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763B1 -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763B1
KR100628763B1 KR1020040113779A KR20040113779A KR100628763B1 KR 100628763 B1 KR100628763 B1 KR 100628763B1 KR 1020040113779 A KR1020040113779 A KR 1020040113779A KR 20040113779 A KR20040113779 A KR 20040113779A KR 100628763 B1 KR100628763 B1 KR 10062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tem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75190A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763B1/en
Priority to CNA2005101056518A priority patent/CN1798394A/en
Publication of KR2006007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1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72Schedules, e.g. personal calendar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동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메뉴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제 11 단계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고 있는 해당 일정을 연기하고자 하면, 일정 보기가 수행된 상태에서 일정 연기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 12 단계와; 상기 제 12 단계 후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 선택되어 연기된 일정을 저장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관리를 수행할 때 해당 일정이나 기념일을 간단히 연기 지정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일정을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eleventh step of performing a schedule view in a schedule management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welfth step of selecting a schedule postpone item in a state in which the schedule view is performed, if the schedule in which the schedule view is being performed is deferred in the eleventh step; And a thirteenth step of storing a postponed schedule selected from the schedule postpone item after the twelfth step, so that the schedule or anniversary can be conveniently deferred when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schedule management. Will be able to manag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일정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of FIG. 3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교환기(MSC/VLR) 20 : HLR10: exchanger (MSC / VLR) 20: HLR

30 : PSTN 40 : 기지국(BSC/BTS)30: PSTN 40: base station (BSC / BTS)

50 : 이동통신 단말기(MS)5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관리를 수행할 때 해당 일정이나 기념일을 간단히 연기 지정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일정을 관리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suitable for conveniently managing a schedule so that the schedule or anniversary can be easily delayed when performing a schedule managem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bout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targets mobile devices such as people, cars, ships, trains, and airplanes, which includes key phone systems, mobile phones (mobile phones, vehicle phones), port phones, aircraft phones, and mobile phones. Trains, cruise ships, express buses), radio calling, radiotelephony, satellite mobile communication, amateur radio, and fishing service ships.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시스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원접속) 시스템,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 가입자 망), CDMA2000-1x,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범세계 이동통신)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등이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n AMPS (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system using an analog method,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 using a digital method,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a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system,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system, Wireless Local Loop (WLL), CDMA2000-1x,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 Global mobile communication (GSM) systems, and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그래서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도 무선 구간을 통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고, 이동통신 서비스와 각종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Thu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ables a user to perform a call function through a wireless section while moving, and can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MSC/VLR)이고, 20은 HLR(Home Location Register, 가입자 위치 등록 장치)이며, 30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 전화 교환망)이고, 40은 기지국(Basic Station Controller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SC/BTS)이며, 50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MS)이다.Where reference number 10 is a mobile switching center / visitor location register (MSC / VLR), 20 is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30 is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40 denotes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 BTS), and 50 denotes a mobile station (MS).

그래서 MSC(10)는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모든 통신 선로의 도로 및 교차로 역할을 수행한다.Thus, the MSC 10 performs an exchange function, and serves as a road and an intersection of all communication lines.

HLR(20)은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며, VLR은 빈번한 HLR(20) 조회를 방지하여 위하여 중요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장치이다.The HLR 20 is a database in which subscriber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VLR is a device that temporarily stores important subscriber information in order to prevent frequent HLR 20 inquiry.

PSTN(30)은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화망 전체를 의미한다.The PSTN 30 refers to the entire telephone network used in a general home.

그래서 일반 가정용 전화기에서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로 전화를 할 경우, 먼저 PSTN(30)으로 가정용 전화기 신호가 접속된 다음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의 교환기(10)에 입력된다.Thus, when a user call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of a mobile subscriber from a general home telephone, the home telephone signal is first connected to the PSTN 30 and then inputted to the switch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using the telephone number. .

