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417B1 -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 Google Patents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417B1
KR100623417B1 KR1020060016604A KR20060016604A KR100623417B1 KR 100623417 B1 KR100623417 B1 KR 100623417B1 KR 1020060016604 A KR1020060016604 A KR 1020060016604A KR 20060016604 A KR20060016604 A KR 20060016604A KR 100623417 B1 KR100623417 B1 KR 100623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derly
walking
belt
rehabilitation
detach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홍재
Original Assignee
박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재 filed Critical 박홍재
Priority to KR102006001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4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4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61H3/0277Shock absorbers therefor
    • A61H2003/0283Shock absorbers therefor using elastomer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노인 및 재활환자가 안전하고 쉽게 전신 보행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노인이 여생동안 건강한 삶을 유지, 생활할 수 있게 하고, 재활환자가 재활운동을 통해 예전의 건강한 몸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by allowing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to walk safely and easily systemic walking indoors, to help the elderly to maintain a healthy lif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he aim is to allow rehabilitation patients to return to their former healthy body through rehabilitation exercises.

본 발명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는, 하부몸체(110)와, 상부몸체(140)와, 안전고정구(180)와, 그리고 다수의 고정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몸체는, 좌우 양측 전후방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리(120)와, 후방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굴곡되면서 상기 다리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30)을 가진다.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하단이 착탈 및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로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50)과, 좌우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전방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160)을 구비한다. 상기 안전고정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고정대들의 상단은 상기 수직프레임들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110, an upper body 140, a safety fastener 180, and a plurality of fixing stands 190. The lower body has a plurality of legs 120 installed at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a horizontal frame 13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legs while the rear body is bent in an open channel shape. The upper body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bottom is detachably and height-adjustable, and at least one pair is arranged at the left and right,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left and right The connecting frame 160 is provided. Upper ends of the fixing member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afety fixture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s.

런닝머신, 보행, 주행, 보조장치, 노인, 재활환자, 어린이, 애견, 재활운동 Treadmill, Walking, Driving, Aids, Elderly, Rehabilitation, Children, Dogs, Rehabilitation

Description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Gait assist device for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ody constitu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fastener constitu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가 런닝머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readmil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가 런닝머신에 설치되어 보행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readmill to walk movement.

도 6은, 도 5의 일부 좌측면도이다. 6 is a partial left side view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장치10: walking aid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런닝머신, 101 : 벨트트랙, 100: treadmill, 101: belt track,

102 : 사이드 프레임, 110 : 하부몸체, 102: side frame, 110: lower body,

120 : 다리, 122 : 수평연결빔, 120: bridge, 122: horizontal connecting beam,

123 : 바퀴, 130 : 수평프레임, 123: wheels, 130: horizontal frame,

131 : 결합공, 132 : 손잡이, 131: coupling hole, 132: handle,

140 : 실시예 1의 상부몸체, 150 : 실시예 1의 수직 프레임, 140: upper body of Example 1, 150: vertical frame of Example 1,

151 : 전방 높이조절지주, 152 : 후방 높이조절지주,151: front height adjustment column, 152: rear height adjustment column,

153 : 수나사부, 154 : 너트, 153: male thread portion, 154: nut,

155 : 삽입관부, 156 : 겨드랑이 지지대, 155: insertion tube, 156: armpit support,

157 : 고정프레임, 158 : 고정격자, 157: fixed frame, 158: fixed grid,

160 : 실시예 1의 연결프레임, 170 : 가슴지지바, 160: connection frame of Example 1, 170: chest support bar,

171 : 롤 쿠션, 180 : 안전고정구, 171: roll cushion, 180: safety fasteners,

181 : 몸체지지부, 182 : 팔끼움벨트, 181: body support, 182: arm fitting belt,

183 : 고정고리, 184 : 길이조절수단, 183: fixing ring, 184: length adjusting means,

185 : 가슴벨트, 186 : 결속수단, 185: chest belt, 186: means of fastening,

187 : 복부벨트, 190 : 고정대, 187: abdominal belt, 190: fasteners,

191 : 연결벨트, 193 : 상부연결클립, 191: connecting belt, 193: upper connecting clip,

194 : 하부연결클립, 194: lower connection clip,

본 발명은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적인 런닝머신 등에서 보행 또는 주행 운동을 하기가 어려운 노인 및 재활환자가 안전하고 쉽게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king aid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who are difficult to walk or drive exercise in a general treadmill and the like to safely and easily walk.

