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813B1 -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813B1
KR100613813B1 KR1020017000108A KR20017000108A KR100613813B1 KR 100613813 B1 KR100613813 B1 KR 100613813B1 KR 1020017000108 A KR1020017000108 A KR 1020017000108A KR 20017000108 A KR20017000108 A KR 20017000108A KR 100613813 B1 KR100613813 B1 KR 100613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ound
body case
vibration generat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739A (ko
Inventor
마에다미쯔히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076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37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076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37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077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1468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polarised arm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체 케이스(10) 내에 음향 발생 유닛(9)과 진동 발생 유닛(6)을 배치한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0)의 바닥부에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어야 할 바닥판(12)이 부착되는 동시에, 본체 케이스(10)의 단부에는 음향 발생 유닛(9) 또는 진동 발생 유닛(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입력해야 할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부착되고, 상기 중계 단자(13)(14)의 하단부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어야 할 접합부(13a)(14a)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2)의 이면(12e)과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13f)(14f)은 동일 평면상에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의 표면 실제 장착이 가능해진다.
진동 발생 유닛, 음향 발생 유닛, 본체 케이스, 중계 단자, 바닥판, 접합부

Description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SOUND/VIBRATION GENERATOR}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호출기 등의 휴대용 통신 기기, 혹은 손목 시계, 완구 등의 소형 기기에 내장하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착신을 음향에 의해 알리기 위한 음향 발생 장치(링거)가 내장되는 동시에, 착신을 전화기 본체의 진동에 의해 알리기 위한 진동 발생 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상황에 따라서 양자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와 같은 소형 기기에는 음향 발생 장치와 진동 발생 장치의 양자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에 충분한 여유가 없어 이들 양 장치의 장비에 의해 기기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출원인은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 발생 장치와 진동 발생 장치의 기능을 더불어 갖는 콤팩트한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평10-14194호).
상기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는 수지제의 케이싱(110) 내에 2개의 진동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110)은 제1 진동계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110a)와, 제2 진동계를 지지하는 상부 케이스(110b)로 구성되고, 상부 케이스(110b)의 중앙 부에는 방음구(111)가 개방 설치되어 있다.
제1 진동계는 복수의 스파이럴형 슬릿을 개방 설치한 제1 진동판(112)과 영구 자석(113)을 구비한 제1 진동 부재(116)로 구성되고, 제1 진동판(112)의 내주측에 제1 진동 부재(116)가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고, 제1 진동판(112)의 외주측이 하부 케이스(110a)에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로써, 제1 진동계는 하부 케이스(110a)에 대해 상하로 진동 가능해진다. 제1 진동 부재(116)에는 영구 자석(113)의 상하에, 각각 상부 요우크(114)와 하부 요우크(115)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영구 자석(113)은 상면이 N극, 하면이 S극이 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상부 요우크(114)는 내주에 수직벽을 갖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하부 요우크(115)는 중앙에 융기부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요우크(114)의 수직벽과 하부 요우크(115)의 중앙 융기부 사이에는 제2 진동 부재(117)가 상하 이동 가능해지는 자기 갭(1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진동계는 제2 진동판(122)과 코일(118)을 구비한 제2 진동 부재(117)로 구성되고, 제2 진동판(122)의 내주측에 제2 진동 부재(117)가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되고, 제2 진동판(122)의 외주측이 상부 케이스(110b)에 접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로써, 제2 진동계는 상부 케이스(110b)에 대해 상하로 진동 가능해진다. 제2 진동 부재(117)의 코일(118)은 제2 진동판(122)의 이면에 원통형의 보빈(119)을 거쳐서 지지되어 있고, 코일(118) 및 보빈(119)은 제1 진동 부재(116)의 자기 갭(121) 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진동계는 가청대(可聽帶)의 고유 진동수(예를 들어 2kHz 정도)를 갖는 데 반해, 상기 제1 진동계는 제2 진동계보다도 낮은 고유 진동수(예를 들어 100Hz 정도)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코일(118)의 한쌍의 자유단부(123)(123)에 구동 회로(도시 생략)를 접속하여 코일(118)에 제2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를 갖는 구동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제2 진동계가 공진하여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해, 코일(118)에 제1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를 갖는 구동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제1 진동계가 공진하여 체감 가능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실제 장착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케이싱(110)의 단부에 한쌍의 단자 핀을 케이싱(11O)의 축 방향으로 관통시켜 부착하고, 상기 단자 핀의 상단부에 코일(118)의 한쌍의 자유단부를 접속하고, 상기 단자 핀의 하단부를 프린트 배선 기판에 개방 설치한 관통 구멍에 관통시켜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동시에, 프린트 배선 기판의 이면에서 단자 핀의 하단부를 프린트 배선 기판에 납땜하여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방법, 즉 디핑에 의한 실제 장착 방법의 채용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디핑에 의한 실제 장착 방법에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단자 핀의 하단부와 납땜부가 돌출하게 되어 프린트 배선 기판 어셈블리의 두께가 커져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탑재해야 할 휴대 전화기 등의 기기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디핑은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설치하는 조립 공정과 납땜 리플로우 공정으로 나눌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해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표면 실제 장착할 수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문제점을 단번에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휴대 전화기 등의 소형 기기에 내장하는 경우, 케이싱(11O)의 이면을 프린트 배선 기판 등의 표면에 고정할 필요가 있으나, 특히 제1 진동계는 진동 질량이 커, 공진에 의해 큰 진동력이 발생하므로, 케이싱(110), 특히 지지부가 되는 하부 케이스(110a)에는 충분한 강성이 필요하다. 또한, 진동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제1 진동판(112)의 외주부와 하부 케이스(110a)의 접착 고정부에는 가진력을 받아내기 위해, 충분한 접착 강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는 하부 케이스(110a)에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1 진동판(112)의 외주부와 하부 케이스(110a)의 접착 고정부에 충분한 접착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반드시 유효한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장치 본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진동의 발생에 수반하는 가진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갖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진동계의 진동판(112)은 큰 진폭을 발생시키도록 복수의 스파이럴형 슬릿을 개방 설치한 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낙하 등에 의해 충격력을 받으면, 제1 진동계가 과도하게 변위하게 되어 진동판 자체가 과대한 변위에 의해 손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상부 요우크(114)나 하부 요우크(115)가 제2 진동계의 진동판(12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2 진동판(122)도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다. 진동판(112)(122)은 비교적 강도가 낮으므로, 상술한 손상에 의해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될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충격력을 받았다고 해도, 진동판 등의 구성 부품이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는 본체 케이스(10) 내에, 본체 케이스(10)의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발생 유닛(9)과, 본체 케이스(10)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 유닛(6)을 배치한 것이다.
