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389B1 -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389B1
KR100619389B1 KR1020050037201A KR20050037201A KR100619389B1 KR 100619389 B1 KR100619389 B1 KR 100619389B1 KR 1020050037201 A KR1020050037201 A KR 1020050037201A KR 20050037201 A KR20050037201 A KR 20050037201A KR 100619389 B1 KR100619389 B1 KR 10061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rea
setting
user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기중
엄봉수
나동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3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을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기지국 기반 영역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영역 설정 시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의 중심에서 일정 반경내에 존재하는 모든 기지국을 포함하여 관리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의 중심에서 인접하는 기지국의 좌표를 중심으로 한 가상의 다각형이 이러한 반경내에 포함되는 경우의 기지국 정보로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 리스트로 관리함으로써, 기지국 기반에서의 영역 설정 시 기지국 커버리지와 좌표간 차이에 따른 오류를 방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의 리스트와 실제 사용자 영역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기지국 좌표들의 가상 영역과 실제 영역의 매핑을 통해 기지국 기반의 효율적인 영역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용 서비스 제공에 있어 오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specific service area based on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ll base station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area set by the user when the area is set for location-based services, or coordinates of base stations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area set by the user. By managing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user-configured service area as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when the virtual polygon centered around is included within this radius, an erro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station coverage and the coordinates when the area is set based on the base station is prevented. Accordingly, the base station-based efficient area can be set by mapping the base station coordinates to the virtual area and the real area that may cause a difference in the list of base stations and the actual user area, thereby minimizing errors in providing commercial services. do.

기지국, 영역, 위치기반, 다각형, 좌표 Base station, area, location-based, polygon, coordinate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는 영역 설정 개념도.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gion setting based o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100 : 기지국 102 : BSC100: base station 102: BSC

104 : MSC 106 : HLR104: MSC 106: HLR

108 : 기지국 영역 설정부 110 : 기지국 위치정보 DB108: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110: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112 : 지도 정보 DB112: map information DB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위치 기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을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기지국 기반 영역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based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specific service area based on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로는 SK 텔레콤의 TTL 존(Zone) 서비스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단말기가 통신사에서 미리 설정된 영역 내로 진입하거나 해당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해당 영역에 설정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general, the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ck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SK Telecom's TTL Zone service, and detects that the terminal enters or exit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carrier. Based on this, it means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set in the corresponding area.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에 있어서는 특정 서비스 영역에 대한 진/출입 감지나 이를 바탕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적 정밀도가 높은 기술을 이용할 시에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영역 설정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은 큰 어려움이 없이 가능하다.In the location-based service, in case of detecting entry / exit for a specific service area or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the same, the location-based service may use a location-based technology such a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t is possible to set a service area and provide a service based thereon without great difficulty.

그러나, GPS 수신 장치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가 아직은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GPS의 특성상 실내에서는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단점으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어 왔다.However, not only th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a GPS receiver is still limited, but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providing a service due to a disadvantage that signals are not detected indoo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GPS.

