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59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594B1
KR100621594B1 KR1020040044604A KR20040044604A KR100621594B1 KR 100621594 B1 KR100621594 B1 KR 100621594B1 KR 1020040044604 A KR1020040044604 A KR 1020040044604A KR 20040044604 A KR20040044604 A KR 20040044604A KR 100621594 B1 KR100621594 B1 KR 10062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ule
correction
us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9497A (en
Inventor
임은희
이광철
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594B1/en
Publication of KR2005011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보정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한 이미지의 보정을 위해 컴퓨터로 이동하지 않고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서 제안된 사용자 인터 페이스로 바로 이미지의 보정하기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보정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이미지의 보정을 할 수 있는 이미지 보정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imager and a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an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ion of a digital imager that is intended to be corrected directly to a user interface proposed by a digital imager without moving to a computer for correcting a captured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an image by selecting and correct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모듈과 촬영한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과 알고리즘들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의 요구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 그리고 이미지와 알고리즘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뷰어 모듈 및 알고리즘들을 실행할 수 있는 연산 모듈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digital imager capable of correct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module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 storage module storing a photographed image and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and a user's request for adjustment of algorithms. A user interface module capable of doing so, and a viewer module showing the state of the images and algorithms, and a computing module capable of executing the algorithms.

이미지 보정, 프린트,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 디지털 촬영기, 알고리즘 Image Correction, Print, User Interface Module, Digital Camera, Algorithm

Description

이미지 보정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Portable digital image recorder capable of image correction and its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제1실시예의 도면 2A is a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related to a digital camera

도 2b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제2실시예의 도면 2B is a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related to a digital camera;

도 3a는 카메라 폰에 관한 제1실시예의 도면 3A is a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related to a camera phone

도 3b는 카메라 폰에 관한 제 2실시예의 도면 3B is a view of a second embodiment related to a camera phone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촬영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도이다. 4 is an overall flowchart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 4의 이미지 보정단계중 선택 단계의 세부적인 순서도이다. 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election step of the image correction step of FIG. 4.

도6은 도 4의 이미지 보정단계중 보정 단계의 세부적인 순서도이다. 6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correction step of the image correction step of FIG. 4.

본 발명은 이미지 보정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한 이미지의 보정을 위해 컴퓨터로 이동하지 않고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서 제안된 사용자 인터 페이스로 바로 이미지의 보정하기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보정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이미지의 보정을 할 수 있는 이미지 보정 가능한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imager and a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an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ion of a digital imager that is intended to be corrected directly to a user interface proposed by a digital imager without moving to a computer for correcting a captured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correcting an image by selecting and correct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기존의 이미지 수정 기능은 배경화면을 이미지에 추가 하거나 이미지의 일부를 다른 이미지에 합성하는 것으로써 이미지의 개성을 살리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었으나 근래 부상되고 있는 이미지를 보다 아름답게 보정하고자 하는 부분은 만족 시킬 수가 없었다. 따라서 이미지의 보정 작업을 위해서는 이미지를 일단 컴퓨터로 이동 시켜 그래픽 수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정해야 했었다. 그리고 기존의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이미지의 합성이나 보정하려고 할 때 원하는 위치와 영역을 자유로이 지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미지를 보정하지 않고 출력하기 위해서는 직접 출력할 수 있는 프린트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출력 할 수 있는데 이미지를 보정하여 출력하기 위해서는 일단 컴퓨터로 이동하여 보정하고 프린터에 연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거쳐야 했었다.Existing image correction function is a useful way to enhance the individuality of the image by adding a wallpaper to the image or composing a part of the image into another image, but it cannot satisfy the part that wants to make the image more beautiful in recent years. . Therefore, to correct the image, the image had to be moved to a computer and corrected using a graphic correction program.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of the existing digital imager has a limitation in freely specifying a desired position and area when composing or correcting an image. Also, in order to output the image without correction, it can be output simply by connecting to a printable printer. In order to correct and output the image, it was necessary to go to a computer, correct it, and connect it to a printer.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 이미지 보정 프로그램을 추가 하여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서 바로 촬영한 이미지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d an image correction program to a digital imager to enable correction of an image taken directly from a digital imag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의 합성이나 보정할 때 원하는 위치나 영역을 간편하게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보다 간편하게 이미지의 합성이나 보정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that can easily designate a desired position or area when compositing or compensating an image, so that the compositing or compensating an imag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를 보정하여 출력할 때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서 바로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output directly from a digital imager when correcting and outputting an imag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는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모듈과 촬영한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을 비롯한 그 외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 내제된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모듈과 알고리즘들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의 요구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 그리고 이미지와 알고리즘들의 상태를 보여주는 뷰어 모듈 및 알고리즘들을 실행할 수 있는 연산 모듈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module capable of capturing digital images, algorithms inherent in other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including photographed images and image correction algorithms. A storage module and a user interface module capable of inputting a user's request for adjustment of algorithms, a viewer module showing the state of images and algorithms, and a computing module capable of executing algorithm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촬영 방법은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단계 및 촬영된 이미지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 단계를 포함하며,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의 중심점을 기초로 자동으로 보정 영역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The digital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image capturing step capable of capturing a digital image and an image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a photographed image or an image stored in a storage medium using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 is an algorith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correction region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region select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 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mere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구성과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asic configura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어 모듈(110), 상기 제어 모듈(110)을 통해 제어되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모듈(120), 저장 모듈(130),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 뷰어 모듈(150), 연산 모듈(160), 연결 모듈 (170)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110,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module 120 and the storage modul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110 are shown in FIG. 130,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the viewer module 150, the operation module 160, and the connection module 170.