21세기를 맞이하여 식생활의 개선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노령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노인일수록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남은 생애동안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거동이 자유로운 노인의 경우, 매일 새벽에 가까운 약수터에 가거나 동네 어귀를 거닐면서 규칙적으로 가벼운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령이거나 질환을 가져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 야외에서 운동을 하는 것은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다. In the 21st century,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as the life of human beings increases due to the improvement of diet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older people exercise regularly, the more important they are to maintain a healthy lif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If you're free to go, you can go to the nearby spring ground every morning or walk around the village regularly to get some light exercise. However, for older people or those with disabilities who are uncomfortable with mobility, exercising outdoors is dangerous and difficult.

또한, 각종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중풍 등의 질환으로 신체를 잘 움직이지 못하는 재활환자에게는 가정에서라도 매일 정해진 시간동안 규칙적으로 재활운동을 하는 것이 이전의 건강한 몸상태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몸체를 고정하여 직립보행운동을 하게 하는 로봇형 보행운동기구가 출시되어 있지만, 워낙 고가이다보니 구입하기가 어렵다. 또한, 노약자나 재활환자 등이 손쉽게 몸체를 고정하여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보행 및 주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운동기구가 아직 제안되고 있지 않아, 가정 내에서 노약자나 재활환자 등이 운동을 하는 것은 너무나 어려운 일이다. In addition, for rehabilitation patients who are unable to move their bodies well due to various industrial accidents, traffic accidents, and strokes, regular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a fixed time every day at home is the best way to return to a healthy state. A robot-type walking exercise device that has a body fixed to perform an upright walking movement has been released, but it is difficult to purchase because it is very expensive. In addition, exercise equipments that allow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to easily fix the body to exercise safely and to walk and run at low prices have not been proposed. It is too hard to do.

아울러, 운동을 하지 못해 비만, 관절염 등 각종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애견의 건강 문제도 있다. 싱글족 및 독거노인의 증가, 자녀를 가지지 않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인간의 외로운 삶을 위로해주는 애견은 현재 가족 구성원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태까지는 애견의 건강을 위해 애견주가 애견을 야외에서 운동시켜왔지만, 현재에는 애견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이 사회 문제화되면서 애견의 야외활동에 관한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이에 애견주는 애견의 건강을 위해 가정에서라도 애견을 운동시켜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 health problem for dogs suffering from various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arthritis due to inability to exercis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s an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families without children, dogs that comfort human life are becoming one of the family members. So far, dog owners have exercised their dogs outdoors for the health of their dogs, but now, as the pollution caused by dogs becomes a social problem, regulations on dogs' outdoor activities are being tightened. The dog owner is faced with the reality of exercising the dog even at home for the health of the dog.

요즘, 대두되고 있는 어린이의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으로 발생되는 소아비만 문제도 있다. 요즘 어린이들은 고지방, 고칼로리 성분의 자극적인 인스턴트식품을 즐겨먹고, 학교 수업을 마친 후에는 학원에서 보충수업을 듣거나 실내에서 컴퓨터 게임에 몰두하는 등 거의 육체적 운동을 하지 않는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전체 어린이의 30~40%가 소아비만에 걸려있을 정도로 심각한 상태이다. These days, there is also a problem of childhood obesity caused by poor eating habits and lack of exercise in children. Nowadays, children enjoy high-fat, high-calorie, stimulating fast food, and rarely do physical exercise after school, such as taking supplementary classes at school or immersing in computer games indoors. Recent research shows that 30-40% of all children are seriously ill.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가정에 쉽게 비치해 놓고 운동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통해, 가정에서도 노인 및 재활환자나, 애견 및 어린이가 전동런닝머신 벨트트랙 위에서 안전하고 쉽게 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각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rough the treadmill that can be easily equipped and exercise at home,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dogs and children can safely and easily exercise on the electric track machine belt track at home By doing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each to maintain a healthy life.

런닝머신은 가정에서 가족들이 손쉽게 보행이나 주행운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가장 대중적인 운동기구로서, 현재 각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런닝머신은 주로 신체가 자유로운 성인을 대상으로 운동할 수 있게 제작된 것으로, 노인, 재활환자나 애견 및 어린이와 같이 특별한 안전장치 및 고정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운동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Treadmills are the most popular exercise equipment that can help families easily walk or drive at home. However, the treadmill is mainly designed to exercise for adults who are free to the body, when the need for special safety devices and fixing devices, such as the elderly, rehabilitation patients, dogs and children, it is difficult to exercise.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42381호에는, 런닝머신을 이용하여 장애자 및 재활자가 교정치료를 하는 경우에, 모니터를 통해 자신의 보폭, 발모양, 발의 각도 등과, 교정을 위해 표시되는 발모양, 보폭, 발의 각도 등을 직접 보면서 교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리모콘에 의해 모든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동조작에 불편함을 느끼는 장애자나 재활치료자가 혼자서도 런닝머신의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34381, when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by using the treadmill, their strides, foot shape, foot angle displayed on the monitor, foot shape, stride length displayed for correction Technology that allows you to perform calibration while looking directly at the angle of the foot, and also enables all operations by remote control, so that the handicapped person or rehabilitation therapist who feels inconvenient in manual operation can easily operate the treadmill by himself. Is proposed.

