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57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578B1
KR100617578B1 KR1020050054269A KR20050054269A KR100617578B1 KR 100617578 B1 KR100617578 B1 KR 100617578B1 KR 1020050054269 A KR1020050054269 A KR 1020050054269A KR 20050054269 A KR20050054269 A KR 20050054269A KR 100617578 B1 KR100617578 B1 KR 100617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message
addres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57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메시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메시지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메시지처리부와; 상기 메시지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주소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주소록 변경을 수행하는 주소록 처리부와; 상기 주소록 처리부에 의해 변경된 주소록을 저장하는 저장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방법에 있어서,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다중의 주소록을 생성 또는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 주소록에 해당하는 그룹을 생성 또는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주소록, MMS, 다중 주소록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 그 방법{Method for managing and transmitting a multiple address list of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and an apparatus thereof}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의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a)명함전송, (b)SMS에 전화번호 입력 전송).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MMS를 통한 다중 주소록 전송 및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MMS를 통한 주소록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주소록 삭제 SMS 메시지 발송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주소록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RF 송수신부 20: 제어부
30: MMS 메시지 처리부 40: 주소록 처리부
50: 표시부 60: 저장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중의 주소록을 관리하여 사용자의 보완성을 높이고, 다중의 주소록을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중의 주소록을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그룹별 관리를 통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부를 관리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룹간의 사용자 중복은 허용하지 않고 있다. 전화번호 저장 시, 사용자의 그룹을 지정하게 하여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디지털 카메라가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주소록에 추가적으로 사진을 넣을 수 있는 기능이 함께 제공되고 있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의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의 전송은 명함 전송기능을 통하여 자신의 단말기 번호와 관련 내용을 SMS(Short Messaging Service)로 전송하여 상대방 단말기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지거나(도 1의 (a)), SMS 메시지에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여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도 1의 (b)).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는 이동통신 단말기 1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래서 하나의 단말기를 타인이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안 및 편의성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전화번호부 전송 시 여러 그룹의 주소록을 전송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즉, 명함 전송을 통한 전화번호부 송신은 1인 사용자의 번호만 전송할 수 밖에 없고, SMS 메시지 입력을 통한 전송방식은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부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전송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중의 주소록을 관리하여 사용자의 보완성을 높이고, 다중의 주소록을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중의 주소록을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는
메시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메시지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메시지처리부와; 상기 메시지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주소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주소록 변경을 수행하는 주소록 처리부와; 상기 주소록 처리부에 의해 변경된 주소록을 저장 하는 저장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소록 처리부는 다중 주소록의 생성, 주소록 이름변경, 주소록 비교의 기능을 수행함을 그 기술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는 해당 주소와 관련된 사진이나 아바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방법은
다중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다중 주소록을 생성하고,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방법은
주소록 삭제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주소록 삭제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소록 삭제 메시지가 전송이 되면 메시지 수신확인 리포트(REPORT)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수신확인 리포트(REPORT) 수신단계에서 수신확인이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주소록 삭제 메시지의 전송이 중지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주소록 삭제 메시지에 따라 해당 주소록을 삭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소록 삭제 메시지에는 해당 주소록과 관련된 SMS, MMS, 통화목록을 삭제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방법에 있어서,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다중의 주소록을 생성 또는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다중 주소록에 해당하는 그룹을 생성 또는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과정은 해당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이동, 복사,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당 주소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잠금기능을 설정하게 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소에 관한 정보에는 해당 주소와 관련된 사진,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본원 발명에서 상기 메시지는 SMS 또는 MMS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말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A/D converter를 구비하여 출력하는 RF 송수신부(10)와; 상기 RF 송수신부(10)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MMS 메 시지를 추출하고 출력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MMS 메시지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MMS 메시지처리부(30)와; 상기 MMS 메시지처리부(30)로부터 출력된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주소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주소록 변경을 수행하는 주소록 처리부(40)와; 상기 주소록 처리부(40)에 의해 변경된 주소록을 저장하는 저장부(60)로 구성된다.
상기의 제어부(20)는 RF 송수신부(10)로부터 출력된 각종의 정보를 알맞게 추출하고 출력하는 역할은 하나,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MMS 메시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중점으로 언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MMS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선별하여 그에 맞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한다. 예를들어 이미지에 관한 MMS 메시지를 선별하여 추출한다던지 주소록에 관한 MMS 메시지를 선별하여 추출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MMS 메시지처리부(3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MMS 메시지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주소록 처리부(40)에서는 주소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주소록 변경을 수행하여 변경된 주소록을 저장부(6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주소록 처리부(40)는 다중 주소록의 생성, 주소록 이름변경, 주소록 비교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주소록은 표시부(50)에 의해 처리되어 LCD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는 해당 주소와 관련된 사진,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MMS를 통한 다중 주소록 전송 및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MMS 메시지 생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MMS 메시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MMS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S20)와; 상기 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30)와; 상기 MMS 메시지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40)와; 추출된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다중 주소록을 생성하고, 변경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 중 주소록 전송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MMS를 통한 주소록 전송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 MMS 메시지에서 추가메뉴를 이용하여 주소록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주소록, 그룹, 사용자 순으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둔다. 주소록의 전송은 MMS를 통하여 전송되며, 대용량의 전송이 가능토록 한다. 또한 이미지 전송도 가능토록 하여 해당 주소와 관련된 사진이나 아바타를 함께 전송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을 위해서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수신자가 패스워드 확인과정을 거쳐서 주소록 목록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MMS를 통한 주소록 전송 시 포함될 사항은 표 1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명칭 의미
<phonebook> 전화번호부의 시작을 알림
<password> 패스워드 수신자는 이에 대한 패스워드를 입력하여야 주소록을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다.
