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171B1 - Method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171B1
KR100624171B1 KR1020040109870A KR20040109870A KR100624171B1 KR 100624171 B1 KR100624171 B1 KR 100624171B1 KR 1020040109870 A KR1020040109870 A KR 1020040109870A KR 20040109870 A KR20040109870 A KR 20040109870A KR 100624171 B1 KR100624171 B1 KR 10062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ing
imaging target
predetermined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70984A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171B1/en
Publication of KR2006007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9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촬상 모듈을 통해 촬상된 제1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2 이미지를 조정하여 촬상한 후 반투명화 모드에서 제1 이미지에 제2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verlaying a second image on the first image in the semi-transparent mode after the image is adjusted by the second image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first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module mounted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o the apparatu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촬상 수단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은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소정의 제1 촬상 대상을 촬상하는 단계 - 상기 제1 촬상 대상은 소정의 이미지 편집이 수행되는 대상임 -; 소정의 투명 모드에서 상기 촬상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소정의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투명하게 처리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촬상 대상은 상기 제1 촬상 대상을 소정의 이미지 편집을 수행하는 대상임 -;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가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을 촬상하는 단계; 및 소정의 반투명화 모드에서 상기 투명화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반투명화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editing a predetermined im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imaging means includes: imaging a predetermined first imaging target through the imaging means; A target to which certain image editing is performed; Transparently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object in a predetermined transparent mode and displaying it on predetermined display means; Superimpos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second imaging target on the transparently processed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means, wherein the second imaging target performs predetermined image editing on the first imaging target; Subject to-; Adjusting an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nput through the imaging means to display on the display means such that the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corresponds to the image siz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by a user's operation; ; Imaging the second imaging object via the imaging means; And semi-transparently processes the image of the transparent first image pickup object in a predetermined translucent mode,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means, and overlays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pickup target on the image of the first transparent target image. To display on the display means.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해 촬상된 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촬상된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이 원하는 대상에 코디네이션하고 싶은 대상이 코디네이션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the subject to be coordinated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mea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semi-transparently processed to overlay the image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to be coordinated and displayed by the user. Makes it easy to see how the object is coordinated.

개인 휴대 단말기, 이미지, 편집Personal digital assistant, image, edit

Description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편집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TECHNICAL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editing an im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촬상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captured by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촬상한 제1 이미지가 투명하게 처리된 상태 및 제2 촬상 대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image captured by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transparently processed and a second imaging tar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중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f a second imaging target is superimposed on an image of a first imaging target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비해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target is smaller than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target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대응하도록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an image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object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반투명 모드에 따라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대응하도록 조정된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 이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mage of an image of a second target to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image of the first target according to a translucent mod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editing method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촬상부110: imaging unit

120: 이미지 저장부120: image storage unit

130: 이미지 처리부130: image processing unit

140: 제어부140: control unit

150: 디스플레이부150: display unit

160: 입력부160: input unit

210: 제1 촬상 대상의 촬상된 이미지210: Captured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310: 제1 촬상 대상의 촬상된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한 상태310: Transparently processed captured images of the first imaging target

320: 제2 촬상 대상320: second imaging target

420: 제1 촬상 대상의 촬상된 이미지보다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이미지가 작게 조정된 상태420: The state in which the picked-up image of the second picked up object is smaller than the picked up image of the first picked up object

520: 제1 촬상 대상의 촬상된 이미지에 대응하도록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이미지가 조정된 상태520: The captured image of the second captured object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captured image of the first captured object

610: 제1 촬상 대상의 촬상된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한 상태610: Translucently processed captured image of first imaging target

620: 제1 촬상 대상의 촬상된 이미지에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중첩되는 영역620: An area in which the imag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overlaps the captured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코디네이션(coordinatio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촬상 모듈을 통해 촬상된 제1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2 이미지를 조정하여 촬상한 후 반투명화 모드에서 제1 이미지에 제2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diting an image for providing a coordination servic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ze of a first image photographed through an imaging module mounted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a second image on a first image in a semi-transparent mode after adjusting and capturing the second image so as to correspond thereto.