상기 구성 요소 중 제어 모듈(110), 저장 모듈(130), 연산 모듈(160)은 도1과 같이 디지털 촬영기 내부에 있고 디지털 이미지 촬영 모듈(120),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 뷰어 모듈(150), 연결 모듈(170)은 디지털 촬영기의 외부에 위치하여 외부와의 입출력을 담당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mong the components, the control module 110, the storage module 130, and the operation module 160 are inside the digital camera as shown in FIG. 1, and the digital image capture module 120,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and the viewer module ( 15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module 170 is located outside of the digital camera and is responsible for input / output with the outside.

제어 모듈(110)은 상기된 다른 구성 요소들간의 정보 흐름이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module 110 controls the flow or operation of information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described above.

디지털 이미지 촬영 모듈(120)은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만드는 모듈이다. The digital image capturing module 120 is a module for capturing a desired image into a digital image.

저장 모듈(130)은 변경이 가능한 하드 디스크 형식의 저장 매체와 변경 불가능한 롬 형식의 저장매체로 구성될수 있으며 촬영한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알고리 즘을 비롯한 그 외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 내제된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는 모듈이다. 저장 모듈(130)이 롬 형식의 저장 매체일 경우 저장된 알고리즘은 보다 빠른 연산 처리가 가능하나 변경 할 수가 없고 저장 모듈(130)이 하드 디스크 형식의 저장 매체일 경우 저장된 알고리즘은 알고리즘의 수정 추가가 가능하다. 저장 모듈(130)은 용도에 적절한 저장 매체로 선택될수 있다.The storage module 130 may include a hard disk-type storage medium that can be changed and a storage medium that cannot be changed. The storage module 130 may store algorithms inherent in digital image cameras, including photographed images, image correction algorithms, and the like. Module. If the storage module 130 is a ROM-type storage medium, the stored algorithm can be processed faster. However, if the storage module 130 is a hard disk-type storage medium, the stored algorithm can be modified. Do. The storage module 130 may be selected as a storage medium suitable for the purpose.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은 이미지의 보정 또는 알고리즘의 조정을 위한 사용자의 요구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듈로 다양한 입력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may use various input means as a module for inputting a user's request for image correction or algorithm adjustment.

뷰어 모듈(150)은 디지털 이미지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와 상기 알고리즘들에 의한 입력요구나 연산 결과를 보여주는 일반 컴퓨터의 모니터의 역할을 하는 모듈로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이 터치 패드일 경우에는 뷰어 보듈(150)이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The viewer module 150 is a module serving as a monitor of a general computer that shows an image captured by a digital image capturing module or an image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input requirements or calculation results by the algorithms.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In the case of the touch pad, the viewer module 150 may be part of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연산 모듈(160)은 연산을 수행하는 모듈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받으면 그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모듈(130)로부터 받아 연산하여 결과를 보내준다. When the calculation module 160 receives a command to execute a program as a module that performs a calculation, the calculation module 160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culation from the storage module 130 and sends a result.

연결 모듈(170)은 외부 주변 기기에 연결 할 수 있는 모듈로 이미지를 바로 출력 할 수 있는 프린트에도 연결이 가능하다. The connection module 170 is a module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can be connected to a print that can directly output an image.

도2a, 도2b, 도3a, 및 도3b는 이 발명의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2a와 도2b는 디지털 촬영기중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실시예이고 도2a와 도2b는 카메라 폰에 관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기는 여기 나타낸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2A, 2B, 3A, and 3B show various embodiments of the user interfac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embodiments of a digital camera in a digital camera, and FIGS. 2A and 2B. Is an embodiment of a camera phone and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user interface modules shown here.