이동통신 사업자의 교환기(10)는 HLR(20)에 유효한 가입자인가와 가입자 위치가 어디인지를 조회한 다음 해당되는 기지국(40)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50)를 호출하게 된다.The exchange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quires whether the subscriber is a valid subscriber and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to the HLR 20, and then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40 to ca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시스템 측면에서 BSC 및 VLR의 위치는 장비 제조회사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BSC는 MSC와 같은 공간적 위치에 존재할 수 있거나, 기지국(40)인 BTS에 있을 수 있다. 기지국(40)은 BSC와 BTS를 합친 것을 의미한다.The location of the BSC and VLR in terms of systems may vary depending on the equipment manufacturer. For example, the BSC may be in the same spatial location as the MSC or may be in the BTS, which is the base station 40. The base station 40 means that the BSC and the BTS are combined.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일정관리 메뉴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1 단계(ST1)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 고 있는 해당 일정을 연기하고자 하면, 일정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 2 단계(ST2)(ST3)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일정이 선택되면, 일정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 시간대가 선택되면 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ST4)(ST5)를 수행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first step (ST1) for performing a schedule view in the schedule management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A second step (ST2) (ST3) for selecting a schedule when the schedule in which the schedule view is performed is deferred in the first step; When the schedule is selected in the second step, the schedule can be edited so that a schedule time zone is selected and the third step ST4 and ST5 are stor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50)를 온 시킨 상태에서 일정 관리 메뉴를 선택한다.First, the schedule management menu is selected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such as a mobile phone is turned on.

그리고 일정 관리 메뉴에서 일정 보기를 수행하면 일정을 이동통신 단말기(50)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ST1).When the schedule view is performed in the schedule management menu, the schedule is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ST1).

그리고 일정 보기가 수행되고 있는 해당 일정을 연기하고자 하면(ST2),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일정 관리 메뉴에서 일정을 선택한다(ST3).If the schedule is to be delayed (ST2), the schedule is again selected from the schedule management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ST3).

그런 다음 선택된 일정을 편집하고(ST4), 일정 시간대를 선택한다(ST5).Then, the selected schedule is edited (ST4), and the schedule time zone is selected (ST5).

이렇게 선택된 일정을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저장 공간에 저장한다.The selected schedul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종래 기술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에서 해당 일정을 연기하고자 할 때, 일정을 선택해서 편집으로 가서 연기하고자 하는 일정 시간대를 직접 설정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That is, in the prior art, when the schedule is to be delayed in the schedule manag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inconvenient to select the schedule and go to editing to set the schedule time to be postponed.

특히,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일정관리를 수행할 경우 등록된 일정(회의, 약속, 모임, 세미나, 보고 등등)들이 몇 시간 지연되거나 몇 일 연기되는 경우가 흔한데, 이러한 일정 연기나 지연이 있을 경 우 일정관리에 불편함이 상당히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most office workers us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o manage their schedules, registered calendars (meetings, appointments, meetings, seminars, reports, etc.) are often delayed by several hours or days. In case of delay or delay, there was a lot of inconvenience in schedule manageme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관리를 수행할 때 해당 일정이나 기념일을 간단히 연기 지정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niently manage a schedule so that the schedule or anniversary can be easily delayed when performing a schedule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rovide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은,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메뉴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제 11 단계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고 있는 해당 일정을 연기하고자 하면, 일정 보기가 수행된 상태에서 일정 연기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 12 단계와; 상기 제 12 단계 후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 선택되어 연기된 일정을 저장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n eleventh step of performing a schedule view in a schedule management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welfth step of selecting a schedule postpone item in a state in which the schedule view is performed, if the schedule in which the schedule view is being performed is deferred in the eleventh step; And a thirteenth step of storing the postponed schedule selected from the schedule postpone item after the twelfth step.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일정관리 메뉴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11 단계(ST11)와; 상기 제 11 단계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 되고 있는 해당 일정을 연기하고자 하면, 일정 보기가 수행된 상태에서 일정 연기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제 12 단계(ST12)(ST13)와; 상기 제 12 단계 후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 선택되어 연기된 일정을 저장하는 제 13 단계(ST1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As shown therein, an eleventh step ST11 for performing a schedule view in a schedule management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A twelfth step (ST12) (ST13) for selecting a schedule postpone item in a state in which the schedule view is performed, if a corresponding schedule in which the schedule view is performed is performed in the eleventh step; And a thirteenth step (ST14) of storing a schedule that is selected and deferred from the schedule postpone item after the twelfth step.