종래에는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의상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자신이 원하는 의상을 입어보거나 또는 미용실에 방문하여 자신이 원하는 머리 모양을 한 가발을 써보거나 하여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에게 의상이나 헤어 스타일이 어울리는지 확인해야만 했다.Conventionally, a user who wants to use a coordination service visits an offline store that sells clothes and wears the clothes she wants, or visits a beauty salon and wears a wig in the shape of his / her own hair and looks through the mirror. You had to make sure that the outfit or hairstyle suits you by checking.

이와 같은 종래 오프 라인 코디네이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매장을 방문해야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매장에 방문할 시간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오프 라인 코디네이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상품이 여러 가지인 경우 모두 직접 착용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offline coordination service ha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use when the user does not have time to visit the store because the user can directly visit the stor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ffline coordination service has a very troublesome problem because the user has to wear all of the products to be coordinated directly.

요즈음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가 오프 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자신의 이미지와 유사한 아바타를 통해 적용시켜 확인한 후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Nowaday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rs can purchase products after confirming their desired products through avatars similar to their own images through internet sites that provide coordination services without visiting the offline stores. .

하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구비된 상품에 대해서만 코디네이션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오프 라인상으로 확인한 상품에 대한 코디네이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oordination is possible only for the products provided in the Internet site providing the coordination ser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ordination for the products checked by the user is not possible.

따라서,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니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오프 라인 상에서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상품을 발견한 경우 사용자가 상품을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코디네이션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when a user finds a product to be coordinated off-line through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the user always carries, there is a demand for a service that allows the user to coordinate without directly wearing the product.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코디네이션 방법의 일례로서 한국출원 제10-2004-0087116호는 사용자가 코디네이션시키고자 대상(예를 들어, 사람, 애완견)과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대상(옷, 신발, 가발)을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해 각각 촬상하고,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한 후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한국출원과 같은 종래 개인 휴대단말기를 통한 코디네이션 방법은 촬상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해야 하므로 별도의 이미지 크기 조정 수단을 구비해야 하고, 아울러 이미지의 크기 조절에 따른 계산량이 많은 경우 신속한 코디네이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an example of a coordination method us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87116 discloses a personal portable application of an object (for example, a person and a dog) to be coordinated with a user (clothes, shoes, and a wig). Disclosed are a method for synthesizing images after capturing the respective images through the image pickup means of the terminal, adjusting the size of the captured image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the conventional coordination method using a personal mobile terminal such as the Korean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d image, so that a separate image size adjusting means must be provided, and when a large amount of calculation is required due to the image size adjustment,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ordinate There is this.

