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788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788B1
KR100608788B1 KR1020040035673A KR20040035673A KR100608788B1 KR 100608788 B1 KR100608788 B1 KR 100608788B1 KR 1020040035673 A KR1020040035673 A KR 1020040035673A KR 20040035673 A KR20040035673 A KR 20040035673A KR 100608788 B1 KR100608788 B1 KR 100608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492A (ko
Inventor
우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88B1/ko
Priority to CNA2004100970536A priority patent/CN1700805A/zh
Publication of KR2005011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통신망에 연결된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LBS) 서버와, 지리정보 시스템 (GIS) 서버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어 투자 비용이 높고, 위치정보 교환을 위한 메세지들이 상기 서버들을 거쳐야 하므로 메세지 흐름이 복잡하며, 위치 정보가 상기 GIS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방대한 데이터 형태로 위치정보 요청 단말기에 제공되기 때문에 데이터량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BS 서버는 위치측위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정보가 침해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신의 위치를 좌표정보로 알 수 있는 위치측위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측위부에서 얻어진 자신의 좌표 정보를 특수한 식별자를 가지는 단문 메세지로 생성하여 위치를 알려줄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면, 대상 단말기는 상기 식별자를 통해 위치 정보 메세지를 구별한 후 좌표를 추출하여 내장된 위치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 및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위치기반 서비스 플렛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개인의 위치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줄어들고, 메세지 전송량도 줄어들며, 사용자가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 역시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LOCATION INFORMATION EX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위치정보 파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파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교환장치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신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위치 측위부 130: 제어부
140: 메시지 생성부 150: 사용자 인식 정보 변환부
160: 표시부 200: 통신망
300: 수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 으로, 특히 별도의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LBS) 플렛폼이나 지리정보 시스템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서버등의 사용 없이도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위치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급증했다. 그 중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해 낼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들도 상용화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접한 복수의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 전력 차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자신의 절대 위치를 획득하도록 하여, 얻어진 위치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서비스를 총징하는 것으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을 내장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혹은, 이러한 전용 칩이 없는 경우라도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의 대략적인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현재 자신의 위치 및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를 이용한 지도 서비스, 길 안내 서비스, 친구의 위치를 알아내는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중에서 현재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중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서비스는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를 요청하는 서비스로서, 해당하는 대상 단말기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가 대상 단말기의 위치를 지도 정보나 문자 정보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기(10),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대상 단말기(50), 통신 관련 처리를 위한 통신망(20),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위치서비스 관련처리(즉, 플렛폼)를 제공하는 LBS 서버(30)와, 상기 LBS 서버(30)의 요청에 의해 위치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GIS 서버(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기(10)는 대상 단말기(50)의 위치를 요청하기 위한 통신부와 최종적으로 수신한 대상 단말기(50)의 가공된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위치정보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위치정보 출력부는 상기 대상 단말기(5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 정보나 문자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대상 단말기(50)는 위치정보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고, 획득된 위치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측위 시스템(GPS)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치정보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여 대상 단말기(50)에게 발신하여 상기 대상 단말기(50)로부터 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GIS 서버(40)에 제공하는 LBS 서버(30)가 필요하다. 상기 LBS 서버(30)는 상기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기(10)의 서비스 가입여부를 관리하며, 위치정보 서비스 전반을 관리하기 위한 플렛폼 역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LBS 서버(30)는 위치측위 시스템을 구비한 단말기들에게 위치를 요구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관찰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GIS 서버(40)는 LBS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지도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지도 생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공간질의 처리부, 데이터 변환부, 그리고 위치를 문자열로 변환하기위한 지오코딩(Geocoding)부가 필요하다.
