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203B1 -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 Google Patents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203B1
KR100619203B1 KR1020007009388A KR20007009388A KR100619203B1 KR 100619203 B1 KR100619203 B1 KR 100619203B1 KR 1020007009388 A KR1020007009388 A KR 1020007009388A KR 20007009388 A KR20007009388 A KR 20007009388A KR 100619203 B1 KR100619203 B1 KR 10061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elevator car
rop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41288A (en
Inventor
홀로웰리챠드엘.
파고리챠드엔.
리베라제임스에이.
산세베로프랭크
세인트피에르부르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031,108 external-priority patent/US6401871B2/en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1004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2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2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장착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32)에 의해 추진되는 엘리베이터 카(16)와, 엘리베이터 카(16)를 현수하여 견인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 로프(22)를 포함한다. 다양한 로핑 배열과 조합된 평탄 로프를 사용하게 되면 엘리베이터카(16)를 추진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32)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크기가 작은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보다 실질적이며,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서 비용 절감으로 나타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6)상의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32)는 엘리베이터 수리공에게 보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The machine-free elevator system 10 includes an elevator car 16 propelled by a mounted elevator mechanism 32 and at least one flat rope 22 that suspends the elevator car 16 to provide traction. do. The use of flat ropes in combination with various roping arrangements reduces the size of the elevator mechanism 32 required to propel the elevator car 16. Smaller elevator mechanisms are more substantial and result in cost savings in the elevator system 10. In addition, the elevator mechanism 32 on the elevator car 16 provides a safer environment for the elevator repairma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Machine-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echanism mounted on an elevator car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본 발명은 무-기계실(machine-roomless)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견인을 위해 평탄 로프(flat rope)를 사용하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chine-free elevator system in which a flat rope is used for towing the elevator car and the elevator machine is mounted on the elevator car. .

종래의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와 평형추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있는 승강 로프의 대향 단부상에 현수된다. 상기 승강 로프는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활차(sheave)에 의해 구동된다. 종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는 기계실에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기계실은, 장치를 수용하여 엘리베이터 수리공이 그 내부에 배치된 설비를 유지보수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승강로위에 배치된다. Conventional traction elevator systems include elevator cars and counterweights, each of which is suspended on opposite ends of the lifting ropes in the elevator hoisting. The lifting rope is driven by a drive sheave that is rotated by the elevator mechanism. In conventional elevator systems, elevator machinery is arranged in the machine room. Typically, the machine room is placed above the hoistway to accommodate the device and provide sufficient space for the elevator repairman to maintain the equipment located therein.

빌딩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를 위한 기계실의 존재는 본 산업분야에서 점점 더 문제가 되고 있다. 첫째로, 기계실을 구축하는데는 빌딩 소유자에게 상당한 경비 지출을 필요로 한다. 둘째로, 부동산의 부족은 공간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공간 억제를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배려와 결점은 빌딩이 엘리베 이터를 복합으로 포함하게 될 때 확대되며, 기계실을 각각 필요로 하게 되어 구축 비용을 증가시키고 빌딩에서 공간을 부가적으로 잠식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산업에서는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운동이 일고 있다. The presence of a machine room for each elevator in a building is becoming increasingly problematic in the industry. First, building a machine room requires significant expense to the building owner. Secondly, the lack of real estate would lead to space restraints where space is used for other purposes. These considerations and drawbacks are magnified when the building includes a combination of elevators, each requiring a machine room, increasing construction costs and additionally encroaching space in the building. Thus, there is a movement in the elevator industry to provide systems that do not require a machine room.

