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020B1 -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020B1
KR100609020B1 KR1020040106839A KR20040106839A KR100609020B1 KR 100609020 B1 KR100609020 B1 KR 100609020B1 KR 1020040106839 A KR1020040106839 A KR 1020040106839A KR 20040106839 A KR20040106839 A KR 20040106839A KR 100609020 B1 KR100609020 B1 KR 10060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user
input
candidat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206A (ko
Inventor
김병재
Original Assignee
김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재 filed Critical 김병재
Priority to KR102004010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02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노트북, 휴대폰, PDA, 키오스크 등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직선 및 곡선과 그에 대한 방향값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직관에 따른 친화적인 문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대한 문자입력이 사용자의 실제 필기과정과 유사한 사고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어 별다른 숙련과정 없이도 빠르고 편리하게 모든 언어에 대한 문자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입력, 직선, 곡선, 방향

Description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방향 키의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방향 키의 다른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곡선 키의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한번 꺽은선 키의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두번 꺽은선 키의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를 이용한 다양한 입력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후보문자 제시 및 선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향 입력부 11 : 방향 키
12 : 원 키 20 : 선 입력부
21 : 곡선 키 22 : 한번 꺽은선 키
23 : 두번 꺽은선 키 24 : 옵션 키
30 : 케이스 31 : 휠
40 : 코드 생성부 50 : 제어부
60 : 외부 인터페이스 70 : 문자 테이블 저장부
80 : 표시부
본 발명은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C, 노트북, 휴대폰, PDA, 키오스크 등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직선 및 곡선과 그에 대한 방향값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직관에 따른 친화적인 문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대한 문자입력이 사용자의 실제 필기과정과 유사한 사고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어 별다른 숙련과정 없이도 빠르고 편리하게 모든 언어에 대한 문자입력을 가능 하게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전자장치 예컨데, 개인 컴퓨터와 같은 장치는 각 글자의 자소에 대응되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키들 각각에 특정 형태의 코드를 부여하여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문자를 표시하거나 입력시켰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컴퓨터에서는 문자를 입력시키기 위한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보드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자 입력장치로서 한글 혹은 영문자를 희망하는 형태로 원활하게 입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6개 이상의 키를 구비하여야 하며, 상기 각 키들에 대응한 코드를 별도로 부여하여야 한다.
또한, 근래 들어 필수적인 개인 생활용품의 하나로 자리잡게된 휴대폰 단말기의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휴대폰 단말기의 활용 방식은 단순히 개인 대 개인이 음성으로 필요한 의사소통을 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정보를 취득 및 공유하고 이를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의 이용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또한 휴대형 단말기에서 문자입력방식의 편리성이다.
실제, 이러한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전달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사용자가 간편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자입력 방식은 상술한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키패드상의 각각의 숫자키마다 한글 및 영문 자모의 일정수가 배치되고,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자모가 속한 숫자키를 원하는 자모가 선택될 때 까지 누르는 방식을 사용 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휴대폰 단말기의 키패드가 제한된 버튼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고육책으로서 실제 사용시 느리고 어려운 입력형식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야만 어느정도 문자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중년층 이상의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들은 이러한 문자입력 방식을 쉽게 익힐 수 없어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제대로된 문자 메세지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개인 컴퓨터나 노트북, 휴대폰, PDA, 키오스크 등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대부분 많은 키들이 구성되거나 또는 대단히 복잡한 문자입력 메커니즘을 가지게 되어 일반 사용자들이 이러한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많은 숙련과정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시행착오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자기기에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직선 및 곡선과 그에 대한 방향값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 입력문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직관적인 판단 사고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으로 모든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 자입력 