또한, 종래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코디네이션 방법은 사용자가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코디네이션 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일일이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ordination method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s a user's inconvenience in selecting an image to be coordinated from stored imag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하여 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대상 및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신속하게 두 대상의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coordinated and the object to be coordinated through the image pickup mea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n quickly edit the image of the two objec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해 줌 기능 또는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에 따라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한 후 촬상한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 captured image after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coordinated according to the zoom function or the imaging distance of the target to be coordinated through the imaging mea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ts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해 촬상된 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전에 중첩시킨 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an image of an imaging target to be coordinated before being captured by transparently processing the image of the imaging target to be imaged through an imaging means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same. It is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해 촬상된 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촬상된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and displaying an image of an imaging target to be coordinated by semi-transparently processing an image of an imaging target to be coordinated through an imaging means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that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촬상 수단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은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소정의 제1 촬상 대상을 촬상하는 단계 - 상기 제1 촬상 대상은 소정의 이미지 편집이 수행되는 대상임 -; 소정의 투명 모드에서 상기 촬상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소정의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투명하게 처리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촬상 대상은 상기 제1 촬상 대상을 소정의 이미지 편집을 수행하는 대상임 -;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가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을 촬상하는 단계; 및 소정의 반투명화 모드에서 상기 투명화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반투명화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editing a predetermined im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imag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maging a predetermined first imaging target through the imaging means; The first imaging target is a subject to which predetermined image editing is performed; Transparently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object in a predetermined transparent mode and displaying it on predetermined display means; Superimpos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second imaging target on the transparently processed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means, wherein the second imaging target performs predetermined image editing on the first imaging target; Subject to-; Adjusting an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nput through the imaging means to display on the display means such that the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corresponds to the image siz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by a user's operation; ; Imaging the second imaging object via the imaging means; And semi-transparently processes the image of the transparent first image pickup object in a predetermined translucent mode,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means, and overlays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pickup target on the image of the first transparent target image. To display on the display mean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편집 장치는 소정의 촬상 대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을 통해 촬상된 촬상 대상의 이미지 또는 소정의 편집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소정의 제1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 - 상기 제1 이미지는 편집시키고자 하는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임 -;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와 소정의 제2 이미지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이미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편집하고자 하는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임 -; 및 투명화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 또는 반투명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생성된 상기 편집 이미지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editing apparatu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ickup unit for imaging a predetermined image pickup target; An image storage unit which stores an image of an imaging target or an edite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An image processor which transparently processes a predetermined first image or semitransparently processes the first image, wherein the first image is an image of a first imaging target to be edite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 pickup unit to adjust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first image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first image with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An image of a second imaging target to be edited in the image;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edited image generated by overlaying the second image on the first image that has been transparently processed or the first image that has been semitransparently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display screen.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등과 같이 소정의 촬상 모듈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dely used herein includes a predetermined imaging module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d the like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It is a concept that collectively refers to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편집 방법 및 그 장치를 실시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ordination servic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미지 편집 장치는 촬상부(110), 이미지 저장부(120), 이미지 처리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입력부(16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editing an im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mage editing apparatus includes an image capturing unit 110, an image storing unit 120, an image processing unit 130, The controller 140 includes a display unit 150, an input unit 160, and an input unit 160.

도 1을 참조하면, 촬상부(110)는 사용자로부터의 촬상 요청에 따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의 렌즈의 촬상 범위 내에 위치 하고 있는 소정의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촬상부(110)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촬상 대상 또는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상기 제1 촬상 대상은 소정의 이미지 편집이 수행되는 대상으로서 상기 사용자 자신 또는 상기 사용자가 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대상인 애완견, 타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촬상 대상은 상기 제1 촬상 대상을 소정의 이미지 편집을 수행하는 대상으로서 옷, 구두, 가발, 가방 등이 될 수 있다. 촬상부(110)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서 상기 촬상 대상에 대한 촬상 거리를 조정하는 광학 줌(zoom)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부(110)는 상기 촬상 대상에 대한 촬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디지털 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imaging unit 110 captures an image of a predetermined imaging target located within an imaging range of a lens of a camera mounted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imaging request from a user. The imaging unit 110 captures an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or the second imaging target input through the lens of the camera. The first image capturing target may be an object for which a predetermined image editing is performed, such as a pet dog or another person, which is the user or the target to be coordinated by the user. The second imaging target may be clothes, shoes, a wig, a bag, etc., as a target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image editing on the first imaging target. The imaging unit 110 may include an optical zoom lens that adjusts an imaging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imaging target as the lens of the camera. The imaging unit 110 may perform a digital zoom functi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captured image for the imaging target.

이미지 저장부(120)는 촬상부(110)를 통해 촬상된 촬상 대상의 이미지 또는 소정의 편집 이미지를 저장한다. The image storage unit 120 stores an image of an imaging target or an edite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110.