따라서 종래 대부분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망에 필수적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herefore, most location-based services in the related art provide a service based on a base station inclu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나 종래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은 통신 사업자에 의해 상기의 TTL 존과 같이 특정 영역을 기반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안되는 경우 통신 사업자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내 위치하는 기지국을 일일이 검색하여 영역을 설정하여야 하는 등 기지국 설정 작업이 어렵고 복잡한 문제점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ocation tracking method based on the base station, when the service provider proposes a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a specific area such as the TTL zone, the service provider selects a base station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service provider intends to perform the location-based service. Base station setting is difficult and complicated, such as the need to search and set the area one by on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커버하는 기지국들의 실제 위치와 해당 기지국들이 커버(Cover)하는 영역(Zone)에 대한 행정구역상 위치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서비스의 오류가 발생하는 등, 기지국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으며, 이러한 영역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location of the base stations cove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area with respect to the zone (Zone) covered by the base stations, which causes a service error, such as specific base station-based Setting up service areas is not simple,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providing services based on these area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기반 서비스의 제공 시 기지국 커버리지와 사용자 설정 영역간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단순한 기지국의 ID를 검색하여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영역 내 포함될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추출하여 실제 기지국의 위치와 기지국 커버리지의 행정구역상 위치간 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기지국 기반 영역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coverage and the user setting area when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extracts a list of base stations to be included in the actual area instead of simply searching for and setting the ID of the base station. By providing 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compensate for the error between the actual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coverag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에 연결되어 위치기반 서비스가 적용되는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의 호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국과, 상기 기지국들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 위치 정보 DB와, 사용자 영역 설정을 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 정보 DB와, 사용자로부터의 영역 정보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기반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한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 정보 DB로부터 상기 영역내 포함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영역 설정을 위한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기지국 영역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by wirelessly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 exchange station that performs call processing of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which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applied, a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base stations, and a map storing map information for user area setting A base station for setting the user area by setting an area for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based specific service by receiving information DB and area information from a user, and searching for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rea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DB; Including a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for providing list information And a gong.

또한 본 발명은 지도 정보 DB, 기지국 위치정보 DB와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영역 설정을 수행하는 기지국 영역 설정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상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를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a)사용자로부터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망의 사용자 선택 서비스 영역 설정 요청 시 상기 지도정보 DB를 통해 상기 서비스 영역 내 중심을 구하고 서비스에 대응되는 반경을 산출하는 단계와, (b)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DB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서비스 영역 내 포함되는 기지국들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c)상기 검색된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선택 영역의 기지국 리스트로 설정하는 단계와, (d)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리스트 상의 기지국들을 기반으로 사용자 선택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the area for a specific service based on the base station in the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for performing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and the map information DB,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A method of obtaining a center within the service area through the map information DB and calculat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a service when a user selects a service sel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a location-based service from a user; Searching for information of base stations included in a specific service area selected by a user using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and (c) setting the searched list of base stations as a base station list of a user selection area for location-based services. (D) base station leasing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a user selection of a service area based on the base s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기반 영역설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100)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100)에 연결되어 위치기반 서비스가 적용되는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의 호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국 (Mobile Switching Center : MSC)(104)과, 상기 기지국들(100)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 위치정보 DB(110)와, 사용자 영역 설정을 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 정보 DB(112)와, 사용자로부터의 영역 정보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기반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한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DB로부터 상기 영역 내 포함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영역 설정을 위한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기지국 영역 설정부(108)와, 상기 교환국(104)에 연결되어 이동단말의 위치변화를 관리하는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HLR)(106) 등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transceiver stations 100 for wirelessly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ransmitting / receiving voice and data.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04 connected to a base station 100 for performing a call processing of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which a location-based service is applied, and stores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base stations 100.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110), map information DB (112) storing map information for setting a user area, and area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Setting and retrieving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rea from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to provide base station list information for setting the user area.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106 connected to the switching center 104 and manag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망 상 위치기반 서비스시 기지국 기반으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각부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each unit for setting an area based on a base station in a location-based service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base station-based area set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기지국을 기반으로 한 위치기반 서비스에 있어서의 특정 서비스 영역 설정은 지형적 특성이나 도심 내 빌딩 등의 구성에 따라 기지국 커버리지(Coverage)의 차이가 남으로써, 특정 서비스별 영역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공 시 오류가 발생하였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First, the specific service area setting in the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the base station has a difference in base station coverage according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r the configuration of buildings in the city, so that the service based on the specific service area is provided. An error occurred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종래 특정 서비스 영역 설정 시 오류를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는 설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중심 좌표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지도 정보 DB를 바탕으로 특정 지번이나 주소 등을 선택하여 서비스 영역의 크기를 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error in setting the conventional specific service area as described above, the user sets the specific service area. In the above, the user can input or select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area to be set, and can also select a specific address or address based on the map information DB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service area.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서비스 영역에 대해서 기지국을 기반으로 영역을 설정 시 사용자 선택지역과 실제 기지국 커버리지 및 기지국 좌표간 차이에 따른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 영역 설정부(108)는 우선 지도 정보 DB(112)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대한 중심을 구하고, 서비스에 대응되는 반경을 구한다. 상기에서 반경 산출은 서비스 특성에 맞게 자동적으로 구해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setting an area based on a base station for a specific service area selected by a user,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108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entially maps information to eliminate an error caused by a difference between a user selected area and actual base station coverage and base station coordinates. The center of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is obtained by referring to the DB 112, and the radius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is obtained. In the above, the radius calculation may be automatically calculated or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service characteristics.