장치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문자구성요소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키와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10, 20); 상기 입력부(10, 20)를 통한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지정된 대응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 생성부(40); 및 상기 코드 생성부(40)로부터 생성된 대응코드를 수신하여 누적시키고 해당 대응코드를 외부 인터페이스(60)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후보문자의 검색 및 후보문자 제시를 요청하는 한편, 상기 입력부(10, 20)를 통한 사용자의 후보문자 선택에 따라 해당 결정문자코드를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 입력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생성부(40)로부터 생성되는 대응코드를 구성요소로 하여 완성되는 후보문자들을 저장하는 문자 테이블 저장부(70);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50)가 직접 해당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해당 후보문자 중 상기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해, 해당 호스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한 후보문자의 사용자 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드 생성부(40)로부터 생성되는 대응코드를 구성요소로 하여 완성되는 후보문자들을 저장하는 문자 테이블 저장부(70); 및 상기 입력부(10, 20)에 장착된 점화면으로 후보문자들을 형상화하여 표시시키는 표시부(80);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50)가 직접 해당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 하고 이러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상기 표시부(8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표시부(80)에서 해당 후보문자를 형상화하여 상기 입력부(10, 20)의 점화면에 각각 표시시키도록 하여 후보문자의 사용자 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10, 20)는, 곡선 키(21), 한번 꺽은선 키(22) 및 두번 꺽은선 키(23)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곡선, 한번 꺽은선 및 두번 꺽은선에 관한 괄호형태의 선구성문자신호를 출력하는 선 입력부(20); 및
팔방위를 표시하는 8개의 방향 키(11) 및 원 모양의 원 키(12)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원 키(12) 선택에 따라 원, 점 또는 짧은 선 형태의 원구성문자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방향 키(11) 선택에 따라 기본직선 또는 상기 선입력부(20)의 선구성문자의 방향표현을 위한 방향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입력부(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방향 키(11) 및 원 키(12)를 통해 후보문자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은, (a) 방향 입력부 및 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문자구성요소 입력신호와 그 방향에 대한 방향 선택신호에 따라 생성된 대응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대응코드로 조합 가능한 완성형 후보문자들에 대한 추출 및 사용자 제시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제시된 후보문자들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시된 후보 문자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선택 후보문자에 대한 문자코드를 사용자결정 입력문자로서 호스트 시스템으로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e) 상기 제시된 후보문자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해당 수신 대응코드를 누적시킨 후,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에 따른 대응코드를 수신하여 해당 신규 대응코드와 누적 대응코드를 조합하고 상기 제 (b) 내지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된 대응코드를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해당 대응코드에 상응하는 후보문자의 추출 및 제시를 요청함으로써, 해당 전자장치가 시스템내 문자테이블을 통해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시스템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소정 이미지로 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된 대응코드로 직접 내부 문자 테이블 저장부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호스트 시스템이 해당 후보문자를 시스템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소정 이미지로 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서 제시되는 후보문자 이미지는 상기 방향 입력부의 입력 키 배열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방향 입력부를 통해 후보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된 대응코드로 직접 내부 문자 테이블 저장부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상기 방향 입력부의 각 입력키에 점화면으로 표시시켜, 사용자가 해당 방향 입력부를 통해 후보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PC, 노트북, 휴대폰, PDA, 키오스크 등의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직선 및 곡선과 그에 대한 방향값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직관에 따른 친화적인 문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대한 문자입력이 사용자의 실제 필기과정과 유사한 사고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어 별다른 숙련과정 없이도 빠르고 편리하게 모든 언어에 대한 문자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입력부(10), 선 입력부(20), 케이스(30), 코드 생성부(40), 제어부(50) 및 외부 인터페이스(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향 입력부(10)는 해당 장치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해당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한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되는 입력 모듈로서, 그 구성으로 팔방위를 표시하는 8개의 방향 키(11)가 방사형으로 위치되고 해당 방향키들의 중심에 원 모양과 대응되는 원 키(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선 입력부(20)는 해당 장치의 측면에 위치되어 해당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한 사용자가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되는 입력 모듈로서, 그 구성 요소로서 곡선 키(21), 한번 꺽은선 