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119B1 -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119B1
KR100623119B1 KR1020050039673A KR20050039673A KR100623119B1 KR 100623119 B1 KR100623119 B1 KR 100623119B1 KR 1020050039673 A KR1020050039673 A KR 1020050039673A KR 20050039673 A KR20050039673 A KR 20050039673A KR 100623119 B1 KR100623119 B1 KR 10062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ervice
content provider
user terminal
sour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39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1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119B1/en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의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음원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에 있어서,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 및 컨텐츠 제공자 코드가 결합된 접속 신호로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되었는지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확인하는 단계; b)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검색하는 단계; c) 음원정보가 검색된 경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결합된 음원정보를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음원정보에 포함된 URL에 접속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이용 편의성 증대 및 다양한 음악 컨텐츠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기존의 단일화된 접속번호와 달리 음악 서비스업체에 부가 마케팅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벨소리/링투유 등의 부가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sound source information in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using a fingerprint of a sound source. The 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for each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request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with a connection signal combin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telephone number and a content provider code from a user terminal; Confirming; b) searching for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when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is requested; c) whe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searched,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to the user terminal; And d) using an additional service by accessing a URL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customer convenience and use of various music contents, and unlike the existing unified access number, by providing an additional marketing channel to a music service company, it can contribute to activation of additional services such as ringtone / ring-to-yu. have.

음원정보, 이동 단말, CP, ARS 서버, 음악 찾기, 부가서비스 Sound sourc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CP, ARS server, music search, additional service

Description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How to set up additional services by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음원정보 제공 및 부가서비스 설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sound source information providing and additional service setting device.

도 2는 일반적인 음원정보 제공 및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neral sound source information providing and 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dditional service setting system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이용한 음악 검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search us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악 검색 및 벨소리 컨텐츠 다운로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music search and ringtone content download us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악 검색 및 통화연결음 컨텐츠 다운로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music search and download of a ring tone content us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원의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음원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에 있어서,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n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using a fingerprint of a sound source, the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sound source information It relates to an 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이동 통신 가입자의 증가와 더불어 음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음원을 이용한 부가서비스는, 예를 들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통화 배경음 서비스, 벨소리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음악 편지 서비스, MOD/VOD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는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고 싶은 현대인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어 큰 인기를 끌고 있다.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obile subscriber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using sound sources are being provided. Additional services using such a sound source may include, for example, a ringback tone replacement sound service, a call background sound service, a ringtone service, a karaoke service, a music letter service, and a MOD / VOD service. Such value-added services are attracting great popularity because they can satisfy the desire of modern people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그러나, 이러한 음원 관련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가입자가 음원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이 음원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부가서비스 가입자가 길을 가다가 우연히 흘러나오는 미지의 음악 또는 TV, 라디오 및 케이블 방송 등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자신의 부가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음악에 대한 정보를 찾아내야 하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이트나 ARS 등에 접속하여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However, in order to set the additional service related to the sound source, the mobile phone subscriber must know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and the sound source must be databased in the server providing the additional service. Accordingly, in order to set up an additional service source for unknown music that is accidentally flowed along the way or music that flows from TV, radio, and cable broadcast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information about music. It was inconvenient to set up or change additional services by accessing a specific site or ARS.

이에 따라 최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지의 음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후, 음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서비스가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음원 찾기 서비스의 경우, 부가서비스 설정을 위해 단일화된 접속번호만을 제공하고 있고, 또한,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업로드 되어있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URL만을 이용하도록 제한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음원 찾기 서비스인 써치뮤직의 경우, 그 이용 채널이 단순화되어 있어 개별 연계 컨텐츠 제공자들이 마케팅 툴로 활용하기에 불가능하였다.Accordingly, after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an unknown sound source using a mobile terminal, a ser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sound source has recently appeared. In the case of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only a single access number is provided for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download URL of the content uploaded to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is restricted. Accordingly, in the case of Search Music, which is an existing music search service, the use channel is simplified, and thus it is impossible for individual linked content providers to use it as a marketing tool.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제공자에게 직접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직접 다운로드받기 위한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directly downloading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by directly accessing the selected content provider from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우연히 흘러나오는 미지의 음원에 대한 정보 요청시 컨텐츠 제공자에게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는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er when requesting information about an unknown sound source accidentally flowing out using a mobi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은,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for each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 및 부가서비스 컨텐츠 제공자가 결합하여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setting the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user terminal,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and the additional service content provider,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 및 컨텐츠 제공자 코 드가 결합된 접속 신호로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되었는지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확인하는 단계;a) checking, by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provider, whether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has been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a connection signal combining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telephone number and a content provider code;

b) 상기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검색하는 단계;b) searching for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is requested;

c) 상기 음원정보가 검색된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결합된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c) whe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searche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to the user terminal; And

d)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음원정보에 포함된 상기 URL에 접속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d) using the additional service by accessing the URL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은, e) 상기 URL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의 검색페이지로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별로 해당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해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for each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to the search page of the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the URL to download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each content provider to the user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In addition, a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 및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결합하여 음원정보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provid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sound source information by combining a user terminal and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 및 컨텐츠 제공자 코 드가 결합된 접속 신호로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되었는지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확인하는 단계;a) checking, by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provider, whether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has been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a connection signal combining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telephone number and a content provider code;

b) 상기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검색하는 단계; 및b) searching for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is requested; And