위에 언급한 서비스에 대응되게 반경이 적절하게 정해진다는 것은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보다 큰 영역이 필요한 경우와 좁게 영역이 필요한 경우가 있게 되는데, 기지국 영역 설정부(108)가 위치기반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반경을 500m 또는 1000m 등으로 적절하게 설정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radius is appropriately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above-mentioned service, which may require a larger area and a narrower area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ervice.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108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This means that the radius is appropriately set to 500 m or 1000 m.

이어 기지국 영역 설정부(108)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영역을 정하고 기지국 위치정보 DB(110)를 이용하여 이러한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 내에 포함되는 모든 기지국의 중심 좌표를 구한 후, 이때의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기지국 기반의 영역 설정을 위한 기지국 리스트(List)를 설정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108 determines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obtains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s of all the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user setting service area using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110, and then selects the list of base stations at this time. A base station list for setting a base area is set.

또한 기지국 영역 설정부(108)는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 내 포함되는 기지국 리스트를 설정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영역을 정하고 해당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주변 기지국의 좌표를 선택 영역 내 기지국으로 포함하여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영역을 설정하거나, 서비스 영역의 중심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기지국의 좌표를 중심 기지국의 좌표로 정한 후, 이러한 중심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주변 기지국의 좌표를 선택 영역 내 기지국으로 포함하여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선택 영역을 설정하게 된다.In addition, in setting the list of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user setting service area,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108 determines the area to be set by the user and selects coordinates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existing within a preset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corresponding area. After setting the user area based on the base station, or by setting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located at the closest distance to the center of the service area as the coordinates of the central base station, neighboring base station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center base station The user's selection area based on the base station is set by including the coordinate of as the base station in the selection area.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중심기지국과 주변 기지국들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 영역 설정부(108)는 중심 기지국의 중심 축 상에서 360°방향으로 바라봤을 경우 60°씩 6분할된 각 영역에 속하는 중심기지국의 중심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 등과 같이 대표되는 기지국을 하나 혹은 두 개씩 포함하여 주변 인접 기지국으로 결정한 후, 해당 주변기지국들을 사용자 선택 영역 내 포함되는 기지국으로 하여 영역을 설정하게 된다.In addition, in another method of determining the central base station and neighboring base stations,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108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center base station belonging to each divided area by 60 ° when viewed in the 360 ° direction on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al base station. After determining a neighboring base station by including one or two base stations, such as the base station closest to the center coordinates, the area is set as the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user selection area.

도 2에는 상기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에서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의 반경내 존재하는 중심기지국 뿐만 아니라 영역 내 속하게 되는 주변 기지국까지 기지국 리스트로 포함시키는 기지국 영역 설정 방법을 도시하였다.FIG. 2 illustrates a method for setting a base station area in which the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includes not only a central base station existing within a radius of a user setting service area, but also neighboring base stations belonging to the area.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기지국 영역 설정부(108)는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200) 반경 내 존재하는 기지국 중심 좌표 뿐만 아니라, 각 기지국의 중심좌표간 거리를 구하고 적정 간격으로 구분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가상의 다각형을 그리고 이러한 다각형이 미리 설정된 반경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에 포함시키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108 obtain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s within the radius of the user setting service area 200 as well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oordinates of each base station and divides them into appropriate intervals. If a virtual polygon is drawn and such a polygon is included in a preset radius, it is included in the user setting service area.