키(22), 두번 꺽은선 키(23) 및 해당 문자입력시 소정 옵션을 지정하는 소정 갯수의 옵션 키(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에 대한 사용자 파지예를 상술한 설명에서 각각 엄지 손가락 및 그 외 손가락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취향 및 편리에 의해 자유롭게 파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상술한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를 통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우선 기술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의 문자입력 원리를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모든 문자들은 선으로 이루어지며, 다시 이것은 직선과 곡선의 두가지 구성으로 이루어 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직선과 곡선만 있으면 모든 문자를 구성해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직선과 곡선만으로 문자를 구성하려면 구성요소의 수가 많아짐을 해결하고자 직선에서는 '한번 꺽은선'과 '두번 꺽은선'으로, 그리고 '곡선'에서는 '원'으로 더 세분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한번 꺽은선', '두번 꺽은선', '곡선' 및 '원'에 더하여 '방향'을 포함하는 5개의 문자 구성요소를 가지고 현존하는 모든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방식의 문자입력 방식은 마치 인간이 필기를 할 때에 머릿속에서 이루어지는 실제 사고과정과 유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자 구성요소의 실제 사용예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방향 키의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방향 키의 다른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곡선 키의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한번 꺽은선 키의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문자 구성요소 중 두번 꺽은선 키의 사용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문자입력 장치에서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원 키(12)는 기본적으로 원을 그리는 것과 같고 때로는 점이나 짧은 선을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향 키(11)는 문자구성 요소들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을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되게 된다. 여기에서 특별히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긋는 수평선을 표현하고 싶을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향키와 좌향키의 조합으로 시작과 끝을 잇는 것과 같은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방식으로 우향키와 원 키(12) 그리고 좌향키의 조합으로 시작과 가운데 원 그리고 끝을 연결하는 것처럼 방향 키(11)를 이용하여 완전한 선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도 5에 도시된 다른 예와 같이 원 키(12)와 방향 키(11) 만을 조합하여 구석에 치우친 것과 같은 짧은 선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 입력부(20)의 곡선 키(21), 한번 꺽은선 키(22), 두번 꺽은선 키(23)들은 괄호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즉, 해당 키(21, 22, 23)를 선택한 상태에서 방향 키(11)를 선택하게 되면 괄호의 바깥으로 감싸여지는 방향을 선택하여 표현할 수 있어서 다양한 문자 구성요소의 형태표현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행예가 도 6 내지 도 8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선 입력부(20)의 곡선 키(21), 한번 꺽은선 키(22) 및 두번 꺽은선 키(23)는 자체적으로 곡선, 한번 꺽은선 및 두번 꺽은선에 관한 구성문자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방향 입력부(10)는 자체적으로 선에 관한 구성문자신호를 출력함은 물론 상기 선 입력부(20)의 곡선, 한번 꺽은선 및 두번 꺽은선에 관한 방향신호를 출력하여 그 표현 방향성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식은 위와 같은 문자 구성의 요소들을 가지고 그것들의 위치에 상관없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가깝게 사용자의 직관에 따라 나름대로 입력하게 되면 그 입력과 비슷한 문자들을 유사 정도가 큰 순서로 나열하여 해당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한편, 이러한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방향 키(11) 및 원 키(12)와 상기 선 입력부(20)의 곡선 키(21), 한번 꺽은선 키(22) 및 두번 꺽은선 키(23)를 이용한 실제 문자 입력 예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9a는 영문 'A'를 본 발명의 문자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방식의 4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9b는 영문 'B'를 본 발명의 문자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방식의 4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9c는 영문 'h'를 본 발명의 문자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방식의 4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9d는 한글문자 'ㄱ'을 본 발명의 문자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방식의 2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9e는 한글문자 'ㅏ'를 본 발명의 문장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방식의 3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9f는 특수문자 ','를 본 발명의 문자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방식의 4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9g는 특수문자 '~'를 본 발명의 문자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입력방식의 2가지 예를 나타낸다.
즉, 이러한 문자입력 방식은 문자 구성 요소들을 가지고 그것들의 위치에 관계없이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가깝게 사용자 나름대로 입력하게 되면 그 입력과 비슷한 문자들을 후보문자로서 비슷한 정도가 큰 순서로 나열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위에서 도면을 통해 언급된 문자입력 방식의 다양한 예들은 문자입력 방식의 입력과정과 사람마다 하나의 문자에 대해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상기 문자입력 방식의 예들은 단지 일부에 관 한 예시일뿐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가 노출되는 케이스(30)는 이용하는 사람이 한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게 되게 된다.