본 도면들에서 나타난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은 크게 이미지 보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모듈과 이미지 보정 강도를 선택하기 위한 모듈로 구성된다. The user interface module shown in the figures is largely composed of a module for selecting an image correction area and a module for selecting an image correction intensity.

이미지 보정 기준점을 선택하기 위한 모듈은 터치 패드(210), 방향 버튼(220), 펜 같은 포인팅 할 수 있는 장치(230), 및 노트북에서 사용하는 마우스 위치 선택용 볼인 트랙 볼(24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module for selecting an image correction reference poi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touch pad 210, a direction button 220, a pointing device such as a pen 230, and a track ball 240 which is a ball for selecting a mouse position used in a notebook. It includes.

이미지 보정 강도를 선택하기 위한 모듈은 +- 단독 버튼(250), 튜너 버튼(260)및 기존의 버튼을 사용하는 모듈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module for selecting image correction intensity includes at least one of a + -only button 250, a tuner button 260, and a module using an existing button.

도2a와 도3a는 이미지 보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모듈로 터치 패드(210), 방향 버튼(220), 펜 같은 포인팅 할 수 있는 장치(230)를 이미지 보정 강도를 선택하기 위한 모듈은 +- 단독 버튼(250)을 선택한 디지털 촬영기에 관한 실시예고 도2b와 도3b는 이미지 보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모듈로 방향 버튼(220), 트랙 볼(240)을 이미지 보정 강도를 선택하기 위한 모듈은 튜너 버튼(260)을 선택한 디지털 촬영기에 관한 실시예다. 2A and 3A are modules for selecting an image correction area, and a module for selecting image correction intensity of a device 230 for pointing, such as a touch pad 210, a direction button 220, and a pen, is + -only. 2B and 3B show a module for selecting an image correction region, and a module for selecting an image correction intensity for a track ball 240 is shown in FIGS. 2B and 3B. An embodiment of a digital camera having selected 260 is an embodiment.

터치 패드(210)를 사용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눌려지는 위치를 이미지 보정 영역으로 인식한다. When the touch pad 210 is used, the position where the user's finger is pressed is recognized as the image correction area.

방향 버튼(220)을 사용하는 경우는 방향 버튼(220)으로 선택 포인트 (270)를 이동하여 원하는 이미지 보정 기준점에 도착하면 선택 버튼으로 이미지 보정 영역을 인식한다. When the direction button 220 is used, when the selection point 270 is moved by the direction button 220 to reach the desired image correction reference point, the selection button recognizes the image correction area.

펜 같은 포인팅 할 수 있는 장치(230)는 터치 패드(210)보다 정확한 선택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로 펜 같은 포인팅 할 수 있는 장치(230)로 이미지의 원하는 곳을 선택하면 그 곳을 이미지 보정 영역으로 인식한다. The pen-like pointing device 230 is a device used for more accurate selection than the touch pad 210. The pen-pointing device 230 selects a desired part of the image and moves the pen to the image correction area. Recognize.

트랙 볼(240)을 사용하는 경우는 트랙 볼(240)로 선택 포인트(270)를 이동하여 원하는 이미지 보정 영역에 도착하면 선택 버튼으로 이미지 보정 영역을 인식한다. In the case of using the track ball 240, when the selection point 270 is moved to the track ball 240 to reach the desired image correction area, the selection button recognizes the image correction area.

+- 단독 버튼(250)은 (- <- -> +) 형태의 긴 단독 버튼으로 장착하여 이 버튼의 양 끝을 눌러서 보정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The + -only button 250 is a long single button in the form of (-<--> +) and can be adjusted by pressing both ends of the button.

튜너 버튼(260)은 튜너를 회전시켜 보정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The tuner button 260 may adjust the correction strength by rotating the tuner.

그 외에 키패드나 방향 버튼과 같은 기존의 버튼 중 2개를 보정 강도 조정용 버튼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버튼중 하나만 사용하면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 강도를 조정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wo of the existing buttons, such as a keypad or a direction button, can be set as a button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adjustment, or one of the buttons can be used to adjust the correction using an algorithm.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의 전체적인 순서도이다. 4 is an overall flowchart of a digital im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동작을 실시 하면 저장 모듈(130)에 저장되어있던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이 연산 모듈(160)에 의해 실행되어 이미지를 촬영할 것인가 (S110)를 결정하는 단계하는 단계가 실행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take an image (S110) is performed by 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by the calculation module 160.