c) 상기 음원정보가 검색된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과 결합된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c) whe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foun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to the user terminal;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제공자(CP)에게 직접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CP)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lected content provider CP from the user terminal to download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C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음원정보 제공 및 부가서비스 설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general sound source information providing and additional service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일반적인 음원정보 제공 및 부가서비스 설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sound source information providing and additional service setting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음원정보 제공 및 부가서비스 설정 장치는, 사용 자 단말(110),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120), 메시지 서비스 센터(130), ARS 서버(140), 음원 찾기 서버(150), 음원정보 조사 시스템(Metadata Lookup System: MLS)(160),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65),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 메타데이터 아이디 데이터베이스(Metadata ID Database: 175) 및 부가서비스 서버(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general sound source information providing and additional service setting device includes a user terminal 110,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20, a message service center 130, an ARS server 140, and a sound source. Search server 150, Metadata Lookup System (MLS) 160,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165,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metadata ID database (175) and additional services Server 180.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110)은 단문 메시지 수신이 가능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 단말로서, 휴대폰, PDA 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a short message and may b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PDA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the like.

상기 사용자 단말(110)은 음원정보를 알고자 하는 미지의 음원에 대한 스트리밍을 교환기(120)를 경유하여 상기 ARS 서버(140)로 전송하며, 상기 ARS 서버(140)로부터 전송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정보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130)를 통해 수신한다.The user terminal 110 transmits the streaming of the unknown sound source to know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ARS server 140 via the switch 120, the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ARS server 140 Receives a sound source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a through the message service center 130.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한 음원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에 접속하여 원하는 부가서비스를 설정한다. 여기서, 음원 스트리밍을 상기 ARS 서버(140)로 전송하는 과정은 일반 유선 전화기에서도 가능하며, 이때, 메시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10)의 번호를 남길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accesses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using the received sound source information message and sets a desired additional service. Her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streaming to the ARS server 140 is also possible in a general wired telephone, in which case, th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10 to receive a message can be left.

상기 교환기(120)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에서의 기능을 그대로 가지며, 상기 사용자 단말(110)의 호(Call)를 상기 ARS 서버(140) 또는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로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witch 120 has a function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s it is,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changing a call of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ARS server 140 or an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상기 ARS 서버(140)는 상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음원으로부터 핑 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이를 FAPI(Fingerprin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음원 찾기 서버(150)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음원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음원에 대한 식별자는 외부 ID(GNEID; Gracenote External ID) 및 고유 ID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ID는 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65)에 접근하기 위한 것이며, 고유 ID는 인식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 노래방, 벨소리 등의 부가서비스로 연결시키기 위해 준비된 컨텐츠 제공자(CP)에서 부여한 것이다.The ARS server 140 extracts a finger print from the sound sourc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and transmits the finger print to the sound source search server 150, which is coupled through a Fingerprin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API). To receive an identifier for the sound source. Here, the identifier for the sound source includes an external ID (GNEID; Gracenote External ID) and a unique ID, wherein the external ID is for access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atabase 165, and the unique ID replaces the recognized sound source with ringback tone. It is given by the content provider (CP) prepared to connect to additional services such as sound, karaoke, ringtones.

또한, ARS 서버(140)는 상기 식별자를 음원정보 조사 시스템(MLS: 160)으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MLS(160)로부터 음원정보를 수신하고, 이 음원정보를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RS server 140 transmits the identifier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urvey system (MLS) 160, receives sound source information from the MLS 160 in response thereto, and transmi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message service center 130. Through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상기 음원 찾기 서버(150)는 상기 ARS 서버(140)와 FAPI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ARS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음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에 대한 외부 ID 및 고유 ID를 상기 ARS 서버(1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ARS 서버(140)와 음원 찾기 서버(150)는 그 기능의 설명을 위하여 따로 분리되어 있으나, 음원 찾기 서버(150)의 기능은 상기 ARS 서버(140)에 통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finder server 150 is coupled to the ARS server 140 through FAPI, searches for a sound source using a fingerprint received from the ARS server 140, and identifies an external ID and uniqueness of the found sound sourc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ID to the ARS server 140 is performed. Here, the ARS server 140 and the sound source search server 150 are sepa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f the function, but the function of the sound source search server 150 may be integrated into the ARS server 140 and performed.

상기 음원정보 조사 시스템(MLS: 160)은 ARS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음원 식별자, 특히, 외부 ID를 이용하여 음원정보 DB(165)로부터 음악 정보를 불러와 이를 ARS 서버(1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urvey system (MLS) 160 retrieves music information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B 165 using a sound sourc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ARS server 140, in particular, an external ID, and transmits the music information to the ARS server 140. Perform the function.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130)는 상기 ARS 서버(140)에서 음악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MMSC)를 의미한다.The message service center 130 receives the music information from the ARS server 140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10. Preferably, the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or the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enter. (MMSC).

상기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음원정보 메시지를 이용한 콜백 접속을 수신하여 메타데이터 ID DB(175) 또는 부가서비스 서버(180)로부터 음원정보 목록을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부가서비스 서버(180)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다.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receives a callback connection us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obtain a sound source information list from the metadata ID DB 175 or the additional service server 180 and the user terminal 110. Perform the function provided by). Here, the additional service server 180 is typically made of a plurality to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s.

또한,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는 사용자 단말(110)로 컨텐츠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 ID DB(175)로 해당 컨텐츠에 상응하는 부가서비스의 링크 인덱스(Link Index)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해당 부가서비스 서버(180)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10)에 대해 컨텐츠를 요구하여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content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110,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requests and receives a link index of an additional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etadata ID DB 175. It transmits this to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service server 180 to request and set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10.

한편,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는 상기 ARS 서버(140)로부터 음원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부가서비스 서버(180)로 바로 서비스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Meanwhile,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may receive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r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ARS server 140 and request the service setting directly from the additional service server 180.

