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644B1 - 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644B1
KR100622644B1 KR1020050084322A KR20050084322A KR100622644B1 KR 100622644 B1 KR100622644 B1 KR 100622644B1 KR 1020050084322 A KR1020050084322 A KR 1020050084322A KR 20050084322 A KR20050084322 A KR 20050084322A KR 100622644 B1 KR100622644 B1 KR 10062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og
call
information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문순
이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8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6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데이터 통신에 관한 연결 로그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측면에 따르면, 음성 호와 데이터 호를 식별하는 발신 호 식별자 및 발신호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하는 연결 로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연결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로그를 추출하고, 상기 발신 호 식별자에 상응하는 식별 표식 및 상기 연결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연결 로그 처리부,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택된 연결 정보로 음성 통화 연결 또는 인터넷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connection log for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log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nnection log including an outgoing call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voice call and a data call and connection information of an outgoing call,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connection log, A connection log processing unit which extracts one or more connection logs from a storage unit, and displays an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originating call identifier and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 voice call connection or an internet connection as connection information.

인터넷, 연결 로그 Internet, connection log

Description

인터넷 연결 로그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

도 1은 인터넷 연결 로그 기능이 없는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n Internet connection log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호에 대한 연결 로그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log generation process for an originating sig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호에 대한 연결 로그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log generation process for an incoming c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로그 표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log display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의 고유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extracting unique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를 도시한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화면 표시를 도시한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screen displ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데이터 통신에 관한 연결 로그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connection log for data communica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의 경우 해당 로그를 단말기 상에 남기고 있어, 통화 버튼을 누를 경우 이전에 접속한 로그가 표시되고 있다. 제조사에 따라서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해당 로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통화 버튼을 누를 경우 해당 전화 번호로 접속하게 된다. 그러나, 대표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인 휴대폰의 경우, 음성 통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데이터 통신 특히 인터넷 접속에 관한 로그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In the case of a voice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rresponding log is left on the terminal, and when a call button is pressed, a previously accessed log is displayed.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e received text message may be displayed. If one of the logs is selected and the call button is pressed, the phone number will be accessed. However, mobile phones, which are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ased on voice calls, and thus do not provide logs for data communication, particularly Internet access.

도 1은 인터넷 연결 로그 기능이 없는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no internet connection log function.

사용자는 WINC(Wireless Internet Numbers for Contents)라고 불리는 모바일 주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번호 333을 연속하여 입력한 후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르면 333은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된다(100).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333에 상응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고, 사용자는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후 연결을 종료한다(110). 이후 재접속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르면 음성 통화에 관련된 로그만 표시된다(120). 따라서, 사용자는 전적으로 기억에 의존해서 모바일 주소를 입력하여야 하며(130), 잘못된 모바일 주소 입력시 원하는 사이트로의 접속은 실패한다(140).When a user continuously enters the number 333 to use a mobile address service called WINC (Wireless Internet Numbers for Contents) and presses an Internet access button, 333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site corresponding to 333, and the user terminates the connection after performing necessary tasks (110). 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to reconnect, only the log related to the voice call is displayed (120). Therefore, the user must input a mobile address entirely depending on the memory (130), and when a wrong mobile address is input, access to a desired site fails (140).

또한 사용자는 핫 넘버(Hot Number) 혹은 Page Plus라고 불리는 이동 통신사의 내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식별자 **과 333을 연속하여 입력한 후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르면 333은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되고 이동통신망의 매핑 서버에서 333에 대응되는 실제 주소로 변환되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된다(100). 만일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를 경우 333에 대응되는 인터넷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callback URL 이 포함된 SMS를 수신하게 되며,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이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333에 상응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고, 사용자는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후 연결을 종료한다(110). 이후 재접속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르면 음성 통화에 관련된 로그만 표시된다(120). 따라서, 사용자는 전적으로 기억에 의존해서 모바일 주소를 입력하여야 하며(130), 잘못된 모바일 주소 입력시 원하는 사이트로의 접속은 실패한다.In addition, if the user enters the identifier ** and 333 consecutively to use the internal service of the mobile carrier called Hot Number or Page Plus, and then presses the Internet access button, the 333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network and the mapping of the mobile network is performed. The server translates the actual address corresponding to 333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100). If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the user receives an SMS including a callback URL for accessing an Internet site corresponding to 333. If the user selects the call butt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after,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a site corresponding to 333, and the user terminates the connection after performing the necessary work (110). 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to reconnect, only the log related to the voice call is displayed (120). Therefore, the user must input the mobile address 130 entirely depending on the memory, and when a wrong mobile address is input, access to a desired site fails.