그런데, 이 기술에 있어서는, 장애자나 재활자가 런닝머신에서 정상적으로 보폭과 발의 각도, 발모양을 개선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을 뿐, 장애자나 재활자가 런닝머신에 올라서서 보행 및 주행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을 언급하고 있지 않다. However, in this technology, it is suggested that the disabled and the rehabilitation person normally improve the stride length, the angle of the foot, and the shape of the foot on the treadmill, and the safety that allows the disabled and the rehabilitation person to climb on the treadmill to perform walking and driving movements. No mention is made of devices or fixture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노인 및 재활환자가 런닝머신이나 실내에서 안전하고 쉽게 보행 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재활을 돕게 하는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enables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to safely and easily walk on the treadmill or indoors, thereby maintaining a healthy life and helping the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aid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 양측 전후방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리와, 후방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굴곡되면서 상기 다리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가진 하부 몸체;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하단이 착탈 및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로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좌우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전방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가진 상부 몸체; 및 보행자가 착용하도록 상기 상부 몸체에 연결되는 안전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고정구는 4개 이상의 고정대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legs installed in both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top of the legs while the rear is bent in an open channel type; An upper body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to be detachably and height-adjustable and having at least one pair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connecting fronts of the vertical fram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rom side to side; And a safety fastener connected to the upper body to be worn by a pedestrian, wherein the safety fasten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body by at least four fastener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들이, 좌우측의 서로 대응하는 전후의 다리 하단이 수평연결빔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s, the lower end of the front and rea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a horizontal connection beam.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좌우측에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은,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지주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지주와; 상기 전, 후방 지주에서 상부로 연결되고, 사다리를 세워 눕힌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겨드랑이 지지대와; 그리고, 선단 및 후단이 상기 전방 지주 및 후방 지주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대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격자가 설치된 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pair of vertical frame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ody, the front support is disposed in front and the bottom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 rear strut arranged at a rear side and having a lower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n axle support connected from the front and rear posts to an upper part and connecting an intermediate part of the vertical frame in a shape of laying a ladder; An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s detachab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struts, the lower end of the fixing frame provided with a fixed gri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

또한, 상기 양쪽 겨드랑이 지지대의 선단부 상단에 걸쳐 가슴지지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슴지지바의 둘레로 롤 쿠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hest support bar is installed over the upper end portions of both armpit supports, and a roll cushion is installed around the chest support bar.

상기 안전고정구는, 보행 및 주행자의 등과 어깨를 감싸며 상기 고정대의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고리가 양쪽상부에 설치되는 몸체지지부와; 상기 몸체지지부의 양쪽에 연결되어 양팔을 끼우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팔끼움벨트와; 상기 팔끼움벨트에서 양쪽으로 연결되고 양끝단부가 원터치 구조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슴벨트와; 상기 몸체지지부의 하부에서 양쪽으로 연결되고, 양끝단부가 원터치 구조로 분리하고 연결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복부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afety fastener includes: a body support part surrounding the back and shoulders of the walker and the rider and having a fixing r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hereto; A pair of arm fitting belts which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dy support part, and which have both arms fitted thereto and whose length is adjustable; A chest belt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rm fitting belt and both ends of the arm belt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one-touch structure, and having a length adjustable; It is connected to both si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support, both ends are separated and connected in one-touch structure, the length of the abdomen belt adjus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고정대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벨트와; 상기 연결벨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연결클립과; 그리고, 상기 연결벨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고정구의 고정고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연결클립;을 구비하여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stand is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able belt; An upper connection clip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body; And a lower connection clip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of the safety fixtur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이하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body constitu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안전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fastener constituting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가 런닝머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readmil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가 런닝머신에 설치되어 보행 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readmill to walk movement;

도 6은, 도 5의 일부 좌측면도이고,6 is a partial left side view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A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10)는, 하부몸체(110)와, 상부몸체(140)와, 안전고정구(180)와, 그리고 다수의 고정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110, an upper body 140, a safety fastener 180, and a plurality of fasteners ( 190).