본체 케이스(1O)의 바닥부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어야 할 바닥판(12)이 부착되는 동시에, 본체 케이스(10)의 단부에는 음향 발생 유닛(9) 또는 진동 발생 유닛(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입력해야 할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부착되고, 상기 중계 단자(13)(14)의 하단부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어야 할 접합부(13a)(14a)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2)의 이면과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발생 유닛(6)은 본체 케이스(1O)에 제1 진동판(1)을 거쳐서 마그넷 장치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한편, 음향 발생 유닛(9)은 본체 케이스(10)에 제2 진동판(8)을 거쳐서 코일(7)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그넷 장치에는 음향 발생 유닛(9)의 코일(7)을 수용하는 자기 갭이 형성되고, 코일(7)의 양 자유단부(7b)(7b)가 한쌍의 중계 단자(13)(1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설치해야 할 프린트 배선 기판(21)의 표면에는, 미리 바닥판(12)을 납땜 접합하기 위한 랜드와,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를 납땜 접합하기 위한 랜드가 형성되고, 또한 각랜드를 피복하여, 납땜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21) 표면의 소정 위치에 본 발명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설치한다.
여기에서, 바닥판(12)의 이면과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접합부는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의 랜드와 밀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리플로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바닥판(12) 및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바닥판(12)이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됨으로써,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가 프린트 배선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됨으로써,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가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기 접속되게 된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제1 진동판(1)은 원판형을 형성하고, 그 외주부(1e)가 본체 케이스(10)와 바닥판(12) 사이에 협지되어 본체 케이스(10)에 고정된다.
상기 구체적 구성의 채용에 의해, 제1 진동판(1)을 본체 케이스(10)에 고정 하기 위한 부재가 바닥판(12)에 의해 겸용되어 부품 갯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0)는 원통형을 형성하고, 양 중계 단자(13)(14)는 본체 케이스(10)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홀더(1Oi)를 관통하여 본체 케이스(10)에 부착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스(10)가 원통형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에 필연적으로 무효 공간이 형성되게 되지만, 상기 무효 공간에는 홀더(10i) 및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배치되게 되므로, 무효 공간이 활용되고, 나아가서는 기판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각 중계 단자(13)(14)는 홀더(10i)에 대한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 판의 단자 본체(13b)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본체(13b)의 양단부면에 상기 관통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쐐기부(13c)(1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각 중계 단자(13)(14)를 홀더(10i)에 관통시켜 조립함으로써, 쐐기부(13c)(13d)가 홀더(10i)에 물려 들어가 쐐기 효과를 발휘한다. 이 결과, 중계 단자(13)(14)는 홀더(10i)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쉽게 위치가 어긋날 우려는 없다.
또, 각 중계 단자(13)(14)의 상단부에는 코일(7)의 자유단부(7b)(7b)를 접속하기 위한 묶음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코일(7)의 자유단부(7b)(7b)를 양 중계 단자(13)(14)에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중계 단자 자체의 빠짐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양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바닥판(12)의 이면보다도, 약간 프린트 배선 기판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표면 실제 장착시에,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설치하고, 바닥판(12)과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를 각각의 납땜 페이스트층에 압박하여 리플로우 처리를 실시하면, 양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가 프린트 배선 기판의 랜드에 강하게 압박되어 확실한 전기 접속 상태가 실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1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따르면, 장치를 프린트 배선 기판에 표면 실제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탑재해야 할 휴대 전화기 등의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게다가,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설치하는 공정과 땜납 리플로우 공정을 나눌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의 삭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는 원통형을 나타내는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부에 원판형의 바닥판(12)을 부착하여 케이싱이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케이싱의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발생 유닛(9)과, 케이싱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 유닛(6)을 배치하고 있다.
진동 발생 유닛을 구성하는 진동판(1)은 외주부(1e)가 본체 케이스(1O)와 바닥판(12) 사이에 협지되어 본체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2)은 판금제로써, 원형의 트레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부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플랜지부(12i)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12)의 플랜지부(12i)와 본체 케이스(10)의 대향면 사이에 진동판(1)의 외주부(1e)가 협지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는 바닥판(12)이 트레이형 본체에 플랜지부(12i)를 돌출 설치한 강성이 높은 단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바닥판(12)을 프린트 배선 기판 등의 표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10), 음향 발생 유닛(9) 및 진동 발생 유닛(6)을 포함하는 장치 본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한다.