상기 구성을 이용한 종래의 위치정보 교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기(10)가 대상 단말기(50)의 위치를 얻기 위해 통신부를 통해 LBS 서버(30)에 대상 단말기(50)의 위치를 요구하는 메세지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LBS 서버(30)가 사용자 확인 및 인증 절차를 거쳐 대상 단말기(50)에 대한 트래픽을 형성하는 것으로 위치서비스 세션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요구 메세지를 수신한 대상 단말기(50)는 자신의 위치를 위치측위 시스템을 이용하여 획득한 후 이를 LBS 서버(30)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LBS 서버(30)는 이를 GIS 서버(40)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지도 정보나 문자 정보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정보를 요청 단말기(10)에게 제공한다. 상기 변환된 정보를 수신한 요청 단말기(10)는 내부의 위치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순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도 대단히 복잡한 메세지 흐름이 필요하며, GIS 서버를 통해 변환된 많은 데이터의 위치정보가 요청 단말기에 제공되어야 하므로 데이터 통신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많은 투자를 요구하는 LBS 서버 및 GIS 서버가 필수적이며, LBS 서버가 단말기 위치를 감시할 수 있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침해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통신망에 연결된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LBS) 서버와, 지리정보 시스템 (GIS) 서버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어 투자 비용이 높고, 위치정보 교환을 위한 메세지들이 상기 서버들을 거쳐야 하므로 메세지 흐름이 복잡하며, 위치 정보가 상기 GIS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방대한 데이터 형태로 위치정보 요청 단말기에 제공되기 때문에 데이터량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LBS 서버는 위치측위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정보가 침해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자신의 위치를 좌표정보로 알 수 있는 위치측위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측위부에서 얻어진 자신의 좌표 정보를 특수한 식별자를 가지는 단문 메세지로 생성한 후, 이를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고 싶은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면, 상기 메세지를 수신한 대상 단말기는 상기 식별자를 통해 일반 단문 메세지와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를 구별한 후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로부터 좌표를 추출하여 내장된 위치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서버들 없이도 위치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측위부와; 상기 위치측위부로부터 얻은 좌표를 포함하며 소정의 식별자를 가지는 단문 메세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통신망과 통신하여 다양한 단문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메세지의 식별자를 통해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를 구별하여 좌표를 추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된 정보들과 상기 얻어진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신의 위치를 좌표정보로 알 수 있는 위치측위부와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위치정보 교환 방법에 있어서,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싶은 발신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 좌표를 위치측위부를 통해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좌표를 포함하며 좌표 송신을 알리는 소정의 식별자를 구비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문 메세지를 수신한 수신자 단말기는 상기 메세지에 포함된 식별자를 통해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를 구별한 후 포함된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통신망(200) 만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는데 본 발명의 핵심이 있다.
본 발명은 타인의 위치를 알고자 하는 사용자가 타인의 위치를 요청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직접 전송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자신의 통제 하에서 자신이 지정한 대상에게만 알려주게 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먼저 통화나 약속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통화 중에 위치를 알려주겠다고 약속하고 통화가 종료된 후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위치를 알려달라는 요청 메세지나 전화 요청을 받은 후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약속 장소에 도달하는 시간 중에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서 사용되는 발신 단말기(100)와 수신 단말기(300)는 내부적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좌표로 알 수 있는 위치측위 수단과, 좌표를 이용하여 그 좌표가 위치한 지리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지도, 지명등)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라는 것에 주의한다. 즉,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 추세에 비추어, 내부적으로 지도 정보나 지명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GPS)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가진 수단들의 기술적인 적용은 문제가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위치정보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 특수한 식별자를 가지는 단문 메세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좌표 상태로 교환하고, 이러한 좌 표 정보를 이용하여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위치정보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즉, 통신량이 많지 않고, 투자비용도 높지 않으며, 개인정보의 유출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위치정보를 상호 교환하면서 메세지 전송을 위한 비용 외에 별도의 비용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부담이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위치정보 교환장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적인 기능 블럭을 보인 것이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좌표값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측위부(120)와, 상기 위치측위부로부터의 좌표를 소정의 식별자를 가지는 단문 메세지에 포함시켜 위치 전송을 위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140)와, 통신망과 통신하여 상기 생성된 단문 메세지를 전송하고,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110)와,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세지의 식별자를 통해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를 구별하여 좌표를 추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된 정보들과 상기 얻어진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출력부(150)와, 상기 모든 구성원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정보 출력부(150)는 물리적으로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60)와 분리될 수도 있고, 통합되어 지칭될 수도 있다는데 주의한다. 실제로, 상기 설명한 구성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실시되므로 상기 메시지 생성부(140), 위치정보 출력부(150) 등은 제어부(130)와 물리적으로 동일한 제어 장치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140)는 상기 위치 측위부(120)로부터 획득한 좌표를 포함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할때, 일반적인 단문 메세지와 좌표를 포함한 메세지를 구별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식별자(Teleservice Identifier:TI)를 더 삽입하여 생성한다. 상기 식별자의 메세지 내부 구조 상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삽입된 식별자는 상기 위치정보 출력부(150)에서 해석되며, 상기 단문 해석은 일반적인 단문 메세지와 상기 좌표 포함 메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가진 메세지를 구별한 후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로부터 좌표를 추출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 출력부는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지리정보를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수신된 좌표를 기준으로 하는 지도정보나 주소 혹은 지명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도 및 지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좌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은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와 고성능화 되어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기 성능을 감안한 경우 어렵지 않게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이며, 이미 피디에이(PDA)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적용(차량 항법 시스템 등으로)되고 있는 기능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교환 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단히 간단한 데이터의 교환 만으로 LBS 서버의 간섭 없이도 위치정보를 원하는 단말기에 제공해 줄 수 있다.
먼저, 자신의 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발신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추가된 위치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은 해당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얻은 후, 이를 위치정보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가진 단문 메세지에 포함시켜 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대상의 단말기에 단문 메세지로 송신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기능의 수행과 함께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달할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 또는 선택해야 한다.
