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453B1 -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453B1
KR100612453B1 KR1020040093737A KR20040093737A KR100612453B1 KR 100612453 B1 KR100612453 B1 KR 100612453B1 KR 1020040093737 A KR1020040093737 A KR 1020040093737A KR 20040093737 A KR20040093737 A KR 20040093737A KR 100612453 B1 KR100612453 B1 KR 10061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terminal
composite terminal
us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893A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4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06Q50/50

Abstract

본 발명은 웹 서버 기능과 SMS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 시스템을 갖추고 외부 인터넷에서 웹 서버로 접속하여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고, 공중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은, 복합 단말이 착/발신하는 단문메시지에 대한 개별 사용자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복합 단말에 구축하는 단계와 개별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복합 단말 제공 웹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hort Messages Using Multi-Sta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이동통신망 단문메시지 센터와의 상호 연동을 위한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SMS 프로토콜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리빙넷에 사용되는 추가식별번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복합 단말에서 제공하는 웹 서버의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말이 제공하는 웹 서버의 단문 메시지 수/발신함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말의 논리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합 단말(SMS 단말기) 101 : 전화 모듈
102 : AP 모듈 103 : 복합 단말 제공 웹 서버
104 : 데이터베이스
110 : 단문 메시지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망
111 : PSTN 112 : KT-IDC
113 : 이동통신망 200 : PSMSC
410 : 착신번호 파라미터 유형 420 : 파라미터 길이
430 : 착신번호 정보
431 : PSMSC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번호
432 : 추가식별번호
710 : 발신 메시지 모듈 710 : 수신 메시지 모듈
본 발명은 웹 서버 기능과 SMS 송수신이 가능한 전화 시스템에서 외부 인터넷에서 웹 서버로 접속하여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고, 공중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로 불리는 SMS(Short Message Service)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간단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일종으로서 현재 그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들어서는 모바일 네트워크 뿐 만 아니라 PSTN/ISDN과 같은 고정 네트워크에서도 SMS를 적용하고 하는 연구가 활발해졌고 그 결과 SMS를 유선망에서 제공하기 위하여 유선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와 SMS 기능을 갖는 단말기간에 요구되는 전송 특성을 규정한 통신 프로토콜인 ES 201 912 가 유럽통신 표준안기구(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Institute)에서 제정된 바 있다.
기존에 SMS(Short Message Service :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는 상술한 SMS 기능을 지원하는 유선 전화를 이용한 방법 외에도, 휴대폰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 인터넷 서버(예를 들어, 각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전송용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과 같이 휴대폰이나 유선전화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입력하기가 힘들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휴대폰 등의 문자 서비스에 별도로 가입해야 하며, 수신된 메시지를 즉석에서 확인하는 것이 불편한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기능과 전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단말 시스템을 도입하고, 사용자 개개인 별로 지정된 ID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한 웹 환경에서 개인별 단문 메시지 수/발신함에 접속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은, 복합 단말이 착/발신하는 단문메시지에 대한 개별 사용자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복합 단말에 구축하는 단계와 개별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복합 단말 제공 웹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 단말은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유선 전화의 기능과 다수의 무선 내선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AP(Access Point)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 단말에는 동일한 시스템 ID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과 무선 노트북이 접속하여, 하나의 내부 무선 셀(Cell)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단말이 제공하는 웹 서버로의 접속은 사용자별 ID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수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수신함과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발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발신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문메시지 발신함은 상기 발신함 표시창에서 유선 단말 또는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휴대용 이동 단말로 단문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합 단말 시스템은, 각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수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수신함과 단문 메시지 발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발신함으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웹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 단말 시스템은, 가입자 번호 하나를 이용해 다수의 사용자가 개인별 단문 메시지 관리함을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단말 시스템에는 동일한 시스템 ID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과 무선 노트북이 접속하여, 하나의 내부 무선 셀(Cell)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크게 세 가지 구성요소가 필요한데, 그 첫 번째는 인터넷과 전화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복합 단말(100), 그 두 번째는 SMS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망(110), 그리고 마지막으로 복합 단말의 웹 서버 기능의 지원이다.
휴대 단말은 무선 환경을 통해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은 다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과 연결되며, 유선망은 댁내에 위치하는 복합단말 시스템(100)과 연동되어 있다. 복합단말 시스템은 PSTN망 뿐 아니라 모뎀 등의 통신 장치를 통해 인터넷 망과도 연결되며, 웹 서버 기능의 제공을 통해 외부 사용자가 복합 단말(100)에 연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AP(Access Point)와 전화 기능이 포함된 복합 단말(100)은, 인터넷과 전화를 연결할 수 있는 셋탑박스(Set-top Box) 또는 복합단말(삼성전자에서 제조/판매하는 OfficeServ SOHO)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복합 단말(100)에는 다수의 무선 단말과 무선 노트북이 접속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수의 무선 단말과 무선 노트북의 시스템 ID를 동일한 값으로 입력하여 하나의 내부 무선 셀(Cell)을 구성할 수 있다.