즉, 상기 도 2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영역(200)이며, 옅은 파란색으로 표시된 다각형 영역(202)이 실제 기지국 기반으로 찾아진 사용자 위치와 영역과의 비교 후 내/외부 판단을 위해 구해진 기지국 기반 영역이 된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는 원과 같은 영역을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200) 으로 논리적으로 판단하게 되나, 실질적으로 기지국에서 미치는 영역은 지형이나 빌딩의 위치 등으로 인해 실제 기지국 커버리지는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옅은 파란색으로 표시된 기지국 기반의 다각형 영역(202)으로 설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area indicated by the circle of FIG. 2 is the service area 200 set by the user, and the polygon area 202 shown in light blue is determined internally / externally after comparison with the user location and area found based on the actual base station. It is a base station base area obtained for. Therefore, the actual user logically determines the area, such as a circle, as the user setting service area 200, but th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is actually light blue as shown in FIG. 2 due to the terrain or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It is set to the base station-based polygonal region 202 indicated b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영역 설정 시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의 중심에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모든 기지국과 기지국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다각형이 이러한 반경 내에 포함되는 경우의 기지국 정보로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 리스트로 관리함으로써, 기지국 기반에서의 영역 설정 시 기지국 커버리지와 좌표간 차이에 따른 오류를 방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의 리스트와 실제 사용자 영역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기지국 좌표들의 가상 영역과 실제 영역의 매핑을 통해 기지국 기반의 효율적인 영역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용 서비스 제공에 있어 오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rea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l the base stations and the virtual polygons centered on the base stations exist within the radius in the radius of the user-set area. By managing the base station list of the user setting service area with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an erro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station coverage and the coordinates when the area is set in the base station base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base station-based efficient area can be set by mapping the base station coordinates to the virtual area and the real area that may cause a difference in the list of base stations and the actual user area, thereby minimizing errors in providing commercial services. do.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rather than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영역 설정 시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의 중심에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모든 기지국과 기지국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다각형이 이러한 반경 내에 포함되 는 경우의 기지국 정보로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 리스트로 관리함으로써, 기지국 기반에서의 영역 설정 시 기지국 커버리지와 좌표간 차이에 따른 오류를 방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의 리스트와 실제 사용자 영역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기지국 좌표들의 가상 영역과 실제 영역의 매핑을 통해 기지국 기반의 효율적인 영역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용 서비스 제공에 있어 오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tting the area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l the base stations and the virtual polygons centering on the base stations exist within this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area set by the user. By managing the base station list of the user setting service area as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station coverage and coordinates when setting the area in the base station base. Accordingly, the base station-based efficient area can be set by mapping the base station coordinates to the virtual area and the real area that may cause a difference in the list of base stations and the actual user area, thereby minimizing errors in providing commercial services.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14)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으로서,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무선 연결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기지국과,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voice and data by wirelessly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에 연결되어 위치기반 서비스가 적용되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호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국과,An exchange statio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to perform call processing of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which location-based services are applied; 상기 기지국들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기지국 위치 정보 DB와,A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base stations; 사용자 영역 설정을 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 정보 DB와,A map information DB storing map information for user area setting, 사용자로부터 영역 설정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기반 특정 서비스 수행을 위한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 정보 DB로부터 상기 영역 내 포함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영역 설정을 위한 기지국 리스트 정보로 설정하는 기지국 영역 설정부A base station list for setting a user area is set by receiving user area setting information from a user, setting a user setting service area for performing a specific service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ing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rea from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DB.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to set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지국 영역 설정부는,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의 영역 설정 입력 시, 상기 지도 정보 DB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영역에 대한 중심을 구하고,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반경을 설정한 후, 기지국 위치정보 DB로부터 상기 설정된 반경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의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When inputting user's area setting for location-based service, the center of the service area set by the user is obtained through the map information DB, the radius corresponding to the area is set, and then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is set to the set radius.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searching for information of the included base sta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지국 영역 설정부는,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상기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설정 영역의 기지국 리스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The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 list of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user setting service area as a base station list of a user setting area for location-based service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기지국 영역 설정부는,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상기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 존재하는 모든 기지국의 좌표를 영역내 기지국 정보로 더 포함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 내 존재하는 기지국들 중 영역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기지국의 좌표를 중심 기지국 좌표로 설정한 후, 상기 중심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 존재하는 주변 기지국의 좌표를 영역내 기지국 정보로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Further include coordinates of all base stations existing within a certain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user-set service area as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in the area, or center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area among the base stations existing in the user-set service area And setting the base station coordinates, and further including coordinates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central base station as base station information in the are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기지국 영역 설정부는, The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상기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혹은 