상기와 같은 무선인터넷 직접 접속 서비스의 로그가 단말기상에 표시되지 않음으로 해당 정보를 통한 재 접속은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거나, 해당 정보를 제공한 매체에 의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당 접속로그가 단말기 상에 표시될 경우에도 해당 코드, 숫자 정보 만으로 해당 접속 사이트에 대한 정보로 부족할 수 있다Since the log of the wireless Internet direct access service as described above is not displayed on the terminal, reconnection through the information may be dependent on the memory of the user or a medium providing the informa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 access log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only the corresponding code and numeric information may be insufficient as the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site.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 특히, 휴대폰은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데이터 통신 모드로 전환하지 않더라도 대기 화면에서 직접 인터넷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로그를 기록하는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더라도 이를 일일이 구동한 후 로그를 확인하여 접속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articularly mobile phones, may attempt to access the Internet directly from the standby screen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switch to the data communication mode. Therefore, even if a browser that records its own log is mounted, it is very inconvenient to check and access the log after driving it one by on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 발신과 착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시 연결 로그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connection log during data communication including call origination and incom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호 뿐만이 아니라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 메시지 수신시에도 연결 로그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generates a connection log and displays it when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an internet address as well as a data c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접속한 사이트 또는 발신/착신측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generates and displays a connection log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ite or a calling / receiving party connected through data communic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측면에 따르면, 음성 호와 데이터 호를 식별하는 발신 호 식별자 및 발신호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하는 연결 로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연결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로그를 추출하고, 상기 발신 호 식별자에 상응하 는 식별 표식 및 상기 연결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연결 로그 처리부,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선택된 연결 정보로 음성 통화 연결 또는 인터넷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log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nection log including an outgoing call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voice call and a data call and connection information of an outgoing call, the generated connection lo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onnection log extractor, extracting one or more connection logs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an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outgoing call identifier and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d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 voice call connection or an internet connection with the selected conn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터넷 연결 동작시 호 식별자 및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로그를 생성하는 연결 로그 생성부, 상기 생성된 연결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로그를 추출하고, 상기 호 식별자에 상응하는 식별 표식 및 상기 인터넷 주소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연결 로그 처리부, 상기 표시된 인터넷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넷 연결 동작에 의해 접속한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 문서에서 상기 전자 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상응하는 연결 로그에 삽입하는 전자 문서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on log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nnection log including a call identifier and the Internet address during the Internet connection oper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connection log, at least one connection log in the storage unit A connection log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nd displaying an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call identifier and the internet address through a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internet addresses, and a server connected by the internet connection operation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electronic document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electronic document and inserting it into a corresponding connection lo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 중 휴대폰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음성 통신과 데이터 통신을 모드 변환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면 아무런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obile phone amo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ut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any limitation as long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use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without mode conversion.

사용자는 (a) IP 주소, URL, 키워드 형식의 도메인 네임 또는 모바일 주소(이하에서는 인터넷 주소라 총칭함)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b) 이를 포함한 접속 매체를 이용하여 희망하는 목적지(예를 들어, 사이트, PC,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접속할 수 있다. 대표적인 접속 매체는 URL-callback 메시지와 인터넷 주소를 기록한 2차원 바코드가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접속 매체가 존재한다. The user may (a) manually enter a domain name or mobile address (here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Internet address) in the form of an IP address, URL, keyword, or (b) use a connection medium containing the desired destination (e.g., Site, P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Representative access media include URL-callback messages and two-dimensional barcodes recording Internet addresses.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access media.

