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837B1 -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 - Google Patents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837B1
KR100627837B1 KR1020050033478A KR20050033478A KR100627837B1 KR 100627837 B1 KR100627837 B1 KR 100627837B1 KR 1020050033478 A KR1020050033478 A KR 1020050033478A KR 20050033478 A KR20050033478 A KR 20050033478A KR 100627837 B1 KR100627837 B1 KR 10062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edit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인성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8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8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and a video data editing method.

본 발명은 별도의 단말 장치에 연결하지 않고도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기동하는 것만으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키 입력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편집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현재 동작 모드와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가 구동 중일 경우 상태 플래그(Flag)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상기 영상 데 이터에 대한 디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with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which can perform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stored video data by simply activating on-board software without connecting to a separate terminal device. A key input unit for providing a button for inputting characters including a numeric key to perform a function and request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operation state including a power supply state, a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a date and a time, and displays an editing process for the image data; A program storage unit equipped with a real time operating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processing S / W, and image data editing software for providing a function of perform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A mode state storage unit which sets and stores a state flag when the current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and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re being driven; A microprocessor which controls overall operations such that audio transmission / receptio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re performed smoothly, and controls the process of driv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nd perform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which codes or decodes an audio signal and functions as an equalizer for multipath noise cancellation, and performs an audio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a decoding function on the image dat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diting function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영상 데이터를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데서 벗어나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영상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can be edi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by not only storing the image data downloaded from a server which photographs a subject or provides various content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camera uni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effective.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 이동통신 단말기 Image data, editing, softwar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age data editing function and image data editing method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riving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riving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장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diting operation on stored image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300: 키 입력부 102: 디스플레이부100, 300: key input unit 102: display unit

104: 프로그램 저장부 106: 모드 상태 저장부104: program storage unit 106: mode state storage unit

108: 카메라부 110: 카메라 모듈108: camera unit 110: camera module

112: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 114: 마이크로프로세서112: camera control processor 114: microprocessor

116: 디지털 신호 처리부 118: 베이스 밴드 변환부116: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18: baseband conversion unit

120: RF 신호 처리부 122: 안테나120: RF signal processing unit 122: antenna

124: 스피커 126: 마이크로폰124: speaker 126: microphone

200, 308: 도구바 모듈 202, 306: 메뉴바 모듈200, 308: toolbar module 202, 306: menu bar module

204, 310: 색상 선택바 모듈 206, 312: 상태 표시바 모듈204, 310: color selection bar module 206, 312: status bar module

208, 314: 캔버스 모듈 302: 방향키208, 314: canvas module 302: arrow keys

304: 키 버튼 316: 포인터304: key button 316: pointer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고, 편집 작업을 마친 영상 데이터에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and a video data editing method. More specifical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video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ing a message to the finished video data,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mage data editing method.

인터넷 및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 구매, E-mail을 이용한 소식의 교환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is changing the lifestyle of modern people. Almost all homes, schools and offices have Internet-enabled personal computers, which are used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Web sites, purchase products using e-commerce, and exchange news using e-mail. Just a few years ago, people could only use voice communication-oriented mobile services using mobile terminals. Recently, however,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hat can receive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internet has appea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처럼, 이동통신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초기의 음성 통화 위주의 휴대 전화 개념에서 벗어나 캠코더,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진화하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흑백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로 발전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존재한다.As such,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develop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evolved from the concept of a voice call-oriented mobile phon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camcorder, a camera, and an MP3 player. As various functions are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lso evolved from a black and white display device to a color display device. In general, a display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for informing a user of various types of stat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state of use of a power source, a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a date and time, and the like.

전술한 부가 기능 중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기능의 경우 현재 보급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있더라도 파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로 저장만 할 수 있을 뿐, 데스크 톱 컴퓨터와 같은 단말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그림판, 포토샵 등)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텍스트 또는 배경 음악을 삽입하거나, 다른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는 등의 편집 작업은 불가능한 실정이다.Among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functions, the camer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subject to generate image data is basically adopted in currently sprea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owever, even i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a camera function, it is only possible to capture a projectile and store it as image data, and to use software for editing image data on a terminal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eg, paint, photoshop, etc.). Therefore, editing operations such as inserting text or background music into video data or mixing different video data are impossible.