현존의 일부 시스템은 승강로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를 포함한다. 승강로에 현수된 장치에서의 한가지 결점은 장치의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점이다. 상기 엘레베이터 수리공은 승강로의 장치상에서 작업해야만 하므로 작업 환경이 매우 위험하다. Some existing systems include elevator machinery arranged in a hoistway. One drawback to devices suspended in hoists is the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m. The elevator repairman must work on the device of the hoistway, so the working environment is very dangerous.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해 충분한 토오크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너무 대형이고 값비싸고 무겁기 때문에,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디자인하려는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Efforts to design a machine-less elevator system have been in vain because the elevator mechanism required to generate enough torque to move the elevator car is too large, expensive and heavy. Therefore, a substantially machine-free elevator system is desired.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a machine roo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리공이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chine-free elevator system in which the repairman can easily access the elevator mechanis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질적인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antially machine-free elevator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부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와 협력하여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견인 및 현수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평탄 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개의 승강 로프와 결합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연합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활차와,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로에 현수하고 견인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를 부가로 포함한다. 평탄 로프를 사용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의 직경과 크기에 대한 요구사항을 상당히 경감시키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에 탑재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or system includes an elevator driven by an attached elevator mechanism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lat ropes that cooperate with the elevator mechanism to provide traction and suspension for the elevator car. The elevator system further includes a drive pulley associated with or driven by the elevator mechanism to engage the plurality of lifting ropes, and a plurality of idler pulleys that suspend the elevator car to the hoistway and provide traction. The use of flat ropes greatly reduces the requirements for the diameter and size of the elevator mechanism, thus allowing the elevator mechanism to be mounted on the elevator car substanti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빌딩 구조물에 고정부착된 승강 로프의 양 단부와, 구동 활차 속도와 엘리베이터 카 속도가 1:1 을 제공하는 승강로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를 서술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는 구동 활차 속도와 엘리베이터 카 속도가 3:1 비율을 제공하도록 승강로에 배치된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는 3개의 요소에 의해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대한 토오크 요구사항을 경감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는 평형추와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 승강 로프의 단부와, 2가지 요소에 의해 구동 활차 속도와 엘리베이터 카 속도를 2:1 로 하여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견인과 현수를 제공하는 승강 로프와 결합하기 위해 승강로에 배치된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대한 토오크 요구사항의 경감은 장치 크기의 감소를 초래하여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고 경량으로 되게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both ends of a hoisting rope fixedly attached to a building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idler pulleys disposed within a hoistway where the drive pulley speed and the elevator car speed provide 1: 1.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dler pulleys disposed in the hoistway such that the drive pulley speed and elevator car speed provide a 3: 1 ratio. This arrangement reduces the torque requirements for the elevator mechanism by three elements. Still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end of a lifting rope attached to an counterweight and an elevator car, a lifting rope that provides traction and suspension for an elevator car with a two-element drive pulley speed and elevator car speed of 2: 1; It describes a plurality of idler pulleys that are arranged on the hoistway to engage. Reduction of the torque requirements for elevator mechanisms results in a reduction in device size, making the elevator mechanism more compact and lighter.

본 발명의 장점은 기계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엘리베이터 패널이 카에 제공될 때 수리공이 엘리베이터 카의 내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를 보수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승강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의 견인 및 현수를 위해 사용된다는 점이다.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eliminates the need for a machine room. 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pairman can repair the elevator mechanism from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panel is provided in the car. 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ifting rope is used for the towing and suspension of the elevator car.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되어 이와 함께 이동하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achine-free elevator system mounted on and moving with an elevator ca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로프의 배치가 변경된 도1의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achine-free elevator system of FIG. 1 with the arrangement of the ropes changed; FIG.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이들러 활차와 로프 배치가 상이한 도2의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achine-free elevator system of FIG. 2 with different idler pulleys and rope arrangemen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로프의 배치가 변경된 도3의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achine-free elevator system of FIG. 3 with the arrangement of the ropes changed;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활차와 로프 배치가 상이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achine-free elevator system with different pulley and rope arrangemen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변경된 도5의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machine-free elevator system of FIG. 5; FIG.

도7은 복수개의 코드가 구비된 복수개의 평탄 로프와 견인 활차의 측단면도.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lurality of flat ropes and a pulle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rds.