두 번째 구성요소로, 단문 메시지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망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동통신망은 단문 메시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통신망 중에서도 유선망이 단문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지 특별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유선망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KT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KT 리빙넷 : KT Livingnet)를 들 수 있다. 개인 비밀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입자번호 1개당 최대 10명의 사용자에게 비밀번호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가족 ID를 입력하는 경우 SMS 송신자는 착신 전화번호 뒤에 입력하여야 하며, 수신자는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만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복합단말 시스템의 웹 서버 기능의 지원이다.
즉, 상기 인터넷과 전화 기능을 동시에 포함하는 시스템은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IP를 제공해야 한다. 외부 인터넷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댁내에 위치하는 복합단말 시스템에 접속한 후 개인별로 지원되는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시스템에 접속, 자신의 메시지를 수/발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복합 단말(100)의 대표적인 예로, 오피스서브 소호를 들 수 있다. 오피스서브 소호(OfficeServ SOHO)는 LCD가 달린 키폰 형태의 일종의 복합 단말(100)이며, 공중전화선 2개 회선에 무선 랜(IEEE 802.11b/g)과 유선 랜이 각각 1개 포트씩 달려 있고, 무선 랜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P)를 내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터넷 브라우저와 각종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갖추고 있다. 다시 말해, 소규모 기업 사무실에서 오피스서브 소호 하나로 인터넷 전화, 초고속인터넷, 유/무선 랜 기반의 구내 전화 연결 등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SMS 기능을 지원하는 유선망으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선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KT(Korea Telecom)를 들 수 있다. 이 메시지 서비스는 리빙넷 메시지 서비스라 불리며, 리빙넷의 경우 한 라인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는 10명이다. 최대 사용자의 숫자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10'이라는 숫자는 하나의 가정을 이루는 구성원이 10명을 넘기는 경우가 드문 현실을 감안하여 설정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리빙넷(Livingnet) 메시지 서비스는 PSTN 및 ISDN 가입자 회선에서 SMS 단말기를 사용하여 PSTN/ISDN 가입자 및 이동통신 가입자와의 단문메시지 송수신, 인터넷 사용자와의 E-메일 송수신 및 팩스 메시지 송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CID(Caller-ID Service) 가입자, 비 CID 가입자 및 반전자 교환기 수용 가입자 모두 가능하나 단문메시지 수신시 CID 가입자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 가입자에 의한 off-hook 등의 수동 동작이 필요하다.
도 2는 이동통신망 단문메시지 센터와의 상호 연동과 E-메일 송신, 수신 통보 및 과금을 위한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위한 네트워크는 기존의 유선 및 무선 전화망에 유선망 내부적으로 기존의 공중전화망(PSTN)(111), SMS 단말기(100), 그리고 PSMSC(PSTN Short Message Service Center)(200)가 추가된다. 본 발명에서의 SMS 단말기는 도 1에서 제시한 복합 단말(100)이 될 것이다.
무선 SMS 이용자는 무선을 통해 이동통신망(13)을 거쳐 KT-IDC(Korea Telecom-Internet Data-Center)(112)망에 접속 가능하고, KT-IDC(112)망과 PSTN(111)은 PSMSC(200)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SMS 단말기(100)는 가입자 댁내의 PSTN 또는 ISDN 회선을 통해 접속되어야 하며, PSMSC(200)는 네트워크와 No.7 또는 R2 신호 방식으로 접속된다. 네트워크는 PSMSC(200)의 번호를 CID 기능을 통해 SMS 단말기(200)로 전송하며, SMS 단말기(100)는 이 CID 기능(ISDN은 CLIP 기능)을 통해 PSMSC(200)임을 인식, 자동적으로 off-hook하여 PSMSC(200)에 접속한다.
음성 채널이 연결된 후 SMS 단말기(100)에서 PSMSC(200)로의 메시지 전송, PSMSC(200)에서 SMS 단말기(100)로의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진다. 비 CID 가입자 및 반전자 교환기 수용가입자의 경우에는 가입자의 off-hook을 통해 통화로가 연결된 후 메시지가 전송된다.
도 3은 SMS 프로토콜 모델을 나타내고 있다.
SMS 프로토콜은 도 2와 같이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전달 계층의 3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달 계층은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각종 메시지와 파라미터들을, 데이터링크 계층은 SMS 단말기와 PSMSC 간의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위해 마크 신호, 체크섬(Checksum) 등을 정의하며, 물리 계층은 1200 Baud FSK(Frequency Keying) 변조 방식을 정의한다. 물리 계층의 FSK 신호 규격은 KT의 "발신자정보표시를 위한 PSTN 가입자선에서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 기술 기준"을 준용한다.