또한, 바닥판(12)은 플랜지부(12i)의 형성에 의해, 본체 케이스(10)와의 사이에서 진동판(1)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 면적의 증대가 도모되고 있으므로, 진동판(1)은 플랜지부(12i)와 본체 케이스(10)의 대향면 사이에 견고하게 협지된다. 따라서, 진동의 발생에 수반하여 큰 가진력(加振力)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를 받아낼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바닥판(12)의 상기 트레이형 본체는 원판부(12g)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연에 축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원통부(12h)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12h)의 축 방향의 단부에 상기 플랜지부(12i)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닥판(12)은 상기 플랜지부(21i)의 외주 단부면(12a)이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0c)에 대해 압입되는 동시에 접착되어 본체 케이스(10)에 고정 되어 있다.
이 결과, 바닥판(12)은 판 두께가 작은 경우라도, 가급적으로 큰 힘에 의해 본체 케이스(1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바닥판(12)의 원통부(12h)의 외주면(12c)과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0e) 사이에는 링형의 간극(12d)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12d)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접착제의 접합력에 의해 바닥판(12)이 더욱 높은 강도로 본체 케이스(1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바닥판(12)은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 가능한 재질 및 형상을 갖고, 본체 케이스(10)의 단부에는 음향 발생 유닛(9) 또는 진동 발생 유닛(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입력해야 할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부착되고, 상기 중계 단자(13)(14)의 하단부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땜납 접합되어야 할 접합부(13a)(14a)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2)의 이면과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을 갖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프린트 배선 기판에 표면 실제 장착하는 경우, 프린트 배선 기판에는, 미리 바닥판(12)을 납땜 접합하기 위한 랜드와,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를 납땜 접합하기 위한 랜드가 형성되고, 또한 각 랜드를 피복하여 납땜 페이스트가 도포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닥판(12)의 이면과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들 이면은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의 랜드와 밀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리플로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바닥판(12) 및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바닥판(12)이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됨으 로써,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가 프린트 배선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프린트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됨으로써,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가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기 접속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2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따르면, 트레이형 본체에 플랜지부를 돌출 설치한 바닥판의 단면 형상에 의해 장치 본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진동의 발생에 수반하는 가진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3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는, 케이싱 내에 케이싱의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발생 유닛(9)과, 케이싱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 유닛(6)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며, 케이싱에는 진동 발생 유닛(6)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발생 유닛(6)은 본체 케이스(1O)에 제1 진동판(1)을 거쳐서 마그넷 장치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한편, 음향 발생 유닛(9)은 본체 케이스(10)에 제2 진동판(8)을 거쳐서 코일(7)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그넷 장치에는 음향 발생 유닛(9)의 코일(7)을 수용하는 자기 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는 가령 장치가 충격력을 받아 진동 발생 유닛(6)이 크게 변위하지 않는다고 해도, 그 변위의 도중에서 진동 발생 유닛(6)이 스톱퍼 수단에 접촉하여 변위가 규제된다.
따라서, 진동 발생 유닛(6)의 제1 진동판(1) 자체가 과대한 변위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마그넷 장치가 제2 진동판(8)과 직접적으로 충 돌하는 일이 저지되어 제2 진동판(8)의 손상도 방지된다. 또한, 코일(7)의 단부면(7c)과 하부 요크(2)의 바닥면(2b)의 충돌이 저지되므로, 코일(7)이 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스톱퍼 수단은 진동 발생 유닛(6)의 마그넷 장치가 접촉해야 할 상부 스톱퍼(10h)와 하부 스톱퍼(12f)로 구성된다. 이로써, 어떠한 변위 방향에 대해서도 안전이 도모된다.
또한, 상부 스톱퍼(10h)는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에 돌출 설치되고, 하부 스톱퍼(12f)는 바닥판(12)의 표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따르면, 양 스톱퍼(10h)(12f)를 각각 본체 케이스(10) 및 바닥판(12)과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갯수가 증가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3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따르면, 낙하 등에 의해 충격력을 받았다고 해도, 진동 발생 유닛(6)의 과도한 변위가 규제되므로, 진동판(1)(8)이나 코일(7) 등의 구성 부품이 손상될 우려는 없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2는 진동 발생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진동판의 사시도이다.
도4는 진동 발생 유닛의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5는 음향 발생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음향 발생 유닛의 본체 케이스에 대한 부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 다.
도7은 진동 발생 유닛의 본체 케이스에 대한 부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중계 단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9는 중계 단자의 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0은 중계 단자에 코일의 자유단부를 묶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12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를 표면 실제 장착하기 위한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3은 종래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14는 상기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의 착신 알림용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실시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에 있어서는 양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을 형성하는 수지제의 본체 케이스(10)와, 본체 케이스(10)의 상방 개구부에 부착된 원반형 수지제의 커버(11)와, 본체 케이스(1O)의 하방 개구부에 부착된 원반형 금속제의 바닥판(12)에 의해, 편평한 케이싱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 내에는 가청대의 고유 진동수(예를 들어 2.5kHz)를 갖고, 상기 고유 진동수로 구동되어 음파를 발생하는 음향 발생 유닛(9)과, 음향 발생 유닛(9)의 고유 진동수보다도 낮은 고유 진동수(예를 들어 130Hz)를 갖고, 상기 고유 진동수로 구동되어 케이싱을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 유닛(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0)의 단부에는 홀더(1Oi)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홀더(10i)에 음향 발생 유닛(9) 또는 진동 발생 유닛(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입력해야 할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의 더욱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그 조립 공정과 함께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2는 진동 발생 유닛(6)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링형의 제1 진동판(1)에는 동심 위치에 순수 철로 된 하부 요우크(2)가 접착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1 진동판(1)의 중앙 개구(1a)와 하부 요우크(2)의 이면에 돌출 설치된 볼록부(2a)가 서로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정확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축 방향으로 단극 착자된 원판형의 마그넷(3)을 하부 요우크(2)의 바닥면(2b)의 동심 위치에 고정한다. 고정은 마그넷(3)의 흡인력만으로 행해지고, 지그(도시 생략)를 이용함으로써, 동심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원판형을 형성하는 순수 철로 된 상부 요우크(4)가 마그넷(3)의 상면에, 마찬가지로 지그를 이용하여 동심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마그넷(3)의 흡인력에 의해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텅스텐 등의 비중이 큰 재료로 이루어지는 링형의 부재(5)가 하부 요우크(2)의 외주면(2c)에 끼워 맞추어져 접착 고정된다. 여기에서 접착제로서 는 자외선 및 열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계 혐기성의 접착제를 채용하는 것이, 조립성 및 리플로우시의 열에 견디는 내열성의 점에서 적절하다.