도1에 있어서, 빌딩 구조물(14)의 승강로(12)에 배치된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승강로(12)내에서 평형추(20)와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16)를 포함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16)와 평형추(20)는 도1에서는 단일의 로프(22)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일의 승강 로프나 복수개의 승강 로프로 현수되어 있다. 상기 승강 로프(22)는 제1 승강 로프 단부(24)와 제2 승강 로프 단부(26)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로프 단부(24, 26)는 빌딩 구조물(14)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로프 단부(24, 26)는 빌딩 구조물(14)에 고정부착된 안내 레일(도시않음)에 부착될 수도 있다. In FIG. 1, the machine-free elevator system 10 disposed in the hoistway 12 of the building structure 14 includes an elevator car 16 that selectively moves with the counterweight 20 within the hoistway 12. do. The elevator car 16 and counterweight 20 are shown as a single rope 22 in FIG. 1, but are suspended with a single lifting rope or a plurality of lifting ropes. The lifting rope 22 includes a first lifting rope end 24 and a second lifting rope end 26. Each of the rope ends 24, 26 is fix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building structure 14. For example, the rope ends 24, 26 may be attached to guide rails (not shown) fixedly attached to the building structure 14.

구동 활차(30)와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32)는 엘리베이터 카(16)에 장착된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32)는 엘리베이터 카(16)의 하부에 배치된다. 편향 활차(34)는 구동 활차(30)를 횡단하여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6)에 장착된다.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36, 38)는 승강 로프(22)를 승강로(12)내에 지향 및 안내한다. The drive pulley 30 and the elevator mechanism 32 are mounted to the elevator car 16. 1 and 2, the elevator mechanism 32 is disposed below the elevator car 16. As shown in FIG. The deflection pulley 34 is disposed across the drive pulley 30 and mounted to the elevator car 16. The plurality of idler pulleys 36, 38 direct and elevate the hoisting rope 22 into the hoistway 12.

승강 로프(22)의 제1 단부(24)는 빌딩 구조물(14)에 고정되며, 승강 로프(22)는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3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활차(3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로프(22)는 편향 활차(34)를 통과한다. 상기 로프(22)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와 구동 활차 주위로 단일 권취 또는 이중 권취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중 권취는 마모를 적게 하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 부가적인 견인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로프(22)는 빌딩 구조물(14)에 직간접으로 부착된 아이들러 활차(36)를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그후, 상기 로프(22)는 평형추(20)에 배치된 아이들러 활차(38)의 하부를 지나서, 빌딩 구조물(14)에 부착되어 있는 제2 로프 단부(26)에서 종료된다. The first end 24 of the elevating rope 22 is fixed to the building structure 14, and the elevating rope 22 is coupled by a drive pulley 30 driven by the elevator mechanism 32. The rope 22 passes through a deflection pulley 34. The rope 22 consists of a single winding or a double winding around the deflector and drive pulle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ouble winding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dditional traction to the elevator system 10 with less wear. The rope 22 continuously passes through an idler pulley 36 directly or indirectly attached to the building structure 14. The rope 22 then ends at the second rope end 26 attached to the building structure 14 past the lower portion of the idler pulley 38 disposed on the counterweight 20.

작동시, 엘리베이터 카(16)는 견인 및 현수를 위해 제공된 승강 로프(22)에 의해 승강로(12)를 통해 자체추진된다.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32)가 구동 활차(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로프(22)는 엘리베이터 카(16)를 승강로(12)에서 평형추(20)와는 선택적으로 상하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을 위한 기계실을 필요없게 한다.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평탄 로프는 부가적인 견인을 제공하므로 보다 소형인 활차와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행에 사용된 평탄 로프의 실시예는 1998년 2월 26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엘리베이터용 텐션 부재" 인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제 09/031,108호에 서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참고로 합체되었다. 소형인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시스템(10)의 비용을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의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키므로, 따라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32)와 엘리베이터 카(16)를 같이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견인과 현수를 위해 승강 로프(22)를 사용하게 되면 2세트의 로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In operation, elevator car 16 is self-propelled through hoistway 12 by hoisting ropes 22 provided for towing and suspension. As the elevator mechanism 32 rotates the drive pulley 30, the rope 22 selectively moves the elevator car 16 up and down with the counterweight 20 in the hoistway 12. Thus,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for a machine room for the elevator system 10.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flat rope provides additional traction, allowing the use of smaller pulleys and elevator mechanisms. Embodiments of the flat rope use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9 / 031,108, filed Feb. 26, 1998 and entitled "Tension member for elevators"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 invention. The use of a compact device not only reduces the cost of the system 10 but also reduces the size and weight of the elevator mechanism, thus allowing the elevator mechanism 32 and the elevator car 16 to be placed together. . In addition, the use of elevating rope 22 for traction and suspension eliminates the need for using two sets of rope.