상기 부가서비스 서버(180)는 이동 통신망의 사용자 단말(110)에 대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존의 컨텐츠 서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통화 배경음 서비스, 벨소리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음악 편지 서비스, MOD/VOD 서비스, 음반 구매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The additional service server 180 refers to an existing content server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ntent includes a ringback tone replacement sound service, a call background sound service, a ringtone service, a karaoke service, a music letter service, a MOD / VOD service, a record purchase service, and the like.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원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an 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사용자 단말(11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핸드폰"이라 함)의 사용자는 길을 가다가 또는 방송 중에 음원을 들으면서, 이 음원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또는 이 음원을 핸드폰의 부가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ARS 서버(140)에 접속한다. 이때, 핸드폰 사용자는 특정 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ARS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다.Firs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cell phon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ile walking along the road or listening to a sound source during broadcasting,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or to use this sound source as an additional service source of a mobile phone. In order to set the access to the ARS server 140. In this case, the mobile phone user may dial a specific number or access the ARS server 140 using the wireless Internet.

다음으로, 상기 핸드폰 사용자는 ARS 서버(140)에서 제공하는 안내 메시지에 따라 듣고 있는 음원을 향해 핸드폰을 약 5초 내지 10초 정도 가져다 대어, 음원 스트리밍을 상기 ARS 서버(140)로 전송한다.Next, the mobile phone user brings the mobile phone to the ARS server 140 by bringing the mobile phone to the ARS server 140 about 5 seconds to 10 seconds according to the guidance message provided by the ARS server 140.

상기 ARS 서버(140)는 이 음원에 대한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이를 음원 찾기 서버(150)로 전송하고, 상기 음원 찾기 서버(150)는 상기 핑거프린트와 일치하는 음원에 대한 식별자, 즉, 외부 ID 및 고유 ID를 추출하여 이를 ARS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때, ARS 서버(140)는 외부 ID를 음원정보 조사 시스템(MLS: 160)으로 전송하고, 상기 음원정보 조사 시스템(MLS: 160)은 음원정보 DB(165)로부터 메타데이터(Metadata), 즉, 음악에 대한 가수, 제목, 앨범, 장르 등 음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ARS 서버(140)로 전송한다.The ARS server 140 extracts the fingerprint for the sound source and transmits it to the sound source search server 150, and the sound source search server 150 identifies an identifier for the sound source that matches the fingerprint, that is, an external ID. And extracts the unique ID and transmits it to the ARS server 140. At this time, the ARS server 140 transmits an external ID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urvey system (MLS: 160), and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urvey system (MLS) 160 transmits the metadata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DB 165, that is, Extract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such as the singer, title, album, genre for the music and transmits it to the ARS server 140.

이후, 상기 ARS 서버(140)는 메타데이터 및 내부 ID를 포함하는 음원정보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130)를 통해 핸드폰(110)으로 전송한다. 이때, 핸드폰 사용자는 수신한 음원정보 메시지를 확인하여 듣고 있는 음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reafter, the ARS server 140 transmi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the metadata and the internal ID to the mobile phone 110 through the message service center 130. At this time, the mobile phone user may check the received sound source information messag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being listened to.

또한, 핸드폰 사용자는 상기 음원을 핸드폰의 부가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로 콜백 접속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는 메타데이터 ID DB(175) 또는 부가서비스 서버(180)로부터 획득한 음원정보 목록 또는 미리 준비된 컨텐츠 목록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핸드폰(110)으로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user makes a callback connection to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using the received message to set the sound source as the additional service sound sour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ly,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provides the mobile phone 110 with a list of content information or a prepared content list acquired from the metadata ID DB 175 or the additional service server 18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

또한, 상기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170)는 핸드폰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컨텐츠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서버(180)로 부가서비스 설정을 요청하거나, 핸드폰(110)으로 해당 부가서비스 서버(180)로 콜백 접속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desired content request from the mobile phone user,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170 requests the additional service setting to the additional service server 180 that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service server to the mobile phone 110 ( 180) may transmit a message for the callback connection.

한편, 도 2는 일반적인 음원정보 제공 및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음원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Meanwhile,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neral method of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setting additional service, and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nd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using the same.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음원을 청취하고(S201), 이후,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핸드폰을 이용하여 음원 찾기를 요청한다(S202). 즉, 핸드폰을 이용하여 ARS 서버에 접속한 후, 정보를 얻고자 하는 음원의 스트리밍을 전송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first, a user listens to a sound source (S201), and then requests a sound source search using a user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phone (S202). That is, after accessing the ARS server using a mobile phone, the streaming of the sound source to obtain information is transmitted.

다음으로, ARS 서버는 상기 음원 스트리밍을 수신한 후(S203), 수신된 음원 스트리밍으로부터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고(S204), 이를 음원 찾기 서버로 전송하여 음원 검색을 수행한다(S205). 이때, 음원 검색에 실패하는 경우, 상기 ARS 서버는 핸드폰으로 검색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음원은 대부분 이 음악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음원정보는 음악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음원 찾기 서버는 음악 찾기 서버일 수 있으며, 또한, 음원정보 조사 시스템은 음악 정보 조사 시스템일 수 있다.Next, the ARS server receives the sound source streaming (S203), extracts a fingerprint from the received sound source streaming (S204), and transmits it to the sound source search server to perform a sound source search (S205). At this time, if the sound source search fails, the ARS server transmits a search failure message to the mobile phone. Substantially, the sound source mostly represents music, and thu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eans music information, the sound source search server may be a music search server, and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research system may be a music information research system.