이렇게 하여 진동 발생 유닛(6)이 구성되게 된다.
또, 제1 진동판(1)은 외경 14 ㎜ 정도, 두께 0.12 ㎜ 정도의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판 스프링으로써,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요우크(2)의 볼록부(2a)가 끼워 맞추어야 할 직경 8 ㎜ 정도의 중앙 개구(1a)를 포위하여 띠 폭 3 ㎜ 정도의 스파이럴형의 3조의 스프링부(1b)(1c)(1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케이스(10)와의 사이에서 제1 진동판(1)를 협지해야 할 외주부(1e)가 고정 단부가 되며, 하부 요우크(2), 마그넷(3), 상부 요우크(4) 및 부재(5)가 일체의 마그넷 장치로서 축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도5는 음향 발생 유닛(9)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원통형으로 권취된 코일(7)의 한쪽 단부면(7a)에, 제2 진동판(8)이 지그(도시 생략)에 의해 동심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접착 고정된다. 여기에서, 코일(7)의 한쌍의 자유단부(7b)(7b)는 제2 진동판(8)에 개방 설치된 긴 구멍(8a)을 관통하여, 그 선단부가 제2 진동판(8)의 표면(8b)으로 돌출한다.
또한, 제2 진동판(8)은 직경 14 ㎜ 정도, 두께 0.04 ㎜ 정도의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판 스프링으로써, 본체 케이스(10)와 커버(11) 사이에 협지되어야 할 외주부(8c)가 고정 단부가 되어 중앙부(8d)가 축 방향으로 진동한다.
다음에, 도6을 이용하여 음향 발생 유닛(9)의 본체 케이스(10)에 대한 부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 케이스(10)는 PPS, LCP 등의 리플로우시의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수지재는 금속에 비해 접착성이 낮으므로, 본체 케이스(10)에는 미리 경화 촉진제를 도포해 둔다.
제2 진동판(8)은 그 외주부(8c)가 본체 케이스(10)의 내주 단차부(1Oa)에 면 접촉되어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2 진동판(8)의 돌기부(8e)가 케이스의 절결부(10b)와 끼워 맞추어져 제2 진동판(8)의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외주 단부면(8f)이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0c)과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제2 진동판(8)이 본체 케이스(10)와 동심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코일(7)의 자유단부(7b)(7b)는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의 절결부(1Ob)를 향해 절곡된다.
그 후, PPS, LCP 등의 수지에 의해 성형된 커버(11)가 제2 진동판(8)의 상면을 씌워 본체 케이스(10)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커버(11)의 돌기(11a)가 본체 케이스(1O)의 절결부(1Ob)와 끼워 맞추어져, 커버(11)의 주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외주면(11b)이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0c)과 가벼운 압입 상태에서 끼워 맞추어져, 동심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접착 고정된다. 접착제는 상기 경화 촉진제의 작용에 의해, 수분 이내에 초기 경화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버(11)는 도1에 도시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면 외주부(11d)가 제2 진동판(8)의 상면 외주부(8g)와 면 접촉하고, 본체 케이스(10)의 내주 단차부(10a)와의 사이에서, 제2 진동판(8)의 외주부를 협지한다.
다음에, 도7을 이용하여 진동 발생 유닛(6)의 본체 케이스(10)에 대한 부착에 대해 설명한다.
음향 발생 유닛(9)이 부착된 본체 케이스(10)를 뒤집어 상기 본체 케이스(10)에 진동 발생 유닛(6) 및 바닥판(12)을 부착한다. 또한, 바닥판(12)은 두께 0.2 내지 0.3 ㎜ 정도의 얇은 양은제 판금으로 이루어지며, 원판부(12g)와 원판부의 외주연에 축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원통부(12h)와, 상기 원통부의 축 방향의 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플랜지부(12i)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바닥판(12)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은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단면 형상이 되어, 후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납땜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10), 진동 발생 유닛(6) 및 음향 발생 유닛(9)을 포함하는 장치 본체를 충분한 강도로 지지한다.
진동 발생 유닛(6)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진동판(1)이 상부가 되는 방향에서, 외주부(1e)가 본체 케이스(10)의 다른쪽 내주 단차부(10d)와 면 접촉되어, 접착 고정된다. 여기에서, 제1 진동판(1)의 외주 단부면(1f)이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Oe)에 가벼운 압입 상태로 끼워 맞추어져 동심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 후, 바닥판(12)이 제1 진동판(1)의 하면(도면에서는 상면)에 고정된다. 바닥판(12)은 플랜지부(12i)의 외주 단부면(12a)이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Oe)과 가벼운 압입 상태로 끼워 맞추어져 동심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접착 고정된다.
바닥판(12)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 상면(12b)이 제1 진동판(1)의 이면 외주부(1g)와 면 접촉하고, 본체 케이스(10)의 내주 단차부(10d) 사이에서 제1 진동판(1)의 외주부를 협지한다.