이미지 처리부(130)는 소정의 제1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한다. 상기 제1 이미지는 코디네이션 서비스에 따라 편집(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이다. The image processor 130 may transparently process the first image or semi-transparently process the first image. The first image is an image of a first imaging target to be edited (coordinated) according to a coordination service.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와 소정의 제2 이미지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이미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촬상부(110)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소정의 줌 기능 요청에 따라 촬상부(110)의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이 조정되도록 촬상부(110)를 제어한다.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편집하고자 하는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이다. 제어부(140)는 소정의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또는 상기 편집 이미지가 저장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제2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이미지에 대한 촬상 거리를 조정하도록 촬상부(11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imaging unit 110 to adjust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first image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first image with the size of the second predetermined image.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imaging unit 110 to adjust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lens of the imaging unit 1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zoom function request. The second image is an image of a second imaging target to be edited into the first image. The controller 140 allows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or the edited image to be stor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orage request.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imaging unit 110 to adjust the imaging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e 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상부(110)의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이미지 또는 촬상부(110)를 통해 찰상된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310)에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이미지(320)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명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310)에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상 거리 또는 줌 기능의 조정에 따라 상기 제2 이미지(420, 520)의 크기가 조정된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반투명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610)에 대응하도록 크기가 조정된 제2 이미지(520)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first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lens of the imaging unit 110 or the first image scratched through the imaging unit 110.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transparently processed first image as shown in FIG. 3A. As illustrated in FIG. 3C, the display unit 150 overlaps the second image 320 inputted through the camera lens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310 processed transparently. As shown in FIG. 4 or 5,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second image 420 or 520 according to an adjustment of an imaging distance or a zoom function through the camera lens on the transparently processed first image 310. Displays the resized stat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display 150 overlays and displays a second image 520 that is sized to correspond to the semi-transparently processed first image 610.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하기 위한 촬상 요청 또는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저장 요청을 입력 받는다.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줌 기능 요청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이미지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편집 요청을 입력 받는다. The input unit 160 receives an image capture request for captur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r a storage request for storing the image from a user. The input unit 160 may receive a zoom function request for adjusting a siz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from a user. The input unit 160 receives an editing request for editing an image from a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촬상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captured by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촬상부(110)의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소정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소정의 사용자에게 편집시키고자 하는 대상을 확인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를 확인한 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의 줌 기능 또는 상기 제1 촬상 대상에 대한 촬상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의 설정 입력에 따라 또는 상기 촬상 거리 조정에 따라 조정된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조정된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확인한 후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크기인 경우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대한 촬상 요청을 입력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상 요청이 입력되면, 촬상부(110)를 통해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촬상한 제1 이미지(210)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대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상기 촬상한 제1 이미지(210)를 확인한 후 자신의 의도한 대로 촬상된 경우 상기 이미지(210)를 저장하기 위해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이미지(210)에 대한 저장 요청을 입력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촬상한 제1 이미지(210)의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촬상한 제1 이미지(210)를 이미지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1 and 2,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displays an image of a first imaging target input through a camera lens of the imaging unit 110 on a predetermined display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You can tell the user what you want to edit. The user may check the image size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n adjust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or the image capturing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first image capturing object through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of the first photographing target adjusted through the input unit 160 according to a setting input of a zoom function of the camera lens from the user or by adjusting the imaging distance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Display on the display screen. The user checks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object adjusted through the display scree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if the image size is desired, the user requests an image capturing request for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object through the input unit 160. Enter it. When the image capturing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ptures an image of the first image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display unit 150. One image 2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object to be edited. The user checks the first image 210 photograph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n the image through the input unit 160 to store the image 210 when the image is captured as intended. Enter a save request for 21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tores the captured first image 210 in the image storage unit 120 according to a storage request of the captured first image 210 in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촬상한 이미지가 투명하게 처리된 상태 및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captured by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processed transparently and an image of a target to be coordin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상한 제1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요청을 입력 받는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편집 요청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130)를 통해 소정의 투명 모드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투명 모드에 따라 상기 투명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310)를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제2 촬상 대상은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중첩시켜 상기 제1 촬상 대상이 착용시켰을 때 어울리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싶어하는 대상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소정의 의상(320)일 수 있다. 1 and 3A,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receives an editing request for editing the captured first imag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ransparently processes the first image through a predetermined transparent mode through the image processor 130 according to the editing reques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transparently processed first image 310 on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3A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As shown in FIG. 3A,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clothing 320 is a target that a user wants to confirm whether the second imaging target is overlaid on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and is suitable when the first imaging target is worn. Can be.