도3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은 내부에 장착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132)에 의해 추진되는 엘리베이터 카(1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132)는 장치(132)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 활차(130)를 구동시킨다.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110)은 편향 활차(134)와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135-141)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들러 활차(135, 136)는 엘리베이터 카(116)에 고정부착되며, 아이들러 활차(139, 141)는 평형추(120)에 부착된다. 아이들러 활차(137, 138, 140)는 빌딩 구조물(114)에 직간접으로 장착된다. 승강 로프 단부(124, 126)도 빌딩 구조물(114)에 직간접으로 장착된다. 먼저, 승강 로프(122)는 아이들러 활차(135, 136)를 통과한 후 아이들러 활차(137)를 통과한다. 그후, 상기 로프(122)는 구동 활차 및 편향 활차(130, 134) 주위로 권취된다. 이어서, 상기 로프(122)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와 구동 활차 주위로 단일 권취되거나 이중 권취된다. In Figure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chine-free elevator system 110 includes an elevator car 116 propelled by an elevator mechanism 132 mounted therein. The elevator mechanism 132 drives a drive pulley 130 attached to or integral with the device 132. The elevator system 110 includes a deflection pulley 134 and a plurality of idler pulleys 135-141. The idler pulleys 135 and 136 are fixedly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116, and the idler pulleys 139 and 141 are attached to the counterweight 120. Idler pulleys 137, 138, 140 are moun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building structure 114. Lifting rope ends 124 and 126 are also moun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building structure 114. First, the elevating rope 122 passes through the idler pulleys 135 and 136 and then passes through the idler pulley 137. The rope 122 is then wound around drive pulleys and deflection pulleys 130, 134. The rope 122 is then single wound or double wound around the deflector and drive pulley as shown in FIGS. 3 and 4.

작동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132)는 로프(122)를 구동하는 구동 활차(130)를 회전시키므로써, 엘리베이터 카(116)를 승강로(112)내에서 추진시킨다. 이러한 로프 배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부가하여 또 다른 장점을 제공한다. 즉, 이러한 로프 배치는 구동 활차 속도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3:1로 하므로써,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대한 토오크 요구를 감소시켜 보다 작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 크기의 부가적인 감소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서, 비용 감소는 물론이거니와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필요로 하는 중량과 크기의 감소를 제공한다. In operation, the elevator mechanism 132 rotates the drive pulley 130 that drives the rope 122, thereby pushing the elevator car 116 in the hoistway 112. This rope arrangement provides further advantages in addition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such a rope arrangement reduces the torque demand on the elevator mechanism by allowing the drive pulley speed and elevator car speed ratio to be 3: 1, making it possible to use smaller devices. An additional reduction in elevator mechanism size is highly desirable for elevator systems, providing cost reduction as well as reduction in weight and size required for elevator machinery.

도5 및 도6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시스템(210)은 승강 로프(222)에 의해 현수된 평형추(220)와 엘리베이터 카(216)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222)는 엘리베이터 카(216)에 고정된 제1 로프 단부(224)와, 평형추(220)에 고정된 제2 로프 단부(226)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222)는 구동 활차(230)를 통해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232)에 의해 구동된다.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232)와 구동 활차(230)는 엘리베이터 카(216)에 장착된다. 편향 활차(234)는 엘리베이터 카(216)에 부착된다.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235-238)는 승강로(212)내에 배치된다. 아이들러 활차(235, 236, 238)는 승강로(212)의 상부에서 빌딩 구조물(214)에 직간접으로 고정되며, 아이들러 활차(237)는 승강로(212)의 하부에서 빌딩 구조물(214)에 직간접으로 고정된다. 접근 패널(250)은 엘리베이터 카(216)내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232)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5 and 6,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hine-free elevator system 210 includes an elevator car 216 and a counterweight 220 suspended by a lifting rope 222. The rope 222 includes a first rope end 224 fixed to the elevator car 216 and a second rope end 226 fixed to the counterweight 220. The rope 222 is driven by the elevator mechanism 232 through the drive pulley 230. Elevator mechanism 232 and drive pulley 230 are mounted to elevator car 216. Deflection pulley 234 is attached to elevator car 216. A plurality of idler pulleys 235-238 are disposed in the hoistway 212. Idler pulleys 235, 236, 238 are fixed directly or indirectly to building structure 214 at the top of hoistway 212, and idler pulleys 237 are fixed directly or indirectly to building structure 214 at the bottom of hoistway 212. do. An access panel 250 is formed in the elevator car 216 to allow access to the elevator mechanism 232.