서비스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의 좌표를 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으로 한 원에서 이러한 60°씩 6분할 된 각 영역에서 일정 수 이상의 기지국이 찾아질 때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며 탐색한 후, 찾아진 기지국의 좌표를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From the center of the user set service area or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closest to the service area with a certain radius from the center, the range is expanded until a certain number of base stations are found in each of these 60 ° divided areas. The base station-based area setting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after searching by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found base station in the base station lis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원의 분할 수는 없거나(그 자체 1개이거나) 2개, 3개, 4개, 5개, …, n개가 될 수 있고 분할된 각 영역에서 일정 수 이상의 기지국이 찾아질 때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며 탐색한 후 찾아진 기지국의 좌표를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The number of divisions of the circle is either (one itself) or two, three, four, five,... The base station base area sett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base station in the base station list, and then expand the range until a certain number of base stations are found in each divided region, and then include the coordinates of the found base station in the base station list system.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원의 분할 후 분할된 각 영역에서의 탐색하는 기지국의 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The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base station to search in each divided a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circle.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상기 서비스 사용자 영역의 중심좌표로부터 근접하여 존재하는 기지국의 좌표를 구하고 중심좌표와 영역 내 각 기지국 좌표 사이의 중심을 구한 후, 이들 중심끼리의 연결에 의한 다각형 생성 후, 이러한 다각형이 사용자 설정 영역 내에 조 금이라도 포함되는 것의 기지국 좌표를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After obtaining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located in close proximity from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service user area, the center between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coordinates of each base station in the area, and after generating the polygons by the connection of these centers, such polygons in the user setting area A base station-based area sett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base station coordinates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list. 지도 정보 DB, 기지국 위치정보 DB와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영역 설정을 수행하는 기지국 영역 설정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상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를 위한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setting an area for a specific service based on a base station in 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system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map information DB, a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and a base station area setting unit for setting a base station area for a location-based service. (a)사용자로부터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망의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 설정 요청 시 상기 지도정보 DB를 통해 상기 서비스 영역 내 중심을 구하고 서비스에 대응되는 반경을 산출하는 단계와,(a) obtaining a center within the service area through the map information DB and calculating a radius corresponding to a service when a user sets a service area setting request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a location-based service from a user; (b)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DB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 서비스 영역 내 포함되는 기지국들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b) searching for information of base stations included in a specific service area set by a user using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B; (c)상기 검색된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 리스트로 설정하는 단계와,(c) setting the searched list of base stations as a base station list of a user-configured service area for location-based services; (d)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리스트 상의 기지국들을 기반으로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d) setting a user setting service area based on base stations on the base station list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방법.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선택 서비스 영역 설정 시에는,In the step (d), when setting the user selection service area, 상기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 존재하는 모든 기지국의 좌표를 영역내 기지국 정보로 더 포함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 내 존재하는 기지국들 중 영역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기지국의 좌표를 중심 기지국 좌표로 설정한 후, 상기 중심 기지국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 존재하는 주변 기지국을 포함하는 기지국 기반 영역을 사용자 설정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방법.Further include coordinates of all base stations existing within a certain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user-set service area as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in the area, or center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area among the base stations existing in the user-set service area And after setting by the base station coordinates, setting the base station based area including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center base station as a user setting service area.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주변 기지국은, The neighbor base station, 상기 중심기지국 중심에서 60°씩 6분할 된 각 영역에 속하는 기지국 중 중심기지국의 중심좌표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방법.The base station-based area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station is set to the base station closest to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center base station among the base stations belonging to each area divided by 60 degrees from the center of the base station.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원의 분할 수는 없거나(그 자체 1개이거나) 2개, 3개, 4개, 5개, …, n개가 될 수 있고 분할된 각 영역에서 일정 수 이상의 기지국이 찾아질 때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며 탐색한 후 찾아진 기지국의 좌표를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방법.The number of divisions of the circle is either (one itself) or two, three, four, five,... The base station base area sett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base station in the base station list, and then expand the range until a certain number of base stations are found in each divided region, and then include the coordinates of the found base station in the base station list Way.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원의 분할 후 분할된 각 영역에서의 탐색하는 기지국의 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방법.The base station-based area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base station to search in each divided region after the division of the circle.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상기 서비스 사용자 영역의 중심좌표로부터 근접하여 존재하는 기지국의 좌표를 구하고 중심좌표와 영역 내 각 기지국 좌표 사이의 중심을 구한 후, 이들 중심끼리의 연결에 의한 다각형 생성 후, 이러한 다각형이 사용자 설정 영역 내에 조금이라도 포함되는 것의 기지국 좌표를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기반 영역 설정 방법.After obtaining the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located in close proximity from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service user area, the center between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coordinates of each base station in the area, and after generating the polygons by the connection of these centers, such polygons in the user setting area A base station based area sett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base station coordinates of the base station list in the base station list.
KR1020050037201A 2005-05-03 2005-05-03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9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01A KR100619389B1 (en) 2005-05-03 2005-05-03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01A KR100619389B1 (en) 2005-05-03 2005-05-03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389B1 true KR100619389B1 (en) 2006-09-06