또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각종 게임, 벨소리, 음악 등의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다양한 콘텐츠 제공 사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요즈음에는 통화 대기 중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통화 중 대기 화면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사업, 소위 컬러링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컬러링 서비스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로부터 레디 메이드 형태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을 뿐 다운로드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는 없었다.In addition, as the use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has become more common, various contents providing businesses for downloading various games, ringtones, music, and the like in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emerged. In particular, a content providing business, a so-called coloring service, which provides video data including a still image or a moving picture to a standby screen during a call on a display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iting for a call is in the spotlight. However, even in such a coloring service, a user can download image data provided in a ready-made form from a provider providing content and store the image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perform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downloaded image data. There was no.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편집을 마친 영상 데이터에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image data editing software for perform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ing a message to the edited imag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unterp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that can be transmitted and a video data editing method.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별도의 단말 장치에 연결하지 않고도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기동하는 것만으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키 입력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편집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 공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현재 동작 모드와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가 구동 중일 경우 상태 플래그(Flag)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stored video data by simply activating the loaded software without connecting to a separate terminal device. A terminal, comprising: a key input unit for providing a button for inputting characters including a numeric key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a function for request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operation state including a power supply state, a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a date and a time, and displays an editing process for the image data; A program storage unit that includes a real time operating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processing software, and image data editing software that provides a function of perform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 A mode state storage unit which sets and stores a state flag when the current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and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re being driven; A microprocessor which controls overall operations such that audio transmission / receptio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re performed smoothly, and controls the process of driv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nd perform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which codes or decodes an audio signal and functions as an equalizer for multipath noise removal, and performs a sound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a decoding function on the image data.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영상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키 입력부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편집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와,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현재 동작 모드와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가 구동 중일 경우 상태 플래그(Flag)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와,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 반적인 제어를 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영상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한 후 상기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지 않고 새롭게 비어있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로 로딩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c)에서 로딩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에 대응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마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input unit providing a function for request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for image data and buttons for text input, including a numeric key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 state of use of a power sour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including a reception intensity, a date and a time of radio waves, and displaying an editing process for the image data, a real time operating system, and a mobile terminal call processing S. / W, a program storage unit equipped with image data editing software for providing the function of perform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the current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and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re running. A mode state storage unit for setting and storing a state flag in case of error, and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A microprocessor for overall control to facilitat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ling a process of runn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nd perform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and coding or decoding an audio sig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functioning as an equalizer for multi-path noise removal, and performing a sound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a decoding function for the image data, the image data editing method comprising: (a Receiving a command to edit the image data; (b) driv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c) selecting whether to generate new empty image data without loading the image data after runn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n step (b); (d) loading the image data from the program storage into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e) performing a task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editing tasks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various editing tasks on the image data loaded in step (c); And (f) storing the image data after complet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은 키 입력부(100), 디스플레이부(102), 프로그램 저장부(104), 모드 상태 저장부(106), 카메라부(108), 마이크로프로세서(114),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 RF 신호 처리부(120), 안테나(122), 스피커(124) 및 마이크로폰(126) 등을 포함한다.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100, a display unit 102, a program storage unit 104, a mode state storage unit 106, and a camera. Unit 108, microprocessor 114, digital signal processor 116, baseband converter 118, RF signal processor 120, antenna 122, speaker 124, microphone 126, and the like. do.

후술하는 설명에서 영상 데이터 중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영상 데이터라고 정의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저장 영상 데이터는 한 개 이상 존재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108)를 기동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다운로드받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한 후 편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로딩하는 저장 영상 데이터를 원본 영상 데이터라고 정의하며, 원본 영상 데이터에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저장 영상 데이터를 편집 영상 데이터라고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편집 작업을 마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최종 영상 데이터라고 정의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image data is defined as stored image data. There is at least one stored imag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mage data generated by starting the camera unit 108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hotograph the subject, the image data download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It includes. In addition, the stored image data that is loaded to perform the editing operation after runn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fined as the original image data, and is us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original image data. Video data is defined as edited video data. Finally, the video data that has been edited is defined as final video data.

또한,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며 접속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마친 후에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갱신 여부를 확인하고, 갱신이 필요하다고 확인될 경우 갱신된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영상 데이터에 테두리를 삽입하여 액자로서 기능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영상 편집 서비스라고 정의한다. 또한, 영상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를 서비스 제공 서버라고 정의한다.In addition,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user informa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s downloa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video editing service that checks whether the updated video data editing software is updated, provides updated video editing softwa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 is necessary, and provides frame data functioning as a frame by inserting a border into the video data. It is defined as. In addition, a server of an operator providing an image editing service is defined as a service providing server.