승강 로프(222)의 단부(224)가 먼저 엘리베이터 카(216)에 부착되고, 그 후 로프(222)는 아이들러 활차(235, 236)를 통과한 후 편향 활차 및 구동 활차(234, 230)를 통과한다. 이어서, 상기 로프(222)는 아이들러 활차(237, 238)로 안내되어 평형추(220)에서 종료된다. 이러한 로프 배치는 구동 활차 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2:1로 하므로써,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대한 토오크 요구를 경감시켜 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End 224 of elevating rope 222 is first attached to elevator car 216, and then rope 222 passes idler pulleys 235, 236 and then deflects the pulley and drive pulley 234, 230. To pass. The rope 222 is then guided to idler pulleys 237 and 238 and terminates at counterweight 220. This rope arrangement reduces the torque demand on the elevator mechanism by enabling a drive pulley speed to elevator car speed ratio of 2: 1, allowing the use of smaller elevator mechanisms.

본 발명의 장점중 한가지는 서술된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유지보수공이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를 매우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는 그 제공된 접근 패널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부터 접근가능하다.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maintenance worker mounted on the described elevator car can operate the elevator mechanism in a very safe environment. The elevator mechanism is accessible from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through its provided access panel.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상술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된 로프의 평탄함에 있다. 종횡비(aspect ratio)의 증가는 로프가 로프 압력을 분배하기에 최적화된 폭 치수 "w"로 한정된 결합면을 갖게 한다. 따라서, 최대 로프압력은 로프내에서 최소화된다. 또한, 1과 동일한 종횡비를 갖는 둥근 로프에 대한 종횡비를 증가시키므로써, 평탄 로프(도7)의 두께(t1)는 감소되는 동시에 로프에 텐션 로드를 지지하는 로프 부분의 단면적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the flatness of the rope used in the elevator system described above. Increasing the aspect ratio allows the rope to have a mating surface defined by the width dimension "w" optimized for distributing rope pressure. Thus, the maximum rope pressure is minimized in the ropes.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aspect ratio for a round rope having an aspect ratio equal to 1, the thickness t1 of the flat rope (Fig. 7) is reduced whi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pe portion supporting the tension rod on the rope can be kept constant. have.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 로프(722)는 공통의 코팅층(728)내에 내장된 복수개의 개별적인 부하 이송 코드(726)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728)은 각각의 코드(726)를 분리시키며, 견인 활차(724)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면(730)을 형성한다. 부하 이송 코드(726)는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고강도 경량의 비금속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얇은 고탄소 스틸 섬유와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요성을 최대로 하고 코드(726)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드(726)의 두께(d)를 가능한 한 얇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틸 섬유로 형성된 코드에 대해, 섬유 직경은 직경이 0.25 ㎜ 이하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0.2 ㎜ 가 양호하다. 이와 같은 직경을 갖는 스틸 섬유는 코드와 로프의 가요성을 개선한다. 이러한 재료의 중량, 강도, 내구성, 특히 가요성을 평탄 로프에 연합하므로써, 견인 활차 직경(D)은 최대 로프 압력을 허용가능한 한계치내에 유지할동안 감소시킨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lat rope 722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load transfer cords 726 embedded in a common coating layer 728. The coating layer 728 separates each cord 726 and defines a mating surface 730 for mating with the pulley 724. The load transfer cord 726 may be formed of a high strength lightweight nonmetal material such as aramid fiber,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thin high carbon steel fiber. In order to maximize flexibility and minimize stress on the cord 726, it is desirable to keep the thickness d of the cord 726 as thin as possible. In addition, for cords formed of steel fibers, the fiber diameter should be 0.25 mm or less in diameter, preferably 0.1 to 0.2 mm. Steel fibers with such diameters improve the flexibility of cords and ropes. By associating the weight, strength, durability, and particularly flexibility of this material to the flat rope, the pulley pulley diameter (D) reduces while maintaining the maximum rope pressure within acceptable limits.