인터넷 주소를 이용한 인터넷 연결 동작은 (a1) 데이터 호를 설정한 후 브라우저 상에서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거나 메뉴 선택을 통해 희망하는 목적지로 접속하거나, (a2) 대기 화면에서 인터넷 주소 입력 후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눌러 데이터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문자 연결 서비스는 대기 화면에서 직접 문자로 구성된 인터넷 주소를 입력한 후 지정된 버튼(예를 들어, 확인 버튼이나 통화 버튼)을 눌러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서비스이다. 문자 연결 서비스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버튼을 누르면, 대기 화면이 2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각 버튼에 상응하는 숫자와 문자가 각 영역에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다양한 입력 방식(예를 들어, EZ한글, 천지인 등)을 통해 키워드 형식의 도메인 네임(예를 들어, 홍길동의 개인 홈페이지 주소 http://*mblog/hong 대신에 "홍길동") 또는 숫자열(010-3010-9999)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른다. 확인 버튼을 감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입력 창에 표시된 문자열에 문자 연결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식별자(예를 들어, http://!!)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통신망의 문자 매핑 서버를 통해 대응되는 URL로 변경되어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게 된다. To connect to the Internet using the Internet address, (a1) set up the data call and enter the Internet address in the browser or select the menu to access the desired destination, or (a2) enter the Internet address on the standby screen and press the Internet Access button. You can try a data call. The text connection service is a service that accesses a desired site by inputting an Internet address composed of letters directly on a standby screen and pressing a designated button (for example, an OK button or a call button). In more detail about the text connection service,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user presses any button on the standby screen, the standby screen is divided into two or more areas, so that the numbers and letters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is Is displayed in the area. In this case, the user can use a variety of input methods (e.g., EZ Hangul, Cheonjiin, etc.) to create a domain name in the form of a keyword (eg, "Hong Gil-dong" instead of Hong Gil-dong's personal homepage address http: // * mblog / hong). Enter the number string (010-3010-9999) and press the OK button. After detecting the OK button, the mobile terminal inserts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identifier (for example, http: // !!) to identify the character connection service in the character string displayed on the character input window. The URL is changed to connect to the desired site.

접속 매체를 이용한 인터넷 연결 동작은 (b1) URL 콜백 메시지 선택 후 통화 버튼 또는 인터넷 접속 버튼을 이용하여 접속하거나, (b2)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촬영하여 거기서 추출된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The Internet connection operation using the access medium may be performed by (b1) selecting a URL callback message and accessing it using a call button or an internet access button, or (b2) using an internet address extracted by photographing a two-dimensional bar code including an internet address. Can be connec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연결 로그 생성부(200), 저장부(210), 연결 로그 처리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230) 및 통신 처리부(24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nnection log generator 200, a storage 210, a connection log processor 220, a user interface 230, and a communication processor 240.

연결 로그 생성부(200)는 음성/데이터 호 발신, 음성/데이터 호 착신, 메시지 발신 및 착신시 이를 감지하여 각각을 식별하는 호 식별자와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한다. 연결 로그 생성부(200)는 발신/착신 및 음성/데이터/메시지를 구분하여 연결 정보를 추출한다. The connection log generation unit 200 generates a connection log including a call identifier and connection information for detecting voice / data call origination, voice / data call initiation, message origination, and incoming call and identifying each of them.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200 extracts connection information by dividing outgoing / incoming and voice / data / messages.

음성 호 발신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선택된 전화 번호가 연결 정보이며, 음성 호 착신의 경우, CID(Caller Identification) 정보가 연결 정보이다. 음성 호 발신시 연결 로그 생성부(200)는 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입력된 전화 번호를 연결 정보로 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한다. In the case of voice call origination, a telephone number input or selected through a user interface (eg, a keypad) is connection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voice call initiation, caller identification (CID) information is connection information. When the voice call is made, the connection log generation unit 200 generates a connection log that uses the input telephone number as connection information when the call button is pressed.