즉,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영상 데이터 편집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저장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고, 로딩된 저장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고, 편집 작업을 마친 최종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거나,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직접 전송하거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데 특징이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최종 영상 데이터에 메시지를 첨부하여 전자 메일 방식으로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데스크 톱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최종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중 대기 화면으로 재가공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image data editing program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load the stored image data, performs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loaded stored image data, and finishes the final image data after the editing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ored in, attached to the message to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rectly transmitted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ultimedia Message Service), or upload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Here,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ttaches a message to the final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a separate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desktop computer of the other party by e-mail or reprocesses the standby screen during a call using the final image data. After that it provides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PT: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C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하는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which is an Internet access protocol, a Microsoft Internet Explorer (MIE) based on HTML using the HTTP protocol, and a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HDPT). For example, you can connect to the Internet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browser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such as NTT DOCOMO's i-Mode or SK Telecom's NATE. Among the Internet access protocols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IE uses m-HTML, which is a shortened version of HTML, and a language called compact HTML (c-HTML), which is a subset of HTML. .

키 입력부(100)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각종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영상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도구들을 선택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부(108)를 구동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특수키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저장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을 수행한다.The key input unit 100 may drive a button for text input and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ncluding numeric keys for inputting numbers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d select various menu items provided by the driven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t includes a button for selecting or operating tools for editing image data, and a special key for driving the camera unit 108 to photograph a su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nipulates the key input unit 10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rive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nd performs various edits on the stored image data using the driven image data editing software.

디스플레이부(102)는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저장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unit 102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power supply state, a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a date and a time, and performs editing on stored image data by driving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s displayed.

프로그램 저장부(104)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래시 메모리에는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 저장 영상 데이터, 최종 영상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고, 이들 소프트웨어는 RAM으로 로딩되어 구동된다. The program storage unit 104 includes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 flash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like. The flash memory stores a real time operating system, a mobile terminal call processing softwar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stored image data, and final image data. The software is loaded into RAM. Driven.

여기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또는 퀄컴사의 BREW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제공되며, 무선 인터넷을 경유하여 영상 데이터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접속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된 상태에서 영상 데이터 편집 서비스의 가입 및 가입 해제와 관련된 절차를 처리하는 기능, 저장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한 후 최종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최종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기능, 최종 영상 데이터에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직접 전송하는 기능, 최종 영상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Here,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s developed / provided as a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or a Qualcomm BREW application, and has a function of connecting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ing image data editing service via a wireless Internet,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 function of processing a procedure related to subscribing and unsubscribing of an image data editing service while connected, generating various final image data after perform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stored image data, and storing the final image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refers to software that performs the function, attaches a message to the final image data, and sends it directly to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and uploads the final image data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via the wireless Internet. do.

모드 상태 저장부(106)는 키 입력부(100)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예컨대, 0, 1, 2, ...)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발신 모드, 검색 모드, 통화 모드, 일반 착신 모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 이용 모드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106)를 갱신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면, 모드 상태 저장부(106)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 이용 모드로 구분하고, 고유한 상태 플래 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14)로 전달한다.The mode state storage unit 106 stores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100 as a state flag (eg, 0, 1, 2, ...). That is, the microprocessor 114 assigns a unique status flag to each mode to distinguish a standby mode, an originating mode, a searching mode, a calling mode, a general incoming mode, a video data editing software using mode, and the lik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de state storage unit 106 is updated.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by operating the key input unit 10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de state storage unit 106 classifi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using mode. The unique status flag is then passed to the microprocessor 114.