결합면(730)은 견인 활차(724)의 대응면(750)과 접촉하게 된다. 코팅층(728)은 각각의 개별적인 코드(726)가 다른 코드(726)에 대해 길이방향 이동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코드(726)를 통해 압출되는 열가소성 우레탄과 같은 폴리우레탄 재료로 형성된다. 필요로 하는 코팅층 기능 즉, 견인, 마모, 코드로의 견인 부하 전동, 환경적 요소에 대한 저항 등에 부응할 수만 있다면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코팅층으로서는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만일 열가소성 우레탄의 기계적 특성을 초과하거나 이에 부응할 수 없다면, 평탄 로프를 사용하므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은 감소된다. 열가소성 우레탄 기계적 특성에 의해, 견인 활차(724)의 직경은 100 ㎜ 이하로 감소될 수도 있다. Engaging surface 730 comes into contact with corresponding surface 750 of traction pulley 724. Coating layer 728 is formed of a polyurethane material, such as thermoplastic urethane, wherein each individual cord 726 is extruded through a plurality of cords 726 in a manner that inhibits longitudinal movement relative to other cords 726. Other material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can meet the required coating layer functions: traction, wear, transmission of traction loads to the cord, resistance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like. Other materials may be used as the coating layer, but i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urethane cannot be exceeded or can be met, the benefits of using a flat rope are reduced. Due to the thermoplastic urethane mechanical properties, the diameter of the pulley pulley 724 may be reduced to 100 mm or less.

평탄 로프(722)의 형태로 인해, 로프 압력은 로프(722)를 통해 훨씬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소형 코드(726)를 평탄 로프 엘라스토머 코팅층(728)에 연합하므로써, 각 코드(726)상에서의 압력은 종래 로프에 비해 상당히 경감된다. 코드 압력은 적어도 n-1/2 으로 감소되며, 여기서 n 은 주어진 부하와 와이어 단면에 대해 평탄 로프에서의 평행 코드수이다. 따라서, 평탄 로프에서의 최대 로프 압력은 유사한 부하 이송능력을 갖는 종래 로프형 엘리베이터에비해 상당히 경감된다. 또한, 효과적인 로프 직경(d)(벤딩 방향으로 측정)은 등가의 부하 인내능력으로 감소되며, D/d 비율의 감소없이도 활차 직경(D)에 대한 보다 작은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활차 직경(D)의 최소화는 비용과 크기를 축소시키고 구동 장치로서 고속 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ue to the shape of the flat rope 722, the rope pressure can be distributed evenly through the rope 722. By associating a plurality of small cords 726 with the flat rope elastomeric coating layer 728, the pressure on each cord 726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conventional ropes. The cord pressure is reduced to at least n -1/2 , where n is the number of parallel cords in the flat rope for a given load and wire cross section. Thus, the maximum rope pressure in flat ropes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conventional rope type elevators with similar load carrying capacity. In addition, the effective rope diameter d (measured in the bending direction) is reduced to equivalent load endurance, and smaller values for the pulley diameter D can be obtained without reducing the D / d ratio. In addition, minimizing the pulley diameter D reduces cost and size and makes it possible to use high speed motors as drive devices.