이미지를 촬영할 것인가(S110)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새로이 이미지를 촬영하여 보정할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로 연산 모듈(160)은 선택 할 수 있는 메시지를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로 입력받는다.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take an image (S110) is a step in which a user takes a new image and corrects it or determines whether to use an existing stored image. 150) and the user's selection is input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이미지를 촬영하지 않는다면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S120)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미지를 촬영한다면 디지털 이미지 촬영 단계(S130)를 실행한다.If no image is captured, a step of selecting a desired image (S120) is performed. And if the image is taken, the digital image shooting step (S130) is executed.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S120)하는 단계는 저장된 이미지중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로 연산 모듈(160)은 저장 모듈(130)안에 있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그 이미지를 선택하면 다음 단계인 이미지 보정 단계(S140)로 진행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다른 이미지를 요구하면 사용자가 선택할 때까지 저장 모듈(13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에 맞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Selecting a desired image (S120) is a step of selecting a desired image among the stored images. The calculation module 160 searches for an image in the storage module 130 and outputs the image to the viewer module 15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image. If it is selected, proceed to the next step, the image correction step (S140) and when the user requests another image through the user interface 140, the storage module 130 searches for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esired by the user until the user selects the viewer Output to module 150 may be repeated.

디지털 이미지 촬영 단계(S130)는 원하는 이미지를 디지털 이미지로 촬영하는 단계로 연산 모듈(160)은 디지털 이미지 촬영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디지털 이미지 촬영모듈(120)을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고 결과를 뷰어 모듈(150)로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사용자가 만족하고 그 이미지를 선택하면 다음 단계인 이미지 보정 단계(S140)로 진행하고 아니면 만족한 이미지가 촬영될때까지 이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The digital image capturing step (S130) is a step of capturing a desired image as a digital image. The calculation module 160 executes a digital image capturing algorithm to capture an image through the digital image capturing module 120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viewer module 150. To the user. If the user is satisfied and selects the image, the user may proceed to the next step of correcting the image (S140), or repeat this step until the satisfied image is taken.

이미지 보정 단계(S140)는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를 실행하여 원하는 대로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로 크게 유저가 보정영역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선택된 부분을 보정하는 보정 단계로 이루어진다. 선택 단계의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 5를 이용하고 보정 단계의 자세한 설명은 이하 도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The image correction step S140 is a step of correcting an image as desired by executing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The image correction step S140 includes 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correction area by a user and a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a selected por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lection step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rrection step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6.

그 다음 단계인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S150)는 이미지를 디지털 촬영기에 직접연결하여 출력할수 있는 장치를 통하여 바로 출력할 것인지 묻는 단계 로 연산 모듈(160)은 선택 할 수 있는 메시지를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로 입력받는다.The next step, the step of selecting whether to output (S150) is a step of directly outputting an image through a device capable of directly outputting an image to a digital camera. The operation module 160 displays a message for selecting a viewer module. Output to 150 and the user's selection is input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바로 출력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바로 출력한다면 출력 단계(S160)를 실행한다.If not output immediately,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If it is output immediately, the output step (S160) is executed.

출력단계(S160)는 이미지를 디지털 촬영기에 직접 연결하여 출력할 수 있는 프린트를 통하여 바로 출력하는 단계로 연산 모듈(160)은 저장 모듈(130)안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한 이미지를 출력 가능한 프린트가 연결된 연결 모듈(170)을 통하여 프린트로 전송하여 이미지를 출력한다.The output step (S160) is a step of directly outputting through a print that can directly output the image connected to the digital camera, the calculation module 160 is connected to a print capable of outputting the corrected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The image is output by transmitting to the print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170.

출력단계(S160)의 동작이 끝나거나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S150)에서 출력을 원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동작은 종료 된다. If the operation of the output step (S160) is finished or the output is not selected in the step (S150) of selecting whether to outpu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본 발명의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은 컴퓨터에서 종래에 사용하던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을 재활용 할 수도 있으나 휴대용 디지털 촬영기의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50)에 맞게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use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conventionally used in a computer, but may use an algorithm optimized for the user interface module 150 of a portable digital camera.

도5는 도 4의 이미지 보정단계중 선택 단계의 세부적인 순서도이다. 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selection step of the image correction step of FIG. 4.