데이터 호 발신의 경우, 연결 로그 생성부(200)는 인터넷 접속 버튼이 눌려지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a) 모바일 주소 서비스이거나, (b) 문자로 구성되거나 또는 (c) 구분자(.)를 포함한 IP 주소 형태이면 인터넷 연결 동작임을 감지한다. 또한, 연결 로그 생성부(200)는 통신 처리부(240)가 데이터 통화로를 생성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데이터 호 발신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인터넷 연결 동작이 확인되 면, 입력된 인터넷 주소를 연결 정보로 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한다. 데이터 호 발신의 경우는 상기의 모바일 주소(WINC, 핫 넘버 등) 서비스, 문자 연결 서비스 등을 각각 구분하여 처리되어야 하는데, 모바일 주소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 앞에 http://*이 추가되어 구성되고, 문자의 경우에는 http://!!이 추가된다. 단말기 입장에서는 각각의 기능 동작 모드를 감지해서 서비스 성격을 알 수 있으며, 문자의 경우에도 한글, 영문, 특수문자, 숫자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호 착신의 경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발신측 정보를 제공받거나 발신 주소를 추출하여 연결 로그를 생성한다.In the case of data call origination,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200, when the Internet access button is pressed, the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is (a) a mobile address service, (b) composed of characters, or (c) delimiter (.) If the IP address type, including the Internet connection is detec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log generation unit 200 may check the data call origination by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40 to create a data call path. When the internet connection operation is confirmed, a connection log is generated using the input internet address as connection information. In case of data call, the above mobile address (WINC, hot number, etc.) service and character connection service should be handled separately. In case of mobile address service, http: // * is added before the number enter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characters, http: // !! is added. From the terminal's point of view, the service character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each function operation mode, and even letters can be composed of Korean, English, special characters, and numbers. In the case of data call reception, the connection log is generated by receiving the calling par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extracting the calling address.

접속 매체를 이용한 데이터 호 발신의 경우, 접속 매체 촬영(또는 스캔)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연결 로그 생성부(200)는 인터넷 연결 동작이 수행되는 것임을 감지하고, 이후 접속 매체에서 추출된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연결 로그를 생성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속 매체의 이미지를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하면 이동 통신망 시스템에서 수신한 이미지에서 인터넷 주소를 추출하는 실시예의 경우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망 시스템으로부터 인터넷 주소를 수신하거나 또는 인터넷 주소에 상응하는 목적지로의 데이터 통화로 설정 후 연결 로그가 생성된다.In the case of a data call transmission using the access medium, when the program for photographing (or scanning) the access medium is driven,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200 detects that the Internet conn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n extracts the Internet address extracted from the access medium. Create a connection log.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 image of the access medium to the mobile network, in the embodiment of extracting the Internet address from the image received by the mobile network system,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Internet address from the mobile network system or the Internet address A connection log is generated after setting up a data call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메시지 착신의 경우, 연결 로그 생성부(200)는 착신 메시지의 헤더 또는 본문에 인터넷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포함되어 있으면 연결 로그를 생성한다.In the case of message reception,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200 checks whether the Internet address is included in the header or the body of the incoming message and generates a connection log if it is included.

저장부(210)는 연결로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연결 로그를 저장한다. 연결 로그는 호 식별자와 연결 정보를 포함하며, 고유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음성 호에 대한 연결 로그와 데이터 호에 대한 연결 로그는 서로 구분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물론, 메시지의 경우도 다른 연결 로그와 구별되도록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로그는 호 발신/착신 시간, 호 종료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호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10 stores the connection log generated by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The connection log includes a call identifier and connection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unique information. Preferably, the connection log for the voice call and the connection log for the data call may be stored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Of course, the message is also preferably stor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onnection logs. The connection log may further include a call origination / reception time and a call termination time. You can also add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data call originated.