카메라부(108)는 피사체를 촬영한 저장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카메라 모듈(110)과 카메라 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112)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1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타입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CCP: Camera Control Processor)(112)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 카메라 모듈(110)의 전반적인 동작, 예를 들어 줌(Zoom) 기능, 플래시(Flash) 기능, 정지영상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을 제어한다.The camera unit 108 refer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stored image data of a subject, and includes a camera module 110 and a camera control processor 11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10. The camera module 110 includes an imaging device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type, and the Camera Control Processor (CCP) 112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dule 110 is controlled, for example, a zoom function, a flash function, still image shooting, video shooting, and the like.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전반적인 작동 과정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저장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제어한다.The microprocessor 11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114 controls the process of perform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stored image data by driv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116)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다운로드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와 음성 데이터(Speech Data)를 주고받으며,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로부터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16 functions as an equalizer for coding or decoding a voice signal and removing multipath noise, and is a sound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image data download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wireless Internet.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that performs a decoding func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6 exchanges speech data with the baseband converter 118 and receives digital data (RX DATA) including caller-specified multimedia content from the baseband converter 118. do.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 RF 신호 처리부(120), 스피커(124) 및 마이크로폰(126)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ADC: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120)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120)의 전력을 제어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수신 신호(RFIQ)를 전달받는다.The baseband converter 118 converts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16, the RF signal processor 120, the speaker 124, and the microphone 126 into a baseband band signal, and converts the digital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analog signal. Performs functions such as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DAC) and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ADC). The baseband converter 118 transmits the transmission data TXIQ to the RF signal processor 120, and controls the power of the RF signal processor 120 or automatically controls its gain. The RF signal processor 120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RFIQ.

RF 신호 처리부(120)는 안테나(122)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124)는 베이스 밴드 변환부(118)로부터 전달되는 음향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126)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The RF signal processor 120 demodulates and amplifies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122, modulates a transmission signal applied from the baseband converter 118, and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to the propagation space. The speaker 124 outputs acoustic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eband converter 118 as an audible sound, and the microphone 126 converts a user's voice input into an electrical signal.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CDMA-2000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 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ellular 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phone, W-CDMA (Wideband CDMA) phone, CDMA-2000 phones,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s, and the like. Here, MBS phone refers to a mobile phone to be used in the fourth generation system currently being discuss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riving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저장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고, 로딩된 저장 영상 데이터를 원본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여 다양한 편 집 작업을 수행하거나, 비어있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비어있는 데이터에 사용자가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한 후 최종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로 도구바 모듈(200), 메뉴바 모듈(202) 색상 선택바 모듈(204), 상태 표시바 모듈(206) 및 캔버스 모듈(208)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별도의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지 않고, 비어있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어있는 영상 데이터에 그래픽, 문자, 음성, 음향 등의 데이터를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E-mail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술은 E-mail 또는 MMS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어있는 영상 데이터에 삽입되는 그래픽 데이터의 경우 문자 폰트를 이미지로 생성한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loads the stored imag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the loaded stored image data as the original image data, and performs various editing operations, or generates empty data, Software that generates the final image data after the user performs various editing tasks. The toolbar module 200, the menu bar module 202, the color selection bar module 204, the status bar module 206, and the canvas module 208. ),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user does not load separate image data using image data editing software, but generates empty image data, and inserts data such as graphics, text, voice, sound, etc. into the generated empty image data, thereby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multimedia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E-mail or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Of course, the technology for transmitting the above-mentioned multimedia content to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imited to E-mail or MMS. In addition, in the case of graphic data to be inserted into the empty image data, the image data includes text fonts.

여기서, 다양한 편집 작업이라 함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선택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선택 영역을 잘라내는 작업, 원본 영상 데이터에 편집 영상 데이터를 혼합하는 작업, 원본 영상 데이터에 색상을 변화시키는 작업, 원본 영상 데이터에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편집 영상 데이터를 서로 혼합하는 작업, 원본 영상 데이터를 밑그림으로 하고 그 위에 텍스트를 삽입하는 작업, 원본 영상 데이터에 배경 음악을 삽입하는 작업,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한 프레임 영상 데이터에 원본 영상 데이터를 삽입하는 작업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편집 영상 데이터로는 각종 인물, 풍경, 사 물, 동물,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을 포함한다.Here,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include selecting a selection area for all or part of the original image data, cutting the specified selection area, mixing the edited image data with the original image data, and changing the color of the original image data. To make one or more different edited image data into the original image data, to sketch the original image data and to insert text thereon, to insert background music into the original image data,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his refers to the operation of downloading frame image data and inserting original image data into the downloaded frame image data. Here, the edited video data includes various figures, landscapes, objects, animals, and animated characters.

도구바 모듈(200)은 메뉴바 모듈(202)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의 아이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02)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를 친숙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The toolbar module 200 displays the menu bar module 202 on the display unit 10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icon in the form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ereby facilitating an interface of image data editing software by a user. Means the software that makes it possible.