상기 제 11 단계에서 상기 일정 보기 상태는, 월별 일정 보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venth step, the schedule view state is a monthly schedule view state.

상기 제 11 단계에서 상기 일정 보기 상태는, 주별 일정 보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venth step, the schedule view state is a weekly schedule view state.

상기 제 11 단계에서 상기 일정 보기 상태는, 일별 일정 보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leventh step, the schedule view state is a daily schedule view state.

상기에서 제 12 단계는, 상기 일정 보기가 월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주 단위 또는 날짜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welfth step, when the schedule view is in the monthly schedule view state,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an item that can be postponed on a weekly or dated basi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상기에서 제 12 단계는, 상기 일정 보기가 주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요일 단위 또는 날짜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12th step, when the schedule view is in the weekly schedule view state,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an item that can be postponed in units of days or day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상기에서 제 12 단계는, 상기 일정 보기가 일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분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12th step, when the schedule view is in the daily schedule view state,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an item that can be deferred by a minute unit or a time uni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관리를 수행할 때 해당 일정이나 기념일을 간단히 연기 지정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일정을 관리하고자 한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conveniently manage the schedule so that the schedule or anniversary can be easily delayed when performing the schedule managem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일정 관리의 일정 리스트 상에 있는 일정 보기 화면에서 해당 일정을 연기할 수 있는 일정 연기 메뉴를 제공하여,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일정 연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hedule postpone menu that can postpone a corresponding schedule on a schedule view screen on a schedule list of a conventional schedule management, so that the schedule postpone can be set by a simple operation.

예를 들면, 9시에 회의가 있었지만 갑자기 11시로 회의가 연기되었을 경우, 해당 일정 리스트 화면상에서 간단히 일정 연기(30분 / 1시간 / 2시간 / 4시간 / 특정시간)를 선택해서 해당 일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re was a meeting at 9 o'clock but suddenly the meeting was delayed at 11 o'clock, simply select the postpone schedule (30 minutes / 1 hour / 2 hours / 4 hours / specific time) on the schedule list screen to change the schedule. To help.

도 4는 도 3의 일정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of FIG. 3 is applied.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s follows.

먼저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50)를 사용하여 일정 관리를 수행할 경우 등록된 일정(회의, 약속, 모임, 세미나, 보고 등등)들이 몇 시간 지연되거나 몇 일 연기되는 경우가 흔하다.First of all, when most office workers perform a schedule managem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such as a mobile phone, registered schedules (meetings, appointments, meetings, seminars, reports, etc.) are often delayed by several hours or delayed by several days. .

따라서 해당 일정 수정이 용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이동통신 단말기(5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providing a function that can easily modify the schedule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r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그래서 이동통신 단말기(50)의 LCD 화면 상에 출력되는 일정 보기 상태에서 일정 연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chedule delay in the schedule view state output on the LC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즉, 사용자는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50)를 사용하여 일정 관리 메뉴를 수행한다.That is, the user first performs a schedule management menu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이때 일정 관리 메뉴에는 월별 일정 보기, 주별 일정 보기, 일별 일정 보기 항목이 설정되도록 한다(ST11).At this time, the schedule management menu is configured to set the monthly schedule view, weekly schedule view, daily schedule view items (ST11).

그리고 월별 일정, 주별 일정, 일별 일정 중에서 선택된 해당 일정을 연기하고자 할 경우가 있다(ST12).In addition,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a corresponding schedule selected from a monthly schedule, a weekly schedule, and a daily schedule is deferred (ST12).

그러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일정 보기 상태에서 일정 연기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user can select a schedule postpone item in the schedule view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만약 일정 보기가 월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주 단위 또는 날짜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schedule view is in the monthly schedule view,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items that can be postponed on a weekly or dated basi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m.