연결로그 처리부(220)는 통화 버튼 또는 인터넷 접속 버튼이 눌려지면 이를 감지하여 저장부(210)에 저장된 연결 로그들을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정렬한 후 호 식별자에 따른 식별 표식을 부여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연결 로그의 목록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화면 표시의 예시는 음성 호, 데이터 호 및 메시지를 동시에 출력하는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도 8은 데이터 호만을 출력하는 실시예에 따른 것이다. 즉, 통화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연결로그 처리부(22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모든 연결 로그를 정렬하여 출력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까지 시도된 모든 통신에 대한 연결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 호에 대한 연결 로그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에 대한 연결 로그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로그 처리부(22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연결 로그를 발신/착신 시간을 기준으로 정렬하고, 일정 개수를 초과하거나 저장 기한이 초과한 연결 로그를 삭제하는 연결 로그 관리를 더 수행한다. 연결 로그는 발신/착신 시간 순서, 발신/착신 회수, 사전적 순서, 위치 정보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동시에 출력될 연결 로그의 수 또한 조절 가능하다.The connection log processor 220 detects when a call button or an internet access button is pressed, sorts the connection logs stored in the storage 210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then assigns an identification mark according to a call identifier to displ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 to (not shown). The list of connection logs output through the display is shown in FIGS. 7 and 8. A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shown in FIG. 7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a voice call, a data call and a message, and FIG. 8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outputting only a data call. That is, when the call button is pressed, the connection log processing unit 220 sorts and outputs all connection log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whereby the user can check the connection log for all communication attempted up to now. . Similarly, when the user presses the Internet access button, only the connection log for the data call is output, so that the user can check only the connection log for Internet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log processing unit 220 further performs the connection log management to sort the connection log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based 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e and to delete the connection log exceeding a certain number or the storage period is exceeded. do. The connection log can be sort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order of call / reception time, number of call / reception, dictionary ord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connection logs to be output at the same time.

한편, 연결로그 처리부(220)는 복수의 연결 로그를 목록 형태로 출력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 연결 로그가 선택되면, 선택된 연결 로그의 상세 정보를 저장부(210)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연결 로그의 상세 정보는 호 발신 시간 및 고유 정보를 포함하며, 연결 시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output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logs in a list form, the connection log processor 220 extract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nection log from the storage unit 210 through a display when a specific connection log is selected by the user. Outpu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log includes a call origination time and unique inform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time.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전화 번호 또는 인터넷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알파-뉴메릭 키패드, 호 발신/착신을 제어하는 기능 버튼(통화 버튼, 인터넷 접속 버튼 등) 및 내장된 프로그램을 선택 실행할 수 있는 메뉴 버튼으로 구성된다.The user interface 230 includes an alpha-numeric keypad for entering a phone number or Internet address, a function button for controlling call origination / incoming (call button, Internet access button, etc.) and a menu for selecting and executing a built-in program. Consists of a button.

통신 처리부(240)는 베이스밴드 모뎀과 무선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를 설정하고, 설정된 통화로를 통해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40 includes a baseband modem and a wireless signal processor, sets a voice call or a data call with the base st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changing voice signals or data through the established call path.

고유 정보 추출부(250)는 연결 정보에 의해 접속된 목적지를 식별하거나 또는 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에 의해 접속할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를 전자문서에서 추출하여 저장부(210)에 저장된 연결 로그에 삽입한다. 여기서, 고유 정보는 사이트에서 제공한 웹 페이지와 같은 전자 문서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접속한 목적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웹 페이지의 타이틀과 같은 정보를 의미한다. 메시지도 전자 문서의 한 종류이며, 메시지의 헤더나 본문에 포함된 정보 중 해당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고유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의 본문의 첫 문장 또는 정해진 개수의 글자를 고유 정보 로 이용할 수 있다.The uniqu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50 identifies the destination connected by the connection information or extracts the uniqu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destination to be accessed by the Internet address included in the message from the electronic document and stores th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Insert into the log. Here, the unique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estination currently accessed by the user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 such as a web page provided by the site, and means information such as a title of the web page. A message is also a kind of electronic document, and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message can be extracted and used as unique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or body of the message. For example, the first sentence of a body of a messag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acters may be used as unique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호에 대한 연결 로그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300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연결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연결 정보는 음성 통화 모드 또는 데이터 통화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인터넷 주소 또는 선택(또는 스캔)된 접속 매체에서 추출된 인터넷 주소이다. 사용자가 연결 정보를 입력하거나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 메시지를 선택한 후 통화 버튼 또는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르면, 연결로그 생성부(200)가 입력된 연결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310).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log generation process for an originating sig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3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connection informatio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an internet address input by a user or an internet address extracted from a selected (or scanned) connection medium while the voice call mode or data call path is set. When the user inputs connection information or selects a message including an Internet address, and then presses a call button or an internet access button,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200 obtains the input connection information (step 310).