이미지 보정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을 보정 영역 선택용 입력 모드로 전환(S210)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이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내의 입력 장치들을 보정 영역 선택에 최적화 되도록 전환하는 단계이다. 전환이 끝나면 보정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할 것인가를 선택(S220)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단계는 보정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수동으로 선택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단계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자동으로 선택할 것인가?” 하는 메시지를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로 입력받는다.When the image correction starts, the first step is to switch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to the correction mode selection input mode (S210). This step is a step in which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switches input devices in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to be optimized for correction area selection. After the switching is completed, a step of selecting whether to automatically select a correction area is performed (S220). This step selects whether to select the correction area automatically or manually.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outputs a message to the viewer module 150, for example, "Automatically select?" It is input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보정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한다면 보정 영역의 중심점을 선택(S230)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보정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하지 않는다면 선택 이미지 수동 선택(S270)하는 단계를 실행한다.If the correction area is automatically selected, the center point of the correction area is selected (S230). If the correction area is not automatically selected, a step of manually selecting a selected image (S270) is performed.

보정 영역의 중심점을 선택(S230) 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의 중심점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보정 영역을 계산할 기준을 잡는 단계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뷰어 모듈(150)에서 이미지를 보고 선택하여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에 입력한 중심점을 뷰어 모듈(150)로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저장 블록(130)에 중심점을 저장한다.Selecting the center point of the correction area (S230) is a step of setting the criteria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correction area by selecting the center point of the user-selected area.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allows the user to view and select an image in the viewer module 150. The center point input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is shown to the user by the viewer module 150 and the center point is stored in the storage block 130.

보정 영역 반경 범위를 선택할 것인가를 선택(S240)하는 단계는 보정 영역을 원형이나 비슷한 형의 범위를 지정하여 범위내부를 전부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자동 계산 알고리즘에 의해 지정된 방식으로 영역을 선택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단계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보정 영역 반경 범위를 선택할 것인가” 하는 메시지를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로 입력받는다.The step of selecting whether to select the correction area radius range (S240) is to select whether to select the entire area within the range by designating a circular or similar type of the correction area, or to select the area in a manner specified by an automatic calculation algorithm. The furnac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outputs, for example, a message “Who should select the compensation area radius range” to the viewer module 150 and receives the user's selection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보정 영역 반경 범위를 사용자가 선택한다면 보정 영역의 반경 크기를 입력(S250)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보정 영역을 반경 범위내로 선택 하지 않는다면 보정 영역 자동 계산(S251)하는 단계를 실행한다.If the user selects a radius range of the correction area, a step of inputting a radius size of the correction area (S250) is performed. If the correction area is not selected within the radius range, the automatic calculation of the correction area (S251) is performed.

보정 영역의 반경 크기 입력(S250)을 받는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정해진 형상의 보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보정 영역의 크기를 입력 하는 단계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사용자에게 보정 영역의 크기를 뷰어 모듈(150)로 보여주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를 통하여 보정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여 원하는 크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보정 영역을 뷰어 모듈(150)로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저장 블록(130)에 선택된 보정 영역을 저장한다.The step of receiving the radius size input of the correction area (S250) is a step of inputting the size of the correction area in order to select the correction area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When the size is displayed to the viewer module 150 and the user changes the size of the correction area through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and the desired size is selected, the selected correction area is displayed to the user as the viewer module 150 and the storage block ( 130 stores the selected correction area.

보정 영역의 반경 크기 입력(S250)을 받는 단계에서 보정 영역의 반경 크기를 입력시 +- 단독 버튼(250), 튜너 버튼(260)및 키패드나 방향 버튼과 같은 기존의 버튼 중 2개를 보정 강도 조정용 버튼으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모듈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 페이스 모듈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step of receiving the radius size input of the correction area (S250), when inputting the radius size of the correction area, two of the existing buttons, such as the + -only button 250, the tuner button 260, and the keypad or direction buttons, are compensated for.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 interface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odules used as the adjustment button.

보정 영역 자동 계산(S251)하는 단계는 알고리즘에 설정된 대로 보정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실시예로 머리 카락의 한부분을 중심점으로 선택하면 머리 카락 전체를 자동으로 선택하게 하는 것등이 가능하다. 보정 영역 자동 계산(S251)하는 단계에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저장 모듈(130)에 저장된 중심점을 가지고 연산 모듈(160)에서 보정영역을 계산하여 계산된 보정 영역을 뷰어 모듈(150)로 보여주고 저장 블록(130) 에 선택된 보정 영역을 저장한다.The automatic calculation of the correction area (S251) is a step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correction area as set in the algorithm. For example, if one part of the hair is selected as the center point, the entire hair is automatically selected. . In the step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correction area (S251),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has the center point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shows the correction area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correction area in the calculation module 160, and saves the correction area to the viewer module 150. Store the selected correction area in block 130.