다음으로, 음원 검색에 성공한 경우, 상기 ARS 서버는 음원 검색 수행 결과 생성된 음원 식별자를 상기 음원 찾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원정보 조사 시스템으로 음원정보를 요청하고(S206),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음원정보 조사 시스템으로부터 음원정보를 수신한다(S207). 이후, ARS 서버는 상기 음원정보 및 음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원정보 메시지를 핸드폰으로 전송한다(S208).Next, when the sound source search is successful, the ARS server receives the sound source identifier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sound source search from the sound source finder server, requests sound source information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research system us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206), and in response thereto. Sound sour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urvey system (S207). Thereafter, the ARS server transmi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message includ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the sound source identifier to the mobile phone (S208).

다음으로, 핸드폰 사용자는 수신한 음원정보 메시지를 확인하고(S209), 상기 핸드폰 사용자가 부가서비스 설정을 원하는 경우, 검색된 음원을 핸드폰의 부가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에 콜백 접속하여 부가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S210). 이때, 상기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부가서비스를 설정한다.Next, the mobile phone user checks the received sound source information message (S209), and if the mobile phone user wants to set the additional service, the callback accesses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to set the searched sound source as the sound source of the additional service of the mobile phone. An additional service request may be made (S210). At this time,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sets the additional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using the identifier.

여기서, 핸드폰 사용자가 부가서비스 설정을 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S209 단계 및 S21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RS 서버는 핸드폰으로 음원정보를 전송하지 아니하고 검색된 음원을 핸드폰의 부가서비스의 음원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로 바로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Here, if the mobile phone user does not want to set the additional service, steps S209 and S210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ARS server may request a service directly to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in order to set the searched sound source as a sound source of the additional service of the mobile phone without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mobile phone.

그런데, 전술한 음원 찾기 서비스의 경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업로드 되어있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URL만을 이용하도록 제한되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described above, it is limited to use only the download URL of the content uploaded to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원 찾기 서비스에 있어서, 음원정보에 따 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을 개시한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in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dditional service setting system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10), 교환기(320), 음원 찾기 서비스 웹 서버(330), SMS 송신 서버(340), 부가서비스 연동 웹 서버(350) 및 다수의 CP(360)를 포함하며,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웹 서버(330)와 부가서비스 연동 웹 서버(350)는 동일한 웹 서버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웹 서버(330)는 ARS 서버(331), 음원 검색 애플리케이션(332) 및 SMS 송신 애플리케이션(3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서비스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통화 배경음 서비스, 벨소리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음악 편지 서비스, MOD/VOD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dditional service setting system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310, an exchange 320,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web server 330, and an SMS transmission server 340. ),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web server 350 and the plurality of CP 360,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web server 330 and the additional service interlocking web server 350 may be the same web server,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web server 330 may include an ARS server 331, a sound source search application 332, and an SMS transmission application 333. Here, the additional service includes a ringback tone replacement sound service, a call background sound service, a ringtone service, a karaoke service, a music letter service, and a MOD / VOD service.

상기 사용자 단말(310)은 먼저, 음원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번호 + CPCODE를 누르게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번호는 현재 서비스중인 "1515"일 수 있고, 또는 별표(asterisk)인 *를 단축키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단축키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PCODE는 컨텐츠 제공자(CP) 이름 또는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중인 "5857"일 수 있다. 후속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음원에 사용자 단말(310)인 핸드폰을 갖다 대고 소정 시간동안 상기 음원을 전송하게 된다.The user terminal 310 first, press a phone number + CPCODE provid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xample, the phone number providing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may be "1515" currently in service, or asterisk ( asterisk) * may be used as a shortcut key, and the shortcut key may be arbitrarily set. Here, the CPCODE may be a content provider (CP) name or a phone number, for example, "5857" currently in service. Subsequently, the user places the mobile phone, which is the user terminal 310, on the sound source to be searched for and transmits the sound source for a predetermined time.

만일, 기존 방식으로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를 누른 경우, 후속적으로, 기존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1515" 서비스는 사용자가 음악이 나오는 곳에 핸드폰을 대고 "1515" + 송신 버튼(send)을 누르면, 음악이 검색되어 웹 서버를 통해 기설정된 부가서비스 페이지로 연결된다. 이때,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와 제휴한 CP가 제공하지 않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할 경우, 예를 들어, 소리나라 검색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If, in the conventional manner,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telephone number is pressed, the existing service is subsequently provided. For example, in the existing "1515" service, when the user touches the mobile phone at the place where the music comes out and presses the "1515" + send button, the music is searched and connected to the preset additional service page through the web server. At this time, if the user wants content that is not provided by the CP affiliated with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for example, the user may move to search for a sound country.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는 별표(asterisk)인 *를 단축키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단축키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 송신 버튼(send) 서비스는 사용자가 서비스 음악이 나오는 곳에 핸드폰을 대고 "*" + 송신 버튼(send)을 누르게 되는데, 내부적으로는 "*" + 송신 버튼(send)을 눌렀을 때와 "1515" + 송신 버튼(send)을 누르는 것은 동일한 방식으로서, 교환기에서 ARS에 주는 신호도 동일하다.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telephone number may use *, which is an asterisk, as a shortcut, and the shortcut may be arbitrarily set. For example, the "*" + send button service allows the user to touch the cell phone where the service music appears and press the "*" + send button, which is internally "*" + send button. Pressing and pressing " 1515 " + send send are the same way, and the signal given to the ARS at the exchange is also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 + "CPCODE" + 송신(send) 서비스는 사용자가 서비스 음이 나오는 곳에 핸드폰을 대고, * + CPCODE(예를 들면, * + 5425 + send)을 누르면, 교환기에서 기존 4자리 뒤에 CPCODE를 붙여서 보내주므로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330)의 ARS 서버(331) 내부에서 이를 분기하여 처리하게 된다."*" + "CPCODE" + send (sen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mobile phone to the service tone, * * CPCODE (for example, * + 5425 + send), the exchange In the past 4 digits after the CPCODE attached to send it so that the branching process in the ARS server 331 of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330.