단계 320에서, 연결로그 생성부(200)는 획득한 연결 정보에 상응하는 호 식별자를 연결 정보에 할당하여 연결 로그를 생성한다. 호 식별자는 발신 음성 호 식별자, 착신 음성 호 식별자, 발신 데이터 호 식별자, 착신 데이터 호 식별자 및 착신 메시지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호 식별자는 발신 메시지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peration 320,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200 generates a connection log by allocating a call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e call identifier includes an outgoing voice call identifier, an incoming voice call identifier, an outgoing data call identifier, an incoming data call identifier and an incoming message identifier. In addition, the call identifier may further include an originating message identifier.

단계 330에서, 생성된 연결 로그는 저장부(210)에 저장된다. 저장부(210)는 호 식별자 필드, 연결 정보 필드 및 고유 정보 필드(370)로 구성되며, 인터넷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호 발신의 경우 호 식별자 필드(340)와 연결 정보 필드(345)에는 호 식별자와 연결 정보가 각각 저장되며, 고유 정보 필드(370)는 연결 정보에 상응하는 목적지에 접속한 이후에 저장되므로 아무런 정보도 기록되지 않는다.In operation 330, the generated connection log is stored in the storage 210. The storage unit 210 includes a call identifier field, a connection information field, and a unique information field 370. The call identifier field 340 and the connection information field 345 include a call identifier and a call identifier in the case of a data call origination using an Internet address.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stored respectively, and since the unique information field 370 is stored after accessing the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information, no information is recorded.

단계 350에서, 목적지로부터 웹 페이지와 같은 전자 문서가 수신되면,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목적지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수신한 전자 문서에서 추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tp://naver.com으로 접속한 경우, 접속한 사이트에서 제공한 웹 페이지가 HTML 문서이며, Title이라는 식별자에 의해 HTML 문서의 제목이 식별 가능하다. 식별 가능한 제목은 고유 정보로서 추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접속한 사이트에서 제공한 HTML 문서로서, <title> 죠스킬러공포파티 </title> 부분이 실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때 해당 사이트의 제목으로 표시된다. 도 6의 (B)는 동일한 사이트의 헤더 정보로서, cp_title이라는 식별자에 의해 죠스킬러공포파티라는 제목이 식별된다.In step 350, when an electronic document such as a web page is received from the destination,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electronic document. As shown in the figure, when connected to http://naver.com, the web page provided by the connected site is an HTML document, and the title of the HTML document can be identified by an identifier called Title. The identifiable title is extracted as unique information. Referring to FIG. 6, (A) is an HTML document provided by a connected site, and the <title> Jaw Killer Horror Party </ title> part is displayed as the title of the corresponding site wh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actu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FIG. 6B shows header information of the same site, and the title "Joskiller Horror Party" is identified by the identifier "cp_title".

단계 360에서, 추출된 고유 정보는 연결 로그의 고유 정보 필드에 기록된다.In step 360, the extracted uniqu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nique information field of the connection lo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호에 대한 연결 로그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400에서, 통신 처리부(240)는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착신호를 수신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log generation process for an incoming c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400,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40 receives an incoming cal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단계 410에서, 수신한 착신호가 메시지인지 아니면 음성/데이터 호인지를 판단하여, 메시지가 아니면 단계 420으로 진행하고, 메시지이면 단계 440으로 진행한다.In step 4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coming call is a message or a voice / data call. If not, the flow proceeds to step 420. If the message is a message, the flow proceeds to step 440.

착신호가 메시지가 아닌 경우, 단계 420에서, 착신호가 데이터 호인지를 판단하여, 데이터 호가 아니면 단계 425로 진행하고, 데이터 호이면 단계 430으로 진행한다.If the incoming call is not a message, in step 4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coming call is a data call, and if not, the flow proceeds to step 425, and if the incoming call is a data call, proceeds to step 430.