이때, 상기 문자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 시에는 상기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를 통해 키보드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되지만, 해당 문자입력 장치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로 활용 가능하게 되는 바,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방향 키(11)들을 이용하여 커서의 이동을 지시하며 다른 키의 클릭으로 실행명령을 지시함으로써 키보드 역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포인팅 장치로도 동시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해당 도면에서 참조부호 31은 각각 마우스의 상하 및 좌우 휠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되며,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케이블은 도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해당 문자입력 장치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해당 선 입력부(20)에는 별도의 옵션 키(24)를 더 구비하고 있는 바, 이러한 옵션 키(24)의 설정을 통해 문자의 입력명령으로 활용하거나, 문자입력장치 또는 포인팅장치 겸용 등의 사용형태 선택키로 활용할 수 있으며, 문자입력 호스트 시스템에 따라 해당 옵션 키(24)를 통해 호환을 이루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해당 문자입력 장치의 사용자 입력문자의 전자기기 전달 과정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를 통해 사용자가 문자입력을 하게 되면, 이를 입력받은 코드 생성부(40)에서 해당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를 통한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지정된 대응코드를 발생시키게 되고 해당 대응코드는 제어부(50)로 수신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제어부(50)는 내부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를 검색하여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이를 외부 인터페이스(60)를 통해 해당 전자기기(예컨데,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전자기기에 표시되는 후보문자 중 상기 방향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가 결정하는 후보문자를 입력문자로 사용하게 된다.
즉, 해당 전자기기에는 사용자의 입력부(10, 20)를 통한 문자입력에 따라 문자 테이블에 기저장된 후보문자 중 이에 상응하는 후보문자들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B'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방향 입력부(10)를 통해 하향키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문자입력 장치로부터 하향키에 따른 코드를 수신한 제어부(50)에서는 문자 테이블 저장부(70)의 문자 테이블들에서 해당 코드로 조합 가능한 모든 후보문자, 'ㅣ', 'ㅏ', 'B', 'b', 'I', 'l', 'P', 'p', '1', 'β', 'ρ', 'i' 등을 우선 검색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60)를 통해서는 사용자 입력 코드로 즉시 입력 가능한 후보문자, 'ㅣ', 'I', 'l', '1', 'i' 에 대한 코드를 출력함으로써 해당 전자기기를 통해 즉시 입력 가능한 후보문자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문자입력 편의를 돕고 불필요한 후보문자의 나열을 막기위한 방식으로, 이후의 곡선 키(21) 입력에 대하여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사용자에 대한 후보문자의 제시가 이루어져 최적화된 문자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자기기에서의 후보문자 표시는 상기 방향 입력부(10)와 유사한 형태 로 후보문자 이미지를 작업화면에서 커서의 위치 근처나 구석에 보이도록 하고, 해당 후보문자 이미지에서 가운데 원 키 이미지와 방향 이미지에 각각 해당 후보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이러한 후보문자 이미지를 참고로 사용자가 실제 문자입력 장치의 방향 입력부(10)를 통해 실제 입력하고자 하는 후보문자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향 입력부(10)를 통해 결정된 후보문자에 따른 코드가 해당 전자기기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후보문자 이미지에서는 해당 후보문자에 각각 우선순위를 두어 최우선 순위 후보문자를 가운데 원 키 위치에 표시하고 차순으로 상향키 및 그 시계방향 방향키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후보문자 우선순위의 기준은 사용자별로 다양하게 설정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해당 사용 시스템의 사용언어를 최우선 판단기준으로 하여 검색된 후보문자를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시키고, 또한 영문 알파벳의 경우 대소문자 중 소문자를 우선 표시하게 되며, 해당 사용자의 문자입력 패턴에 따른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학습된 사용자 문자입력패턴을 후보문자 표시 판단기준으로 하여 제시하게 되지만, 이러한 표시기준은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가변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시되는 후보문자의 수가 상기 방향 키의 수인 9개를 상회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9개의 