보정 영역을 수동 보정할 것인가를 선택(S260)하는 단계는 자동으로 설정된 보정영역중 일부분이 사용자의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이를 보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단계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보정 영역을 수동 보정할 것인가” 하는 메시지를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 페이 스 모듈(140)로 입력받는다.The step of selecting whether to manually correct the correction area (S260) is a step for correcting when a part of the automatically set correction areas is not satisfied by the user.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is, for example, “correction area”. Manual correction ”is outputted to the viewer module 150 and the user's selection is input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보정 영역의 수동 보정을 선택 한다면 보정 영역을 수동 선택(S270)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보정 영역 수동 보정을 선택 하지 않는다면 보정 영역 선택 완료(S280)를 묻는 단계를 실행한다.If manual correction of the correction area is selected, a step of manually selecting the correction area (S270) is performed. If the manual correction area is not selected, a step of asking for correction area selection completion (S280) is executed.

보정 영역을 수동 선택(S270)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뷰어 모듈(150) 에서 이미지를 보고 선택하여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에 입력한 보정 영역을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이 뷰어 모듈(150)로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저장 블록(130)에 사용자가 입력한 보정 영역을 저장한다.In the step of manually selecting a correction area (S270),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is displayed to the user by the viewer module 150.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is displayed to the user by viewing and selecting an image in the viewer module 150. The correction area input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storage block 130.

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보정영역을 입력하는데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패드 터치 패드(210), 펜 같은 포인팅 할 수 있는 장치(230), 및 노트북에서 사용하는 트랙 볼(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 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is step, inputting a correction area selected by the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ad touch pad 21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inting device 230 such as a pen, and a track ball 240 used in a notebook.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 interface.

보정 영역 선택 완료(S280)를 묻는 단계는 선택된 보정 영역이 사용자의 의도대로 되었는가를 선택하는 단계로 사용자의 의도대로 되었으면 완료를 선택하여 선택 단계를 종료하고 의도대로 되지 않았으면 다시 처음부터 보정 영역을 선택하게 된다.The step of asking for correction area selection completion (S280) is a step for selecting whether the selected correction area is as intended by the user. Will be chosen.

보정 영역 선택 완료(S280)를 묻는 단계에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보정 영역 선택을 완료하는가”란 메시지를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로 입력받을 수 있다.In the step of asking for correction area selection completion (S280),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outputs, for example, a message “Complete correction area selection” to the viewer module 150 and sends the user's selection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Can be input.

보정 영역 선택이 완료 되었다면 보정 알고리즘 조정 대기 모드(S290) 단계 를 실행한다. 그리고 보정 영역 선택이 완료 되지 않는다면 보정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할 것인가를 선택(S220)하는 단계로 돌아가 다시 진행한다.If the selection of the correction area is completed, the calibration algorithm adjustment standby mode (S290) is performed. If the correction region selection is not complet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of selecting whether to automatically select the correction region (S220) and proceeds again.

보정 알고리즘 조정 대기 모드(S290)는 보정 알고리즘을 준비하는 단계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실시 하면 저장 모듈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을 연산 모듈(160)로 불러 실행시켜 보정 단계를 실행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선택 단계의 동작은 종료된다. The correction algorithm adjustment standby mode (S290) is a step of preparing a correction algorithm. When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is executed, 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is loaded into the calculation module 160 to be prepared to execute the correction step.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step ends.

도6은 도 4의 이미지 보정단계중 보정 단계의 세부적인 순서도이다. 6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correction step of the image correction step of FIG. 4.

선택단계의 마지막 단계인 보정 알고리즘 조정 대기 모드(S290)에서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의 준비가 끝나면 보정 알고리즘 종류를 선택(S310) 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 is completed in the correction algorithm adjustment standby mode (S290), which is the last step of the selection step, a step of selecting the correction algorithm type (S310) is performed.

보정 알고리즘 종류를 선택(S310)하는 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은 이미지를 포인트를 중심으로 또는 전반적으로 흐려 보이게 하는 안개효과, 얼굴 같은 영역의 잡티를 없애주는 크린싱 효과, 이미지의 한 포인트를 중심으로 아주 밝게 조정해주는 하이 라이트 효과들이 있으며 이 알고리즘들은 사용자의 요구나 필요에 의해 더 추가될 수 있다. In the step of selecting a correction algorithm type (S310), an algorithm that can be selected includes a fog effect that makes the image appear to be blurred around the point or the overall blur, a cleaning effect that removes the blemishes of the area such as the face, and a point around the point of the image. There are high light effects to brighten and these algorithms can be further added to the user's needs or needs.