착신호가 음성 호인 경우, 단계 425에서 착신호와 함께 전송된 CID 정보로부 터 발신측 전화 번호를 추출한다.If the incoming call is a voice call, in step 425 the calling party's telephone number is extracted from the CID information sent with the incoming call.

착신호가 데이터 호인 경우, 단계 430에서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발신측 정보로부터 발신 주소를 추출한다.If the incoming call is a data call, in step 430, the originating address is extracted from the calling par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착신호가 메시지인 경우, 단계 440에서, 메시지가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단계 445로 진행하고,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고 있으면 단계 450으로 진행한다.If the incoming call is a message, in step 4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ssage contains an Internet address, and if it does not contain an Internet addres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445 and if it contains an internet address, step 450.

착신호가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메시지인 경우, 단계 445에서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추출한다.If the incoming call is a message that does not include an Internet address, then in step 445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message is extracted.

착신호가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인 경우, 단계 450에서 메시지에서 인터넷 주소 정보를 추출한다.If the incoming call is a message including an Internet address, in step 450 the Internet address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message.

단계 460에서, 추출된 전화 번호 또는 인터넷 주소에 각각 상응하는 호 식별자를 할당하여 연결 로그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210)에 저장한다(단계 470).In step 460, a call log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lephone number or Internet address is allocated to generate a connection log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step 470).

단계 480에서,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측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추출한다.In step 480, when the calling party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aller i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message is receive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extract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로그 표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500에서 사용자가 연결 로그 표시 요청을 입력하면 이를 감지한다. 연결 로그 표시 요청은 통화 버튼이나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음성 통화 모드에서 통화 버튼을 누른 경우와 인터넷 접속 버튼을 누른 경우는 구 별되어 각각 다른 연결 로그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nection log display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500, if the user inputs a connection log display request, it is detected. The request to display the connection log means pressing the call button or the Internet access button. In the voice call mode, pressing the call button and pressing the internet access button can be distinguished and display different connection log lists.

단계 510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연결 로그를 읽는다. 여기서, 통화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 메시지를 구분하지 않고 일정 개수의 연결 로그를 읽으며, 인터넷 접속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데이터 호와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 메시지에 대한 연결 로그만을 읽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510, the connection log stored in the storage is read. Here, when the call button is pressed, it is preferable to read a certain number of connection logs without distinguishing voice, data, and messages, and when the Internet access button is pressed, it is preferable to read only the connection log for messages including data calls and Internet addresses.

단계 520에서, 읽혀진 연결 로그의 호 식별자에 따라 미리 결정된 식별 표식을 부여하여 연결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여기서, 고유 정보는 연결 정보와 함께 출력되거나 또는 연결 정보 대신에 출력될 수 있다.In step 520,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mark is given according to the call identifier of the read connection log and output to the display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information. Here, the unique information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information or may be output instead of the connection information.

단계 53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된 연결 로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된 연결 로그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희망하는 목적지로의 데이터 호 발신이 수행된다(단계 540).In operation 530, a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connection logs out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s received. Us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connection log, data call origination is performed to the desired destination (step 540).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호의 발신 및 착신에 대한 연결 로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여 재접속하는 불편함이 해소되었다. 또한,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경우도 연결 로그에 의해 통합 관리되므로, 사용자가 연결 로그를 찾기 위해 전화번호부와 메시징 프로그램을 번갈아 살펴보는 불편함이 해소되었다. 또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접속한 사이트 또는 발신/착신측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로그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convenience of reconnecting depending on the user's memory has been eliminated by providing the connection log for the origination and the reception of the data call. In addition, since a message including an Internet address is managed by the connection log, the inconvenience of a user looking through the phone book and a messaging program to find the connection log is eliminated. In addition, since a connection log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ite or a calling / receiving party connected through data communication is provided, user convenience is further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11)