PSMSC와 SMS 단말기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망을 통해 NO.7 또는 R2 신호 방식으로 통신한다.
도 4는 리빙넷에 사용되는 추가식별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SMS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 내용을 실어 보내는 SMS 송신 메시지(SMS Send Message)는 착신번호 파라미터, 회신번호 파라미터, SMS 메시지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중 착신번호 파라미터는 SMS 송신 메시지의 필수 구성요소이다.
착신번호 파라미터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신번호 파라미터 유형(410), 파라미터 길이(420), 착신번호 정보(430) 등을 데이터로 포함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하나의 단말을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착신번호 정보(430)에 PSMSC(200)에서 접속을 시도하는 번호(431)에 관한 정보 외에도 추가식별번호(432)가 추가되어야 한다.
즉, 한 회선에 연결된 SMS 단말기(100)를 통해 여러 가입자가 SM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화번호의 뒤에 추가로 한자리를 더 사용하여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추가식별번호(432)이다. 기존 전화번호에 추가식별번호가 추가된 번호는 수신자 번호 및 회신 번호로 지정될 수 있다.
SMS 단말기(100)를 통해서 단문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도2의 PSMSC (200)에 접속하여야 하며 이는 일반적인 음성 통화와 동일하게 PSMSC(200)의 번호를 다이얼링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SMS 단말기(100)와 PSMSC(200) 간의 음성 채널이 연결된 후에는 데이터 전송의 초기화가 수행된다. 초기화는 PSMSC(200)가 SMS 단말기(100)로 단말인지신호(CAS)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SMS 단말기(100)는 단말응답신호(ACK)로 응답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후 SMS 단말기 (100)는 PSMSC(200)로 단문메시지, E-메일 및 팩스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PSMSC(200)에서 SMS 단말기(1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절차는, 가입자가 CID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SMS 단말기(100)가 PSMSC(200) 번호를 인식하여 자동 off-hook이 가능하고 CID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지 않은 경우는 SMS 단말기(100)의 자동 off-hook이 불가능하므로 음성 채널 연결을 위한 동작은 CID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와 받지 않는 경우에 따라 달리 이루어진다.
첫 번째로 CID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에 SMS 단말기(100)는 CID 기능을 통해 PSMSC(200)에서 발신된 호를 판별할 수 있다. 발신 번호로서 PSMSC(200)에서 발신한 호로 인식된 경우 SMS 단말기(100)는 자동적으로 off-hook을 한 후 메시지를 수신한다. 통화중대기와 통화중 발신번호표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통화중에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SMS 단말기(100)가 PSMSC(200)에서 발신한 호임을 가입자에게 통지 후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메시지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두 번째로 CID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경우 SMS 단말기(100)는 PSMSC(200)에서 발신한 호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가입자가 off-hook을 하거나 또는 SMS 단말기(100)가 일정시간 경과 후 가입자가 off-hook하지 않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off-hook하여 메시지를 수신한다.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통화중에는 가입자가 후크(hook)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전환한 호가 PSMSC(200)가 발신한 호일 경우 SMS 단말기(100)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추가식별번호(432)가 존재하는 번호가 수신자번호로 지정된 경우 단문메시지는 PSMSC(200)가 가입자 정보에 저장된 추가식별번호 사용자의 이름(수신자 파라미 터)과 비밀번호(비밀번호 파라미터)를 메시지에 추가하여 수신 SMS 단말기(100)(이때, PSMSC(200)가 호 접속을 시도하는 번호는 추가식별번호가 제외된 번호)로 송신하며 수신 SMS 단말기(100)는 메시지를 수신 후 수신자와 회신번호를 표시한 뒤 가입자에게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일치하는 경우에만 메시지를 표시한다.
마지막 구성요소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말(100)이 제공하는 웹 서버 기능에 대해 살펴보자. 복합 단말(100)에 접근하는 방식은 개인용 PC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개인용 PC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든 PC에 해당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야만 복합 단말(100)에 접근할 수 있는 맹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맹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복합 단말(100)이 자체로 웹 서버를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도 5는 복합 단말에서 제공하는 웹 서버의 로그인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복합 단말(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삼성전자의 오피스서브 소호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서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웹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각의 복합 단말(100)에 개별적으로 부과된 IP 주소를 보유하고 있어야 할 것이며, 외부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말(100)이 제공하는 웹 서버는 사용자별 문자 수/발신함을 제공하고, 본 웹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자신의 단문 메시지 수신함과 발신함을 체크할 수 있으며, 유선 단말 또는 공중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용 이 동 단말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말이 제공하는 웹 서버의 단문 메시지 수/발신함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왼쪽에 표시된 것이 발신 메시지 모듈(610)이고, 오른쪽에 나타나 있는 것이 수신 메시지 모듈(620)이다. 발신 메시지 모듈(610)에서는 사용자 본인의 발신 이력을 조회할 수도 있으며, 발신 대상 전화번호와 메시지 내용, 그리고 자기 연락처 등을 입력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수신 메시지 모듈(620)은 수신 이력을 조회하는 기능이 주가 될 것이며, 사용자에게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번호와 내용, 연락처 발신 시각 등이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합 단말의 기능을 정리하여 복합 단말의 논리적 블록 구성을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말의 논리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정리하여 보자면, 복합 단말(100)은 크게 전화 모듈(101), AP(Access Point) 모듈(102), 웹 서버(103), 및 데이터베이스(104)를 포함한다.