상기 교환기(32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음원을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인 웹 서버(330)로 연결한다. 상기 교환기(320)는 기존의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 전화번호인 "1515"를 애스터리스크(*)와 매핑시켜 놓고, 이후에 들어오는 4자리의 CPCODE를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인 웹 서버(330)로 넘겨준다.The exchange 320 connects the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web server 330 which is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The exchange 320 maps the existing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telephone number "1515" with an asterisk (*), and then passes the incoming 4-digit CPCODE to the web server 330 which is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give.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웹 서버(330) 내의 ARS 서버(331)는 상기 사용자가 전송한 음원으로부터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해당 음원을 찾은 후, (Rec data + CPCODE) 형식의 데이터를 상기 음원 검색 애플리케이션(332)으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환기(320)에서 ARS 서버(331)로 데이터를 보낼 때, 기존의 "1515" + "5857" 같은 식으로 추가 데이터 4자리가 붙게 되고, 상기 웹 서버(330)는 상기 교환기(320)에서 온 CPCODE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SMS를 보낼 때 URL 파라미터를 함께 보냄으로써,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웹 서버(330)에서 이를 구분하여 기존의 서비스 플로우와, 애스터리스크(*) + CPCODE 서비스를 구분하게 된다. 즉,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웹 서버(330)에서는 상기 음원이 음악인 경우, 검색된 곡을 MCP의 써치뮤직 검색결과 페이지로 보내고, MCP의 페이지에서는 상기 CPCODE에 대응하는 컨텐츠만을 보여주고, 없을 경우 해당 컨텐츠가 없다는 내용을 보여준다.The ARS server 331 in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web server 330 extracts a fingerprint from the sound source transmitted by the user, finds the sound source, and then stores data in the form of (Rec data + CPCODE) in the sound source search application ( 332). Specifically, when data is sent from the exchange 320 to the ARS server 331, the additional data 4 digits are attach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xisting "1515" + "5857", the web server 330 is the exchange ( After storing the CPCODE value from 320, by sending a URL parameter when sending an SMS,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web server 330 distinguishes it from the existing service flow and asterisk (*) + CPCODE. The service will be identified. That is, when the sound source is music,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web server 330 sends the searched song to a search music search result page of the MCP, and shows onl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PCODE on the page of the MCP. Shows no information.

상기 음원 검색 애플리케이션(332)은 상기 ARS 서버(331)로부터 수신한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음원을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CPCODE와 결합한 후 (검색 결과 + CPCODE) 형식의 데이터를 상기 SMS 송신 애플리케이션(333)으로 전송한다.The sound source search application 332 searches for a sound source using a fingerprint received from the ARS server 331, combines the search result with a CPCODE, and transmits data in the form of (search result + CPCODE) to the SMS transmission application ( 333).

상기 SMS 송신 애플리케이션(333)은 (검색 결과 + CPCODE)에 대응하는 SMS URL을 생성하여 SMS 송신 서버(340)로 전송하는데, 상기 SMS URL은 예를 들어, http://m.immid.com/index.aspx?iid=1234&CPCODE=5857 형태일 수 있다.The SMS sending application 333 generates an SMS URL corresponding to (search result + CPCODE) and transmits it to the SMS sending server 340, which is, for example, http://m.immid.com/ index.aspx? iid = 1234 & CPCODE = 5857.

상기 SMS 송신 서버(340)는 상기 http://m.immid.com/index.aspx?iid =1234&CPCODE=5857 형태의 SMS URL을 상기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한다.The SMS transmission server 340 transmits the SMS URL in the form of http://m.immid.com/index.aspx?iid = 1234 & CPCODE = 5857 to the user terminal 310.

후속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310)은 상기 SMS 송신 서버(340)로부터 전송된 SMS URL인 http://m.immid.com/index.aspx?iid=1234&CPCODE=5857을 선택하여 부 가서비스를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310)은 상기 SMS URL에 대응하는 부가서비스 연동 웹 서버(350)에 접속한 후, 상기 부가서비스 연동 웹 서버(350)가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CPCODE)에 따른 MCP(360) 검색 페이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user terminal 310 selects an additional service by selecting http://m.immid.com/index.aspx?iid=1234&CPCODE=5857, which is an SMS URL transmitted from the SMS transmission server 340. Will be set. That is, the user terminal 310 accesses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web server 350 corresponding to the SMS URL, and then the additional service interlocking web server 350 performs the MCP 360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CPCP.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arch pag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제공자(CP) URL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자(CP)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3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er (CP) URL selected by the user can downloa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CP).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Meanwhile,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핸드폰을 이용하여 음원 찾기 서비스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10). 이때, 사용자는 핸드폰을 이용하여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 + 컨텐츠 제공자 코드를 누른 후, 자신이 찾고자 하는 음원에 핸드폰을 갖다 대고 소정 시간동안 상기 음원을 전송하면, 상기 음원은 교환기를 통해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인 웹 서버로 전송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method of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termines whether a user requests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using a user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phone ( S410). At this time, the user presses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hone number + content provider code using a mobile phone, and when the user places the mobile phone on the sound source to be searched for and transmits the sound sourc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ound source is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through an exchange. Is sent to the web server.