상기 하부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닝머신(100)의 벨트트랙(101) 양쪽의 사이드 프레임(102, 102)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부몸체(110)는 그 하단부 안쪽으로 상기 벨트트랙(101) 및 사이드 프레임(102)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lower body 11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side frames 102 and 102 on both sides of the belt track 101 of the treadmill 10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here, the lower body 110 may be made so that the belt track 101 and the side frame 102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이러한 하부몸체(110)는 보행자가 상기 벨트트랙(101) 상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게 되는데, 좌우 양측 전후방에 설치되는 복수 개(예컨대, 4개)의 다리(120)와, 수평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리(120)들의 하단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102)의 전후의 상면에 차례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다리(120)의 하단에 플랜지(121)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121)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사이드 프레임(102)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다리(120)가 사이드 프레임(10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body 110 is guided so that the pedestrian is located above the belt track 101, a plurality of (eg, four) legs 120 and the horizontal frame 130 is installed in both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ides. It can be made, including. Lower ends of the legs 12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and rea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ide frame 102, for example, a flange 12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120, and the flange 121 is formed. By fix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102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the leg 120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side frame 102.

상기 하부몸체의 수평프레임(130)은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볼 때 후방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굴곡되면서 상기 다리(120)들의 상단을 연결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상기 다리(120)들을 용접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후단 양쪽 부분은, 본 예의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3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4 and 5, the horizontal frame 130 of the lower body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legs 120 while being bent in an open channe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For example, the horizontal frame 130 may connect the legs 120 by welding. In addition, both rea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handle 132 to easily move the walking aid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of the present example.

상기 상부몸체(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10) 상부에 설치된다. 이 상부몸체(1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10)와 함께 상기 벨트트랙(101) 상부에서 보행자가 운동할 수 있는 보행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좌우측 각각 전, 후방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50, 150)과, 상기 수직프레임(150)들의 전방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upper body 14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s installed on the upper lower body (110). As shown in FIGS. 4 to 6, the upper body 140 forms a walking space in which the pedestrian can move on the belt track 101 together with the lower body 110,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a pair of vertical frames 150, 150 disposed in the rear portion, and comprises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160 for connecting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s 150 to each other.

상기 수직프레임(150)들은, 각각 그 하단이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전방 지주(151)와, 후방 지주(152)와, 겨드랑이 지지대(156)와, 그리고 고정프레임(1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Each of the vertical frames 150 has a lower end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front support 151, the rear support 152, the armpit support 156, and fixed. Frame 157 may be included.

상기 전방 지주(151)는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결합공(131)에 그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60)의 일단이 상기 전방 지주(15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후방 지주(152)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결합공(131)에 그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 후방 지주(151, 152)는 높이를 달리하여 제작됨으로써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지주(151, 152)에서 상부로 연결되고 좌,우측 각각 내측으로 사다리를 세워 높힌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50)의 중간부를 연결하며 폭이 좁아지는 좌,우 겨드랑이 지지대(156)가 설치되고, 상기 겨드랑이 지지대(156)는 보행자가 벨트트랙(101)에 올라서서 상기 겨드랑이 지지대(156)에 팔을 올려놓음으로써 겨드랑이가 상기 겨드랑이 지지대(156)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57)은, 그 선단 및 그 후단이 아래로 굴곡되고, 상기 선단 및 후단이 상기 좌, 우측 수직프레임(15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50)의 상단에는 확관된 삽입관부(155)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선단 및 후단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57)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대(19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격자(158)가 설치되어 있다. The front support 15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31 of the horizontal frame 130, one end of the connecting frame 160 is connected to the front support 151 do. In addition, the rear strut 152 is disposed at the rear and the low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31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he front and rear struts 151 and 152 are manufactured by varying the height so that they can be purcha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struts (151, 152)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 ladder is installed in an elevated shape to connect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50, the left and right armpit support is narrow 156 is installed, and the armpit support 156 may allow the armpit to be supported by the armpit support 156 by the pedestrian standing on the belt track 101 and placing the arm on the armpit support 156. . The fixed frame 157,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reof is bent downwar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may be detachab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 150.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50 is formed with a widened insertion tube 155, respectively,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s detachably inserted and couple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frame 157 is the upper end of the fixing table 190 The fixed grid 158 is detachably coupled.

또한, 상기 양쪽 겨드랑이 지지대(156)의 선단부 상단에 걸쳐 가슴지지바(170)가 설치되고, 상기 가슴지지바(170)의 둘레로 롤 쿠션(17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행자가 상기 겨드랑이 지지대(156)에 겨드랑이를 끼우고 상기 롤 쿠션(171)에 그 가슴을 기댄 상태에서 보행 운동을 편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hest support bar 170 is installed over the upper end portions of both armpit supports 156, and the roll cushion 171 is installed around the chest support bar 170. Therefore, the pedestrian can comfortably walk in the state in which the armpit is inserted into the armpit support 156 and leans the chest on the roll cushion 171.