메뉴바 모듈(202)은 파일 메뉴 기능, 편집 메뉴 기능, 도구 메뉴 기능, 저장 영상 데이터 로딩 메뉴 기능, 효과 메뉴 기능, 색상 메뉴 기능, 설정 메뉴 기능 등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The menu bar module 202 refers to software to be performed including a file menu function, an editing menu function, a tool menu function, a stored image data loading menu function, an effect menu function, a color menu function, a setting menu function, and the like.

파일 메뉴 기능은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저장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여 원본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기능, 최종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기능, 최종 영상 데이터에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직접 전송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서버로 최종 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기능, 프린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최종 영상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기능,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도중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108)를 기동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며,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캔버스 모듈(208)로 로딩하는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The File menu function is a function of loading stored image data and setting the original image data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n editing operation, storing the final image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ttaching a message to the final image data to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rect transmission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uploading final image data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printing the final image data to a printer when connected to a printer, and driving image data editing software. The camera unit 108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hotographed while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nd the image data photographing the subject is loaded into the canvas module 208, and the frame imag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aded. Software that performs functions, Mihanda.

편집 메뉴 기능은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선택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선택 영역을 투명하게 설정한 후 다른 저장 영상 데이터 즉, 편집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여 서로 혼합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에 텍스트를 삽입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에 배경 음악을 삽입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선택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선택 영역을 잘라내고, 복사하고, 갖다 붙이는 기능, 선택 영역을 지정하고 취소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The edit menu function designates a selection area for the original image data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n editing operation, sets the specified selection area transparently, and then loads and saves other saved image data, that is, edited image data, and mixes them. The ability to insert text into the data, to insert background music into the original image data, to specify a selection area for some or all of the original image data, and to cut, copy, and paste the specified selection area, and the selection area Means the software to perform, including the ability to specify and cancel.

도구 메뉴 기능은 원본 영상 데이터에 선택 영역을 지정함에 있어서, 사각형 모양, 원 모양, 삼각형 모양, 다각형 모양, 사용자 설정에 의해서 자유롭게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자유형 모양 등으로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기능, 선택 영역에 대해서 색을 칠하는 기능, 색을 추출하는 기능, 연필, 브러시, 점 등의 형태로 색을 삽입하는 기능, 선택 영역을 확대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를 밑그림으로 하고 그 위에 텍스트를 삽입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에 배경 음악을 삽입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에 선, 곡선,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 원 등의 도형을 삽입하거나 원본 영상 데이터를 밑그림으로 그 위에 전술한 도형을 그리는 기능 등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In the tool menu function, the selection area is assigned to the original image data, and the selection area is selected as a rectangular shape, a circle shape, a triangle shape, a polygon shape, a free form shape for freely specifying the selection area by user setting, and a selection area. Function to paint color, extract color, insert color in the form of pencil, brush, dot, etc., enlarge selection area, draw original image data as draft and insert text on it , Inserting background music into the original image data, inserting shapes such as lines, curves, rectangles, polygons, ellipses, circles into the original image data, or drawing the above-described shapes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image data. Means to perform the software.

저장 영상 데이터 로딩 메뉴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저장 영상 데이터를 캔버스 모듈(208)로 로딩하는 과정에서, 저장 영상 데이터를 상하좌우 대칭 이동시켜 위치시키는 기능, 사용자 설정에 의해서 원본 영상 데이터를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의 가로 세로를 줄이고 늘리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투명하게 설정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움직임을 포함시켜 애니메이션으로 구성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 여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The stored image data loading menu function is a function of symmetrically moving the stored image data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process of loading the stored imag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the canvas module 208, and freely rotating the original image data by user setting. Function to reduce or increas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original image data, to transparently set some or all of the original image data, and to include animation in the process of editing the original image data. Means the software to run.

효과 메뉴 기능은 원본 영상 데이터에 다양한 특수 효과를 가미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전술한 다양한 특수 효과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부드럽게 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를 흐리게 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에 선명도를 증진하는 기능, 원본 영상 데이터를 거칠게 하는 기능, 필터링 연산자를 이용하여 안개 효과, 물방울 효과 등을 원본 영상 데이터에 가미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에 구비되는 효과 메뉴 기능은 전술한 사항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새롭게 개발된 특수 효과가 있을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새로운 효과 메뉴 기능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The effect menu function refers to software that performs operations to add various special effects to the original image data. The above-mentioned various special effects include the function of softening the original image data, the function of blurring the original image data, the enhancement of sharpness in the original image data, the function of roughening the original image data, the fog effect using a filtering operator, and the water drop effect. And the like to add an image to original image data. The effect menu function included in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when there is a special effect newly develop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 new effect menu function can be downloa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색상 메뉴 기능은 원본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선택 영역을 지정한 후 지정된 선택 영역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기능, 선택 영역에 조명 효과를 가미하여 주변보다 밝게 보이게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The color menu function refers to a softwar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a color of a designated area after designating a selection area with respect to original image data, and adding a light effect to the selection area to make it appear brighter than the surroundings.