다음으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찾기 서비스가 CP별 음원 찾기 서비스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20). 즉, 사용자가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 + 컨텐츠 제공자 코드를 눌러서 CP별 음원 찾기 서비스를 선택하였는지 확인한다.Next, the web server checks whether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selected by the user is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ach CP (S420). That is, the user checks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ach CP by pressing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hone number + content provider code.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CP별 음원 찾기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 자가 전송하는 음원을 수신하여 해당 음원을 검색하고, 그 음원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4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검색 및 음원정보 전송은 기존의 음원 찾기 서비스에 비해 컨텐츠 제공자 코드(CPCODE)가 기존의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와 결합되어 전송 및 처리되는데, 단지,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CPCODE)에 대응하는 URL을 함께 전송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음원 검색 및 음원정보 전송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음원 찾기 서비스와 동일하게 제공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Next, when the user selects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ach CP, the user receives a sound source transmitted by the user, searches for the sound source, and transmi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S430). The sound source search and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ansmitted and processed by combining the content provider code (CPCODE) with the existing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hone numb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ound source search service, but only to the user terminal. Except for transmitting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provider code (CPCODE) together, the actual sound source search and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ssion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xisting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s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상기 웹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음원정보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CPCODE)에 대응하여, 후속적으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지 여부를 확인한다(S440). 즉,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CPCODE)에 따라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P)에 직접 연결할지 여부를 확인한다.Next, in response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CPCODE)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web server to the user terminal,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o use the additional service (S440). 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directly connects to the content provider CP providing the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CPCP.

다시 말하면, 기존에는 사용자가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음원정보에 따라 후속적으로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에게 업로드 되어 있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URL만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제공자(CP) URL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자(CP)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단일화된 CP 접속번호가 아닌 자신이 선택한 컨텐츠 제공자(CP)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the user used only the download URL of the content uploaded to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er (CP) selected by the user is used. )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URL to downloa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CP), and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er (CP) selected by the user rather than the unified CP access number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You can connect directly.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CPCODE)가 포함된 음원정보에 따라 부가서비스 연동 웹 서버에 접속하게 되고(S450), 후속적으로, 상 기 부가서비스 연동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CPCODE)에 따른 MCP 검색 페이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게 된다(S460).Next,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web serv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ent provider code (CPCODE) (S450). Subsequently, the additional service interworking server transmits the content provider code (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CP search page according to CPCODE (S460).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MCP 검색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벨소리/링투유/노래방 등의 부가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S470).Next, the user can download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additional service, such as ringtone / ring to you / karaoke provided in the MCP search page (S470).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이용한 음악 검색을 예시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search us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원정보에 포함된 SMS URL, 예를 들어, http://m.immid.com/index.aspx?iid=1234&CPCODE=5857을 수신한 후, 상기 URL로 접속을 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510)에 웹 서버 웹 페이지(520)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웹 서버 웹 페이지(520) 내의 부가서비스, 예를 들어, 벨소리를 선택하면, 웹 서버에 의해 MCP 써치뮤직 검색 페이지(530)가 상기 사용자 단말(510)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써치뮤직은 음원 찾기 서비스, 구체적으로 음악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5, the user terminal 510 receives an SMS URL included in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example, http://m.immid.com/index.aspx?iid=1234&CPCODE=5857 as described above. After that, when accessing the URL, the web server web page 520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510.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n additional service in the web server web page 520, for example, a ring tone, the MCP search music search page 530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510 by the web server. Here, the search music refers to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a music search service, specifically, a music search service.

다음으로, 상기 MCP 써치뮤직 검색 페이지(530)에는 상기 벨소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Next, the MCP search music search page 530 display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ing service, and the user can download the conten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악 검색 및 벨소리 컨텐츠 다운로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music search and ringtone content download us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애스터리스크(*) + CPCODE(5857)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악 검색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는 웹 서버 웹 페이지(610)는 가수, 곡명, 앨범, 부가서비스, 가사보기, 서비스소개 및 이용방법이 디스플레이된다.Referring to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of downloading music and downloading content by using an asterisk (*) + CPCODE 5857 service is shown. 610 is displayed a singer, song name, album, value added service, lyrics view, service introduction and usage.

여기서, singer1은 메타데이터에 들어있는 원가수(예를 들면, 윤도현)를 나타내고, singer2는 원가수명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가수명(예를 들어, 윤도현밴드)을 나타내며, title1은 원래 제목에서 첫 어절만 잘라낸 제목(예를 들어, 사랑은 봄비처럼 => 사랑은)을 나타내고, title2는 음원 검색 DB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제목(예를 들어, 사랑은 봄비처럼)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CPCODE는 써치뮤직 이용번호(예를 들어, "5857")를 나타내고, 애스터리스크(*)+CPCODE는 부가서비스 시작 시 구분을 하기 위한 구분자(예를 들어, "1515" 또는 "5425")를 나타내고, Returl은 회신주소를 각각 나타낸다.Here, singer1 represents the cost number (for example, Yoon Do-hyun) contained in the metadata, singer2 represents a singer name (for example, Yoon Do-hyun Band)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cost life, and title1 represents only the first word in the original title. The cut off title (for example, love is like spring rain => love is) and title2 represents the entire title (for example, love is like spring rain) stored in the music search DB. In addition, CPCODE indicates a search music access number (for example, "5857"), and an asterisk (*) + CPCODE indicates a delimiter for distinguishing when starting an additional service (for example, "1515" or "5425". ), And Returl represents a reply address, respectively.