후보문자를 표시하며 사전 정의된 상기 옵션 키(24)를 선택하여 다음 후보문자를 표시시킬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 를 통해 사용자가 문자입력을 하게 되면, 이를 입력받은 코드 생성부(40)에서 해당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를 통한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지정된 대응코드를 발생시키게 되고 해당 대응코드는 제어부(50)로 수신되어 외부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전자기기(예컨데, 컴퓨터)로 전송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기저장된 문자 테이블을 검색하여 후보문자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해당 문자입력 장치에는 별도의 문자 테이블을 위한 메모리를 가지지 않고 직접 해당 대응코드를 전자기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전자기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후보문자의 검색 및 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후 이루어지는 후보문자에 대한 사용자의 결정 과정은 상술한 내부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를 구비한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해당 문자입력 장치에는 별도의 메모리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실장소자의 수를 줄이게 됨으로써 기기제조 비용을 줄이고 무게를 줄여 해당 문자입력 장치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또다른 방식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원 키(12) 및 방향 키(11)에 점화면(dot screen)을 장착하여 내부 문자 테이블 저장부(70)에서 검색되어 제시되는 후보문자들을 상기 표시부(80)에서 형상화하여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점화면에 각각 표시시키는 것이다. 즉, 우선순위에 따라 직접 해당 방향 입력부(10)에 후보문자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방향 입력부(10)를 통해 직접 후보문자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후보문자의 직접 확인 및 즉시 결정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문자입력 속도가 보다 개선될 수 있으며, 적용되는 전자기기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지 않거나 극히 소형이어서 사용자가 후보문자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곤란한 경우나 혹은 적용되는 전자기기가 별도의 문자입력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지 못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문자입력 장치의 제어부(50)는 상기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를 통해 사용자가 선 또는 방향에 대하여 입력한 문자키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코드 생성부(40)에서 생성된 대응코드를 수신한다(S10).
이때,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는 상기 방향 입력부(10) 및 선 입력부(20)에 구비된 키 중 하나로서, 선 입력부(20)의 곡선 키, 한번 꺽은선 키 및 두번 꺽은선 키나 방향 입력부(10)의 원 키 및 방향키들 중 하나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는 해당 외부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시스템으로 상기 제 S10 단계를 통해 생성된 대응코드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대응코드에 상응하는 후보문자에 대한 검색 및 디스플레이를 요청하게 된다(S20).
이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는 해당 대응코드(곡선, 직선, 원, 방향)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해당 후보문자들을 해당 문자입력 장치의 방향 입력부(10)의 입력 키 배열형상과 매칭되어 상응하도록 순차 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결정가능하도록 제시되는 후보문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입력 대응코드만으로 완성할 수 있는 후보문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시용 후보문자들이 다수인 경우 제시우선 기준은 사용자별로 다양하게 설정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해당 사용 시스템의 사용언어를 최우선 판단기준으로 하여 검색된 후보문자를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시키고, 또한 영문 알파벳의 경우 대소문자 중 소문자를 우선 표시하게 되며, 해당 사용자의 문자입력 패턴에 따른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학습된 사용자 문자입력패턴을 후보문자 표시 판단기준으로 하여 제시하게 되지만, 이러한 표시기준은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가변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후보문자의 우선순위에 따른 표시위치는 호스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방향 입력부(10)의 입력 키 배열형상과 매칭되어 상응하도록 순차 제시하되, 최우선 순위 후보문자를 가운데 원 키 자리에 문자이미지로서 표시하고 차순으로 상향키 및 그 시계방향 방향키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결정을 돕게 된다.