음성 호와 데이터 호를 식별하는 발신 호 식별자 및 발신호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하는 연결 로그 생성부;A connection log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nection log including an outgoing call identifier for identifying a voice call and a data call and connection information of an outgoing call; 상기 생성된 연결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generated connection log; 상기 저장부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로그를 추출하고, 상기 발신 호 식별자에 상응하는 식별 표식 및 상기 연결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연결 로그 처리부;A connection log processing unit extracting one or more connection logs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an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originating call identifier and the connection information on a display;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connection information; And 상기 선택된 연결 정보로 음성 통화 연결 또는 인터넷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ommunic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a voice call connection or an internet connection with the selected connec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정보는 전화 번호 및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comprises a telephone number and an internet add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그 생성부는 착신 호 식별자 및 착신호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generates a connection log including an incoming call identifier and incoming call connection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그 생성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log generator 착신 메시지를 식별하는 착신 메시지 식별자 및 상기 착신 메시지에 포함된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로그를 생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connection log including an incoming message identifier for identifying an incoming message and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coming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그 처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log processing unit 인터넷 접속 로그 표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연결 로그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tracts one or more connection logs including an internet address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s them on a display according to an internet access log display reques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수신한 전자 문서에서 상기 전자 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연결 로그에 삽입하는 고유 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 uniqu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received electronic document and inserting the unique information into a connection lo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로그 처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log processing unit 상기 고유 정보를 더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further displays said unique information. 인터넷 연결 동작시 호 식별자 및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로그를 생성하는 연결 로그 생성부;A connection log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access log including a call identifier and an internet address during an internet connection operation; 상기 생성된 연결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generated connection log; 상기 저장부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로그를 추출하고, 상기 호 식별자에 상응하는 식별 표식 및 상기 인터넷 주소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연결 로그 처리부;A connection log processing unit extracting one or more connection logs from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an identification mark corresponding to the call identifier and the internet address on a display; 상기 표시된 인터넷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displayed internet addresses; And 상기 인터넷 연결 동작에 의해 접속한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 문서에서 상기 전자 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상응하는 연결 로그에 삽입하는 전자 문서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an electronic document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uniqu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lectronic document from the electronic document received from the server connected by the Internet connection operation and inserting the unique information in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log.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호 식별자는 발신 데이터 호, 착신 데이터 호 및 착신 메시지를 식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call identifier identifies an originating data call, an incoming data call, and an incoming messag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연결 로그 처리부는 상기 고유 정보를 더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connection log processor further displays the unique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인터넷 주소는 문자, 숫자, 특수 기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이동 통신 단말기.And the Internet address is any one of letters, numbers, special symbols, and combinations thereof.
KR1020050084322A 2005-09-09 2005-09-09 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 KR100622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322A KR100622644B1 (en) 2005-09-09 2005-09-09 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322A KR100622644B1 (en) 2005-09-09 2005-09-09 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644B1 true KR100622644B1 (en) 2006-09-11

Family

ID=3762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322A KR100622644B1 (en) 2005-09-09 2005-09-09 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6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33B1 (en) * 2008-12-19 2012-03-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capable of log servic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33B1 (en) * 2008-12-19 2012-03-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capable of log servic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8865B2 (en) Transmission method in communication of video phone
RU2431932C2 (en)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method and device
KR20010083194A (en) URL Notification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US8767770B2 (en) Selecting a data transfer method
US2005012897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KR20070106524A (en) Mobile terminal
JP39449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WO2001063861A1 (en) Internet phone switching method and internet phone switching system
KR100537858B1 (en) Method for saving message contents in phone boo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167429A (en) Service access using limited set of characters
US200201733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incomplete addressing data sent to a communication device
KR10062264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ternet access log
JP2002016701A (en) Voice/text conversion service unit for mobile phone
KR20020018523A (en) System for Shortcut Connecting a Wireless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JP2010124445A (en) System for providing url information from phone number
US20120264461A1 (en) Method for gathering a response or responses to a question formulated by a call set-up on a telephone network
JP200315282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501251B1 (en) mobile and method for servicing call using hot-key
JP2003163736A (en)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KR20010109939A (en) Transmission Method of Business Card using Wireless Short Message
KR1006425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voice message into tex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same
KR1005601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FI105004B (en) Method for determining telephone numbers
KR20040027166A (en)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searching telephone number which user wants
KR20030041451A (en) Multimedia electronic bulletin boar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