보정 알고리즘 종류 선택(S310)하는 단계에서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은 저장 모듈(130)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 알고리즘들의 종류를 뷰어 모듈(150)로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사용자가 원하는 보정 알고리즘을 선택하면 다음 단계인 보정 정도 입력 대기 모드로 전환 단계(S320)로 진행한다.In the step of selecting a correction algorithm type (S310), 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 shows the type of correction algorithm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to the user as the viewer module 150.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correction algorithm,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of switching to the correction degree input standby mode (S320).

보정 정도 입력 대기 모드(S320)단계는 보정 정도를 사용자가 입력 할 수 있 도록 대기 하는 단계로 보정 정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이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내의 입력 장치들을 준비하는 단계이다.The correction degree input standby mode (S320) is a step of waiting for the user to input the correction degree, wherein 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 prepares the input devices in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to input the correction degree. .

이미지 보정(S330)단계는 선택한 보정 알고리즘으로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로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은 선택되어 있는 보정영역을 뷰어 모듈(150)으로 사용자에게 보여 주면서 사용자가 보정 정도를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으로 입력하면 선택된 보정 알고리즘으로 연산 모듈 (160)에서 연산하여 결과를 다시 뷰어 모듈로 출력한다.Image correction (S330) is a step of correcting an image using a selected correction algorithm. 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 shows the selected correction area to the viewer module 150 to the user, and the user corrects the correction degree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If input,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by the calculation module 160 using the selected correction algorithm and the result is output back to the viewer module.

이미지 보정 완료(S340)를 묻는 단계는 지금까지 작업한 영역에 다른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더 보정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단계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이 영역의 보정이 완료되었는가”하는 메시지를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로 입력받는다.The step of asking for image correction completion (S340) is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further correction is to be made by using another correction algorithm in the area that has been worked so far, and the correction area selection algorithm is, for example,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the correction of this area is completed. The output to the viewer module 150 and receives the user's selection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영역의 보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선택 한다면 추가 보정 영역을 선택 (S350)하는가 묻는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영역의 보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선택 하지 않는다면 보정 알고리즘 종류 선택(S310)하는 단계로 돌아가서 다시 진행한다.If it is selected that the correction of the region is completed, a step of asking whether to select an additional correction region (S350) is performed. If it is not selected that the correction of the region is complet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of selecting the correction algorithm type (S310) and proceeds again.

그 다음 단계인 추가 보정 영역을 선택 (S350)하는가 묻는 단계는 지금까지 작업한 보정 영역외에 이미지의 다른 영역을 더 보정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단계로 보정 영역 선택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이미지 보정이 완료되었는가" 하는 메시지를 뷰어 모듈(150)로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사용자 인터 페이스 모듈(140)로 입력받는다.The next step, asking whether to select an additional correction area (S350), is to confirm whether to correct another area of the image in addition to the correction area that has been worked so far. Message is output to the viewer module 150 and the user's selection is input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140.

이미지 보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선택 한다면 보정된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고 뷰어 모듈에 출력(S360)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미지 보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선택 하지 않는다면 (A)를 따라 보정 영역을 자동으로 선택할 것인가를 선택(S220)하는 단계로 돌아가 다시 진행한다.If it is selected that the image correction has been completed, the step of storing the corrected image under another name and outputting it to the viewer module (S360) is performed. If it is not selected that the image correction has been complet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of selecting whether to automatically select the correction region according to (A) (S220) and proceeds again.

보정된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고 뷰어 모듈에 출력(S360)하는 단계는 원본 이미지의 보존을 위해 다른 이름으로 보정된 이미지를 저장 모듈(130)에 저장하고 보정된 결과를 뷰어 보듈(150)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Saving the corrected image under a different name and outputting the image to the viewer module (S360) may include storing the corrected image under the other name in the storage module 130 and saving the corrected result to the viewer module 150 to preserve the original image. Print it out and show it to the user.

보정된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고 뷰어 모듈에 출력(S360)하는 단계가 실행되면 본 발명의 이미지 보정 단계의 동작이 모두 종료 된다.When the step of storing the corrected image under a different name and outputting the image to the viewer module (S360) is executed, all the operations of the image corr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ina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Using the digital im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 이미지 보정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서 바로 촬영한 이미지의 보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First, an image correction program can be added to a digital imager, so that an image taken directly from the digital imager can be corrected.

둘째, 이미지의 합성이나 보정할 때 원하는 이미지를 간편하게 지정할 수 있 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보다 간편하게 이미지의 합성이나 보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position of the image can be easily synthesized or corrected by providing an interface that can easily specify the desired image when compositing or correcting the image.

셋째, 이미지를 보정하여 출력할 때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에서 바로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다는 장점도 있다. Thir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gital image recorder can directly output the image when the image is corrected and output.