설정 메뉴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편집 작업을 마친 최종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 최종 영상 데이터에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직접 전송하는 기능,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버튼 키의 동작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새롭게 설정하는 기능, 반복된 편집 작업을 소정의 버튼 키에 매크로(Macro)로 설정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When the print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setting menu function controls the output of the final image data after the editing operation through the printer. The multimedia message service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by attaching a message to the final image data. It include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directly by using, the user can arbitrarily set the operation of the button key used in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the function of setting the repetitive editing operation to the predetermined button key as a macro, etc. Means to perform the software.

색상 선택바 모듈(204)은 원본 영상 데이터의 색상을 편집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색상을 제공하는 일종의 팔레트로 기능하는 소프트웨어로 16색, 32색, 256색, 16 비트색, 32 비트색 등 다양한 색상을 제공한다. The color selection bar module 204 is a software that functions as a kind of palette that provides the colors required to edit the color of the original image data. Various colors such as 16 colors, 32 colors, 256 colors, 16 bits, and 32 bits are included. To provide.

상태 표시바 모듈(206)은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현재 편집 작업 중인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0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캔버스 모듈(208)은 로딩된 저장 영상 데이터를 원본 영상 데이터로 하여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화판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The status bar module 206 refers to software that allows the display unit 102 to display content currently being edited in the course of us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The canvas module 208 refers to software that provides a drawing function to perform various editing operations using the loaded stored image data as original image data.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riving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 입력부(300)에서 방향키(302)를 조작하여 캔버스 모듈(314)에서 포인터(316)의 이동을 제어하며, 메뉴바 모듈(306), 도구바 모듈(308), 색상 선택바 모듈(310)을 선택하게 된다.In the state of operat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the user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316 in the canvas module 314 by operating the direction key 302 in the key input unit 300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6, the toolbar module 308, and the color selection bar module 310 are selected.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방향키(302)를 조작하는 경우, 캔버스 모듈(314)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316)의 위치를 방향키(302)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키 입력부(300)에 구비된 버튼 키(304) 중 '#'를 선택하는 경우 메뉴바 모듈(306), 도구바 모듈(308), 색상 선택바 모듈(310)을 차례대로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며, '*' 키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모듈의 활성화를 취소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최초로 '#' 키를 조작하는 경우 메뉴바 모듈(306)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이후 '#' 키를 조작하는 경우 도구바 모듈(308)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이후 '#' 키를 조작하는 경우 색상바 모듈(310)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direction key 302,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316 displayed on the canvas module 314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key 302, and is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300. If the '#' is selected among the button buttons 304, the menu bar module 306, the toolbar module 308, and the color selection bar module 310 are sequentially activated, and the '*' key is selected. If so, the control to cancel the activation of the selected module. For example, when the '#' key is operated for the first time, the menu bar module 306 is controlled to be activated, and when the '#' key is operated, the toolbar module 308 is controlled to be activated. Then, when the '#' key is operated to control the color bar module 310 can be activated.

