need high control performance has a low performance microcontroller. After blocking by function to use the controller for professional functions, distributed server system is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each block, which maximizes system utilization, flexibly responds to function addition, and greatly reduces standby power and system price. It works.

Claims (3)

영상 처리 및 이더넷 통신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가장 높은 성능의 제어부와 주변 회로부를 구비한 고성능 제어 블록과; A high performance control block having a highest performance controller and peripheral circuitry for performing processing related to image processing and Ethernet communication; 다양한 감지 수단을 제어하고 음향 및 영상 신호들을 스위칭하며 유무선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들을 시스템 자원의 상관관계에 따라 구분한 후 개별 제어기를 가지도록 블록화 하고, 상기 고성능 제어 블록 및 상기 구분된 블록들 간에도 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 하나 이상의 중저성능 제어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Functions for controlling various sensing means, switching audio and video signals, and processing wired / wireless control signal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system resources and blocked to have individual controllers, and also between the high performance control block and the separated blocks. A distributed controlled home network server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medium to low performance control blocks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저성능 제어 블록들은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제어기로하여 각종 감지 수단을 제어하고, 음향 및 영상 신호들을 입력 받아 상기 고성능 제어블록이나 기타 블록으로 스위칭 또는 중계하며, 가전 기기들의 제어와 감지에 의한 음향 출력 기능을 가지는 중간성능 제어 블록과;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w and low performance control blocks control various sensing means by using a microcontroller as a controller, and receive or output audio and video signals to the high performance control block or other blocks, and control the home appliances. An intermediate performance control block having a sound output function by sensing; 무선 모뎀 제어기를 제어기로 사용하며 무선 신호들을 감지하여 특정한 신호로 해석하거나 특정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출하고 상기 고성능 제어 블록 및 중성능 제어 블록과 통신하는 저성능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Distributed using a wireless modem controller as a controller and including a low performance control block that senses radio signals and interprets them as specific signals or transmits specific signals as wireless signals and communicates with the high performance control blocks and the neutral performance control blocks Controlled Home Network Server System. 홈 네트워크가 관리하는 각 기능들과 시스템 자원의 연관 관계에 따라 강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시스템 자원들을 소정의 기능 블록으로 정의하고, 각 기능 블록들을 담당할 개별 제어부를 구성한 후,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정의함으로써,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기능 블록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제어형 홈 네트워크 서버 시스템.By defining system resources that show a strong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managed by the home network and the system resources as predetermined function blocks, configuring individual controllers to be in charge of each function block, and defining an input / output interface, A distributed controlled home network server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blocks interconnected by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interface and connected to home network device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functions.
KR1020040086835A 2004-10-28 2004-10-28 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KR1006411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35A KR100641101B1 (en) 2004-10-28 2004-10-28 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835A KR100641101B1 (en) 2004-10-28 2004-10-28 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81A KR20060037781A (en) 2006-05-03
KR100641101B1 true KR100641101B1 (en) 2006-11-02

Family

ID=3714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835A KR100641101B1 (en) 2004-10-28 2004-10-28 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1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97B1 (en) * 2007-04-11 2009-04-24 주식회사 에스엘전자 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and audio service and illumin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0831731B1 (en) * 2007-06-22 2008-05-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Video call embed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18019B1 (en) * 2010-12-15 201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home appliance
WO2011083967A2 (en) 2010-01-05 201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Network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8865A (en) 1997-09-12 1999-03-30 Victor Co Of Japan Ltd Distributed type home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8865A (en) 1997-09-12 1999-03-30 Victor Co Of Japan Ltd Distributed type home network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440270000
1020020018847 *
102003005765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81A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1370B (en) Smart home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102355390B (en) Intelligent home system
CN203966221U (en) A kind of remote visible talkback door lock system
CA2311245C (en) Multi t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51333B (en) Digital home intelligent terminal control system
CN201708814U (en) Smart home system
CN105353641B (en) A kind of intelligent home control system
CN201435002Y (en) Remote automation control system of intelligent household
CN101505386B (en) Implementing method for transferability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user operation interface
CN103428799A (en) WIFI network module configuring method
CN103260003A (en) Intelligent household video door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8900389B (en) Intelligent hom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Nasrin et al. Novel protocol enables DIY home automation
CN204515496U (en) A kind of route system with Intelligent housing and monitoring and warning function
KR102202610B1 (en) Intelligent Lighting Network System
CN103747369A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intelligent household system
CN204013594U (en) A kind of home intelligent router
CN202815484U (en) Electric cooker remote control system
CN108810061A (en) A kind of intelligent domestic system
CN102291284A (en) Intelligent terminal device of wireless network digital home
KR100641101B1 (en) Home network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CN105517654A (en) A household system of a door entry system, the door entry system and an integrated indoor station
RU2385486C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electronic communication in distributed routing environment
CN110636147B (en) Network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with double-control switch, switch and intelligent switch system
CN101321104A (en) Intelligent control local are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