발신 단말기가 위치전송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측위시스템(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위치 측위부와 인접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좌표와 위치좌표가 포함되었음을 알리는 식별자가 포함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한 후, 수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단문 메세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는 상기 메세지가 위치 좌표를 포함하고 있는 메세지인지 일반 메세지인지 구별하여 일반 메세지라면 일반적으로 처리하며, 위치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라면 상기 메세지에서 좌표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지도 정보나 주소 혹은 지명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일반 메세지와 위치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 포함된 식별자를 검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호간에 좌표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위치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은 자신의 위치를 좌표정보로 알 수 있는 위치측위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측위부에서 얻어진 자신의 좌표 정보를 특수한 식별자를 가지는 단문 메세지로 생성하여 위치를 알려줄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면, 대상 단말기는 상기 식별자를 통해 위치 정보 메세지를 구별한 후 좌표를 추출하여 내장된 위치정보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 및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위치기반 서비스 플렛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개인의 위치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줄어들고, 메세지 전송량도 줄어들며, 사용자가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 역시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측위부와; 상기 위치측위부로부터 얻은 좌표를 포함하며 소정의 식별자를 갖는 메세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와;
    수신한 메세지의 식별자를 통해 좌표가 포함된 메세지를 구별하여 좌표를 추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저장된 정보들과 상기 얻어진 좌표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출력부는
    상기 위치 좌표값을 바탕으로 하는 지도 및 지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3. 발신 단말기가 위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위치 좌표값에 소정의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의 위치 좌표값으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좌표값을 바탕으로 하는 지도 정보, 주소 혹은, 지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방법.
KR1020040035673A 2004-05-19 2004-05-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KR10060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673A KR100608788B1 (ko) 2004-05-19 2004-05-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CNA2004100970536A CN1700805A (zh) 2004-05-19 2004-12-21 一种移动通信终端机上的位置信息交换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673A KR100608788B1 (ko) 2004-05-19 2004-05-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492A KR20050110492A (ko) 2005-11-23
KR100608788B1 true KR100608788B1 (ko) 2006-08-08

Family

ID=3547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673A KR100608788B1 (ko) 2004-05-19 2004-05-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8788B1 (ko)
CN (1) CN17008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5708B2 (en) * 2008-01-04 2011-04-12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augmented messages
KR101531054B1 (ko) * 2008-09-12 2015-06-23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통합 메시징 환경에서의 지리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1650348B1 (ko) 2010-01-13 201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장치
CN101909240A (zh) * 2010-08-10 2010-12-08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获取移动通话终端位置的方法及移动通话终端
CN102547555A (zh) * 2010-12-17 2012-07-04 沈阳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手机及手机间追踪定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84A (ko) * 1998-04-10 1998-07-06 장준호 개인휴대통신을 이용한 셀위치정보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상태 제어방법
KR20030046656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54369A (ko) * 2003-12-04 2005-06-1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목적지정보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84A (ko) * 1998-04-10 1998-07-06 장준호 개인휴대통신을 이용한 셀위치정보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상태 제어방법
KR20030046656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54369A (ko) * 2003-12-04 2005-06-1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목적지정보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0805A (zh) 2005-11-23
KR20050110492A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5506C1 (en)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visited network
US7317910B2 (en)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JP2008535426A (ja) ユーザ装置の位置を特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1527637B1 (en) Method for enabling a location service client to contact a user of a mobile device
KR2007000951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획득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의 영상 및 사진, 문자를 인터넷 지도에표시, 등록하기 위한 단말응용기술 및 서비스 시스템
CN105096522A (zh) 用于广播恐慌警报通知的方法和系统
CN102215561A (zh) 终端到终端的定位方法及系统
US73497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CN102801781A (zh) 终端、定位服务器和定位方法
KR100802090B1 (ko) 3차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087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JP2005020708A (ja) 移動通信端末機を用いた位置情報検索装置及び方法
JP2008244856A (ja) 通信サーバおよび通信接続方法
CN104125605B (zh) 一种请求建立wifi连接的实现方法及装置
US20080139221A1 (en) System for providing address using geocod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n open service platform
KR2004010419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05484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표시 방법
KR100936531B1 (ko)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검증 방법 및시스템
JP5197764B2 (ja) PHS網でのロケーティング(locating)およびアシスタント・ロケー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36164A (ko) 해외 로밍중인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친구찾기서비스제공방법
JP2002209245A (ja) 移動体の位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の位置監視方法
KR100576933B1 (ko) 지능형 웹 에이전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 제공장치 및방법
JP4549721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2008219797A (ja) 位置情報提供サーバ、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位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移動通信端末
KR101831250B1 (ko) 고정단말과 이동단말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