도7에는 평탄 로프(722)를 수용하는 형태의 견인면(750)을 갖는 견인 활차(72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면(750)은 평탄 로프(722)와 활차(724) 사이의 결합을 안내하고 견인을 제공하기 위해 상보적 형태를 취한다. 견인 활차(724)는 활차(724)의 대향측에 배치된 한쌍의 림(744)과, 인접한 평탄 로프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더(745)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 활차(724)는 림(744)과 디바이더(745) 사이의 공간내에 수용되는 라이너(742)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너(742)는 라이너(742)와 평탄 로프측 사이에 측방향 간극(754)이 형성되도록 결합면(750)을 형성한다. 상기 라이너와 함께 디바이더와 림(744)의 쌍은 느슨한 로프 상태에서 정렬에 관한 조잡한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평탄 로프(722)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라이너없는 견인 활차가 사용될 수도 있다. 7 shows a pulley pulley 724 having a pulling surface 750 shaped to receive a flat rope 722. The engagement surface 750 takes a complementary form to guide the engagement between the flat rope 722 and the pulley 724 and provide traction. Traction pulley 724 includes a pair of rims 744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pulley 724 and one or more dividers 745 disposed between adjacent flat ropes. The pulley pulley 724 includes a liner 742 that is received in the space between the rim 744 and the divider 745. The liner 742 forms a mating surface 750 such that a lateral gap 754 is formed between the liner 742 and the flat rope side. The pair of dividers and rims 744 together with the liner serve to guide the flat rope 722 to prevent coarse problems with alignment in a loose rope state. Although shown as including a liner, a linerless pulley may be used.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구동 활차 및 편향 활차의 위치는 상호변경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16, 116)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장치(32, 132)는 측부, 또는 상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기타 엘리베이터상의 어디라도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232)의 위치도 변화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drive pulley and the deflection pulley can be interchanged. In addition, although the elevator mechanism is shown to be located below the elevator cars 16, 116, these devices 32, 132 may be located on the sides, or on top, and may be located anywhere else on the elevator. Likewise,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mechanism 232 can also be changed.

Claims (11)

빌딩 구조물의 승강로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며, An elevator system placed on the hoistway of a building structure, 상기 승강로 내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An elevator car moving in the hoistway,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견인 및 현수를 제공하기 위한 평탄한 승강 로프와, A flat lifting rope for providing traction and suspension to the elevator car; 상기 평탄한 승강 로프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를 포함하고,An elevator mechanism fixed to the elevator car for driving the flat lifting rope, 상기 평탄한 승강 로프는 공통의 코팅층에 내장된 복수의 부하 이송 코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flat lifting rope includes a plurality of load transfer cords embedded in a common co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하부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mechanism is disposed under an elevator c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mechanism is disposed above the elevator c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측부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mechanism is disposed at an elevator ca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연결되어 승강 로프와 결합하는 구동 활차와, 구동 활차 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1:1 로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배치를 돕기 위해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2. The drivewa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elevator mechanism and coupled with a lifting rope, and a plurality of lifts arranged in the hoist to assist with an elevator system roping arrangement that maintains a drive pulley speed to elevator car speed ratio of 1: 1. An elevator system further comprising two idler pulle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연결되어 승강 로프와 결합되는 구동 활차와, 구동 활차 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2:1 로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배치를 돕기 위해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2. The drive pulle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elevator mechanism and coupled with a lift rope, and a plurality of lifts disposed in the hoist to assist with an elevator system roping arrangement that maintains a drive pulley speed to elevator car speed ratio of 2: 1. An elevator system further comprising two idler pulle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연결되어 승강 로프와 결합되는 구동 활차와, 구동 활차 속도 대 엘리베이터 카 속도비를 3:1 로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배치를 돕기 위해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아이들러 활차를 부가로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2. The drivewa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elevator mechanism and coupled with a lift rope, and a plurality of lifts disposed in the hoist to assist with an elevator system roping arrangement that maintains a drive pulley speed to elevator car speed ratio of 3: 1. An elevator system further comprising two idler pulle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와 교대로 이동하는 평형추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unterweight moving alternately with the elevator car in the hoist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내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유지보수공이 엘리베이터 카의 내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접근 패널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2. 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mechanism further comprises an access panel formed in the elevator car to allow an elevator maintenance worker to access the elevator mechanism from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삭제delete 빌딩 구조물의 승강로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며, An elevator system placed on the hoistway of a building structure, 상기 승강로 내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An elevator car moving in the hoistway, 상기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와 교대로 이동하는 평형추와, A counterweight moving alternately with an elevator car in the hoistway;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와, An elevator mechanism fixed to the elevator car,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 장치에 연결된 구동 활차와, A drive pulley connected to the elevator mechanism; 상기 구동 활차에 인접하여 배치된 편향 활차와, A deflection pulley disposed adjacent to the drive pulley,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승강로의 상부에서 빌딩 구조물에 고정 부착된 제1 아이들러 활차와, A first idler pulley disposed in the hoistway and fixedly attached to the building structure at the top of the hoistway;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승강로의 상부에서 빌딩 구조물에 고정 부착되고 제1 아이들러 활차와 이격된 제2 아이들러 활차와, A second idler pulley disposed in the hoistway and fixedly attached to a building structure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dler pulley;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승강로의 바닥부에서 빌딩 구조물에 고정 부착된 제3 아이들러 활차와, A third idler pulley disposed in the hoistway and fixedly attached to the building structure at the bottom of the hoistway;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승강로의 상부에서 빌딩 구조물에 고정 부착되고 제1 및 제2 아이들러 활차와 이격된 제4 아이들러 활차와, A fourth idler pulley disposed in the hoistway and fixedly attached to the building structure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idler pulleys;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 제1 승강 로프 단부와 평형추에 부착된 제2 승강 로프 단부와 중간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로프를 포함하며, At least one lifting rope having a first lifting rope end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and a second lifting rope end attached to the counterweight and an intermediate portion, 상기 승강 로프의 중간부는 구동 활차 및 편향 활차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승강 로프 단부는 편향 활차와 결합하기 전에 제1 및 제2 아이들러 활차와 결합되고, 상기 승강 로프의 제2 단부는 구동 활차와 결합하기 전에 제3 및 제4 아이들러 활차와 결합되며, 상기 승강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와 평형추를 현수하여 견인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elevating rope engages with the drive pulley and the deflection pulley, the first elevating rope end engages with the first and second idler pulleys before engaging with the deflection pulley, and the second end of the elevating rope engages with the drive pulley. An elevator system coupled with third and fourth idler pulleys prior to engagement, wherein the lifting rope suspends the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to provide traction.
KR1020007009388A 1998-02-26 1999-02-19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KR1006192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31,108 US6401871B2 (en) 1998-02-26 1998-02-26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US09/031,108 1998-02-26
US16378598A 1998-09-30 1998-09-30
US09/163,785 1998-09-30
US09/218,990 US6739433B1 (en) 1998-02-26 1998-12-22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US09/218,990 1998-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288A KR20010041288A (en) 2001-05-15
KR100619203B1 true KR100619203B1 (en) 2006-09-05