그래서 사용자는 특정 주 또는 특정 날짜로 일정을 연기하거나, 일정한 날짜 만큼 일정을 연기시킬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may postpone the schedule by a certain week or a specific date, or postpone the schedule by a certain date.

또한 만약 일정 보기가 주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요일 단위 또는 날짜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schedule view is in the weekly schedule view,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an item that can be postponed by day or dat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그래서 사용자는 특정 요일 또는 특정 날짜로 일정을 연기하거나, 일정한 날짜 만큼 일정을 연기시킬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may postpone the schedule on a specific day or a specific date, or postpone the schedule by a certain date.

또한 만약 일정 보기가 일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분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schedule view is in the daily schedule view state,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an item that can be postponed by minute or hou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그래서 사용자는 특정 시각으로 일정을 연기하거나, 일정한 분 또는 일정한 시간 만큼 일정을 연기시킬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may postpone the schedule at a specific time, or postpone the schedule by a certain minute or a predetermined time.

도 4를 보면, 일별 일정 보기 항목은 2004/11/12 금요일의 일정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날의 일정은 9:00a 보고 준비, 9:40a 주간회의록작성(여기서 마지막 글자인 '성'자는 화면에서 미출력), 10:00a 개발의뢰, 3:00p 가산사업장, 5:30p 외주업체연락 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aily schedule view item illustrates a schedule of Friday, 11/12/2004. And the schedule of the day is to prepare for the 9: 00a report, to write the 9: 40a weekly meeting minutes (where the last letter, 'Saint' is not printed on the screen), to request the development of 10: 00a, the 3: 00p business, and the 5: 30p contractor. have.

그래서 9:40a 주간회의록작성 항목을 2004/11/17 수요일의 09:00am 으로 연기시키고자 한다고 가정하자.So suppose you want to postpone the 9: 40a weekly minutes to 09:00 am on Wednesday, November 17, 2004.

그러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50)의 LCD 상에 출력된 월별 일정 보기에서 메뉴를 선택한다.Then, the user selects a menu in the monthly schedule view output on the LC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이렇게 메뉴를 선택하면, "일정보기, 일정편집, ..., 일정연기" 등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menu is selected in this way, items such as "day information, schedule editing, ..., schedule delay" can be selected.

그래서 사용자가 "일정연기" 항목을 선택하면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특정시간" 등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the "schedule delay" item, the user can select items such as "30 minutes, 1 hour, 2 hours, 4 hours, 6 hours, specific time".

이때 사용자 "특정시간"을 선택하게 되면 "2004/11/17 수요일 09:00am"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a "specified time", the user can select "2004/11/17 Wednesday 09:00 am".

그러면 사용자는 "2004/11/12 금요일 9:40a 주간회의록작성"의 일정을 보는 일정보기 상태에서 메뉴를 이용하여 일정연기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2004/11/17 수요일 09:00am"로 주간회의록작성 일정을 연기시킬 수 있게 된다.Then, the user selects the schedule delay item using the menu while viewing the schedule of "Friday 2004/11/12 9: 40a Weekly Minutes" and writes the weekly minutes to "2004/11/17 Wednesday 09:00 am". You can postpone the schedule.

이렇게 도 4에서와 같이, 월/주/일별 일정보기 화면 상에서 제공되는 메뉴에 일정연기 항목을 추가하여, 해당 일정을 30분/1시간/2시간/4시간/6시간 만큼 바로 연기할 수도 있고 특정시간을 선택하여 1일 이상이 넘는 날짜나 시간대를 지정하여 연기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by adding a schedule delay item to a menu provided on a month / week / day schedule view screen, the schedule can be delayed by 30 minutes / 1 hour / 2 hours / 4 hours / 6 hours. By selecting a specific time, you can postpone a date or time zone with more than one day.