도구바 모듈(308)에서 제공되는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키 입력부(300)에 구비된 버튼 키(304) 중 0 내지 9의 숫자키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0'을 조작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도구바 모듈(308)의 1행 1열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0'을 2회 조작하는 경우 도구바 모듈(308)의 1행 2열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1'을 조작하는 경우 도구바 모듈(308)의 2행 1열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1을 2회 조작하는 경우 도구바 모듈(308) 2행 2열의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조작하는 키 입력부(300)의 작동은 예시적 사항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When the user wants to select an icon provided from the toolbar module 308, the number keys 0 to 9 of the button keys 304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300 are used. For example, when manipulating '0',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controls the icon displayed in the position of row 1 and column 1 of the toolbar module 308 to be activated. In case of manipulating '0' twice, the toolbar Controls that the icons displayed in the first row and second column positions of the module 308 can be activated. Also, when the '1' is operated, the icon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row and the first column of the toolbar module 308 can be activated.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wice, the toolbar module 308 has two rows and two columns. Controls the icon displayed at the position to be activated. Of course, the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300 for operat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various modifications as an exampl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장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editing operation on stored image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키 입력부(100)를 조작하여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 구동을 요청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프로그램 저장부(10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게 된다(S400).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저장 영상 데이터를 로딩한다(S402). 단계 S402에서 사용자는 카메라부를 기동하여 피사체를 촬영한 저장 영상 데이터를 로딩할 것인지(S404),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저장 영상 데이터를 로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S406).When the user requests to drive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by manipulating the key input unit 100, the microprocessor 114 drives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stor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104 (S400).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loads the stored imag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402). In step S402,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o load the stored image data photographing the subject by starting the camera unit (S404) or whether to load the stored image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S406).

단계 S404, S406에서 저장 영상 데이터 로딩을 마친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로딩된 저장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S408). 이 후,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편집 작업을 마친 최종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것인지,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직접 전송할 것인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된다(S410). 한편, 단계 S406에서 저장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는 과정이 실패할 경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S412).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that has finished loading the stored image data in steps S404 and S406 performs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loaded stored image data (S408). Afterwards, the video data editing software stores the final video data that has been edi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es a message, and transmits the message directly to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or uploads it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It is to be selected (S410). On the other hand, if the process of loading the stored image data fails in step S406,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generates an error messag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S412).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다 운로드한 영상 데이터를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데서 벗어나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영상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taste is different from simply storing image data downloaded from a server photographing a subject or providing various contents by using a camera uni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mage data can be edited accordingly.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경우, 데스크 톱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단말 장치에 연결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현장에서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편집 작업을 마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직접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separate terminal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nd perform the editing operation in the field without perform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stored image data. With regard to the image data,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essag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Claims (11)