한편, 상기 안전고정구(180)는 보행자가 착용하도록 상기 하부몸체(110) 및 상기 상부몸체(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보행 및 주행 공간에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afety fastener 180 is disposed in the walking and running space formed by the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40 to be worn by pedestrians.

상기 안전고정구(18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지지부(181)와, 한 쌍의 팔끼움벨트(182, 182)와, 가슴벨트(185)와, 복부벨트(1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afety fastener 180, as shown in Figures 3 to 7, the body support 181, a pair of arm fitting belts (182, 182), the chest belt 185, the abdominal belt (187) It can be made, including).

상기 몸체지지부(181)에는 보행자의 등과 어깨를 감싸며 양쪽상부에 상기 고정대(190)의 하단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고리(183)가 설치되어있다. 또한, 상기팔끼움벨트(182)는, 보행자가 양팔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지지부(181)의 양쪽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팔끼움벨트(182)는 예컨대, 트라이글라이드와 같은 길이조절수단(184)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슴벨트(185)는, 상기 한 쌍의 팔끼움벨트(182, 182)에서 양쪽으로 연결되고, 양끝단부가 원터치 구조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터치 분리 및 결합구조는 예컨대, 일반적인 안전벨트 등에 적용되는 원터치 결속수단(186)나 기타 다양한 구조의 원터치 결속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슴벨트(185) 역시 트라이글라이드와 같은 길이조절수단(184)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부벨트(187)는, 상기 몸체지지부(181)의 하부에서 양쪽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슴벨트(185)와 마찬가지로 양끝단부가 원터치 결속수단(186)에 의하여 분리하고 연결할 수 있고, 길이조절수단(184)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support part 181 is provided with a fixing ring 183 surrounding the back and shoulders of the pedestrian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stand 190 is detachably connected to both upper and lower portions. In addition, the arm fitting belt 182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dy support 181 so that pedestrians can fit both arms. In addition, the arm fitting belt 182 is preferably made of a length control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184, such as triglide. In addition, the chest belt 185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air of arm fitting belts (182, 182), both ends are made to be detachably connected in a one-touch structure. The one-touch separation and coupling structure may be applied to, for example, one-touch binding means 186 or other various one-touch binding means applied to a general seat belt. In addition, the chest belt 185 is also preferably made possible by the length adjustment means 184, such as triglide. In addition, the abdominal belt 187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support 181, and similar to the chest belt 185, both ends can be separated and connected by the one-touch binding means 186, l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means 184.

그리고, 상기 고정대(190)는, 상기 안전고정구(180)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전고정구(180)와 상기 상부몸체(140)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4개의 고정대(190)가 적용된다. The holder 190 is configured to detachably connect the safety fixture 180 and the upper body 140 to support the safety fixture 180. In the present invention, four fixtures 190 are provided. Apply.

상기 고정대(190)는, 그 상단이 상기 상부몸체(140)의 수직프레임(15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안전고정구(18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stand 190, the upper end is preferably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150 of the upper body 140, the lower end is preferably made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afety fixture 180.

예컨대, 상기 고정대(190)는, 연결벨트(191)와, 상기 연결벨트(191)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연결클립(193)과, 그리고 상기 연결벨트(191)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연결클립(19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xing stand 190, the connection belt 191, the upper connection clip 193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191, and the lower connection clip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191 194 and the like.