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중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f a second imaging target is superimposed on an image of a first imaging target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를 통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촬상 영역 내에 상기 제2 촬상 대상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촬상부(110)의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투명하여 처리한 제1 이미지(310)에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제2 이미지(320)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 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가 상기 제1이미지에 비해 더 크므로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가 상기 제1 이미지에 대등하도록 조정하기 위해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이 줌-아웃(zoom-out)으로 설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가 멀어지도록 조정한다. 1 and 3B, the user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through the camera le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llows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to be centered in the image capturing area of the camera lens. .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transparently process the imag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nput through the camera lens of the imaging unit 110 to the second image 320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Are superimpos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3B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3B, the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image because the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image.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lens is set to zoom-out through the input unit 160 so as to be equal to the first image, or the image distanc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is increa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비해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target is smaller than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target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60)를 통해 촬상부(110)의 상기 줌 기능이 줌-아웃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을 줌-아웃으로 설정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설정된 줌-아웃 기능에 따라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제1 이미지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줌 아웃 기능 또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조정된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420)가 상기 제1 이미지의 보다 작은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크게 하도록 하기 위해 조정되도록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조작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을 줌-인(zoom-in)으로 설정되도록 하 거나 또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가 짧아지도록 조정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카메라의 렌즈의 줌 기능이 줌-인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크기가 조정된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0)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1 and 4,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ets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lens to zoom-out as the zoom function of the imaging unit 110 is set to zoom-out through the input unit 160. .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uperimposes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to be superimposed on the first image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set zoom-out fun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When the zoom-out function or the image 420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adjusted as the imaging distanc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becomes farther than that of the first image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imag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as shown in FIG. 4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imag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s displaye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operated to be adjusted to make it larger. The user adjusts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lens to zoom-in through the input unit 160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r adjusts the imaging distanc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to be shortene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to capture an imag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whose size is adjusted as the zoom function of the lens of the camera is set to zoom-in or the imaging distanc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s shortened through the input unit 160. The display unit 1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대응하도록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an image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object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60)를 통해 촬상부(110)의 상기 카메라 렌즈에 대한 줌 기능의 줌-인으로 조정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을 줌-인으로 설정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설정된 줌-인 기능에 따라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제1 이미지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줌-인 기능에 따라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520)가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조정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하기 위한 촬상 요청을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한다. 1 and 5,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zooms in to the zoom-in function of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lens of the imaging unit 110 through the input unit 160. Set to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uperimposes the imag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on the display screen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set zoom-in fun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zoom-in function, the image 520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is adjusted to fit the size of the first image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is suitable for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capturing object as shown in FIG. 5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is captured. The image pickup request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반투명 모드에 따라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대응하도록 조정된 상태에서 촬상한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lays and displays an image of a second imaging target imaged in a stat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according to a translucent mode; FIG. .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60)를 통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에 대한 촬상 요청을 입력 받은 경우 촬상부(110)를 통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 처리부(120)를 통해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반투명하게 처리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610)에 상기 촬상한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520)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반투명하게 처리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610)은 상기 촬상한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520)를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영역(620)을 투명화하게 처리하고, 상기 오버레이하고자 하는 영역(620)이외에 다른 영역을 투명화하게 처리하지 않고 촬상될 때의 원 상태로 표시된 것이다. 1 and 6, w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receives an image capturing request for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through the input unit 16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ptures an imag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emi-transparently processes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captures the image on the image 610 of the first imaging target that has been semitransparently processed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image to be captured 520 is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The semi-transparent processed image 610 of the first imaging target is processed to transparently process the region 620 to overlay the captured image 520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and is not over the region 620 to be overlaid. It is displayed in its original state when it is picked up without processing other areas transparently.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 편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소정의 촬상 수단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촬상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n im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process of edi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pickup means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image pickup unit. .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소정의 제1 촬상 대상을 촬상한다. 상기 제1 촬상 대상은 소정의 이미지 편집이 수행되는 대상이다. 단계(72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투명 모드에서 상기 촬상한 제1 대상의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한다. 상기 투명 모드는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310)가 투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단계(73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투명화하게 처리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중첩시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7, in step 71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picks up a predetermined first imaging target through the imaging means. The first imaging target is a target to which predetermined image editing is performed. In step 72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ransparently processes the captured first image of the subject in a predetermined transparent mode and displays it on a predetermined display means. The transparent mode is not to make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invisible but to make the image 310 of the first imaging target transparent as shown in FIG. 3A. In step 73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uperimposes an image of a predetermined second imaging target on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processed transparently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as shown in FIG. 3B.