Claims (7)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모듈;A digital image photographing module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n image of the photographed subject and at least one image correction algorithm; 상기 이미지에서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입력받고, 상기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 중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A user interface module which receives an area to be corrected in the image and receives a selection command for one of the image correction algorithms;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대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연산 모듈; 및A calculation module for performing image correction on the area using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And 상기 이미지 보정에 따라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뷰어 모듈을 포함하는데,It includes a viewer module for displaying the image corrected according to the image correction,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은 상기 이미지를 흐려보이게 하는 안개 효과, 상기 이미지의 잡티를 없애주는 크린싱 효과, 상기 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밝게 조정해주는 하이라이트 효과 및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로 입력된 효과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The at least one image correction algorithm may include a fog effect that blurs the image, a cleaning effect that eliminates blemishes of the image, a highlight effect that brightens around a specific point of the image, and an additional input effect by the user. Portable digital imager includ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상기 보정된 이미지를 인쇄가능한 프린터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And a connection module for connect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subject or the corrected image to a printable prin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을 갖는 형태 또는 상기 이미지의 균일 패턴에 대응하는 형태로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형성되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The area has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a specific point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or a shape corresponding to a uniform pattern of the image, which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터치패드, 버튼, 포인팅 인터페이스 모듈, 및 트랙 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기 The user interface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touch pad, a button, a pointing interface module, and a track ball.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Photographing the subject; 상기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에서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n area to be corrected in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subject;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 중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selection command for one of at least one pre-stored image correction algorithm;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에 대한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Performing image correction on the area using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And 상기 이미지 보정에 따라 보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Displaying an image corrected according to the image correction,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보정 알고리즘은 상기 이미지를 흐려보이게 하는 안개 효과, 상기 이미지의 잡티를 없애주는 크린싱 효과, 상기 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밝게 조정해주는 하이라이트 효과 및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로 입력된 효과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방법 The at least one image correction algorithm may include a fog effect that blurs the image, a cleaning effect that eliminates blemishes of the image, a highlight effect that brightens around a specific point of the image, and an additional input effect by the user. Digital image capture method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상기 보정된 이미지를 인쇄가능한 프린터에 연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방법 And connect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subject or the corrected image to a printable printer and outputting the imag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을 갖는 형태 또는 상기 이미지의 균일 패턴에 대응하는 형태로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형성되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방법The area is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a specific point of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or a shape corresponding to a uniform pattern of the image, the digital image photographing method is fo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KR1020040044604A 2004-06-16 2004-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 KR100621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604A KR100621594B1 (en) 2004-06-16 2004-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604A KR100621594B1 (en) 2004-06-16 2004-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497A KR20050119497A (en) 2005-12-21
KR100621594B1 true KR100621594B1 (en) 2006-09-14

Family

ID=3729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604A KR100621594B1 (en) 2004-06-16 2004-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59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568A (en) 1997-10-31 1999-05-21 Fuji Photo Film Co Ltd Touch panel operation-type camera
JPH11289484A (en) 1998-04-06 1999-10-19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monitor
JP2003204465A (en) 2002-01-09 2003-07-18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camera
KR20050066599A (en)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Picture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568A (en) 1997-10-31 1999-05-21 Fuji Photo Film Co Ltd Touch panel operation-type camera
JPH11289484A (en) 1998-04-06 1999-10-19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monitor
JP2003204465A (en) 2002-01-09 2003-07-18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camera
KR20050066599A (en)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Picture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497A (en)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9383B2 (en) Capture and user interface using night mode processing
KR101594295B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JP2005141151A (en) Projector and method for setting projector function
JP2021145209A (en) Electronic apparatus
JP4534816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WO2020063084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30113940A1 (en) Imaging device and subject detection method
US20040125229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JP2013085043A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CN112689094A (en) Camera anti-shake promp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6042330A (en) Video photographing method
KR1006215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vision of portable digital image capture
JP5092771B2 (en) Imaging device, photographing method, photographing program
CN104717417B (en) A kind of fast automatic focusing method of imaging system and device
JP2006166250A (en) Imaging apparatus and raw data processing method
JP4983624B2 (en) Imaging device, photographing method, photographing program
JP2009302814A (en) Imag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imaging apparatus, and projection system
JP2007068182A (en) Photographed image composition method, and camera for composit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method or mobile apparatus with built-in camera
JP2003078801A (en) Electronic still camera
JP2017163339A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vide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92582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65088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quality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JP2002247422A (en) Image pickup device
JP2006287517A (en) Camera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program
JP2005294913A (en)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