상기 연결벨트(191)는 전술한 안전고정구(180)의 벨트들과 마찬가지로 길이조절수단(184)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클립(193)은 예컨대, 열쇠고리와 같이 고리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프레임(157)의 고정격자(158)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클립(194) 역시 상기 상부연결클립(193)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상기 안전고정구(180)의 고정고리(183)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에 대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의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의 경우, 다리(120)가 런닝머신(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일반인이 본 발명의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 없이 런닝머신(100)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런닝머신(100)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를 밀어 런닝머신(100)쪽에 설치하고, 본 발명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가 필요없을 경우에, 본 발명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를 런닝머신(100)으로부터 끌어당겨 다른 곳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다리(120)들의 하단부 안쪽으로 런닝머신(100)의 벨트트랙(101) 및 사이드 프레임(102)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가 설치될 경우에, 상기 각 다리(120)들중 좌,우측의 서로 대응하는 전후의 다리(120, 120) 하단이 수평연결빔(122)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 수평연결빔(122)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사이드 프레임(102)의 외측면 전후방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전,후방 각각 2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빔(122) 선단부 및 후단부 저면에 이동가능한 바퀴(123)가 설치되면, 본 발명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바퀴(123)가 달린 본 발명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를 런닝머신(100)에 밀어 설치한 다음, 체결수단으로 상기 결합공(131)을 통해 사이드 프레임(102)에 수평연결빔(122)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평연결빔(122)들이 런닝머신(100)의 사이드 프레임(102)들 바깥쪽에 안정적으로 위치함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가 유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belt 191 is preferably made of a length control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184, like the belts of the above-described safety fixture 180. In addition, the upper connection clip 193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ring portion, for example, such as a key ring, it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ed grid 158 of the fixed frame 157. In addition, the lower connection clip 194 is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tructure of the upper connection clip 193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183 of the safety fastener 180.
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of Figure 1, the leg 120 is detached from the treadmill 100 Since it is possible to be fixed, in the case that the general public wants to use the running machine 100 without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of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convenience in using the running machine 100,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and installed on the treadmill 100, and the walking and travel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y, the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from the treadmill 100 and other places. It is made to be easy to move.
That is, when the walking aid device of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belt track 101 and the side frame 102 of the treadmill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legs 120,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legs 120 and 12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mong the legs 120 may be connected by horizontal connection beams 122,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s 122 may be fastened by bolt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31 (two at each of the front and the rear) are formed to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side of the side frame 102. In addition, when the wheel 123 movable 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122 is installed, the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Therefore, if necessary, the walking and runn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wheel 123 is installed by pushing the treadmill 100, and then horizontally to the side frame 102 through the coupling hole 131 as a fastening means Since the connection beam 122 can be fixed,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s 122 are stably positioned outside the side frames 102 of the treadmill 100, so that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fely moved without being moved. You can do walking exercise.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노인 및 재활환자가 실내에서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본 예의 노인 및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를 런닝머신(100)에 설치하게 되는데, 하부몸체(110)에 바퀴(123)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런닝머신(100)의 벨트트랙(101)과 그 양쪽의 사이드 프레임(102, 102)에 하부몸체(110)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되도록 본 예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를 런닝머신(100) 쪽으로 밀어 간단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결합공(131)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수평연결빔(122)을 사이드 프레임(102)에 고정한다. 또한, 바퀴(123)가 없는 경우에는 다리(120)들의 하단에 설치된 플랜지(121)를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102)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In order to allow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to exercise safely indoors, the walking aid device of the elderly and the rehabilitation patients of the present example is installed on the treadmill 100, when the wheel 123 is installed on the lower body 110. Push the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example to the treadmill 100 so that the belt track 101 of the treadmill 100 and the side frames 102 and 102 on both sides thereof ar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110. In a simple installation state, the horizontal connection beam 122 is fixed to the side frame 102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through the coupling hole 131. In addition, when the wheel 123 is not present, the flange 121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legs 120 is fastened to the side frame 102 by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이 상태에서, 보행자가 벨트트랙(101)의 상부에 하부몸체(110)와 상부몸체(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보행 및 주행 공간에 들어가 안전고정구(180)를 착용한 후, 런닝머신(100)을 구동하여 보행 또는 주행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롤 쿠션(171)에 가슴을 기대거나, 롤 쿠션(171)을 손으로 잡거나, 겨드랑이 지지대(156)에 겨드랑이가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보행 및 주행 운동을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적절한 높이에 놓인 연결프레임(160)을 손으로 잡고 보행 및 주행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건강한 사람이라면, 안전고정구(180)를 착용하지 않고 안전고정구(180)를 이탈시킨 후 보행 및 주행 운동을 하거나, 본 발명의 장치를 런닝머신(10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보행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ate, the pedestrian enters the walking and traveling space formed by the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40 on the upper part of the belt track 101, and wears the safety fastener 180, and then the treadmill 100 It is possible to walk or drive movement by driving the lean on the roll cushion 171, hold the roll cushion 171 by hand, or to support the armpits in the armpit support 156 in this process as needed.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safely walk and drive, and in some cases, can hold the connection frame 160, which is placed at an appropriate height, by hand to walk and drive. In addition, if a healthy person, walking and running movement after leaving the safety fastener 180 without wearing the safety fastener 180, or after walking away from the treadmill 100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walking exercise There will b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에 의하면, 한 대의 런닝머신(100)으로 일반인은 물론 노인 및 재활환자가 필요에 따라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장치(10)를 장착하여 보행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According to the walking aid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walking aid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as needed,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with one treadmill (100) I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be equipped with walking exercise.