상기 제2 촬상 대상은 상기 제1 촬상 대상에 대해 소정의 이미지 편집을 수행하는 대상이다. 단계(74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의 크기 조정 요청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미지의 크기 조정 요청은 상기 촬상 수단의 카메라 렌즈의 줌 기능 조정 또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크기 조정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단계(75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가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촬상 수단의 줌 기능을 조절한다. 단계(76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된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을 촬상한다. 단계(77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반투명 모드에서 상기 투명하게 처리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한다. 상기 반투명 모드는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오버레이될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시키고,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오버레이되지 않는 부분을 촬상된 그대로 보이도록 설정하는 모드이다. 단 계(780)에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반투명하게 처리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상기 찰상한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한다. The second imaging target is a target that performs predetermined image editing on the first imaging target. In step 74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image resizing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The request to adjust the size of the image is to adjust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lens of the imaging means or the imaging distanc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As the resizing request is input, in step 75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imaging target input through the imaging means such that the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corresponds to the image siz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The image size of the displa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djusts an image capturing distanc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or a zoom function of the image capturing mean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order to adjust an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In step 76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picks up the second imaging target through the imaging means when the imaging request of the displayed second imaging target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In step 77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emi-transparently processes the transparently processed image of the first imaging object in a predetermined translucent mod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The translucent mode transparently processes a portion of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to be overlaid on the image to be overlaid and overlays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to be overlaid, and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is not overlaid. In this mode, the part is set to appear as it is captured. In step 78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verlays the image of the scratched second imaging target on the semitransparently processed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촬상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상기 촬상한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또는 상기 반투명하게 처리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상기 촬상한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이미지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by overlaying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pickup target on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pickup target,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pickup target, or the semi-transparently processed first image target image. The image can be stored in any memory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lso include computer-readable media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하여 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대상 및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한 후 신속하게 두 대상의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마음에 드는 의상을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코디네이션 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이 착용해보고 싶은 의상을 직접 착용하지 않고도 짧은 시간에 다양한 의상에 대한 코디네이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coordinated and the object to be coordinated through the image pickup mea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n be quickly edited after the image of the two objects, the user can wear the clothes he likes You can easily see if it suits you without wearing it yourself. Therefore, as the user checks the coordin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determine the coordination state for various clothes in a short time without having to directly wear the clothes she wants to wea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해 줌 기능 또는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촬상 대상의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별도의 이미지 크기 조정 모듈이 없어도 이미지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image sizing modul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target image by adjusting the zoom function or the imaging distance of the target image through the imaging mea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size of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해 촬상된 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전에 중첩시킨 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리 촬상 대상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cessing the image of the target image to be coordinated by the image pickup mea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ransparently superimposed before displaying the image of the target image to be coordinated before the image is captured and displayed to the user in advance Allows you to adjust the siz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상 수단을 통해 촬상된 코디네이션시키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촬상된 코디네이션하고자 하는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 이 원하는 대상에 코디네이션하고 싶은 대상이 코디네이션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lucently processing the image of the target image to be coordinated by the image pickup mea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overlay the image of the target image to be captured coordinated to display the image of the target object to the user desired Make it easy to check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 you want to coordina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소정의 촬상 수단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소정의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editing a predetermined imag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predetermined imaging means,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소정의 제1 촬상 대상을 촬상하는 단계 - 상기 제1 촬상 대상은 소정의 이미지 편집이 수행되는 대상임 -;Imaging a predetermined first imaging target via the imaging means, wherein the first imaging target is a target to which predetermined image editing is performed; 소정의 투명 모드에서 상기 촬상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Transparently process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first captured object in a predetermined transparent mode and displaying it on predetermined display means; 소정의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투명화하게 처리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촬상 대상은 상기 제1 촬상 대상에 소정의 이미지 편집을 수행하는 대상임 -;Superimpos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second imaging target on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processed transparently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means, wherein the second imaging target performs predetermined image editing on the first imaging target; Subject to-;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가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Adjusting an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nput through the imaging means to display on the display means such that the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corresponds to the image siz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by a user's operation; ; 상기 촬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 촬상 대상을 촬상하는 단계; 및Imaging the