또, 바닥판(12)의 외주면(12c)은 플랜지부 외주 단부면(12a)과 비교하여, 반경이 0.05 내지 0.2 ㎜ 정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우 판 두께가 작은 판금에 교축 가공을 실시한 후, 펀칭 가공을 실시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복잡한 형상으로 정밀도 좋게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플랜지부 외주 단부면(12a)에 대해서는 펀칭 가공에 의해 높은 정밀도로 그 직경을 마무리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가벼운 압입 상태에서의 끼워 맞춤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펀칭 가공 전의 교축 가공에 있어서는 플랜지부 외경을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본체 케이스(10)와의 사이에서 제1 진동판(1)을 협지해야 할 플랜지부 상면(12b)은 매우 편평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단, 바닥판(12)은 박판이므로,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과의 접착면으로서는 도1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 외주 단부면(12a), 즉 박판의 두께(H)로 결정되는 약간의 폭 영역밖에 확보할 수 없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 강도가 부족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바닥판(12)의 외주면(12c)과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0e) 사이에 형성되는 링형의 간극(12d)에, 상술한 아크릴계 혐기성의 접착제를 충전한다. 상기 접착제는 500cp 정도의 점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접착층의 두께로서 0.1 ㎜ 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충분히 높은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접착제의 충전 후, 노내에서 자외선의 조사 및 가열을 실시함으로써, 미경화 의 접착제를 완전히 경화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바닥판(12)은 본체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바닥판(12)에 있어서는 플랜지부(12i)의 형성에 의해 본체 케이스(10)와의 사이에서 제1 진동판(1)을 협지하기 위한 접촉 면적의 증대가 도모되고 있으므로, 제1 진동판(1)을 충분한 접착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8을 이용하여 한쌍의 중계 단자(13)(14)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의 중계 단자(13)(14)는 모두 양은제의 판금으로 이루어지며, 형상은 서로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어, 기본적으로는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한쪽의 중계 단자(1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중계 단자(13)는 띠형상 판의 단자 본체(13b)와, 단자 본체(13b)의 하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접합부(13a)로 구성되고, 접합부(13a)의 이면이 리플로우 공정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에 납땜된다. 단자 본체(13b)의 상단부에는 코일 자유단부을 묶어 접속하기 위한 묶음부(13e)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 본체(13b)의 양 단부면에는 0.1 ㎜ 정도의 높이를 갖는 쐐기부(13c)(13d)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한쌍의 중계 단자(13)(14)를 부착하기 위한 홀더(10i)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7에는 한쪽의 중계 단자(13)만을 도시하고, 다른쪽의 중계 단자(14)는 도시생략하고 있다.
홀더(10i)에는 한쌍의 각형 구멍(1Of)(10g)이 수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각형 구멍(1Of)(10g)에 한쌍의 중계 단자(13)(14)를 삽입한다. 이 때,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그(30)를 이용하여, 중계 단자(13)(14)의 이면(13f)(14f)이 바닥판(12)의 이면(12e)보다도 약 0.05 ㎜만큼 낮아지도록, 중계 단자(13)(14)의 삽입 깊이를 규정하여 위치 결정을 행한다. 여기에서, 홀더(10i) 내에 삽입된 중계 단자(13)(14)는 단자 본체(13b)의 양측부에 돌출 설치된 쐐기부(13c)(13d)의 쐐기 효과에 의해, 홀더(10i) 내로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쉽게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묶음부(13e)(14e)에는 상기 코일(7)의 자유단부(7b)(7b)를 묶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중계 단자(13)(14)의 빠짐 방지가 실시된다.
상기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의 각 구성 부품의 위치 관계는 도1에 도시한 대로이며, 코일(7)은 하부 요우크(2)의 내주면(2d)과 상부 요우크(4)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갭(자계) 중에 위치하므로, 코일(7)에 교번 전류를 흘림으로써, 축 방향의 교번 전자력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진동 발생 유닛(6)의 고유 진동수(약 130Hz)에 일치한 주파수의 교번 전류를 흘림으로써, 진동 발생 유닛(6)이 축 방향으로 진동하여 케이싱을 진동시켜 착신을 알린다. 또, 음향 발생 유닛(9)의 고유 진동수(약 2.5kHz)에 일치하는 주파수의 교번 전류를 흘림으로써, 음향 발생 유닛(9)이 축 방향으로 진동하여, 커버(11)의 방음구(11c)부터 음향을 방출하여 착신을 통지한다.
다음에,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를 낙하시켰을 때 등에 받는 충격력에 대 한 안전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진동판(1)은 큰 진폭을 발생시키기 위해 스파이럴형 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격력에 대한 강도가 충분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발생 유닛(6)의 상하에 각각 스톱퍼를 설치하여 진동 발생 유닛(6)의 변위를 규제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에는 진동 발생 유닛(6)의 변위의 상한을 규제해야 할 상부 스톱퍼(1Oh)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충격력을 받아 진동 발생 유닛(6)이 상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변위하려고 할 때, 그 변위의 도중에서 부재(5)의 외주 단차부(5a)가 상부 스톱퍼(10h)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위가 저지된다. 따라서, 제1 진동판(1) 자체가 과대한 변위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상부 요우크(4), 하부 요우크(2) 혹은 부재(5)가 제2 진동판(8)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일이 저지되어, 제2 진동판(8)의 손상도 방지된다. 또한, 코일(7)의 단부면(7c)과 하부 요우크(2)의 바닥면(2b)의 충돌이 저지되므로, 코일(7)이 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또한, 바닥판(12)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약간의 단차를 갖는 하부 스톱퍼(12f)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진동 발생 유닛(6)이 하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변위하려고 할 때, 그 변위의 도중에서 하부 요우크(2)의 볼록부(2a)가 하부 스톱퍼(12f)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위가 저지된다. 따라서, 제1 진동판(1)이 과대한 변위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마지막으로, 도11 및 도12를 이용하여 상기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의 프린트 배선 기판으로의 표면 실제 장착에 대해 설명한다.