<wapAdd> 주소록 이름 저장될 주소록 이름
<groupAdd> 그룹 이름 저장될 그룹 이름
<userAdd> 사용자 이름 저장될 사용자 이름
<mp> 휴대폰 번호 저장될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
<op> 사무실 번호 저장될 사용자의 사무실 번호
<hp> 집전화 저장될 사용자의 집전화 번호
<ep> 이메일 주소 저장될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avatar> 아바타 번호 저장될 사용자의 아바타 번호 또는 관련 WAP 어드레스
<img> 사진 저장될 사용자의 이미지
<annotation> 주석 기타 추가적으로 필요한 주석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방법은 단말기 분실을 대비하여 보완관리 차원으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주소록을 삭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주소록 삭제 SMS 메시지 발송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 삭제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사업자에게 전송하면 통신사업자는 통신사 서버에 저장한다(S110, S120). 그러면 상기 통신사업자는 상기 저장된 주소록 삭제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게 된다(S130). 그리고 SMS 수신확인 REPORT의 수신이 확인되면 주소록 삭제 SMS의 전송을 중지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해당 주소록이 삭제된다. 만약 SMS 수신확인 REPORT의 수신확인이 안 된다면 주소록 삭제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이 반복된다(S140, S150, S160).
상기 과정 중 주소록 삭제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사업자에게 전송하는 과정(S110)은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통신사업자에 직접전화를 거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소록 삭제 SMS 메시지에는 해당 주소록과 관련된 SMS, MMS, 통화목록을 삭제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을 대비한 주소록 삭제 SMS 메시지에 포함될 내용은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명칭 의미
Header Binary 주소록 delete를 의미
Name 주소록 이름 삭제할 주소록 이름
Password 사용자지정 패스워드 패스워드
level 보완레벨 0: 주소록만 삭제 1: 해당 주소록과 관련된 SMS, MMS, 통화목록을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소록 관리방법은 기존의 그룹별 관리보다 상위의 개념인 주소록 관리 개념을 적용한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주소록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다중의 주소록을 생성 또는 변경할 수 있는 메뉴로 들어가서 주소록을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주소록 목록에서 해당하는 주소록을 선택하여 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그룹에서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과정에는 해당 사용자의 주소에 관한 정보를 이동, 복사, 삭제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소에 관한 정보에는 해당 사용자의 주소와 관련된 사진,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보안을 위해서 다중의 주소록 중 일부나 전부를 선택하여 잠금기능 설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의 그룹별관리보다 상위의 개념인 다중 주소록의 개념을 도입하여 주소록의 생성, 주소록 이름 변경, 암호 변경, 주소 비교, 주소록 적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 그 방법은 다중의 주소록 관리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주소록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의 보완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중의 주소록을 MMS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메시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메시지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메시지처리부와;
    상기 메시지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주소록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고, 주소록 변경을 수행하는 주소록 처리부와;
    상기 주소록 처리부에 의해 변경된 주소록을 저장하는 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처리부는
    다중 주소록의 생성, 주소록 이름변경, 주소록 비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에 관한 정보는
    해당 주소와 관련된 사진,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4. 다중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의 주소록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주소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다중 주소록을 생성하고,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방법.
  5. 주소록 삭제 메시지를 통신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주소록 삭제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소록 삭제 메시지가 전송이 되면 메시지 수신확인 리포트(REPORT)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수신확인 리포트 수신단계에서 수신확인이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주소록 삭제 메시지의 전송이 중지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주소록 삭제 메시지에 따라 해당 주소록을 삭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삭제 메시지는
    해당 주소록과 관련된 SMS, MMS, 통화목록을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방법.
KR1020050054269A 2005-06-23 2005-06-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그 방법 KR10061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269A KR100617578B1 (ko) 2005-06-23 2005-06-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269A KR100617578B1 (ko) 2005-06-23 2005-06-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578B1 true KR100617578B1 (ko) 2006-09-01

Family

ID=3762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269A KR100617578B1 (ko) 2005-06-23 2005-06-2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5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32608B (zh) 在移动通信中将sms消息转为mms兼容图像文件的方法和装置
US200702579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stations
JP4599306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再発信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移動通信端末機
US200801391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essag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11013A (ko) 메시지 관리방법
US20120009916A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within mobile communities
CN101711476B (zh) 用于过滤蜂窝电话消息的系统和方法
CN107548552A (zh) 使用移动设备处理传真传输
JPWO2006046439A1 (ja) 電子メール配信システム及び電子メール配信方法
JP2006514513A (ja) 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方法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KR2007011393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175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그 방법
JP2006203612A (ja) 携帯電話装置
JP2004320544A (ja)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KR20010098721A (ko) 정보 전달방법
CN100518231C (zh) 一种利用多媒体短信接收传真的方法
JP2007028217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0121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76031B1 (ko) 통화중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20061776A (ko)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호 설정에 의해 진술된 질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수집하기 위한 방법
KR1007626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KR100490390B1 (ko) 컴퓨터의 화면보호기 동작 중 메시지 전달 방법
KR100675154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단문메시지의 전송시 수신자 확인방법
KR10078406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폰 메뉴 및 폰트 변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