또한, 사용자가 상기 부가서비스로서 벨소리를 선택한 경우, 도면부호 620은 벨소리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의 화면이고, 도면부호 630은 벨소리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다. 즉, 도면부호 620은 CPCODE로 보낸 업체(예를 들어, "5857")에서 제공하는 벨소리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 벨소리 컨텐츠의 검색결과 페이지를 보여주고, 도면부호 630은 해당 CP에서 벨소리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더 이상의 벨소리 컨텐츠로 연결시켜 주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ringtone as the additional service, reference numeral 620 denotes a screen when a ringtone service is available, and reference numeral 630 denotes a screen when a ringtone service is not available. That is, reference numeral 620 shows a search result page of the ringtone content when there is ringtone content provided by a company (eg, “5857”) sent to CPCODE, and reference numeral 630 does not provide ringtone content in the CP. If not, it shows no link to the ringtone content.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악 검색 및 통화연결음 컨텐츠 다운로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애스터리스크(*) + CPCODE(5857)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악 검색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view illustrating a music search and call connection sound content download using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sic search using an asterisk (*) + CPCODE (5857) service To download the content.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부가서비스로서 벨소리를 선택한 경우, 도면부호 720은 통화연결음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의 화면이고, 도면부호 730은 통화연결음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의 화면을 나타낸다. 즉, 전술한 도 6과 마찬가지로, 도면부호 720은 CPCODE로 보낸 업체(예를 들어, "5857")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 링투유 컨텐츠의 검색결과 페이지를 보여주고, 도면부호 730은 해당 CP에서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더 이상의 링투유 컨텐츠로 연결시켜 주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selects a ringtone as the supplementary service, reference numeral 720 denotes a screen when a call connection service is available, and reference numeral 730 denotes a screen when a call connection service is not available. That is, as shown in FIG. 6, reference numeral 720 indicates a search result page of the corresponding ring to YouTube content when there is content provided by a company (eg, “5857”) sent by CPCODE, and reference numeral 730 indicates a corresponding CP. If you do not provide the content in the link to the link to the YouTube content does not show any more.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이 선택된 컨텐츠 제공자(CP) URL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자(CP)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단일화된 CP 접속번호가 아닌 자신이 선택한 컨텐츠 제공자(CP)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lected content provider CP URL to downloa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CP, and the user may be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It is possible to directly access the content provider CP selected by the user instead of the unified CP access numb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및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결합하여 음원정보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and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may be combined to provide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based on sound sourc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 및 컨텐츠 제공자 코드가 결합된 접속 신호로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되었는지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확인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ther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is requested by the access signal combining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phone number and the content provider code from the user terminal to find the sound source The service provider will confirm.

이후, 상기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검색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is requested,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provider searches for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다음으로, 상기 음원정보가 검색된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과 결합된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제공자(CP)에게 직접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CP)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위한 것이다.Next, whe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searched,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transmit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is In order to downloa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CP) by directly accessing the selected content provider (CP) from the user terminal.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URL과 결합된 음원정보 목록을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접속하여 상기 음원 식별자에 상응하는 음원을 부가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terminal may access the content provider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list combined with the URL and set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identifier as an additional service sound source.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이용 편의성 증대 및 다양한 음악 컨텐츠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단일화된 접속번호와 달리 음악 서비스업체에 부가 마케팅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벨소리/링투유 등의 부가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customer and to activate the use of various music conten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unified access number by providing an additional marketing channel to the music service provider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additional services such as ringtone / ring to you.

Claims (15)