Family

ID=2670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388A KR100619203B1 (en) 1998-02-26 1999-02-19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9203B1 (en)
TW (1) TW47489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320B1 (en) * 1999-11-18 2002-06-12 장병우 Elevator
IL180964A (en) 2002-09-05 2010-11-30 Inventio Ag Drive engin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engine
FI124541B (en) * 2011-05-18 2014-10-15 Kone Corp Hissarrangemeng
KR102308534B1 (en) * 2021-06-01 2021-10-0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Rope type self-driving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KR102308532B1 (en) * 2021-06-01 2021-10-05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Rope type self-driving inclined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3120A1 (en) * 1973-06-29 1975-01-23 Rudolf Dr Ing Vogel DRIVING AND / OR REVERSING ROLLERS FOR STEEL BELTS AS A CARRIER FOR TRANSPORT MEANS
WO1997011020A1 (en) * 1995-09-21 1997-03-27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3120A1 (en) * 1973-06-29 1975-01-23 Rudolf Dr Ing Vogel DRIVING AND / OR REVERSING ROLLERS FOR STEEL BELTS AS A CARRIER FOR TRANSPORT MEANS
WO1997011020A1 (en) * 1995-09-21 1997-03-27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4892B (en) 2002-02-01
KR20010041288A (en)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6679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EP1056675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US6193016B1 (en)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EP1446352B1 (en) Lift system
KR100971519B1 (en) Elevator System
KR20010041286A (en)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CN1299333A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KR20080058280A (en)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EP1042209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WO1999043601A2 (en)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KR20040052478A (en)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JP2004001919A (en) Elevator device
KR100870389B1 (en) Elevator device
EP1097101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CN1098981C (en) Rope deflection and suitable synthetic fiber rope and its application
KR100619203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with an elevator machine mounted on an elevator car
US11214465B2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EP1042211A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KR100567688B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EP1911715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hoistway
CN1264740C (en) Elevator device
KR20010041289A (en) Elevator system with overhead drive motor
KR20010041323A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US7874404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tween elevator car and hoistway sidewall
EP1604938A2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