이처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관리를 수행할 때 해당 일정이나 기념일을 간단히 연기 지정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일정을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niently manage the schedule so that the schedule or anniversary can be easily delayed when performing the schedule managem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정관리를 수행할 때 해당 일정이나 기념일을 간단히 연기 지정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일정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onveniently managing the schedule so that the schedule or anniversary can be easily delayed when performing the schedule managem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일정관리를 수행할 때 일정보기 항목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using a schedule view item when performing schedule managemen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7)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메뉴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11 단계와;An eleventh step of performing a schedule view in a schedule management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 11 단계에서 일정 보기가 수행되고 있는 해당 일정을 연기하고자 하면, 일정 보기가 수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다수의 시간 단위를 출력하는 일정 연기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 12 단계와;Twelfth step of selecting one of a schedule delay item that outputs a plurality of preset time units while the schedule view is performed, when the schedule is to be deferred in the eleventh step; 상기 제 12 단계 후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 선택되어 연기된 일정을 저장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And a thirteenth step of storing a schedule that is selected and deferred from the schedule postponement item after the twelfth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에서 상기 일정 보기 상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hedule view state in the eleventh step, 월별 일정 보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thly schedule view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에서 상기 일정 보기 상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hedule view state in the eleventh step, 주별 일정 보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eekly schedule view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단계에서 상기 일정 보기 상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hedule view state in the eleventh step, 일별 일정 보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A schedule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aily schedule view stat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elfth step comprises: 상기 일정 보기가 월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주 단위 또는 날짜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When the schedule view is in the monthly schedule view state,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an item that can be postponed on a weekly or dated basis so that a user can select the schedul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elfth step comprises: 상기 일정 보기가 주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요일 단위 또는 날짜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When the schedule view is in the weekly schedule view state,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an item that can be postponed in units of days or day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schedul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elfth step comprises: 상기 일정 보기가 일별 일정 보기 상태일 때 상기 일정 연기 항목에서는 분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연기할 수 있는 항목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일정관리 방법.When the schedule view is in the daily schedule view state, the schedule postpone item outputs an item that can be postponed in units of minutes or tim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KR1020040113779A 2004-12-28 2004-12-28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KR100628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779A KR100628763B1 (en) 2004-12-28 2004-12-28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CNA2005101056518A CN1798394A (en) 2004-12-28 2005-09-29 Calendar managemen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779A KR100628763B1 (en) 2004-12-28 2004-12-28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190A KR20060075190A (en) 2006-07-04
KR100628763B1 true KR100628763B1 (en) 2006-09-29

Family

ID=3681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779A KR100628763B1 (en) 2004-12-28 2004-12-28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8763B1 (en)
CN (1) CN179839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173A (en) * 2004-03-15 2005-09-21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data of to-do list management by mobile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173A (en) * 2004-03-15 2005-09-21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data of to-do list management by mobil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190A (en) 2006-07-04
CN1798394A (en)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4962B2 (en) Scheduling tasks dynamicall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 mobile user
CA2428102C (en) Event reminder method
US20020067308A1 (en) Location/time-based reminder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20090054103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utomated localized calendar
US90840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freshing a display of a telephone
US20080301567A1 (en) Proximity-dependent events
KR20110093729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widget
CN101917678A (en) Mobile terminal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00222027A1 (en)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mobile device notification content type selec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CN103297588A (en) Reminding method of alarm clock and mobile terminal
US201002148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or Integrating Calendaring and Clock Functionality
CN103313208A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hone alarm clock reminding based on networked workday state updating
CN101661577A (en) Calendar time interval prompt method and device as well as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US20070168869A1 (en) Method for updating a calendar and computer program element therefor
US20170085700A1 (en) Time-depend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hone
KR100628763B1 (en)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CN1617621A (en) Warning service method based on posi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964840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alendar icons
CN111314561A (en) Intelligent remind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0502452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lacing an inbound wireless call in contex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KR100661567B1 (en) Method for moving of visual data by using linked list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EP2224682A1 (en)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mobile device notification content type selec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
KR100608764B1 (en) Holiday setting and holiday information utiliz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28786B1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station remotely
CA26898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or integrating calendaring and clock function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