사용자 단말,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 및 부가서비스 컨텐츠 제공자가 결합하여 음원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setting the additional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user terminal,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and the additional service content provider,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 및 컨텐츠 제공자 코드가 결합된 접속 신호로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되었는지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확인하는 단계;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provider confirming whether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has been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a connection signal combining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telephone number and a content provider code; b) 상기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검색하는 단계;b) searching for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is requested; c) 상기 음원정보가 검색된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결합된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c) whe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searche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to the user terminal; And d)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 음원정보에 포함된 상기 URL에 접속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d) using the additional service by accessing the URL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for each content provider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e) 상기 URL에 따른 컨텐츠 제공자의 검색페이지로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별로 해당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해주는 단계e)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to the search page of the content provider according to the URL and downloa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for each content provider; 를 추가로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for each content provider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이름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전화번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And the content provider code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provider name or the content provider phone numb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컨텐츠 제공자 전화번호는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와 결합하는 4자리 숫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The content provider phone number is a four-digit phone number combined with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hone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service provider setting metho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컨텐츠 제공자 전화번호 또는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는 단축키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The content provider phone number or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hone number is set as a shortcut for each content provi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RL과 결합된 음원정보는 가수, 제목, 앨범, 장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URL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And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URL includes at least one of a singer, a title, an album, and a genre combined with the UR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RL과 결합된 음원정보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UR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using a short mess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가서비스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통화 배경음 서비스, 벨소리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음악 편지 서비스, MOD/VOD 서비스, 음반 구매 서비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The additional service is at least one of a ringback tone replacement sound service, a call background sound service, a ringtone service, a karaoke service, a music letter service, a MOD / VOD service, a record purchase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 is c-1) 상기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정보 및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따라 URL을 검색하는 단계;c-1) searching for a URL according to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and the content provider code; c-2) 상기 검색된 URL을 상기 음원정보와 결합하는 단계; 및c-2) combining the searched URL wit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c-3) 상기 URL과 결합된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c-3)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URL to the user terminal by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for each content provider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e) e-1) 상기 URL에 접속하여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해당 컨텐츠 제공자의 검색페이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 및e-1)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to a search page of a corresponding content provider when accessing the URL to use an additional service; And e-2)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부가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다운로드해주는 단계e-2) downloading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additional service from the content provider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 request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자별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Additional service setting method for each content provider including a. 사용자 단말 및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결합하여 음원정보에 따른 음원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providing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according to sound source information by combining a user terminal and a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a)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 찾기 서비스 전화번호 및 컨텐츠 제공자 코드가 결합된 접속 신호로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되었는지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확인하는 단계;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provider confirming whether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has been requested from the user terminal using a connection signal combining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ice telephone number and a content provider code; b) 상기 컨텐츠 제공자별 음원 찾기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검색하는 단계; 및b) searching for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for each content provider is requested; And c) 상기 음원정보가 검색된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결합된 음원정보를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c) whe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is found,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mbined with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to the user terminal; 를 포함하되,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에 대응하는 URL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제공자(CP)에게 직접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CP)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The UR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rovider code is to directly access the selected content provider (CP) from the user terminal to downloa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CP).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컨텐츠 제공자 코드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이름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 전화번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And the content provider code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provider name or the content provider telephone nu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b), b-1)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단계;b-1) receiving a sound stream from the user terminal; b-2) 상기 음원 스트리밍으로부터 핑거프린트(Fingerprint)를 생성하는 단계;b-2) generating a fingerprint from the sound stream; b-3) 상기 핑거프린트를 음원 찾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음원 찾기 서버는 상기 핑거프린트에 상응하는 음원에 대한 식별자를 생성함-;b-3) transmitting the fingerprint to a sound source searching server, where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er generates an identifier for th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fingerprint; b-4) 상기 음원 찾기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b-4) receiving the identifier from the sound source searching server; b-5) 상기 식별자를 음원 정보 조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음원 정보 조사 시스템은 상기 식별자를 바탕으로 음원정보(Metadata)를 생성함-; 및b-5) transmitting the identifier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urvey system, where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urvey system generates sound source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r; And b-6) 상기 음원 정보 조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음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b-6) receiv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from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urvey system 를 포함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Sound record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음원 식별자를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음원정보 목록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음원정보 목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음원정보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음원정보 목록을 상기 URL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The sound source search service provider transmits a sound source information list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provider based on the sound source identifier, receives a sound source information list in response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list request signal, and combin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list with the URL. Sound sour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user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URL과 결합된 음원정보 목록을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자에게 접속하여 상기 음원 식별자에 상응하는 음원을 부가서비스 음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And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ntent provider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list combined with the URL and sets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identifier as an additional service sound source.
KR1020050039673A 2005-05-12 2005-05-12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KR1006231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673A KR100623119B1 (en) 2005-05-12 2005-05-12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673A KR100623119B1 (en) 2005-05-12 2005-05-12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119B1 true KR100623119B1 (en) 2006-09-13

Family

ID=3762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673A KR100623119B1 (en) 2005-05-12 2005-05-12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11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768A (en) 2000-10-05 2002-04-19 Sony Corp Portable telephone terminal, musical piec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musical piece identification delivery method and system
JP2002268651A (en) 2001-03-07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radio terminal having music retrieval function
JP2003157087A (en) 2001-11-21 2003-05-30 Pioneer Electronic Corp Music piece retrieval service system and music piece retrieval method by portable telephone set
KR20040035433A (en) * 2002-10-22 2004-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sic contents service apparatu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20040052771A (en) * 2004-05-03 2004-06-23 (주)나요미디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 on demand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768A (en) 2000-10-05 2002-04-19 Sony Corp Portable telephone terminal, musical piec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musical piece identification delivery method and system
JP2002268651A (en) 2001-03-07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radio terminal having music retrieval function
JP2003157087A (en) 2001-11-21 2003-05-30 Pioneer Electronic Corp Music piece retrieval service system and music piece retrieval method by portable telephone set
KR20040035433A (en) * 2002-10-22 2004-04-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sic contents service apparatu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20040052771A (en) * 2004-05-03 2004-06-23 (주)나요미디어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 on demand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6808B2 (en) Numeric based addressing for enhanced telephony and multimedia services
KR20080016788A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on-line content vi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713367B1 (en) Method for managing a multimedia message and system therefor
WO2007008592A2 (en) Mobile multimedia services ecosystem
US20080248821A1 (en) Method for sharing data using sms
KR2010001482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sic recognition
WO2001061894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audio broadcasts and digital audio files via a computer network
KR100610883B1 (en) Method for searching and providing contents using SMS and System there-of
KR1006074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source of soun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using it
US20040028195A1 (en) Internet wired audio device
KR100623119B1 (en) A method for setting up supplementary services by each content providers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of contents service
KR100627915B1 (en) Multimedia contents download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obile station therefor
US110125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ultimedia content
KR2003002866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SMS
KR100784068B1 (en) Method for Changing Ring Back Tone Using Short Message and Ring Back Tone Providing System therefor
KR100619810B1 (en) Phone number stor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60080392A1 (en) Server system,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02002968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usic file data base in a internet music broadcasting and music file se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3191755A1 (en) Method providing the identification of a ringback tone and other call pair information on incoming and outgoing call handsets
KR100580818B1 (en) Method of providing reservation service for mobile broadcasting, and the server therefor
KR1008152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ing program to portable device interacting with dmb
KR100866864B1 (en) broadcasting system for supporting interactive data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20060094245A (en) Download system relative contents to mobile broadcasting contents
KR10082322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775319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music messag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