즉, 일반적인 유선 전화 기능을 처리하는 전화 모듈(10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내선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AP의 기능을 제공하는 AP 모듈(102)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웹 서버(103)를 포함하여, 인터넷 사용자 등이 댁내가 아닌 외부에서 복합 단말(100)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복합 단말(100)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04)는 각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수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수신함과 단문 메시지 발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발신함으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104)는 일반적인 전화 모듈(101), AP 모듈(102), 웹 서버(103)를 통해서 모두 접근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다중 경로로 접속하는 여러 사용자를 위해 단문메시지 송신함 및 수신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부여된 ID와 비밀번호만 가지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복합 단말의 웹 서버 기능을 통해 단문메시지의 발신함 또는 수신함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점에서 기존의 이동전화 단말이나 유선전화 단말에서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에 비해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1)

  1. 유선 및 무선 통신망 연결되는 복합 단말과 단문 메시지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망을 구비하고 단문메시지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합 단말이 착/발신하는 단문메시지에 대한 개별 사용자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복합 단말에 구축하는 단계; 와
    상기 복합 단말은 개별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복합 단말 제공 웹 서버에 접속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단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말은,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유선 전화의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내선 단말을 연결하기 위한 AP(Access Point)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말에는 동일한 시스템 ID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과 무선 노트북이 접속하여, 하나의 내부 무선 셀(Cell)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말 제공 웹 서버로의 접속은 사용자별 ID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수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수신함과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발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발신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발신함은,
    상기 발신함 표시창에서 유선 단말 또는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휴대용 이동 단말로 단문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7. 유선 및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복합 단말 시스템에 있어서,
    각 사용자별 단문 메시지 수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수신함과 단문 메시지 발신 이력을 저장하는 단문메시지 발신함으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 와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웹 서버를 포함하는 복합 단말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사용자별 ID와 비밀번호를 통해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발신함은,
    상기 발신함 표시창에서 유선 단말 또는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휴대용 이동 단말로 단문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가입자 번호 하나를 이용해 다수의 사용자가 개인별 단문 메시지 관리함을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단말 시스템에는 동일한 시스템 ID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과 무선 노트북이 접속하여, 하나의 내부 무선 셀(Cell)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말 시스템.
KR1020040093737A 2004-11-16 2004-11-16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1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737A KR100612453B1 (ko) 2004-11-16 2004-11-16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737A KR100612453B1 (ko) 2004-11-16 2004-11-16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893A KR20060054893A (ko) 2006-05-23
KR100612453B1 true KR100612453B1 (ko) 2006-08-16

Family

ID=3715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737A KR100612453B1 (ko) 2004-11-16 2004-11-16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4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893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8266B1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eans for transmitting internet addresses via sms
US6883023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for companion information and network appliances
US7085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voice mail notification by a home network telephone answering device
US20040072544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90075637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WO2006024952A1 (en) Method of obtaining caller information in a mobil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e
MXPA01000781A (es) Sistema de telecomunicaciones metodo y unidad de abonado para ser utilizada en el mismo.
US7088685B2 (en) Modular multi-media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with an integrated service for wide area network wireless telephones
JPH10257201A (ja) 電子メール端末及び電子メール配送システム
KR100498924B1 (ko) 유선전화망에서의 전화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방법
US7177403B2 (en) Event driven multi-media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KR20020011668A (ko) 인터넷 전화통화 서비스 방법
US20070105537A1 (en) Network support for remote caller ID information
US20020107014A1 (en)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telecommunications
KR20060093494A (ko) 유·무선 공중전화에서 사용자인증을 통한 음성 호 및 메시지 수·발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13221B1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의메시지 확인 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12453B1 (ko) 복합 단말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890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s for data and voice communications
JP4492350B2 (ja) 通話接続システム
KR20070025207A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US20030059002A1 (en) Multi-media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routing incoming calls to a subscriber device that is served by a subscriber station
JP2003046645A (ja) 交換システム、携帯電話機及び交換機
JP3564377B2 (ja) 電子メール着信通知方式および方法、並びにターミナルアダプタ
KR100377989B1 (ko)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JP3455472B2 (ja) 不完了呼通知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