도12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21)의 표면에는, 미리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의 바닥판(12)을 납땜 접합하기 위한 랜드(21a)가 형성되는 동시에,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를 납땜 접합하기 위한 랜드(21b, 2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실제 장착시에는 각 랜드를 피복하여 납땜 페이스트(도시 생략)가 도포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21)의 표면에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를 설치한다.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0i) 및 한쌍의 중계 단자(13)(14)는 프린트 배선 기판(21)의 무효 공간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기판 면적의 유효 활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리플로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납땜 페이스트를 용융하게 해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를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에 납땜한다.
이 결과, 바닥판(12)은 장치 본체의 크기에 따른 넓은 면적으로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에 접합되어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를 충분한 접합력으로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에 고정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 단자(13)(14)의 이면(13f)(14f)이 바닥판(12)의 이면(12e)보다도 약간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중계 단자 이면(13f)(14f)은 단자용 랜드(21b)(21c)에 강하게 밀착하여, 확실하면서 또한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실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에 따르면, 상기 장치를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에 표면 실제 장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치를 탑재해야 할 휴대 전화기 등의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린트 배선 기판(21)에는 관통 구멍을 개방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선 패턴을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어, 이에 의해 더욱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린트 배선 기판(21) 상에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20)를 설치하여 리플로우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은 제1 공정에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진동판(1)을 본체 케이스(10)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바닥판(12)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부품 갯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그리고, 중계 단자(13)(13)를 부착하기 위한 홀더(10i)가 본체 케이스(1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별개의 부품으로서의 홀더가 불필요해져 부품 갯수의 삭감이 도모된다.
게다가 또한, 안전 기구로서의 상부 스톱퍼(10h) 및 하부 스톱퍼(12f)가 각각 본체 케이스(10) 및 바닥판(1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안전 기구의 장비에 의해 부품 갯수가 증가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착신 알림용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한정되 지 않으며, 그 밖의 소형 기기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시각 알림용의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9)

  1. 본체 케이스(10) 내에, 본체 케이스(10)의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발생 유닛(9)과, 본체 케이스(10)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 유닛(6)을 배치한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이며, 본체 케이스(10)의 바닥부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어야 할 바닥판(12)이 부착되는 동시에, 본체 케이스(10)의 단부에는 음향 발생 유닛(9) 또는 진동 발생 유닛(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입력해야 할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부착되고, 상기 중계 단자(13)(14)의 하단부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어야 할 접합부(13a)(14a)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2)의 이면과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프린트 배선 기판(21)에 표면 실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진동 발생 유닛(6)은 본체 케이스(10)에 제1 진동판(1)을 거쳐서 마그넷 장치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한편, 음향 발생 유닛(9)은 본체 케이스(10)에 제2 진동판(8)을 거쳐서 코일(7)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그넷 장치에는 음향 발생 유닛(9)의 코일(7)을 수용하는 자기 갭이 형성되고, 코일(7)의 양 자유단부(7b)(7b)가 한쌍의 중계 단자(13)(14)에 접속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진동판(1)은 원판형을 나타내고, 그 외주부(1e)가 본체 케이스(10)와 바닥판(12) 사이에 협지되어, 본체 케이스(1O)에 고정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0)는 원통형을 나타내고, 양 중계 단자(13)(14)는 본체 케이스(10)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된 홀더(10i)를 관통하여 본체 케이스(1O)에 부착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 중계 단자(13)(14)는 홀더(10i)에 대한 관통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 판의 단자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본체의 양 단부면에 상기 관통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쐐기부(13c)(13d)가 형성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중계 단자(13)(14)의 상단부에는 코일(7)의 자유단부(7b)(7b)를 접속하기 위한 묶음부(13e)(14e)가 형성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바닥판(12)의 이면보다도 약간 프린트 배선 기판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원통형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부에 원판형의 바닥판(12)을 부착하여 케이싱이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케이싱의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발생 유닛(9)과, 케이싱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 유닛(6)을 배치하여 형성되며, 진동 발생 유닛(6)을 구성하는 진동판(1)은 외주부(1e)가 본체 케이스(10)와 바닥판(12) 사이에 협지되어, 본체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12)은 판금제로서, 원형의 트레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부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플랜지부(12i)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12)의 플랜지부(12i)와 본체 케이스(10)의 대향면 사이에, 진동판(1)의 외주부(1e)가 협지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형 본체가 원판부(12g)와 상기 원판부의 외주연에 축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원통부(12h)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12h)의 축 방향의 단부에 상기 플랜지부(12i)가 돌출되고, 플랜지부(12i)의 외주 단부면(12a)이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0e)에 대해 압입되고, 바닥판(12)의 원통부(12h)의 외주면(12c)과 본체 케이스(10)의 내주면(10e) 사이에는 링형의 간극(12d)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12d)에 접착제가 충전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12. 