별도의 단말 장치에 연결하지 않고도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기동하는 것만으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which can perform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stored video data by simply activating on-board software without connecting to a separate terminal device.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for providing a button for text input including a numeric key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a function for request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편집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operation state including a power supply state, a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a date and a time, and displays an editing process for the image data;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A program storage unit equipped with a real time operating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processing S / W, and image data editing software for providing a function of perform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현재 동작 모드와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가 구동 중일 경우 상태 플래그(Flag)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A mode state storage unit which sets and stores a state flag when the current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and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re being driven;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A microprocessor which controls overall operations such that audio transmission / receptio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re performed smoothly, and controls the process of driv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nd perform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And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 (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A digital signal processor which codes or decodes an audio signal and functions as an equalizer for multipath noise cancellation, and performs an audio data processing function and a decoding function on the image dat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선택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선택 영역을 잘라내는 작업,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작업, 상기 영상 데이터를 밑그림으로 하고 그 위에 텍스트를 삽입하는 작업,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한 상기 프레임 영상 데이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삽입하는 작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may include designating a selection area for a part or all of the image data, cutting the specified selection area, changing a color of the image data, making the image data a sketch, and writing text thereon. And inserting the image data into the frame image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downloading the frame image data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제공되며, 무선 인터넷을 경유하여 영상 데이터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접속하는 기능,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서비스의 가입 및 가입 해제와 관련된 절차를 처리하는 기능,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다양한 편집 작 업을 수행하는 기능, 편집 작업을 마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영상 데이터에 메시지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dia Service)를 이용하여 직접 전송하는 기능, 상기 영상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s developed / provided as a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application, and has a function of connecting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n image data editing service via a wireless Internet, wherein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 function of processing a procedure related to subscribing and unsubscribing of an image data editing service, performing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storing the image data that has been edit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and And attaching a message to the video data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direct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other party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and uploading the video data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via wireless Internet. To d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콘트롤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including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o generate the image data and a camera control processo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는 영상 데이터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의 갱신이 필요할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갱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anner of downloading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n image data editing service, and when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needs to be updated, the updated image data is upda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data editing function, characterized by downloading software.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비롯하여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과 영상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편집 작업을 요청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키 입력부와, 전원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편집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 호(Call) 처리 S/W,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프로그램 저장부와,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현재 동작 모드와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가 구동 중일 경우 상태 플래그(Flag)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와, 음성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에 있어서,Key input unit provides numeric keys for entering phone numbers, buttons for entering characters, and the ability to request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image data, including power usage, radio wave reception intensity, date and tim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and displaying an editing process for the image data, a real time operating system, a call processing S / W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arious edits for the image data A program storage unit equipped with image data editing software providing a function of performing a task, a current flag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and a state flag set when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s running and stored. Mode state storage unit,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 microprocessor that controls the process of runn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and performs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on the image data, and an equalizer for coding or decoding an audio signal and removing multipath nois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functions as a), and compris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 sound data processing function, the decoding function for the image data, in the image data editing method, (a) 상기 영상 데이터를 편집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a) receiving a command to edit the image data; (b)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단계;(b) driv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를 구동한 후 상기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지 않고 새롭게 비어있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c) selecting whether to generate new empty image data without loading the image data after running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in step (b); (d)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편집 소프트웨어로 로딩하는 단계;(d) loading the image data from the program storage into the image data editing software; (e) 상기 단계 (c)에서 로딩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에 대응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및(e) performing a task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editing tasks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various editing tasks on the image data loaded in step (c); And (f)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마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f) storing the image data after complet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Image data editing method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c) (c1) 상기 비어있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c1) generating the empty image data; (c2) 생성된 상기 비어있는 영상 데이터에 그래픽, 문자, 음성, 음향을 입력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생성하는 단계; 및(c2) generating graphics content by inputting graphics, text, voice, and sound into the generated empty image data; And (c3)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E-mail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이용하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후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c3) using the E-mail or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receiving the other party's phone number and transmitting the multimedia content to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Image data editing method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d) (d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기동하여 촬영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d1) load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starting the camera uni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2)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d2) loading the video data downloaded from a service providing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providing various content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Image data editing method comprising any one of.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e) (e1)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선택 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투명하게 설정한 후 다른 상기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여 서로 혼합하는 단계;(e1) designating a selection area for the image data, setting the selection area transparently, and then loading and mixing the other image data with each other; (e2) 상기 영상 데이터에 텍스트를 삽입하거나, 배경 음악을 삽입하는 단계;(e2) inserting text or inserting background music into the image data; (e3) 상기 영상 데이터에 액자 형태로 기능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 및(e3) adding frame data functioning as a frame to the image data; And (e4) 상기 영상 데이터에 움직임이 포함되도록 하는 단계(e4) including motion in the image dat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 Image data editing method comprising any one of.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in step (e3), 상기 프레임 데이터는 인물, 풍경, 사물, 동물,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 And the frame data includes a person, a landscape, an object, an animal, an animation, and a charact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f) (f1) 상기 다양한 편집 작업을 마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f1) storing the video data after completing the various editing operation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2) 상기 영상 데이터에 메시지를 첨부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중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f2) attaching a message to the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counterpart us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f3)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f3) uploading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편집 방법.Image data editing method comprising any one of.
KR1020050033478A 2005-04-22 2005-04-22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 KR1006278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478A KR100627837B1 (en) 2005-04-22 2005-04-22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478A KR100627837B1 (en) 2005-04-22 2005-04-22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837B1 true KR100627837B1 (en) 2006-09-25

Family

ID=3762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478A KR100627837B1 (en) 2005-04-22 2005-04-22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837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828B1 (en)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Customizing User Interface
EP17553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WO200005761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ndling messages including graphics
JP2008108278A (en) Communication terminal handling animation
US2006016767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0333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software
KR100627837B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 image data
KR2006010899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action image_call and method thereof
US20070050466A1 (en) Automated sharing of multimedia files
JP2007311840A (en) Template edit system and program
KR100678702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ynthesizing Vector Graphic Animation Content with Stored Picture
KR20040098133A (en) Method of setting background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20220014529A (en) Method and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for EditingImage Data
KR20030049670A (en) Method for sending a photo mail editing a pictures and cellular-phone using the same
KR10065217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electively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for Use with Image-Call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786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mage Data Editing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08988A (en) Method for providing caller-appointed multimedia content by using url in platform layer
KR101279841B1 (en)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image community editing thereof
KR100613823B1 (en) The method for synthesizing and sending the image
KR20040097642A (en) Method for establishing user-data by one-touch in mobile phone
KR20060111113A (en) Method for providing caller-appointed multimedia content by using url information in caller mobile terminal
KR20060075718A (en) Method for making the message using the image stored in the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JP200225902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49165B1 (en) Method for Indicating Thumbnail in Stand-by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JP200808378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