또한, 노인 및 재활환자가 필요에 따라 안전고정구(180)에 의하여 몸체를 고정하여 보행 운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사람의 경우 상부몸체(140)의 적당한 부분을 잡거나 롤 쿠션(171)에 가슴을 기대어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운동중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가정이나 실내에서 쉽게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can secure the walking movement by fixing the body by the safety fixture 180 as needed, and also in the case of a person to hold the appropriate portion of the upper body 140 or chest on the roll cushion 171 It is possible to walk safely and comfortably by leaning against it, thus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r slipping during exercise, and maintaining a healthy life by making it easy to continue exercising at home or indoors. can do.

또한, 고령의 노인이나 중증의 재활환자의 몸체와 체중을 충분히 지탱하여 직립상태에서 보행 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건강을 되찾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sufficiently supporting the body and weight of the elderly elderly or severe rehabilitation patients to walk in the upright stat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quickly recover the health.

또한, 본 발명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고, 쉽게 런닝머신(100)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운동기구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약자의 운동 및 재활운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treadmill 100, the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can be provided at a much lower price than the existing exercise equipment, and thus the exercise and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Can be activated.

Claims (14)

좌우 양측 전후방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리와, 후방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굴곡되면서 상기 다리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가진 하부 몸체; A low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legs installed at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legs while the rear is bent into an open channel shape;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하단이 착탈 및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로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좌우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전방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가진 상부 몸체; 및 An upper body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to be detachably and height-adjustable and having at least one pair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connecting fronts of the vertical fram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rom side to side; And 보행자가 착용하도록 상기 상부 몸체에 연결되는 안전고정구;를 포함하고, Includes; safety fasteners connected to the upper body to be worn by pedestrians, 상기 안전고정구는 4개 이상의 고정대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 The safety fastener is a walk and run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body by four or more fix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리들이, 좌우측의 서로 대응하는 전후의 다리 하단이 수평연결빔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 The legs, the walking and runn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and rear leg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connected by a horizontal connection bea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몸체의 좌우측에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는 수직프레임은, At least one pair of vertical frame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ody,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지주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지주와; 상기 전, 후방 지주에서 상부로 연결되고, 사다리를 세워 눕힌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겨드랑이 지지대와; 그리고, 선단 및 후단이 상기 전방 지주 및 후방 지주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대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격자가 설치된 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 A front post disposed in front and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 rear strut arranged at a rear side and having a lower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n axle support connected from the front and rear posts to an upper part and connecting an intermediate part of the vertical frame in a shape of laying a ladder; An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s detachab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struts, the lower end of the fixing frame is provided with a fixed grid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fixing; Gait and driving aids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양쪽 겨드랑이 지지대의 선단부 상단에 걸쳐 가슴지지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슴지지바의 둘레로 롤 쿠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 The chest support bar is installed over the upper end portions of both armpit supports, and the walking and runn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 cushion is installed around the chest support ba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전고정구는, 보행 및 주행자의 등과 어깨를 감싸며 상기 고정대의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고리가 양쪽상부에 설치되는 몸체지지부와; 상기 몸체지지부의 양쪽에 연결되어 양팔을 끼우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팔끼움벨트와; 상기 팔끼움벨트에서 양쪽으로 연결되고 양끝단부가 원터치 구조로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슴벨트와; 상기 몸체지지부의 하부에서 양쪽으로 연결되고, 양끝단부가 원터치 구조로 분리하고 연결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복부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및 주행 보조장치. The safety fastener includes: a body support part surrounding the back and shoulders of the walker and the rider and having a fixing r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hereto; A pair of arm fitting belts which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ody support part, and which have both arms fitted thereto and whose length is adjustable; A chest belt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rm fitting belt and both ends of the arm belt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one-touch structure, and having a length adjustable; Walking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elderly and rehabilitation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d connected to both si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support, both ends are separated and connected in one-touch structure, the length of the abdomen belt adjustabl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고정대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벨트와; 상기 연결벨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연결클립과; 그리고, 상기 연결벨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고정구의 고정고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연결클립;을 구비하여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및 주행 보조 장치. The fixing stand is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able belt; An upper connection clip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body; And a lower connection clip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elt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xing ring of the safety faste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16604A 2006-02-21 2006-02-21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KR1006234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604A KR100623417B1 (en) 2006-02-21 2006-02-21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604A KR100623417B1 (en) 2006-02-21 2006-02-21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417B1 true KR100623417B1 (en) 2006-09-13