원통형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0)의 개구부에 원판형의 바닥판(12)을 부착하여 케이싱이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케이싱의 외부를 향해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 발생 유닛(9)과, 케이싱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 유닛(6)을 배치하여 형성되며, 진동 발생 유닛(6)을 구성하는 진동판(1)은 외주부(1e)가 본체 케이스(10)와 바닥판(12) 사이에 협지되어, 본체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12)은 판금제로서, 원형의 트레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부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플랜지부(12i)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12)의 플랜지부(12i)와 본체 케이스(10)의 대향면 사이에, 진동판(1)의 외주부(1e)가 협지되어 있으며, 바닥판(12)은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 가능한 재질 및 형상을 갖고, 본체 케이스(10)의 단부에는 음향 발생 유닛(9) 또는 진동 발생 유닛(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입력해야 할 한쌍의 중계 단자(13)(14)가 부착되고, 상기 중계 단자(13)(14)의 하단부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랜드에 납땜 접합되어야 할 접합부(13a)(14a)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2)의 이면과 한쌍의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동일 평면 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프린트 배선 기판(21)에 표면 실제 장착 가능한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각 중계 단자(13)(14)의 상단부에는 코일(7)의 자유단부(7b)(7b)를 접속하기 위한 묶음부(13e)(14e)가 형성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각 중계 단자(13)(14)의 상단부에는 코일(7)의 자유단부(7b)(7b)를 접속하기 위한 묶음부(13e)(14e)가 형성되어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양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바닥판(12)의 이면보다도 약간 프린트 배선 기판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양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바닥판(12)의 이면보다도 약간 프린트 배선 기판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양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바닥판(12)의 이면보다도 약간 프린트 배선 기판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양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바닥판(12)의 이면보다도 약간 프린트 배선 기판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양 중계 단자(13)(14)의 접합부(13a)(14a)의 이면은 바닥판(12)의 이면보다도 약간 프린트 배선 기판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KR1020017000108A 1998-07-06 1999-07-05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KR100613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076898A JP3363791B2 (ja) 1998-07-06 1998-07-06 音響・振動発生装置
JP98-190768 1998-07-06
JP98-190769 1998-07-06
JP19076998A JP3363792B2 (ja) 1998-07-06 1998-07-06 音響・振動発生装置
JP98-190770 1998-07-06
JP19077098A JP3291468B2 (ja) 1998-07-06 1998-07-06 音響・振動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739A KR20010071739A (ko) 2001-07-31
KR100613813B1 true KR100613813B1 (ko) 2006-08-18

Family

ID=2732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108A KR100613813B1 (ko) 1998-07-06 1999-07-05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90991B1 (ko)
EP (1) EP1096650B1 (ko)
KR (1) KR100613813B1 (ko)
CN (1) CN100380792C (ko)
DE (1) DE69934119T2 (ko)
WO (1) WO2000002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0422A (ja) * 2000-04-21 2001-10-30 Citizen Electronics Co Ltd 多機能変換器とその駆動方法
JP4630957B2 (ja) * 2000-06-16 2011-02-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KR100486080B1 (ko) * 2000-08-08 2005-04-29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유도형 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장착 구조 및 휴대용정보기기
KR100358866B1 (ko) * 2000-09-04 2002-10-31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신호 변환장치
JP4422354B2 (ja) * 2001-02-09 2010-02-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気−機械−音響変換器
JP4377131B2 (ja) 2001-02-26 2009-12-02 ウエタックス株式会社 スピーカ
EP1257147B1 (en) * 2001-05-08 2004-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100419161B1 (ko) * 2001-08-22 2004-02-18 삼성전기주식회사 다기능 액츄에이터
JP4534032B2 (ja) * 2003-06-30 2010-09-01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回路基板実装構造
US20050179523A1 (en) * 2004-02-13 2005-08-18 Chao-Ning Chiang Dual sound coil structure for a sounder device
US7358633B2 (en) * 2004-02-23 2008-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ce frequency
WO2005115047A1 (ja) * 2004-05-20 2005-1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携帯用電子機器
KR100691150B1 (ko) * 2005-02-04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엑츄에이터
JP4592088B2 (ja) * 2005-05-30 2010-12-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振動体
US8074248B2 (en) 2005-07-26 2011-12-06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ntent associated with a source image to a televi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755227B2 (en) * 2005-10-19 2010-07-13 Alps Electric Co., Ltd. Vibration generator
JP4803361B2 (ja) * 2005-12-13 2011-10-26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薄型形状の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7194907A (ja) * 2006-01-19 2007-08-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気振動変換器
TW200746964A (en) 2006-01-27 2007-12-16 Ibiden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JP5089206B2 (ja) * 2006-03-17 2012-12-05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線形振動器
US9355681B2 (en) 2007-01-12 2016-05-31 Activevideo Networks, Inc. MPEG object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PEG objects
US9826197B2 (en) 2007-01-12 2017-11-21 Activevideo Networks, Inc. Providing television broadcasts over a managed network and interactive content over an unmanaged network to a client device
KR101084715B1 (ko) * 2009-05-07 2011-11-22 한국과학기술원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KR101148530B1 (ko) * 2009-09-14 2012-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CN102170604A (zh) * 2010-02-25 2011-08-31 株式会社索尼克世界 单磁铁构造磁路及其声波驱动器及振动型运动装置
WO2011129475A1 (ko) * 2010-04-16 2011-10-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대역폭을 가진 선형 진동기 및 모바일 장치