second imaging object via the imaging means; And 소정의 반투명 모드에서 상기 투명화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반투명화한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In the predetermined translucent mode, the transparent image of the first image pickup object is semi-transparently process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nd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pickup target is overlaid on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object to be translucent. Displaying on the display mean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Image edit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에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한 이미지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Storing an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the second imaging target, or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overlaid on the imag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in a predetermined memory means. An image editing method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명 모드는The transparent mode is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투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설정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And a mode for setting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to be transparent, rather than making the imag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invisib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투명 모드는 상기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오버레이될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시키고, The translucent mode transparently processes a portion of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to be overlaid with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to be overlaid and overlays the image of the second image to be captured.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가 오버레이되지 않는 부분을 촬상된 그대로 보이도록 설정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And a mode for setting a portion of the second image to be overlaid so that the image is not overla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The step of adjusting the image siz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촬상 대상의 촬상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촬상 수단의 줌 기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방법An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 image capturing distance of the second image capturing object or a zoom function of the image capturing mean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5 on a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편집 장치에 있어서,In the image editing apparatus of a personal mobile terminal, 소정의 촬상 대상을 촬상하는 촬상부;An imaging unit for imaging a predetermined imaging target; 상기 촬상부을 통해 촬상된 촬상 대상의 이미지 또는 소정의 편집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An image storage unit which stores an image of an imaging target or an edite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소정의 제1 이미지를 투명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이미지를 반투명하게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 - 상기 제1 이미지는 편집시키고자 하는 제1 촬상 대상의 이미지임 -; An image processor which transparently processes a predetermined first image or semitransparently processes the first image, wherein the first image is an image of a first imaging target to be edited;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와 소정의 제2 이미지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이미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편집하고자 하는 제2 촬상 대상의 이미지임 -;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 pickup unit to adjust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first image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first image with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An image of a second imaging target to be edited in the image; And 투명화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 또는 반투명하게 처리된 제1 이미지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생성된 상기 편집 이미지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edited image generated by overlaying the second image on the first image that has been transparently processed or the first image that has been semitransparently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display scree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장치.Image edit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저장 요청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And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torage request for selecting an imag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screen from a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또는 상기 편집 이미지가 저장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orage unit to store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or the edited image according to the storage reques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이미지에 대한 촬상 거리를 조정하도록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maging unit to adjust an imaging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e to adjust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촬상부는 소정의 촬상 대상에 대한 촬상 거리를 조정하는 줌(zoom)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장치.And the imaging unit includes a zoom function for adjusting an imaging distanc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imaging target.
KR1020040109870A 2004-12-21 2004-12-21 Method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KR100624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870A KR100624171B1 (en) 2004-12-21 2004-12-21 Method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870A KR100624171B1 (en) 2004-12-21 2004-12-21 Method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984A KR20060070984A (en) 2006-06-26
KR100624171B1 true KR100624171B1 (en) 2006-09-18

Family

ID=3716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870A KR100624171B1 (en) 2004-12-21 2004-12-21 Method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1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49B1 (en) * 2007-04-03 200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frame inserting thereof
KR101652853B1 (en) * 2015-02-26 2016-09-01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Electronic document editing device and method for partial resizing of the image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984A (en)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29651B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8353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7876334B2 (en) Photography with embedded graphical objects
JP201517656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WO20210398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556158B1 (en) The social service system based on real image using smart fitting apparatus
JP6350695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13810627B (en)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EP419564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732989B2 (en) Method for managing data, imaging, and information computing in smart devices
CN114140342A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816882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624171B1 (en) Method for editing image by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JP2004326179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t
JP658348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3853569A (en) Head-mounted display
JP667345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JP6128185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5922517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shooting function
CN111083345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unique illumination and non-volatile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JP2019204560A (en) program
WO201816882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7249015B2 (en) Product fitting system, terminal device, management server, computer program, and product sales method
JP2024017389A (en) Image processor,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program
JP5263989B2 (en) Image delivery system, image delivery method, and image delivery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