Family

ID=3762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604A KR100623417B1 (en) 2006-02-21 2006-02-21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417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059B1 (en) * 2006-07-12 2007-05-14 박홍재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KR100758751B1 (en) 2006-07-12 2007-09-14 박홍재 Safe jacket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WO2008007904A1 (en) * 2006-07-12 2008-01-17 Hong Jae Park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KR20190057544A (en) * 2017-11-20 2019-05-2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Apparatus for walking training
US10456317B2 (en) 2013-12-27 2019-10-29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joint angle of knee-joint type walking training robot
KR102153217B1 (en) * 2019-03-28 2020-09-07 찬 일 함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O2023277478A1 (en)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동아금속 Trampoline exercise apparatus
WO2024005232A1 (en) * 2022-06-28 2024-01-04 주식회사 동아금속 Trampoline exercise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127A (en) 1990-06-18 1992-03-31 Melnick Dennis M Physical exercise treadmill for quadrupeds
JPH08141109A (en) * 1994-11-25 1996-06-04 Hiroichi Hagiwara Pedomachine
JP2002035065A (en) * 2000-07-25 2002-02-05 Mitsuhiro Kurashige Walker enabling to walk by oneself
KR20030029856A (en) * 2001-06-26 2003-04-1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ower detection circuit for use in a power amplifier
US6607469B2 (en) 2000-09-12 2003-08-19 Ohtake Root Kogyo Co., Ltd. Running machine
KR200329856Y1 (en) 2003-07-23 2003-10-10 노인규 a traction and treatment apparatus for the lumbar with fixing type using gravit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127A (en) 1990-06-18 1992-03-31 Melnick Dennis M Physical exercise treadmill for quadrupeds
JPH08141109A (en) * 1994-11-25 1996-06-04 Hiroichi Hagiwara Pedomachine
JP2002035065A (en) * 2000-07-25 2002-02-05 Mitsuhiro Kurashige Walker enabling to walk by oneself
US6607469B2 (en) 2000-09-12 2003-08-19 Ohtake Root Kogyo Co., Ltd. Running machine
KR20030029856A (en) * 2001-06-26 2003-04-1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ower detection circuit for use in a power amplifier
KR200329856Y1 (en) 2003-07-23 2003-10-10 노인규 a traction and treatment apparatus for the lumbar with fixing type using gravit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035065
2003298560000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059B1 (en) * 2006-07-12 2007-05-14 박홍재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KR100758751B1 (en) 2006-07-12 2007-09-14 박홍재 Safe jacket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WO2008007827A1 (en) * 2006-07-12 2008-01-17 Hong Jae Park Safe jacket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and exerci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08007904A1 (en) * 2006-07-12 2008-01-17 Hong Jae Park Apparatus for assistanting training and walking
US10456317B2 (en) 2013-12-27 2019-10-29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joint angle of knee-joint type walking training robot
KR20190057544A (en) * 2017-11-20 2019-05-2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Apparatus for walking training
KR102153217B1 (en) * 2019-03-28 2020-09-07 찬 일 함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O2023277478A1 (en)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동아금속 Trampoline exercise apparatus
KR20230004097A (en) * 2021-06-30 2023-01-06 (주)동아금속 Trampoline fitness equipment
KR102550737B1 (en) * 2021-06-30 2023-07-03 (주)동아금속 Trampoline fitness equipment
WO2024005232A1 (en) * 2022-06-28 2024-01-04 주식회사 동아금속 Trampoline exercis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417B1 (en)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US8257232B2 (en) Device for the reeducation of motory deficiencies, particularly deficiencies when walking, in patients
US5167597A (en) Wheeled walker treatment method
US10293202B2 (en) Fitness training system
US20040002407A1 (en) Mobile rehabilitative walker
AU2015289086B2 (en) Device for assisting the crawling of an infant
CN109200536B (en) Synchronous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US20080300512A1 (en) Habilitation Treatment Suspension Device
US20170079879A1 (en) Synergistic Posture System
CN108079504B (en) Medical treatment is with independent recovered physiotherapy device of walking
US4307715A (en) Ambulatory aid
van de Rakt et al. Diagonals Part six. Standing up and the static reaction
van de Rakt et al. Diagonals part seven. Stroke 5. Walking: what say the scientist and what is best practice
RU192106U1 (en) Verticalizer
CN213285538U (en) Old person&#39;s hear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11356596U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auxiliary walking frame
US3391930A (en) Invalid walker
CN210872588U (en) Multifunctional nursing rehabilitation device
RU2272609C2 (en) Device for carrying physiotherapeutic treatment out at cerebral spastic infantile paralysis due to forming child&#39;s walk motor skills
JP2008073435A (en) Gymnasium unit and usage of gymnasium unit
Lotan Assistive technology and supplementary treatment for individuals with Rett syndrome
TW202041254A (en) Lower limb function improving apparatus
RU2264202C1 (en) Combined device for physiotherapy of infantile cerebral paralysis
RU2387438C1 (en) Combined physiotherapy apparatus for infantile cerebral paralysis
BR202022011408U2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IN REHABILITATION AND MOV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