이때, 해당 문자입력 장치에 후보문자 추출을 위한 문자 테이블 저장 수단이 없는 경우, 상술한 제 S20 단계와 같이, 연결된 호스트 시스템으로 후보문자의 검색 및 제시를 요청하게 되지만, 다른 경우로, 해당 문자입력 장치에 도 2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문자 테이블 저장부(70)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가 직접 해당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호스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한 후보문자의 사용자 제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다른 경우로, 해당 문자입력 장치에 자체적으로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는 물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원 키(12) 및 방향 키(11)에 점화면(dot screen)이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50)가 직접 해당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상기 표시부(8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표시부(80)에서 해당 후보문자를 형상화하여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점화면에 각각 표시시키도록 하여 후보문자의 사용자 제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방향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의 후보문자 선택에 따른 입력문자 결정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상기 제 S30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문자 결정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이전 수신 문자키에 따른 대응코드를 누적시킨 후, 상기 제 S10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여 상기 선 입력부(20) 및 방향 입력부(10)를 통한 사용자의 문자키 선택신호에 따른 코드 생성부(40)의 신규 대응코드를 수신하고 해당 신규 대응코드와 누적 대응코드를 조합한 상태에서 후보문자의 검색 및 제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S10 및 S20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사용자의 후보문자 선택에 따른 입력문자 결정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한편, 상기 제 S30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문자 결정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해당 결정문자코드를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후보문자 중 사용자로부터 방향 입력부(10)를 통해 선택된 문자가 해당 호스트 시스템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S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나타난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은 전자기기에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직선 및 곡선과 그에 대한 방향값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 사용자의 개인 직관에 따라 실제 필기과정과 유사한 사고를 통해 입력문자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직관적인 판단 사고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으로 모든 언어의 문자를 별다른 숙련과정 없이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문자입력 장치가 소수의 키(방향, 직선, 곡선)만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모든 언어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서 기기의 효용성 및 휴대성 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으며, 후보문자의 제시를 위한 메모리를 호스트 시스템에서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메모리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실장소자의 수를 줄이게 됨으로써 기기제조 비용을 줄이고 무게를 줄여 해당 문자입력 장치의 휴대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휴대성이 뛰어난 문자입력 장치에서 방향키 등에 점화면(dot screen)을 장착하게 되면, 적용되는 전자기기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지 않거나 극히 소형이어서 사용자가 후보문자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곤란한 경우나 혹은 적용되는 전자기기가 별도의 문자입력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문자구성요소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키와 방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10, 20);
    상기 입력부(10, 20)를 통한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지정된 대응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 생성부(40); 및
    상기 코드 생성부(40)로부터 생성된 대응코드를 수신하여 누적시키고 해당 대응코드를 외부 인터페이스(60)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후보문자의 검색 및 후보문자 제시를 요청하는 한편, 상기 입력부(10, 20)를 통한 사용자의 후보문자 선택에 따라 해당 결정문자코드를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 입력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생성부(40)로부터 생성되는 대응코드를 구성요소로 하여 완성되는 후보문자들을 저장하는 문자 테이블 저장부(70);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50)가 직접 해당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해당 후보문자 중 상기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해, 해당 호스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한 후보문자의 사용자 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 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생성부(40)로부터 생성되는 대응코드를 구성요소로 하여 완성되는 후보문자들을 저장하는 문자 테이블 저장부(70); 및
    상기 입력부(10, 20)에 장착된 점화면으로 후보문자들을 형상화하여 표시시키는 표시부(80);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50)가 직접 해당 문자 테이블 저장부(70)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상기 표시부(8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표시부(80)에서 해당 후보문자를 형상화하여 상기 입력부(10, 20)의 점화면에 각각 표시시키도록 하여 후보문자의 사용자 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 20)는,
    곡선 키(21), 한번 꺽은선 키(22) 및 두번 꺽은선 키(23)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곡선, 한번 꺽은선 및 두번 꺽은선에 관한 괄호형태의 선구성문자신호를 출력하는 선 입력부(20); 및