CN101954537B (zh) * 2010-04-19 2013-07-0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发声器件的焊接方法
AU2011315950B2 (en) 2010-10-14 2015-09-03 Activevideo Networks, Inc. Streaming digital video between video devices using a cable television system
JP5461381B2 (ja) * 2010-12-17 2014-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EP2695388B1 (en) 2011-04-07 2017-06-07 ActiveVideo Networks, Inc. Reduction of latency in video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daptive bit rates
KR20130068262A (ko) * 2011-12-15 2013-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US10409445B2 (en) 2012-01-09 2019-09-10 Activevideo Networks, Inc. Rendering of an interactive lean-backward user interface on a television
KR101309405B1 (ko) * 2012-01-20 2013-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모터
US9800945B2 (en) 2012-04-03 2017-10-24 Activevideo Networks, Inc. Class-based intelligent multiplexing over unmanaged networks
US9123084B2 (en) 2012-04-12 2015-09-01 Activevideo Networks, Inc. Graphical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MPEG objects
JP6036143B2 (ja) * 2012-10-11 2016-11-3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発電装置
US10275128B2 (en) 2013-03-15 2019-04-30 Activevideo Networks, Inc. Multiple-mod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selectable video content
CN103297904B (zh) * 2013-05-18 2015-09-02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双振膜扬声器模组
US9219922B2 (en) 2013-06-06 2015-12-22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loiting scene graph information in construction of an encoded video sequence
US9326047B2 (en) 2013-06-06 2016-04-26 Activevideo Networks, Inc. Overlay rendering of user interface onto source video
US9294785B2 (en) 2013-06-06 2016-03-22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loiting scene graph information in construction of an encoded video sequence
US9788029B2 (en) 2014-04-25 2017-10-10 Activevideo Networks, Inc. Intelligent multiplexing using class-based, multi-dimensioned decision logic for managed networks
US10252295B2 (en) 2014-07-30 2019-04-09 Nidec Sankyo Corporation Linear actuator
CN207251900U (zh) * 2017-04-14 2018-04-1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振动器件和电子设备
JP7137046B2 (ja) * 2017-12-28 2022-09-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ー及び携帯機器
KR102044846B1 (ko) * 2018-02-20 2019-11-14 김동만 스틱형 진동 드라이버
KR102100823B1 (ko) * 2018-04-11 2020-04-21 주식회사 엠플러스 리니어 진동 모터
CN112351376B (zh) * 2020-10-09 2021-10-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发声装置的装配治具以及装配方法、电子设备
CN113394939B (zh) * 2021-07-14 2023-02-28 浙江省东阳市东磁诚基电子有限公司 一种线性振动电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2166A (ja) 1983-11-24 1985-06-18 Toshiba Corp バス接続インタフェイス装置
JP2530518B2 (ja) * 1990-11-16 1996-09-04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円筒コアレス振動モ―タ
JP3061456B2 (ja) 1991-09-13 2000-07-10 株式会社東芝 汚泥濃度測定装置
JP3133792B2 (ja) 1991-09-30 2001-02-13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ウィンド構造
JPH06126577A (ja) 1992-10-13 1994-05-10 Omron Corp 変位発生装置
JP3107118B2 (ja) 1992-10-30 2000-11-06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小型直流モータ
JP3076175B2 (ja) 1993-07-02 2000-08-14 株式会社ナカボーテック 銀・塩化銀照合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62802B2 (ja) * 1994-10-03 1999-03-03 スター精密株式会社 小型発音体
JP3271884B2 (ja) 1995-12-15 2002-04-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US5668423A (en) * 1996-03-21 1997-09-16 You; Dong-Ok Excite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a pager
CA2258762C (en) * 1996-06-21 2002-12-31 Sanyo Electric Co., Ltd. Notifying vibration generator and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wherein the generator is used
JP2877758B2 (ja) * 1996-06-21 1999-03-31 三洋電機株式会社 報知用振動発生装置
JP2786167B2 (ja) * 1996-06-25 1998-08-13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緊急通報システム
JP3589815B2 (ja) * 1996-10-11 2004-11-17 株式会社シチズン電子 表面実装型電磁発音体
JPH10174408A (ja) 1996-12-06 1998-06-26 Seiko Epson Corp 振動装置
JP3179362B2 (ja) * 1997-03-18 2001-06-25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扁平モータと同モータの機器実装給電方法
KR200153423Y1 (ko) * 1997-04-07 1999-08-02 이종배 핸드폰/무선호출기용 진동 및 호출음 발생장치
US6229903B1 (en) * 1999-06-14 2001-05-08 Citizen Electronics Co., Ltd.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90991B1 (en) 2003-07-08
CN1317168A (zh) 2001-10-10
DE69934119T2 (de) 2007-09-20
CN100380792C (zh) 2008-04-09
EP1096650A4 (en) 2003-10-08
KR20010071739A (ko) 2001-07-31
EP1096650B1 (en) 2006-11-22
WO2000002303A1 (fr) 2000-01-13
EP1096650A1 (en) 2001-05-02
DE69934119D1 (de)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813B1 (ko)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US20030227225A1 (en) Vibrating actuator device
US20060072248A1 (en) Electro-dynamic exciter
JP3291468B2 (ja) 音響・振動発生装置
JP3363792B2 (ja) 音響・振動発生装置
US6668067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20120041327A (ko) 보이스 코일 모터
JP4159408B2 (ja) スピーカ
JP3363791B2 (ja) 音響・振動発生装置
US5953437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20040105564A1 (en) Electrical acoustic converter
JP2005136708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747361B2 (ja) 電磁音響変換器
KR100967853B1 (ko) 다기능형 진동 액추에이터의 회로 기판 실장 구조
KR100427101B1 (ko) 다기능형 발음체와 휴대 단말기
JP2002238094A (ja) 圧電音響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185140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H09215091A (ja) 電磁型発音体
JP4011630B2 (ja) 少なくとも1つの屈曲部を有するばね接点を具える電気音響変換器
JP2001121082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H10263476A (ja) 報知用振動発生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86091A (ja) マイクロスピーカ
JPH0937390A (ja) 電磁型発音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9980020514U (ko) 스피커
JP2000509935A (ja) 電気音響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