Family

ID=3762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01A KR100619389B1 (en) 2005-05-03 2005-05-03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38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927A (en) * 2013-04-11 2014-10-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base station
KR101503833B1 (en) * 2007-08-13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base station thereof
KR101659230B1 (en) * 2015-07-06 2016-09-30 신한카드 주식회사 Mash-up position data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33B1 (en) * 2007-08-13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base station thereof
KR20140122927A (en) * 2013-04-11 2014-10-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base station
KR102026331B1 (en) 2013-04-11 2019-09-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base station
KR101659230B1 (en) * 2015-07-06 2016-09-30 신한카드 주식회사 Mash-up position data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9666A1 (en) Local area network assisted positioning
US76400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altitude of a mobile wireless device
EP2066143B1 (en) Radio cell performance monitoring and/or control based on user equipment positioning data and radio quality parameters
US70726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location in a cellular wireless system
US20070149240A1 (en) Automatically establishing location groups
JP2011512720A (en) Integration of position determination function and Wi-Fi function
CA2585495A1 (en) Location beacon database and server, method of building location beacon database, and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same
US8050686B1 (en) Method of enabling low tier location applications
KR100726567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oc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US6631262B1 (en) Method for updating sector list of home zone database for home zone service
CN107783164A (en) The indoor and outdoor localization method and system of a kind of terminal device
KR101687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Error Range
JP2002112317A (en) Home zone list automatic genera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7379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uilding database for home zone service
KR1006193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the service zone based on bt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639204B1 (en) Mechanism for employing and facilitating geodetic triangulation for determining global positioning of computing devices
US20090207766A1 (en) Wireless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3530794A (en) Installation of location service equipment
CN113132903A (en) Positioning navigation method, device, terminal, server,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200406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ressing the accuracy of a measured location of a terminal
CN115396977A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determining signal transmission path and storage medium
KR2018004736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beacon service, and apparatus for executing virtual beacon service
KR101503488B1 (en) Server and Method for Building pCell Database
KR101913573B1 (en) Navigation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by a crowd-sourcing
KR100319125B1 (en) Method for generating subscriber homezone l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