    팔방위를 표시하는 8개의 방향 키(11) 및 원 모양의 원 키(12)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원 키(12) 선택에 따라 원, 점 또는 짧은 선 형태의 원구성문자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방향 키(11) 선택에 따라 기본직선 또는 상기 선입력부(20)의 선구성문자의 방향표현을 위한 방향신호를 출력하는 방향 입력부(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부(10)의 방향 키(11) 및 원 키(12)를 통해 후보문자의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6. (a) 방향 입력부 및 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문자구성요소 입력신호와 그 방향에 대한 방향 선택신호에 따라 생성된 대응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대응코드로 조합 가능한 완성형 후보문자들에 대한 추출 및 사용자 제시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제시된 후보문자들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시된 후보문자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선택 후보문자에 대한 문자코드를 사용자결정 입력문자로서 호스트 시스템으로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e) 상기 제시된 후보문자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해 당 수신 대응코드를 누적시킨 후,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에 따른 대응코드를 수신하여 해당 신규 대응코드와 누적 대응코드를 조합하고 상기 제 (b) 내지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된 대응코드를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해당 대응코드에 상응하는 후보문자의 추출 및 제시를 요청함으로써, 해당 전자장치가 시스템내 문자테이블을 통해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시스템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소정 이미지로 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된 대응코드로 직접 내부 문자 테이블 저장부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호스트 시스템이 해당 후보문자를 시 스템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소정 이미지로 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서 제시되는 후보문자 이미지는 상기 방향 입력부의 입력 키 배열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방향 입력부를 통해 후보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된 대응코드로 직접 내부 문자 테이블 저장부를 검색하여 해당 대응코드로 조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성형 후보문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문자 중 해당 대응코드만으로 완성되는 후보문자를 선별하여 상기 방향 입력부의 각 입력키에 점화면으로 표시시켜, 사용자가 해당 방향 입력부를 통해 후보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
KR1020040106839A 2004-12-16 2004-12-16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0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839A KR100609020B1 (ko) 2004-12-16 2004-12-16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839A KR100609020B1 (ko) 2004-12-16 2004-12-16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206A KR20060068206A (ko) 2006-06-21
KR100609020B1 true KR100609020B1 (ko) 2006-08-03

Family

ID=3716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839A KR100609020B1 (ko) 2004-12-16 2004-12-16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72B1 (ko) 2006-12-08 2008-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88A (ko) * 1999-12-04 2001-07-02 김용숙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한글, 영어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0374710B1 (ko) 2001-01-15 2003-03-03 심상호 문자입력장치
KR100391577B1 (ko) 2000-10-13 2003-07-16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방위형 문자 입력 장치
JP3487345B2 (ja) * 2000-02-28 2004-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装置の文字入力・認識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40204011A1 (en) 2002-12-09 2004-10-14 Victoria Lyustin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character inpu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88A (ko) * 1999-12-04 2001-07-02 김용숙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한글, 영어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JP3487345B2 (ja) * 2000-02-28 2004-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装置の文字入力・認識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391577B1 (ko) 2000-10-13 2003-07-16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방위형 문자 입력 장치
KR100374710B1 (ko) 2001-01-15 2003-03-03 심상호 문자입력장치
US20040204011A1 (en) 2002-12-09 2004-10-14 Victoria Lyustin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character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206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US7886233B2 (en) Electronic text input involving word completion functionality for predicting word candidates for partial word inputs
US7592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US6741235B1 (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US7898527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tilizing a reduced number of selectable inputs
KR100776275B1 (ko) 모호부호에 기초한 터치 방식 타자 장치
US20040155870A1 (en) Zero-front-footprint compact input system
US20100302163A1 (en) Data entry system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JP2005521969A (ja) Qwerty型マッピングおよびタイピングをエミュレートする縮小キーボード・システム
JP2003015808A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WO2007121673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39;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US20110022956A1 (en)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40087321A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JP4030575B2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タッチ式キー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09020B1 (ko)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TW413779B (en) Touch screen type keyboard input device
KR20170075904A (ko) 부가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키보드
KR100912736B1 (ko) 텃치 폰의 문자입력 장치 및 이의 문자입력 방법
WO20040303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small computing/communications devices
JP2002259907A (ja) 言語入力
JP376669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3766695B6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CN101436102A (zh) 多种设备通用多文种输入法及其专用小数字键盘
KR20140122408A (ko) 스마트 텔레비젼 리모컨용 명령 및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